KR20160076134A - 복합 코안다 노즐 - Google Patents

복합 코안다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134A
KR20160076134A KR1020140185945A KR20140185945A KR20160076134A KR 20160076134 A KR20160076134 A KR 20160076134A KR 1020140185945 A KR1020140185945 A KR 1020140185945A KR 20140185945 A KR20140185945 A KR 20140185945A KR 20160076134 A KR20160076134 A KR 20160076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nda
air
compressed air
nozzle
coanda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730B1 (ko
Inventor
심성훈
정상현
김한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7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10Drag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코안다 노즐에 관한 것으로,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로 분사되고, 내부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인되어 공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이 배치되며, 그 중앙부에 코안다 노즐이 더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코안다 노즐의 직경이 증가되더라도 노즐의 중앙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외부 공기의 유인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복합 코안다 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코안다 노즐 {Multiplex Coanda nozzle}
본 발명은 복합 코안다 노즐에 관한 것으로, 코안다 노즐의 직경이 증가되더라도 노즐의 중앙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외부 공기의 유인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복합 코안다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안다 노즐은 도 1과 같이 압축된 공기가 코안다 노즐(1)의 내부로 분사되면서 코안다 효과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인되어 코안다 노즐(1)의 일측(상측)으로부터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타측(하측)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안다 노즐(1)의 상측이 외부 공기가 유인되어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이고 하측은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이며 코안다 노즐(1)의 내부는 공기가 유동되는 내부 유동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코안다 노즐(1)은 외주면 측에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부(17)가 형성되며, 압축공기 유입부(17)는 외주면의 안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비어있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공기 흡입부에 연결되도록 내주면 측에는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16)가 형성되되,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16)는 공기 토출부 측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16)와 간극을 형성하도록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유동로의 직경(내경)이 좁아지도록 곡선 형태의 만곡부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코안다 노즐(1)은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16)의 간극을 통해 내부로 압축된 공기가 분사되면, 만곡부가 형성된 내주면을 따라 공기가 유동되어 외부 공기가 유인되어 흡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코안다 노즐은 코안다 노즐의 내주면쪽 둘레를 따라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16)가 형성되며 분사된 공기는 노즐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되므로, 코안다 노즐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 유동로의 중앙 부분에는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외부 공기를 유인하는 흡입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KR 10-1203378 (2012.11.1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안다 노즐의 직경이 증가되더라도 노즐의 중앙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인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복합 코안다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코안다 노즐은,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로 분사되고, 내부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인되어 공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이 배치되며, 그 중앙부에 코안다 노즐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안다 노즐들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배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배관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의 바깥쪽에 환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압축공기 공급배관이 각각의 코안다 노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공급배관과 중앙부에 배치된 코안다 노즐을 연결하는 분기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안다 노즐들의 공기 흡입부측 면에는 경사진 형태 또는 라운드형의 에어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 코안다 노즐은,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로 분사되고, 내부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인되어 공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 1 코안다 노즐은, 압축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흡입부 측에 공기 토출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며,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 상기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와 간극을 형성하도록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유동로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만곡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코안다 노즐의 내부 유동로의 중앙부에 제 2 코안다 노즐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코안다 노즐의 내주면과 제 2 코안다 노즐의 외주면에 양단이 고정되며 공기 유동방향과 나란한 판형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연결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 유로에 의해 상기 제 1 코안다 노즐의 압축공기 유입부와 제 2 코안다 노즐의 압축공기 유입부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 코안다 노즐은, 코안다 노즐의 직경이 증가되더라도 노즐의 중앙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외부 공기의 유인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안다 노즐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코안다 노즐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 단면 및 BB' 단면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안다 노즐들의 공기 유동방향의 전방에 설치되는 에어 가이드 및 본 발명의 복합 코안다 노즐에 연결되는 흡입관 및 배출관을 나타낸 정면 단면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 코안다 노즐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 코안다 노즐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코안다 노즐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 단면 및 BB' 단면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코안다 노즐(1000)은,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로 분사되고, 내부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인되어 공기 흡입부(230)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 토출부(240)로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200)이 배치되며, 그 중앙부에 코안다 노즐(200)이 더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코안다 노즐(200)은 압축된 공기가 코안다 노즐(200)의 내부로 분사되면서 코안다 효과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인되어 코안다 노즐(200)의 일측인 공기 흡입부(230)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타측인 공기 토출부(240)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코안다 노즐(200)은 좌측이 외부 공기가 유인되어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230)이고 우측이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240)이며, 코안다 노즐(200)의 내부는 공기가 유동되도록 내부 유동로(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코안다 노즐(200)은 외주면 측에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부(210)가 형성되며, 압축공기 유입부(210)는 외주면의 안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비어있는 환형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부(230)에 연결되도록 내주면 측에는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250)가 형성되되,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25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공기 토출부(240)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250)와 간극(255)을 형성하도록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유동로(220)의 직경(내경)이 좁아지도록 곡선 형태의 만곡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코안다 노즐(200)은 간극(255)을 통해 내부로 압축된 공기가 분사되면, 만곡부(260)가 형성된 내주면을 따라 공기가 유동되어 외부 공기가 유인되어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코안다 노즐(200)의 공기 토출부(240)에 배출 노즐(300)이 결합되어, 코안다 노즐(200)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 노즐(300)을 거쳐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 노즐(300)은 공기 유동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310)가 형성되어 유동되는 공기에 의한 동압을 정압으로 변하게 하여 외부 공기가 더욱 많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복합 코안다 노즐(1000)은, 상기와 같은 코안다 노즐(200)이 다수개 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200)이 배치되며, 그 중앙부에 코안다 노즐(200)이 더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된 하나의 코안다 노즐(200)을 기준으로 그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200)들이 배열되어, 하나의 코안다 노즐(200)을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200)들이 감싸고 있는 형태로 코안다 노즐(200)이 배치되어 복합 코안다 노즐(1000)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공기가 코안다 노즐의 내부로 분사되면 분사된 공기는 노즐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되므로, 코안다 노즐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 유동로의 중앙 부분에는 공기의 유동이 잘 발생하지 않아 외부 공기를 유인하는 흡입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복합 코안다 노즐은 전체적인 직경을 크게 형성하더라도 중앙부에 배치된 코안다 노즐에 의해 중심부근에서도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외부 공기의 유인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중앙부에서 흡인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안다 노즐(200)들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배관(1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배관(100)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200)의 바깥쪽에 환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압축공기 공급배관(100)이 각각의 코안다 노즐(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환형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압축공기 공급배관(100)을 바깥쪽에 배치하고, 그 안쪽에 코안다 노즐(200)들이 배치되도록 하며, 압축공기 공급배관(100)의 안쪽에서 분기배관(110)들을 형성하여 분기배관(110)들이 각각 코안다 노즐(200)들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부분에는 최소한의 압축공기 공급배관 및 분기배관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어 흡인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공급배관(100)과 중앙부에 배치된 코안다 노즐(200)을 연결하는 분기배관(110)에는 유량조절밸브(12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바깥쪽에 원형으로 배치된 코안다 노즐(200)들에 비해 중앙부에 배치된 코안다 노즐(200)이 직경이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유량조절밸브(120)를 조절하여 중앙부에 배치된 코안다 노즐(200)로 공급되는 유량 및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안다 노즐(200)들의 공기 흡입부(230)측 면에는 경사진 형태 또는 라운드형의 에어 가이드(4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코안다 노즐(200)의 공기가 유입되는 쪽인 공기 흡입부(230)측 면에 경사진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에어 가이드(400)가 형성되어, 유인되는 외부공기가 코안다 노즐(20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뿔 또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유인되는 외부 공기가 코안다 노즐(200)의 내부 및 외부로 나뉘어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 코안다 노즐(1000)은 도 5와 같이 바깥쪽에 배치되는 코안다 노즐(200)들의 공기 흡입부(230)측에 코안다 노즐(200)들 전체를 감싸도록 흡입관이 결합되고, 공기 토출부(240)측에 코안다 노즐(200)들 전체를 감싸도록 배출관이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 코안다 노즐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코안다 노즐(1000)은,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로 분사되고, 내부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인되어 공기 흡입부(230)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 토출부(240)로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 1 코안다 노즐(200a)은, 압축공기 유입부(210); 상기 공기 흡입부(230) 측에 공기 토출부(240)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며,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250); 상기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250)와 간극(255)을 형성하도록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유동로(220)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만곡부(2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코안다 노즐(200a)의 내부 유동로(220)의 중앙부에 제 2 코안다 노즐(200b)이 더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같이 중앙부에 코안다 노즐이 배치되는 것은 동일하나, 환형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직경이 큰 하나의 코안다 노즐의 내부 유동로 중앙부에 다른 하나의 코안다 노즐이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하여 제 1 코안다 노즐(200a)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코안다 효과를 발생시켜 보다 원활하게 외부 공기를 유인하여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코안다 노즐(200a)의 내주면과 제 2 코안다 노즐(200b)의 외주면에 양단이 고정되며 공기 유동방향과 나란한 판형의 지지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500)에 의해 제 2 코안다 노즐(200b)이 제 1 코안다 노즐(200a)의 내부 중앙부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2개소에 지지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코안다 노즐(200b)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방사상의 120도 등간격(3개) 또는 90도 등간격(4개)으로 지지부가 형성되거나 그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00)는 내부에 연결 유로(510)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 유로(510)에 의해 상기 제 1 코안다 노즐(200a)의 압축공기 유입부(210)와 제 2 코안다 노즐(200b)의 압축공기 유입부(210)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500) 자체에 연결 유로(510)가 형성됨으로써, 지지부(500)가 제 2 코안다 노즐(200b)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제 1 코안다 노즐(200a)의 압축공기 유입부(210)를 통과해 제 2 코안다 노즐(200b)의 압축공기 유입부(210)로도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유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코안다 노즐(200b)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유동되는 공기의 저항도 줄일 수 있다.
이때, 지지부(500)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나란하도록 얇은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복합 코안다 노즐
100 : 압축공기 공급배관
110 : 분기배관 120 : 유량조절밸브
200 : 코안다 노즐
200a: 제 1 코안다 노즐 200b : 제 2 코안다 노즐
210 : 압축공기 유입부 220 : 내부 유동로
230 : 공기 흡입부 240 : 공기 토출부
250 :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 255 : 간극
260 : 만곡부
300 : 배출 노즐 310 : 테이퍼
400 : 에어 가이드
500 : 지지부 510 : 연결 유로

Claims (7)

  1.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로 분사되고, 내부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인되어 공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이 배치되며, 그 중앙부에 코안다 노즐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안다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안다 노즐들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배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배관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의 바깥쪽에 환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압축공기 공급배관이 각각의 코안다 노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안다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배관과 중앙부에 배치된 코안다 노즐을 연결하는 분기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안다 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안다 노즐들의 공기 흡입부측 면에는 경사진 형태 또는 라운드형의 에어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안다 노즐.
  5.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로 분사되고, 내부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인되어 공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 토출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코안다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 1 코안다 노즐은,
    압축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흡입부 측에 공기 토출부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며,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 상기 압축공기 방향 유도부와 간극을 형성하도록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유동로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만곡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코안다 노즐의 내부 유동로의 중앙부에 제 2 코안다 노즐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안다 노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안다 노즐의 내주면과 제 2 코안다 노즐의 외주면에 양단이 고정되며 공기 유동방향과 나란한 판형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안다 노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연결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 유로에 의해 상기 제 1 코안다 노즐의 압축공기 유입부와 제 2 코안다 노즐의 압축공기 유입부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코안다 노즐.
KR1020140185945A 2014-12-22 2014-12-22 복합 코안다 노즐 KR101672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945A KR101672730B1 (ko) 2014-12-22 2014-12-22 복합 코안다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945A KR101672730B1 (ko) 2014-12-22 2014-12-22 복합 코안다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134A true KR20160076134A (ko) 2016-06-30
KR101672730B1 KR101672730B1 (ko) 2016-11-07

Family

ID=5635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945A KR101672730B1 (ko) 2014-12-22 2014-12-22 복합 코안다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158B1 (ko) * 2023-07-27 2023-12-20 (주)브이텍 복수의 진공-존을 포함하는 진공 그리퍼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08B1 (ko) * 2007-02-08 2007-05-15 (주)안성정기 백필터용 인젝터
KR101203378B1 (ko) 2011-07-27 2012-11-21 이광식 무 블레이드 선풍기용 환형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08B1 (ko) * 2007-02-08 2007-05-15 (주)안성정기 백필터용 인젝터
KR101203378B1 (ko) 2011-07-27 2012-11-21 이광식 무 블레이드 선풍기용 환형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158B1 (ko) * 2023-07-27 2023-12-20 (주)브이텍 복수의 진공-존을 포함하는 진공 그리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730B1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14744A5 (ko)
MY167703A (en) A fan assembly
EP2578943A3 (en) System for Cooling a Multi-Tube Fuel Nozzle
RU2013118660A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в камеру сгорания (варианты)
JP2014115072A5 (ko)
GB201021910D0 (en) A fan
GB201112909D0 (en) A fan assembly
MY146292A (en) Foam soap generator
MY167635A (en) A fan assembly
RU2013112113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ециркуляции горячего газа, протекающего через газовую турбину, и газовая турбина
EP4249025A3 (en) Headgear tubing for a patient interface
NZ611231A (en) An improved apparatus for generating mists and foams
TW201729868A (zh) 壓縮空氣泡沫流體混合裝置
JP2014181897A5 (ko)
MX2008013715A (es) Boquilla de moldeo por inyeccion y punta de la misma.
MY193068A (en) Slurry distributor,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190032351A1 (en) Pipeline system of inflatable spa
KR101672730B1 (ko) 복합 코안다 노즐
CN107504066B (zh) 一种向高压圆盘气体轴承供气的一体式轴对称射流稳压腔
CN106678179B (zh) 一种向高压圆盘气体轴承供气的柱对称内环向射流稳压腔
GB2579969A (en) Pump system and method for pumping goods or object in a liquid
US10316863B2 (en) Jet pump for turbomachine lubrication chamber depressurization circuit
KR101237865B1 (ko) 융합 유체 가속기
MX2018002374A (es) Emisor en linea circular.
EA202091750A1 (ru) Система инжекции кислорода для процесса прям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