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911A - vacuum cleaner and canister thereof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and canister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911A
KR20160075911A KR1020140184410A KR20140184410A KR20160075911A KR 20160075911 A KR20160075911 A KR 20160075911A KR 1020140184410 A KR1020140184410 A KR 1020140184410A KR 20140184410 A KR20140184410 A KR 20140184410A KR 20160075911 A KR20160075911 A KR 20160075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ying
case
filter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4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곤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에코로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에코로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에코로뎀
Priority to KR102014018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5911A/en
Publication of KR2016007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9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an air purifying container included in the sam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rify air discharged from the vacuum cleaner while cleaning using the vacuum cleaner, and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ir purifying container comprising: a first case including an air intake receiving an intake of air discharged to one side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nd an air vent discharging the received air; a purifying filter arranged between the air intake and the air vent, and volatilizing an air purifying substance using the received air; and the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air purifying container. The air purifying substance contains cypress sap.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및 이에 포함되는 공기 정화통{vacuum cleaner and canister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an air purifi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 뿐만 아니라 공기 정화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및 이에 포함된 공기 정화통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and an air purifier incorporated therein, which can provide not only cleaning but also an air cleaning function using a vacuum cleaner.

주거는 오랜 시간 동안 생활을 하는 곳이기 때문에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오랜 동안 많은 사람들이 주거 청소를 위해 노력해 왔고, 다른 한편으로 청소를 보다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청소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진공청소기는 공기 흡입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방바닥이나 거실 바닥에 쌓인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Housing is a place to live for a long time and needs to be kept clean. As a result, many people have been trying to clean homes for a long time and on the other hand cleaning tools have been developed to make cleaning more convenient. Among them, the vacuum cleaner is a device designed to suck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or living room floor using a device capable of air su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진공청소기는 단순히 공기 흡입 기능에 따라 집진하여 먼지를 손쉽게 버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런데 이러한 진공청소기에 먼지가 쌓여있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청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공청소기 내에 살고 있는 세균 등이 청소 과정에서 일정 공간에 확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진공청소기는 단순히 공기 흡입을 통한 먼지 등의 제거 기능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청소 작업 예컨대, 공기 순환 등을 위한 작업은 별도로 수행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simply collects dust according to the air suction function, and thus helps to easily discard the dust. However, since the vacuum cleaner is constantly cleaned with the dust accumulated in the vacuum cleaner, the bacteria and the like living in the vacuum cleaner are diffused in a certain space during the cleaning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supports only the function of removing dust and the like through air suc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dditional cleaning work, for example, work for air circulation, must be performed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제안된 것으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동안에 공기 정화까지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 및 이에 포함되는 공기 정화통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and an air purifier including the vacuum cleaner that can simultaneously achieve air purification while cleaning using a vacuum clean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 정화통은 진공청소기의 동작 운용에 따라 일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를 가지는 제1 케이스, 상기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공기 정화 물질을 휘산시키는 정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ase having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air discharged to one side and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according to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nd a purifying filter disposed between the air outlet and the air outlet to volatilize the air purifying material using the introduced air.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정화 필터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레일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case includes a rail groove for fixing the edge of the purifying filter.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정화 필터가 삽입 또는 이출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case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part for inserting or extracting the purifying filter.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진공청소기 일측에 상기 공기 정화통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case includes at least one fastening part for fixing the air purifier to one side of the vacuum cleaner.

상기 정화 필터는 상기 제1 케이스 내에 삽입 또는 상기 제1 케이스 내측으로부터 이출을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urifying filter includes a handle for inserting into or out of the first case.

상기 정화 필터는 상기 공기 정화 물질을 흡수하고 표면을 통해 흡수된 공기 정화 물질을 휘산시키는 재질 또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The purifying filter is provided in a material or a form that absorbs the air purifying material and volatilizes the air purifying material absorbed through the surface.

상기 공기 정화 물질은 편백 수액, 아로마향 액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air purifying material is at least one of a cotton wool and an aroma liquid.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개폐를 수행하는 입구 개폐기, 상기 공기 배출구의 개폐를 수행하는 출구 개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ase includes an inlet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and an outlet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outlet.

상기 공기 정화통은 상기 정화 필터가 흡수하는 공기 정화 물질을 담고 있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case containing an air purifying material absorbed by the purifying filter.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공기 정화 물질의 주입 또는 주입된 물질의 배출을 위한 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cond case includes an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the air purification substance or for discharging the injected substance.

본 발명은 또한, 공기 흡입을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배출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공기 정화 물질이 확산된 정화 필터를 통과해 배출시키는 공기 정화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w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ower for air intake, a power unit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for introducing exhaust air and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through a purifying filter in which an air purifying material is diffused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air purifier.

상기 공기 정화통은 상기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입구 개폐기, 상기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purifier includes an inlet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the air, and an outlet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입구 개폐기 및 상기 출구 개폐기 상태에 따라, 개폐기 개방 또는 폐쇄를 요청하는 안내음을 출력하는 표시부, 오디오 출력부, 진동부 및 램프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cuum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an audio output unit, a vibration unit, and a lamp unit for outputting a guide sound for requesting opening or closing of the switch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entrance switch and the exit switch.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동력부를 감싸는 몸체부, 상기 동력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정화통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cuum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body for enclosing the power unit, and an exhaust unit for exhausting the air sucked by the power unit toward the air purifi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진공청소기 및 이에 포함되는 공기정화통에 따르면,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동안 발생하는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공기 정화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and the air purifi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ge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by using the air flow generated during the cleaning using the vacuum cleaner.

즉 진공청소기의 공기배출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습식 필터 형태의 정화 필터로 정화하고, 특히 정화 필터의 공기 정화 물질로 편백 수액(피톤치드)을 사용함으로써, 진공청소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정화, 미세 먼지 제거, 살균, 탈취를 포함하여, 진공청소기 주위에 피톤치드 향이 퍼지면서 주위 공기도 함께 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That is, the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in the air outlet of the vacuum cleaner are purified by the wet filter type purifying filter, and in particular, by using the flaked liquid (phytoncide) as the air purifying material of the purifying filter, The phytoncide fragrance spreads around the vacuum cleaner, including removal,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while also purifying the surrounding ai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 중 정화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외관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 중 정화 필터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 중 필터 케이스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earanc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 purifying filter in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an outer appearanc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purifying filter in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filter cas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not limited to the meaning of the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earanc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100)는 호스(110), 몸체부(120), 이동부(140), 동력부(130), 배기부(150) 및 공기 정화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도시된 진공청소기(100)는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진공청소기(100)는 외부에서 공급된 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부(130)를 구동하여 공기 흡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진공청소기(100)는 호스(110)의 전면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몸체부(120)의 내측에 배치된 필터 등에 전달함으로써, 먼지 등이 몸체부(120) 내측에 축적되도록 할 수 있다. 1, a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se 110, a body 120, a moving unit 140, a power unit 130, an exhaust unit 150, and an air purifier 160 . The vacuum cleaner 100 shown before the description corresponds to on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vacuum cleaner 100 can perform the air suction operation by driving the power unit 130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from the battery. For example, the vacuum cleaner 100 sucks air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hose 110 and transfers the sucked air to a filter or the like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20, so that dust or the like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20 It can be accumulated.

이 동작에서 진공청소기(100)는 흡입되는 공기를 배기부(150)를 통해 배기한다. 여기서 배기부(150)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는 다시 공기 정화통(160)에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정화통(160)은 배기부(15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일정 물질을 분사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100)는 먼지 등의 흡입을 위해 발생시킨 공기 흐름을 1차적으로 먼지 흡입에 이용하고 2차적으로 공기 정화 물질을 분사(또는 확산, 또는 휘산)시키도록 처리할 수 있다. In this operation, the vacuum cleaner 100 exhausts air to be sucked through the exhaust unit 150. Here, the air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unit 150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purifier 160 again. The air purifying cylinder 160 has a structure for injecting a certain substance us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exhaust part 150. Accordingly, in the vacuum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 generated for suction of dust or the like is primarily used for dust suction, and the air is purposely sprayed (or diffused or vaporized) .

호스(110)는 진공청소기(100)의 전단에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가지고 중앙이 빈 형상으로 마련된다. 예컨대, 호스(110)는 주름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관 형상의 바디와, 바디의 끝단에 배치되어 방바닥이나 거실 바닥과 밀착될 수 있는 전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단부의 형상은 진공청소기의 청소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채용하거나 또는 다양한 구조의 기구물이 소켓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호스(110)는 몸체부(120)에 연결되며, 몸체부(120)에 배치된 동력부(130)의 동작에 의하여 공기 흡입 동작이 발생하면, 흡입된 외부 공기를 몸체부(120) 내측으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호스(110)가 주름진 관 형상을 채용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름이 없이 곧게 뻗어 있는 형상의 관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100)는 호스(110)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황에 따라 몸체부(120)의 일부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 제공되는 경우 호스(110)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hose 11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vacuum cleaner 100 in a hollow sha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For example, the hose 110 may include a tubular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with corrugations, and a front end disposed at an end of the body and capabl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or the living room floor. The shape of the front end portion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leaning the vacuum cleaner, o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able and detachable with various structures. The hose 110 is connected to the body 120. When the air suc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unit 130 disposed on the body 120, As shown in FIG.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hose 110 has a corrugated pipe shape, but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a pipe having a straight shape without wrinkl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hose 110. For example, the hose 110 may be omitted if a part of the body part 120 is deformed in a form capable of sucking dust according to circumstances.

몸체부(120)는 전단에 호스(110)가 연결되고 내부에 동력부(130)가 배치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20) 일측에는 배기부(150) 및 공기 정화통(16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20)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예시에 따르면, 몸체부(120)는 둥근 통형으로 마련되며, 통형의 바닥부에 이동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20) 내측에는 동력부(130) 동작에 따른 공기 유통도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몸체부(120)는 호스(110)가 연결되는 전단부와 동력부(130)까지 이러지는 공기 흐름 통로, 흡입된 공기 및 먼지를 몸체부(120) 내측에 배치된 필터에 전달하는 공기 흐름 통로, 필터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배기부(150) 방향으로 전달하는 공기 흐름 통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에 따른 몸체부(120)는 필터의 교체 등을 위하여 필터 교체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The hose 11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part 120, the power unit 130 is disposed inside the hose 110, and the moving unit 140 can be disposed to be movable. The exhaust unit 150 and the air purifier 16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120. The body portion 1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body part 120 is provided in a round cylindrical shape, and the moving part 140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shape. An air flow r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unit 1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120.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120 may include an air flow path leading to the front end portion to which the hose 110 is connected and the power portion 130, an air passage for introducing sucked air and dust into the filter disposed inside the body portion 120, A flow passage, and an air flow passage that convey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toward the exhaust portion 150. The body portion 120 according to various examples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replacement passage for replacement of the filter or the like.

이동부(140)는 몸체부(120) 일측에 배치되어 진공청소기(100)의 이동을 지원한다. 이러한 이동부(140)는 예컨대 몸체부(120)의 양측에 배치되어 몸체부(120)를 지지하면서 이동되는 동안 회전하여 몸체부(120)의 이동을 매끄럽게 지원하는 제1 바퀴(143) 및 제2 바퀴(1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40)는 몸체부(120)의 전단부 하단에 배치되어 몸체부(120)가 전단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지지하면서 몸체부(120)의 전단 방향 또는 후단 방향 또는 일정 각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제3 바퀴(14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부(140)는 예컨대, 제1 바퀴(143) 및 제2 바퀴(142) 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이동부(140)는 추가적인 제4 바퀴 등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진공청소기(100)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이동부(140)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moving part 1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120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vacuum cleaner 100. The moving part 14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120 and rotates while supporting the body part 120 so as to smoothl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120, Two wheels 142 may be included. The moving part 14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part 120 so as to support the body part 120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supporting the body part 120 in the forward or rearward direction, And a third wheel 141 that is operable to enable the first wheel 141 to rotate. 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the moving unit 14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only the first wheel 143 and the second wheel 142, for example. Or the moving part 14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dditional fourth wheel or the like. Or the vacuum cleaner 100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does not include the moving part 140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동력부(130)는 몸체부(120) 일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또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공기 흡입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부(130)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모터와,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 동작함으로써 공기 흐름을 변화시키는 프로펠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130)의 프로펠러가 배치된 전면에는 판막이 배치되어 동력부(130)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이 일방향으로만 발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진공청소기(100)가 흡입하는 공기는 동력부(130)에 전달되지 않고 필터에 전달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기구물이 몸체부(120)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부(130)는 진공청소기(100)의 공기 흡입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부(130)의 형상이나 기능 및 위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동력부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진공청소기(100)의 일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power unit 130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body 120 to support an air suction operation using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a power source stored in the battery. The power section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motor and a propeller that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rotates to change the air flow. A valve plate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wer unit 130 where the propeller is disposed to support air flow generated by the power unit 130 in only one direction. For example, various structures and devices for allowing the air sucked by the vacuum cleaner 100 to be transmitted to the filter without being transmitted to the power unit 1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120. The power unit 130 may have various sizes and outputs depending on the air suction capacity of the vacuum cleaner 100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shape, function, and position of the power unit 130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types of power units can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vacuum cleaner 100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배기부(150)는 몸체부(120) 일측에 배치되어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공기 정화통(160)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기부(150)는 예컨대, 공기 정화통(160)이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배기부(150)는 공기 정화통(160)이 배치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후크 또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배기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고 몸체부(120)에 배치된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추가적으로 거르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부(150)는 몸체부(120)의 일부 구성(또는 일체화된 구성)으로 마련되어,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기부(150)는 공기 정화통(160)이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일부 결합 구조물 또는 체결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The exhaust part 15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body part 120 to discharg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toward the air purifier 160. The exhaust unit 150 may be disposed, for example, with at least one fastening structure to which the air purifier 160 can be fixed. For example, the exhaust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hook or an engagement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air purifier 160 is disposed. In addition, the exhaust portion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filter and may further serve to filter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disposed in the body portion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xhaust part 150 is provided in a part (or an integrated configuration) of the body part 120 and may serve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to the outside. The exhaust part 15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structure or a coupling structure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air purifier 160.

공기 정화통(160)은 진공청소기(100)가 흡입한 공기를 토출하는 배기부(150)(또는 몸체부(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에 공기 정화 물질(40)을 휘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공기 정화통(160)은 청소를 위해 생성된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진공청소기(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대한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160 is disposed in an exhaust part 150 (or one side of the body part 120)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by the vacuum cleaner 100 and can discharge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to the discharged air Lt; / RTI > Accordingly, the air purifier 160 can perform the purifying function fo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vacuum cleaner 100 by using the air flow generated for clean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160)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16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160) 중 정화 필터(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The air purifier 1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n air purifier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 purifying filter 200 in an air purifying cylinder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160)은 정화 필터(200)의 일부가 배치되는 제1 케이스(60), 정화 필터(200)의 나머지 일부가 배치되는 제2 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케이스(60) 및 제2 케이스(50)는 서로 연속되도록 배치되며, 하나의 정화 필터(200) 중 각 부분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60)와 제2 케이스(50)를 연결하는 관통부(55)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air purifier 1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se 60 in which a part of the purifier filter 200 is disposed, a second case 60 in which a part of the purifier filter 200 is disposed And may include a second case 50. Here, the first case 60 and the second case 50 are disposed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ase 60 and the second case 50 are arranged so that the respective parts of the one purifying filter 200 can be disposed And may include a penetrating portion 55 for connecting.

예컨대, 제1 케이스(60)는 직육면체 형상의 중앙이 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케이스(60)는 예컨대, 진공청소기(100)의 배기부(150) 후면 형상 중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부(150) 후면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1 케이스(60)는 배기부(150)와 대면되는 면이 원형으로 마련되며 내부가 비어 정화 필터(2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케이스(60)는 예컨대 일측에 정화 필터(200)가 삽입 또는 이출될 수 있는 필터 교체 통로(61a)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ase 6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low center with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first case 60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rear surface shape of the exhaust part 150 of the vacuum cleaner 100, for example. Accordingly,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exhaust part 150 is circular, the surface of the first case 60 facing the exhaust part 15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part of the inside of the first purifying filter 200 is disposed Or the like. The first case 60 may include a filter replacement passage 61a through which the purge filter 200 can be inserted or extracted, for example, on one side.

필터 교체 통로(61a)는 정화 필터(200)의 적어도 일측(예: 정화 필터(200)의 단측부 또는 장측부)의 길이와 폭을 감당할 수 있는 형태의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필터 교체 통로(61a)에는 필터 교체 통로(61a)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기(61b)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기(61b)는 정화 필터(200)가 삽입된 후, 필터 교체 통로(61a)를 차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정화 필터(2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개폐기(61b)는 개방되어 필터 교체 통로(61a)를 통해 정화 필터(200)를 이출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The filter replacement passage 61a may be provided in a size such that it can cover the length and the width of at least one side of the purifying filter 200 (for example, the short side portion or the long side portion of the purifying filter 200). The filter replacement passage 61a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61b that can open and close the filter replacement passage 61a. The switch 61b may be arranged to block the filter replacement passage 61a after the purge filter 200 is inserted. When the purifying filter 200 needs to be replaced, the opening / closing device 61b is opened to support the purifying filter 200 through the filter replacing passage 61a.

제1 케이스(60) 일측에는 배기부(150)에 마련된 체결 구조물 또는 결합 구조물과 결합 또는 체결하는 체결부들(65a, 65b, 65c, 65d)이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들(65a, 65b, 65c, 65d)은 배기부(150)에 마련되는 체결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체결부들(65a, 65b, 65c, 65d)은 배기부(150)에 고리 형상의 돌기들이 마련된 것을 가정하여, 해당 돌기들에 걸림 방식으로 체결되는 걸림부들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상술한 체결부들(65a, 65b, 65c, 65d)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들(65a, 65b, 65c, 65d)은 배기부(150)의 체결 구조물 형상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체결부들(65a, 65b, 65c, 65d)은 적어도 하나가 제1 케이스(60)에 배치되는 형태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체결부들(65a, 65b, 65c, 65d)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케이스(50)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One side of the first case 60 may be provided with coupling parts or coupling parts 65a, 65b, 65c, 65d for coupling 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structure provided on the exhaust part 150. [ The fastening portions 65a, 65b, 65c, and 65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structure provided on the exhaust part 150. [ The fastening portions 65a, 65b, 65c, and 65d shown in the drawing illustrate fastening portions that are fastened to the projections in a latching manner on the assumption that annular projections are provided on the exhaust portion 15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portions 65a, 65b, 65c and 65d described above and the fastening portions 65a, 65b, 65c and 65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exhaust portion 150 It is possible to change it to the form. Also, at least one of the fastening portions 65a, 65b, 65c, and 65d is disposed in the first case 6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astening portions 65a, 65b, 65c, and 65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ase 50. [

제1 케이스(60) 일측에는 공기 유입구(63)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3)는 공기 정화통(160)이 배기부(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기부(150)의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에 대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3)는 정화 필터(200)의 일부(예: 정화 필터(200)의 상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부(150)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정화 필터(200)를 통해 공기 정화통(16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케이스(60)의 공기 유입구(63)가 배치된 영역의 반대 방향에는 정화 필터(200)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64)가 마련될 수 있다. An air inlet 63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case 60. The air inlet 63 may be provided so as to face the region where the air of the exhaust unit 150 is discharged in a state where the air purifier 160 is coupled to the exhaust unit 150. The air inlet 63 may be provid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a portion of the purge filter 200 (e.g., the upper end of the purge filter 200).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art 15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60 through the purge filter 200. In this regard, an air outlet 64 through which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purifying filter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region where the air inlet 63 of the first case 60 is disposed.

공기 배출구(64)는 예컨대, 공기 유입구(63)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또는 지정된 일정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예시로서, 정화 필터(200)가 공기 정화 물질을 포함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정화 필터(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나 양이 줄어드는 것을 감안하여 공기 배출구(64)가 공기 유입구(63)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outlet 64 may be, for example, similar to the size of the air inlet 63 or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ize. The air outlet port 64 may be formed in the air inlet 63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speed or amoun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urifier filter 200 is reduced as the purifier filter 200 is disposed with the air purifying material. Can be formed larger than the size.

다양한 예시로서, 공기 정화통(160)은 공기 배출구(64)의 개폐를 지원하는 출구 개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필터(200)는 공기 정화 물질이 휘산되도록 공기 정화 물질을 흡수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배출구(64)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별도의 공기 정화 기능 실행이 요구되지 않아도 공기 정화 물질이 자연 휘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공기 배출구(64)에 출구 개폐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구(64)의 출구 개폐기에 동기화되어 동작하는 입구 개폐기가 공기 유입구(63)에 배치될 수 있다. In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the air purifier 160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switch that supports opening and closing of the air outlet 64. The purifying filt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 state of absorbing the air purifying material so that the air purifying material is volatilized. Accordingly, when the air outlet 64 is maintained in the open state, the air purifying material can be naturally volatilized even if the separate air purifying function is not required. The air outlet 64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switch. In addition, an inlet switch operating in synchronism with the outlet switch of the air outlet 64 may be disposed in the air inlet 63. [

다양한 예시로서, 출구 개폐기 및 입구 개폐기가 공기 정화통(160)에 배치되는 경우, 진공청소기(100)는 출구 개폐기 및 입구 개폐기의 개방 상태에 따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출구 개폐기와 입구 개폐기가 폐구된 상태이면 진공청소기(100)는 전원을 턴-온시키는 명령을 수행하지 않고 개폐기를 개방 상태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알람(예: 안내음이나 안내 정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공청소기(100)는 청소기 동작이 완료되면 출구 개폐기 및 입구 개폐기를 폐구 상태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알람을 표시 정보, 오디오 정보, 진동 정보, 램프 점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진공청소기(100) 중 몸체부(120)는 정보 출력을 위한 표시부, 오디오 출력부, 진동부, 램프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when the outlet switch and the inlet switch are disposed in the air purifier 160, the vacuum cleaner 10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n state of the outlet switch and the opening switch. For example, when the outlet switch and the inlet switch are closed, the vacuum cleaner 100 outputs an alarm (e.g., a guide sound or guidance information) requesting to change the switch to the open state without executing a command to turn on the power supply can do. 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100 may output an alarm requesting switching of the outlet switch and the inlet switch to the closing state when the vacuum cleaner operation is completed, through at least one of display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vibration information, and lamp blinking information. In this regard, the body part 120 of the vacuum cleaner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n audio output unit, a vibration unit, and a lamp unit.

제1 케이스(60) 내측에는 정화 필터(200)의 일부가 배치되데, 공기 유입구(6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정화 필터(200)를 거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케이스(60)에 배치된 정화 필터(200)는 주변부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화 필터(200)의 일부 단면은 제1 케이스(60)의 단면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60)는 정화 필터(200)의 삽입 및 이출을 용이하게 지원하면서 정화 필터(200) 삽입 후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측면에 종방향으로 레일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화 필터(200)가 삽입되면 제1 케이스(60)의 레일 홈을 따라 삽입되어 제2 케이스(50)까지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되면서 레일 홈을 형성하는 홈 측벽들이 정화 필터(200)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됨에 따라 공기 정화통(160)은 공기 유입구(6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정화 필터(200)를 거쳐 공기 배출구(64)를 통해 배기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A part of the purifying filter 20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case 60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63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purifying filter 200. In this regard, the purifying filter 200 disposed in the first case 60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create a gap in the peripheral portion. Accordingly, a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urifying filter 200 may have a size similar to or the sam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case 60. In addition, the first case 60 may be provided with a rail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ide surface so as to facilitate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purifying filter 200, and to prevent a gap from being generated after the purifying filter 200 is inserted. Accordingly, when the purifying filter 200 is inserted, it can be inserted along the rail groove of the first case 60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case 50. The groove sidewalls forming the rail groove are inserted so as to surround the edge portion of the purifying filter 200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purifying cylinder 160 through the air inlet 63 flows through the purge filter 200, (64). ≪ / RTI >

제2 케이스(50)는 예컨대, 제1 케이스(60)의 일면과 연속되는 한 면을 가지며 제1 케이스(6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하나의 통형 내부 일정 지점을 분할함에 따라 제1 케이스(60)와 제2 케이스(50)가 마련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케이스(60)의 하부 영역에 정화 필터(200)가 관통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며, 제2 케이스(50)의 상부 영역에 정화 필터(200)가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는 형태가 공기 정화통(160)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케이스(60)의 하부 영역과 제2 케이스(50)의 상부 영역에는 각각 케이스를 결합하는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케이스(60)와 제2 케이스(50)가 결합된 전체 형상은 배기부(150)(또는 몸체부(120) 중 공기 배출되는 영역)의 일면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case 5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ase 60, for example, having one surface continuous with one surface of the first case 60. In the drawing, the first case 60 and the second case 50 are provided by dividing one cylindrical inner certain poi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urifying filter 200 can pass is provided in a lower region of the first case 60,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urifying filter 200 can be inserted is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case 50 The air purifying cylinder 160 can be formed in a shap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 structure for coupling the case to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case 60 and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case 50 may be provided. The overall shape in which the first case 60 and the second case 50 are combine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exhaust part 150 (or the area where the air in the body part 120 is exhausted).

제2 케이스(50)는 예컨대, 상측의 일부가 개방되어 정화 필터(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50) 내부에는 공기 정화 물질(40)을 충진하여 담을 수 있는 일정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50) 일측에는 내부에 충진된 공기 정화 물질(40)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비어있는 내부에 공기 정화 물질(40)을 주입시키기 위한 주입구(53)가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주입구(53)는 제2 케이스(50)의 측부 중 제1 케이스(60)와 연결되는 상단 영역에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로서, 주입구(53)는 공기 정화 물질(40)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제2 케이스(50)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주입구(53)는 공기 정화 물질(40)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제2 케이스(50)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The second case 50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ening so that a part of the upper side is opened and the purifying filter 200 can be inserted. In addition, the second case 50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can be filled. One side of the second case 50 may be provided with an injection port 53 for discharging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filled therein or for injecting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into the empty space. In the drawing, the injection port 53 is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case 60 among the side portions of the second case 5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injection port 53 may be provided under the second case 50 so as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 Or the injection port 53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ase 50 so that the injection of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is facilitated.

정화 필터(200)는 예컨대, 제1 케이스(60)에 일부(210)가 배치되고 제2 케이스(50)에 나머지 일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질적으로 공기 정화를 위해 공기 정화 물질(40)을 휘산시키는 역할은 제1 케이스(60)에 배치되는 부분(21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화 필터(200) 중 제1 케이스(60)에 배치되는 영역(210)이 제2 케이스(50)에 배치되는 영역(220)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정화 필터(200)는 제2 케이스(50)에 충진된 액체 상태의 공기 정화 물질(40)을 흡수하여, 구조물의 상단부까지 전이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며, 유입된 공기가 구조물을 관통하여 공기 배출구(6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일정 밀도와 흡입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정화 필터(200)는 적어도 일부가 직물 형태로 마련되어 공기 정화 물질(40)을 흡수함과 아울러 공기 순환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정화 필터(200)는 공기 정화통(160) 내에 삽입 및 이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rge filter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210 is disposed in the first case 60 and a remaining portion 220 is disposed in the second case 50,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portion for volatilizing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for substantially air purifying may be the portion 210 disposed in the first case 60. The area 210 disposed in the first case 60 of the purifying filter 200 may be larger than the area 220 disposed in the second case 50. [ The purifying filter 200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absorbs the liquid purifying material 40 filled in the second case 50 and can be transferred to the upper end of the structure, And may have a certain density and suction force so a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64. For example, the purifying filter 200 may be provided at least partially in the form of a fabric to absorb air purifying material 40 and to assist air circulation. In addition, the purge filter 200 may include a handle 201 for facilitating insertion and extraction into the air purifier 160.

공기 정화 물질(40)은 제2 케이스(50) 일측에 배치되어, 삽입된 정화 필터(200)의 일부 영역(220)을 통해 정화 필터(200) 전체에 확산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정화 물질(40)은 예컨대, 액체 상태일 수 있다. 한 예시로서, 공기 정화 물질(40)은 편백 수액일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공기 정화 물질(40)은 아로마향 액체일 수 있다. 공기 정화 물질(40)은 주입구(53)를 통해 제2 케이스(50) 내에 추가로 주입되거나 또는 주입된 일부가 외부로 배치될 수 있다.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ase 50 and may be a material that can be diffused throughout the purifying filter 200 through a partial region 220 of the inserted purifying filter 200.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may be in a liquid state, for example. As one example,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may be a plain white liquid. As another example,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may be an aroma-flavourant liquid. The air purifying material 40 may be further injected into the second case 50 through the injection port 53 or a part of the injected air may be disposed outsid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외관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an outer appearanc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300)은 배기부(350), 공기 정화통(460)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도 4에 도시된 진공청소기(300)은 전체 형상 중 배기부(350)이 배치된 일부 형상만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300)의 전체 형상은 출력 용량이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거나 설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vacuum cleaner 3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n exhaust unit 350 and an air purifier 460. Prior to the explanation, the vacuum cleaner 300 shown in FIG. 4 shows only a part of the overall shape in which the exhaust part 350 is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overall shape of the vacuum cleaner 300 can be modified or design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output capacity, the purpose of use, and the like.

배기부(350)은 진공청소기(300)은 몸체부와 일체화된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몸체부와 분리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배기부(350)은 몸체부에 일체화된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배기부(35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에 배치된 동력부 동작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영역이다. 이와 관련하여, 배기부(3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배기부(35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미세 먼지 저감을 위하여 배기부(350) 일측에는 건식 필터가 추가로 더 배치될 수도 있다.The vacuum cleaner 30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or may be detachable from the body part. In the drawing, the exhaust part 350 is shown integrated with the body part. The exhaust unit 350 is an area in which the air sucked by the power unit operation disposed in the body is exhaust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regard, the vent portion 350 may be at least partially open so that air can be vented as shown. At this time, a dry filter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t one side of the exhaust part 350 to reduce fine dust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art 35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350)은 공기 정화통(46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배기부(35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는 일정 크기의 홀들이 망 형상을 구성하여 배치되고, 이때 개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공기 정화통(460)과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정화통(460)과 체결되는 개방부는 체결력 개선 및 체결 후 견고한 부착성 유지를 위하여 형태가 일부 변형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정화통(460)과 배기부(350)의 체결을 위해 마련되는 체결부(410)의 형상에 따라 개방부들 적어도 일부가 변형될 수 있다. 도는 개방부들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체결부(410)의 형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The exhaust unit 3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air purifier 460. Or at least one opening provided in the exhaust part 350 may be arranged in a net shape with hole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t least one of the openings may be fastened to the air purifying cylinder 460. Here, the opening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air purifying cylinder 460 may be partially de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and maintain a firm adhesion after the fasten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s may be deform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astening part 410 provided for fastening the air purifying cylinder 460 and the exhaust part 350. The shape of the fastening portion 410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pening portions.

공기 정화통(460)은 진공청소기(300)의 배기부(350)과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배기부(35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 필터(400)을 거쳐 토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기 정화통(460)은 정화 물질 통(440), 조절바(421), 정화 필터(400), 필터 케이스(420) 및 체결부(4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ying cylinder 46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xhaust part 350 of the vacuum cleaner 300 and has a structure for allow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art 350 to flow through the purifying filter 400 have. In this regard, the air purifier 460 may include a purge container 440, a control bar 421, a purge filter 400, a filter case 420, and a fastener 410.

정화 물질 통(440)은 정화 필터(400)에 정화 물질을 지정된 양만큼씩 제공할 수 있다. 정화 물질 통(440)의 크기 및 형상을 진공청소기(300)의 크기나 디자인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또한 정화 물질 통(440)은 내부에 충진되는 공기 정화 물질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 전략에 따라 정화 물질 통(440)의 크기는 지정된 크기들(예: 충진되는 공기 정화 물질의 양의 크기에 따라 대, 중, 소)로 구분되어 마련되고 판매될 수 있다. 정화 물질 통(440)에는 예컨대 편백 수액 또는 아로마액 등이 충진될 수 있다. 정화 물질 통(440)의 일측 예컨대, 정화 필터(400)에 대면되는 면에는 정화 물질이 지정된 양만큼씩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정화 물질 통(440)은 필터 케이스(420) 내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교체될 수 있다. The purifying material reservoir 440 may provide the purifying material 400 with a specified amount of purifying material. The size and shape of the purge container 44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design of the vacuum cleaner 300. Further, 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440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air purifying material to be filled there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purge container 440 may be set and sold to be divided into designated sizes (e.g., large, medium, and small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amount of air purifying material being filled) have. 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440 may be filled with, for example, a cotton-like liquid or an aromatic liquid. 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urifying material tank 440, for example, on the surface facing the purifying filter 400 so that the purifying material is discharged by a specified amount. 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440 can be replaced in a sliding manner inside the filter case 420.

조절바(421)은 정화 물질 통(440)의 배출구에 마련되어 정화 물질 통(440)에 충진된 정화 물질의 배출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바(421)은 예컨대 밸브 형상이거나 또는 다양한 크기의 홀을 포함하고 위치 변경에 따라 배출되는 정화 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절바(421)은 예컨대, 정화 물질 통(440)의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바디부와, 또한 외부에서 사용자가 위치 변경 또는 회전 변경될 수 있도록 조절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 스틱을 운동시키는 경우 바디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배출구의 배치 상태를 변경하여 정화 물질의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The control bar 421 may be provided at an outlet of the purge material reservoir 440 to regulate the amount of the purge material filled in the purge material reservoir 440. The control bar 421 may be,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valve or may include holes of various sizes and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amount of the purifying material discharg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The control bar 421 may include, for example, a body portion that is positioned to ope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let of the purge material reservoir 440, and an adjustable stick so that the user can be repositioned or rotated from the outside . Accordingly, when the user moves the control stick, the position of the body part is changed, and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urifying material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discharge port.

정화 필터(400)은 정화 물질 통(440)부터 배출되는 정화 물질을 흡수하는 필터이다. 이러한 정화 필터(400)은 예컨대 습식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화 필터(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직물 등을 포함하여 정화 물질을 흡수하고 표면을 통해 휘산시킬 수 있는 일정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정화 필터(400)은 세척 가능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purifying filter 400 is a filter that absorbs the purifying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440. The purifying filter 400 may be, for example, a wet filter. For example, the purifying filter 400 may be made of a predetermined material, at least a part of which includes fabric or the like, to absorb and purge the purifying material through the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 purifying filter 400 may be provided to be washable or replaceable.

필터 케이스(420)은 정화 필터(400)을 감싸는 케이스일 수 있다. 필터 케이스(420)의 전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이 형성되거나 또는 그물망 형태로 마련되어 배기부(350)을 통해 토출된 공기가 유입된 후 정화 필터(4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420)은 예컨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나무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420) 일측에는 체결부(4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체결부(410)은 배기부(350)에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되거나 또는 독립적인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필터 케이스(420)은 체결부(410)이 결합할 수 있는 체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case 420 may be a case that surrounds the purifying filter 400. At least one perforation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lter case 420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to support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unit 35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purifying filter 400. The filter case 4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metal material, a plastic material, or a wood material. The coupling part 4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lter case 420. The filter case 420 may include a fastening groove to which the fastening part 410 can be coupled when the fastening part 410 is provided in the exhaust part 350 or is provided in an independent form. have.

체결부(410)은 필터 케이스(420) 일측에 배치되어 배기부(350)과 공기 정화통(460)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체결부(410)은 예컨대, 필터 케이스(420) 일측(예: 배기부(350)과 결합하는 면)에서 적어도 하나가 돌출된 돌기 형태로 마련되어, 배기부(350)을 관통한 후 배기부(350)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410)은 볼트 형상으로 마련되어 배기부(350)의 일측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410)과 체결되는 배기부(350)의 개방부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410)은 후크 형태로 마련되어, 배기부(350)의 개방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케이스(420) 및 배기부(350)에 각각 체결 홀이 형성되고, 체결부(410)은 필터 케이스(420) 및 배기부(350)을 관통하여 필터 케이스(420)을 배기부(350)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The coupling part 41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lter case 420 to couple the exhaust part 350 and the air purifying container 460. The coupling part 4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at least one of which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filter case 420 (for example, a surface that engages with the exhaust part 350), passes through the exhaust part 350, (Not show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astening portion 410 may be bolted and fastened to at least one opening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xhaust portion 350. At this time,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inside the opening part of the exhaust part 350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4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astening portion 41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ok, and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an open portion of the exhaust portion 35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lter case 420 and the exhaust part 350, respectively, and the fastening part 410 penetrates the filter case 420 and the exhaust part 350, And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exhaust part 35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schematic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460)은 정화 물질 통(440), 조절바(421), 정화 필터(400), 필터 케이스(420), 체결홈(423), 연결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ir purifier 46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purifier 440, a control bar 421, a purifier 400, a filter case 420, a coupling groove 423, 422).

정화 물질 통(440)은 필터 케이스(420)의 상측(또는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화 물질 통(440)은 편백 수액 등 정화 물질이 충진될 수 있다. 정화 물질 통(440)은 정화 물질이 충진된 형태로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화 물질 통(440)은 필터 케이스(420)과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정화 물질 통(440)은 일측에 주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화 물질이 주입구를 통해 정화 물질 통(44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화 물질 통(440)은 투명 재질로 마련되어 내부에 정화 물질이 얼마나 잔류되어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44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case 420. The purifying material reservoir 440 may be filled with a purifying material such as a cotton wool. The purge material reservoir 440 may be replaceable in the form of a filled purge material. For this, 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440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filter case 420. Or 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440 may have an injection port on one side thereof. Thereby, the purifying material can be injected into 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440 through the inl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urifying material reservoir 44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it can be easily seen how much purifying material remains therein.

조절바(421)은 정화 물질 통(440)부터 배출되는 정화 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절바(421)은 밸브 등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ntrol bar 421 can control the amount of the purifying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440. In this regar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bar 421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valve or the like.

정화 필터(400)은 정화 물질을 흡수 보관하고, 공기 흐름에 따라 흡수된 정화 물질을 휘산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화 필터(400)은 정화 물질을 흡수 보관하고 표면을 통해 정화 물질을 휘산할 수 있는 스폰지나 망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정화 필터(400)은 적어도 일부가 정화 물질 통(440)의 배출구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purifying filter 400 absorbs and stores the purifying material and can volatize the absorbed purify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air flow. In this regard, as mentioned above, the purifying filter 40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ponge or a net which absorbs and holds the purifying material and can volatilize the purifying material through the surface. The purifying filter 400 may be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purifying filter 400 is in contact with the outlet of the purifying material reservoir 440.

필터 케이스(420)은 상측에 정화 물질 통(440)이 배치되고, 내측에 정화 필터(400)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케이스(420)은 정화 물질 통(440)과 결합되는 영역과 정화 필터(400)이 삽입 배치되는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case 4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urifying material reservoir 44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 purifying filter 40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The filter case 420 may include an area to be combined with 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440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purifying filter 400 is inserted and disposed.

체결홈(423)은 필터 케이스(420) 일측에 마련되어 상술한 체결부(410)의 일단이 체결되는 홈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423)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체결부(410)의 끝단 단면과 유사한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예시로서, 체결부(410)이 필터 케이스(42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경우 체결홈(423)의 구성을 생략될 수 있다. The coupling groove 423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lter case 420 and may be a groove to which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410 is coupled. At least a portion of such a fastening groove 423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for example, similar to the end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410. As a variety of examples, if the fastening part 410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filter case 420, the construction of the fastening groove 423 may be omitted.

연결부(422)는 필터 케이스(42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422)는 다른 공기 정화통의 연결부와 체결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연결부(422)는 복수개의 공기 정화통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연결되어 일정 크기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연결부(422)는 예컨대 고리 형태로 마련되거나 퍼즐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정화통(460)이 일정 블록단위로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는 다수 개의 공기 정화통(460) 블록들을 수집하고 자신의 진공청소기(300) 배기부(350)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다.At least one connection portion 422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lter case 420. The connection portion 422 can be fasten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another air purifier. On the basis of this, the connection unit 422 supports a plurality of air purifying cylinders to be connected to a certain size or more and to b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Such a connection portion 422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or in a puzzle groove shape, for example. When the air purifier 460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block unit, the user may collect a plurality of air purifier blocks 460 and assemble variously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exhaust unit 350 of the vacuum cleaner 300 itself.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 중 정화 필터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통 중 케이스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purifying filter in an air purifying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air purifying cylin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정화 필터(600)은 필터부(601), 정화 필터 덮개(623), 레일 돌기(621) 및 정화 필터 홀더(6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정화 필터(600)은 필터 케이스(560)에 삽입 및 이출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6 and 7, the purifying filter 6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a filter portion 601, a purifying filter cover 623, a rail projection 621, and a purifying filter holder 622 . The purifying filter 6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filter case 560.

필터부(601)은 정화 물질을 흡수하여 습식 방식에 따라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601)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형상으로 마련되고 직물이나 종이 등 정화 물질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601)의 크기 및 형상을 공기 정화통이 배치되는 진공청소기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부(601)은 정화 물질에 침전되어 충분한 정화 물질을 머금은 상태의 필터부(601)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정화 물질이 흡수된 필터부(601)은 파우치 등에 봉지되어 판매될 수 있다. 필터부(601)의 크기는 이용하는 필터 케이스(56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filter unit 601 absorbs the purifying material and can purify the air according to the wet method. For example, the filter unit 601 may be provided in a corrugated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a purifying material such as cloth or paper. The size and shape of the filter unit 601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acuum cleaner in which the air purifier is disposed. The filter portion 60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the filter portion 601 in a state where the filter portion 601 is deposited on the purifying material and has a sufficient purifying material. Or the filter portion 601 in which the purifying material is absorbed may be sealed in a pouch or the like. The size of the filter unit 601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lter case 560 used.

정화 필터 덮개(623)은 필터부(601)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필터부(601)의 상단을 보호하고, 필터부(60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정화 필터 덮개(623)은 필터부(601)이 필터 케이스(560)에 삽입 배치되는 동안 필터부(601)을 필터 케이스(560) 내측에 고정시킨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601)에 별도의 정화 물질이 흡수되어 있지 않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화 물질 통이 배치되는 구조에서 정화 필터 덮개(623)은 상측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마련될 수 있다. 해당 홀은 정화 필터 덮개(623) 상측에 놓이는 정화 물질 통에 저장된 정화 물질의 유입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The purifying filter cover 623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601 to protec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601 and to fix the filter unit 601. The purge filter cover 623 fixes the filter portion 601 inside the filter case 560 while the filter portion 601 is inserted into the filter case 56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urifying filter cover 623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hole on the upper sid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is disposed as described above without the separate purifying material being absorbed in the filter portion 601 . The hole may be used as an inflow passage for the purifying material stored in the purifying material container placed above the purifying filter cover 623.

레일 돌기(621)은 정화 필터 덮개(623)의 양 측벽 및 정화 필터 홀더(622)의 양 측벽에 길이 방향(또는 종 방향, 또는 필터부(601)이 필터 케이스(560)에 삽입되는 방향 등)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레일 돌기(621)은 필터 케이스(560)에 마련된 가이드 홈(565)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The rail protrusions 621 are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purge filter cover 623 and both side walls of the purge filter holder 6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lter portion 601 is inserted into the filter case 560 As shown in FIG. The rail protrusion 621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a guide groove 565 provided in the filter case 560.

정화 필터 홀더(622)는 필터부(60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화 필터 홀더(622)는 필터부(60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중앙이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정화 필터 홀더(622)의 양 측벽에는 레일 돌기(621)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purifying filter holder 622 serves to fix the filter unit 601. In this regard, the purifying filter holder 622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filter unit 601 and be exposed at the center. Further, rail protrusions 621 may be arranged on both side walls of the purifying filter holder 6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7을 참조하면, 필터 케이스(560)은 케이스(520), 가이드 홈(565), 체결 홈(561) 및 연결 고리(551)를 포함할 수 있다.7, the filter case 560 may include a case 520, a guide groove 565, a fastening groove 561, and a connection ring 551.

본 발명의 필터 케이스(560)은 정화 필터(600)이 교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정화통은 필터 케이스(560) 및 도 6에서 설명한 정화 필터(600)만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정화 필터(600)은 정화 물질(예: 편백 수액)에 침전된 상태로 파우치에 보관되어 판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우치 타입의 정화 필터(600)을 구매하여, 필터 케이스(560)에 삽입한 후, 지정된 사용 기간 이후 정화 필터(600)을 이출하여 폐기시킬 수 있다. The filter case 5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purifying filter 600 can be replaced. In this case, the air purifier can be provided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only the filter case 560 and the purifier filter 6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purifying filter 600 can be stored in a pouch in a state of being deposited in a purifying material (e.g. Accordingly, the user can purchase the purifying filter 600 of the pouch type, insert the purifying filter 600 into the filter case 560, and then, after the specified period of use, the purifying filter 600 can be removed and discarded.

가이드 홈(565)은 예컨대, 정화 필터(600)의 정화 필터 덮개(623)과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화 필터(600)의 레일 돌기(621)을 가이드 홈(565)의 모양에 따라 삽입하면, 정화 필터 덮개(623)이 가이드 홈(565)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이드 홈(565)는 정화 필터 덮개(623)의 모양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565)는 레일 돌기(621)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레일 돌기(621)이 삽입된 후 내부적으로 정화 필터(6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홈(565)는 레일 돌기(62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의 레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groove 565 can be fastened to the purifying filter cover 623 of the purifying filter 600, for example. For example, when the rail projection 621 of the purifying filter 600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565, the purifying filter cover 623 can be seated in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565. In this regard, the guide groove 565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urifying filter cover 623. The guide groove 565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rail protrusion 621 can be inserted. The guide groove 565 may include a rail groove that encloses at least a part of the rail protrusion 621 so that the purge filter 600 can be fixed internally after the rail protrusion 621 is inserted.

체결 홈(561)은 앞서 도 4에서 언급한 체결부(410)가 삽입 고정되는 홈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체결 홈(561)은 체결부의 끝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체결 홈(561)이 4개가 배치되는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체결 홈(561)의 개수는 필터 케이스(56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개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질 수 있다.The fastening groove 561 may be a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portion 410 mentioned in FIG. 4 is inserted. In this regard, the engaging groove 56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Although four coupling grooves 561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number and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grooves 561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filter case 560.

연결 고리(560)는 케이스(520)의 측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고리(551)는 다른 필터 케이스(560)과 연결되는 고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필터 케이스(560)에는 연결 고리(551)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 고리가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또 다른 필터 케이스(560)의 체결을 위해 연결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ring 56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ides of the case 520. This connection ring 551 may be a ring connected to another filter case 560. Accordingly, the other filter case 56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ring that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ring 551, and may include a fastening ring for fastening another filter case 560.

추가적으로, 필터 케이스(560)은 내측에 배치된 정화 필터(600)의 정화 물질 자연 휘산을 막도록 전 후면을 노출되는 영역들을 폐구할 수 있는 개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 케이스(560)은 배기부(350) 방향에 놓여서 공기 유입 역할을 수행하는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입구 개폐기, 배기부(350)와 반대 방향에 놓여서 공기 배출을 수행하는 공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출구 개폐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case 56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device capable of closing areas expos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urifying filter 600 disposed inside thereof to prevent the purifying material from being spontaneously volatilized. For example, the filter case 560 may include an inlet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n air inlet which is 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exhaust unit 350 to perform an air inflow, an air outlet for opening and closing an air outlet, And an exit switc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정화통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공기 정화 물질을 공기 중으로 휘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도중에 진공청소기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보다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공기 정화통은 진공청소기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습식필터 형태로 걸러낼 수 있으며, 습식필터의 소재를 편백수액으로 하여 청소 중에 피톤치드 향을 휘산시켜 청소를 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제거 및 탁한 공기의 전환, 공기의 살균, 및 탈취 등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same can volatilize the air purifying material into the air us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vacuum clean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cleanly manag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vacuum cleaner during the cleaning using the vacuum cleaner. For example,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ilter out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in a vacuum cleaner in the form of a wet filter, remove the fine dust generated while cleaning the phyton- And the purpose such as conversion of turbid air, sterilization of air, and deodorization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40 : 공기 정화 물질
50 : 제2 케이스
60 : 제1 케이스
100 : 진공청소기
110 : 호스
120 : 몸체부
130 : 동력부
140 : 이동부
150 :배기부
160 : 공기 정화통
200 : 정화 필터
40: air purifying material
50: Second case
60: First case
100: Vacuum cleaner
110: Hose
120:
130:
140:
150:
160: air purifier
200: Purification filter

Claims (14)

진공청소기의 동작 운용에 따라 일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를 가지는 제1 케이스;
상기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공기 정화 물질을 휘산시키는 정화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통.
A first case having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the air discharged to one side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nd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A purifying filter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to volatilize the air purifying material using the introduced air;
And an ai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정화 필터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레일 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ase
A rail groove for fixing an edge of the purifying filter;
And an ai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정화 필터가 삽입 또는 이출되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ase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inserting or removing the purifying filter;
And an ai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진공청소기 일측에 상기 공기 정화통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ase
At least one fastening part for fixing the air purifier to one side of the vacuum cleaner;
And an ai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필터는
상기 제1 케이스 내에 삽입 또는 상기 제1 케이스 내측으로부터 이출을 위한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rifying filter
A handle for inserting into or out of the first case;
And an ai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필터는
상기 공기 정화 물질을 흡수하고 표면을 통해 흡수된 공기 정화 물질을 휘산시키는 재질 또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rifying filter
Wherein the air purifier is provided with a material or a shape that absorbs the air purifying material and volatilizes the air purifying material absorbed through th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물질은
편백 수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attened s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개폐를 수행하는 입구 개폐기;
상기 공기 배출구의 개폐를 수행하는 출구 개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ase
An inlet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An outlet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outlet;
And an ai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필터에 흡수되는 공기 정화 물질을 담고 있는 제2 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case containing an air purifying material absorbed by the purifying filter;
Further comprising an air purifi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공기 정화 물질의 주입 또는 주입된 물질의 배출을 위한 주입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통.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case
An inlet for injecting the air purifying material or discharging the injected material;
And an air purifier.
공기 흡입을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상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배출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시키는 공기 정화통;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정화통은
상기 동력부의 동작 운용에 따라 일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를 가지는 제1 케이스;
상기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공기 정화 물질을 휘산시키는 정화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A power unit for generating power for air suction;
And an air purifier disposed detachably at a position where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to introduce exhaust air and purify and discharge the introduced air,
The air-
A first case having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the air discharged to one side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of the power unit, and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A purifying filter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to volatilize the air purifying material using the introduced air;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통은
상기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입구 개폐기와, 상기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기를 구비하는 상기 제1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 필터에 흡수되는 공기 정화 물질로 편백 수액을 담고 있는 제2 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ir-
The first case having an inlet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the air and an outlet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A second case for containing the water-repellent liquid as the air cleaning material absorbed by the purifying filter;
Wherein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vacuum clean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개폐기 및 상기 출구 개폐기 상태에 따라, 개폐기 개방 또는 폐쇄를 요청하는 안내음을 출력하는 표시부, 오디오 출력부, 진동부 및 램프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an audio output unit, a vibration unit, and a lamp unit for outputting a guide sound for requesting opening or closing of the switch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entrance switch and the exit switch.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를 감싸는 몸체부;
상기 동력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정화통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power unit;
An exhaust unit for exhausting the air sucked by the power unit toward the air purifier;
Wherein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vacuum cleaner.
KR1020140184410A 2014-12-19 2014-12-19 vacuum cleaner and canister thereof KR201600759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410A KR20160075911A (en) 2014-12-19 2014-12-19 vacuum cleaner and caniste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410A KR20160075911A (en) 2014-12-19 2014-12-19 vacuum cleaner and canister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911A true KR20160075911A (en) 2016-06-30

Family

ID=5635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410A KR20160075911A (en) 2014-12-19 2014-12-19 vacuum cleaner and canister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59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1780A (en) Clean air vacuum cleaners
KR102438130B1 (en) Air purifier
KR101533983B1 (en) Deodorization apparatus for food odors
KR100867110B1 (en) Air clean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fragrance
KR100923280B1 (en) Dust collector with cleaning absorbent fume and smell
JP6491952B2 (en) Handy vacuum cleaner
JP2007125379A (en) Vacuum cleaner
JP2008132156A (en) Vacuum cleaner
US9782049B2 (en) Liquid filtration vacuum
KR20160075911A (en) vacuum cleaner and canister thereof
JP2002172075A (en) Vacuum cleaner
KR101645037B1 (en) A vacuum cleaner
JP2011143048A (en) Vacuum cleaner
CN211534214U (en) Electric dust suction device
KR20180002308A (en) Clean apparatus
JP2000288054A (en) Air bubbles generating device
JP2004024414A (en) Vacuum cleaner
KR101212586B1 (en) Apparatus for air cleaning and Method of air cleaning using the same
KR200342597Y1 (en) Vacuum cleaner having an aromatic
KR101988945B1 (en) De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JP3141501U (en) Cleaning suction device
JPH0548684B2 (en)
KR100219378B1 (en) Vacuum cleaner having an air cleaner
JP3221577U (en) Waste collection machine
KR20210018684A (en) water spray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