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379A - 실내 위치 확인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위치 확인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379A
KR20160075379A KR1020157007080A KR20157007080A KR20160075379A KR 20160075379 A KR20160075379 A KR 20160075379A KR 1020157007080 A KR1020157007080 A KR 1020157007080A KR 20157007080 A KR20157007080 A KR 20157007080A KR 20160075379 A KR20160075379 A KR 20160075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nsor
detecting
portable termi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366B1 (ko
Inventor
프레드릭 구스타프손
크리스티안 룬드퀴스트
다비드 톤크비스트
펄 스코그랄
요나스 칼말
Original Assignee
세나이언랩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나이언랩 에이비 filed Critical 세나이언랩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60075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04W4/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탐색 중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 에너지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장치는 예를 들어 표본 추출 비율 과/또는 CPU 부하, 예를 들어, 필터링과 모델링 복잡도 같은 센서 동작을 조정하는데 각각 사용되는 움직임 상태, 위치 상태, 작동 상태를 계산한다. 움직임 상태는 사용자가 움직이는 방식(예를 들면, 정지, 걷기, 수동 이동)을 나타내고, 위치 상태는 사용자 위치의 특징(예를 들면, 높이 변화점이나 교차점 부근)을 나타내고, 작동 상태는 사용자가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식(예를 들면, 소지하고 모니터링, 소지하고 모니터링 하지 않음, 소지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실내 위치 확인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INDOOR POSITION RESOLU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술 및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의 사용자 위치를 검출할 때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행은 항상 사람들에게 중요하고, 목적지를 원활하고 쉽게 그리고 시간 효율적으로 찾고자 하는 필요성은 항상 있어 왔다. 그 필요성은 원하는 목적지를 찾는 툴인 GPS의 큰 인기에 의해 두드러졌다. 오늘날의 글로벌 항법 위성 시스템(GNSS)은 높은 역량에도 불구하고, 수신기가 실외에 위치할 때에만 작동되어 건물 입구에서는 안내가 중단된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커버리지 차이의 원인은 GNSS 위성 신호가 약해 일반적으로는 건물의 외부 및 구조를 관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더라도, 건물 내에서의 위치 안내가 필요할 때는 여전히 있다. 예를 들면, 공항, 대학캠퍼스, 병원이나 쇼핑몰 같은 대규모 건물에서, 사용자는 길을 잃기 쉽고, 건물 내의 원하는 목적지를 찾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현재의 기술로 여행자는 공항은 쉽게 찾을 수 있지만, 공항입구로부터 터미널이나 게이트까지의 길은 GPS 지원을 받을 수 없다.
실내 네비게이션을 가능케 하는 2가지 주요 접근법은 서로 다른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데 즉, 랜드마크 기반 네비게이션과 추측 항법이 있다. 랜드마크 기반 네비게이션에서는, 위치가 알려진 실내 랜드마크가 실내 환경에 배치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실내 랜드마크 지도를 갖추게 된다. 위치 측정 알고리즘은 1 이상의 랜드마크 감지를 기초로 한 삼각측량과 삼변측량으로 구성된다. 이것는 WiFi나 휴대폰 기지국 또는 다른 무선표지로부터 무선신호 수신강도(RSSI)를 감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랜드마크 기반 네비게이션의 강점은 강력하고, 정확하고, 유려한 위치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단순한 위치측정 알고리즘을 실현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필터방식은 필요하지 않고, 부드러운 궤적을 얻기 위해 이용된다. 랜드마크 기반 네비게이션의 단점은 기반시설을 미리 설치해야 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맵핑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 접근법은 무선 신호 표지와 무선 통신 환경의 변화나 위치의 수정이 어렵다.
다른 접근법인 추측 항법은, 관성측정을 기반으로 하고, 지도는 교정에 기초한다. 추측 항법의 기본 원리는 속도와 전체적인 경로에 대한 경로의 변화, 위치를 통합하는 것이다. 속도와 경로 속도는 상쇄와 방해가 되기 때문에 통합된 위치는 즉시 표실된다. 게다가 실내 지도는 실현 가능한 일련의 실내위치에 머무는 것을 위한 해결책의 안정화와 실제 상쇄값의 피드백을 제공을 요구한다. 추측 항법의 장점은 기반시설이 없고, 장치 내의 오직 센서와 관련한 일반적이고 널리 알려진 원리라는 점이다. 이 접근법은 실내환경에서 제한된 움직임의 선택 수 내에서는 잘 작동한다(지도는 정보를 제공한다). 추측 항법의 단점은 필터링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더 복잡한 알고리즘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이 접근법은 지도 상에 정보가 적은 개방된 실내지역에서는 작동이 잘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추정 위치 내에서의 이동은 흔하다. 이러한 원리는 한 해결책에 결합되어 잠재적으로 모든 단점을 피할 수 있지만, 이 접근법은 여전히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고, 복잡한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그렇더라도, 모든 실내 네비게이션 알고리즘은 무선 수신기와/또는 관성 센서로부터의 정보가 필요하고, 이러한 장치는 네비게이션이 작동되는 시간 내내 켜져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원이 필요하고, 많은 전원 사용은 배터리를 빨리 닳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보통의 장치가 호스팅하는 실내 네비게이션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대량 사용을 위해 설계되지 않고, 무선 및 관성 센서는 공항이나 박람회, 쇼핑몰을 장시간 방문할 때처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지 않다. 결국 대량 사용은 필요하고, 전원관리는 중대한 도전이다.
이러한 배경기술이 발명자에 의해 문제점과 해결책이 널리 논의되는 것은 중요해질 것이다; 이 분야에서의 어떤 문제점이나 해결책은 별도로 알려져 있는 경우 외에는 알려진 선행기술을 대표한다. 보통 말하는 그런 확실히 알려진 선여행은 항상 사람들에게 중요하고, 목적지를 원활하고 쉽게 그리고 시간 효율적으로 찾고자 하는 필요성은 항상 있어 왔다. 그 필요성은 원하는 목적지를 찾는 툴인 GPS의 큰 인기에 의해 두드러졌다. 오늘날의 글로벌 항법 위성 시스템(GNSS)은 높은 역량에도 불구하고, 수신기가 실외에 위치할 때에만 작동되어 건물 입구에서는 안내가 중단된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커버리지 차이의 원인은 GNSS 위성 신호가 약해 일반적으로는 건물의 외부 및 구조를 관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센서 정보와 전산 자원으로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 위치 확인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하드웨어의 소비전력은 전후 사정에 의해 조절된다. 이 전후 사정은 분류한 색인, 동작점, 스위치 파라미터 등의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태는 센서 정보로부터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예상 위치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상태는 어떤 센서가 사용될지, 그리고 표본 조사할 기간이나 다음 간격을 결정한다. 상태 지정은 또한 처리장치의 부하를 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복잡도와 업데이트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상태는 또한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이 모든 행동의 목적은 전력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센서 정보와 전산 자원으로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적은 시간 간격을 통해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총 에너지 역시 최소화되고,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고, 장치와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상태는 전력관리 시스템에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중 첫 번째인 움직임 상태는 정지 상태같은 특별한 경우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속도를 특징으로 한다. 위치 상태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실내 환경의 중요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작동 상태는 사용자가 현재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호스팅하는 장치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원 관리의 상태들과 실시 예는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발명의 여러 실시 예의 다른 특징이나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상세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센서 정보와 전산 자원으로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 위치 확인을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개념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의 많은 중요영역을 간략하게 나타낸 건물 다이어그램(200)이다.
도 3은 네비게이션 장치용 휴대용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의 전원관리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이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설명이 철저하고 완벽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도면에서 번호는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휴대 단말기(100)인 배터리로 구동되는 스마트폰은 저렴하지만 꽤 높은 수준의 가속도계, 자기계, 자이로스코프 및 또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 같은 센서를 가진 플랫폼을 제공한다. 도 1은 이러한 장치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사용자 휴대 단말기(100)은 이동감지 센서(101), 방위 센서(102), 무선 주파수부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휴대 단말기(100)는 일반적으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사용자 휴대 단말기(100)는 중앙장치, 이동전화 기지국, 지역 WiFi 소스 등과 통신을 하기 위한 안테나(103)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휴대 단말기(100)는 연산 장치(104)를 더 포함한다. 연산 장치(104)는 이동감지 센서(101) 및 방위 센서(102)와 연결된다. 연산 장치(104)는 디지털 메모리처럼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을 읽어 수행하여 운영하는 디지털 처리장치이다.
연산 장치(104)는 사용자에게 추정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40)와도 연결된다. 연산 장치(104)는 여기에 상술된 바와 같이 자동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휴대 단말기(100)는 화학적 성질과 같은 건물 내의 다른 특성을 감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의 많은 중요영역을 간략하게 나타낸 건물 다이어그램(200)이다. 각층은 1 또는 1 이상의 판독영역을 가지는 것을 알게 되지만, 상기 개략도는 하나의 층을 나타낸다. 위치 상태는 나중에 논의하게 될 특정한 종류의 영역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바람직한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건물 내의 특정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영역 201은 계단에 근접하고, 영역 202는 엘리베이터에 근접하고, 높이의 변화가 예상된다. 영역 203은 긴 복도의 교차점을 나타내고, 경로를 변경하거나 방향을 바꿀 가능성이 국부적으로 있다. 유사하게 영역 204는 출입구에 인접하여 GPS 접속이 가능하다. 정보의 다른 출처 또한 영역별로 영역 205와 같이 WiFi 접속 포인트와 가까운 영역인 것을 나타낸다.
다른 종류의 영역도 동일하게 지정된다. 예를 들어, 영역 206은 자기계 판독이 가능하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영역(201,202,203,204,205,206)은 서로 배제할 필요가 없고, 건물 환경에 따라 오버랩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으로 사용되는 동안의 소비전력에 관해 제공된 장치로 문제점을 완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건물 내의 사용자 위치 확인을 위한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르면, 이러한 향상은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는 실내 위치 확인을 위한 것이고, 사용자 휴대 단말기는 방위 센서, 이동감지 센서 및 무선 수신기와 함께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적어도 1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장치의 움직임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움직임 상태를 기반으로 나머지 센서 중 적어도 1 이상의 표본 추출 비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위치와 방향에 따라 변하는 신호를 측정하는 전자회로이다. 이는 관성 센서(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기계(“나침반”), 무선 수신기(WiFi, 블루투스, GSM 및 다른 무선 통신망, GPS 및 다른 글로벌 항법 위성 시스템), 광센서, 카메라, 기압계, 마이크 등을 포함한다.
움직임 상태는 실내 네비게이션의 업그레이드 방식의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CPU 부하 또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통 사용자는 적어도 매초마다 한번씩 위치가 업데이트될 것이라 예상하지만, 위치가 변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보지 않는다면, 업데이트 빈도는 감소한다. 실내 네비게이션 방식의 복잡도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실내 환경 내의 몇몇 영역은 다른 영역들보다 더 어렵고, 더 복잡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업데이트 속도와 비슷하게, 사용자가 장치를 호주머니에 넣고 있을 때보다 계속해서 지도를 보고 있을 때 높은 정확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파티클 필터(particle filter)는 센서가 지도 상에서 위치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CPU 부하는 파티클의 수에 비례하는 반면, 필터 내의 파티클(잠재적 위치)의 수는 이 방식의 복잡도와 정확도를 결정한다. 더욱 궤변적인 움직임 모델은 더욱 어려운, 예를 들어 자기교란으로 자기계가 감소하는 곳으로 알려진 영역에서 추측 항법 단계에 사용된다. 또한, 진동을 모니터링 하는 주파수 분석은 특정상황에서 켤 수 있는 CPU를 많이 사용하는 작업이다.
움직임 상태는 정지와 움직임, 수동 이동 같은 움직임의 다른 상황이나 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 장치가 탁자에 여전히 높여 있거나, 계속 앉아있는 사람의 호주머니에 있을 때에도 우리는 정지 상태를 가진다. 정지는 관성센서로부터 작은 신호값이나 수신된 무선 신호의 작은 변화에도 검출이 가능하다. 움직임에 관하여, 가장 일반적인 움직임은 상태에 걸음 수 또한 포함하는 걷기이다. 다른 움직임은 뛰기나 기기, 또 다른 특이한 걸음걸이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걸음 검출은 보통 가속도계나 자이로스코프 신호에서 이벤트를 모니터링 하는 것에 기반하고, 걸음걸이를 분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 휠체어, 세그웨이 등과 같은 수동 이동에 대하여, 가속도계는 이러한 이동 장치의 특유의 진동을 감지하고,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러한 운송기구를 이용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건물 정보와 함께 현재 추정되는 위치는 또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에 탔을 가능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툴이 된다.
움직임 상태를 알면 어떤 센서 정보가 필요한지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장치의 속도 표시, 센서가 추출되는데 얼마나 빠른 속도가 필요한지, 어떤 CPU 부하가 필요한지가 제공된다. 이 모든 것은 CPU, 센서, 디스플레이부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데 최적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알고리즘의 업데이트 속도 및 센서의 표본 추출 비율은 걸음 수에 비례한다. 정지상태인 동안, 대부분의 센서는 추출될 필요가 없다. 이는 센서는 꺼지거나 비활성화되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센서가 꺼지는 것의 장점은 센서의 소비전력을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점이다. 센서는 필요할 때 다시 켜질 수 있는 대기 상태일 것이다.
상술한 움직임 상태에 더하여, 위치 상태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위치 상태에 기반한 전원 관리에 관한 것이다. 위치 상태는 실내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위치가 계산되는 것과 건물이 특정된 실내지도로부터 얻어진다. 위치 상태는 예를 들어 약한 무선 커버리지 같은 상황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상태에서, 무선수신기로부터 받은 신호에서 유용하지 않거나 거의 유용하지 않은 정보가 있는데, 이러한 센서는 끄거나 정보 손실 없이 표본 추출 비율을 줄이도록 한다. 또 다른 위치는 출입구와 가까운 영역을 포함한다. 실내에서 외부로의 이동, 혹은 반대일 때의 원활한 전송을 위해, 출구에 근접할 때는 GPS 수신기를 켜고, 입구에 가까울 때는 WiFi를 켜는 것이 유용하다. 예를 들어, 광센서와 마이크의 활성화는 외부에서 실내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할 때 유용하다.
또 다른 가능한 위치는 개방형 광장이나 교차점처럼 상이한 움직임 방향이 많은 영역이다. 여기서는, 모든 혹은 가능한 대부분의 센서 정보가 필요하다. 반대로, 교차점 없는 긴 복도는 더 적은 정보를 필요로 한다. 또 다른 가능성은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처럼 높이 변화의 기회가 가까운 영역이다. 이러한 영역은 높이 변화를 빠르게 검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센서의 표본 추출 비율을 최대화하거나 기압계 같은 전용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성취된다. 또 다른 예는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의 특정한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계를 사용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예로서, 광센서와 마이크는 다른 높이에서의 다른 상태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위치는 자기교란이 있는 영역이다. 여기서 자기계가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방향 추정은 자이로스코프 만을 기반으로 한다.
움직임 및 위치 상태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전원 관리를 위한 작동 상태 또한 지원한다. 장치의 작동 상태는: (1) 사용자에 의해 최대 성능이 필요한 곳에의 손에 들고 보는 상태, (2) 낮은 정확도가 요구되고, 센서 정보와 알고리즘 성능이 적게 필요한 곳에서 손에 들고 보지 않는 상태, 및 (3) 센서의 표본 추출 비율과 CPU에서의 알고리즘 운영의 업데이트 속도가 낮아지는 곳인 호주머니 상태(가방 안에 장치를 두는 것 포함)를 포함한다.
작동 상태는 가속도계에서 검출된 중력벡터를 기반으로 계산할 수 있다. 중력벡터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볼 때 움직임 방향에 대해 직각(또는 90도 회전)인 경향이 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 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와 비교해 호주머니나 가방 속 장치가 걷는 동안 추 움직임이 더 크기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화면이 자동으로 혹은 수동으로 꺼지거나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되면, 보지 않는 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광센서는 호주머니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가능한 여러 상태를 검토해보면, 소비전력 관리의 모범적인 방식은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논의될 수 있다. 단계 300에서 적어도 1이상의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상태는 계산된다. 한 예를 들면, 센서는 걸음 탐지기(가속도계)로 움직임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움직임 상태는 무선수신기의 표본 추출 비율을 제어한다. 움직임 상태가 정지 상태라면, 무선수신기의 표본 추출 비율은 0일 것이다.
단계 301에서, 움직임 상태가 정지 상태라면, 단계 302에서 표본 추출 비율은 감소하거나 중단된다. 움직임 상태가 걷기 상태라면, 단계 303에서 표본 추출 비율은 걸음수의 종속 값으로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움직임 상태가 수동 이동 상태라면, 단계 304에서 표본 추출 비율은 건물지도에 관한 예상 위치의 종속 값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유사한 방식으로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CPU 부하에 관하여 매개 변수를 제어한다. 시스템이 움직임 상태에 따라 CPU 부하에 영향을 주는 몇 가지 매개 변수가 있다. 이는 이러한 위치로 센서 측정값의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필터의 업데이트 속도, 위치로 센서 측정값의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모델 기반 필터의 모델 복잡도, 위치로 센서 측정값의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필터에 의해 제공되는 수치상 근사치의 정확도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계 305에서, CPU 부하를 상기 1 또는 그 이상을 통해 조정한다.
단계 306에서, 위치 상태를 계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알고리즘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이고, 단계 307은 적어도 제2센서의 표본 추출 비율을 제어하기 위해 위치상태를 이용한다. 특히, 건물 내의 몇 지역은 더 중요하거나(계단/엘리베이터 근처, 긴 복도의 교차점 등) 다른 정보 소스가 가능하다(출입구 근처에서의 GPS).
따라서, 실시 예에서, 위치 상태는 무선 송신기의 커버리지를 반영한다. 그렇지 않으면, 위치 상태는 자기계 측정값의 신뢰도, 그 환경에서 가능한 대안운동의 수, 위성신호 수신의 가능성(예, GPS 신호), 건물 내에서의 높이 변화 가능성을 반영한다. 위치 상태는 단계 306에서처럼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표본 추출 비율과 표본 처리율 제어에 의한 CPU 부하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단계 308에서, 시스템은 단계 309에서 적어도 1 이상의 제2센서의 표본 추출 비율을 제어하는 작동 상태를 계산하기 위해 적어도 1 이상의 센서 정보를 사용한다. 작동 상태는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방법을 반영,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손에 소지되고 모니터링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손에 소지되지만 모니터링 되지 않거나, 사용자에 의해 호주머니 등에 보관되고 모니터링 되지 않는지 여부를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검출된 자동 상태는 상태 310에서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표본 추출 비율과 표본 처리율의 변화를 통해 CPU 부하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사례 및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고, 비록 한정적인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는 오직 일반적이고 서술적인 관점에서 사용된 것이고 아래 청구항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100 사용자 휴대 단말기 101 움직임 센서
102 방향 센서 103 안테나
104 연산장치 140 디스플레이부

Claims (14)

  1. 휴대용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고, 방위 센서와 이동감지 센서, 무선 수신기, 상기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실내 위치 확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위 센서, 이동감지 센서, 무선 수신기 중 선택된 제1센서로부터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의한 움직임의 유형인 움직임 상태를 검출하는 움직임 상태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움직임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방위 센서, 이동감지 센서, 무선 수신기 중 상기 제1센서와 상이하게 선택된 제2센서의 표준 추출 비율을 제어하는 표준 추출 비율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추출 비율 제어 단계는,
    표준 추출 비율을 0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상태는 걸음수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상태 검출 단계는,
    사용자가 정지 상태인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중 하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작동 상태 검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상태는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단말기를 작동하는 방식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검출된 상기 작동 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1 이상의 상기 센서의 표준 추출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상태 검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모니터링 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상태 검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모니터링 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상태 검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소지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상태 검출 단계는,
    사용자의 실내 환경에 대한 진입 또는 이탈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상태 검출단계는,
    사용자가 층수를 변경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 센서는 관성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중 하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상태 검출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위치 상태를 기반으로 1 이상의 센서의 표준 추출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상태는 사용자의 위치가 높이 변화점 근처인지, 교차점 근처인지, 출입구 근처인지 또는 무선 접속 포인트 위치 근처인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14. 휴대용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고, CPU, 방위 센서, 이동감지 센서, 무선 수신기, 상기 센서들을 이용한 실내 위치 확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위 센서, 이동감지 센서, 무선 수신기 중 선택된 제1센서로부터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의한 움직임의 유형인 움직임 상태를 검출하는 움직임 상태 검출 단계; 및
    검출된 상기 움직임 상태를 기반으로 CP의 부하를 제어하는 CPU 부하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KR1020157007080A 2012-09-21 2013-11-19 실내 위치 검출시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KR101879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24,299 US8934884B2 (en) 2012-09-21 2012-09-21 Method and device for indoor position resolution
PCT/IB2013/003268 WO2015067988A2 (en) 2012-09-21 2013-11-19 Method and device for indoor position resolu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379A true KR20160075379A (ko) 2016-06-29
KR101879366B1 KR101879366B1 (ko) 2018-07-18

Family

ID=5033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080A KR101879366B1 (ko) 2012-09-21 2013-11-19 실내 위치 검출시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34884B2 (ko)
EP (1) EP2944126B1 (ko)
KR (1) KR101879366B1 (ko)
WO (1) WO201506798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422B1 (ko) * 2012-11-19 2018-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070336B2 (en) * 2014-02-11 2018-09-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coverage determination using predefined paths
KR102243067B1 (ko) * 2014-05-22 202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 또는 실외에 배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39545B2 (en) * 2014-05-30 2018-04-10 Motorola Solutions, Inc.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roximity detector of ferrous materials
US9541404B2 (en) 2014-08-29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entrances and areas of interest
US9429433B2 (en) * 2014-11-07 2016-08-30 Jennifer Hendrix Route guidance and identification system
US20160179065A1 (en) * 2014-12-19 2016-06-23 Zan Compute Inc. Smart facility management platform
US9451414B1 (en) 2015-09-22 2016-09-20 Cisco Technology, Inc. Automatically determining relative locations of collaboration endpoints within a building
US10415978B2 (en) 2015-11-20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ndmark location determination
US10429185B2 (en) * 2016-03-11 2019-10-01 SenionLab AB Indoor rotation sensor and directional sensor for determining the heading angle of portable device
US10469653B2 (en) 2016-05-15 2019-11-05 Fmr Llc Proximity and movement detection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during a user session
US9883403B2 (en) 2016-05-15 2018-01-30 Fmr Llc Monitoring presence of authorized user during user session based upon mobile computing device motion
US9686644B1 (en) 2016-05-15 2017-06-20 Fmr Llc Geospatial-based detection of mobile computing device movement
US10172760B2 (en) 2017-01-19 2019-01-08 Jennifer Hendrix Responsive route guidance and identification system
US10852411B2 (en) 2017-12-06 2020-12-01 Cognitive Systems Corp. Motion detection and localization based on bi-directional channel sounding
WO2019120195A1 (en) * 2017-12-18 2019-06-27 Fruit Innovations Limited Indoor navigation system using inertial sensors and short-wavelength low energy device
US11022511B2 (en) 2018-04-18 2021-06-01 Aron Kain Sensor commonality platform using multi-discipline adaptable sensors for customizable applications
US11087616B2 (en) * 2019-01-31 2021-08-10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services based on map-based dynamic location sampling
US10849006B1 (en) * 2019-04-30 2020-11-24 Cognitive Systems Corp. Controlling measurement rates in wireless sensing systems
US11570712B2 (en) 2019-10-31 2023-01-31 Cognitive Systems Corp. Varying a rate of eliciting MIMO transmissions fro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O2021081637A1 (en) 2019-10-31 2021-05-06 Cognitive Systems Corp. Eliciting mimo transmissions fro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A3152905A1 (en) 2019-10-31 2021-05-06 Christopher Beg Using mimo training fields for motion detection
CN111148057B (zh) * 2019-12-04 2021-03-02 广州众志物联网科技有限公司 室内定位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20013157A (ko) 2020-07-24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070399B1 (en) 2020-11-30 2021-07-20 Cognitive Systems Corp. Filtering channel responses for motion detection
WO2022221242A1 (en) * 2021-04-14 2022-10-20 Brai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ic detection of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4687B1 (en) * 1999-10-06 2010-11-30 Gelvin David C Method for internetworked hybrid wireless integrated network sensors (WINS)
DE10055289B4 (de) * 2000-11-08 2006-07-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ystem zur Bestimmung der Position eines Objekts
FI110293B (fi) * 2001-03-30 2002-12-31 Suunto Oy Paikannusjärjestelmä
US20040010368A1 (en) * 2002-07-10 2004-01-15 Logan Scott Assisted GPS signal detection and processing system for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GB0325622D0 (en) * 2003-11-03 2003-12-10 Cambridge Consultants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al information
KR20060131542A (ko) * 2005-06-16 200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절전 장치 및 방법
WO2007031103A1 (en) * 2005-09-15 2007-03-22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network aided positioning
US7706328B2 (en) * 2006-01-04 2010-04-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osition 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TWI380047B (en) * 2008-11-25 2012-12-21 Univ Nat Taiwan Energy efficient indoor localization method and system by footstep-based mobility estimation
KR101572847B1 (ko) * 2009-01-09 201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감지 장치 및 방법
US8843181B2 (en) * 2009-05-27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Sensor uses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110215903A1 (en) * 2010-03-04 2011-09-0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8805360B2 (en) * 2012-02-14 2014-08-12 Apple Inc. Wi-Fi process
US9244150B2 (en) * 2012-05-29 2016-01-2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user devices based on signal frequencies of transmitters
EP2674784A1 (en) * 2012-06-11 2013-12-18 U-blox AG Satellite positioning with mixed capture-parameters
US9161172B2 (en) * 2012-11-06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Map-based adaptive sampling of orientation sensors for positi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87707A1 (en) 2014-03-27
EP2944126A2 (en) 2015-11-18
WO2015067988A2 (en) 2015-05-14
US8934884B2 (en) 2015-01-13
WO2015067988A3 (en) 2015-10-08
EP2944126B1 (en) 2019-01-02
KR101879366B1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366B1 (ko) 실내 위치 검출시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소비전력 관리 방법
KR101460260B1 (ko) 장치 위치들에 대한 포지션 표시 제어
US10142790B2 (en) Conservation of battery life in GPS accessing portable devices
US9683851B2 (en) Indoor magnetic field based location discovery
US9116000B2 (en) Map-assisted sensor-based positioning of mobile devices
CN109642794A (zh) 自适应压力传感器采样率
EP2740281A2 (en) Likelihood of mobile device portal transition
CN105793668A (zh) 用于对齐移动路径与室内路线选择图表的系统、方法和/或装置
CN107422355A (zh) 混合定位方法和电子装置
KR20150082390A (ko) 포지셔닝을 위한 배향 센서들의 맵-기반 적응적 샘플링
JP2016502645A (ja) ナビゲーションタスクの予測スケジューリング
US111692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on estimation in indoor and outdoor locations
Árvai Mobile phone based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VUK—Visionless supporting frameworK
Momose et al. An accurate indoor positioning algorithm using particle filter based on the proximity of bluetooth beacons
JP2006349595A (ja) 経路案内システム
Basso et al. A smartphone-based indoor localiz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JP2005337872A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システム
KR20170052438A (ko) 전자 장치 및 그것의 위치 결정 방법
Kröger et al. Method of pedestrian dead reckoning using speed recognition
KR101972546B1 (ko) 보행 경로 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