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132A - A hat having ventilator - Google Patents

A hat having venti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132A
KR20160075132A KR1020140184733A KR20140184733A KR20160075132A KR 20160075132 A KR20160075132 A KR 20160075132A KR 1020140184733 A KR1020140184733 A KR 1020140184733A KR 20140184733 A KR20140184733 A KR 20140184733A KR 20160075132 A KR20160075132 A KR 20160075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ventilation
visor
sewing
perf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형자
Original Assignee
변형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형자 filed Critical 변형자
Priority to KR102014018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5132A/en
Publication of KR2016007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1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3Peaks or visors with stiff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4Peaks or visors detachable or movable, e.g. rot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t including a band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a head and a visor fixed to or separately attached to the band. The visor further includes a ventilation portion prepared between one end adjacent to the band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same. The ventilation portion includes: a punched portion formed between one end adjacent to the band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same to form a flow path; and a shade portion surrounding the punched portion to block ultraviolet rays and ensure venti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ultraviolet rays can be blocked and ventilation can be secured, a heat source in a face portion can be discharged. Furthermore, as the punched portion is formed to be rectangular corresponding to right/left width of the visor, circulation of a heat source (body heat and radiant heat) can be maximized to continue comfortable wearing. As the visor of the ha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when a front visual field is required to be ensured through the visor, misting over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ventilation portion. Therefore, a good field of view is ensured to allow a user to safely walk and to ensure a safe field of view with respect to outdoor activities, thereby improving safety for outdoor activities.

Description

통기성 모자{A hat having ventilator}A breathable cap {A hat having ventilator}

본 발명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자의 챙에 자외선 차단과 함께 통기성 확보를 위한 통기부가 마련되어 모자의 쾌적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통기성 모자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eathable cap which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part for securing air permeability together with ultraviolet rays blocking the cap of the cap, so that the cap can be worn comfortably.

일반적인 모자는 특히 여름철 레저, 스포츠 및 야외활동 시, 주로 착용하여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안면 등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성은 물론, 근래에는 패션의 아이템으로도 착용하고 있다.Typical hats are especially worn in summer leisure, sports and outdoor activities, as well as functionality to protect facial skin from strong ultraviolet rays, as well as fashion items in recent years.

모자의 종류로는 쓰임새에 따라 통상 야구모자, 썬캡 및 밀집모자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이러한 모자의 공통구성은 안면으로 내리쬐는 자외선이 차단되도록 하는 챙이 구비된다.There are various kinds of hats in various forms such as a baseball hat, a sun cap and a dense hat, depending on the use, and a common constitution of such a hat is provided with a window for blocking the ultraviolet ray which is sunk to the face.

이상과 같이 모자는 패션 아이템으로 유행은 물론, 기능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556호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특허문헌 1)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8989호 휴대폰 모자 주머니(특허문헌 2)가 등록된 바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at is a fashion item and is being developed in various forms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as well as the fashion. Among them, a sun hat with a supplementary shade of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3556 (Patent Document 1) Patent No. 10-1408989 A cellular phone pocket (patent document 2) has been registered.

특허문헌 1은 차양에 대한 면적 확장이 가능하도록, 차양 저면에 절첩 가능한 형태의 보조차양이 설치되어, 햇볕의 방향 및 조사각에 따라 차양을 선택적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In Patent Document 1, a sub-aisle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anopy so that the area can be enlarged for a canopy, so that the canopy can be selectively expand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angle of sunlight.

따라서 햇볕에 의한 눈부심 내지는 안면부 손상의 예방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a synergistic effect of prevention of glare due to sunburn or facial damage can be expected.

특허문헌 2는 모자에 휴대폰이 수납되도록 주머니가 마련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 수납이 가능한 주머니를 모자의 측면에 부착하여 일과 병행을 하며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듣고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고 있다.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 hat provided with a pocket for storing a mobile phone in a cap,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cket capable of storing a mobile phone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cap so that the user can talk and make music while listening to music .

이상과 같이 모자는 차양효과는 물론, 수납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모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나아가, 패션의 아이템으로서 다양한 디자인과 함께 기능성 부과된 모자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hats hav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folding function and a storage function as well as a shading effect. Further, development of hats having various functions as functional items as well as functional designs are underway.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556호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3556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8989호2. Korean Patent No. 10-140898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모자의 한계 극복을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자외선을 차단하면서 통기성 확보가 가능하여, 안면부의 열원 배출을 통해 쾌적한 모자의 착용을 유지시킬 수 있는 통기성 모자를 제안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ha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eathable cap capable of securing air permeability while shielding ultraviolet rays, I have to.

또한, 본 발명은 천공부가 챙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열원(체열 내지는 복사열)의 순환을 극대화하여 쾌적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기성 모자를 제안하는 데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reathable cap which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 right width of the tongue so that the circulation of the heat source (heat or radiant heat) is maximized to enable comfortable wearing.

또한, 본 발명은 모자의 챙이 투명재질로서, 챙을 통해 전방 시야를 확보해야할 경우, 통기부를 통한 김서림 방지가 가능하고, 따라서 전방 양호한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한 보행은 물론, 야회활동에 대한 안전한 시야확보가 가능한 통기성 모자를 제안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gging through the air vent when the viso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secure a forward view through the vis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forward good view to securely walk, So that a visibility can be secur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리 둘레를 감싸는 밴드 및 밴드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챙을 포함하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은, 밴드에 인접된 일단과 대향된 타단 사이에 마련된 통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기부는, 상기 밴드와 인접된 일단과 대향된 타단 사이에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를 감싸되, 상기 천공부를 감싸되, 자외선 차단과 통기성을 확보를 위한 차양부;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p including a tether fixedly or detachably attached to a band and a band surrounding the head circumference, wherein the tether is provided between one end adjacent to the band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band And a ven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one end adjacent to the band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band to form a flow path; And a sheath for enclosing the perforation, enclosing the perforation, and for securing ultraviolet shielding and air permeability.

상기 천공부는, 상기 챙의 일단과 근접된 영역에 마련되고, 좌/우 장방형으로 절개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erforations are provided in an area close to one end of the tent, and are formed in a left / right rectangular shape.

상기 천공부는, 테두리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어 절개로 인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천공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fo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erforating fram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im for reinforcing a supporting force due to the incision.

상기 천공 프레임은, 합성수지이거나, 금속의 와이어인 것이며, 상기 천공부 테두리에 접착 또는 봉제를 통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forated frame may be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wire, and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perforated frame through adhesive or sewing.

상기 차양부는, 상기 천공부와 대응하는 면적의 차양막; 및 상기 차양막과 상기 천공부의 접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접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beveled portion may include: an oblong film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And bond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shade film and the perforation.

상기 접합수단은, 봉제, 벨크로, 및 단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joining means is any one selected from sewing, velcro, and buttons.

상기 차양부는, 상기 차양막의 전개 상태가 유지되도록 테두리에 설치되는 차양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beveled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hade portion frame provided at a rim of the shade so as to maintain the expanded state of the shade film.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외선을 차단하면서 통기성 확보가 가능하여, 안면부의 열원 배출을 통해 쾌적한 모자의 착용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cure air permeability while shielding ultraviolet ray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wearing of a comfortable hat can be maintained by discharging the heat source of the fac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천공부가 챙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열원(체열 내지는 복사열)의 순환을 극대화하여 쾌적한 착용을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ated por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 right width of the tent, so that circulation of the heat source (heat or radiant heat) is maximized and the effect of continuing to wear comfortably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모자의 챙이 투명재질로서, 챙을 통해 전방 시야를 확보해야할 경우, 통기부를 통한 김서림 방지가 가능하고, 따라서 전방 양호한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한 보행은 물론, 야회활동에 대한 안전한 시야확보가 가능하므로 야외활동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gging through the air vent when the viso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secure a forward view through the vis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forward good view to securely walk,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field of view, so that the safety of outdoor activities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챙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챙의 평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착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착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착용상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cow shown for explaining a vent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perfo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flan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 tongue for explaining a joining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ing state shown for explaining a wearing state of a c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wearing state of a ha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cap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and the definition is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00)는 밴드(110) 및 밴드(110)와 회동부(160)를 통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밴드(110)와 인접된 영역에 통기부(130)가 마련된 챙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외선 차단은 물론, 통기부(130)를 통해 외기와의 통기성 확보가 가능하여 모자(100)의 쾌적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ap 100 is coupled to the band 110 and the band 110 so as to be rotatable and detach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rotation unit 160, 130 to protect the ultraviolet rays and to ensure ventilation with the outside air through the ventilation part 130 so that the cap 100 can be comfortably worn.

밴드(110)는 머리 둘레를 감싸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둘레에 대응하도록 탄성과 그에 상응하는 복원력을 갖는다.The band 110 is intended to be wrapped around the head and has elasticity and corresponding restoring force corresponding to various circumferences.

또한, 머리 둘레와 맞닿는 면에 대해서는 이질감을 줄이기 위한 쿠션이 더 부가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밴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a cushion for reduc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may be added to the face contacting the head circumference. Since this is a normal b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챙(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10)와 인접된 영역에 통기부(130)가 마련되고, 회동부(160)를 통해 밴드(110)와 회동 및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봉제를 통해 밴드와 일체의 형태로 고정 부착될 수도 있다. 이는 통상의 모자 종류 및 형태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vent 120 is provided with a vent 130 in a region adjacent to the band 110, and is rotatab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and 110 through the pivot portion 160, However, it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band in an integral form through sewing. This is related to the type and shape of the ordinary cap, and therefor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모자는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일 뿐 회동가능한 형태와 그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본 발명은 챙에 통기성을 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승효과와 통기부에 관한 구성에 관한 것으로 모자의 형태와 종류에 제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meantim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re only illustrative and are not limited to a pivotable form and structure thereof,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kind of the cap,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챙의 평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of a cow shown for explaining a vent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챙(120)은 밴드(110)에 인접된 일단과 대향된 타단 사이에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천공부(140) 및 천공부(140)를 감싸되, 자외선 차단과 통기성 확보를 위한 차양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tongue 120 is formed between one end adjacent to the band 110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band 110 to enclose the perforation 140 and the perforation 140 for forming a flow path, And a beep portion 150 for the user.

천공부(140)는 챙(120)의 일단과 근접된 영역에 마련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장방형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열원(예를 들어, 체열 내지는 복사열)의 순환을 극대화하기 위한 형태이다. 즉, 열원이 체공되는 위치는 대류현상에 의해 대략 챙(120)과 밴드(110)가 사이 영역에 체류한다.The perforation 140 is provided in a region close to one end of the tent 120 and exists in the form of a left / right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3, and it is formed by circulating a heat source (e.g., heat or radiant heat) .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heat source is held is maintained by the convection current between the tent 120 and the band 110.

따라서 해당 영역에 대해 환기와 통풍의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천공부(140)를 통해 환기와 통풍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ventilation and ventilation for the area, which allows ventilation and ventilation through the perforation 140 at the same time.

여기서, 체열은 몸에서 발산되는 온열인 것이며, 복사열은 자외선에 의해 데워진 모자의 챙 내지는 지면에서 발산하는 열기이다.Here, body heat is the heat emitted from the body, and radiant heat is the heat radiating from the surface of the cap heated by ultraviolet rays.

이러한 천공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영역 보강을 위해 테두리 주변 적어도 일면에 천공부 프레임(141)이 더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erforation 140 is further provided with at least one perforation frame 141 on the periphery of the perimeter to reinforce the incised region.

천공부 프레임(141)은 천공부(140) 테두리 상부 및 하부 중 선택되는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erforation frame 141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selected from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perforation 140.

또한, 천공부 프레임(141)은 챙(120)의 굴곡에 대응하여 자유 굴곡이 가능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 합성수지이거나, 금속의 와이어인 것이 좋으며, 그 중 형상기억합금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The perforating frame 141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flexing freely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shoulder 120. For example, the perforating frame 141 may be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wire. desirable.

차양부(150)는 천공부(140)를 감싸 천공부(140)를 통해 유입되는 자외선을 차단하면서,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하가 위한 것이다.The flange portion 150 covers the perforation 140 to block ultraviolet rays flowing through the perforation 140, so as to ensure air permeability.

이러한 차양부(150)는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부(140)에 대응하는 면적의 차양막(151) 및 차양막(151)과 천공부(140)의 접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접합수단(1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4 and 5, the beveling unit 150 is provided with a joining means 151 for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wing 151 and the perforation 140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140, (153).

차양막(151)은 밀도가 높은 메시(mesh)망 내지는 통기성 소재로서, 고어텍스(Gore-tex)가 적용될 수 있으며, 차양막(151)의 소재에 따라 방수기능이 더 부과될 수 있다.A gore-tex may be applied as a mesh net or a breathable material having a high density, and a waterproof function may be further add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wing 151.

이러한 차양막(151)은 도 4와 같이 차양막(151)의 전개 상태가 유지되도록 테두리에 차양부 프레임(15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e wing 15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wing subframe 155 on its rim so that the expansion state of the wing 151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차양부 프레임(155)은 합성수지 내지는 금속의 와이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봉제 내지는 접착의 수단을 통해 차양막(151)에 고정된다.The covering frame 155 is preferably selected from synthetic resin or metal wire and is fixed to the wing 151 by means of sewing or bonding.

이때, 차양부 프레임(155)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151) 테두리 전체에 존재하거나, 적어도 상부 영역에 존재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천공부 프레임(155)으로 대체 및 공유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lange frame 155 may exist i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shading film 151 as shown in FIG. 4B, may exist in at least the upper region, and may be replaced and shared with the perforating frame 155 have.

접합수단(153)은 차양부(150)가 천공부(140)를 감싸면서, 챙(12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탈부착 가능의 형태 또는 고정의 형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적용된다.The joining means 153 is for holding the state where the flange portion 150 is fixed to the visor 120 while covering the perforation 140 and may be either detachable or fixed, .

이러한 접합수단(153)은, 도 5a와 같이 챙과 마주하는 차양부(150) 테두리 적어도 일면과, 그 일면과 마주하는 챙(120)에 각각 자웅의 수단으로 존재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 5b와 같이 봉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joining means 153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rim 150 opposite to the cigarette, by means of male means, respectively,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f the rim 150, And can be fixed through sewing as shown in FIG. 5B.

탈부착 가능의 수단으로는 벨크로 및 단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detachable means, it is preferable to us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elcro and monopod.

봉제의 경우에는 적어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밴드(110)와 접하는 인근 영역이 봉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sewing, it is preferable to sew at least a neighboring region at least in contact with the band 110 as shown in FIG. 5B.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모자(100)는 자외선을 차단하면서, 통기성 확보를 통해 쾌적한 착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하절기는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신체 보호는 물론, 쾌적한 착용을 유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comfortable wearing state by securing air permeability while shielding ultraviolet rays. In particular, during the summer season,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body from strong ultraviolet rays and to maintain comfortable wearing.

또한, 모자(100)가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챙()이 다양한 형태의 모자()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 100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hats, as shown in Figs. 6-8.

즉, 도 6과 같이 챙(120)이 밴드(110)와 회동부(160)를 통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 7과 같이 밴드(110)에 챙(120)이 고정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일명 야구 모자에도 통기구(130)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6, the tongue 120 may be rotat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band 110 and the tongue 160, or the tongue 120 may be fixed to the band 110 as shown in FIG. 7 Furthermore, the vent hole 130 can be applied to a so-called baseball cap.

이와 같은 통기구(130)를 통해 특히, 도 6과 같이 착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형태 즉, 모자(100)의 챙(120)이 투명재질로서, 챙(120)을 통해 전방 시야를 확보해야할 경우, 천공부(140)가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통풍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6, when the visor 120 of the cap 1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front view is to be secured through the visor 120, The studying unit 1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ventilation effect can be maximized.

따라서 김서림이 잦은 동절기의 경우, 통기부(130) 즉, 장방형의 천공부(140)를 통한 김서림 방지가 가능하고, 따라서 전방 양호한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한 보행은 물론, 야회활동에 대한 안전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므로 야외활동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winter season, when the fogging season is frequ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gging through the vent 130 (i.e., the rectangular vent 140), thus securing a good view in front of the vehicle. It is expected that the safety of outdoor activities can be improved.

또한, 차양부(150)와 함께 자외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차양막(151) 소재가 방수재질일 경우, 우천시에도 우비대용으로의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Further, in addition to protecting the body from ultraviolet rays together with the nose 150, when the material of the nose 151 is waterproof, the effect of replacing the nose can be expected even in case of rainy weather.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모자 110 : 밴드
120 : 챙 130 : 통기부
140 : 천공부 141 : 천공 프레임
150 : 차양부 151 : 차양막
153 : 접합수단 155 : 차양부 프레임
160 : 회동부
100: Hat 110: Band
120: Visor 130:
140: Perforation 141: Perforated frame
150: Shoehorn 151: Shoehorn
153: Bonding means 155:
160:

Claims (7)

머리 둘레를 감싸는 밴드 및 밴드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챙을 포함하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은, 밴드에 인접된 일단과 대향된 타단 사이에 마련된 통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기부는, 상기 밴드와 인접된 일단과 대향된 타단 사이에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천공부; 및
상기 천공부를 감싸되, 자외선 차단과 통기성을 확보를 위한 차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모자.
1. A cap comprising a band surrounding the head circumference and a visor fixedly or removably attached to the band,
The vent further includes a vent portion provided between one end adjacent to the band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band,
The ventilation part is formed between one end adjacent to the band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band to form a flow path; And
A ventilation cap enclosing the perforation and shielding ultraviolet rays and ensuring air permeab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챙의 일단과 근접된 영역에 마련되고, 좌/우 장방형으로 절개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forations
Wherein the ventilation cap is provided in an area close to one end of the tent and is cut into a left / right oblong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테두리 적어도 일면에 설치되어 절개로 인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천공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forations
And a perforating fram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im for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due to the inci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프레임은,
합성수지이거나, 금속의 와이어인 것이며, 상기 천공부 테두리에 접착 또는 봉제를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모자.
The method of claim 3,
The perforated frame includes:
Synthetic resin, or metal wire, and is attached to the perforated frame through adhesive or sew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상기 천공부와 대응하는 면적의 차양막; 및
상기 차양막과 상기 천공부의 접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접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An oblique film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And
And a join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shade film and the perfo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수단은,
봉제, 벨크로 및 단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태잉 구비된 모자.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joining means comprises:
Sewing, sewing, sewing, sewing, velcro, and button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상기 차양막의 전개 상태가 유지되도록 테두리에 설치되는 차양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모자.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above-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installed on the rim so as to maintain the expansion state of the shade film.
KR1020140184733A 2014-12-19 2014-12-19 A hat having ventilator KR201600751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33A KR20160075132A (en) 2014-12-19 2014-12-19 A hat having venti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33A KR20160075132A (en) 2014-12-19 2014-12-19 A hat having venti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32A true KR20160075132A (en) 2016-06-29

Family

ID=5636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733A KR20160075132A (en) 2014-12-19 2014-12-19 A hat having venti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513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89B1 (en) 2013-06-16 2014-06-20 박준모 cellphone pocket cap
KR200473556Y1 (en) 2014-02-03 2014-07-10 임창선 A Cap Having Supplementary Vis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89B1 (en) 2013-06-16 2014-06-20 박준모 cellphone pocket cap
KR200473556Y1 (en) 2014-02-03 2014-07-10 임창선 A Cap Having Supplementary Vis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8708A1 (en) Shade cap
US7398560B1 (en) Hat/visor with brim vent
US20090178176A1 (en) Hood and method of use
KR200433255Y1 (en) Assistance protector from sunlight for cap
US20210127773A1 (en) Hooded sun shield
US10765160B2 (en) Skin protecting garment
US20210022428A1 (en) Hooded clothing arrangement and cap
KR200482725Y1 (en) Sun visor for awning screens
KR20160075132A (en) A hat having ventilator
KR200385640Y1 (en) Multi-function hat
KR101843643B1 (en) Cap with airy folding shade
KR101621521B1 (en) hat or cap having sun-blocking cloth and face-customizing mask
KR100753489B1 (en) Ventilation cap
KR101666935B1 (en) Equipped with an open upper sun shade hat
KR20100001044U (en) Sun Visor For A Cap
JP5112271B2 (en) hat
KR200478135Y1 (en) A visor hat for fashion
JP2011140734A (en) Sun visor
US20140157474A1 (en) Ventilated eye shield for ski helmet
KR200458927Y1 (en) The cap where the sunshine curtain is formed
KR20220002733U (en) Multipurpose Hat
KR102383055B1 (en) Multifunctional bucket hat
KR200451660Y1 (en) Suncap
KR200491376Y1 (en) A Cap Having Supplementary Visors
KR200478613Y1 (en) Dual visor cap with v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