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687A - 음성 인식을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을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687A
KR20160074687A KR1020140180979A KR20140180979A KR20160074687A KR 20160074687 A KR20160074687 A KR 20160074687A KR 1020140180979 A KR1020140180979 A KR 1020140180979A KR 20140180979 A KR20140180979 A KR 20140180979A KR 20160074687 A KR20160074687 A KR 20160074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voice
displaying
chat roo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조세나
조성준
윤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80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4687A/ko
Publication of KR2016007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통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푸쉬 투 토크(PTT: 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PTT 대화방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PTT 대화방 화면상의 대화방 만들기 버튼이 선택되면 대화방 개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상의 음성 검색 버튼 선택에 따라 음성 검색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 선택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 화면에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를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의 친구 목록에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푸쉬 투 토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To-Talk service using voice recognition in smart watch}
본 발명은 푸쉬 투 토크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대화방에 대화 상대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재 출시되는 모바일 기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웹 브라우징, 채팅, TV 시청, 네비게이션, 게임,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기 제조 회사들은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다.
또한,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모바일 뱅킹, 모바일 쿠폰, 교통 카드, 게임, 보안 등의 다양하고 복잡한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탑재되고 있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고사양의 프로세서와 고해상도의 터치 스크린 화면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 무전기와 유사하게 스마트폰상에서 PTT 앱을 이용하여 상대 스마트폰과 음성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스마트폰에서의 푸쉬 투 토크(PTT: Push To Talk)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일 예로, Zello, Voxer와 같은 스마트폰용 PTT 앱들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용 PTT 앱들은 다수의 상대방과 그룹으로 음성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복잡한 조작 없이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음성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상용 출시된 PTT 서비스 앱들은 대화방에 대화 상대를 추가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터치 화면의 조작을 통해 대화 상대를 검색하고 추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PTT 서비스 앱들의 조작 방법은 스마트폰과 같은 비교적 큰 화면에 적합하나 스마트와치와 같이 작은 터치 화면상에서 문자 입력을 통해 대화 상대를 검색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푸쉬 투 토크를 위한 대화방 개설 시 음성 인식을 통해 대화 상대를 검색 및 추가하는 것이 가능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사용자 조작 없이 음성 인식을 통해 친구 목록에 친구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성 인식을 통해 카테고리 별 대화 상대를 검색하고 이를 대화방에 추가하는 것이 가능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통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푸쉬 투 토크(PTT: 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PTT 대화방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PTT 대화방 화면상의 대화방 만들기 버튼이 선택되면 대화방 개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상의 음성 검색 버튼 선택에 따라 음성 검색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 선택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 화면에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를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의 친구 목록에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이 사용자의 손에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 받고 있음을 지시하는 제1 음성 인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이 떨어지면, 상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주소록 검색을 수행하고 있음을 지시하는 제2 음성 인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음성 인식 화면과 상기 제2 음성 인식 화면의 가장 자리의 색깔이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음성 인식 화면의 일측에 상기 사용자 입력된 음성이 문자로 변환되어 실시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결과 화면은 추가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검색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 목록의 개수 정보가 상기 추가 버튼의 일측에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결과 화면상에서 좌/우 플릭(Flick)에 의해 상기 검색된 친구 목록이 확인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선택된 친구 목록이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에 선택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은 대화방 개설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대화방 개설 버튼의 일측에 상기 사용자 선택된 친구 목록의 개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화방 개설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선택된 친구 목록에 대응되는 전화 번호로 음성 대화 수락 요청 신호가 전송되고, 수락 대기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락 대기 화면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락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대화 대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은 이름 인식 기능, 초성 인식 기능, 카테고리 인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터치 패널이 구비된 손목 시계 형태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패널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마름모, 직사각형, 정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푸쉬 투 토크(PTT: 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대화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 대기 화면의 소정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친구 목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친구 목록 화면상의 음성 검색 버튼이 선택되면 음성 검색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 선택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 화면에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를 상기 친구 목록 화면에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제스쳐는 상기 대화 대기 화면의 하단에서 상기 대화 대기 화면의 중앙으로 플릭(Flick)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 투 토크(PTT: 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PTT 대화방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PTT 대화방 화면상의 대화방 만들기 버튼이 선택되면 대화방 개설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상의 음성 검색 버튼 선택에 따라 음성 검색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 선택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검색 결과 화면에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를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의 친구 목록에 추가하여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 투 토크(PTT: 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대화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대화 대기 화면의 소정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친구 목록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친구 목록 화면상의 음성 검색 버튼이 선택되면 음성 검색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 선택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검색 결과 화면에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를 상기 친구 목록 화면에 추가하여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스마트와치에서 푸쉬 투 토크를 위한 대화방 개설 시 음성 인식을 통해 대화 상대를 검색 및 추가하는 것이 가능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별도의 사용자 조작 없이 음성 인식을 통해 대화방을 개설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통해 카테고리 별 대화 상대를 검색하고 이를 대화방에 추가하는 것이 가능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스마트와치와 같은 작은 화면상에서 효과적으로 푸쉬 투 토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어블 디바이스에서의 PTT 대화방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어블 디바이스에서의 대화방 개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4a 내지 4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음성 인식을 통한 대화방 개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통한 대화방 개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통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예로, 손목 밴드 또는 손목 시계 형태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음-는 터치 패널을 통해 탑재된 응용 소프트웨어의 구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탑재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다른 휴대용 정보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와 연동되거나, 내부에 이동 통신 모듈이 탑재된 경우 직접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각종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서비스는 PTT 통화 서비스, 음성 통화 서비스, 영상 통화 서비스, 문자 메시지 서비스, 패킷 데이터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생체 정보 감지, 사용자의 터치 입력 감지 등을 위한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손목 밴드 형태의 모바일 기기는 본 발명에 개시되는 사상에 따라 실시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 중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는 손목 밴드 형태뿐만 아니라 반지 형태, 목걸이 형태, 밸트 형태, 머리 밴드 형태, 의복 형태, 안경 형태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터치 패널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마름모, 직사각형, 정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터치 패널이 원형인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음성 인식 수단이 구비되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에 따른 결과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PTT 대화방 개설 시 사용자 입력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통해 대화 상대를 검색하고 이를 추가하는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수단은 이름 인식 기능, 초성 인식 기능, 카테고리 인식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카테고리는 주소록에 저장된 직장 정보, 주소 정보, 관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장명, 지역명, 관계 등을 마이크를 통해 음성 입력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주소록상에서 입력된 음성에 대응되는 친구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기능은 후술할 도면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지털 정보 기기에 탑재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앱”이라 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용 소프트웨어와 앱 또는 어플을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TT 앱은 상기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으며, 탑재되는 모바일 기기의 형상 및 디스플레이 형태에 따라 PTT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A/V(Audio/Video) 입력부(140), 메모리부(150), 입력 키 모듈(160),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사이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연동되는 다른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통신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11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등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Guide) 등의 정보가 방송 관련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RRH(Radio Remote Head)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통화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통신이 연결을 통해 다른 모바일 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통신 연결된 모바일 기기를 핫스팟으로 테더링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도 있다.
GPS 수신 모듈(119)은 측위 위성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획득하기 위한 모듈이다.
센싱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부 또는 외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부(120)에 의해 수집되는 센싱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 사용자 접촉 유무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방위 및 고도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회전 및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속도/가속도/감속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외부의 온도/습도/광도 정보, 주변 기기 연결 감지 정보-예를 들면, 이어폰 연결 및 제거-, 주변 소리 정보, 외부 통신 기기와의 연결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배터리 잔량 정보, 무선 충전을 위한 송신기 신호-예를 들면, 비콘 신호, 자기 유도 신호, 공진 주파수 신호 등을 포함함- 감지 정보 등과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내/외부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12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80)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출력부(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31), 음향 출력 모듈(13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PTT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는 PTT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성하여 터치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PTT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투명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바디 중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센서와 터치 패널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33)은 호신호 수신, PTT 통화 모드, 알람 모드, 음성 통화 모드, 영상 통화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음향 출력 모듈(133)은 PTT 앱을 통해 상대방의 음성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 알리기 위한 소정 음성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3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33)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알람 모듈(13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음성 인식 시작, 음성 인식 종료, 음성 인식 결과 표시,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배터리 상태 등이 있다. 또한, 알람 모듈(135)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 소자 또는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이나 음향 출력 모듈(13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터치 화면상의 PTT 통화 버튼을 누르면, 음성 인식 시작을 알리는 소정 알림음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음성 입력 후 터치 화면상에서 PTT 통화 버튼을 누르고 있다가 떼는 경우,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입력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알림음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알람 모듈(135)은 음성 인식이 완료되면, 결과 표시를 알리는 소정 알림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알람 모듈(135)은 대화 상대로부터 PTT 음성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음성 메시지 수신되었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알람 모듈(135)은 대화 상대로부터 PTT 음성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진동 소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음성 메시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알람 모듈(135)은 발광 소자 및 진동 소자를 모두 이용하여 대화 상대로부터 PTT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 알릴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3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3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37)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137)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3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3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37)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햅틱 모듈들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141)와 마이크(1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43)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일 예로, 통화 모드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모듈(113)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 모듈(115)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 또는 AP(Access Point)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반면, 음성 인식 모드의 경우, 수신된 음성 신호가 센싱부(12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센싱부(120)는 탑재된 음성 인식 수단을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PTT 통화 모드에서 PTT 대화방 개설 시 사용자 입력된 음성의 음성 인식 결과를 센싱부(120)로부터 수신하면,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대화 상대를 PTT 주소록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마이크(1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PTT 주소록, PTT 통화 목록, 수신된 PTT 음성 메시지, PTT 대화방 설정 정보, 일정 정보, 알람 및 모닝콜 설정 정보, 메뉴 설정 정보, 정지영상, 동영상, 음향 효과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5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키 모듈(160)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 키 모듈(160)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널(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외부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PTT 발언권을 PTT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통해 표시되는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소정 PTT 통화 버튼 선택을 통해 PTT 발언권을 획득하거나, PTT 대화 상대 검색을 위한 음성을 입력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7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소정의 포트를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PTT 서비스, 음성 통화 서비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 화상 통화 서비스, 무선 인터넷 연결, 근거리 통신 연결 등을 포함한 다양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출력부(130)의 제어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는 PTT 서비스에 있어서, 해당 대화방에 포함된 상대방의 온라인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PTT 화면의 PTT 통화 버튼의 표시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상대방이 온라인 상태이면 PTT 통화 버튼이 녹색으로, 오프 라인 상태이면 빨간색으로 각각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선택된 PTT 대화방의 참여자가 현재 온라인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음성 발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하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모듈은 상술한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A/V 입력부(140), 메모리부(150), 입력 키 모듈(160), 외부 인터페이스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배터리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한 도 1에서 설명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구성은 스마트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할 음성 인식을 통해 PTT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술한 웨어러블 디비아스(100)에서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상에 탑재되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어블 디바이스에서의 PTT 대화방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TT 대화방 화면(200)은 대화방 타이틀 표시 영역(210), 대화방 안내 메시지 표시 영역(220), 대화방 만들기 버튼(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화방 타이틀 표시 영역(210)에는 현재 표시된 화면이 대화방임을 알리는 문자열이 표시된다.
대화방 안내 메시지 표시 영역(220)은 PTT 음성 대화를 유도하는 소정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안내 메시지는 "친구들과 음성 대화를 해보세요"일 수 있다.
대화방 만들기 버튼(230)은 새로운 대화방을 개설하기 위한 버튼으로, 선택 시 "대화방 개설"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만약, 기존 개설된 대화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화방 만들기 버튼(230)이 터치 선택되면, 대화 상대를 선택하기 위한 친구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이미 개설된 대화방이 존재하는 경우, 대화방 만들기 버튼(230)이 터치 선택되면, 대화방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된 대화방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대화방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어블 디바이스에서의 대화방 개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TT 대화방 화면(200)상의 대화방 만들기 버튼(230)이 선택되면, 대화방 개설 화면(310)이 표시될 수 있다.
대화방 개설 화면(310)은 대화방 개설 화면 타이틀 표시 영역(311), 친구 목록 표시 영역(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친구 목록 표시 영역(312)의 일측에는 음성 검색 버튼(313), 대화방 개설 버튼(314)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대화방 개설 버튼(314)은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도 선택되지 않는 경우,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면 번호 320 내지 34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친구 목록 표시 영역(312)상에서의 좌/우 스크롤을 통해 전체 친구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친구 목록 중 어느 하나라도 선택되는 경우, 대화방 개설 버튼(314)은 활성화되며, 대화방 개설 버튼(314)의 일측에는 선택된 친구의 개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면 번호 3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방 개설 버튼(314)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대화방 개설 버튼(314)이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은 사용자 선택된 친구(들)의 전화 번호로 소정 음성 대화 수락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연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대화방 개설 화면(310)을 수락 대기 화면(350)으로 전환하고 수락 요청된 친구들로부터 응답 신호를 대기한다. 여기서, 수락 대기 화면(350)에는 개설된 대화방명(351) 및 수락 대기 중임을 알리는 소정 안내 문자열(352)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수락 대기 중인 친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락 완료 신호가 수신된 경우, 대화 대기중 화면(360)으로 전환하여 개설된 대화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대화 대기중 화면(360)상의 PTT 통화 버튼(362)을 선택하여 PTT 음성 메시지를 대화방에 참여한 친구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 대기중 화면(360)은 현재 활성화된 대화방명(361), 대화방 리스트 보기 버튼(363), 사운드콘 선택 버튼(364), 위치 공유 버튼(365) 등이 더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대화방 리스트 보기 버튼(363)이 선택되면, 이미 개설된 대화명 목록이 표시되고, 사운드콘 선택 버튼(364)가 선택되면 음향 효과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공유 버튼(365)이 선택되면, 대화방에 참여한 멤버의 현재 위치 정보가 지도상에 매핑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 번호 4a 내지 4i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통한 PTT 대화방 개설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T 대화방 화면(200)상에서 대화방 만들기 버튼(230)이 선택되면, 도 4b에 도시된 대화방 개설 화면(310)이 표시된다.
이때, 음성 검색 버튼(313)이 선택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틀은 대화방 개설에서 음성 검색으로 변경되고,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은 음성 입력 버튼(401) 및 음성 검색 안내 메시지(4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은 대화방 개설 화면(310)상에 반투명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검색 안내 메시지(402)는 "화면을 누른 상태에서 검색할 친구의 이름 또는 초성을 말하세요"일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음성 입력 버튼(401)을 길게 누른 상태를 유지하면-즉, Long Tap을 유지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화면(410)으로 전환시키며, 도면 번호 4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실시간 음성/문자 변환(Speech-to-Text conversion)하여 음성 인식 화면(410)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음성 입력 버튼(401)이 눌려진 상태임-즉, 말하기 중인 상태임-을 사용자에 알리기 위해 화면 가장자리를 소정 색깔-예를 들면, 빨간색-로 발광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 후,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성 입력 버튼(401)으로부터 손을 떼는 경우-즉, 말하기 완료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를 비활성화시킨 후 사용자 입력된 음성에 상응하여 음성/문자 변환된 결과에 기반하여 PTT 주소록 검색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된 음성에 기반하여 PTT 주소록을 검색하고 있음을 알리는 안내 문자열(430)을 표시하고, 화면 가장 자리를 말하기 중인 상태에서 사용된 색깔과 다른 소정 색깔-예를 들면, 녹색-으로 발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음성 입력 버튼(401)을 길게 눌러 음성 인식이 개시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이 길게 눌려지면, 음성 인식 화면(410)으로 전환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음성 검색이 완료된 경우, 검색 결과 화면(440)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결과 화면(440)에는 검색 결과 안내 문자열(441), 검색된 친구의 썸네일 이미지(442), 추가 버튼(44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결과 안내 문자열(441)은 음성 인식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몇 명의 친구가 검색되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친구의 썸네일 이미지(442)는 사용자 선택 가능하며, 썸네일 이미지의 일측에 이름이 표기될 수 있다. 만약, 검색된 친구의 썸네일 이미지가 하나의 화면에 모두 표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썸네일 이미지 표시 영역을 좌/우 플릭(Flick)하여 나머지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g 및 4h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검색된 친구 목록 중 대화방에 추가할 친구를 선택한 후, 추가 버튼(443)을 선택하여 선택한 친구를 PTT 대화방 친구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대화방 개설 화면(310)에는 추가된 친구의 썸네일 이미지(460)가 선택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의 개수 정보가 도 4g의 도면 번호 4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버튼(443)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한 도 4e의 친구 검색 중 사용자 입력된 음성에 대응되는 친구 목록이 주소록상에서 검색되지 않은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된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501)와 다시 검색 버튼(502)이 포함된 검색 결과 화면(5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다시 검색 버튼(502)이 선택되면, 상기한 도 4c에 도시된 음성 검색 화면(400)으로 전환된다.
이상에서는 대화방 개설 화면(310)상에서의 음성 검색 버튼(313)을 선택하여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친구 목록 화면상에서 음성 검색 버튼을 선택하여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으로 전환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통한 대화방 개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대화 대기 화면(360)의 하단에서 중앙으로 플릭(Flick)되는 경우, 대화 대기 화면(360)은 친구 목록 화면(600) 화면으로 전환된다.
이 후, 친구 목록 화면(600)의 음성 검색 버튼(610)이 선택되면, 상술한 도 4c의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후의 절차는 상술한 도 4d 내지 도 4h와 유사하게, 사용자에 의해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이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음성 인식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화면을 표시한다.
연이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검색 결과 화면에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를 친구 목록 화면에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통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PTT 대화방 화면(200)을 표시한다(S701).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PTT 대화방 화면(200)상의 대화방 만들기 버튼(230)이 선택되면 대화방 개설 화면(310)을 표시한다(S703).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대화방 개설 화면(310)상의 음성 검색 버튼(313) 선택에 따라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을 표시한다(S705).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예를 들면,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이 길게 눌려지는 경우(Long Tap), 음성 인식 화면(410)으로 전환시킨다(S707). 다른 일 예로, 음성 검색 팝업 화면(400)에 표시된 음성 입력 버튼(401)이 길게 눌려지면, 음성 인식 화면(410)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음성 인식 화면(410) 또는 음성 입력 버튼(401)이 눌려진 상태에서 구비된 마이크를 활성화시키고,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입력 받는다(S709).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손이 음성 인식 화면(410)에서 떨어지면, 사용자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가 포함된 검색 결과 화면(440)을 표시한다(S711).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검색 결과 화면(440)에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를 대화방 개설 화면의 친구 목록에 추가하여 표시한다(S713).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20: 센싱부
130: 출력부 180: 제어부
200: PTT 대화방 화면 230: 대화방 만들기 버튼
310: 대화방 개설 화면 313: 음성 검색 버튼
400: 음성 검색 팝업 화면 410: 음성 인식 화면
440: 검색 결과 화면

Claims (19)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푸쉬 투 토크(PTT: 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PTT 대화방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PTT 대화방 화면상의 대화방 만들기 버튼이 선택되면 대화방 개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상의 음성 검색 버튼 선택에 따라 음성 검색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 선택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화면에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를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의 친구 목록에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이 사용자의 손에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 받고 있음을 지시하는 제1 음성 인식 화면을 표시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이 떨어지면, 상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주소록 검색을 수행하고 있음을 지시하는 제2 음성 인식 화면을 표시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 인식 화면과 상기 제2 음성 인식 화면의 가장 자리의 색깔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 인식 화면의 일측에 상기 사용자 입력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실시간 표시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화면은 추가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검색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 목록의 개수 정보가 상기 추가 버튼의 일측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화면상에서 좌/우 플릭(Flick)에 의해 상기 검색된 친구 목록이 확인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선택된 친구 목록을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에 선택된 상태로 표시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은 대화방 개설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대화방 개설 버튼의 일측에 상기 사용자 선택된 친구 목록의 개수 정보를 표시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 개설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선택된 친구 목록에 대응되는 전화 번호로 음성 대화 수락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수락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락 대기 화면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락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대화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은 이름 인식 기능, 초성 인식 기능, 카테고리 인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터치 패널이 구비된 손목 시계 형태의 모바일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마름모, 직사각형, 정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15.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푸쉬 투 토크(PTT: 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대화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화 대기 화면의 소정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친구 목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친구 목록 화면상의 음성 검색 버튼이 선택되면 음성 검색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 선택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화면에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를 상기 친구 목록 화면에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쳐는 상기 대화 대기 화면의 하단에서 상기 대화 대기 화면의 중앙으로 플릭(Flick)하는 동작인, 푸쉬 투 토그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8. 푸쉬 투 토크(PTT: 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PTT 대화방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PTT 대화방 화면상의 대화방 만들기 버튼이 선택되면 대화방 개설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상의 음성 검색 버튼 선택에 따라 음성 검색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 선택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및
    상기 검색 결과 화면에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를 상기 대화방 개설 화면의 친구 목록에 추가하여 표시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9. 푸쉬 투 토크(PTT: 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대화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대화 대기 화면의 소정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친구 목록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친구 목록 화면상의 음성 검색 버튼이 선택되면 음성 검색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음성 검색 팝업 화면 선택 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여 주소록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및
    상기 검색 결과 화면에 표시된 친구 목록 중 사용자 선택된 친구를 상기 친구 목록 화면에 추가하여 표시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40180979A 2014-12-16 2014-12-16 음성 인식을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74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979A KR20160074687A (ko) 2014-12-16 2014-12-16 음성 인식을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979A KR20160074687A (ko) 2014-12-16 2014-12-16 음성 인식을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687A true KR20160074687A (ko) 2016-06-29

Family

ID=5636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979A KR20160074687A (ko) 2014-12-16 2014-12-16 음성 인식을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46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2682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225831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uto answering function and auto answering method for use in the mobile terminal
US931331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tagging different NFC tags
US10630629B2 (en) Screen display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1227042B2 (en) Screen unlock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91765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762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373994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instant messaging message
EP26908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call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500860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794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8023951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500951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50293670A1 (en) Method for operat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170089661A (ko)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원버튼을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871833B1 (ko)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656431A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069184B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567588B2 (en) Intelligent agent system including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08230B1 (ko) 음향 효과를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09055A (ko) 그룹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50215465A1 (en) Communication message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60074687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04869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이동 단말기
KR2015002078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