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372A -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372A
KR20160074372A KR1020150047498A KR20150047498A KR20160074372A KR 20160074372 A KR20160074372 A KR 20160074372A KR 1020150047498 A KR1020150047498 A KR 1020150047498A KR 20150047498 A KR20150047498 A KR 20150047498A KR 20160074372 A KR20160074372 A KR 20160074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upport
gas cylinder
abdominal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
Original Assignee
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 filed Critical 김권
Publication of KR2016007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4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accessories, e.g. article carriers,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에 탑승자의 체중이 분산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며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부상 예방이 가능하도록 한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는, 자전거 프레임의 안장포스트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지지대와,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스실린더와, 상기 제 1 가스실린더의 상단에 중앙부가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지지대와,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안장포스트에 일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패드지지대의 하단에 타단이 일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가스실린더와,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ABDOMINAL REGION SUPPORTER FOR BIBY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에 탑승자의 체중이 분산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며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부상 예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전거는 운송 및 교통수단으로서의 용도 외에도 레저 및 체력 단련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자전거는 대도시에서와 같이 대중교통수단이 발달하지 않는 시골에서 근거리 이동시 주요한 교통수단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지만, 현대에 들어와서는 경주용 또는 학생들의 등하교용, 직장인의 출퇴근용, 산악주행용 등과 같이 용도가 점차 넓혀져 가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자전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주로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는 데 사용되므로 운전자의 피로 해소 여부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런데 자전거가 장거리 주행용 수단으로 사용하거나, 산악 주행 등 험난한 주로를 비교적 장시간 주행하다 보면 핸들을 잡은 양팔에 피로가 쌓이게 되며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장거리 주행시 피로를 느끼게 되면 운행자는 양팔을 구부려 핸들에 대고 상체를 기댄 상태에서 운행하거나 손을 바꾸어 가면서 한 손으로 타기도 한다. 그러나 양팔을 핸들에 의지하는 경우 상체가 지나치게 숙여지므로 이 자세로 장시간 주행하면 허리에 통증이 가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통의 자전거는 차량의 안전벨트에 해당되는 보호장비가 미비해 갑작스럽게 급정지를 해야 하거나, 장애물과 충돌시 탑승자가 관성에 의해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감에 따라 큰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00-0001327호(2000.01.25)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35441호(2009.12.2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에 탑승자의 체중이 분산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며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부상 예방이 가능하도록 한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부지지패드 내부에 마사지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시에 복무 마사지로 인해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자전거 프레임의 안장포스트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지지대와,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스실린더와, 상기 제 1 가스실린더의 상단에 중앙부가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지지대와,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안장포스트에 일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패드지지대의 하단에 타단이 일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가스실린더와,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 중 핸들의 인접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스실린더와,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스실린더의 중간부위에 상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가스실린더와, 상기 제 1 가스실린더의 상단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패드지지대와,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 중 핸들의 인접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스실린더와,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가스실린더와, 상기 제 1 가스실린더와 상기 제 2 가스실린더의 상단에 하측이 동시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패드지지대와,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 중 핸들의 인접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스실린더와,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가스실린더의 상단이 중앙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지지대와,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에 하단이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는 클램핑부재가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클램핑부재에 끼워져 수평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지지대와,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부지지패드는 완충스프링의 개재하에 상기 패드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부지지패드 내에는 마사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마사지수단은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에 의하면,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에 탑승자의 체중이 분산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며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부상 예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에 의하면, 복부지지패드 내부에 마사지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시에 복무 마사지로 인해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조절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조절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조절작동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3)의 안장포스트(5)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10)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지지대(120)와, 패드지지대(12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10)은 그 전방 상단에 차후에 설명될 패드지지대(120)가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후방 단부가 자전거 프레임(3)의 안장포스트(5)에 고정설치된다.
전술한 고정프레임(110)의 전방 상단에는 패드지지대(120)가 설치되는데, 이 패드지지대(120)는 탑승자의 복부를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드지지대(120)는 허리를 편 상태 또는 허리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 등과 같은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관계없이 복부지지패드(130)에 의해 탑승자의 복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고정프레임(110)의 전방 상단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지지대(12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패드지지대(120)에는 복부지지패드(130)가 설치되는데, 이 복부지지패드(130)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지지하여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쿠션재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모든 재질로 형성된다.
복부지지패드(130)는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따른 패드지지대(120)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탑승자의 복부를 안정적인 각도로 지지될 수 있도록 패드지지대(12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부지지패드(13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복부지지패드(130)는 자체 탄성력 이외에 2차적인 탄성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완충스프링(131)의 개재하에 패드지지대(12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복부지지패드(130) 내에는 마사지수단(13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마사지수단(133)은 자전거 주행시에 복부지지패드(130)에 면접된 탑승자의 복부부위를 마사지하여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100)의 경우에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130)가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에 탑승자의 체중이 분산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며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복부지지패드(130) 내부에 마사지수단(133)이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시에 복무 마사지로 인해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조절작동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스실린더(210)와, 제 1 가스실린더(210)의 상단에 중앙부가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지지대(220)와, 자전거 프레임(3)의 안장포스트(5)에 일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고 패드지지대(220)의 하단에 타단이 일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가스실린더(230)와, 패드지지대(22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가스실린더(210)는 그 상단에 차후에 설명될 패드지지대(220)가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그 하단이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 1 가스실린더(210)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른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길이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도록 통상의 가스실린더로 형성된다.
자전거 프레임(3)에 대한 제 1 가스실린더(21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가스실린더(210)의 상단에는 패드지지대(220)의 중앙부가 연결되는데, 이 패드지지대(220)는 탑승자의 복부를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2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드지지대(220)는 허리를 편 상태 또는 허리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 등과 같은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관계없이 복부지지패드(240)에 의해 탑승자의 복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가 제 1 가스실린더(210)의 상단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지지대(22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자전거 프레임(3)의 안장포스트(5)와 패드지지대(220)의 하단 사이에는 제 2 가스실린더(230)의 양단이 연결되는데, 이 제 2 가스실린더(230)는 제 1 가스실린더(210)와 함께 패드지지대(220)를 안정적이면서도 자세변화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양단이 자전거 프레임(3)의 안장포스트(5)와 패드지지대(220)의 하단에 각각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 2 가스실린더(230)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른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길이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도록 통상의 가스실린더로 형성된다.
안장포스트(5)와 패드지지대(220)에 대한 제 2 가스실린더(23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패드지지대(220)에는 복부지지패드(240)가 설치되는데, 이 복부지지패드(240)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지지하여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쿠션재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모든 재질로 형성된다.
복부지지패드(240)는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따른 패드지지대(220)의 자세 변화에 관계없이 탑승자의 복부를 안정적인 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패드지지대(22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부지지패드(24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복부지지패드(240)는 자체 탄성력 이외에 2차적인 탄성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완충스프링(241)의 개재하에 패드지지대(22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복부지지패드(240) 내에는 마사지수단(24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마사지수단(243)은 자전거 주행시에 복부지지패드(240)에 면접된 탑승자의 복부부위를 마사지하여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가스실린더(210)의 하단과 패드지지대(220)의 하단은 자동복원스프링(25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자동복원스프링(2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스실린더(210)의 하단과 패드지지대(220)의 하단이 최대로 가까워지는 상태로 자동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200)의 경우에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240)가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에 탑승자의 체중이 분산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며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복부지지패드(240) 내부에 마사지수단(243)이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시에 복무 마사지로 인해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30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 중 핸들(7)의 인접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스실린더(310)와,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가스실린더(310)의 중간부위에 상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가스실린더(320)와, 제 1 가스실린더(310)의 상단에 하단이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패드지지대(330)와, 패드지지대(33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가스실린더(310)는 그 상단에 차후에 설명될 패드지지대(330)가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그 하단이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중 핸들(7)의 인접부위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 1 가스실린더(310)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른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길이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도록 통상의 가스실린더로 형성된다.
자전거 프레임(3)에 대한 제 1 가스실린더(31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가스실린더(310)의 중간부위에는 제 2 가스실린더(320)의 상단이 연결되는데, 이 제 2 가스실린더(320)는 제 1 가스실린더(310)를 자전거 프레임(3)에 대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하단이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가스실린더(320)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른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길이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도록 통상의 가스실린더로 형성된다.
제 1 가스실린더(310)과 자전거 프레임(3)에 대한 제 2 가스실린더(32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가스실린더(310)의 상단에는 패드지지대(330)의 하단이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데, 이 패드지지대(330)는 탑승자의 복부를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3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드지지대(330)는 허리를 편 상태 또는 허리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 등과 같은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관계없이 복부지지패드(340)에 의해 탑승자의 복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제 1 가스실린더(310)의 상단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가스실린더(310)에 대한 패드지지대(33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패드지지대(330)에는 복부지지패드(340)가 설치되는데, 이 복부지지패드(340)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지지하여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쿠션재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모든 재질로 형성된다.
복부지지패드(340)는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따른 패드지지대(330)의 자세 변화에 관계없이 탑승자의 복부를 안정적인 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패드지지대(33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부지지패드(34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복부지지패드(340)는 자체 탄성력 이외에 2차적인 탄성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완충스프링(341)의 개재하에 패드지지대(33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복부지지패드(340) 내에는 마사지수단(34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마사지수단(343)은 자전거 주행시에 복부지지패드(340)에 면접된 탑승자의 복부부위를 마사지하여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300)의 경우에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340)가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에 탑승자의 체중이 분산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며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복부지지패드(340) 내부에 마사지수단(343)이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시에 복무 마사지로 인해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40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 중 핸들(7)의 인접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스실린더(410)와,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가스실린더(420)와, 제 1 가스실린더(410)와 제 2 가스실린더(420)의 상단에 하측이 동시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패드지지대(430)와, 패드지지대(43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가스실린더(410)는 그 상단에 차후에 설명될 패드지지대(430)가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그 하단이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중 핸들(7)의 인접부위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 1 가스실린더(410)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른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길이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도록 통상의 가스실린더로 형성된다.
자전거 프레임(3)에 대한 제 1 가스실린더(41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에는 제 2 가스실린더(420)가 연결되는데, 이 제 2 가스실린더(420)는 제 1 가스실린더(410)와 함께 그 상단에 차후에 설명될 패드지지대(430)가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그 양단은 자전거 프레임(3)과 패드지지대(430)에 각각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 2 가스실린더(420)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른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길이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도록 통상의 가스실린더로 형성된다.
자전거 프레임(3)과 패드지지대(430)에 대한 제 2 가스실린더(42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가스실린더(410) 및 제 2 가스실린더(420)의 상단에는 패드지지대(430)의 하측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데, 이 패드지지대(430)는 탑승자의 복부를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4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드지지대(430)는 허리를 편 상태 또는 허리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 등과 같은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관계없이 복부지지패드(440)에 의해 탑승자의 복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하측이 제 1 가스실린더(410) 및 제 2 가스실린더(420)의 상단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가스실린더(410) 및 제 2 가스실린더(420)에 대한 패드지지대(43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패드지지대(430)에는 복부지지패드(440)가 설치되는데, 이 복부지지패드(340)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지지하여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쿠션재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모든 재질로 형성된다.
복부지지패드(440)는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따른 패드지지대(430)의 자세 변화에 관계없이 탑승자의 복부를 안정적인 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패드지지대(43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부지지패드(44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복부지지패드(440)는 자체 탄성력 이외에 2차적인 탄성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완충스프링(441)의 개재하에 패드지지대(43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복부지지패드(440) 내에는 마사지수단(44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마사지수단(443)은 자전거 주행시에 복부지지패드(440)에 면접된 탑승자의 복부부위를 마사지하여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가스실린더(410)의 하단과 패드지지대(430)의 하단은 자동복원스프링(45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자동복원스프링(450)은 제 1 가스실린더(410)의 하단과 패드지지대(430)의 하단이 최대로 가까워지는 상태로 자동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400)의 경우에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440)가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에 탑승자의 체중이 분산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며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복부지지패드(440) 내부에 마사지수단(443)이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시에 복무 마사지로 인해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500)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 중 핸들(7)의 인접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스실린더(510)와,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가스실린더(510)의 상단이 중앙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지지대(520)와, 패드지지대(52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스실린더(510)는 그 상단에 차후에 설명될 패드지지대(430)가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그 하단이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중 핸들(7)의 인접부위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가스실린더(510)는 탑승자의 자세에 따른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길이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도록 통상의 가스실린더로 형성된다.
자전거 프레임(3)에 대한 가스실린더(51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에는 패드지지대(520)의 하측이 연결되는데, 이 패드지지대(520)는 탑승자의 복부를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5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패드지지대(520)의 중앙부는 가스실린더(5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패드지지대(520)는 허리를 편 상태 또는 허리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 등과 같은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관계없이 복부지지패드(530)에 의해 탑승자의 복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하측은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에, 그리고 그 중앙부는 가스실린더(510)의 상단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전거 프레임(3)과 가스실린더(510)에 대한 패드지지대(52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패드지지대(520)의 상측에는 복부지지패드(530)가 설치되는데, 이 복부지지패드(530)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지지하여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쿠션재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모든 재질로 형성된다.
복부지지패드(530)는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따른 패드지지대(520)의 자세 변화에 관계없이 탑승자의 복부를 안정적인 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패드지지대(52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부지지패드(53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복부지지패드(530)는 자체 탄성력 이외에 2차적인 탄성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완충스프링(531)의 개재하에 패드지지대(52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복부지지패드(530) 내에는 마사지수단(53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마사지수단(533)은 자전거 주행시에 복부지지패드(530)에 면접된 탑승자의 복부부위를 마사지하여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500)의 경우에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530)가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에 탑승자의 체중이 분산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며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복부지지패드(530) 내부에 마사지수단(533)이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시에 복무 마사지로 인해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600)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610)과, 수평프레임(610)에 하단이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는 클램핑부재(623)가 구비되는 수직프레임(620)과, 수직프레임(620)의 클램핑부재(623)에 끼워져 수평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지지대(630)와, 패드지지대(63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6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프레임(610)은 차후에 설명될 수직프레임(620)의 설치대를 형성함과 수직프레임(62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위치조절을 위한 가이드봉을 형성하는 것으로, 자전거 프레임(3)의 핸들(7)과 안장(9) 사이 부위에의 상측에 수평되게 설치된다.
자전거 프레임(3)에 대한 수평프레임(610)의 고정설치를 위해 수평프레임(610)의 양 단부측에는 파이프클램프와 유사한 고정기구가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전술한 수평프레임(610)에는 수직프레임(620)의 하단이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는데, 이 수직프레임(620)은 차후에 설명될 패드지지대(630)를 지지고정하는 것으로, 하단에는 수평프레임(610)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클램핑부재(621)이 구비되고 상단에는 차후에 설명될 패드지지대(630)를 지지고정하기 위한 클램핑부재(623)가 구비된다.
전술한 수직프레임(620)의 클램핑부재(623)에는 패드지지대(630)가 끼워져 수평으로 연장되는데, 이 패드지지대(630)는 탑승자의 복부를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6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드지지대(630)는 허리를 편 상태 또는 허리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 등과 같은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관계없이 복부지지패드(640)에 의해 탑승자의 복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클램핑부재(623)의 고정 또는 해제에 의해 수직프레임(62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패드지지대(630)에는 복부지지패드(640)가 설치되는데, 이 복부지지패드(640)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지지하여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쿠션재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모든 재질로 형성된다.
복부지지패드(640)는 탑승자의 주행시 자세에 따른 패드지지대(630)의 위치이동에 관계없이 탑승자의 복부를 안정적인 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패드지지대(630)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부지지패드(640)의 회전각도 조절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예를 들어 나비나사, 볼트/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회전각도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공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복부지지패드(640)는 자체 탄성력 이외에 2차적인 탄성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완충스프링(641)의 개재하에 패드지지대(63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복부지지패드(640) 내에는 마사지수단(64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마사지수단(643)은 자전거 주행시에 복부지지패드(640)에 면접된 탑승자의 복부부위를 마사지하여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600)의 경우에는, 탑승자의 복부 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부지지패드(640)가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 시에 탑승자의 체중이 분산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주행이 가능하며 급정지시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탑승자가 자전거의 전방으로 튀어나가는 사고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복부지지패드(640) 내부에 마사지수단(643)이 구비됨에 따라 자전거 주행시에 복무 마사지로 인해 탑승자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3 : 자전거 프레임 5 : 안장포스트
7 : 핸들 9 : 안장
100, 200, 300, 400, 500, 600 :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110 : 고정프레임 120 : 패드지지대
130 : 복부지지패드 131 : 완충스프링
133 : 마사지수단
210 : 제 1 가스실린더 220 : 패드지지대
230 : 제 2 가스실린더 240 : 복부지지패드
241 : 완충스프링 243 : 마사지수단
250 : 자동복원스프링
310 : 제 1 가스실린더 320 : 제 2 가스실린더
330 : 패드지지대 340 : 복부지지패드
341 : 완충스프링 343 : 마사지수단
410 : 제 1 가스실린더 420 : 제 2 가스실린더
430 : 패드지지대 440 : 복부지지패드
441 : 완충스프링 443 : 마사지수단
450 : 자동복원스프링
510 : 가스실린더 520 : 패드지지대
530 : 복부지지패드 531 : 완충스프링
533 : 마사지수단
610 : 수평프레임 620 : 수직프레임
621 : 클램핑부재 623 : 클램핑부재
630 : 패드지지대 640 : 복부지지패드
641 : 완충스프링 643 : 마사지수단

Claims (20)

  1. 자전거 프레임의 안장포스트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지지대; 및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는 완충스프링의 개재하에 상기 패드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 내에는 마사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마사지수단은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4.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스실린더;
    상기 제 1 가스실린더의 상단에 중앙부가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지지대;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안장포스트에 일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패드지지대의 하단에 타단이 일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가스실린더; 및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스실린더의 하단과 상기 패드지지대의 하단을 연결하는 자동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는 완충스프링의 개재하에 상기 패드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 내에는 마사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마사지수단은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8.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 중 핸들의 인접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스실린더;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스실린더의 중간부위에 상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가스실린더;
    상기 제 1 가스실린더의 상단에 하단이 상부로 연장되는 패드지지대; 및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는 완충스프링의 개재하에 상기 패드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 내에는 마사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마사지수단은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11.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 중 핸들의 인접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스실린더;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가스실린더;
    상기 제 1 가스실린더와 상기 제 2 가스실린더의 상단에 하측이 동시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패드지지대; 및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스실린더의 하단과 상기 패드지지대의 하단을 연결하는 자동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는 완충스프링의 개재하에 상기 패드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14.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 내에는 마사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마사지수단은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15.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 중 핸들의 인접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스실린더;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에 하단이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가스실린더의 상단이 중앙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지지대; 및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는 완충스프링의 개재하에 상기 패드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 내에는 마사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마사지수단은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18. 자전거 프레임의 핸들과 안장 사이 부위에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하단이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는 클램핑부재가 구비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클램핑부재에 끼워져 수평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지지대; 및
    상기 패드지지대에 회전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복부지지패드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는 완충스프링의 개재하에 상기 패드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20.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복부지지패드 내에는 마사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마사지수단은 배터리에 의해 진동구동되는 진동자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복부지지대.
KR1020150047498A 2014-12-18 2015-04-03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 KR20160074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209 2014-12-18
KR20140183209 2014-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372A true KR20160074372A (ko) 2016-06-28

Family

ID=5636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498A KR20160074372A (ko) 2014-12-18 2015-04-03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43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8194B1 (en) 2019-10-02 2021-04-27 Lewis Gluck Bicycle sadd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327A (ko) 1998-06-10 2000-01-15 윤종용 음성인식을위한 단어 훈련방법
KR100935441B1 (ko) 2009-07-09 2010-01-06 김해수 자전거 안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327A (ko) 1998-06-10 2000-01-15 윤종용 음성인식을위한 단어 훈련방법
KR100935441B1 (ko) 2009-07-09 2010-01-06 김해수 자전거 안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8194B1 (en) 2019-10-02 2021-04-27 Lewis Gluck Bicycle sad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846A (en) Bicycle chest rest system
US9156516B2 (en) Two-wheeled battery-powered vehicle
JP5053280B2 (ja) 頭及び首の拘束システム及び装置
JP3698989B2 (ja) 頭部・首部支持装置及び首部を保護するための方法
US3376064A (en) Head and neck protector
US4978167A (en) Bicycle saddle with body support
SE521546C2 (sv) Stolstruktur för fordon
NO309709B1 (no) Sete, spesielt for kjöretöy
US9533727B2 (en) Unicycle with inner leg supports
KR20160074372A (ko) 자전거용 복부 받침대
WO2016091734A1 (en) Torso support device
KR101339077B1 (ko)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US5297846A (en) Pivoting bicycle seat assembly
KR100935441B1 (ko) 자전거 안장
US6755464B2 (en) Bicycle seat
KR200427359Y1 (ko)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자전거
US4979454A (en) Jet ski safety device
CN109562803B (zh) 自行车座椅和脚踏车
JPH05112269A (ja) ペダル操作装置用のシート
KR20150054065A (ko) 코 없는 공기 주머니 쿠션 자전거 안장
US11337884B1 (en) Apparatus allowing a user to make leaping strides while walking or running
JP2009006964A5 (ko)
KR200183326Y1 (ko) 경사가변식 등받이와 높이조절식 핸들을 장착한 자전거
JPH028851Y2 (ko)
US3737175A (en) Safety apparatus for automob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