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248A -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248A
KR20160073248A KR1020140181813A KR20140181813A KR20160073248A KR 20160073248 A KR20160073248 A KR 20160073248A KR 1020140181813 A KR1020140181813 A KR 1020140181813A KR 20140181813 A KR20140181813 A KR 20140181813A KR 20160073248 A KR20160073248 A KR 20160073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carriage
scale
heigh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40181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248A/ko
Publication of KR2016007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고가의 높이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캐리지의 실제높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1)의 전방에서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아우터 마스트(Outer Mast)(2b)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b)의 안쪽에 구비되어 마스트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이너 마스트(Inner Mast)(2a)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b)의 내측에서 상기 이너 마스트(2a)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실린더(Lift Cylinder)(20)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b)의 전방에 구비되어 리프트 체인에 의해 승강하는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서 돌출되어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실린더(20)의 외주면 또는 아우터 마스트(2b)에, 포크(7)의 실제 상승 높이(H)를 표시하는 눈금이 컬러로 표시되고, 상기 이너 마스트(2a)의 하단에, 포크(7)의 실제 높이를 확인하기 위한 눈금 지시부(22)가 컬러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Actual Height Checking Structure of Carriage for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 실린더의 외주면 또는 아우터 마스트에 캐리지의 승강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을 컬러 색상으로 표시하고, 이너 마스트의 하단에 눈금 지시부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하역 작업 시 캐리지 실제높이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려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실내 작업장에서 하물을 하역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4륜식 지게차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륜(13)과 후륜(12)을 구비하고, 엔진이 설치된 차체(1)의 전방에 마스트(Mast) 조립체(2)가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마스트(Outer Mast)(2b)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b)의 내부에 구비되어 승강하는 이너 마스트(Inner Mast)(2a)와, 상기 이너 마스트(Inner Mast)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실린더(Lift Cylinder)(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하역 작업시의 안전을 위해 틸트 실린더(Tilt Cylinder)(10)에 의해 운전석 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캐리지(4)는 리프트 체인(Lift Chain)(6)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4)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7)가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포크(7)는 좌우로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상부에는 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백 레스트(Back Rest)(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체(1)의 상부에는 운전석(9)이 구비되어 있고, 운전석(9)의 상측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1)의 후방에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11)는, 차량의 무게 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하물의 하역 작업시 차량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대형 물류창고와 같이 높은 곳에 물품을 적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하단에 포크(7)가 구비된 캐리지(4)를 최대한 높은 곳까지 상승시켜 작업을 하여야 한다(편의상 포크와 캐리지를 통칭하여 '캐리지'라 칭하기로 한다).
이 경우, 지게차의 운전자가 높이 상승된 캐리지(4)의 상승 높이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려워진다.
운전자가 캐리지(4)의 상승높이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면, 물품을 원하는 장소에 적재하기가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작업 중 캐리지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 일례로서 국내 특허공개 특1999-48652호에 개시된 지게차 포크 높이 측정장치가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아우터 마스트와 이너 마스트 사이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 지게차의 포크 높이를 측정하고 있다.
상기 지게차의 포크 높이 측정장치는, 중심외주연에 스틸와이어가 권선되어 스틸와이어의 수축팽창에 따라 회전하며, 내부에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전복원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지지하고 아우터 마스트에 고정되며 소정부위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축이 관통하고 있는 드럼고정용 평판과; 상기 드럼고정용 평판을 관통한 드럼축의 단부에 고정되어 그 회전에 따라 포크의 높이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포텐셔미터와, 상기 드럼 및 포텐셔미터를 보호 수납하고 있는 외함과; 상기 외함에 취부되고 이너 마스트에 고정되어 이너 마스트의 이동에 따라 수축 팽창하며, 드럼에 권선된 스틸와이어가 내부를 관통하며 그 끝단부에 고정되어 일체로 수축 팽창함에 따라 드럼을 회전시키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의 포크 높이 측정장치는, 대형 물류창고와 같이 정확한 높이의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에서 포크의 높이를 정확히 자동측정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편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포크 높이 측정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이어서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측정 장치를 제조하여 마스트 조립체에 부착하여야 하므로, 조립공수가 증가하고 물품의 하역 작업시 측정장치가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마스트 조립체에 이너 마스트의 상승을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부착하여 포크 및 캐리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센서를 이용하여 높이를 측정하는 방식 역시,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작업 도중 파손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 공개특허 특1999-48652호(1999. 07. 05. 공개)
(특허문헌 2) : 한국 공개실용신안 실1999-2536호(1999. 01. 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가의 높이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포크 및 캐리지의 실제높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높이 측정장치를 제조하여 마스트에 부착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제조원가 및 조립공수를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트 조립체에 별도의 높이 측정장치를 부착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측정장치가 파손될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트 실린더에 표시되는 눈금을 실제보다 2배 로 표시함으로써, 이너 마스트보다 2배 높게 상승되는 캐리지의 실제높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트 실린더의 외주에 표시되는 눈금을 컬러 색상으로 크게 표시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 높이 이상의 눈금은 적색으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작업 주의구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의 전방에서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아우터 마스트(Outer Mast)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의 안쪽에 구비되어 마스트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이너 마스트(Inner Mast)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의 내측에서 상기 이너 마스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실린더(Lift Cylinder)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의 전방에 구비되어 리프트 체인에 의해 승강하는 캐리지(Carriage)와, 상기 캐리지의 전방에서 돌출되어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실린더의 외주면 또는 아우터 마스트에, 포크 및 캐리지의 실제 상승 높이를 표시하는 눈금이 컬러로 표시되고, 상기 이너 마스트의 하단에, 포크및 캐리지의 실제 높이를 확인하기 위한 눈금 지시부가 컬러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눈금은 1:1 축척 눈금의 2배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눈금은, 상기 리프트 실린더의 양쪽 외주면 또는 아우터 마스트의 양쪽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눈금은, 정상 작업구간부와 작업 주의구간부에서 색상이 서로 다르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 주의 구간의 눈금은 적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눈금 및 눈금지시부에 형광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높이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포크 및 캐리지의 실제높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높이 측정장치를 제조하여 마스트에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 및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트 조립체에 별도의 높이 측정장치를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측정장치가 파손될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너 마스트의 상승 높이보다 2배 높게 상승되는 포크 및 캐리지의 실제높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프트 실린더의 외주면에 표시되는 눈금을 컬러 색상으로 크게 표시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 높이 이상의 눈금은 적색으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작업 주의구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게차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지게차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스트 조립체를 운전석 측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 및 캐리지 높이 확인 구조가 장착된 마스트 조립체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 및 캐리지 높이 확인 구조가 장착된 마스트 조립체에서 이너 마스트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게차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부인 마스트 조립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캐지리 실제높이 확인 구조는, 차체(1)의 전방에서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아우터 마스트(Outer Mast)(2b)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b)의 안쪽에 구비되어 마스트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이너 마스트(Inner Mast)(2a)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b)의 내측에서 상기 이너 마스트(2a)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실린더(Lift Cylinder)(20)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b)의 전방에 구비되어 리프트 체인에 의해 승강하는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서 돌출되어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실린더(20)의 외주면 또는 아우터 마스트(2b)에, 포크(7)의 실제 상승 높이(H)를 표시하는 눈금이 컬러로 표시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포크(7) 및 캐리지(4)의 상승 높이가 원통형의 리프트 실린더(20)의 외주면에 컬러로 크게 표시된다(이하, 편의상 포크 및 캐리지를 통칭하여 '캐리지'라 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지게차의 운전자는 하역 작업시 캐리지(4)의 실제 상승 높이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눈금은 실제 1:1 축척의 2배로 표시된다. 이는 이너 마스트(2a)가 상승할 때, 캐리지(4)의 상승 높이는 이너 마스트(2a)의 상승 높이의 2배가 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통상의 마스트 조립체에 있어서, 이너 마스트(2a)의 상단부에는 풀리(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고, 아우터 마스트(2b)와 캐리지(4)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체인은 이너 마스트(2a)의 풀리에 감겨진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캐리지(4)가 이너 마스트(2a) 상단부의 풀리를 경유하여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너 마스트(2a) 자체가 상승할 경우, 캐리지(4)는 체인에 의해 속도가 가속되어 이너 마스트(2a)보다 2배 빠르게 상승된다.
다시 말하면, 캐리지(4)는 이너 마스트(2a)가 이동하는 동안, 아우터 마스트(2b)에 고정되어 있는 체인에 의해 이너 마스트(2a)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속도가 가속된다.
이에 따라 실제 캐리지(4)의 이동거리는, 이너 마스트(2a)의 이동거리와 이너 마스트(2a)를 따라 이동한 캐리지(4) 자체의 이동거리를 합한 거리가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4)의 상승 높이(H)는 이너 마스트(2a)의 상승높이(h)의 2배가 되므로, 예컨대 이너 마스트(2a)가 1m 상승하면, 캐리지(4)는 2m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점을 고려하여, 리프트 실린더(20) 또는 아우터 마스트(2b)에 표시되는 눈금을 실제의 2배로 표시한다.
즉, 실제 1m의 길이를 2m로 표시하게 되면, 운전자는 이너 마스트(2a) 보다 2배로 상승되는 캐리지(4)의 실제 상승높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위치에 하물을 적재할 경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대형의 물류창고와 같이 높은 위치에 하물을 적재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캐리지(4)의 실제 상승높이를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지게차를 운전하면서 캐리지(4)의 실제 상승높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는 눈금이 리프트 실린더(20)의 한쪽에만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나, 상기 눈금은 리프트 실린더(20)의 양쪽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눈금은 아우터 마스트(2b)의 한쪽 또는 양쪽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눈금은 정상작업 구간부(20a)와 작업주의 구간부(20a)로 나누어서 표시하고, 이들의 색상을 각기 다르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작업주의 구간부(20a)는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적색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너 마스트(2a)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할 경우,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어 안전작업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눈금 및 눈금지시부(22)에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높이 확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캐리지(4)의 높이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별도의 위치 확인 장치를 지게차에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위치 확인 장치의 부착에 따른 조립공수도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캐리지(4)의 실제 상승 높이를 곧바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높은 위치에 하물을 적재할 경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눈금이 리프트 실린더의 원통 외주면에 크게 컬러로 표시되므로 시인성이 대폭 향상되며, 눈금을 형광물질로 도포하면 야간 작업시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체 2: 마스트(Mast) 조립체
2a: 이너 마스트(Inner Mast) 2b: 아우터 마스트(Outer Mast)
3: 마스트 레일(Mast Rail) 4: 캐리지(Carriage)
5: 백 레스트(Back Rest) 6: 리프트 체인(Lift Chain)
7: 포크(Fork) 8: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
9: 운전석 10: 틸트 실린더(Tilt Cylinder)
11: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12: 후륜 13: 전륜
20: 리프트 실린더(Lift Cylinder)
20a: 작업 주의구간부 20b: 정상작업 구간부
22: 눈금 지시부
H: 캐리지의 실제 상승높이
h: 이너 마스트의 상승높이

Claims (6)

  1. 차체(1)의 전방에서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아우터 마스트(Outer Mast)(2b)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b)의 안쪽에 구비되어 마스트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이너 마스트(Inner Mast)(2a)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b)의 내측에서 상기 이너 마스트(2a)를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실린더(Lift Cylinder)(20)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b)의 전방에 구비되어 리프트 체인에 의해 승강하는 캐리지(Carriage)(4)와, 상기 캐리지(4)의 전방에서 돌출되어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실린더(20)의 외주면 또는 아우터 마스트(2b)에, 포크(7)의 실제 상승 높이(H)를 표시하는 눈금이 컬러로 표시되고,
    상기 이너 마스트(2a)의 하단에, 포크(7)의 실제높이를 확인하기 위한 눈금 지시부(22)가 컬러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1:1 축척 눈금의 2배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상기 리프트 실린더(20)의 양쪽 외주면 또는 아우터 마스트(2b)의 양쪽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정상 작업구간부(20a)와 작업 주의구간부(20a)에서 색상이 서로 다르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주의 구간의 눈금은 적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 및 눈금지시부(22)에 형광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KR1020140181813A 2014-12-16 2014-12-16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KR20160073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813A KR20160073248A (ko) 2014-12-16 2014-12-16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813A KR20160073248A (ko) 2014-12-16 2014-12-16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248A true KR20160073248A (ko) 2016-06-24

Family

ID=5634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813A KR20160073248A (ko) 2014-12-16 2014-12-16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24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536A (ko) 1997-06-20 1999-01-15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후면배기구조
KR19990048652A (ko) 1997-12-10 1999-07-05 이해규 지게차 포크 높이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536A (ko) 1997-06-20 1999-01-15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후면배기구조
KR19990048652A (ko) 1997-12-10 1999-07-05 이해규 지게차 포크 높이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64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ight determination and closed loop speed control
US8881919B2 (en) System for measuring length of a beam extension and detecting support
EP2470465B1 (en) Lifting device and lifting vehicle
CN108137300B (zh) 叉车
US8779306B2 (en) Weight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orklifts
US3883021A (en) Fork level indicator for a lift truck
US20160041028A1 (en) Vehicle wheel speed-based determination or estimation of a load weight of a load carried by a commercial vehicle
US20090319134A1 (en) Industrial truck with optical lifting height measurement
KR20200013544A (ko) 지게차
EP3573920A1 (en) Lifting device, such as a forklift truck and pallet truck, provided with a sensor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5994650A (en) Safety system for lift trucks
JP7332088B2 (ja) テレスコーピング及び計量フォークの組み合わせ
KR20110128016A (ko) 차량용 계근장치
KR101863309B1 (ko) 지게차의 안전 장치
KR20160073248A (ko) 지게차의 캐리지 실제높이 확인 구조
CN109437012B (zh) 集装箱敞车对中装置及集装箱吊具
CN210313282U (zh) 电动葫芦及起重装置
EP3283429B1 (en) A lifting vehicle incorporating a load monitor
KR20020038124A (ko) 차량무게 중심 측정기
US20220162048A1 (en) Carrier for a Lifting Device, Lifting Device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Therefor
JP3112721U (ja) 車両試験装置
KR100856939B1 (ko) 지게차용 실시간 화물 중량 측정장치
JP2010083669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許容積載荷重判定装置
WO2019027321A1 (en) PALLET LOAD PROTECTIVE DEVICE, FORK LIFTING TRUCK EQUIPPED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LOAD PROTECTION ON A PALLET
KR20130044168A (ko) 산업용 트럭의 짐 지지 장치의 리프트 높이를 연속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