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492A -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및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및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2492A KR20160072492A KR1020140180185A KR20140180185A KR20160072492A KR 20160072492 A KR20160072492 A KR 20160072492A KR 1020140180185 A KR1020140180185 A KR 1020140180185A KR 20140180185 A KR20140180185 A KR 20140180185A KR 20160072492 A KR20160072492 A KR 201600724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line
- phase
- aperture
- tuning disk
- microstrip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H01P1/181—Phase-shifters using ferroelectric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H01P1/182—Waveguide phase-shifters
Landscapes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Abstract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및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르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는, 그라운드 플레인 상에, 전송선로 중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어퍼쳐를 포함하는 DGS 및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는 튜닝 디스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및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민군 공항 및 표지소에는 항공기에 방위 및 거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타칸 (TACAN, TACtical Air Navigation) 시스템과 같은 항행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타칸 시스템은 안테나 내부에 36개의 라디에이터(radiator)에 일정한 차이를 갖는 위상 변조신호를 인가하고, 그 신호를 항공기에 전송함으로써, 항공기가 방위각 정보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타칸 시스템의 주장비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안테나 입력포트를 통해 '3 웨이 디바이더(3 way divider) → 케이블(cable) → 12 웨이 디바이더(12 way divider) → 케이블 → 라디에이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공간으로 방사될 수 있다. 이때, 타칸 시스템의 특성 중 하나는, 입력포트부터 36개의 라디에이터까지의 위상 편차를 항공기에 잘못된 방위각을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36개의 라디에이터의 자체 위상 편차는 방위각 정보의 오차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항공기에 잘못된 방위각 정보가 전송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동 위상을 갖도록 하거나 규격 이내로 위상 편차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그러나, 타칸 시스템의 안테나를 조립한 후에 위상 편차가 규격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안테나를 해체 후 재조립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시간 및 인력이 상당히 소요되어 효율적인 운용 및 관리가 어렵게 할 수 있으며, 항공기의 안전 운항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기적 또는 물리적 허용 오차로 인해 발생되는 위상 편차를 안테나의 구조적인 해체 없이, 미세하고 간단하게 조정하여 위상을 가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DGS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튜닝 디스크를 이용하여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여, 장비의 해체 및 교체 없이 간단하게 위상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는, 그라운드 플레인 상에, 전송선로 중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어퍼쳐를 포함하는 DGS(Defected Ground Structure) 및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는 튜닝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으로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은, 그라운드 플레인 상에, 전송선로 중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어퍼쳐를 포함하는 DGS를 제작하는 단계와, 튜닝 디스크와 상기 어퍼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간격에 따라,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DGS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튜닝 디스크를 이용하여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여, 장비의 해체 및 교체 없이 간단하게 위상을 조정할 수 있고, 송신 출력의 부가적인 손실 없이 위상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GS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닝 디스크가 상하 이동을 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닝 디스크의 상하 이동에 따른 병렬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GS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닝 디스크가 상하 이동을 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닝 디스크의 상하 이동에 따른 병렬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및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은 유전 기판에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상의 그라운드 플레인에 어퍼쳐를 갖는 DGS 및 전송선로를 접합시키고 튜닝 디스크를 이용하여 위상을 가변함으로써, 구조적인 해체 없이 간단하게 위상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및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은 타칸 시스템의 안테나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나, 그 외에도 RF(Radio Frequency) 장치를 사용하는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이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라 약칭함, 100)는 DGS(110) 및 튜닝 디스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유전 기판(130)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DGS(110)는 그라운드 플레인(Ground Plane) 상에, 전송선로 중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어퍼쳐를 포함한다. 즉, DGS(110)는 전송선로 상의 일부와 형태 같은 어퍼쳐를 그라운드 플레인 위에 포함한 것일 수 있다. DGS(110)에서의 상기 어퍼쳐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인덕턴스(Inductance) 및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은 결정될 수 있고, 결정된 값은 전송선로에 반영될 수 있다.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 값이 클수록 위상 변화는 클 수 있지만,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손실은 증가할 수 있다. DGS(1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유전 기판(130)은 상기 어퍼쳐를 기준으로, 상기 DGS와 상기 전송선로를 양면에 각각 접합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유전 기판(130)은 유전 기판(130)의 양면에 DGS(110) 및 전송선로를 접합하여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유전 기판(130)은 어퍼쳐를 기준으로 접합할 수 있는데, 전송선로와 어퍼쳐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부분이 일치하도록 접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전 기판(130)은 어퍼쳐를 중심으로, 유전 기판(130)의 상부에 전송선로를 접합하고, 유전기판(130)의 하부에 DGS(110)를 접합하여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GS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GS(210)는 그라운드 플레인(220) 상에 어퍼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어퍼쳐는 전송선로(230) 중 적어도 일부가 같은 형태인 것으로, 도 2(a)에서의 어퍼쳐는 전송선로(230)의 사각 모양과 동일한 모양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DGS(210)는 그라운드 플레인(220)위에 사각형의 어퍼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DGS(210)는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 값이 클수록 위상 변화가 큰 반면 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단순한 형태와 최소화된 크기로 형성된 어퍼쳐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쳐의 형태 및 크기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기판(240)은 유전기판(240)의 양면으로 DGS(210) 및 전송선로(230)를 접합하여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2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유전기판(240)의 상부에는 전송선로(230)가 접합되고, 유전기판(240)의 하부에는 어퍼쳐를 갖는 DGS(210)가 접합된 구조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튜닝 디스크(120)는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한다. 즉, 튜닝 디스크(120)는 어퍼쳐와 겹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때 튜닝 디스크(120)는 어퍼쳐와 튜닝 디스크(1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할 수 있다. 튜닝 디스크(1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300)는 DGS(310)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및 튜닝 디스크(320)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은 그라운드 플레인(340)에 전송선로(330)와 동일한 모양의 어퍼쳐를 갖는 DGS(310)와, 전송선로(330) 및 유전 기판(350)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튜닝 디스크(320)는 어퍼쳐가 위치한 곳에 구성될 수 있다. 튜닝 디스크(320)는 튜닝 디스크(320)가 어퍼쳐와 이루는 간격에 따라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상기 그라운드 플레인은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밑변과 선정된 거리로 이격되고, 튜닝 디스크(120)는 상기 이격된 거리 사이에서 나선 운동하여,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즉, 튜닝 디스크(120)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밑변과 그라운드 플레인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나선 운동할 수 있고, 나선 운동을 통하여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튜닝 디스크(120)는 나사선으로 설계된 금속봉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나선 운동할 수 있다. 즉, 튜닝 디스크(120)는 나사선을 갖는 금속봉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고, 금속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나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실시자가 원하는 위상을 가변한 후, 튜닝 디스크(120)는 실시자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튜닝 디스크(120)의 나사선에는 너트가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튜닝 디스크(120)는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상기 전송선로와 그라운드 사이의 병렬 커패시턴스로 환산하여,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할 수 있다. 즉, 튜닝 디스크(120)는 상하로 이동하는 나선 운동을 할 수 있는데, 튜닝 디스크(12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어퍼쳐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이때, 튜닝 디스크(120)는 튜닝 디스크(120)와 어퍼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전송선로와 그라운드 사이의 병렬 커패시턴스를 가변함으로써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튜닝 디스크(120)는 상기 환산되는 커패시턴스를 고려하여, 헤드부의 최대 크기, 또는 상기 어퍼쳐와의 최소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튜닝 디스크(120)는 튜닝 디스크(120)에서의 헤드부의 크기가 클수록, 어퍼쳐와의 간격이 가까울수록 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헤드부의 크기 및 어퍼쳐와의 간격을 환산되는 커패시턴스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튜닝 디스크(120)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닝 디스크가 상하 이동을 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400)에서 튜닝 디스크(410)는 상하로 이동하는 나선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플레인(420)과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밑변(430)은 선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구조일 수 있고, 튜닝 디스크(410)는 그라운드 플레인(420)과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밑변(4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튜닝 디스크(410)는 그라운드 플레인(420)과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밑변(430) 사이에 이격된 거리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는 나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정된 거리는 튜닝 디스크(41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할 수 있고, 상기 범위에 따라 전송선로의 위상이 가변하는 범위가 될 수 있다.
또한, 튜닝 디스크(410)는 튜닝 디스크(410)의 높이에 따라 전송선로와 그라운드 사이의 병렬 커패시턴스 'Cv'를 가변할 수 있다. 즉, 튜닝 디스크(410)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송선로와 그라운드 사이의 병렬 커패시턴스 'Cv'를 가변시킬 수 있다. 튜닝 디스크(410)는 커패시턴스 'Cv'의 변화에 따라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닝 디스크의 상하 이동에 따른 병렬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GS의 커패시턴스 'C', 인덕턴스 'L' 및 저항 'R'과 같은 기생성분에 의한 등가회로는 'jXL'로 표현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닝 디스크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튜닝 디스크와 어퍼쳐 간의 간격은 달라질 수 있고, 또한 상기 간격에 따라 전송선로와 그라운드 사이의 병렬 커패시턴스 'Cv'는 가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DGS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 튜닝 디스크가 상하로 이동하여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할 수 있다. 즉,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튜닝 디스크가 DGS의 어퍼쳐와 이루는 간격에 따라 위상을 가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선로의 위상 및 손실이 변화하는 결과는 튜닝 디스크와 어퍼쳐 사이의 간격이 변화함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항행 장비(예컨대, 타칸 시스템)의 안테나는 규격 이내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항행 장비의 종류에 따라 DGS의 어퍼쳐의 형태, 크기를 결정하고, 튜닝 디스크의 헤드부 크기 및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위상 및 손실의 결과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유전 기판에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상의 그라운드 플레인에 어퍼쳐를 갖는 DGS 및 전송선로를 접합시키고 튜닝 디스크를 이용하여 위상을 가변함으로써, 장비의 해체 및 교체 없이 간단하게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송신 출력의 부가적인 손실 없이 위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비의 위상 편차를 해체 없이 외부의 간단한 튜닝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DGS의 아래면에 튜닝 disk를 추가한 구조를 기술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은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그라운드 플레인 상에, 전송선로 중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어퍼쳐를 포함하는 DGS를 제작한다(710). 즉, 단계(710)은 전송선로 상의 일부와 형태 같은 어퍼쳐를 그라운드 플레인 위에 포함한 DGS를 제작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때, DGS)에서 어퍼쳐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 값이 결정되어, 전송선로에 반영될 수 있다.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 값이 클수록 위상 변화는 클 수 있지만, 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튜닝 디스크와 상기 어퍼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720). 즉, 단계(720)은 어퍼쳐와 겹치는 곳에 위치한 튜닝 디스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단계(720)은 상기 그라운드 플레인과,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밑변 간의 이격된 거리 사이에서 상기 튜닝 디스크가 나선 운동하여,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단계(720)은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밑변과 그라운드 플레인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튜닝 디스크가 나선 운동할 수 있고, 튜닝 디스크의 나선 운동을 통하여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여기서, 단계(720)은 상기 튜닝 디스크가 나사선으로 설계된 금속봉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나선 운동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단계(720)은 튜닝 디스크가 나사선을 갖는 금속봉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고, 금속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나선 운동을 하는 과정일 수 있다.
계속해서,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상기 조정된 간격에 따라,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한다(730). 즉, 단계(730)은 튜닝 디스크가 어퍼쳐와 이루는 간격에 따라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단계(730)은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상기 전송선로와 그라운드 사이의 병렬 커패시턴스로 환산하여,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튜닝 디스크를 상하로 이동하는 나선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는데, 튜닝 디스크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어퍼쳐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이때,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튜닝 디스크와 어퍼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전송선로와 그라운드 사이의 병렬 커패시턴스를 가변함으로써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상기 환산되는 커패시턴스를 고려하여, 상기 튜닝 디스크에서의 헤드부의 최대 크기, 또는 상기 튜닝 디스크와 상기 어퍼쳐 사이의 최소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튜닝 디스크에서의 헤드부의 크기가 클수록, 어퍼쳐와의 간격이 가까울수록 손실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헤드부의 크기 및 어퍼쳐와의 간격을 환산되는 커패시턴스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상기 어퍼쳐를 기준으로, 상기 DGS와 상기 전송선로를, 유전 기판의 양면에 각각 접합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유전 기판의 양면에 DGS 및 전송선로를 접합하여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어퍼쳐를 기준으로 접합할 수 있는데, 전송선로와 어퍼쳐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부분이 일치하도록 접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100)는 어퍼쳐를 중심으로, 유전 기판의 상부에 전송선로를 접합하고, 유전기판의 하부에 DGS를 접합하여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은 유전 기판에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상의 그라운드 플레인에 어퍼쳐를 갖는 DGS 및 전송선로를 접합시키고 튜닝 디스크를 이용하여 위상을 가변함으로써, 장비의 해체 및 교체 없이 간단하게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은 송신 출력의 부가적인 손실 없이 위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110 : DGS
120 : 튜닝 디스크
130 : 유전 기판
110 : DGS
120 : 튜닝 디스크
130 : 유전 기판
Claims (12)
- 그라운드 플레인 상에, 전송선로 중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어퍼쳐를 포함하는 DGS(Defected Ground Structure); 및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는 튜닝 디스크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플레인은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밑변과 선정된 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튜닝 디스크는,
상기 이격된 거리 사이에서 나선 운동하여,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디스크는,
나사선으로 설계된 금속봉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나선 운동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디스크는,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상기 전송선로와 그라운드 사이의 병렬 커패시턴스로 환산하여,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디스크는,
상기 환산되는 커패시턴스를 고려하여, 헤드부의 최대 크기, 또는 상기 어퍼쳐와의 최소 간격을 결정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쳐를 기준으로, 상기 DGS와 상기 전송선로를 양면에 각각 접합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형성하는 유전 기판
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 그라운드 플레인 상에, 전송선로 중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어퍼쳐를 포함하는 DGS를 제작하는 단계;
튜닝 디스크와 상기 어퍼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간격에 따라,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라운드 플레인과,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밑변 간의 이격된 거리 사이에서 상기 튜닝 디스크가 나선 운동하여,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튜닝 디스크가 나사선으로 설계된 금속봉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나선 운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어퍼쳐와의 간격을, 상기 전송선로와 그라운드 사이의 병렬 커패시턴스로 환산하여, 상기 전송선로의 위상을 가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은,
상기 환산되는 커패시턴스를 고려하여, 상기 튜닝 디스크에서의 헤드부의 최대 크기, 또는 상기 튜닝 디스크와 상기 어퍼쳐 사이의 최소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쳐를 기준으로, 상기 DGS와 상기 전송선로를, 유전 기판의 양면에 각각 접합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0185A KR101650254B1 (ko) | 2014-12-15 | 2014-12-15 |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및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0185A KR101650254B1 (ko) | 2014-12-15 | 2014-12-15 |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및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2492A true KR20160072492A (ko) | 2016-06-23 |
KR101650254B1 KR101650254B1 (ko) | 2016-08-22 |
Family
ID=5635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0185A KR101650254B1 (ko) | 2014-12-15 | 2014-12-15 |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및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025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2429A (ko) * | 2003-05-27 | 2004-12-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임피던스 조절이 용이한 스트립라인 |
KR20080062390A (ko) * | 2006-12-29 | 2008-07-03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결함 접지 구조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 |
KR101375581B1 (ko) * | 2013-04-26 | 2014-03-18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변형 결함 접지 구조의 회로 소자 및 그 구성 방법 |
-
2014
- 2014-12-15 KR KR1020140180185A patent/KR1016502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2429A (ko) * | 2003-05-27 | 2004-12-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임피던스 조절이 용이한 스트립라인 |
KR20080062390A (ko) * | 2006-12-29 | 2008-07-03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결함 접지 구조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 |
KR101375581B1 (ko) * | 2013-04-26 | 2014-03-18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변형 결함 접지 구조의 회로 소자 및 그 구성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Dong Yan, "Mechanically Tunable RF/Microwave Filters: from a MEMS Perspective",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2007년.*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0254B1 (ko) | 2016-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9128214A1 (zh) | 多模介质滤波器及其调试方法 | |
US9257963B1 (en) | Impedance tuners with rotating probes | |
KR100932915B1 (ko) | 방사방향 제어장치 및 방법 | |
KR101937227B1 (ko) | 안테나 구동 기반의 테스트 시스템 | |
US9813264B2 (en) | Millimeter wave phase shifters using tunable transmission lines | |
WO2014140791A1 (en) | Electrically steerable passive array radiator antenna with reconfigurable radiation pattern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 same | |
JP2014158188A (ja) | 移相回路およびアンテナ装置 | |
US8789003B1 (en) | Millimeter wave phase shifters using tunable transmission lines | |
US20210344112A1 (en) | Millimeter Wave Radio Frequency Phase Shifter | |
WO2015116263A1 (en) | Wirelessly connecting an aircraft at an airport | |
CN103107387B (zh) | 具有滤波元件的移相器以及滤波元件和天线 | |
KR101721689B1 (ko) | 공진 주파수 가변 장치 및 공진 주파수 가변 방법 | |
KR101650254B1 (ko) |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서의 전송선로 위상 가변 장치 및 전송선로 위상 가변 방법 | |
KR101900751B1 (ko) | 조정가능한 위상-반전 결합 루프 | |
KR20180064054A (ko) | Pimd 성능 개선을 위한 광대역 대역결합기 | |
CN105489986A (zh) | 基于基片集成波导结构的双通带巴伦滤波器 | |
US9799955B2 (en) | Two-dimensional electronically steerable antenna | |
WO201709270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riving spatial sequence of multiple objects on interactive surface | |
US10855114B2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patch antenna | |
KR101559650B1 (ko) | 빔공간 mimo 기반의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101740805B1 (ko) | 가변 대역 통과 필터 장치 | |
Qu | Research on signal of field monitor of 7220A localizer beacon subsystem of ILS | |
US1059428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ase of signal | |
US9831538B2 (en) | Tunable filter comprising a microstrip patch having symmetrical slots, asymmetrical feed lines and a plurality of diodes | |
CA3088733C (en) | Broadband probes for impedance tun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