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971A -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971A
KR20160071971A KR1020140179862A KR20140179862A KR20160071971A KR 20160071971 A KR20160071971 A KR 20160071971A KR 1020140179862 A KR1020140179862 A KR 1020140179862A KR 20140179862 A KR20140179862 A KR 20140179862A KR 20160071971 A KR20160071971 A KR 20160071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contents
container
moving
press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수 filed Critical 박현수
Priority to KR1020140179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971A/ko
Publication of KR2016007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배출부가 형성되고 유동성을 갖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사용되는 잔류물 이동장치에 있어서, 이동부, 및 이 이동부의 하측으로 내용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부압에 의해 이동부를 안내하기 위해 공기실(air cavity)을 형성하기 위한 부압공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압이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용기 내부 벽면에 묻은 내용물의 잔류물을 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긁어내어 내용물의 낭비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CONTAINER HAV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 벽면에 묻은 내용물의 잔류물을 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긁어내어 내용물의 낭비나 손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담긴 액체 상태의 유체는, 용기에 구비된 배출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용기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거나 흡입하여 유체를 배출시키거나, 또는 용기를 뒤집어서 배출공이 하측을 향하게 하므로, 유체는 배출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된다.
특히, 유체는 용기 내에서 직접 토출되는 구조에서 점도가 있기 때문에 용기 내벽에 상당량이 잔존함으로써 낭비 내지는 손실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05-051076호(발명의 명칭: 압력용기)에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가스를 충진하여 가스와 내용물의 접촉에 따른 불필요한 화학변화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85606호(발명의 명칭: 유체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부재)에는 액체상태의 유체가 균일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가스를 충진하는 챔버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출렁임에 따라 챔버가 많이 흔들리게 되며, 이로 인해 용기 벽면의 묻은 잔류물의 유실율이 큰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가스를 충진 후 밀폐하는 챔버의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유체는 용기 내에서 직접 토출되는 구조에서 점도가 있기 때문에 용기 내벽에 상당량이 잔존함으로써 낭비 내지는 손실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액상 내용물 중 점성이 있는 것은 용기의 내벽 또는 바닥에 남아 있어 내용물을 모두 소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잔류 내용물이 상당히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비경제적인 잔류 내용물의 낭비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잔류 내용물의 유출 시 수질을 오염시키는 등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용기의 재활용을 위해 처리되는 과정에서, 용기의 세척이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압이동부와 부압공기부를 포함하는 이동부가 용기 내에서 내용물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용기 내부 벽면에 묻은 내용물의 잔류물을 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긁어내어 내용물을 최대한 토출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내용물의 낭비나 손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향하는 이동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내용물에 의해 밀폐되는 공기실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며 감소시 부압이 발생됨에 따라 이동부가 자연스럽게 내용물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부의 부압이동부를 통해 용기 벽면의 잔류물을 최대한 긁어모을 수 있도록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점성의 액상 내용물이 용기의 내벽 등에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하여 용기 내의 잔류 내용물을 소진하도록 유도하여 자원의 낭비를 줄이기 위한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음료수와 같은 액상 내용물의 경우 흡인 빨대를 통해 액상 내용물이 흡인되도록 하며, 용기를 기울였을 때에도 액상 내용물이 밖으로 흐르지 않고 빨대를 통해서만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의 상부면을 고정하여, 이동 또는 회전 시 기울임이 없이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하는 기기 구성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잔류물 이동장치를 다른 용기에 다시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환경쓰레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는: 일측에 배출부가 형성되고, 유동성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사용되는 잔류물 이동장치에 있어서, 이동부; 및 상기 내용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감소하는 내용물 방향으로 부압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이동부에 내용물 감소 방향으로 개방된 열린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이 밀폐된 공기실(air cavity)을 형성하기 위한 부압공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의 내용물 측 부위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내용물 측으로 열린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부압공기부를 형성하도록 구획되고, 상기 열린 공간 중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공기실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내용물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상기 부압공기부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여 상기 부압공기부를 포함하는 부압이동부가 상기 내용물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는 상기 이동부 중 일부분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는 외부로부터 공기 인입이 이루어지는 상기 용기의 본체공기부와 별도로 격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이동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는 스크래퍼(scraper)를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에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잔류물을 긁어내리도록 상기 용기의 내측면과 단순 접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부압이동부의 상측, 둘레면 및 하측 중 어느 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용기의 내측면 하단에 묻은 잔류물을 긁어낼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용기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토출관을 내용물에 접하도록 하는 토출관 통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관 통과부는 격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부압공기부와 통하지 않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토출관 통과부 내에서 공기 밀실하지 않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용물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인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압공기부는 상기 내용물의 토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의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 부위가 용기의 내측면에 접하여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는 공기 저장 공간을 확장하거나 상기 내용물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 방향으로 공기포위벽을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는 공기 저장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공기포위벽을 따라 내용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볼록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토출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상기 토출관에 접하여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밀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이동부에 형성되며, 별도로 분리된 구성이 끼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용기의 내벽에 접하여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끝단이 탄성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부압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에, 별도로 분리된 구성이 끼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상기 배출부 측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내용물이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부압공기부를 상기 이동부에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압공기부와 상기 부압이동부 이외의 부분이 폐쇄 또는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는 복수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부압공기부는 다른 부압공기부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를 통해 다른 부압공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는 구획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테두리를 따라 마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어내는 요철돌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에 리브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어내기 위해 상기 스크래퍼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는 단수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포위벽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연장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위치 이동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는: 일측에 배출부가 형성되고, 유동성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부압(negative pressure)에 의해 감소되는 상기 내용물 방향으로 이동되는 잔류물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잔류물 이동장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감소하는 내용물 방향으로 개방된 열린 공간을 구획되게 형성하여, 상기 내용물의 토출시, 상기 열린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공기실(air cavity)의 부압에 의해 상기 이동부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잔류물 이동장치는, 상기 이동부의 하측으로 상기 내용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부압에 의해 상기 이동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공기실(air cavity)을 형성하기 위한 부압공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압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용물을 상기 배출부로 토출 안내하는 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잔류물 이동장치는 상기 토출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는 상기 이동부 중 일부분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는 외부로부터 공기 인입이 이루어지는 상기 용기의 본체공기부와 별도로 격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상기 배출부 측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이동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는 스크래퍼(scraper)를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에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잔류물을 긁어내리도록 상기 용기의 내측면과 단순 접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용기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토출관을 상기 내용물에 접하도록 하는 토출관 통과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토출관 통과부는 격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부압이동부 내에 구비되는 상기 부압공기부와 통하지 않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토출관 통과부 내에서 공기 밀실되지 않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용물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인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압공기부는 상기 내용물의 토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의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 부위가 용기의 내측면에 접하여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는 공기 저장 공간을 확장하거나 상기 내용물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 방향으로 공기포위벽을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를 상기 이동부에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압공기부와 상기 부압이동부 이외의 부분이 폐쇄 또는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는 복수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부압공기부는 다른 부압공기부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를 통해 다른 부압공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압공기부는 구획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에 리브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어내기 위해 상기 스크래퍼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부압이동부와 부압공기부를 포함하는 이동부가 용기 내에서 내용물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용기 내부 벽면에 묻은 내용물의 잔류물을 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긁어내어 내용물을 최대한 토출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내용물의 낭비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향하는 이동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내용물에 의해 밀폐되는 공기실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며 감소시 부압이 발생됨에 따라 이동부가 자연스럽게 내용물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부의 부압이동부를 통해 용기 벽면의 잔류물을 최대한 긁어모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토출관이 토출관 통과부와 공기 기밀하게 밀착되지 않고, 자유 이동 가능하게 이동부와 분리되어 구성이 간단하며,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압공기부를 내용물에 의해 밀폐되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부압 공기실에 의해 만들어짐에 따라 별도의 기밀성 유지를 위한 설비가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점성의 액상 내용물이 용기의 내벽 등에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하여 용기 내의 잔류 내용물을 소진하도록 유도하여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부 둘레 부위가 용기의 내측면에 접하여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료수와 같은 액상 내용물의 경우 흡인 빨대를 통해 액상 내용물이 흡인되도록 하며, 용기를 기울였을 때에도 액상 내용물이 밖으로 흐르지 않고 빨대를 통해서만 토출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의 상부면을 고정하여, 이동 또는 회전 시 기울임이 없이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하는 기기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잔류물 이동장치를 다른 용기에 다시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환경 쓰레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잔류물을 긁으며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내용물 수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부설된 내용물 수용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부설된 내용물 수용 용기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부설된 내용물 수용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부설된 내용물 수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부설된 내용물 수용 용기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용 용기(10)는 내부에 유동성을 갖는 내용물(2)이 저장된다. 내용물(2)은 액체나 분말 등 유동성을 갖는다. 그리고, 용기(10)는 저장된 내용물(2)을 토출 가능하도록 일측에 배출부(12)를 형성한다. 배출부(12)는 용기(10)의 개방측으로서, 편의상, 용기(10)의 상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용기(10)는 내용물(2) 저장이나 보충이 용이하도록 덮개(14)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덮개(14)는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용기(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배출부(12)는 덮개(14)에 형성된다. 물론, 용기(10)와 덮개(1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배출부(12)에는 토출관(20)이 삽입된다. 토출관(20)은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2)을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토출관(20)은 하측이 내용물(2)에 접한 채 배출부(12)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된다.
물론, 내용물(2)이 저장된 용기(10)의 하측에 배출부(12)가 형성될 경우, 내용물(2)이 개방된 배출부(12)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됨으로써, 토출관(20)은 필요치 않게 된다. 이때, 배출부(12)는 내용물(2)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된다. 용기(10)의 배출부(12) 형성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즉, 내용물(2)은 용기(10)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도 있고, 하측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토출관(20)의 직경, 개수, 크기 및 재질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용기(10)의 내용물(2)은 외력에 의해 토출관(2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예로서, 토출관(20)의 상측에는 디스펜서 장치(30)가 구비된다. 디스펜서 장치(30)가 강제 펌핑 작동됨으로써,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2)은 일정량씩 토출관(20)을 따라 유동되며 디스펜서 장치(30)를 통과 후 토출된다. 이때, 디스펜서 장치(30)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작동에 대한 상세 도면은 생략한다. 디스펜서 장치(30)가 토출관(20)의 상측에서 펌핑 작동됨에 따라, 토출관(20)은 배출부(12)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특히,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2)은 토출관(20)을 통해 배출되지만, 용기(10)는 내측면에 내용물(2)의 잔류물이 많이 묻어있게 된다. 즉,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2)은 상당량이 토출되지 않은 채 버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10)는 내부에 잔류물 이동장치(100)를 구비한다.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토출관(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용물(2)의 토출시 부압(negative pressure)에 의해 감소되는 내용물(2) 방향으로 이동된다.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토출로 인해 내용물(2)의 감소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용기(10) 내측면에 묻어있는 잔류물을 긁어서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2)에 모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용기(10)는 내용물(2)과 공기가 평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내용물(2)이 토출관(20)을 통해 토출되는 만큼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감소되는 내용물(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이동부(110)를 포함한다.
이동부(110)는 용기(10) 내부에서 내용물(2)의 상부에 위치한다. 특히, 내용물(2)이 용기(10) 내부에서 공기의 하측에 위치할 경우, 이동부(110)는 하중으로 내용물(2)을 눌러줌으로써, 잔류물을 긁어서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2)에 모으는 것을 좀 더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10)는 토출관(20)에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토출관(20)이 토출관 통과부(116)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110)에 결속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토출관 통과부(116)는 평면상 이동부(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토출관 통과부(116)는 홀(hole)이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토출관(20)이 복수 개 일 경우, 토출관 통과부(116)는 이동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 궤적을 따라 일정간격 유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토출관(20)은 토출관 통과부(116) 내에서 공기 밀실하지 않게 삽입된다. 즉, 토출관(20)의 직경이 토출관 통과부(116)의 직경보다 소정 작게 형성되어, 공기는 토출관(20)이 삽입된 상태의 토출관 통과부(116)를 따라 이동하거나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토출관 통과부(116)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최대의 직경으로 형성될 경우, 이동부(110)는 토출시 출렁이는 내용물(2)에 의해 많이 흔들리게 된다. 그래서, 토출관 통과부(116)는 부싱(bushing,117)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관(20)은 부싱(117)에 축 삽입된다. 부싱(117) 내측면이 토출관(20) 둘레면과 접함으로써, 이동부(110)는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이동부(110)에 의해 내용물(2)과 분리되는 본체공기부(11)인 토출관 통과부(116)의 내부가 부압공기부(130)와 격리되도록, 이동부(110)는 토출관 통과부(116)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격벽(118)을 연장 형성한다. 또한, 격벽(118)은 토출관(20)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동되거나 정지된 이동부(110)는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물론, 격벽(118)은 길이가 한정되지 않고, 이동부(110)에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부싱(117)은 토출관 통과부(116)와 격벽(118)에 걸쳐 끼워진다.
또한, 이동부(110)는 완전히 막혀 있지 않는 상태도 포함한다. 즉, 이동부(110)는 부압공기부(130)와 부압이동부(120)를 연결하고, 부압공기부(130)와 부압이동부(120) 이외의 부분이 폐쇄 또는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2)을 향하는 이동부(110)의 일측 중 적어도 일부분은 내용물(2) 방향으로 개방된 열린 공간(1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열린 공간(112)의 적어도 일부분은 밀폐된 공기실(air cavity,114)을 형성한다. 즉, 이동부(110)가 내용물(2)에 접하거나 부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열린 공간(112)은 내부 일부에 내용물(2)이 유입된다. 이로 인해, 열린 공간(112)에는 밀폐된 채 공기가 잔류하고 있는 공기실(114)이 형성된다.
내용물(2)의 토출시, 이동부(110)는 열린 공간(112)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공기실(114)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감소되는 내용물(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부(110)는 내용물(2)의 감소되는 방향을 따라 용기(10)의 내부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편의상, 내용물(2)은 용기(10)의 내부 하측에 저장된 채 용기(10)의 상측으로 토출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이동부(110)는 용기(10)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부압이동부(120)와 부압공기부(13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부압이동부(120)와 부압공기부(130)는 이동부(110)에 형성된다.
부압공기부(130)는 이동부(11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고, 부압이동부(120)는 이동부(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열린 공간(112)과 공기실(114)은 부압공기부(130)에 포함된다.
특히, 부압공기부(130)는 공기포위벽(134)을 포함한다. 공기포위벽(134)은 이동부(110)에서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공기포위벽(134)은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공기포위벽(134)은 내용물(2)을 향하는 이동부(110)의 일측에 공기를 가두어 잔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기포위벽(134)은 열린 공간(112)에 공기 저장 공간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포위벽(134)으로 인해, 밀폐된 공기실(114)이 구비됨에 따라, 가둬진 공기의 양이 확보됨으로써,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격벽(118)은 공기포위벽(134)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공기포위벽(134)과 동일 높이 또는 다른 높이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격벽(118)의 높이가 공기포위벽(134)의 높이와 동일한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부압공기부(130)는 볼록부(136)를 포함한다. 볼록부(136)는 이동부(110)에서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열린 공간(112)이 확장된다. 이로 인해, 볼록부(136)는 열린 공간(112)에 공기 저장 공간을 더욱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볼록부(136)로 인해, 밀폐된 공기실(114)이 더욱 확장됨에 따라, 가둬진 공기의 양이 좀 더 증가함으로써, 부압이 더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볼록부(136)는 공기포위벽(134)의 테두리 궤적을 따라 이동부(11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물론, 볼록부(136)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볼록부(136)는 이동부(110)의 중심 부위에 형성되는데, 토출관 통과부(116)를 중심으로 원 궤적을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형성된다. 볼록부(136)는 비연속되게 이동부(110)에서 돌출 형성시, 원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유격되게 배치되거나 이동부(110)에서 대칭 균등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이동부(110)에 균일한 부압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격벽(118)은 볼록부(136)로 인해 열린 공간(112)의 높이가 증가된 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토출관(20)과 이동부(11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토출관(20)에 대한 이동부(110)의 지지력이 더욱 향상된다.
물론, 공기실(114)은 이동부(110)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공기실(114)에 작용하는 부압으로 부압공기부(130)가 감소되는 내용물(2) 방향으로 이동시, 부압이동부(120)는 부압공기부(130)와 함께 이동한다.
부압이동부(120)는 이동부(110)의 가장자리로서, 이동부(110)의 이동시 용기(10)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2) 방향으로 긁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부압이동부(120)가 용기(10)의 내측면에 단순히 접하여 용기(10) 내측면의 잔류물을 긁어내고, 용기(10)의 내측면과 접촉 면적을 줄여 이송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압이동부(120)의 테두리에는 뾰족한 스크래퍼(122)가 형성된다. 스크래퍼(122)는 용기(10) 내측면에 단순히 접한 채 이동되며 잔류물을 긁는다. 스크래퍼(122)는 용기(10) 내측면의 궤적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다. 스크래퍼(12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스크래퍼(122)는 이동부(110)의 가장자리에서 용기(10) 내측면에 접하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토출관 통과부(116)는 격벽(118)으로 구획되어 부압이동부(120) 내에 구비되는 부압공기부(130)와 통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공기실(114)은 부압 작용을 위해 밀폐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10)는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2)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잔류물 이동장치(100)를 구비한다.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이동부(110)를 포함한다.
이동부(110)는 용기(10) 내에서 감소되는 내용물(2) 방향을 향하는 일측 중 적어도 일부분은 감소되는 내용물(2) 방향으로 열린 공간(112)을 형성하도록 구획된다.
그리고, 열린 공간(112)의 적어도 일부분은 밀폐된 공기실(114)을 형성한다. 즉, 이동부(110)가 내용물(2)에 접하거나 부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열린 공간(112)은 내부 일부에 내용물(2)이 유입된다. 이로 인해, 열린 공간(112)은 공기포위벽(134)과 내용물(2) 표면으로 밀폐된 채 공기가 잔류하고 있는 공기실(114)이 형성된다.
내용물(2)의 토출시, 내용물(2)의 양이 줄면서, 이동부(110)는 열린 공간(112)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밀폐된 공기실(114)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감소되는 내용물(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부(110)는 내용물(2)의 감소되는 방향을 따라 용기(10)의 내부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부압이동부(120)와 부압공기부(13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부압공기부(130)는 공기포위벽(134), 볼록부(136), 측벽(132) 및 구획벽(138)을 포함한다.
공기포위벽(134)과 볼록부(136)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측벽(132)은 이동부(110) 중 일부분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열린 공간(112)은 이동부(110)의 볼록부(136)에 대응되는 부위에도 형성되고, 부압이동부(120)에 대응되는 부위에도 형성된다. 이는, 공기실(114)을 증가시켜 부압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측벽(132)은 볼록부(136)에 형성되는 열린 공간(112)과 부압이동부(120)에 형성되는 열린 공간(112)을 구획하기 위해 이동부(110)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부(11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내용물(2)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획벽(138)은 볼록부(136)에 형성된 열린 공간(112)과 부압이동부(120)에 형성된 열린 공간(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편의상, 구획벽(138)은 부압이동부(120)에 형성된 열린 공간(112)을 구획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구획벽(138)은 구획된 열린 공간(112) 각각의 공기 밀도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함으로써, 부압이 이동부(110)의 부압공기부(130) 전체에 걸쳐 고르게 작용할 수 있다. 물론, 구획벽(138)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이동부(110)는 테두리를 따라 마감부재(150)를 구비하고, 마감부재(150)는 용기(10)의 내측면을 향하는 테두리를 따라 요철돌부(152)를 형성한다.
마감부재(150)는 이동부(110)의 테두리에 장착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고무나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부(110)가 부압에 의해 내용물(2)의 줄어드는 방향으로 이동시, 요철돌부(152)는 용기(10)의 내측면에 공기 기밀하지 않도록 단순히 접하여 용기(10)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어내는 역할을 한다. 요철돌부(15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동부(110) 특히, 부압이동부(120)는 가장자리나 테두리를 따라 스크래퍼(1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요철돌부(152)가 용기(10)의 내측면에 액상 기밀하게 접하는 경우, 요철돌부(152)와 공기포위벽(134) 또는, 공기포위벽(134)이 없는 경우의 요철돌부(152)와 측벽(132) 사이 공간은 액상 내용물에 접한 공기실을 포함하는 부압공기부를 형성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잔류물을 긁으며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내용물 수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용 용기(10)는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2)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잔류물 이동장치(100)를 구비한다.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이동부(110)를 포함한다.
이동부(110)는 열린 공간(112)을 형성하도록 구획된다. 그리고, 열린 공간(112)의 적어도 일부분은 밀폐된 공기실(114)을 형성한다. 즉, 이동부(110)가 내용물(2)에 접하거나 부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열린 공간(112)은 내부 일부에 내용물(2)이 유입된다. 내용물(2)의 토출시, 이동부(110)는 열린 공간(112)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공기실(114)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감소되는 내용물(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부(110)는 내용물(2)의 감소되는 방향을 따라 용기(10)의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부압이동부(120)와 부압공기부(130)를 더 포함한다.
열린 공간(112)과 공기실(114)은 부압공기부(130)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부압공기부(130)는 공기포위벽(134), 볼록부(136) 및 구획벽(138)을 포함한다. 공기포위벽(134), 볼록부(136) 및 구획벽(138)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구획벽(138)은 구획된 열린 공간(112) 각각의 공기 밀도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함으로써, 부압이 이동부(110)의 부압공기부(130) 전체에 걸쳐 고르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구획벽(138)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동부(110)는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에 리브(140)를 연장 형성한다. 리브(140)는 이동부(110), 특히 부압이동부(120)의 가장자리에서 용기(10)의 내측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리브(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동부(110)에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리브(140)는 이동부(110)의 다양한 위치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리브(140)는 부압이동부(120)의 하측(도면에서 봤을 때)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리브(140)는 스크래퍼(122)를 형성한다. 스크래퍼(122)는 이동부(110)의 이동시 용기(10)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어내는 역할을 한다. 물론, 부압이동부(120)도 스크래퍼(12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스크래퍼(122)는 단수 또는 복수 개 구비되어 용기(10)의 내측면에 단순히 접한 채 내측면에 묻은 내용물(2)의 잔류물을 최대한 긁어 토출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공기포위벽(134)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연장부재(160)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포위벽(134)이 통 형상의 연장부재(160)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2)에 의해 밀폐되는 공기실(114)의 면적이 증가된다. 그래서, 부압이 더 크게 작용한다.
이때, 연장부재(160)는 내용물(2)의 점성이나 저장량에 따라 공기포위벽(13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연장부재(160)가 용기(10) 바닥에 접할 때 부압으로 이동부(110)가 이동하면서 연장부재(160)가 슬라이딩되어 부압이동부(120)가 잔류물을 최대한 긁어내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장부재(160)는 공기포위벽(134)으로부터 이탈 방지되게 설치된다.
예로서, 공기포위벽(134)은 외측 둘레면에 플랜지(162)를 형성하고, 연장부재(160)는 플랜지(162)에 걸릴 수 있도록 내측면에 걸림턱(164)을 형성한다. 물론, 플랜지(162)와 걸림턱(16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연장부재(16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용 용기(10)는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표면(상부면)에 위치하여 부압에 의해 내용물의 감소 방향으로 이동되는 잔류물 이동장치(100)를 구비하는데, 본 실시 예의 경우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내용물의 상부면을 덮는 형태의 몸체이면서, 몸체의 아랫면에는 일정 높이로 형성되면서 그 하부가 개방되어 내용물의 상부면과 부압이 유지되는 공간인 열린 공간(112)을 갖는다.
본 실시 예는 용기(10)의 상단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토출 유도하도록 상부토출관(21)을 가지는 디스펜서 장치(30)를 더 포함하며,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관(20)이 잔류물 이동장치(100)를 관통하기 위하여 잔류물 이동장치(100)에는 토출관(20)이 관통하는 토출관 통과부(116)가 형성되어 있고, 토출관 통과부(116)는 토출관(22)에 밀착성이 있게 접한다.
또는, 토출관 통과부(116)가 토출관(22)에 밀착되지 않고, 토출관(20)이 토출관 통과부(116)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110)에 결속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용기(10)에 보관되는 내용물에 대응하여 부압으로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용기(10)의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하강하면서 용기(10)의 내벽에 밀착되는 부압이동부(120)를 포함하는 이동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압이동부(120)는 용기(10)의 내벽에 접하여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끝단이 탄성을 가지는 구조이고, 이동부(110)의 외곽에 위치한 둘레부로서 별도로 분리된 구성이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용기(10)의 내용물 소진에 따라 하강하면서 용기(10)의 내벽에 남아 있는 잔류물을 끌어내리는 역할을 한다.
용기(10)는 손으로 펌핑에 의한 압력을 가하여 눌러서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내부에 상부토출관(21)이 형성된 디스펜서 장치(30)를 포함한다.
용기(10)는 액상의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것으로, 본체공기부(11)에 공기가 잔류하고, 액상의 내용물이 충전되어 보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용기(10)의 상측단에는 디스펜서 장치(30)가 결합되기 위한 배출부(12)가 형성된다. 디스펜서 장치(30)는 용기(10)의 상부에서 형성된 배출부(12)를 통해 나사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펜서 장치(30)는 용기(10)의 제조 방법에 따라 별도의 구성이거나, 용기(10)의 상부 등에 마개 형태일 수도 있다.
디스펜서 장치(30)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부토출관(21)과, 하단에는 용기(10) 내의 액상의 내용물에 잠기도록 용기 바닥 인근 부위까지 수직으로 삽입되어 용기(10)의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토출관(20)이 형성된다.
한편, 디스펜서 장치(30)의 누름부 내부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일반적인 스프링과 개폐볼로 이루어지는 펌핑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디스펜서 장치(30)의 토출관(20)이 관통 연결되는 이동부(110), 이동부(110)의 바깥 둘레부에 설치되어 용기(10)의 내벽에 남아 있는 잔류물을 끌어 내리도록 형성되는 부압이동부(1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잔류물 이동장치(100)의 이동부(110)는 내용물의 상부면을 덮는 형태이면서, 디스펜서 장치(30)의 토출관(20)이 관통 연결되기 위한 관통공(116a)이 형성된 토출관 통과부(116), 및 이동부(110)의 아랫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면서 그 하부가 개방되어 내용물의 상부면과 부압이 유지되는 공간인 열린 공간(112)을 포함한다.
또한, 부압이동부(120)는 잔류물 이동장치(100)의 바깥 둘레부에 대응하여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결합된다. 특히, 부압이동부(120)는 잔류물 이동장치(100)의 바깥 둘레부에 원형의 고무판을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펌핑에 의한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사람이 손으로 디스펜서 장치(30)를 누른 후 떼는 동작을 하면 용기(10)의 내부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물은 토출관(20)을 따라 디스펜서 장치(30)로 이동하여 일정량 저장된다. 이와 같이 내부로 이동하여 저장된 일정량의 점성 내용물은 다음 누름작동 시에 밖으로 배출된다.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이동부(110) 및 부압이동부(120)를 포함하고, 용기(10) 내부에서 내측벽에 접하여 내용물을 사용함에 따라 점차 아래로 내려가면서 용기(10)의 내측벽 잔류물을 아래 방향으로 끌어서 용기(10) 내의 내용물에 합하게 한다.
이동부(110)는 배출펌프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장치(30)에 의하여 내용물의 소진되는 양 만큼을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이동부(110)는 하부가 액상 내용물에 접하거나 일정 부분 담겨있어 열린 공간(112)에 부압이 걸릴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액상 내용물의 표면 수위(P)의 변화가 생기면 압력을 받으면서, 이동한 액상 내용물의 상부면에 위치(P)하면서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잔류물 이동장치(100)의 이동 과정에서 부압이동부(120)에 의해 용기(10)의 내측벽에 남아있는 점성 액상 잔류물을 내측벽으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디스펜서 장치(30)가 작동되면서 용기(10) 안의 내용물의 부피가 줄어드는 단계에서 잔류물 이동장치(1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잔류물 이동장치(100)의 바깥 테두리에 형성된, 용기(10)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부압이동부(120)가 내측벽에 슬라이딩되면서 내측벽의 잔류 내용물을 끌어 내리면서 남아있는 내용물과 합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부설된 내용물 수용 용기의 분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부설된 내용물 수용 용기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용 용기(10)는 내부에서 부압에 의해 내용물의 상부면에 접하는 잔류물 이동장치(100)를 포함하고, 잔류물 이동장치(100)를 관통하는 토출관(22)과 연결되며 용기(10)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흡인하여 토출하기 위한 상부토출관(21)을 갖는 디스펜서 장치(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액상 내용물의 상부면을 덮는 이동부(110), 이동부(110) 중앙에 관통되는 토출관 통과부(116), 이동부(110)의 아랫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면서 그 하부가 개방되어 액상 내용물의 상부면과 부압이 유지되는 공간인 열린 공간(112), 토출관(20)에 접하여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토출관 통과부(116)의 둘레 끝단이 탄성을 가지는 밀착부(113), 용기(10)의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하강하면서 용기(10)의 내벽에 밀착되는 부압이동부(120)를 포함한다.
부압이동부(120)는 용기(10)의 내용물 소진에 따라 하강하면서 용기(10)의 내벽에 남아 있는 잔류물을 끌어내리는 역할을 한다.
밀착부(113)는 토출관 통과부(116)의 둘레에서 토출관(20)에 접하여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끝단이 탄성을 가지며 휘어진 형태로 토출관 통과부(116)에 밀착될 수 있도록 끝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압이동부(120)도 용기(10)의 내벽에 접하여 끝단이 휘어지면서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끝단이 탄성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부압이동부(120)가 용기(10)의 내측면에 단순히 접하여 용기(10) 내측면의 잔류물을 긁어내고, 용기(10)의 내측면과 접촉 면적을 줄여 이송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압이동부(120)의 테두리에는 뾰족한 스크래퍼(122)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래퍼(122)는 용기(10) 내측면에 단순히 접한 채 이동되며 잔류물을 긁는다. 스크래퍼(122)는 용기(10) 내측면의 궤적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다. 스크래퍼(122)는 다양하게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용물 수용 용기(10)는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덮개(14)를 더 포함한다. 덮개(1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부설된 내용물 수용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잔류물 이동장치(100)의 이동부(110)가 아랫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면서 그 하부가 개방되어 내용물의 상부면과 부압이 유지되는 공간인 열린 공간(112)을 가진다.
부압이동부(120)는 용기(10)의 내벽에 충분한 밀착성이 있도록 접하여, 용기(10)를 기울였을 때에도 음료가 밖으로 흐르지 않고 토출관인 흡인 빨대(220)를 통해서만 토출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부설된 내용물 수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가 부설된 내용물 수용 용기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잔류물 이동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용 용기(10)는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2)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잔류물 이동장치(100)를 구비한다.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이동부(110)를 포함한다.
이동부(110)는 열린 공간(112)을 형성하도록 구획된다. 그리고, 열린 공간(112)의 적어도 일부분은 밀폐된 공기실(114)을 형성한다. 즉, 이동부(110)가 내용물(2)에 접하거나 부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열린 공간(112)은 내부 일부에 내용물(2)이 유입된다. 내용물(2)의 토출시, 이동부(110)는 열린 공간(112)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공기실(114)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감소되는 내용물(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부(110)는 내용물(2)의 감소되는 방향을 따라 용기(10)의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부압이동부(120)와 부압공기부(130)를 더 포함한다.
열린 공간(112)과 공기실(114)은 부압공기부(130)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부압공기부(130)는 공기포위벽(134), 볼록부(136) 및 구획벽(138)을 포함한다. 공기포위벽(134), 볼록부(136) 및 구획벽(138)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용기(10)는 내용물(2) 저장이나 보충이 용이하도록 덮개(14)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덮개(14)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 빨대인 토출관(20)이 포함될 수 있다.
잔류물 이동장치(100)에 포함되는 부압공기부(13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압공기부(130)의 공기포위벽(134)에 의해 감소하는 내용물 방향으로 개방되는 열린 공간(112)이 복수 개로 나뉘어질 수 있다.
부압공기부(130)를 이동부(110)에 연결하는 고정부(11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정부(119)는 부압공기부(130)를 이동부(110)에 고정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개의 부압공기부(130) 중 어느 하나의 부압공기부(130)는 다른 부압공기부(130)와 연결되거나, 또는 고정부(119)를 통해 다른 부압공기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열린 공간(112)과 공기실(114)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부압공기부(130)에서, 하나의 부압공기부(130)는 이동부(110)와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다른 부압공기부(13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잔류물 이동장치(100)의 이동부(110)는 가장자리에 부압이동부(120)를 구비하고, 부압이동부(120)는 테두리에 스크래퍼(122)를 구비한다. 스크래퍼(122)는 이동부(110)의 이동시 용기(10)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어내는 역할을 한다.
스크래퍼(122)는 패킹일 수 있다. 패킹은 용기(10) 내에서 이동부(110)가 내용물의 감소 방향으로 이동시 내용물이 이동부(110)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잔류물 이동장치(100)는 용기(10)의 내부에서 내용물의 감소 방향 으로 이동시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안정적으로 용기(10)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부압공기부(130)는 구획벽(138)을 포함하거나, 공기포위벽(134)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획벽(138)을 포함하는 부압공기부(130)가 이동부(110)의 외주부에 위치하고, 공기포위벽(134)만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부압공기부(130)가 이동부(110)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토출관 통과부(116)는 격벽(118)으로 구획되어 부압이동부(120) 내에 구비되는 부압공기부(130)와 통하지 않게 된다.
부압공기부(130)와 부압이동부(120) 이외의 부분이 폐쇄 또는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압공기부(130)와 부압이동부(120) 이외의 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여기서, 토출관 통과부(116)는 이동부(110) 중앙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부압공기부(120)와 격벽(118) 사이의 개방된 공간으로서 토출관(20)의 직경 크기가 통과하는 사이 공간이 해당된다.
잔류물 이동장치(100)의 이동부(110)와 부압이동부(120) 등은 가이드부(400)에 의해 용기(10)의 내측면을 따라 위치 이동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가이드홈부(410) 및 가이드돌부(420)를 포함한다.
가이드홈부(410)는 부압이동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돌부(420)는 가이드홈부(41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용기(10)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용기(10)의 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래서, 가이드돌부(420)가 가이드홈부(410)에 수용됨으로써 부압이동부(120)와 이동부(11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물론, 가이드돌부(420)가 부압이동부(120)에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홈부(410)가 용기(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내용물 11: 본체공기부
10: 토출용기 12: 배출부
20: 토출관 30: 디스펜서 장치
100: 잔류물 이동장치 110: 상판
112: 열린 공간 114: 공기실
116: 토출관 통과부 118: 격벽
120: 부압이동부 122: 스크래퍼
130: 부압공기부 132: 측벽
134: 공기포위벽 136: 볼록부
138: 구획벽 140: 리브
150: 마감부재 152: 요철돌부
160: 연장부재

Claims (40)

  1. 일측에 배출부가 형성되고, 유동성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사용되는 잔류물 이동장치에 있어서,
    이동부; 및
    상기 내용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감소하는 내용물 방향으로 부압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이동부에 내용물 감소 방향으로 개방된 열린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이 밀폐된 공기실(air cavity)을 형성하기 위한 부압공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내용물 측 부위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내용물 측으로 열린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부압공기부를 형성하도록 구획되고,
    상기 열린 공간 중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공기실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내용물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상기 부압공기부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여 상기 부압공기부를 포함하는 부압이동부가 상기 내용물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는 상기 이동부 중 일부분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는 외부로부터 공기 인입이 이루어지는 상기 용기의 본체공기부와 별도로 격리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이동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는 스크래퍼(scraper)를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에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잔류물을 긁어내리도록 상기 용기의 내측면과 단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부압이동부의 상측, 둘레면 및 하측 중 어느 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용기의 내측면 하단에 묻은 잔류물을 긁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용기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토출관을 내용물에 접하도록 하는 토출관 통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관 통과부는 격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부압공기부와 통하지 않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토출관 통과부 내에서 공기 밀실하지 않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용물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인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압공기부는 상기 내용물의 토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 부위가 용기의 내측면에 접하여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는 공기 저장 공간을 확장하거나 상기 내용물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 방향으로 공기포위벽을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는 공기 저장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공기포위벽을 따라 내용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토출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상기 토출관에 접하여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밀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이동부에 형성되며, 별도로 분리된 구성이 끼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잔류물 이동장치.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용기의 내벽에 접하여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끝단이 탄성을 가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15. 제 2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에, 별도로 분리된 구성이 끼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상기 배출부 측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내용물이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를 상기 이동부에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압공기부와 상기 부압이동부 이외의 부분이 폐쇄 또는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는 복수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부압공기부는 다른 부압공기부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를 통해 다른 부압공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는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테두리를 따라 마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어내는 요철돌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2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에 리브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어내기 위해 상기 스크래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단수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24.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포위벽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연장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위치 이동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물 이동장치.
  26. 일측에 배출부가 형성되고, 유동성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부압(negative pressure)에 의해 감소되는 상기 내용물 방향으로 이동되는 잔류물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잔류물 이동장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감소하는 내용물 방향으로 개방된 열린 공간을 구획되게 형성하여, 상기 내용물의 토출시, 상기 열린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공기실(air cavity)의 부압에 의해 상기 이동부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물 이동장치는, 상기 이동부의 하측으로 상기 내용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부압에 의해 상기 이동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공기실(air cavity)을 형성하기 위한 부압공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압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을 상기 배출부로 토출 안내하는 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잔류물 이동장치는 상기 토출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는 상기 이동부 중 일부분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는 외부로부터 공기 인입이 이루어지는 상기 용기의 본체공기부와 별도로 격리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상기 배출부 측에 구비되는 디스펜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32.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이동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는 스크래퍼(scraper)를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에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잔류물을 긁어내리도록 상기 용기의 내측면과 단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33. 제 27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용기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토출관을 상기 내용물에 접하도록 하는 토출관 통과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토출관 통과부는 격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부압이동부 내에 구비되는 상기 부압공기부와 통하지 않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토출관 통과부 내에서 공기 밀실되지 않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34. 제 27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내용물의 표면이 이동하는 방향인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압공기부는 상기 내용물의 토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35. 제 27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 부위가 용기의 내측면에 접하여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36.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는 공기 저장 공간을 확장하거나 상기 내용물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 방향으로 공기포위벽을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37.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를 상기 이동부에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압공기부와 상기 부압이동부 이외의 부분이 폐쇄 또는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는 복수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부압공기부는 다른 부압공기부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를 통해 다른 부압공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3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공기부는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40.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에 리브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묻은 잔류물을 긁어내기 위해 상기 스크래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KR1020140179862A 2014-12-12 2014-12-12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KR20160071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862A KR20160071971A (ko) 2014-12-12 2014-12-12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862A KR20160071971A (ko) 2014-12-12 2014-12-12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971A true KR20160071971A (ko) 2016-06-22

Family

ID=5636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862A KR20160071971A (ko) 2014-12-12 2014-12-12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19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3475B1 (en)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DK149164B (da) Dispenser med en cylindrisk beholder med et stempel og med en membranpumpe
RU2613598C2 (ru) Переносной пополняемый диспенсер крема
JP2014231362A (ja) エアレス容器
US20140224808A1 (en) Apparatus for retarding oxidation of leftover paint in a storage container
KR101481959B1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33556Y1 (ko) 화장품 용기
KR101959131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2072308B1 (ko) 토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82745Y1 (ko) 블로우 용기를 구비한 측면 가압 콤팩트 용기
KR20160071971A (ko)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용기
KR101658345B1 (ko)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KR200472346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KR20160002606A (ko) 내용물 표면에 접하는 부압이동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100858320B1 (ko) 유체용기
KR1014547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150131906A (ko)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토출용기
KR20160046431A (ko) 잔류물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내용물 토출용기
US11471901B2 (en) Dispenser
KR101539632B1 (ko) 펌프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프장치
CN209177214U (zh) 一种可倒持挤压的定量配送流体装置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210142343A (ko) 진공보관함
KR101800239B1 (ko) 재활용 가능한 말통 용기
CN108514900B (zh) 一种试剂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