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672A - Fixture of finish panel and finis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ixture of finish panel and finis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672A
KR20160071672A KR1020140179111A KR20140179111A KR20160071672A KR 20160071672 A KR20160071672 A KR 20160071672A KR 1020140179111 A KR1020140179111 A KR 1020140179111A KR 20140179111 A KR20140179111 A KR 20140179111A KR 20160071672 A KR20160071672 A KR 20160071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ib
restraining
skirt
restrain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1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0145B1 (en
Inventor
신정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데코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데코,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to KR102014017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145B1/en
Publication of KR20160071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6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1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90Vertical type venetian blin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ture of a finish panel and a finis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he finishing apparatus comprises: a hanger whose one end is fixed to a ceiling; a system ba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hanger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hooks disposed in a lower portion thereof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ength direction thereof; an M-bar coupled to the support hooks of the system bar; a main body coupled to the M-bar; a gripp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ightly pressing a skirt of one side finish panel and a skirt of the other side finish panel dispos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finish panel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a coupling relay unit allowing the gripping unit to be fixed to the main body or the gripping unit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e fini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ccurrence of a gap between finish panels adjacent to each other, firmly support the finish panels to the M-bar without damaging a frame unit, i.e., the M-bar, supporting the finish panels, and continuously maintains fastening force of the gripping unit gripping the finish panel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Description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Fixture of finish panel and finishing apparatu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 panel,

본 발명은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마감패널들의 모서리를 서로 인접되게 결합시키기 위한 마감패널 고정구에 있어서, 마감패널에 대한 지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ing panel fastener and a finishing apparatus using the finishing panel fasten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ing panel fastener for adjoining adjoining corners of a plurality of finishing panels, A panel fastener and a finishing device having the panel fastener.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이나 지하철 등 구조물의 내부 천정에는 실내 인테리어를 돋보이게 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구조물의 완성 후 천정부에 마감패널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구조물로서 천정을 형성한 다음 내부에 전선을 배선하거나 각종 통풍 장치를 설치한 다음, 이를 커버하면서 장식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제조된 마감패널을 설치하게 된다. Generally, a finished panel is installed on a ceiling of a building such as a building or a subway as a means of enhancing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and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Therefore, after the ceiling is formed as the structure, the ceiling is formed, and then the electric wire is wired inside or various ventilation devices are installed. Then, artificially manufactured finishing panels are installed to cover the ceiling.

이러한 마감패널의 설치 구조를 살펴보면, 천정에 다수 고정된 행거볼트에 캐링찬넬을 고정하고, 캐링찬넬의 상측에 횡 방향으로 마이너찬넬을 설치하며, 상기 캐링찬넬의 저부에 하측으로 결합공이 개구된 클립바를 와이어클립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천정에 마감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 완료되면 마지막에 취부된 클립바에 천정마감재를 설치하게 된다.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nishing panel, a caring channel is fixed to a plurality of hanger bolts fixed on the ceiling, a minor channel is installed laterally on the caring channel, and a clip The bar is installed using a wire clip. When the preliminary work for installing the finishing panel on the ceiling is complete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clip bar attached last.

이는 국내 등록특허 제 10-0852778호와 같이 끝단의 양면으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클립바의 사이로 천정 마감재의 네 모서리에 형성된 고정편을 삽입하고, 고정편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와 클립바의 걸림부가 서로 걸리도록 하여 마감패널을 고정하며, 마감패널 네 개가 이웃하는 모서리부에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Korean Patent No. 10-0852778, a fixing piece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is inserted between clip bars formed with hooks on both sides of the end,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formed inside the fixing piece and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clip bars And the four panels are fixed to the adjacent corner portions by means of separate fasteners.

이러한 고정구는 구멍을 가진 고정판 내부를 관통하여 고정피스를 삽입하여 클립바에 체결하고, 상기 고정판이 마감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고정판의 상부로 커버를 결합하여 미적 효과를 갖도록 되어 있다.The fixtur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late through the hole and inserted into the clip bar so that the fixing plate can support the edge portion of the finishing panel and the cover is 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to have an aesthetic effect .

그러나 상기의 고정구는 고정판과 고정피스 및 커버의 별도의 부품으로서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설치하게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몇개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비 등 원가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두께가 있는 원형으로 구성된 고정피스를 마감패널의 모서리 부분으로 삽입하여 체결함에 따라 마감패널들 사이의 틈이 벌어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피스에 의한 클립바의 손상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fixture is a separate part of the fixing plate, the fixing piece, and the cover, it is assembled and assembled so that it is not easy to work, it takes a long time, and a large cost such as a process cost for manufacturing several parts There is a problem that a gap between the finishing panels is open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fixing piece composed of a thick circular shape into the corner of the finishing panel and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ip bar is damaged due to the fixing piece, ha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인접하는 마감패널들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서도 마감패널을 프레임부에 견고하지 지지시킬수 있는 마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ishing pane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nishing apparatus capable of supporting a finishing proce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 고정구는 천정을 마감하기 위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와 타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를 서로 밀착되게 가압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파지부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파지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결합중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nishing panel fastener comprising: a body coupled to a frame part for finishing a ceiling; A grip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nishing panel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y pressing the skirt of the one-side finishing panel and the skirt of the other-side finishing panel which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coupling relay unit for fixing the grip unit to the main body or separating the grip unit from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측과 타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단부가 각각 상기 프레임부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결합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밀착되게 배치되는 밀착판과, 상기 마감패널의 스커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밀착판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밀착판과 인접하는 지점에 각각 이탈방지구멍이 형성된 가압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중계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리브의 연장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밀착판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단부가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의 이탈방지구멍으로 각각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구속리브와 제2구속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중계부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제1구속리브 및 제2구속리브 사이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구속리브와 상기 제2구속리브의 단부가 상기 이탈방지구멍으로 진입되게 상기 제1구속리브와 상기 제2구속리브를 각각 구부려 상기 파지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ase plate movably disposed along the fram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so as to support the base plate to the frame portion, And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tightening plate which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and a pair of ribs which are provided so as to be close to each other from both widthwise ends of the tightening plate to support the skirt of the finishing panel. And a pressurizing rib which extends obliquely and has a release prevent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lose plate, wherein the engaging relay portion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rib, And the width of the fastening plate And a first restraining rib and a second restraining rib which ar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corresponding intervals and bent at ends thereof toward each other so as to respectively enter into the escape preventing holes of the gripping part,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are inserted into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so that the ends of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enter the escape preventing hole in a state where the gripping part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And the grip portion is fixed to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는 천정에 일 단이 고정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부에 다수의 지지훅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시스템바와; 상기 시스템바의 지지훅에 결합되는 엠바와; 상기 엠바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와 타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를 서로 밀착되게 가압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파지부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파지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결합중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nishing apparatus comprising: a hanger having a ceiling; A system ba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hanger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hooks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 embryo coupled to the support hook of the system bar; A body coupled to the embryo; A grip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nishing panel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y pressing the skirt of the one-side finishing panel and the skirt of the other-side finishing panel which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coupling relay unit for fixing the grip unit to the main body or separating the grip unit from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측과 타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단부가 각각 상기 프레임부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결합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밀착되게 배치되는 밀착판과, 상기 마감패널의 스커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밀착판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밀착판과 인접하는 지점에 각각 이탈방지구멍이 형성된 가압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중계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리브의 연장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밀착판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단부가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의 이탈방지구멍으로 각각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구속리브와 제2구속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중계부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제1구속리브 및 제2구속리브 사이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구속리브와 상기 제2구속리브의 단부가 상기 이탈방지구멍으로 진입되게 상기 제1구속리브와 상기 제2구속리브를 각각 구부려 상기 파지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ase plate movably disposed along the fram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so as to support the base plate to the frame portion, And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tightening plate which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and a pair of ribs which are provided so as to be close to each other from both widthwise ends of the tightening plate to support the skirt of the finishing panel. And a pressurizing rib which extends obliquely and has a release prevent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lose plate, wherein the engaging relay portion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rib, And the width of the fastening plate And a first restraining rib and a second restraining rib which ar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corresponding intervals and bent at ends thereof toward each other so as to respectively enter into the escape preventing holes of the gripping part,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are inserted into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so that the ends of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enter the escape preventing hole in a state where the gripping part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And the grip portion is fixed to the main body.

상기 엠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엠바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mboss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reinforcing rib, and the reinforcing rib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embossment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고정배치되고, 일 측에 다수의 지지훅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시스템바와; 상기 시스템바의 지지훅에 결합되는 엠바와; 상기 엠바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와 타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를 서로 밀착되게 가압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파지부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파지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결합중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nishing apparatus comprising: a system bar fixedly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hooks arranged on a side thereof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 embryo coupled to the support hook of the system bar; A body coupled to the embryo; A grip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nishing panel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y pressing the skirt of the one-side finishing panel and the skirt of the other-side finishing panel which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coupling relay unit for fixing the grip unit to the main body or separating the grip unit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마감패널들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즉, 엠바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서도 마감패널을 엠바에 견고하지 지지시킬 수 있으며, 마감패널을 파지하는 파지부의 본체에 대한 체결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fi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gap between the adjoining finishing panels from spreading and secure the finishing panel to the emblem without damaging the frame portion supporting the finishing panel, The fastening force for the main body of the gripping portion for gripping the finish panel can be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감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마감장치의 마감패널 고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의 구성요소인 엠바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의 구성요소인 엠바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의 구성요소인 파지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의 분리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finishing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nishing panel fastener of the finish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mbroi, which is a component of the fi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n embarrment which is a component of a fi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grip portion which is a component of a fi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i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1)는 천정에 일 단이 고정되는 행거(10)와; 상기 행거(10)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부에 다수의 지지훅(22)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시스템바(20)와; 상기 시스템바(20)의 지지훅(22)에 결합되는 엠바(30)와; 마감패널 고정구(100);를 구비한다.1 to 6 show a finis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6, a finis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ger 10 to which a ceiling is fixed at one end; A system bar 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ger 10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hooks 22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mbossment 30 coupled to the support hook 22 of the system bar 20; And a finishing panel fastener (100).

상기 행거(10)는 상단이 천정에 고정되는 앙카볼트(11)와, 앙카볼트(11)의 하단에 결합되며 시스템바(20)에 형성된 삽입구멍(133)에 삽입되어 시스템바(20)를 지지하는 'ㄱ'자 형상의 지지편(12)과, 삽입구멍(133)을 따라 지지편(12)이 이동하거나 앙카볼트(11)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12)은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홈들이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 천정에 대하여 시스템바(2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hanger 10 has an anchor bolt 11 whose upper end is fixed to the ceiling and a lower end of the anchor bolt 11 which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133 formed in the system bar 20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anchor bolt 11,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support piece 12 from moving about the anchor bolt 11 or moving the support piece 12 along the insertion hole 133, . The support pieces 12 ar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system bar 20 can be freely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ceiling.

상기 시스템바(2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는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훅(22)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21)의 상면에는 지지편(12)을 삽입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 연장된 복수의 삽입구멍(133)들이 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system bar 20 includes a body 21 having a lower portion opened and a closed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s 21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body 2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ook (22).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3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1 so as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21 so that the support pieces 12 can be inserted.

상기 엠바(30)는 상기 시스템바(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embossment 30 is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ystem bar 20 and is formed in a shape of a square pipe whose upper part is open and whose lower part is closed and whose upper end is bent inward.

상기 엠바(30)의 폐쇄된 바닥부(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3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31)의 폭 방향 중앙부분이 중첩되도록 접어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31)의 폭 방향 중앙을 소정의 두께로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31)의 서로 다른 부분을 중첩되게 접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리브(32)는 시스템바(20)의 지지훅(22)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reinforcing rib 32 is formed on the closed bottom portion 31 of the embossment 30.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reinforcing ribs 32 may be formed by folding so that the widthwis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31 is overlapped with the width of the bottom portion 31, Or may be formed so as to protrude by forming the center of a direction to be thick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different portions of the bottom portion 31 may be formed by folding over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ribs 32 are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upport hooks 22 of the system bar 20.

상기의 보강리브(32)는 엠바(30)에 휨 또는 뒤틀림 응력에 대하여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엠바(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높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천장마감장치(1)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The reinforcing ribs 32 prevent the embers 30 from being damaged by providing a resistance against bending or twisting stresses on the embossments 30 and 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embossings 30, It is easy to maintain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1)에 적용되는 마감패널(40)은 4개의 변을 갖고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평평하게 형성된 판부(41)와, 상기 판부(41)의 가장자리 각 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스커트(4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마감패널(40)의 네 모서리 측에는 스커트(42)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 finishing panel 40 applied to the finis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plate 41 having four sides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flattened, And a skirt 42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 cut portion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kirt 42 is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finishing panel 40.

상기 절개부는 생략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스커트(42)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파지부(130)의 가압리브(132)에 걸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kirt 42 has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ly so as to be caught by the pressing rib 132 of the grip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inner side of the skirt 42 .

상기 마감패널 고정구(100)는 천정을 마감하기 위한 행거(10)와, 시스템바(20)와, 엠바(30)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 측 마감패널(40)의 스커트(42)와 타 측 마감패널(40)의 스커트(42)를 서로 밀착되게 가압하여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상기 마감패널(40)을 지지하는 파지부(130)와;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상기 파지부(130)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본체(110)로부터 상기 파지부(13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결합중계부(150);를 구비한다.The finishing panel fixture 100 includes a hanger 10 for finishing a ceiling, a system bar 20, a main body 110 coupled to a frame portion including the embossment 30, The skirt 42 of the one side finishing panel 40 and the skirt 42 of the other side finishing panel 40 which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press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grip portion 130 for supporting the finishing panel 40; And a coupling relay unit 150 for fixing the grip unit 130 to the main body 110 or separating the grip unit 130 from the main body 110.

상기 본체(110)는 상기 프레임부 상세하게는 상기 엠바(30)의 하부에서 상기 엠바(3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를 상기 엠바(30)에 지지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일 측과 타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단부가 각각 상기 엠바(30)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결합리브(112)를 구비한다. The body 110 includes a base plate 111 and a base plate 111. The base plate 111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mbossment 30 and is movable along the embossment 30, And engaging ribs 112 extending upwardly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111 so as to support the emblems 30 to be engaged with the embroideres 30, respectively.

상기의 프레임부는 상술한 행거(10)와, 시스템바(20)와, 엠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110)는 엠바(30)에 결합된다.The frame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above-described hanger 10, the system bar 20 and the embossment 30, and substantially the main body 110 is coupled to the embossment 30. [

상기 결합리브(112)는 그 단부에 엠바(30)의 양측 상단에 걸릴 수 있도록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엠바(30)에 결합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졌다가 절곡부가 엠바(30)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engaging ribs 112 are bent at their ends so as to be hooked on both upper ends of the emblem 30. When the emblems 30 are engaged with the emblems 30,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an elastic force.

상기 파지부(1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와 밀착되게 배치되는 밀착판(131)과, 상기 마감패널(40)의 스커트(42)를 지지하도록 상기 밀착판(131)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밀착판(131)과 인접하는 지점에 각각 이탈방지구멍(133)이 형성된 가압리브(132)를 구비한다.  The grip portion 130 includes a tightening plate 131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111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ends of the tightening plate 131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ghtening plate 131 to support the skirt 42 of the finishing panel 40. [ And a pressurizing rib 132 extending obliquely to come close to each other and having a release preventing hole 133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lose contact plate 131.

상기 파지부(130)는 가압리브(132)들 사이로 스커트(42)를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도록 가압리브(132)의 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절곡리브가 구비되어 있다.The grip portion 130 is provided with a bending rib formed by bending the ends of the pressing ribs 132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kirt 42 can easily enter the pressing ribs 132.

본 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 고정구(100)는 총 4개의 파지부(130)로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더 적은 수로 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finish panel faste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four grippers 130 in total, the number may be reduced as needed.

상기 결합중계부(15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일 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리브(112)의 연장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밀착판(131)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단부가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130)의 이탈방지구멍(133)으로 각각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구속리브(151)와 제2구속리브(152)를 구비한다. The coupling relay 150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1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rib 112 and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closing plate 131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ng ribs 151 and 152 are formed so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nt toward each other so as to enter into the escape prevention holes 133 of the grip portion 130, 152).

상기 결합중계부(150)는 제1구속리브(151)와 제2구속리브(152)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중앙을 기준으로 각각의 그룹이 서로 다른 네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ng ribs 151 and 152 form a group of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ng ribs 151 and 152, Respectively.

상기 결합중계부(150)는 상기 파지부(130)를 상기 제1구속리브(151) 및 제2구속리브(152) 사이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구속리브(151)와 상기 제2구속리브(152)의 단부가 상기 이탈방지구멍(133)으로 진입되게 상기 제1구속리브(151)와 상기 제2구속리브(152)를 각각 구부려 상기 파지부(130)를 상기 본체(110)에 고정시킨다. The engaging relay unit 1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gripping part 130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ng ribs 151 and 152, The first restraining rib 151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152 are bent so that the end of the holding part 152 enters the release preventing hole 133 to fix the holding part 130 to the main body 110 .

상기 파지부(130)가 본체(110)에 구속되기 이전에 상기 제1구속리브(151)와 제2구속리브(152)는 베이스플레이트(111)에 대하여 상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나, 파지부(130)를 본체(1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제1구속리브(151)와 제2구속리브(152)의 상단이 서로를 향하여 구부러진 형태 즉, 제1구속리브(151)와 제2구속리브(152)의 단부가 파지부(130)의 이탈방지구멍(133)으로 진입되면서 베이스플레이트(111)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ng ribs 151 and 152 are extend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111 before the gripper 130 is restrained to the main body 110,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ng ribs 151 and 152 are curved toward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ng ribs 151 and 151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he en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15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111 while entering the escape prevention hole 133 of the grip portion 130.

상기 본체(110)로부터 파지부(130)의 분리시에는 이탈방지구멍(133)으로 진입된 제1구속리브(151)와 제2구속리브(152)의 단부가 이탈방지구멍(133)으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본체(110)에 대하여 파지부(130)를 분리시킬 수 있다.When the gripper 13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10,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ng ribs 151 and 152 that have entered the escape prevention hole 133 are separated from the escape prevention hole 133 The grip portion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by bending the grip portion 130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상기의 결합중계부(150)는 상기 본체(110)를 엠바(30)에 결합시킬 때, 발생하는 휨 또는 뒤틀림 응력에 의해 파지부(130)가 본체(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향상 및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coupling relay 150 effectively prevents the gripper 1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due to the bending or twisting stress generated when the main body 110 is coupled to the emblem 3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eliability of the coupling and to maintain the coupling state, and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provide an easy maintenance effect.

한편, 도 6에는 파지부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지부(2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와 밀착되게 배치되는 밀착판(231)과, 상기 마감패널(40)의 스커트(42)를 지지하도록 상기 밀착판(231)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밀착판(231)과 인접하는 지점에 각각 이탈방지구멍(233)이 형성된 가압리브(232)를 구비하며, 가압리브(232)의 단부에는 가압리브(232)들 사이로 스커트(42)를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도록 가압리브(232)들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절곡된 안내리브(23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내리브(235)는 완만한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가압리브(232)들 사이로 스커트(42)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Fig.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grip portion. 6, the grip unit 230 includes a tightening plate 231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111 and the fastening plate 231 to support the skirt 42 of the finishing panel 40. [ And a pressurizing rib 232 extending obliquely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essurizing rib 232 and formed with a release preventing hole 233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ressurizing plate 231, A guide rib 235 bent toward the space between the pressing ribs 232 is provided so as to allow the skirt 42 to easily enter between the ribs 232. The guide ribs 235 are formed to have a gentle curve to facilitate entry of the skirt 42 between the pressing ribs 232.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2)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2)는 벽면(101)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배치되고, 일 측에 다수의 지지훅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시스템바(20)와; 상기 시스템바(20)의 지지훅(22)에 결합되는 엠바(30)와; 상기 엠바(30)에 결합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 측 마감패널(40)의 스커트와 타 측 마감패널(40)의 스커트를 서로 밀착되게 가압하여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상기 마감패널(40)을 지지하는 파지부(130)와;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상기 파지부(130)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본체(110)로부터 상기 파지부(13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결합중계부;를 구비한다.7, a finish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7, the finishing apparatus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10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support hooks arranged on one sid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ystem bar 20; An embossment 30 coupled to the support hook 22 of the system bar 20; A body 110 coupled to the embossment 30; The skirt of the one side finishing panel 40 and the skirt of the other side finishing panel 40 which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nishing panel 40 A grip portion 130 for supporting the grip portion 130; And a coupling relay unit for fixing the grip unit 130 to the main body 110 or separating the grip unit 130 from the main body 110.

상기의 시스템바(2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의 시스템바(20)에서 행거(10)에 결합되는 대신 벽면(101)에 고정되는 구조만 다를 뿐 시스템바(20)를 이루는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The system bar 2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101 instead of being coupled to the hanger 10 in the system bar 20 of the fi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Only the structure is different,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system bar 20 are the same, so that a duplicat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상기 시스템바(20)는 벽면(101)에 가로방향으로 세워지게 설치되며, 몸체(21)에 형성된 삽입구멍을 통해 벽면으로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The system bar 20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101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is firmly fixed to the wall surface by a fixing bolt penetrating the wall surface through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ody 21. [

상기 엠바(30)는 상기 시스템바(20)와 교차하는 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시스템바(20)의 지지훅(22)에 의해 시스템바(20)에 견고하기 지지된다.The embossment 30 is provid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ystem bar 20, that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irmly supported on the system bar 20 by the support hook 22 of the system bar 20.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들 즉, 엠바(30), 본체(110) 및 결합중계부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fin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e., the emboss 30, the main body 110, and the coupling relay unit, are connect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 천장마감장치
10 : 행거
20 : 시스템바
30 : 엠바
32 : 보강리브
40 : 마감패널
100 : 마감패널 고정구
110 : 본체
111 : 베이스플레이트
112 : 결합리브
130 : 파지부
131 : 밀착판
132 : 가압리브
133 : 이탈방지구멍
150 : 결합중계부
151 : 제1구속리브
152 : 제2구속리브
1: Ceiling finishing device
10: Hanger
20: System Bar
30: Embaras
32: reinforcing rib
40: Finishing panel
100: Closing panel fixture
110:
111: base plate
112:
130:
131:
132: pressure rib
133:
150:
151: first restraining rib
152: second restraining rib

Claims (6)

천정을 마감하기 위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와 타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를 서로 밀착되게 가압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파지부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파지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결합중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패널 고정구.
A main bod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for finishing the ceiling;
A grip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nishing panel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y pressing the skirt of the one-side finishing panel and the skirt of the other-side finishing panel which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coupling relay unit for fixing the grip unit to the main body or separating the grip unit from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측과 타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단부가 각각 상기 프레임부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결합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밀착되게 배치되는 밀착판과, 상기 마감패널의 스커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밀착판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밀착판과 인접하는 지점에 각각 이탈방지구멍이 형성된 가압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중계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리브의 연장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밀착판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단부가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의 이탈방지구멍으로 각각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구속리브와 제2구속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중계부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제1구속리브 및 제2구속리브 사이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구속리브와 상기 제2구속리브의 단부가 상기 이탈방지구멍으로 진입되게 상기 제1구속리브와 상기 제2구속리브를 각각 구부려 상기 파지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패널 고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ase plate movably disposed along the fram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so as to support the base plate to the frame portion, And a coupling rib engaged with the frame portion,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contact plate dispos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and a gripping portion extending obliquely to approach each other from both widthwise ends of the contact plate to support the skirt of the finish panel, And a pressurizing rib formed with a hole,
Wherein the coupling relay part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from the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rib and to face each other a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tightening plate, And a first restraining rib and a second restraining rib formed to be bent so as to respectively enter into the escape preventing holes of the grip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relay connects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to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enter the escape preventing hole in a state where the gripping part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icting ribs are respectively bent to fix the grip portion to the main body.
천정에 일 단이 고정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부에 다수의 지지훅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시스템바와;
상기 시스템바의 지지훅에 결합되는 엠바와;
상기 엠바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와 타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를 서로 밀착되게 가압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파지부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파지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결합중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장치.
A hanger with one end fixed to the ceiling;
A system ba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hanger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hooks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 embryo coupled to the support hook of the system bar;
A body coupled to the embryo;
A grip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nishing panel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y pressing the skirt of the one-side finishing panel and the skirt of the other-side finishing panel which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coupling relay unit which is capable of fixing the grip unit to the main body or separating the grip unit from the main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측과 타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단부가 각각 상기 프레임부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결합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밀착되게 배치되는 밀착판과, 상기 마감패널의 스커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밀착판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밀착판과 인접하는 지점에 각각 이탈방지구멍이 형성된 가압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중계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 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리브의 연장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밀착판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단부가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의 이탈방지구멍으로 각각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구속리브와 제2구속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중계부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제1구속리브 및 제2구속리브 사이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구속리브와 상기 제2구속리브의 단부가 상기 이탈방지구멍으로 진입되게 상기 제1구속리브와 상기 제2구속리브를 각각 구부려 상기 파지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base plate movably disposed along the fram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so as to support the base plate to the frame portion, And a coupling rib engaged with the frame portion,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contact plate dispos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and a gripping portion extending obliquely to approach each other from both widthwise ends of the contact plate to support the skirt of the finish panel, And a pressurizing rib formed with a hole,
Wherein the coupling relay part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from the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rib and to face each other a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tightening plate, And a first restraining rib and a second restraining rib formed to be bent so as to respectively enter into the escape preventing holes of the grip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relay connects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to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enter the escape preventing hole in a state where the gripping part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 And the second restraining ribs are respectively bent to fix the gripping part to the main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엠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엠바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mbryo has at least one reinforcing rib,
And the reinforcing rib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embossment by a predetermined length.
벽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배치되고, 일 측에 다수의 지지훅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시스템바와;
상기 시스템바의 지지훅에 결합되는 엠바와;
상기 엠바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와 타 측 마감패널의 스커트를 서로 밀착되게 가압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파지부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파지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결합중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장치.
A system bar fixedly arranged on a wall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hooks arranged on one sid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mbryo coupled to the support hook of the system bar;
A body coupled to the embryo;
A grip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nishing panel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y pressing the skirt of the one-side finishing panel and the skirt of the other-side finishing panel which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coupling relay unit which is capable of fixing the grip unit to the main body or separating the grip unit from the main body.
KR1020140179111A 2014-12-12 2014-12-12 Fixture of finish panel and finishing apparatus KR1016501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111A KR101650145B1 (en) 2014-12-12 2014-12-12 Fixture of finish panel and finis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111A KR101650145B1 (en) 2014-12-12 2014-12-12 Fixture of finish panel and finis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672A true KR20160071672A (en) 2016-06-22
KR101650145B1 KR101650145B1 (en) 2016-08-22

Family

ID=5636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111A KR101650145B1 (en) 2014-12-12 2014-12-12 Fixture of finish panel and finis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14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8256A (en) * 2018-09-27 2019-01-04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A kind of movable sheet hanging smallpox
KR20190115440A (en) * 2019-09-30 2019-10-11 주식회사 조은데코 A fixation bracket for finishing panel
KR20200142354A (en)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조은데코 Finishing panel fixing bracket and outer wall finis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309B1 (en) * 2017-04-24 2019-04-18 주식회사 조은데코 Finishing panel for preventing insulation and dew condensation and finishing apparatus with it
KR101900686B1 (en) 2017-09-26 2018-09-20 이태우 Assembly structure of light weight steel frame
KR102386070B1 (en) * 2019-12-12 2022-04-13 주식회사 조은데코 Support frame connecting device of prefabricated wall structure
KR102275102B1 (en) * 2020-10-19 2021-07-07 이일수 An Ornaments fix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028A (en) * 2012-11-02 2014-05-12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Moulding for finishing ceiling and apparatus for finishing cei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028A (en) * 2012-11-02 2014-05-12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Moulding for finishing ceiling and apparatus for finishing ceil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8256A (en) * 2018-09-27 2019-01-04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A kind of movable sheet hanging smallpox
KR20200142354A (en)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조은데코 Finishing panel fixing bracket and outer wall finis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90115440A (en) * 2019-09-30 2019-10-11 주식회사 조은데코 A fixation bracket for finishing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145B1 (en)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145B1 (en) Fixture of finish panel and finishing apparatus
KR101398676B1 (en) A fixing apparatus for install the ceiling finish panel
US7954293B2 (en) Panels and systems of such panels for instance for suspended ceilings
KR101709748B1 (en) Lightweight steel frame structure of ceiling finish
UA100135C2 (en) Strut accessory for lining a wall and including membrane clamping claws, and wall lining device including such accessory
KR101887203B1 (en) Ceiling finish apparatus having vibration isolation function and ceiling finish method using the same
MX2007015101A (en) Paired main tee clip.
KR20080026077A (en) Channel connector and clip for ceiling closing
KR102510272B1 (en) Cable tray support
KR101650144B1 (en) Fixture of finish panel
KR101618356B1 (en) Fit panel assembly
KR20090003854U (en) Structure of celing
KR20120006314A (en) Coupling structure of t-bar and ceiling panel
KR101234678B1 (en) Ceiling materials installation structure
KR101952337B1 (en) Ceiling finishes support structure
KR20150003308U (en) Apparatus for connecting panel
KR101300696B1 (en) Frames for checking ceiling
KR101532384B1 (en) Fixing structure of the ceiling panel
KR102052642B1 (en) Wind-load resistance type finishing apparatus
KR20180097926A (en) front pusher type wall drain board
KR101857233B1 (en) Clip bracket for panel finishing
KR101639273B1 (en) Apparatus for fixing panel for finish ceiling
KR200436794Y1 (en) panel for ceiling
KR20140005485U (en) Fixing structure of ceiling panel
KR100538280B1 (en) Fixing hanger for ceil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