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585A -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585A
KR20160071585A KR1020140178759A KR20140178759A KR20160071585A KR 20160071585 A KR20160071585 A KR 20160071585A KR 1020140178759 A KR1020140178759 A KR 1020140178759A KR 20140178759 A KR20140178759 A KR 20140178759A KR 20160071585 A KR20160071585 A KR 20160071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nit
digital
pressure valu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석
이원규
Original Assignee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하이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하이로시 filed Critical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8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585A/ko
Publication of KR20160071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버를 통해 측정된 압력을 신호로 정량화하여 압통값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 그리고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와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새로운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환자 중 하나를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의 대상 환자로 선택할 수 있게 하며, 등록된 환자에 대한 진료시 압통값 및 환자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압통값을 저장시키며, 측정된 압통값을 설정된 정상값 또는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파악하고, 정상이 아닌 경우이면 직전에 저장된 압통값과 현재 측정된 압통값을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를 파악하는 기능을 가진 모바일을 포함하는 디지털 통각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DIGITAL SYSTEM FOR MEASURING PAIN}
본 발명은 모바일을 이용한 디지털 통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증평가가 체온, 혈압, 맥박, 호흡에 이어 환자를 치료하는데 중요한 징후로 인식이 되어 인식되고 있다. 통증에 대한 치료를 위해 환자의 통증 정도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치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통증은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부분이라 환자의 통증을 객관적인 데이터로 표시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객관적인 통증의 평가 방법으로는 현재는 눈썹, 이마 및 눈꺼풀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통증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및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1 단계 ~ 10 단계로 구분하고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가 얼마인지를 물어서 표시하고 있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환자에 따라 주관적으로 통증을 느끼는 정도가 달라 통증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통증을 객관화할 수 있는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이 용이하고 휴대가 가능한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시스템은 러버를 통해 측정된 압력을 신호로 정량화하여 압통값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 그리고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와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새로운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환자 중 하나를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의 대상 환자로 선택할 수 있게 하며, 등록된 환자에 대한 진료시 압통값 및 환자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압통값을 저장시키며, 측정된 압통값을 설정된 정상값 또는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파악하고, 정상이 아닌 경우이면 직전에 저장된 압통값과 현재 측정된 압통값을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를 파악하는 기능을 가진 모바일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출력하는 압력 센싱부, 상기 압력 센싱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정량화하여 압통값으로 출력하는 정량화부, 상기 정량화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압통값을 근거리무선통신으로 모바일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압통값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각 구성을 제어하고, 각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측정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은 사용자의 명령이나 지시 또는 선택을 입력받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키패드부, 상기 제1 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키패드부를 이용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통신부를 이용한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와의 연결 후 사용자가 선택한 환자 및 측정부위에 대응하여 환자 식별정보와 측정부위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에 제공하는 연결 관리부, 사용자가 새로운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환자 중 하나를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의 대상 환자로 선택할 수 있게 하며, 등록된 환자에 대한 진료시 압통값 및 환자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환자관리부,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압통값을 저장시키고, 측정된 압통값을 설정된 정상값 또는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파악하고, 정상이 아닌 경우이면 직전에 저장된 압통값과 현재 측정된 압통값을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를 파악하는 환자관리부, 사용자가 등록한 환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에서 제공한 압통값을 환자별로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환자상태 파악부에 의해 파악된 환자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각종 정보를 화면상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키패드부나 상기 환자관리부의 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모바일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부위에 대한 압통값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자 및 측정부위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시키는 모바일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는 막대 모양의 몸체 하우징에 상기 데이터 표시부의 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 하우징(A)의 타단에 핀이 설치되고 상기 핀의 일단에 러버(rubber)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는 상기 몸체 하우징 일단에 뚜껑이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뚜껑 내부에 신체 부위별 감각을 검사하기 위한 촉각 검사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촉각 검사기는 톱니바퀴의 형상을 하며 중앙에 형성된 홈이 상기 몸체 하우징 일단 내측에 형성된 돌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환자를 치료하기 전에 통증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의료진으로 하여금 적합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치료 후에도 통증을 측정하여 경과 관찰하여 올바른 환자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측정 결과를 보인 테이블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막대 모양의 몸체 하우징(A)에 데이터 표시부(150)의 화면이 설치되고, 사용자 입력부(110)가 설치된다. 도 1에서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하나의 버튼으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사용자 입력부(110)는 복수의 버튼이나 터치 패드(touch pa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몸체 하우징(A)의 일단에 뚜껑(B)이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몸체 하우징(A)의 타단에 핀(pin, C)이 설치되며 핀의 일단에 러버(rubber)(D)가 설치된다. 러버(D)는 통각 측정시 대상자의 신체에 닿는 부분으로, 대상자에게 압력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뚜껑(B)을 열면 몸체 하우징(A)의 일단에는 신체 부위별 감각을 검사하기 위한 촉각 검사기(180)가 설치되어 있다. 촉각 검사기(180)는 톱니바퀴의 형상을 하며 중앙에 형성된 홈이 몸체 하우징(A)의 일단 내측에 형성된 돌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다.
촉각 검사기(180)의 바로 밑에는 복수의 배터리로 이루어진 전원부(1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부(160)의 바로 밑에는 데이터 표시부(150)가 위치한다. 데이터 표시부(150)는 정량화된 통각을 디지털값으로 표시하도록 LCD 표시장치로 구성된다. 데이터 표시부(150)의 바로 밑에는 사용자 입력부(110)인 하나의 버튼이 설치되고, 사용자 입력부(110)의 바로 밑에는 제1 통신부(140)인 근거리통신모듈이 설치된다. 제1 통신부(140)의 하단에는 일부가 노출되도록 핀(C)이 설치되고 핀(C)의 끝단에 러버(D)가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몸체 하우징(A)의 내부에는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의 동작을 위한 각종 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는 사용자 입력부(110)의 버튼(또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 온 상태가 되도록 한 후, 러버를 대상자 신체에 밀착시키고 힘으로 눌러 대상자 신체에 힘을 가한다. 이렇게 가해진 힘은 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된 압력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는 압력에 관한 값으로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의 압력값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압통값으로 모바일에 제공된다. 디지털 신호의 압력값은 힘(kg)의 단위로 환산되어 압통값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장치와 모바일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시스템은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와 모바일(200)을 포함한다.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압력 센싱부(120), 정량화부(130), 제1 통신부(140), 데이터 표시부(150), 전원부(160), 그리고 측정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10)는 버튼이나 터치패드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전원 온 또는 오프, 모드 설정, 동작 시작, 측정 중지 등을 할 수 있게 한다.
압력 센싱부(120)는 러버(D)를 통해 대상자의 신체에 미치는 압력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압력 센싱부(120)는 압력 센서와 압력 센서를 구동시키는 압력센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력 센서로는 지름10㎜의 활성감지영역내에 힘을 인가하였을 때 반응하여 0 ~ 25lb (111N)까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플렉시포스 압력센서(Flexiforce Pressure Sensor A101 : Flexiforce)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플렉시포스 압력센서는 압력이 없을 때 높은 저항 값(수㏁)이며 압력을 가하면 저항값이 내려가며(수㏀) 작은 압력에도 저항 값의 변화량이 크다. 압력센서 구동부는 압력 센서를 구동시켜 대상자에게 가해진 압력에 대응하는 전류 신호가 압력 센서에서 출력하게 한다.
정량화부(130)는 압력 센싱부(12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정량화하여 출력한다. 보다 상세히는, 압력 센싱부(120)에서 출력하는 전기적 신호는 아날로그 전류신호이다. 정량화부(130)는 압력 센싱부(12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류신호를 전류-전압 변환회로를 통해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설정된 게인(gain)으로 증폭시킨 후 아날로그 필터인 저역통과필터를 통해 특정 주파수의 주파수를 차단시켜 노이즈 제거를 위한 신호 필터링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정량화부(130)는 필터링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1 통신부(140)는 모바일(200)과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정량화부(130)에 의해 생성된 압통값을 모바일(200)에 전송하고, 모바일(200)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이러한 제1 통신부(14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중 하나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이다.
데이터 표시부(150)는 정량화부(130)에 의해 환산된 압통값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전원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되며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측정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각 구성을 제어하고, 각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모바일(200)은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휴대가 용이하고 외부장치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이러한 모바일(200)은 키패드부(210), 연결관리부(220), 환자관리부(230), 환자상태 파악부(240), 제2 통신부(250), 저장부(260), 표시부(270), 그리고 모바일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키패드부(210)는 모바일(200)에 형성된 버튼이나 터치패드 등으로서 사용자의 명령이나 지시 또는 선택을 입력받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한다.
연결관리부(220)는 키패드부(210)를 이용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통신부(250)를 이용한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연결관리부(220)는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와의 연결 후 사용자가 선택한 환자 및 측정부위에 대응하여 환자 식별정보와 측정부위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측정장치(100)에 제공한다. 또는 모바일(200)은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부위에 대한 압통값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자 및 측정부위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시킨다.
환자관리부(230)는 사용자가 새로운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환자 중 하나를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의 대상 환자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환자관리부(230)는 등록된 환자에 대한 진료 결과(도 6 참조) 즉, 진료시 압통값 및 환자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환자상태 파악부(240)는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압통값을 저장시키고, 측정된 압통값을 설정된 정상값 또는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파악하고, 정상이 아닌 경우이면 직전에 저장된 압통값과 현재 측정된 압통값을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예; 호전 또는 악화)를 파악한다. 환자관리부(230)와 환자상태 파악부(240)는 모바일(200)의 어플리케이션 층(layer)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제2 통신부(250)는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의 제1 통신부(16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부(260)는 사용자가 등록한 환자에 대한 정보 및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에서 제공한 압통값을 환자별로 저장하고 있으며, 환자상태 파악부(240)에 의해 파악된 환자의 상태정보를 저장한다.
표시부(270)는 환자관리부(230)의 실행에 의해 표시되는 창(window)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모바일(2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화면상을 통해 표시한다. 모바일 제어부(280)는 키패드부(210)나 환자관리부(230)의 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모바일(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부위에 대한 압통값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자 및 측정부위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시킨다.
한편, 모바일(200)은 원격의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하여 서버에 저장부(260)가 저장하고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시 서버에 접속하여 환자의 정보를 다운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바일(200)은 저장부(260)를 생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조작함에 따라 전원을 온시키고 작동모드를 설정한다(S301). 여기서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전원 온 상태 이후에 모바일(200)의 요청에 따라 모바일(200)과 무선으로 연결된다.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가 작동모드 상태이면 사용자는 피측정자의 신체 중 일부에 러버(D)를 닿게 하고 피측정자의 신체로 압력을 가하며, 이에 따라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피측정자에게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한다(S302).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측정한 압력을 디지털 신호로 정량화하고(S303), 정량화한 디지털값을 압통값으로 하여 데이터 표시부(150)에 표시한다(S304).
S302 과정 내지 S304 과정은 피측정자에게 압력을 가하는 중에 계속적으로 반복되며, 사용자가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의 러버를 통해 점차적으로 압력을 높임에 따라 데이터 표시부(150)에는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압통값이 표시된다.
이렇게 점차 높은 압력을 가하는 중에 피측정자가 통증을 느끼고 통증을 알리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조작하며, 이에 따라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S302 과정 내지 S304 과정을 중지하고(S305), 현재 데이터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압통값을 고정되게 표시한다(S306).
그리고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고정 표시된 압통값을 피측정자의 특정 부위에서의 압통값으로 모바일(200)에 무선 전송한다(S307).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바일(200)의 키패드부(210)를 이용하여 디지털 통각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항목에서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와의 연결을 선택한다.
이에 연결관리부(220)는 키패드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S401) 제2 통신부(250)를 구동시켜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의 제1 통신부(140)와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여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와 모바일(200)을 연결시킨다(S402).
사용자는 모바일(200)과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 간에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되면, 키패드부(210)를 이용하여 환자관리부(230)를 실행시킨다. 실행된 환자관리부(2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환자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환자 및 측정부위를 설정(선택)한다(S403).
연결관리부(220)는 환자관리부(230)에 의해 환자 및 측정부위가 설정되면 설정된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 식별정보와 설정된 측정부위에 대응하는 측정부위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에 제공한다(S404).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모바일(200)로부터 환자 식별정보와 측정부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각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환자 식별정보 및 측정부위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의 측정부위에 대하여 측정을 할 것이라고 판단한다(S405).
이런 상태에서, 의사 또는 측정자가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의 러버(D)를 환자의 해당 측정부위에 밀착시킨 후 점차적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에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환자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는 통합값을 측정하고 화면상에 표시하며(S406),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통압값을 최종 통압값으로 파악하여 표시부(270)의 화면상에 고정 표시한다(S407).
그런 다음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파악한 최종 압통값을 환자 식별정보와 측정부위 식별정보와 함께 모바일(200)에 제공하고(S408), 모바일(200)은 수신되는 정보에서 각 식별정보와 압통값을 파악한 후 압통값을 환자 식별정보 및 측정부위에 대응시켜 저장한다(S409).
모바일(200)은 수신된 압통값을 설정된 정상값과 비교하고(S410), 비교를 통해 환자의 해당 측정부위가 정상인지를 판단한다(S411). 예컨대, 모바일(200) 즉 환자상태 파악부(240)는 압통값이 압력이 가할수록 1에서부터 2, 3, 4 순으로 증가하는 경우이고 정상값이 10이며 측정된 압통값이 10 이상이면 압통값이 정상값 이상이므로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표시부(270)에 정상임을 알린다(S412).
반면에, 환자상태 파악부(240)는 압통값이 10 미만이면 정상값보다 작으므로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해당 환자의 해당 측정부위에 대해 직전 측정한 통압값을 저장부(260)로부터 읽어들인 후(S413), 직전 측정한 통압값과 현재 측정한 통압값을 비교하여(S414), 해당 환자의 해당 측정부위에 대한 통압값의 변화를 파악한다(S415).
이때 통압값의 변화는 직전 측정한 통압값과 현재 측정한 통압값의 차이의 변화이며, 통압값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현재 측정한 통압값이 직전 측정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환자상태 파악부(240)는 통압값의 변화를 파악하면 해당 측정부위의 상태가 호전되었는지 악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16). 그리고 환자상태 파악부(240)는 측정 통압값이 직전 측정값보다 낮으면 악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표시부(270)를 통해 알리며(S417), 측정 통압값이 직전 측정값보다 높으면 호전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270)를 호전되었음을 알린다(S418).
일반적으로 통증 환자는 건드리거나 작은 터치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통증을 호소한다. 이처럼 통증에 관련된 병이 발생하면 해당 부위는 가해지는 압력이 낮을 때 압통값을 나타내게 되어 정상값보다 낮게 나타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200)은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로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S501), 제2 통신부(250)를 구동시켜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의 제1 통신부(140)와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여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와 모바일(200)을 연결시킨다(S502).
사용자는 모바일(200)과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 간에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되면, 키패드부(210)를 이용하여 환자관리부(230)를 실행시키고, 환자 리스트와 측정 부위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환자 및 측정부위를 선택한다. 이에 모바일(200)은 사용자가 선택한 환자 및 측정부위를 측정대상 환자 및 측정 대상 부위로 설정하고(S503),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에 측정 지시를 알린다(S504).
여기서, 측정대상 환자 및 측정 대상 부위를 표시부(270)에 표시하거나 알람 동작을 하여 의사 또는 측정자가 이를 확인하게 하는 경우이면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에 측정 지시를 출력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모바일(200)로부터 측정 지시를 수신하면 측정 지시를 알리는 표시 또는 알람을 하며, 이에 따라 의사 또는 측정자는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의 러버(D)를 환자의 해당 측정부위에 밀착시킨 후 점차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측정 동작을 한다.
의사 또는 측정자의 측정 동작에 의해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환자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는 통합값을 측정하고 화면상에 표시하며(S505),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통압값을 최종 통압값으로 파악하여 표시부(270)의 화면상에 고정 표시한다(S506).
그런 다음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100)는 파악한 최종 압통값을 모바일(200)에 제공하고(S507), 모바일(200)은 수신되는 최종 압통값을 S503 과정에서 설정한 환자 식별정보 및 측정부위에 대응시켜 저장한다(S508).
모바일(200)은 수신된 압통값을 설정된 정상범위과 비교하고(S509), 비교를 통해 환자의 해당 측정부위가 정상인지를 판단한다(S510). 예컨대, 모바일(200) 즉 환자상태 파악부(240)는 압통값이 압력이 가할수록 1에서부터 2, 3, 4 순으로 증가하는 경우이고 정상범위가 10 - 12이며 측정된 압통값이 10 또는 1 또는 12이면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표시부(270)에 정상임을 알린다(S511).
반면에, 환자상태 파악부(240)는 압통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해당 환자의 해당 측정부위에 대해 직전 측정한 통압값을 저장부(260)로부터 읽어들인 후(S512), 직전 측정한 통압값과 현재 측정한 통압값을 비교하여(S513), 해당 환자의 해당 측정부위에 대한 통압값의 변화를 파악한다(S514).
이때 통압값의 변화는 직전 측정한 통압값과 현재 측정한 통압값의 차이의 변화이며, 통압값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현재 측정한 통압값이 직전 측정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환자상태 파악부(240)는 통압값의 변화를 파악하면 해당 측정부위의 상태가 호전되었는지 악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15). 그리고 환자상태 파악부(240)는 측정 통압값이 직전 측정값보다 낮으면 악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표시부(270)를 통해 알리며(S516), 측정 통압값이 직전 측정값보다 높으면 호전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부(270)를 호전되었음을 알린다(S517).
일반적으로 통증 환자는 건드리거나 작은 터치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통증을 호소하며, 낮은 압력에서 압통값을 나타낸다. 반면에 피부 등이 괴사하는 병을 가진 환자 등은 강한 압력에도 통증을 느끼지 않으며 이에 따라 높은 압력에서 압통값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통각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통각 측정을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또는 의사(측정자)의 모바일(200)에 측정일자별 측정 정보가 순차적으로 저장되고, 표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 200: 모바일
110: 사용자 입력부 120: 압력센싱부
130: 정량화부 140: 제1 통신부
150: 데이터 표시부 160: 전원부
170: 측정 제어부 210: 키패드부
220: 연결관리부 230: 환자관리부
240: 환자상태 파악부 250: 제2 통신부
260: 저장부 270: 표시부
280: 모바일 제어부

Claims (5)

  1. 러버를 통해 측정된 압력을 신호로 정량화하여 압통값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 그리고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와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새로운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환자 중 하나를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의 대상 환자로 선택할 수 있게 하며, 등록된 환자에 대한 진료시 압통값 및 환자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압통값을 저장시키며, 측정된 압통값을 설정된 정상값 또는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파악하고, 정상이 아닌 경우이면 직전에 저장된 압통값과 현재 측정된 압통값을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를 파악하는 기능을 가진 모바일
    을 포함하는 디지털 통각 측정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출력하는 압력 센싱부,
    상기 압력 센싱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정량화하여 압통값으로 출력하는 정량화부,
    상기 정량화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압통값을 근거리무선통신으로 모바일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압통값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각 구성을 제어하고, 각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측정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은,
    사용자의 명령이나 지시 또는 선택을 입력받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키패드부,
    상기 제1 통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키패드부를 이용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통신부를 이용한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와의 연결 후 사용자가 선택한 환자 및 측정부위에 대응하여 환자 식별정보와 측정부위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에 제공하는 연결 관리부,
    사용자가 새로운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환자 중 하나를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의 대상 환자로 선택할 수 있게 하며, 등록된 환자에 대한 진료시 압통값 및 환자 상태 정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환자관리부,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압통값을 저장시키고, 측정된 압통값을 설정된 정상값 또는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가 정상인지를 파악하고, 정상이 아닌 경우이면 직전에 저장된 압통값과 현재 측정된 압통값을 비교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를 파악하는 환자관리부,
    사용자가 등록한 환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에서 제공한 압통값을 환자별로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환자상태 파악부에 의해 파악된 환자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각종 정보를 화면상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키패드부나 상기 환자관리부의 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모바일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부위에 대한 압통값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자 및 측정부위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시키는 모바일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통각 측정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는
    막대 모양의 몸체 하우징에 상기 데이터 표시부의 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 하우징(A)의 타단에 핀이 설치되고 상기 핀의 일단에 러버(rubber)가 설치가 설치된 디지털 통각 측정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디지털 통각 측정장치는 상기 몸체 하우징 일단에 뚜껑이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뚜껑 내부에 신체 부위별 감각을 검사하기 위한 촉각 검사기가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통각 측정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촉각 검사기는 톱니바퀴의 형상을 하며 중앙에 형성된 홈이 상기 몸체 하우징 일단 내측에 형성된 돌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는 디지털 통각 측정시스템.
KR1020140178759A 2014-12-11 2014-12-11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 KR20160071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759A KR20160071585A (ko) 2014-12-11 2014-12-11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759A KR20160071585A (ko) 2014-12-11 2014-12-11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585A true KR20160071585A (ko) 2016-06-22

Family

ID=5636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759A KR20160071585A (ko) 2014-12-11 2014-12-11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15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1993A (zh) * 2018-12-29 2021-06-04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监护设备、监护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1993A (zh) * 2018-12-29 2021-06-04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监护设备、监护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27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KR20060128625A (ko) 신체 활동 측정 단말기
CN110114741B (zh) 穿戴式终端及其操作方法
EP3375350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program used i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 and nontempora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used i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
US11666272B2 (en) Pain-monitoring device and method
CN103654746A (zh) 生物体信息通知装置及生物体信息通知方法
KR102173725B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90167208A1 (en) Bio-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io-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4224116A (zh) 医用传感器及其使用方法和操作设备
KR20140107945A (ko)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8168301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8366776A (zh) 患者监护仪、生命体征软件控制方法和程序
KR101050280B1 (ko) 생체신호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11596322B2 (en)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bio-signal measuring method
KR20150095439A (ko) 생체 정보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WO2006132473A1 (en) The body activity measurement terminal
KR102233428B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원격 제어 장치
KR20170027810A (ko) 프로그래밍된 그래픽 인디케이터들을 갖는 저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닌 혈당 계측기
KR20160071585A (ko) 디지털 통각 측정 시스템
JP2018527133A (ja) 別の検査を提案するパルスオキシメータ
JP2018000303A (ja) 生体情報測定装置、生体情報測定装置の作動方法、及び、生体情報測定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WO2018168300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50037004A (ko) 장갑형 다기능 전자침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
JP7484250B2 (ja) 携帯型心電装置及び心電測定システム
JP2017159150A (ja) 運動量測定装置、運動量測定システム及び運動量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