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507A -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507A
KR20160071507A KR1020140178213A KR20140178213A KR20160071507A KR 20160071507 A KR20160071507 A KR 20160071507A KR 1020140178213 A KR1020140178213 A KR 1020140178213A KR 20140178213 A KR20140178213 A KR 20140178213A KR 20160071507 A KR20160071507 A KR 20160071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unit
unit
heat exchang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723B1 (ko
Inventor
김태국
홍승표
구수회
윤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바이오
Priority to KR102014017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7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27Cryo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소켓 형상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대상물을 흡입되는 석션부를 지방분해 대상 표적 부위에 배치시키는 단계, 석션부의 내측 천장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 흡입부를 작동시켜 제1진공압으로 상기 표적 부위를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면벽으로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석션부의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 장착되되, 열전소자와 밀착되어 열교환되는 열교환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작동시켜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으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를 일정 시간동안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진공 흡입부에 제1진공압보다 낮은 제2진공압으로 상기 표적 부위를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열전소자에 가해지는 전원의 극성을 변경하여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으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를 일정 시간동안 가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표적 부위를 일정 시간동안 흡착시켜 냉각지방분해한 다음, 표적 부위에 열을 가하여 표적 부위에 발생되는 멍자국을 제거하도록 하여 피부손상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적 부위에 발생되는 멍자국을 제거하기 위해 표적 부위의 흡착력을 감압시켜 혈류의 흐름을 개선시키고, 표적 부위에 열을 가하는 열교환플레이트를 표적 부위 표면과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여 멍자국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oling adipolysis for removal of mark}
본 발명은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션부 내부 수용공간이 냉각지방분해가 이루어지는 일정 시간동안 표적 부위를 흡착하기 위해 일정 진공압으로 유지됨에 의해, 표적 부위에 혈류의 흐름이 제한되어 멍자국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멍자국을 제거하기 위해 표적 부위를 냉각시켜 지방분해시킨 다음 표적 부위에 열을 가하여 혈류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으로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영양 과다 섭취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해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현대인들의 비만 치료를 위한 다양한 치료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지방 흡입술을 통해 복부, 허벅지 등의 과다한 지방을 제거하는 수술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수술을 통해 해당 부위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지방을 흡입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피 시술자에게 정신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 즉, 지방 흡입술은 피 시술자가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수술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피시술자로서는 수술을 받는다는 생각에 심리적인 부담을 느끼게 되고, 수술 비용에 따른 금전적인 부담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지방 흡입술은 수술을 통해 지방을 제거하기 때문에 몸에 무리가 가며, 단시간에 많은 양의 지방을 제거하여 요요 현상에 따른 부작용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몸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편안한 마음으로 비용의 부담 없이 비만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피부 표면을 장시간 냉각시켜 지방세포의 자가 세포 사멸을 이용하여 비만 부위의 지방 세포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 2012-59078호에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의 지방분해장치는 냉각부위가 평탄한 피부면에 접촉되어 접촉면적이 좁아 효율적으로 지방분해가 이루어지지 어려워, 지방분해 대상 표적 부위만을 별도로 진공압에 의해 흡착시켜 냉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나 이러한 냉각지방분해는 장시간 피부면을 냉각하여야 하기 때문에 표적 부위가 냉각지방분해 시간동안 계속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이러한 진공압에 의해 혈류의 흐름이 제한되어 피부에 멍자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냉각지방분해장치에 의해 피부에 멍자국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시간 흡착에 따른 멍자국을 제거할 수 있는 냉각지방분해장치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2-590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적 부위를 냉각지방분해하기 위해 석션부 내부 수용공간이 일정 시간동안 일정 진공압을 유지하여야 하며, 이러한 진공압에 의해 표적 부위에 발생된 멍자국을 제거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적 부위의 혈류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표적 부위를 흡착하는 진공압을 감압시키고, 열교환플레이트와 석션부 내측으로 흡착된 표적 부위와의 거리를 재조정하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소켓 형상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대상물을 흡입되는 석션부를 지방분해 대상 표적 부위에 배치시키는 단계, 석션부의 내측 천장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 흡입부를 작동시켜 제1진공압으로 상기 표적 부위를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면벽으로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석션부의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 장착되되, 열전소자와 밀착되어 열교환되는 열교환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작동시켜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으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를 일정 시간동안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진공 흡입부에 제1진공압보다 낮은 제2진공압으로 상기 표적 부위를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열전소자에 가해지는 전원의 극성을 변경하여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으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를 일정 시간동안 가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플레이트는 상기 열교환플레이트의 하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열교환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상기 석션부의 내벽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진공 흡입부에서 제2진공압이 제공되면, 상기 열교환플레이트가 상기 석션부 내측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진공 흡입부에서 제2진공압으로 표적 부위를 흡착시킨 다음, 상기 석션부 내측에 설치되는 거리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석션부 내측벽과 상기 표적 부위의 표면과의 거리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열교환플레이트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진공 흡입부에서 제2진공압으로 표적 부위를 흡착시킨 다음, 상기 석션부 내측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석션부 내부 압력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열교환플레이트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더욱이, 제1진공압으로 상기 표적 부위를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면벽으로 흡착시킨 다음, 상기 표적 부위에 접촉되는 상기 석션부의 단부 내측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에 의해 상기 석션부의 단부에 밀착되는 상기 표적 부위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지방분해장치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소켓 형상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대상물을 흡입하는 석션부와, 상기 석션부의 내측 천장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일정 진공압을 발생시켜 표적 부위를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면벽으로 흡착시키는 진공 흡입부와, 상기 석션부의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 열전소자와 밀착되어 열교환되는 열교환플레이트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으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를 상기 열전소자의 극성변화에 따라 냉각 또는 온열시키는 열교환부와, 상기 석션부의 내측면벽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석션부 내부의 압력 또는 상기 석션부 내측면벽과 상기 석션부 내부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 표면과의 거리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기 열교환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플레이트가 일정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진공 흡입부의 진공압 설정, 상기 열전소자의 극성변화 설정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값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에서는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적 부위를 냉각시켜 지방분해한 다음, 상기 열전소자의 극성을 변화시켜 상기 표적 부위가 일정 시간동안 가열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표적 부위를 일정 시간동안 흡착시켜 냉각지방분해한 다음, 표적 부위에 열을 가하여 표적 부위에 발생되는 멍자국을 제거하도록 하여 피부손상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적 부위에 발생되는 멍자국을 제거하기 위해 표적 부위의 흡착력을 감압시켜 혈류의 흐름을 개선시키고, 표적 부위에 열을 가하는 열교환플레이트를 표적 부위 표면과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여 멍자국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를 이용하여 표적 부위를 석션부 내로 흡입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냉각지방분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냉각지방분해장치의 정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를 이용한 지방분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표적 부위 냉각 단계에서의 냉각지방분해장치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표적 부위 가열 단계에서의 냉각지방분해장치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를 이용하여 표적 부위를 석션부 내로 흡입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냉각지방분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냉각지방분해장치의 정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상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각지방분해장치(100)는 석션부(10), 진공 흡입부(20), 열교환부(30), 동상방지패드(40), 센싱부(50), 구동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석션부(10)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 내부로 대상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소켓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석션부(10)의 밑면은 표적 부위(T)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석션부(10)는 인체의 피부조직(1)과 맞닿도록 설계되는 부분이므로, 생체적합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티타늄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석션부(10)의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는 후술될 열교환부(3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11)이 형성된다. 또한, 표적 부위(T)가 접촉되는 석션부(10)의 단부에는 열선과 같은 가열수단(12)이 설치되어 표적 부위(T) 표면에 온열을 제공하도록 한다.
진공 흡입부(20)는 석션부(10)의 내측 천장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수용공간 내부에 일정 진공압을 발생시켜 표적 부위(T)를 흡착시킨다. 이러한 진공 흡입부(20)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유닛(21) 및 진공발생유닛(21)으로부터의 진공압을 제공받는 진공 홀(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진공 홀(22)은 진공 흡입부(20)의 내측 천장과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석션부(1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수용공간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부(30)는 석션부(10)의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 열전소자(32)를 장착하여 석션부(10) 내측으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T)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열교환부(30)는 열전소자(32)의 일면에 부착되어 열전소자(32)와 열교환되고 석션부(10) 내측으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T)의 표면에 밀착되어 열전달하는 열교환플레이트(31)와, 열전소자(32)의 다른면에 부착되어 열전소자(32)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열교환부(30)의 설치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열전소자(32)와 열전소자의 다른면에 부착되는 방열부(33)는 석션부(10)의 설치공(11) 외측에 설치되고, 열교환플레이트(31)는 열교환플레이트(31)의 하단부를 회전축(31a)으로 하여 열교환플레이트(31)의 하단부가 석션부(10)의 내측면벽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11)을 석션부(10) 내측에서 밀폐시키도록 상기 설치공(11)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아울러, 열전소자(32)는 n형 열전 반도체 및 p형 열전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n형 및 p형 열전 반도체를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그리고 열적으로는 병렬로 연결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열전소자(32)는 전원이 공급될 경우 n형 열전 반도체에서는 흡열이 일어나고 p형 열전 반도체에서는 방열이 일어나는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써, 전원의 극성 변화에 의해 표적 부위(T)를 냉각시키고 반대측으로 방열부(33)를 통해 열을 방출하도록 한다.
동상방지패드(40)는 지방분해를 위한 피부의 표적 부위(T)에 부착되는 패드로서, 열교환부(30)와 표적 부위(T) 사이에 개재되어 표적 부위(T)가 열교환플레이트(3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하여 피부 표면의 동상을 예방하도록 한다. 이러한 동상방지패드(40)는 겔타입으로 일정 습기를 가지며, Hydroxyethyl cellulose, Propylene, Glycerin, Sorbitol, Parfume, Pure water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센싱부(50)는 석션부(10)의 내측면벽 일측에 압력감지수단(51)이 설치되어 석션부(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또는 석션부(10)의 내측면벽 일측에 거리감지수단(51')이 설치되어 석션부(10) 내측면벽과 석션부(10) 내부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T)의 표면과의 거리를 센싱하며, 센싱된 값은 제어부(70)로 전송된다.
구동부(60)는 열교환플레이트(3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70)의 제어명령에 의해 열교환플레이트(31)가 일정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열교환플레이트(31)의 회전축(31a)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어부(70)는 진공 흡입부(20)의 진공압 설정, 열전소자(32)의 극성변화 설정 및 센싱부의 센싱값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제어 등을 담당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어부(70)에서는 진공 흡입부(20)에 제1진공압으로 설정하여 표적 부위(T)를 흡착시켜 표적 부위(T)를 일정 시간동안 냉각되도록 제어한 다음, 진공 흡입부(20)에 제1진공압보다 작은 제2진공압으로 표적 부위(T)를 흡착시키도록 하고 열전소자(32)의 극성을 바꾸어 표적 부위(T)를 온열시켜 표적 부위(T)에 발생된 멍자국을 제거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70)에서는 상기 제2진공압을 제공할 때의 석션부(10) 내부 압력 또는 석션부(10) 내측면벽과 표적 부위(T)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센싱하여 열교환플레이트(31)의 회전각도를 산출하여 구동부(60)에서 일정 각도로 열교환플레이트(31)가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를 이용한 지방분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표적 부위 냉각 단계에서의 냉각지방분해장치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표적 부위 가열 단계에서의 냉각지방분해장치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멍자국 제거를 위한 지방분해방법은 석션부 배치 단계(S410), 제1흡착 단계(S420), 냉각 단계(S430), 제2흡착 단계(S440) 및 가열 단계(S450)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석션부 배치 단계(S410)에서는 동상방지패드(40)가 부착된 표적 부위의 상부에 소켓형상의 석션부(10)를 배치한다. 상기 석션부 배치 단계(S410)에서는 표적 부위(T)에 해당하는 인체의 피부와 맞닿도록 석션부(1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석션부(10)의 밑면은 표적 부위(T)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석션부(10)는 인체의 피부와 맞닿도록 설계되는 부분이므로, 생체적합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티타늄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제1흡착 단계(S420)에서는 진공 흡입부(20)가 제어부(70)에서 설정된 제1진공압으로 표적 부위(T)를 석션부(10)의 내측으로 끌어 올림으로써, 석션부(10)의 내측면벽에 장착되는 냉각플레이트(31)에 표적 부위(T)가 접촉된다.
냉각 단계(S430)에서는 냉각소자(32)에 전원이 공급되어 냉각소자(32)에 의해 열교환되는 냉각플레이트(31)에 표적 부위(T)가 일정 시간동안 냉각되면서 지방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은 지방 세포의 자가 세포 사멸(Apoptosis)을 이용하여 비만 부위의 지방 세포를 제거하는 것으로, 지방 세포는 차가운 온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자가 세포 사멸이라는 사멸 작용에 의해 자연 괴사하게 된다. 이러한 지방 세포의 자가 세포 사멸을 유도하려면 지방 세포를 0 ~ -10℃ 온도로, 30 ~ 60분 정도 냉각시키야 하며, 사용자가 상기의 적정 온도값과 시간값 범위 내에서 임의로 온도값과 시간값을 설정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상기의 적정 온도값과 시간값을 벗어난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음성 등을 통하여 상기의 설정값으로는 세팅이 불가하다는 경고알람이 발생되도록 한다.
아울러, 동상방지를 위한 최저온도와 최대사용시간이 사전에 설정되어, 시술중에 최저온도 또는 최대사용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냉각기능이 자동으로 멈추도록 하고 음성 등을 통하여 완료되었음을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냉각 단계(S430)에서는 냉각플레이트(31)와 표적 부위(T)간에 동상방지패드(40)가 개재되어 냉각플레이트(31)가 표적 부위(T)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장시간 냉각시키더라도 피부가 동상을 입지 않도록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냉각플레이트(31)는 냉각소자(32)의 일면에 부착되어 펠티에 효과에 의해 냉각되며, 냉각소자(32)의 타측면에서의 상승된 온도는 냉각소자(32)의 타측면에 부착되는 방열부(33)를 통해 열교환되어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표적 부위(T)에 냉각지방분해하기 위해 석션부(10) 내부 수용공간은 일정 시간동안 제1진공압을 유지하여야 하며, 이러한 진공압에 의해 혈류의 흐름이 제한되어 피부에 멍자국이 발생되며, 이러한 멍자국은 석션부(10)의 단부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석션부(10)의 단부측에 접촉되는 표적 부위에서 가장 심하게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흡착 단계(S420)에서부터 석션부(10)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열선코일로 이루어진 가열수단(12)을 작동시켜 석션부(10)의 단부에 밀착되는 표적 부위(T)를 가열하여 혈류의 흐름을 좋게 할 수 있다.
제2흡착 단계(S440)에서는 상기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표적 부위(T)를 제1진공압으로 흡착시켜에 냉각지방분해를 마친 다음, 진공 흡입부(20)에 제1진공압보다 낮은 제2진공압을 제공하여 제2진공압에 의해 표적 부위(T)를 흡착하도록 한다. 이는 도 6에서와 같이 진공 흡입부(20)에 제2진공압이 제공되면 제1진공압보다 더 작은 흡착력으로 인해 표적 부위(T)가 제1진공압일때보다 석션부(10) 내측으로 더 적게 흡착된다.
이러한 제2흡착 단계(S440)는 제1진공압보다 낮은 제2진공압으로 혈류가 개선되도록 함과 함께, 대상 표적 부위(T)만을 석션부(1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2진공압으로 표적 부위(T)를 흡착시킨 다음, 석션부 내측에 설치되는 거리감지수단(51)에 의해 석션부(10) 내측벽과 표적 부위(T)의 표면과의 거리를 센싱하거나, 석션부(10) 내측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수단(51)에 의해 석션부(10) 내부 압력을 센싱하여, 이렇게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열교환플레이트(1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표적 부위(T)의 표면과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는 제2진공압에서는 석션부(10) 내측면에 설치되는 열교환플레이트(31)와 표적 부위(T)와의 거리가 제1진공압에서 보다 멀어지게 되어, 표적 부위(T)와 열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거리감지수단이나 압력감지수단을 통해 열교환플레이트(31)와의 간격 또는 압력값을 센싱하여 이러한 값을 기초로하여 열교환플레이트(31)가 표적 부위(T) 표면과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가열 단계(S450)에서는 열전소자(32)에 가해지는 전원의 극성을 변경하여 열교환플레이트(31)가 열전소자(32)와 열교환되어 표적 부위(T) 표면을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가열 단계(S450)를 통해 피부 표면에 따뜻한 열이 전달되어 혈류의 흐름이 개선되며, 이에 따라 피부 표면에 발생된 멍자국이 없어지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석션부 11 : 설치공
12 : 가열수단
20 : 진공 흡입부 21 : 진공발생유닛
22 : 진공 홀
30 : 열교환부 31 : 열교환플레이트
31a : 회전축 32 : 열전소자
33 : 방열부
40 : 동상방지패드
50 : 센싱부 51 : 거리감지수단, 압력감지수단
60 : 구동부
70 : 제어부

Claims (6)

  1.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소켓 형상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대상물을 흡입되는 석션부를 지방분해 대상 표적 부위에 배치시키는 단계;
    석션부의 내측 천장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 흡입부를 작동시켜 제1진공압으로 상기 표적 부위를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면벽으로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석션부의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 장착되되, 열전소자와 밀착되어 열교환되는 열교환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작동시켜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으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를 일정 시간동안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진공 흡입부에 제1진공압보다 낮은 제2진공압으로 상기 표적 부위를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열전소자에 가해지는 전원의 극성을 변경하여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으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를 일정 시간동안 가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플레이트는 상기 열교환플레이트의 하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열교환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상기 석션부의 내벽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진공 흡입부에서 제2진공압이 제공되면, 상기 열교환플레이트가 상기 석션부 내측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부에서 제2진공압으로 표적 부위를 흡착시킨 다음, 상기 석션부 내측에 설치되는 거리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석션부 내측벽과 상기 표적 부위의 표면과의 거리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열교환플레이트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부에서 제2진공압으로 표적 부위를 흡착시킨 다음, 상기 석션부 내측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석션부 내부 압력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열교환플레이트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제1진공압으로 상기 표적 부위를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면벽으로 흡착시킨 다음, 상기 표적 부위에 접촉되는 상기 석션부의 단부 내측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에 의해 상기 석션부의 단부에 밀착되는 상기 표적 부위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방법.
  6.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소켓 형상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대상물을 흡입하는 석션부와;
    상기 석션부의 내측 천장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일정 진공압을 발생시켜 표적 부위를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면벽으로 흡착시키는 진공 흡입부와;
    상기 석션부의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 열전소자와 밀착되어 열교환되는 열교환플레이트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석션부의 수용공간 내측으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를 상기 열전소자의 극성변화에 따라 냉각 또는 온열시키는 열교환부와;
    상기 석션부의 내측면벽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석션부 내부의 압력 또는 상기 석션부 내측면벽과 상기 석션부 내부로 흡착되는 표적 부위 표면과의 거리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기 열교환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플레이트가 일정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진공 흡입부의 진공압 설정, 상기 열전소자의 극성변화 설정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값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에서는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적 부위를 냉각시켜 지방분해한 다음, 상기 열전소자의 극성을 변화시켜 상기 표적 부위가 일정 시간동안 가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KR1020140178213A 2014-12-11 2014-12-11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KR10168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213A KR101689723B1 (ko) 2014-12-11 2014-12-11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213A KR101689723B1 (ko) 2014-12-11 2014-12-11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507A true KR20160071507A (ko) 2016-06-22
KR101689723B1 KR101689723B1 (ko) 2016-12-27

Family

ID=5636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213A KR101689723B1 (ko) 2014-12-11 2014-12-11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7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771A (ko) * 2004-04-02 2005-10-10 임수향 휴대용 피하 지방 제거기
KR20080114728A (ko) * 2006-02-16 2008-12-31 시네론 메디컬 리미티드 지방 조직의 치료 방법 및 장치
KR20120018779A (ko) * 2009-04-30 2012-03-05 젤티크 애스세틱스, 인코포레이티드. 피하 지질 과다 세포로부터 열을 제거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9078A (ko) 2010-11-30 2012-06-08 김창현 휴대용 냉각 지방 분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771A (ko) * 2004-04-02 2005-10-10 임수향 휴대용 피하 지방 제거기
KR20080114728A (ko) * 2006-02-16 2008-12-31 시네론 메디컬 리미티드 지방 조직의 치료 방법 및 장치
KR20120018779A (ko) * 2009-04-30 2012-03-05 젤티크 애스세틱스, 인코포레이티드. 피하 지질 과다 세포로부터 열을 제거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9078A (ko) 2010-11-30 2012-06-08 김창현 휴대용 냉각 지방 분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723B1 (ko)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4363B2 (en) Modifying humidity and convection to glabrous tissue to control metabolism
US11129747B2 (en) Modifying humidity to glabrous tissue for the treatment of migraine and other conditions
KR101487850B1 (ko) 냉각을 이용한 비만치료 장치
US11944568B2 (en) Cooling system for localized and non-invasive cooling treatment
US20160270951A1 (en) Handpiece assembly for an apparatus used in cosmetic treatment
US20080046047A1 (en) Hot and cold therapy device
SG175831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removing heat from subcutaneous lipid-rich cells
US20220047315A1 (en) Multi-applicator system and method for body contouring
WO2017190225A1 (en) Device for delivering regulated hot and cold therapy
KR101689723B1 (ko) 멍자국 제거를 위한 냉각지방분해장치
KR20120059078A (ko) 휴대용 냉각 지방 분해 장치
KR101723211B1 (ko)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각지방분해장치
KR101606287B1 (ko) 적외선 발산장치용 패널 부분 냉각장치
KR101937662B1 (ko) 냉각지방분해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지방 분해 방법
KR101603579B1 (ko) 방열부 일체형 냉각지방분해장치
CN202505556U (zh) 半导体冷敷器
GB2422769A (en) Heat therapy garment
EP3182952A1 (en) Modifying humidity to glabrous tissue for the treatment of migraine and other conditions
KR20160066082A (ko) 동상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각지방분해장치
CN204379526U (zh) 一种家用减肥装置
KR20170050867A (ko) 냉온찜질이 가능한 눈찜질패드 케이스
CN104434382A (zh) 一种家用减肥装置
CN106511026A (zh) 遗体冷藏冰棺
JP2003230610A (ja) 冷却機構を有する棺桶装置
RU2556842C2 (ru) Реанима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новорожденн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