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221A - Apparatus for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221A
KR20160071221A KR1020140178693A KR20140178693A KR20160071221A KR 20160071221 A KR20160071221 A KR 20160071221A KR 1020140178693 A KR1020140178693 A KR 1020140178693A KR 20140178693 A KR20140178693 A KR 20140178693A KR 20160071221 A KR20160071221 A KR 20160071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on
optical communication
signal
based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1854B1 (en
Inventor
김종학
박형진
윤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7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854B1/en
Priority to MYPI2017701453A priority patent/MY183256A/en
Publication of KR20160071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2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8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Abstract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based on a passive optical network (PON) and a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based on a P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an optical line terminal (OLT) of an EPON through an optical cable. The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es: a signal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n optical signal from the optical line terminal; and a subscriber unit that controls connection and maintenance of a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terminals (O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sts for constructing lines can be saved.

Description

PON 기반 광통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EPON 시스템 {Apparatus for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system hav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n EPON system including the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본 출원은 PON 기반 광통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EPON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국사 최적화 및 선로 구축 비용 절감이 가능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EPON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an EPON system including the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an EPON system including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인터넷 트래픽의 급격한 증가가 지속되고,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 구축이 가시화되면서, FTTH(Fiber-to-the-home)로 대표되는 광 가입자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FTTH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PON(Passive Optical Network) 기술은 전력 공급이 불필요한 수동형 분기장치를 원격 노드(RN, Remote node)로 사용하는 점대다점(point-to multipoint) 기반의 광가입자 기술이다. As the Internet traffic continues to grow rapidly and the wired / wireless integrated network becomes visible, the development of optical subscriber technology represented by fiber-to-the-home (FTTH) is accelerating. PON (Passive Optical Network) technology, which is leading the FTTH market, is a point-to-multipoint optical subscriber technology that uses a passive branching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power supply as a remote node (RN).

이에, PON 기술은 가입자에게 높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OSP(Outside Plant)가 수동소자로만 구성되므로 망의 운용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Therefore, PON technology can not only provide a high bandwidth to subscribers but also is widely used because OSP (Outside Plant) is constituted only as a passive element,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operating cost of the network.

PON 기술은 다중화, 다중접속 방식의 차이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첫번째는 시분할 다중화 기반의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PON이고, 두번째는 파장분할 다중화 기반의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ON이다. 이때, TDM-PON은 ITU-T에서 표준화한 B-PON(Broadband PON), G-PON(Gigabit-capable PON), IEEE에서 표준화한 E-PON(Etherent PON) 등이 있다. PON technology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difference of multiplexing and multiple access schemes. First, it is time division multiplexing-based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PON and the second is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based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to be. In this case, the TDM-PON includes B-PON (Broadband PON), G-PON (Gigabit-capable PON) standardized by ITU-T, and E-PON (Etherent PON) standardized by IEEE.

최근, ITU-T와 IEEE는 사용자의 대역폭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각각의 PON 표준을 10G 속도급으로 진화시켰으며, ITU-T는 G-PON을 잇는 XG-PON1(10 Gigabit PON), IEEE는 E-PON을 잇는 10G-EPON 표준을 완성하였다.
Recently, ITU-T and IEEE have evolved each PON standard to 10G speed class in order to meet the bandwidth requirement of the user. ITU-T has developed XG-PON1 (10 Gigabit PON) connecting G-PON, IEEE 10G-EPON standard connecting E-PON has been completed.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74964 (2012.07.06)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74964 (July 6, 2012)

본 출원은, 국사 최적화 및 선로 구축 비용 절감이 가능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EPON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aims to provide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n EPON system including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optimizing national history and reducing the cost of constructing a 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는, EPON(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시스템의 광선로종단장치(OLT: Optical Line Terminal)와 광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상기 광신호에 포함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광 가입자 장치(ONT: Optical Network Terminal)에 대한 연결 및 유지관리를 제어하는 PON 가입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ed to an optical line terminal (OLT) of a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 system through an optical cable,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pparatus; And a PON subscriber unit for controlling connection and maintenance of a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terminals (ONT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optical signal.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는, 복수의 광 가입자 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주배선반(MDF: Main Distribution Frame) 또는 통신함(BBx)에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main distribution frame (MDF) or a communication box (BBx) in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units are located.

여기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광신호의 트래픽을 구별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채널에 따라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지정할 수 있다. Here, the signal receiv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hannels for distinguishing and transmitting traffic of the optical signal, and may designate an SLA (Service Level Agreement) according to each channel.

여기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채널에 각각 기 설정된 지정 대역폭 및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트래픽에 따라 구별된 광신호를 각각 대응하는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Here, the signal receiver may set predetermined bandwidths and priorities respectively set in the channels, and may transmit optical signal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raffic through corresponding channels.

여기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광신호를,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와 링 구조로 연결되는 제1 PON 기반 광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Here, the signal receiving unit may receive the optical signal from a first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with the optical line terminating device in a ring structur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는, 상기 수신한 광신호를 상기 링구조로 연결되는 제2 PON 기반 광통신장치로 송신하는 신호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optical signal to a second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ed with the ring structur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는, 상기 신호송신부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와 직결되면, 상기 직결되는 연결을 RPL(Ring Protection Link)로 지정하여, 상기 광신호의 루프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ptical line terminating apparatus, the direct connection is designated as a RPL (Ring Protection Link) .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는, CFM OAM 수신 상태, 이더넷 OAM 수신 상태 및 광신호수신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신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로 이상발생을 알릴 수 있다. Here,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ify the occurrence of an error to the optical line terminal when the reception abnormality is detected in at least one of the CFM OAM reception state, the Ethernet OAM reception state, hav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는,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 이상발생을 알리면,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송신부와 신호 수신부의 기능을 교체하여, 링 구조의 신호전송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Here,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ange the func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signal recep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optical line termination apparatus, The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can be switch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는, 상기 CFM OAM 수신 상태, 이더넷 OAM 수신 상태 및 광신호수신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신이상이 감지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도과 후 상기 링 구조의 신호전송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Here,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ception error is detected in at least one of the CFM OAM reception state, the Ethernet OAM reception state, and the optical signal reception state, The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can be switched.

여기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OAM(Operation and Maintenance)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Here, the signal receiver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n operation and maintenance (OAM) message.

여기서 상기 OAM 메시지는, IEEE 802.3, clause 57에 따라 생성되는 것으로, 이더넷 헤더 영역에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표시하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AM message is generated according to IEEE 802.3, Clause 57, and may further include an item for displaying an OAM protocol data unit in the Ethernet header area.

여기서 상기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복수개의 PON 기반 광통신 장치가 광선로종단장치와 링 구조를 형성하여 상호 연결된 구조에서, 상기 광선로종단장치가 각각의 PON 기반 광통신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Here, the OAM protocol data unit may be one in which a plurality of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form a ring structure with the optical line termination device and are interconnected and the optical line termination device controls each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여기서 상기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링 구조의 연결에 있어서, 상기 OAM 메시지를 송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SourcePU ID#", 상기 OAM 메시지를 수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의 개수를 나타내는 "PU ID List count", 상기 OAM 메시지를 수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의 식별자 리스트를 나타내는 "Destination PU ID#"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AM protocol data unit may include a "SourcePU ID #" including an identifier indicating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OAM message in the ring structure connection, a number of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receiving the OAM message Quot; PU ID List count "indicating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receiving the OAM message, and" Destination PU ID # "

여기서 상기 가입자부는, 상기 "SourcePU ID#"가 수신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의 식별자와 동일하거나, 상기 수신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의 식별자가 상기 "Destination PU ID List"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한 OAM 메시지를 드랍(drop)할 수 있다. Herein, the subscriber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if the identifier of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is the same as the identifier of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received by the "SourcePU ID # You can drop a message.

여기서 상기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OAM 메시지가 PON 기반 광통신장치 및 광 가입자 장치 중 어느 것에 대한 설정인지를 표시하는 "flag", 수신하는 광 가입자 장치의 개수를 나타내는 "LLID List count" 및 수신하는 광 가입자의 식별자 리스트를 나타내는 "Destination LL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AM protocol data unit includes a "flag" which indicates whether the OAM message is set for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or the optical network terminal, an "LLID List count" And "Destination LLID" indicating a list of identifiers of optical subscrib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EPON 시스템은, EPON(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국사에 설치되며, 가입자망으로터 송수신한 광신호를 백본(back bone)망으로 연결하는 광선로종단장치(OLT: Optical Line Terminal); 복수의 광 가입자 장치(ONT: Optical Network Terminal)가 위치하는 지역의 주배선반(MDF: Main Distribution Frame)에 설치되며,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광 가입자 장치에 상기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및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와 PON 기반 광통신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광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An EP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PO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The EPON system includes an optical line termination device (not shown) installed in a home office and connected to a back bone network through an optical signal transmitted / (OLT); A plurality of optical subscriber units are installed in a main distribution frame (MDF) in a region where a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terminals (ONTs) are located, and the optical signals are transmitted /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an optical cable connecting between the optical line terminal and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not all enumerat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EPON 시스템에 의하면, 국사 최적화 및 선로 구축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EPON system including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national history and reduce the cost of constructing the 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EPON 시스템에 의하면, 10Gbps 전송속도를 지원할 수 있는 대용량 광선로 종단장치를 이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중복된 광역 국사시설을 최적화하여 효율적으로 광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70km 이상의 FTTH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EPON system including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ccess network using a large-capacity optical line termination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a 10 Gbps transmission rate, Network can be formed, and FTTH coverage over 70 km can be sec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EPON 시스템에 의하면, 광역 국사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광코어를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EPON system including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tical cores that may occur in the installation of a wide area optical fiber center can be sav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EPON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2는 종래의 EPON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EPON 시스템의 링 구조의 연결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EPON 시스템의 선로이상 검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의 OAM 구조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에서의 광 가입자 장치에 대한 운용제어시의 OAM 구조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의 광 가입자 장치에 대한 운용제어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P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EPON system.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nection form of a ring structure of an EP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 line anomaly detection method of an EP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tables showing an OAM structure of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tables showing an OAM structure at the time of operation control for an optical network subscriber unit in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able showing operation control of an optical subscriber unit of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EPON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2는 종래의 EPON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P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EPON system.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EPON 시스템은 광선로종단장치(100),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 및 광케이블(3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EP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ptical line termination device 100,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an optical cable 300.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EPON 시스템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P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종래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사에 위치하는 광선로 종단장치(OLT: Optical Line Terminal, 10)가 광케이블을 통하여 광신호를 전송하면, 스플리터(s)에서 상기 광신호를 분기시켜 다수의 광 가입자 장치(ONT: Optical Network Terminal 또는 ONU: Optical Network unit, 400)로 분배하였다. 스플리터(s)는 다수의 광 가입자 장치(400)가 밀집하여 위치하는 지역의 주배선반(MDF: Main Distribution Frame) 또는 통신함(BBx, ex. BBC: Broad Cast Cabinet, BBS: Broad Cast Shelter, BBH: Broad Cast House)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플리터(s)와 광선로종단장치(10) 사이는 광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플리터(s)에 의하여, 다수의 광 가입자 장치(400)가 하나의 광 케이블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2, when an optical line terminal (OLT) 10 located at the national office transmits an optical signal through an optical cable, the optical signal is branched by a splitter (ONT: Optical Network Terminal or ONU: Optical Network Unit, 400). The splitter s is connected to a main distribution frame (MDF) or a communication box (BBx, Broadcast Cabinet, BBS: Broad Cast Shelter, BBH : Broad Cast House), and the splitter s and the optical line terminating device 10 can be connected by an optical cable. That is, it is possible for a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units 400 to share one optical cable by the splitter s.

여기서 종래의 광선로 종단장치(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제어부(11), 스위치 가입자부(12), PON 제어부(13) 및 PON 가입자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선로 종단장치(10)는 가입자망과 백본(back-bone)망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광신호가 대응하는 광 가입자 장치(4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광신호를 종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2, the conventional optical line terminal 10 may include a switch control unit 11, a switch subscriber unit 12, a PON control unit 13, and a PON subscriber unit 14 . The optical line terminating device 10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a subscriber network and a backbone network to each other and transmits an optical signal to the optical network terminal 400 so that each optical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optical network terminal 400. [ Can play a role.

구체적으로, 스위치 제어부(11)는 스위치 가입자부(12)의 운용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 가입자부(12)에서의 스위칭을 통하여 연결되는 각각의 광신호의 경로 지정 및 보안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 가입자부(12)는 하향 장비 등과의 연결을 위한 스위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향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위치 네트워크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switch control unit 11 manages the operation of the switch subscriber unit 12 and performs routing and security setting of each optical signal connected through the switching at the switch subscriber unit 12 . Here, the switch subscriber unit 12 provides a switch interface for connection with downlink equipment, and may include a switch network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connection with uplink equipment, though not shown.

PON 제어부(13)는 PON 기능을 운용관리하는 것으로서, PON 가입자부(1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PON 가입자부(14)는 PON 가입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향 장비인 광 가입자 장치(400)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ON control unit 13 manages the PON function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N subscriber unit 14. [ Here, the PON subscriber unit 14 may provide a PON subscriber interface and may perform connection with the optical subscriber unit 400, which is a downlink equipment.

다만, 현재에는 망 구조의 진화 등에 따라, 10Gbps 전송속도를 지원할 수 있는 대용량 광선로 종단장치를 이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가 제안되고 있으며, 대용량 광선로 종단장치의 수용 용량에 적합하도록 광역의 국사 위주로 설비가 구축되고 있다. 여기서, 광역의 국사에 대용량의 광선로종단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주배선반 또는 통신함까지 연장되는 장거리 광코어의 수요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즉, 도2와 같은 종래의 방식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과다한 양의 광 케이블을 신규로 포설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t present, however, an access network using a high-capacity optical line termination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a 10-Gbps transmission speed has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e evolution of the network structure, and a facility centered on a wide area of the national history is constructed so as to accommodate the capacity of a large- . Here, when a large-capacity optical line terminating device is installed in a wide-area national history, the demand for a long-distance optical core extending to each main distribution box or communication box may additionally occur. That is, when the conventional method as shown in FIG. 2 is used, an excessive amount of optical cables must be newly installed.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용량 광선로 종단장치를 전진 배치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으나, 수용량 대비 비용 등을 고려할 때 과도한 투자비 발생이 문제될 수 있다. 즉, 대용량 광선로 종단장치의 경우 최대 5000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으나, 전진배치하는 경우에는 적정 수용규모가 500 가입자 내외이므로, 대용량 광선로 종단장치의 전진 배치에 소요되는 비용에 비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consider arranging a large-capacity optical fiber end device in advance, but excessive investment cost may be a problem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and cost. That is, a large-capacity optical line terminal can accommodate up to 5000 subscribers. However, since the proper accommodating size is about 500 subscribers in the case of forward placement, the effect that can be obtained compared to the cost required for forward placement of a large- .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선로 종단장치(10)의 기능 중에서 일부를 상기 주배선반 또는 통신함 등으로 전진배치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dvancing and disposing a part of functions of the optical line terminating device 10 to the main distributing box or the communication box is proposed.

즉,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EPON 시스템에서는, PON 가입자부(14)의 기능을 상기 주배선반 또는 통신함 등에 구비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에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가 광신호를 전송하면, 전진배치된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에서 상기 PON 가입자부(14)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광신호를 전송해야 할 각각의 광 가입자 장치(400)를 구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구별된 각각의 광신호는 복수개의 스플리터(s)를 통하여 분기되어, 대응하는 광 가입자 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광선로종단장치(100)와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 사이에는 10Gbps 속도의 광통신이 지원되므로, 상기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가 복수개의 스플리터(s)로 광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광선로종단장치(100)와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는 10Gbps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와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를 연결하는 광케이블(300)은 10G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EPON 시스템의 전송속도가 10Gbps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2.5Gbps, 40Gbps, 100Gbps 등을 비롯한 다양한 전송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1, in the EP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the PON subscriber unit 14 is performed by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200 provided in the main distribution panel or the communication box can do. In this case, when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transmits an optical signal, the PON subscriber unit 14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ON subscriber unit 14 in the forward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each of the optical network units 400 to which optical signals should be transmitted. Each of the separated optical signals may then be branched through a plurality of splitter s and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optical network terminal 400. [ In particular, since optical communication at a rate of 10 Gbps is supported between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and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transmit optical signals to the plurality of splitter s . The optical line terminating device 100 and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an access network supporting a 10 Gbps transmission speed and may be connected to an optical cable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optical line terminating device 100 and the PON- 300) may support a transmission rate of 10 Gbps. However,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EP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10 Gbps, and various transmission rates including 2.5 Gbps, 40 Gbps, and 100 Gbps may be suppor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수신부(210) 및 PON 가입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는,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로부터 이더넷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광 가입자 장치(400)에게 상기 광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Here,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gnal receiving unit 210 and a PON subscriber unit 220, as shown in FIG.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be controlled from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through Ethernet and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to a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units 400 under the control of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It can transmit and receive.

구체적으로, 신호수신부(210)는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로부터 10Gbps의 속도로 전송되는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수신부(210)는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채널에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은 광신호의 트래픽별로 구분하여 동작하는 것일 수 있으며, 각각의 채널에 따라 SLA(Service Level Agreement)가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수신부(210)에서는 각 채널마다 각각 기 설정된 지정 대역폭 및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트래픽에 따라 구별된 광신호를 각각 대응하는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우선순위를 상, 중, 하로 구별한 후, 각각의 광신호의 트래픽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가지는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ignal receiving unit 210 can receive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at a rate of 10 Gbps. At this time, the signal receiving unit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hannels for receiving the optical signal, and the channel may include a control channel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and a data channel for receiving a data signal. In addition, the channel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raffic of an optical signal, and an SLA (Service Level Agreement) may be specified according to each channel. Accordingly, the signal receiver 210 may set predetermined bandwidths and priority levels for each channel, and may transmit the optical signal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raffic through corresponding channel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traffic of each optical signal through a channel having a different bandwidth according to the priority, after distinguishing the priorities as upper, middle, and lower.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PON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가 광선로종단장치(100)와 링 구조로 연결되어 10G EPON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수신부(210)는, 광선로종단장치(100)와 직결되어 광신호를 수신하는 대신에, 상기 링 구조로 연결되는 다른 PON 기반 광통신장치, 예를들어, 제1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a)로부터 상기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3, a plurality of P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200a, 200b, and 200c may be connected to the optical line terminating device 100 in a ring structure to form a 10G EPON system. That is, instead of receiving the optical signal directly connected to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the signal receiving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for example, a first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200a. ≪ / RTI >

또한, 제1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a)로부터 상기 광신호를 수신한 PON 광통신장치(200b)는, 상기 링구조로 연결된 이웃하는 제2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c)로 상기 수신한 광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b)에는, 상기 광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부(23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구조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PON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에는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광 가입자 단말 장치(400)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신호를 이웃하는 서로 따른 PON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로 전송하면, 각각의 PON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는 자신에게 연결된 광 가입자 단말 장치(400)에 대한 광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b receiving the optical signal from the first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a transmits the received optical signal to the neighboring second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c connected by the ring structure can do. At this time,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b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unit 230 for transmitting the optical signal. Here, a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units 40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200a, 200b, and 200c connected to the ring structure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when the opt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neighboring P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200a, 200b, and 200c, each of the P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200a, 200b, and 200c transmits optical signals to the optical network terminal 400 connected thereto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optical signal is included.

한편, 신호송신부(230)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와 직결된 경우에는, 상기 직결되는 연결선로를 RPL(Ring Protection Link)로 지정하여, 상기 광신호의 루프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는 상기 RPL을 통하여 입력되는 광신호를 차단(block)할 수 있다. 대신에, 광선로종단장치(100)와 PON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는 링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연결선로에 이상이 생기면 반대편 연결선로로 절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링 구조의 형태로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되면, 반대방향, 즉, 신호수신부(210)와 신호송신부(230)가 각각의 기능을 반대로 동작하도록 하여, 선로 이상 등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designate the direct connection line as an RPL (Ring Protection Link) to prevent loop formation of the optical signal. That is,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may block an optical signal inputted through the RPL. Instead, since the optical line terminating device 100 and the P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200a, 200b, 200c form a r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opposite side connection lin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ny of the connecting lines. That is, when the optical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form of the ring struct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connection, the signal receiving unit 210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30 reverse the respective function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a line abnormality or the like.

구체적으로, 상기 선로의 이상여부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링 구조의 연결을 형성한 후(S10), CFM(connectivity Fault Management) OAM(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메시지의 수신상태, 이더넷 OAM 수신 상태 및 광신호수신상태를 확인하여 판별할 수 있다(S21, S22, S23). 즉, CFM OAM 메시지의 수신상태, 이더넷 OAM 수신 상태 및 광신호수신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신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광선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S31, S32, S33). 여기서, 상기 수신이상이 감지된 경우에는, 광선로종단장치(100)의 접속포트(a, b)를 전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로를 반대방향으로 절체할 수 있다(S40). 다만, 각각의 이상감지 수단에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접속포트(a, b)가 연속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시간(예를들어, 5초)이 도과한 이후에, 상기 링 구조의 신호전송 방향을 전환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S40).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after the connection of the ring structure is established (S10), the reception state of a CFM (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S21, S22, S23) by checking the Ethernet OAM reception state and the optical state of the optical fiber. That is, if the reception abnormality is detected in at least one of the reception state of the CFM OAM message, the reception state of the Ethernet OAM, and the state of the optical fiber lane,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optical line (S31, S32, S33). If the reception abnormality is detected, the line can be switch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switching connection ports (a, b) of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S40). However, after a preset time (for example, 5 seconds) has elapsed to prevent the connection ports a and b from being switched in success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each abnormality sensing means,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structure to be switched (S4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수신부(210)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수신부(210)는, OAM 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OAM 메시지에 대한 별도의 대역폭 및 높은 우선순위를 보장함으로써, 송수신과정에서 상기 OAM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OAM 메시지는, IEEE 802.3, clause 57에 따라 생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더넷 헤더 영역에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표시하는 항목을 더 포함하도록 수정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복수개의 PON 기반 광통신 장치(200a, 200b, 200c)가 광선로종단장치(100)와 링 구조를 형성하여 상호 연결된 구조에서,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가 각각의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Meanwhile, the signal receiving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including an OAM (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message. Here, the signal receiving unit 210 can secure a separate bandwidth and a high priority for the OAM message upon receiving the OAM message, thereby preventing the OAM from being omitted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The OAM message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IEEE 802.3, clause 57, and may be modified to include an item indicating "OAM protocol data unit" in the Ethernet header area as shown in FIG. Herein, the "OAM protocol data unit" i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200a, 200b, 200c form a ring structure with the optical line termination device 100, And may be used to control each of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200a, 200b, and 200c.

구체적으로, 상기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필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링 구조의 연결에 있어서, 상기 OAM 메시지를 송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SourcePU ID#", 상기 OAM 메시지를 수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의 개수를 나타내는 "PU ID List count", 상기 OAM 메시지를 수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의 식별자 리스트를 나타내는 "Destination PU ID#"등이 상기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AM protocol data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elds as shown in FIG. In the connection of the ring structure, a "SourcePU ID #" including an identifier indicating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200a, 200b, 200c that transmits the OAM message,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PU ID List count "indicating the number of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es 200a, 200b, 200c, and" Destination PU ID # "indicating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es 200a, 200b, 200c receiving the OAM message. .

여기서, PON 가입자부(220)는, 상기 광신호에 포함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광 가입자 장치(400)에 대한 연결 및 유지관리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PON 가입자부(220)는, 상기 "SourcePU ID#"가 수신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의 식별자와 동일하거나, 상기 수신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의 식별자가 상기 "Destination PU ID List"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한 OAM 메시지를 드랍(drop)할 수 있다. 여기서, "SourcePU ID#"가 수신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는, OAM 메시지의 발신자와 수신자가 일치하는 경우로서, 링 구조에서의 루프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OAM 메시지를 드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a, 200b, 200c)의 식별자가 상기 "Destination PU ID List"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지연없는 OAM 메시지의 처리를 위하여 드랍할 수 있다. 이 경우, OAM 메시지의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다. Here, the PON subscriber unit 220 controls connection and maintenance of a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units 400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optical signal, 200b and 200c are identical to the identifiers of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es 200a, 200b and 200c received by the "SourcePU ID #" or the identifiers of the received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es 200a, 200b, 200c are within the "Destination PU ID List" If not, the received OAM message can be dropped. Here, when "SourcePU ID #" is the same as the identifier of the received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es 200a, 200b, 200c, it is determined that the originator and the receiver of the OAM message coincide with each other, , The OAM message can be dropped. If the received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es 200a, 200b, 200c are not included in the "Destination PU ID List ", it is possible to drop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es 200a and 200b for processing of OAM messages without delay.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OAM message can be increased.

한편, 광선로종단장치(100)는 상술한 OAM 메시지를 이용하여,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 이외에 광 가입자 장치(400)에 대한 설정이나 제어 등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는, 상기 OAM 메시지가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와 광 가입자 장치(400) 중에서, 어느 것에 대한 설정인지를 표시하는 "flag"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OAM 메시지를 수신할 광 가입자 장치(400)의 개수를 나타내는 "LLID List count" 및 수신하는 광 가입자 장치(400)의 식별자 리스트를 나타내는 "Destination LLID"가 더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can perform setting and control of the optical network terminal 400 in addition to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 using the above-described OAM message. That is, the OAM protocol data unit may include a "flag" indicating which of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optical network unit 400 the OAM message is set for. An "LLID List count" indicating the number of optical network units 400 and a "Destination LLID" indicating a list of identifiers of the optical network units 400 to be received.

추가적으로, 상술한 OAM 메시지를 이용하여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의 광 가입자 장치(400)에 대한 구체적인 운용제어를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광선로종단장치(100)가 광 가입자 장치(400)에 대하여, 상기 광 가입자 장치(400)에 설정된 특정한 값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는 광 가입자 장치(400)의 "MAC(Media Access Channel) Limit"나 "MAC Entry" 등에 대한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PON 가입자부(220)는 광선로종단장치(100)로부터 수신한 OAM 메시지를 이용하여, 각각의 광 가입자 장치(400)에게 상기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In addition, specific operational control of the optical network unit 400 of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 using the above-described OAM mess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Specifically,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requests the optical network terminal 400 to confirm the specific value set in the optical network terminal 400. For example,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may request an inquiry about the "MAC (Media Access Channel) Limit" or "MAC Entry" of the optical network terminal 400. In this case, the PON subscriber unit 220 can request the inquiry to each optical network terminal 400 using the OAM message received from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즉, 광선로종단장치(100)는 OAM 메시지의 이더넷 헤더 영역에 특정값에 대한 조회를 나타내는 opcode, 예를들어 Ox02를 입력할 수 있으며,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영역에는 상기 특정값을 가지는 광 가입자 장치(400)를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특정값을 가지는 광 가입자 장치(400)가 연결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와, 상기 PON 기반 광통신장치(200)에서 연결되는 브랜치(branch)와 리프(leaf) 등 광 가입자 장치(400)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may input an opcode indicating an inquiry about a specific value, for example, Ox02, in the Ethernet header area of the OAM message, and the optical line terminal 400 can be input. For example,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00 to which the optical subscriber unit 400 having the specific value is connected, and the optical subscriber unit 400, such as a branch and a leaf, connected to the P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device 400 may be displayed.

또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값에 대한 조회요청에 대응하여, PON 가입자부(220)는 복수의 광 가입자 장치(400)로부터 수집한 상기 특정값을 취합하여 OAM 메시지를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PON 가입자부(220)는 상기 특정값에 대한 응답임을 나타내는 opcode, 예를들어 Ox03을 입력할 수 있으며,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영역에는 상기 특정값(value) 및 상기 특정값의 크기(width)와 함께 상기 특정값을 가지는 광 가입자 장치(400)의 브랜치(branch)와 리프(reaf) 등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OAM 메시지를 수신한 광선로종단장치(100)는 원하는 광 가입자 장치(400)이 가지는 특정값을 조회할 수 있다. 8, in response to the inquiry request for the specific value, the PON subscriber unit 220 collects the specific values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units 400 and transmits the OAM message to the optical line terminal To the terminating device 100. In this case, the PON subscriber unit 220 may input an opcode indicating that the response is a response to the specific value, for example Ox03. In the OAM protocol data unit area, the specific value and the width And a branch and a leaf of the optical network terminal 400 having the specific value. Accordingly, the optical line terminal 100 receiving the OAM message can inquire a specific value possessed by a desired optical network unit 400.

이외에도, 상기 광선로종단장치(100)는 광 가입자 장치(400)에 대하여,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값에 대한 조회, 설정 등의 운용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optical line terminating apparatus 100 can perform operation control of the optical network terminal 400, such as inquiry and setting of various values,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100: 광선로종단장치 11, 110: 스위치제어부
12, 120: 스위치 가입자부 13, 130: PON 제어부
14: PON 가입자부
200, 200a, 200b, 200c: PON 기반 광통신장치 210: 신호수신부
220: PON 가입자부 300: 광케이블
400: 광 가입자 장치
S: 스플리터
10, 100: optical line terminating device 11, 110: switch control section
12, 120: switch subscriber unit 13, 130: PON control unit
14: PON subscriber
200, 200a, 200b, 200c: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210:
220: PON subscriber 300: Optical cable
400: Optical subscriber unit
S: splitter

Claims (17)

EPON(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의 광선로종단장치(OLT: Optical Line Terminal)와 광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있어서,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상기 광신호에 포함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광 가입자 장치(ONT: Optical Network Terminal)에 대한 연결 및 유지관리를 제어하는 PON 가입자부를 포함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n optical line terminal (OLT) of a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 through an optical cable,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line terminal; And
And a PON subscriber unit for controlling connection and maintenance of a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terminals (ONT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optica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광 가입자 장치가 위치하는 지역의 주배선반(MDF: Main Distribution Frame) 또는 통신함(BBx)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is installed in a main distribution frame (MDF) or a communication box (BBx) of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units are loc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광신호의 트래픽을 구별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채널에 따라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지정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receiver
A plurality of channels for distinguishing and transmitting traffic of the optical signal, and designating an SLA (Service Level Agreement) according to each chann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채널에 각각 기 설정된 지정 대역폭 및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트래픽에 따라 구별된 광신호를 각각 대응하는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ignal receiver
Wherein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sets a predetermined bandwidth and a priority respectively preset in the channels, and transmits optical signal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raffic through corresponding chann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광신호를,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와 링 구조로 연결되는 제1 PON 기반 광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receiver
And the optical signal is received from a first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optical line termination device in a ring struc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광신호를, 상기 링구조로 연결되는 제2 PON 기반 광통신장치로 송신하는 신호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optical signal to a second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with the ring struc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송신부가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와 직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직결되는 연결을 RPL(Ring Protection Link)로 지정하여, 상기 광신호의 루프 형성을 방지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rect connection is designated as a ring protection link (RPL)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ptical line termination unit, thereby preventing loop formation of the optica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CFM(connectivity Fault Management) OAM(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메시지 수신 상태, 이더넷 OAM 메시지 수신 상태 및 광신호수신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신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광선로종단장치로 이상발생을 알리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that notifies an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to the optical line terminal when a reception abnormality is detected in at least one of a reception state of a CFM (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message, a reception state of an Ethernet OAM message,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에 이상발생을 알리면,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송신부와 신호 수신부의 기능을 교체하여, 링 구조의 신호전송 방향을 전환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switches the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ring structure by replacing the functions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signal recep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optical line termination unit when the optical line termination unit is informed of the abnormalit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FM OAM 수신 상태, 이더넷 OAM 수신 상태 및 광신호수신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신이상이 감지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도과 후 상기 링 구조의 신호전송 방향을 전환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switches the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ring structure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en a reception abnormality is detected in at least one of the CFM OAM reception state, the Ethernet OAM reception state, and the optical state of the optical fi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receiver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including an OAM (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messag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OAM 메시지는,
IEEE 802.3, clause 57에 따라 생성되는 것으로, 이더넷 헤더 영역에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표시하는 항목을 더 포함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item to be generated according to IEEE 802.3, Clause 57, and to display an OAM protocol data unit in an Ethernet header are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복수개의 PON 기반 광통신 장치가 광선로종단장치와 링 구조를 형성하여 상호 연결된 구조에서, 상기 광선로종단장치가 각각의 PON 기반 광통신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인 PON 기반 광통신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OAM protocol data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form a ring structure with the optical line termination device and a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ptical line termination device is used to control each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링 구조의 연결에 있어서, 상기 OAM 메시지를 송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SourcePU ID#", 상기 OAM 메시지를 수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의 개수를 나타내는 "PU ID List count", 상기 OAM 메시지를 수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의 식별자 리스트를 나타내는 "Destination PU ID#"를 포함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AM protocol data unit
A " PU ID List count "indicating the number of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receiving the OAM message, a " And "Destination PU ID #" indicating a list of identifiers of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receiving the OAM messag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부는
상기 "SourcePU ID#"가 수신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의 식별자와 동일하거나, 상기 수신한 PON 기반 광통신장치의 식별자가 상기 "Destination PU ID List"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한 OAM 메시지를 드랍(drop)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15. The system of claim 14, wherein the subscriber unit
If the "SourcePU ID #" is the same as the identifier of the received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or if the identifier of the received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is not included in the "Destination PU ID List", the received OAM message is dropped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OAM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상기 OAM 메시지가 PON 기반 광통신장치 및 광 가입자 장치 중 어느 것에 대한 설정인지를 표시하는 "flag", 수신하는 광 가입자 장치의 개수를 나타내는 "LLID List count" 및 수신하는 광 가입자의 식별자 리스트를 나타내는 "Destination LLID"를 더 포함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OAM protocol data unit
A "flag" indicating whether the OAM message is set for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or the optical network terminal, an "LLID List count" indicating the number of the receiving optical network units, Destination LLID ".< / RTI >
EPON(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시스템에 있어서,
국사에 설치되며, 가입자망으로터 송수신한 광신호를 백본(back bone)망으로 연결하는 광선로종단장치(OLT: Optical Line Terminal);
복수의 광 가입자 장치(ONT: Optical Network Terminal)가 위치하는 지역의 주배선반(MDF: Main Distribution Frame)에 설치되며,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광 가입자 장치에 상기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PON 기반 광통신장치; 및
상기 광선로종단장치와 PON 기반 광통신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광케이블을 포함하는 EPON 시스템.
In an EPO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n optical line terminal (OLT) installed in the national office and connecting an optical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 subscriber network to a back bone network;
A plurality of optical subscriber units are installed in a main distribution frame (MDF) in a region where a plurality of optical network terminals (ONTs) are located, and the optical signals are transmitted / A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And an optical cable connecting the optical line terminal and the PON-base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KR1020140178693A 2014-12-11 2014-12-11 Apparatus for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1022118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693A KR102211854B1 (en) 2014-12-11 2014-12-11 Apparatus for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system having the same
MYPI2017701453A MY183256A (en) 2014-12-11 2015-03-12 Construction method for band type fiber reinforcing material for reinforced-soil retaining-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693A KR102211854B1 (en) 2014-12-11 2014-12-11 Apparatus for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221A true KR20160071221A (en) 2016-06-21
KR102211854B1 KR102211854B1 (en) 2021-02-02

Family

ID=5635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693A KR102211854B1 (en) 2014-12-11 2014-12-11 Apparatus for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85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687A (en) * 2003-10-02 2005-04-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quality of service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KR100925678B1 (en) * 2007-09-03 2009-11-10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Apparatus for optical line terminal and apparatus for optical network terminal
KR20120074964A (en)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케이티 Repeater for 10g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thereof system
KR101400128B1 (en) * 2013-01-25 2014-05-28 주식회사 대성정보통신기술 Optical splitter ethern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687A (en) * 2003-10-02 2005-04-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quality of service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KR100925678B1 (en) * 2007-09-03 2009-11-10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Apparatus for optical line terminal and apparatus for optical network terminal
KR20120074964A (en)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케이티 Repeater for 10g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thereof system
KR101400128B1 (en) * 2013-01-25 2014-05-28 주식회사 대성정보통신기술 Optical splitter eth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854B1 (en)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55410B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for the delivery of bi-directional RF services
ES2667691T3 (en) Wavelength negoti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and multi-wavelength passive optical network device
KR1007385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bandwidth in epon system
CN101405971B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optical repeater
EP27681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plink data abnormity
US8977127B2 (en) Inter-optical line terminal (OLT) communication in multiple-OLT passive optical networks (PONs)
US9331807B2 (en) Service edge hub device and methods in an optical network node
KR20050076263A (en) Optical line terminal(olt) for managing link status of optocal network units(onus) and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ge-pon) appling the same
US200801380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ptical Network
US20090263133A1 (e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parent stati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child stati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Zentani et al. Network resiliency and fiber usage of Tree, Star, ring and wheel base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Topologies: a comparative review
EP3267632B1 (en) Station-side device and wavelength changeover monitoring method
US9426547B2 (en) PON system, station sid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access control device
CN104427414A (en) Subscriber-terminal terminator and path switching method
US9584249B2 (en) Station-side terminal apparatus, optical access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7041856A (en) Station side termination device, subscriber side termination devic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route change method, route change program and wavelength change method
US9148222B2 (en) AFDX network with a passive optical network
Salgado et al. New FTTH-based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KR102211854B1 (en) Apparatus for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101385390B1 (en) Sleep mode control method of terminal in epon system,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2052598B1 (e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nd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of passive optical network
JP5907208B2 (en) PON system and station side device
KR20150024278A (en) Method for managing channels in time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passive optical network
CN103297874A (en) Multi-wavelength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Bhar et al. Protection architecture for Passive Optical Networks using cascaded AWG and tunable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