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053A - 차량의 액티브 노이즈 제거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액티브 노이즈 제거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053A
KR20160071053A KR1020140178285A KR20140178285A KR20160071053A KR 20160071053 A KR20160071053 A KR 20160071053A KR 1020140178285 A KR1020140178285 A KR 1020140178285A KR 20140178285 A KR20140178285 A KR 20140178285A KR 20160071053 A KR20160071053 A KR 20160071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ambient noise
head unit
sampled
smart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희
설운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053A/ko
Priority to US14/704,928 priority patent/US20160171963A1/en
Priority to CN201510516236.5A priority patent/CN105702259A/zh
Publication of KR2016007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6Hearing ai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8Communication systems, e.g. where useful sound is kept and noise is cancelled
    • G10K2210/1081Earphones, e.g. for telephones, ear protectors or hea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차량의 음향과 관련한 액티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안경; 및 수신된 상기 주변 노이즈를 위상파 출력 피드백을 통해 노이즈를 상쇄시켜 사운드를 출력하는 헤드 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은 스마트 안경과 헤드 유닛간 송수신되는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주변 노이즈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 유닛에서 매우 정확하게 노이즈를 상쇄시킬 수 있어 음향 효과를 극대활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액티브 노이즈 제거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MOVING ACTIVE NOISE OF CAR}
본 발명은 액티브 노이즈 제거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음향과 관련한 액티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차량에 적용된 액티브 노이즈 제거(캔슬링)의 경우에는 차량의 상부에 장착된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주변에서 발생된 노이즈를 취득하게 되고, 이를 상쇄하기 위한 음향 출력에 대한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차량 노이즈를 상쇄시켰다.
그러나, 마이크와 운전자의 머리 위치가 대략 30~50cm 정도 거리 차이가 밸상하고, 주변 노이즈가 주로 저음역대에 위치하기 때문에 장파장 음향의 구조적 특성상, 95% EYELIPSE 헤드 포지션상에서의 사운드 공진점과 정확한 매칭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정확한 노이즈 제거를 위한 위상파의 발생을 위해서는 노이즈 취득부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며, 이로 인해, 차량 특성상 헤드 포지션상에 마이크 구조물이 위치하기 힘든 상황에 이르렀다.
예를 들면, 차량 마이크인 경우에는 헤드라이닝 및 OHCL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위치의 노이즈 보다는 마이크 주변의 노이즈를 중심으로 노이즈 제거(캔슬링)가 이루어져 음향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 : 제2009-0050372호, 공개일자 : 2009년 05월 20일, 발명의 명칭 : 혼합 사운드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2. 한국공개특허 : 제2006-0135924호, 공개일자 : 2006년 12월 29일, 발명의 명칭 : 이동 무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일체화된 음향 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안경테 및 그에 상응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안경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취득된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에서 상쇄시킬 수 있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안경; 및 수신된 상기 주변 노이즈를 위상파 출력 피드백을 통해 노이즈를 상쇄시켜 사운드를 출력하는 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헤드 유닛으로부터 노이즈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 노이즈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스마트 안경은 획득한 상기 주변 노이즈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상기 메모리는 버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마이크에서 샘플링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스마트 안경은 헤드 유닛간 상기 스트링밍 채널을 오픈한 후,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상기 마이크에서 출력된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상기 헤드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으로 전송한 후 상기 스트리밍 채널을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a)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스마트 안경에서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수신된 상기 주변 노이즈를 위상파 출력 피드백을 통해 노이즈를 상쇄시켜 사운드를 헤드 유닛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헤드 유닛으로부터 노이즈 요청 신호를 스마트 안경에서 수신하고, 상기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주기적으로 상기 스마트 안경에서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a-2) 획득한 상기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메모리는 버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a-3)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마이크에서 샘플링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a-4) 스마트 안경과 헤드 유닛간 상기 스트링밍 채널을 오픈한 후,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상기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a-5) 상기 주변 노이즈를 스마트 안경에서 헤드 유닛으로 전송한 후 상기 스트리밍 채널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노이즈 요청 신호를 헤드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노이즈 요청 수신부; 상기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주변 노이즈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주변 노이즈 획득부; 획득된 상기 주변 노이즈를 저장하고,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샘플링하여 출력시키는 샘플링 제어부; 및 상기 샘플링 제어부에 의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오픈된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여 위상파 출력 피드백을 통해 노이즈를 상쇄시키는데 사용되도록 하는 주변 노이즈 전송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스마트 안경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a) 헤드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노이즈 요청 신호를 노이즈 요청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주변 노이즈를 주변 노이즈 획득부에서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c) 획득된 상기 주변 노이즈를 저장하고,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샘플링 제어부에서 샘플링하여 출력시키는 단계; 및 (d) 샘플링된 상기 주변 노이즈를 오픈된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주변 노이즈 전송부에서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여 위상파 출력 피드백을 통해 노이즈를 상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경의 노이즈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안경과 헤드 유닛간 송수신되는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주변 노이즈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 유닛에서 매우 정확하게 노이즈를 상쇄시킬 수 있어 음향 효과를 극대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100)에서 처리되는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100)의 노이즈 제거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방법(S100)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100)의 스마트 안경(11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110)의 노이즈 제거 방법(S2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100)에서 처리되는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100)은 스마트 안경(110) 및 헤드 유닛(120)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110)은 헤드 유닛(120)과 페어링되어 블루투스 통신을 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지면, 스마트 안경(110)은 헤드 유닛(120)간 핸즈 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핸즈 프리 기능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은 스마트 안경(110)에서 획득하는 주변 노이즈(ambient noise)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110)은 먼저 헤드 유닛(120)으로부터 노이즈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주변 노이즈를 주기적으로 획득한다. 이때, 획득된 주변 노이즈는 스마트 안경(110)의 메모리(110a)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메모리(110a)는 휘발성 메모리이거나 비휘발성일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버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메모리(110a)에 주변 노이즈가 저장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110)은 메모리(110a)에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120)의 요청에 대응하여 마이크(110b)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110)은 마이크(110b)로 주변 노이즈가 통과하게 되면 마이크(110b)를 통과한 주변 노이즈는 샘플링 된다. 이와 같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는 비로서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는 스마트 안경(110)과 헤드 유닛(120)간 송수신되는 스트리밍 채널이 오픈될 경우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110)은 헤드 유닛(120)간 스트리밍 채널이 오픈된 후,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마이크(110b)에서 출력된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버퍼 사용으로 인하여, 스트리밍 채널을 노이즈 취득 시간동안 계속 오픈할 필요 없이, 일정 시간의 노이즈 취득 후에 스트리밍 채널을 사용하여 주변 노이즈를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자원 유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처럼,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가 전송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110)은 헤드 유닛(120)과 연결된 스트리밍 채널을 대기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스트리밍 채널의 대기 모드 전환은 헤드 유닛(120)에서도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대기 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시스템 자원 유지를 최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대기 모드는 스트리밍 채널을 오프시키는 상태를 의미한다.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가 전송된 후,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유닛(120)은 스마트 안경(110)으로부터 수신된 주변 노이즈를 위상파의 출력 피드백을 통해 주기적으로 주변 노이즈를 샘플링한다. 이 처럼 위상파의 출력 피드백이 된 주변 노이즈는 헤드 유닛(120)에서 분석을 통해 비로서 제거(상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노이즈 제거는 100Hz(λ=3.4m), 500Hz(λ=0.68m) 및 1kHz(λ=0.34m), 2kHz(λ=0.17m) 등 약 2~3kHz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파장 거리상 헤드포지션과 공진점의 영향도가 떨어지나, 그 이하에서는 긴 파장의 영향으로 공진점과 헤드 포지션상의 최적 매칭이 어려웠던 점을 충분히 극복하여 매우 양호한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100)의 노이즈 제거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방법(S100)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100)의 노이즈 제거 방법(S100)은 주변 노이즈를 스마트 안경(110)에서 샘플링한 후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하는 S110 단계 및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상쇄시켜 사운드(음향을)를 헤드 유닛(120)에서 출력하는 S120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단계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헤드 유닛(120)으로부터 노이즈 요청 신호를 스마트 안경(110)에서 수신한 후, 수신된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주변 노이즈를 주기적으로 스마트 안경(110)에서 획득하게 된다(S111).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S111 단계에 의해 획득한 주변 노이즈를 스마트 안경(110)의 메모리(110a)에 저장한다(S112). 이럴 경우, 주변 노이즈를 저장하는 메모리(110a)는 휘발성 메모리이거나 비휘발성일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버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메모리(110a)에 주변 노이즈가 저장되면,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메모리(110a)에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120)의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스마트 안경(110)의 마이크(110b)로 전송한다(S113).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마이크(110b)로 주변 노이즈가 통과하게 되면 마이크(110b)를 통과한 주변 노이즈는 샘플링 된다(S114).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는 비로서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는 스마트 안경(110)과 헤드 유닛(12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스트리밍 채널이 오픈되면,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가 스마트 안경(110)에서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S115).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버퍼 사용으로 인하여, 스트리밍 채널을 노이즈 취득 시간동안 계속 오픈할 필요 없이, 일정 시간의 노이즈 취득 후에 스트리밍 채널을 사용하여 주변 노이즈를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자원 유지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가 전송된 후 스트리밍 채널을 대기 모드로 전환시킨다(S116). 이러한 스트리밍 채널의 대기 모드 전환은 헤드 유닛(120) 또는 스마트 안경(110) 중 어느 하나에서 스트리밍 채널을 대기 모드로 전환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 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시스템 자원 유지를 최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대기 모드는 스트리밍 채널을 오프시키는 상태를 의미한다.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가 전송된 후,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스마트 안경(110)으로부터 수신된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120)에서 위상파의 출력 피드백을 통해 주기적으로 샘플링한다(S121).
이후, 위와 같은 S121 단계의 샘플링을 거친 주변 노이즈는 헤드 유닛(120)에서 분석된 후 비로서 주변 노이즈가 제거되고 음향(사운드를)을 헤드 유닛(120)에서 출력하게 된다(S122). 이때, 주변 노이즈 제거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노이즈 제거 방법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 제거는 100Hz(λ=3.4m), 500Hz(λ=0.68m) 및 1kHz(λ=0.34m), 2kHz(λ=0.17m) 등 약 2~3kHz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파장 거리상 헤드포지션과 공진점의 영향도가 떨어지나, 그 이하에서는 긴 파장의 영향으로 공진점과 헤드 포지션상의 최적 매칭이 어려웠던 점을 충분히 극복하여 매우 양호한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100)의 스마트 안경(11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100)의 스마트 안경(110)은 차량의 음향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노이즈 요청 수신부(111), 주변 노이즈 획득부(112), 샘플링 제어부(113), 주변 노이즈 전송부(114) 및 채널 모드 전환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요청 수신부(111)는 스마트 안경(110)과 헤드 유닛(120)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페어링되면 헤드 유닛(120)으로부터 노이즈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노이즈 획득부(112)는 노이즈 요청 수신부(111)에서 수신된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주변 노이즈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샘플링 제어부(113)는 노이즈 획득부(112)에 의해 획득된 주변 노이즈를 메모리(110a)에 저장하고, 메모리(110a)에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마이크(110b)를 통해 샘플링하여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메모리(110a)는 휘발성 메모리이거나 비휘발성일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버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버퍼 사용으로 인하여, 노이즈 취득 시간동안 스트리밍 채널을 계속 오픈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노이즈 전송부(114)는 앞서 설명한 샘플링 제어부(113)에 의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한다.
이때,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오픈시켜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일정 시간의 노이즈 취득 후에 스트리밍 채널을 사용하여 주변 노이즈를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자원 유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모드 전환부(115)는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한 후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대기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와 같이,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다시 대기 모드로 전환하면, 그 만큼의 시스템 자원 유지를 최적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헤드 유닛(120)은 스마트 안경(110)으로부터 수신된 주변 노이즈를 위상파의 출력 피드백을 통해 주기적으로 주변 노이즈를 샘플링한 후, 노이즈 분석을 통해 비로서 노이즈를 제거(상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노이즈 제거는 100Hz(λ=3.4m), 500Hz(λ=0.68m) 및 1kHz(λ=0.34m), 2kHz(λ=0.17m) 등 약 2~3kHz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파장 거리상 헤드포지션과 공진점의 영향도가 떨어지나, 그 이하에서는 긴 파장의 영향으로 공진점과 헤드 포지션상의 최적 매칭이 어려웠던 점을 충분히 극복하여 매우 양호한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제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110)의 노이즈 제거 방법(S2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110)의 노이즈 제거 방법(S200)은 차량의 음향에서 발생되는 주변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S210 단계 내지 S25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210 단계에서는 스마트 안경(110)과 헤드 유닛(120)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페어링되면 헤드 유닛(120)으로부터 노이즈 요청 신호를 노이즈 요청 수신부(111)에서 수신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220 단계에서는 S210 단계에 의해 수신된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주변 노이즈를 주기적으로 주변 노이즈 획득부(112)에서 획득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230 단계에서는 S220 단계에 의해 획득된 주변 노이즈를 샘플링 제어부(113)의 제어하에 메모리(110a)에 저장되고, 메모리(110a)에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마이크(110b)를 통해 샘플링하여 출력되도록 샘플링 제어부(113)에서 더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110a)는 휘발성 메모리이거나 비휘발성일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버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버퍼 사용으로 인하여, 노이즈 취득 시간동안 스트리밍 채널을 계속 오픈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240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S230 단계에 의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주변 노이즈 전송부(114)에서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한다.
이때,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오픈시켜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일정 시간의 노이즈 취득 후에 스트리밍 채널을 사용하여 주변 노이즈를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자원 유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250 단계에서는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헤드 유닛(120)으로 전송한 후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채널 모드 전환부(115)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 처럼, 대기 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그 만큼의 시스템 자원 유지를 최적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주변 노이즈 전송이 완료되면, 주변 노이즈를 수신한 헤드 유닛(120)은 스마트 안경(110)으로부터 수신된 주변 노이즈를 위상파의 출력 피드백을 통해 주기적으로 주변 노이즈를 샘플링한 후, 노이즈 분석을 통해 비로서 노이즈를 제거(상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노이즈 제거는 100Hz(λ=3.4m), 500Hz(λ=0.68m) 및 1kHz(λ=0.34m), 2kHz(λ=0.17m) 등 약 2~3kHz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파장 거리상 헤드포지션과 공진점의 영향도가 떨어지나, 그 이하에서는 긴 파장의 영향으로 공진점과 헤드 포지션상의 최적 매칭이 어려웠던 점을 충분히 극복하여 매우 양호한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 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 110 : 스마트 안경
111 : 노이즈 요청 수신부 112 : 주변 노이즈 획득부
113 : 샘플링 제어부 114 : 주변 노이즈 전송부
115 : 채널 모드 전환부 120 : 헤드 유닛
110a: 메모리 110b: 마이크

Claims (26)

  1.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안경; 및
    수신된 상기 주변 노이즈를 위상파 출력 피드백을 통해 노이즈를 상쇄시켜 사운드를 출력하는 헤드 유닛;
    을 포함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헤드 유닛으로부터 노이즈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 노이즈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경은,
    획득한 상기 주변 노이즈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마이크에서 샘플링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경은,
    헤드 유닛간 상기 스트링밍 채널을 오픈한 후,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상기 마이크에서 출력된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상기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경은,
    상기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으로 전송한 후 상기 스트리밍 채널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
  8. (a)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스마트 안경에서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수신된 상기 주변 노이즈를 위상파 출력 피드백을 통해 노이즈를 상쇄시켜 사운드를 헤드 유닛에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헤드 유닛으로부터 노이즈 요청 신호를 스마트 안경에서 수신하고, 상기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주기적으로 상기 스마트 안경에서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2) 획득한 상기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3)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마이크에서 샘플링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출력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4) 스마트 안경과 헤드 유닛간 상기 스트링밍 채널을 오픈한 후, 오픈된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상기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5) 상기 주변 노이즈를 스마트 안경에서 헤드 유닛으로 전송한 후 상기 스트리밍 채널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이즈 제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6. 노이즈 요청 신호를 헤드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노이즈 요청 수신부;
    상기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주변 노이즈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주변 노이즈 획득부;
    획득된 상기 주변 노이즈를 저장하고,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샘플링하여 출력시키는 샘플링 제어부; 및
    상기 샘플링 제어부에 의해 샘플링된 주변 노이즈를 오픈된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여 위상파 출력 피드백을 통해 노이즈를 상쇄시키는데 사용되도록 하는 주변 노이즈 전송부;
    를 포함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스마트 안경.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제어부는,
    획득한 상기 주변 노이즈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스마트 안경.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스마트 안경.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제어부는,
    상기 주변 노이드를 마이크를 통해 샘플링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스마트 안경.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으로 전송한 후 상기 스트리밍 채널을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채널 모드 전환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스마트 안경.
  21. (a) 헤드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노이즈 요청 신호를 노이즈 요청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노이즈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주변 노이즈를 주변 노이즈 획득부에서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c) 획득된 상기 주변 노이즈를 저장하고, 저장된 주변 노이즈를 샘플링 제어부에서 샘플링하여 출력시키는 단계; 및
    (d) 샘플링된 상기 주변 노이즈를 블루투스 핸즈프리의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주변 노이즈 전송부에서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여 위상파 출력 피드백을 통해 노이즈를 상쇄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경의 노이즈 제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획득한 상기 주변 노이즈를 샘플링 제어부의 제어하에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의 노이즈 제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샘플링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메모리 중 버퍼에 주변 노이즈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의 노이즈 제거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샘플링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주변 노이드를 마이크를 통해 샘플링하여 상기 마이크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의 노이즈 제거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e) 상기 주변 노이즈를 헤드 유닛으로 전송한 후 상기 스트리밍 채널을 채널 모드 전환부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의 노이즈 제거 방법.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이즈 제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178285A 2014-12-11 2014-12-11 차량의 액티브 노이즈 제거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71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285A KR20160071053A (ko) 2014-12-11 2014-12-11 차량의 액티브 노이즈 제거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4/704,928 US20160171963A1 (en) 2014-12-11 2015-05-05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moving active noise of car
CN201510516236.5A CN105702259A (zh) 2014-12-11 2015-08-20 移除汽车的有源噪声的方法以及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285A KR20160071053A (ko) 2014-12-11 2014-12-11 차량의 액티브 노이즈 제거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053A true KR20160071053A (ko) 2016-06-21

Family

ID=5611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285A KR20160071053A (ko) 2014-12-11 2014-12-11 차량의 액티브 노이즈 제거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171963A1 (ko)
KR (1) KR20160071053A (ko)
CN (1) CN1057022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0987A (zh) * 2016-07-29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降噪设备及其降噪方法
CN106791243B (zh) * 2016-12-06 2019-08-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协议的功能设置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924A (ko) 2004-03-31 2006-12-29 스위스콤 모빌 아게 이동 무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일체화된 음향 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안경테 및 그에 상응하는 방법
KR20090050372A (ko) 2007-11-15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혼합 사운드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91194A (ko) * 2013-01-10 2014-07-2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안경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5400A (ko) * 2014-01-15 2015-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경형 단말기 및 안경형 단말기와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97021B1 (en) * 2001-05-28 2013-01-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ehicle-mounted three dimensional sound field reproducing/silencing unit
US7500747B2 (en) * 2003-10-09 2009-03-10 Ipventure, Inc. Eyeglasses with electrical components
KR100727897B1 (ko) * 2006-06-30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어리스 개인 통신망에 위치한 디바이스 간의 접속 설정방법
KR20120094239A (ko) * 2011-02-16 201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924A (ko) 2004-03-31 2006-12-29 스위스콤 모빌 아게 이동 무선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일체화된 음향 통신시스템을 포함하는 안경테 및 그에 상응하는 방법
KR20090050372A (ko) 2007-11-15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혼합 사운드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91194A (ko) * 2013-01-10 2014-07-2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안경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5400A (ko) * 2014-01-15 2015-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경형 단말기 및 안경형 단말기와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02259A (zh) 2016-06-22
US20160171963A1 (en)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6463A1 (en) Headphone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program, and headphone system
US9992587B2 (en) Binaural hearing system configured to localize a sound source
CN106782589B (zh) 移动终端及其语音输入方法和装置
JP5419361B2 (ja) 音声制御システムおよび音声制御方法
EP29873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oustic echo cancellation
EP3373603A1 (en)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wireless receiver of sound
US96484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ing use of different microphones in a communication device
US20170249954A1 (en) Method of improving sound quality and headset thereof
EP2852136B1 (en) Methods for controlling call audio channel of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11804220B2 (en) Voice processing device, voice processing method and voice processing system
KR101579537B1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음성 인식 제어 방법
US20210329388A1 (en) Hearing aid comprising a noise reduction system
KR20150018727A (ko) 청각 기기의 저전력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19038733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data between at least one hearing aid and a peripheral device of a hearing aid system and also a hearing aid
US105293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background sounds in a noisy environment
KR20190097391A (ko)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위상 변화율에 기반하여 노이즈가 감쇠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CN116158090A (zh) 用于抑制回声的音频信号处理方法和系统
KR20160071053A (ko) 차량의 액티브 노이즈 제거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513366B1 (ko) 데이터 송신 단말,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송신 방법
KR102460335B1 (ko) 외부 전자 장치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 세기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443637B1 (ko) 네트워크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잡음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6017229A1 (ja) 発話区間検出装置、音声処理システム、発話区間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39126A (ko) 오디오 신호들을 정제하는 멀티 오럴 mmse 분석 기술들
US11735187B2 (en) Hybrid routing for hands-free voice assistan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EP4131999A1 (en) Multi-channel audio system, multi-channel audio device, program, and multi-channel audio playback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