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964A -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964A
KR20160070964A KR1020140178079A KR20140178079A KR20160070964A KR 20160070964 A KR20160070964 A KR 20160070964A KR 1020140178079 A KR1020140178079 A KR 1020140178079A KR 20140178079 A KR20140178079 A KR 20140178079A KR 20160070964 A KR20160070964 A KR 20160070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list
contents
dele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466B1 (ko
Inventor
김충환
이석원
Original Assignee
줌인터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줌인터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줌인터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4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하여 표시된 콘텐츠를 리스트에서 삭제하면서 별도의 저장공간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추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정된 화면 영역에서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콘텐츠를 최대한 많이 열람할 수 있고, 자신이 이미 열람한 콘텐츠가 리스트에서 삭제되므로 중복해서 선택하지 않게 되고, 이미 소비된 콘텐츠를 따로 모아서 볼 수 있으므로 관심있는 분야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CONTENTS WITH REMOVING THE DISPLAYED CONTENTS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하여 표시된 콘텐츠를 리스트에서 삭제하면서 별도의 저장공간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추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뉴스나 쇼핑정보, 여행정보 등을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선택하여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취향이나 접속이력 등의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특정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콘텐츠의 내용을 선택하는 것은 콘텐츠 관리시스템(Contents Management System; CMS)에 의해 이루어진다.
CMS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면 세부 내용을 표시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또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된 콘텐츠를 미리 수집해서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뉴스정보 스크랩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흐름도이다.
종래기술의 뉴스정보 스크랩 시스템은 운영자의 스캔 및 문서화 작업에 의한 자료입력(201) 또는 신문사 및 잡지사, 방송사 등의 정보제공자의 PDF 및 텍스트파일 등의 자료제공(202)으로부터 원시 뉴스정보 자료를 생성하는 자료 생성부(203), 상기 생성된 원시 뉴스정보 자료를 뉴스기사별로 추출 및 인덱싱, 정보출처삽입, 분류 등의 과정을 통해 기사별 뉴스정보를 가공(204)하는 것으로 구성된 뉴스정보 자료의 생성 및 가공부(200)를 거친 후, 상기 가공된 기사별 뉴스정보(204)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한다. 사용자는 웹브라우저 (208)를 이용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뉴스정보 스크랩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209)를 이용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206)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스크랩 서버(207)에 접속하여 뉴스정보 스크랩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시 뉴스정보 자료 생성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자료입력 방법은 운영자가 스캐너를 이용하여 신문 및 잡지의 뉴스정보를 이미지파일(확장자가 jpg, tif, gif, ps, bmp, wmp 등)로 만들거나, 또한 신문의 공고나 광고는 신문사에서 온라인 텍스트파일로 제공하지 않으므로 운영자가 직접 문자로 입력하여 텍스트 기반의 문서화하는 자료입력 (201)이다. 두 번째 자료입력 방법은 정보제공자의 뉴스서버에서 PDF 이미지파일과 온라인 텍스트파일 등의 자료제공(202)을 받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뉴스정보를 선택하여 스크랩하는 것은 수동검색 방법과 자동검색 방법이 사용되는데, 사용자가 스크랩하기로 선택한 정보는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의 스크랩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뉴스나 정보를 열람한 후에 보여지는 리스트에서 자신이 이미 열람한 콘텐츠를 확인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만약 사용자가 열람하고 스크랩한 콘텐츠가 여전히 리스트에 남아있다면, 사용자는 재차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스크랩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게 된다.
KR 10-2001-0107807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콘텐츠를 선택하여 리스트를 제공하고, 리스트에 포함된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면 세부 내용을 표시하고, 세부 내용이 표시된 콘텐츠를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스트에서 삭제된 콘텐츠를 별도의 리스트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된 리스트를 별도로 제공하는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콘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삭제된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에 전달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행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하며,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세부 내용을 전송하여 표시하는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102)와; 아직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은 데이터로서, 사용자단말기(10)에 전송하여 표시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콘텐츠DB(104)와; 상기 CMS(102)가 선택하여 전달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106)와;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있는 콘텐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세부 내용이 표시되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콘텐츠 이동모듈(108)과; 상기 콘텐츠 이동모듈(108)에 의해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콘텐츠DB(11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콘텐츠DB(110)는 상기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리스트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콘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삭제된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에 전달하는 콘텐츠 제공방법으로서, CMS(102)가 제1콘텐츠DB(104)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중에서 콘텐츠 제공시스템(100)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선택하는 제1단계와; GUI(106)가 상기 CMS(102)가 선택한 콘텐츠를 사용자단말기(10)에 전송하여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CMS(102)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의 세부 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3단계와; 콘텐츠 이동모듈(108)이 상기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에 세부 내용이 표시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하고, 삭제된 콘텐츠의 데이터를 제2콘텐츠DB(110)에 저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가 삭제되면, 상기 CMS(102)는 상기 제1콘텐츠DB(104)를 검색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추가하는 제5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자가 삭제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한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CMS(102)는 상기 제2콘텐츠DB(110)에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세부 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에 전송하는 제6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2콘텐츠DB(110)는 제4단계에서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리스트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정된 화면 영역에서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콘텐츠를 최대한 많이 열람할 수 있고, 자신이 이미 열람한 콘텐츠가 리스트에서 삭제되므로 중복해서 선택하지 않게 되고, 이미 소비된 콘텐츠를 따로 모아서 볼 수 있으므로 관심있는 분야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뉴스정보 스크랩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콘텐츠 제공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CMS가 제공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여 세부 내용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사용자가 선택하여 표시한 콘텐츠를 리스트에서 삭제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삭제된 콘텐츠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이하, '제공시스템'이라 함)은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기타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단말기(10)와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제공시스템(100)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사용자단말기(10)나 웹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포털사이트, 인터넷 쇼핑몰, 언론사 서버 등)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CMS(102)는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행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콘텐츠를 추천한다. CMS(102)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자가 최근에 열람한 대상, 오랫동안 자주 선택한 콘텐츠, 위치정보, 쿠키, 로그인 ID, 콘텐츠 소비패턴 모델링 등 다양한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그리고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제1콘텐츠DB(104)에 저장하거나, 오래 되고 활용도가 낮은 콘텐츠를 삭제하는 등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사용자가 기존에 선택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별로 다른 콘텐츠를 노출하기 위해 데이터를 정제 및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보여 줄 데이터를 관리한다.
제1콘텐츠DB(104)는 CMS(102)에 의해 추천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아직 소비하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GUI(Graphic User Interface; 106)는 CMS(102)가 사용자별 소비행태에 따라 선택하여 전달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이다. GUI(106)는 화면에 노출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화면을 터치하여 콘텐츠를 선택하면, 세부 내용을 표시해준다. 또한 사용자가 이미 선택했던 콘텐츠 리스트와 세부 내용을 별도의 창에서 볼 수 있도록 표시해준다.
콘텐츠 이동모듈(108)은 CMS(102)에 의해 선택되고 GUI(106)에 의해 사용자단말기에 표식된 콘텐츠를 따로 모아서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단말기(10)에서 표시된 후, 다음 사용을 위해 리스트에서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을 제2콘텐츠DB(110)라고 정의한다. 제2콘텐츠DB(110)에는 사용자가 선택했던 콘텐츠 데이터를 시기, 노출빈도, 연관콘텐츠 등의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서는 제1콘텐츠DB(104)와 제2콘텐츠DB(110)가 구별되지 않고, 하나의 DB에 모든 데이터를 통합해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사용자단말기(10)는 일반적인 의미의 PC를 지칭하는데, 이외에도 태블릿, 스마트폰, 기타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공시스템(100)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방법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한다.
도 3은 콘텐츠 제공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CMS(102)는 제공시스템(100)에 접속한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취향이나 관심분야를 파악한다. 그리고 제1콘텐츠DB(104)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선택한다.(S102)
GUI(106)는 CMS(102)가 선택한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에 전송하여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한다.(S104) 도 4는 CMS가 제공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뉴스나 쇼핑정보와 같은 경우에는 콘텐츠 리스트에는 제목이 기재되고, 상세한 세부 내용은 별도의 창에서 표시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0)에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의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클릭(터치 등)하여 콘텐츠를 선택한다.(S106) 도 5는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여 세부 내용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CMS(102)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의 세부 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에는 선택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이 표시된다.(S108)
사용자단말기(10)에 특정 콘텐츠의 세부 내용이 표시되면, 콘텐츠 이동모듈(108)은 표시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에 나와있는 콘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한다.(S110) 도 6은 사용자가 선택하여 표시한 콘텐츠를 리스트에서 삭제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콘텐츠 이동모듈(108)은 리스트에서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2콘텐츠DB(110)에 저장한다. 제2콘텐츠DB(110)에는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과 함께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도 함께 저장된다.
사용자단말기(10)의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가 삭제되더라도 삭제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버튼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내가 읽은 콘텐츠 모아보기"라는 링크를 생성하여 이전에 삭제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가 삭제되면, CMS(102)는 새로운 콘텐츠를 선택하여 콘텐츠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S112) CMS(102)는 콘텐츠 리스트에 변화가 생기면 제1콘텐츠DB(104)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또 다른 콘텐츠 데이터를 찾는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 이외에 자신이 이전에 선택했던 콘텐츠를 다시 보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링크(내가 읽은 콘텐츠 모아보기)를 클릭한다. CMS(102)는 제2콘텐츠DB(110)에 저장된 정보(이전에 선택되어 삭제된 콘텐츠 리스트와 콘텐츠 데이터)를 호출하여 사용자단말기(10)에 전송한다. 사용자단말기(10)에는 삭제된 콘텐츠 리스트가 생성되어 표시되며,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삭제된 콘텐츠)를 선택하면 세부 내용을 볼 수 있다.
도 7은 삭제된 콘텐츠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표시되거나 삭제된 시기, 분야, 선호도 등의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리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사용자단말기 100 : 제공시스템
102 : CMS 104 : 제1콘텐츠DB
106 : GUI 108 : 콘텐츠 이동모듈
110 : 제2콘텐츠DB

Claims (6)

  1.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콘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삭제된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에 전달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행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하며,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세부 내용을 전송하여 표시하는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102)와;
    아직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은 데이터로서, 사용자단말기(10)에 전송하여 표시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콘텐츠DB(104)와;
    상기 CMS(102)가 선택하여 전달한 맞춤형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106)와;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있는 콘텐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세부 내용이 표시되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콘텐츠 이동모듈(108)과;
    상기 콘텐츠 이동모듈(108)에 의해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콘텐츠DB(110);를 포함하는,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콘텐츠DB(110)는
    상기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리스트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3.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콘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삭제된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에 전달하는 콘텐츠 제공방법으로서,
    CMS(102)가 제1콘텐츠DB(104)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중에서 콘텐츠 제공시스템(100)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선택하는 제1단계와;
    GUI(106)가 상기 CMS(102)가 선택한 콘텐츠를 사용자단말기(10)에 전송하여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CMS(102)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의 세부 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3단계와;
    콘텐츠 이동모듈(108)이 상기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에 세부 내용이 표시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하고, 삭제된 콘텐츠의 데이터를 제2콘텐츠DB(110)에 저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가 삭제되면, 상기 CMS(102)는 상기 제1콘텐츠DB(104)를 검색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추가하는 제5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삭제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한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CMS(102)는 상기 제2콘텐츠DB(110)에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세부 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에 전송하는 제6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콘텐츠DB(110)는
    제4단계에서 삭제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리스트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방법.
KR1020140178079A 2014-12-11 2014-12-11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 KR101635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79A KR101635466B1 (ko) 2014-12-11 2014-12-11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79A KR101635466B1 (ko) 2014-12-11 2014-12-11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964A true KR20160070964A (ko) 2016-06-21
KR101635466B1 KR101635466B1 (ko) 2016-07-01

Family

ID=5635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079A KR101635466B1 (ko) 2014-12-11 2014-12-11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4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07A (ko) 2001-10-08 2001-12-07 우제학 인터넷을 이용한 뉴스정보 스크랩의 방법 및 시스템
JP2003015996A (ja) * 2001-07-02 2003-01-17 Platform4E.Com Inc サイト閲覧状況情報収集方法、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ファイル、及び、サイト閲覧状況情報収集システム
KR20080023634A (ko) * 2006-09-11 2008-03-14 채정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7211A (ko) * 2012-10-09 2014-04-22 (주)네오위즈게임즈 사용자별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5996A (ja) * 2001-07-02 2003-01-17 Platform4E.Com Inc サイト閲覧状況情報収集方法、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ファイル、及び、サイト閲覧状況情報収集システム
KR20010107807A (ko) 2001-10-08 2001-12-07 우제학 인터넷을 이용한 뉴스정보 스크랩의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23634A (ko) * 2006-09-11 2008-03-14 채정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7211A (ko) * 2012-10-09 2014-04-22 (주)네오위즈게임즈 사용자별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466B1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3465B2 (en) Customizable, real time intelligence channel
US106072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rating content
US107136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rating content
US201602751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content
US20100114691A1 (en) Managing a marketing template used in an e-mail marketing campaign
US20100131455A1 (en) Cross-websit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US20120221553A1 (en) Methods for electronic document searching and graphically representing electronic document searches
US11989244B2 (en) Shared user driven clipping of multiple web pages
US8515953B2 (en) Temporal visualization of query results
US20120084657A1 (en) Providing content to a user from multiple sources based on interest tag(s) that are included in an interest cloud
US201101610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Entities Through Content
US11797258B2 (en) Conversational analytics with data visualization snapshots
CN103853757A (zh) 网络的信息展示方法和系统、终端和信息展示处理装置
US20160042080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Searching and Sharing User Accessed Content
US201402729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a survey
US20150074599A1 (en) Mobile video channel-based gestural user interface
KR20130026558A (ko) 외곽 공간을 이용한 댓글 통합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8044958B2 (en) Material creation support device, material creation support system, and program
KR101869618B1 (ko) 맞춤형 뉴스컨텐츠 제공시스템
JP2010181966A (ja) レコメンド情報評価装置およびレコメンド情報評価方法
JP2012242844A (ja) レコメンド情報生成装置およびレコメンド情報生成方法
US20170185656A1 (en) Combining Search Results That Specify Software Application Functions
US20150040020A1 (en) Clickstream monitoring
KR20100049235A (ko)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 연계 사용자 피드백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1635466B1 (ko) 표시된 콘텐츠를 이동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