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623A -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623A
KR20160070623A KR1020140177816A KR20140177816A KR20160070623A KR 20160070623 A KR20160070623 A KR 20160070623A KR 1020140177816 A KR1020140177816 A KR 1020140177816A KR 20140177816 A KR20140177816 A KR 20140177816A KR 20160070623 A KR20160070623 A KR 20160070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handle
vehicle
rota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효종
염정연
Original Assignee
유효종
염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효종, 염정연 filed Critical 유효종
Priority to KR1020140177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0623A/ko
Publication of KR20160070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9Article carrier for electric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핸들의 전면에 간단하게 탈부착되고, 핸들을 돌렸을 때 핸들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정위치를 고수하여 모니터링과 조작의 불편함이 없으며, 시거잭을 이용한 충전시 충전케이블의 연결 및 사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핸들 전면부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착탈수단과; 상기 착탈수단에 의해 차량의 핸들 전면부에 부착된 휴대 단말기가 핸들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착탈수단 및 회전수단을 휴대 단말기 및 차량의 핸들에 고정될 수 있게 하되,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들의 회전과 무관하게 정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무게 중심부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Device to handle holding a mobile phone in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핸들의 전면에 간단하게 탈부착되고, 핸들을 돌렸을 때 핸들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정위치를 고수하여 모니터링과 조작의 불편함이 없으며, 시거잭을 이용한 충전시 충전케이블의 연결 및 사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단말기는 최근에는 멀티 미디어 기능이 대폭 향상된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서의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이 등장하고 실정에 있다. 이 중에서 주목할 만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3G 통신 서비스와 접목하여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의 다양한 교통 운전 지원 서비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GPS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는 차량에서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에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일 예로서, 기존의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같이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흡착 설치되는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를 장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경우,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창의 크기가 작고,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글자 크기가 작아 운전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정보를 쉽게 확인하지 못하게 되며, 디스플레이 창의 터치 조작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서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 운전자가 휴대 단말기를 보기 위해 고개를 돌리는 등 운전 부주의로 인해 교통 사고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핸들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 그 일 례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2-0005428호(2012.07.26.공개.)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3)를 지닌 휴대 단말기(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유닛(10); 및 상기 홀더유닛(10)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5)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홀더유닛(10)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유닛(10)은 상기 휴대 단말기(1)의 상하면 혹은 양 사이드면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후크 돌기(21a)(21b)가 구비된 홀더 몸체(11)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 몸체(11)는 상기 휴대 단말기(1)의 크기에 따라 상기 후크 돌기(21a)(21b)간의 거리가 가변한다. 상기 홀더 몸체(11)는 상기 후크 돌기(21a)(21b)를 일체로 연결하며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활 형태의 연결부(31)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유닛(50)은 상기 홀더 몸체(11)의 상측에 위치하는 후트 돌기(21a)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5)에 탄성 변형하며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재(51)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는 차량의 핸들의 돌렸을 때 핸들과 함께 휴대 단말기가 회전됨으롤써 모니터링 및 조작의 불편성 및 번거로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운전시 시야 확보 상실에 따른 교통사고 유발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2-0005428호(2012.07.26.공개.)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 핸들의 전면에 간단하게 탈부착되고, 핸들을 돌렸을 때 핸들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정위치를 고수하여 모니터링과 조작의 불편함이 없으며, 시거잭을 이용한 충전시 충전케이블의 연결 및 사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휴대폰 핸들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의 한 형태는,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핸들 전면부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착탈수단과; 상기 착탈수단에 의해 차량의 핸들 전면부에 부착된 휴대 단말기가 핸들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착탈수단 및 회전수단을 휴대 단말기 및 차량의 핸들에 고정될 수 있게 하되,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들의 회전과 무관하게 정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무게 중심부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수단은 전면부 중앙부에 삽입돌부를 갖는 금속 재질의 제1 고정편과 상기 제1 고정편의 삽입돌부에 대응되는 삽입홈부를 갖는 금속 재질의 제2 고정편으로 구성하되, 제1 고정편의 삽입돌부를 자석으로 형성하여 암수 결합에 의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1 고정편의 삽입돌부 및 제2 고정편의 삽입홈을 원형의 홈과 돌부로 형성한 것과;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고정편을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양면접착테이프로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편을 핸들의 전면부에 양면접착테이프로 고정하되, 상기 제1 고정편을 휴대 단말기의 배면 중간의 수직선 상에서 휴대 단말기의 배면 중간의 수평선 상의 상측에 위치되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착탈수단의 제1 고정편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의 다른 형태는,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핸들 전면부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착탈수단과; 상기 착탈수단에 의해 차량의 핸들 전면부에 부착된 휴대 단말기가 핸들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착탈수단 및 회전수단을 차량의 핸들에 고정될 수 있게 하되,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들의 회전과 무관하게 정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상기 착탈수단에 휴대 단말기의 무게 중심부가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회전수단에 함께 구비되고, 상기 착탈수단을 회전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복잡한 부속부품이나 장치없이 휴대 단말기를 자동차 핸들 전면부에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차의 핸들을 올렸을 때에도 휴대 단말기가 핸들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정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이게이션 등과 같은 모니터링과 조작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장치의 설치에 따른 차량 내부의 복잡성없이 공간활용의 비효율성을 해소할 수 있고, 충전시 충전케이블의 연결 및 사용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탈수단(1)과 회전수단(2) 및 고정수단(3)으로 구성된다.
상기 착탈수단(1)은 휴대 단말기(100)를 차량의 핸들(110) 전면부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원형의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제1 고정편(11)과 제2 고정편(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편(11)은 전면부 중앙부에 삽입돌부(11a)를 형성하되 회전수단(2)으로써 자석(11b)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편(12)은 상기 삽입돌부(11a)에 대응되는 원형의 형상 및 직경의 홈(21)과 돌부(22)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1 고정편(11)은 휴대폰 케이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배면에 고정되고, 제2 고정편(12)은 핸들(110)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제1 고정편(11)에 형성된 삽입돌부(11a)를 핸들(110)의 전면부에 고정된 제2 고정편(12)의 삽입홈부(12a)에 삽입하면, 회전수단(2)으로써 적용된 자석(11b)에 의해 제2 고정편(12)의 삽입홈부(12a)로부터 제1 고정편(11)의 삽입돌부(11a)가 빠져 이탈됨이 없이 고정됨은 물론 원형의 홈(21)과 돌부(22)의 결합으로 핸들(110)에 회전에 간섭없이 그 위치를 고수하게 되고, 자력보다 큰 힘으로 강제로 휴대 단말기(100)를 당기면 핸들(1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며, 다시 간단하게 휴대 단말기(100)를 핸들(11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정수단(3)으로서, 상기 제1 고정편(11)을 휴대 단말기(100)의 배면에 양면접착테이프(31)로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편(12)을 핸들(110)의 전면부에 양면접착테이프(31)로 고정하되, 상기 제1 고정편(11)을 휴대 단말기(100)의 배면 중간의 수직선 상에서 휴대 단말기의 배면 중간의 수평선 상의 상측의 무게중심부(32)에 위치되게 고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100)를 차량의 핸들(110) 전면부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착탈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착탈수단은 휴대 단말기(100)의 배면에 탈부착하기 위한 부속부품이 전혀 적용됨이 없이 간단히 차량의 핸들(110)에 회전수단과 함께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100)를 간단히 회전수단에 함께 구비된 착탈수단에 탈부착하는 것으로 사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수단으로써 상기 착탈수단 및 회전수단을 차량의 핸들(110)에 고정될 수 있게 하되,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핸들(110)의 회전과 무관하게 정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상기 착탈수단에 휴대 단말기의 무게 중심부가 고정되게 한 것으로서, 상기 착탈수단은 회전수단에 함께 구비되고, 상기 착탈수단을 회전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복잡한 부속부품이나 장치없이 휴대 단말기를 자동차 핸들 전면부에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차의 핸들을 올렸을 때에도 휴대 단말기가 핸들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정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이게이션 등과 같은 모니터링과 조작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장치의 설치에 따른 차량 내부의 복잡성없이 공간활용의 비효율성을 해소할 수 있고, 충전시 충전케이블의 연결 및 사용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거싱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착탈수단
11: 제1 고정편 11a: 삽입돌부
11b: 자석 12: 제2 고정편
12a: 삽입홈부
2: 회전수단
21: 홈 22: 돌부
3: 고정수단
31: 양면접착테이프 32: 무게중심부

Claims (5)

  1.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핸들 전면부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착탈수단과;
    상기 착탈수단에 의해 차량의 핸들 전면부에 부착된 휴대 단말기가 핸들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착탈수단 및 회전수단을 휴대 단말기 및 차량의 핸들에 고정될 수 있게 하되,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들의 회전과 무관하게 정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무게 중심부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전면부 중앙부에 삽입돌부를 갖는 금속 재질의 제1 고정편과 상기 제1 고정편의 삽입돌부에 대응되는 삽입홈부를 갖는 금속 재질의 제2 고정편으로 구성하되, 제1 고정편의 삽입돌부를 자석으로 형성하여 암수 결합에 의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1 고정편의 삽입돌부 및 제2 고정편의 삽입홈을 원형의 홈과 돌부로 형성한 것과;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고정편을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양면접착테이프로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편을 핸들의 전면부에 양면접착테이프로 고정하되, 상기 제1 고정편을 휴대 단말기의 배면 중간의 수직선 상에서 휴대 단말기의 배면 중간의 수평선 상의 상측에 위치되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의 제1 고정편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4.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핸들 전면부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착탈수단과;
    상기 착탈수단에 의해 차량의 핸들 전면부에 부착된 휴대 단말기가 핸들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착탈수단 및 회전수단을 차량의 핸들에 고정될 수 있게 하되,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들의 회전과 무관하게 정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상기 착탈수단에 휴대 단말기의 무게 중심부가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회전수단에 함께 구비되고, 상기 착탈수단을 회전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KR1020140177816A 2014-12-10 2014-12-10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KR20160070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816A KR20160070623A (ko) 2014-12-10 2014-12-10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816A KR20160070623A (ko) 2014-12-10 2014-12-10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623A true KR20160070623A (ko) 2016-06-20

Family

ID=5635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816A KR20160070623A (ko) 2014-12-10 2014-12-10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06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428A (ko) 2011-12-29 2012-01-16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결제수단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428A (ko) 2011-12-29 2012-01-16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결제수단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전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24470A1 (en) Handheld device holder for vehicle's steering wheel
US20160288731A1 (en) Mounting device for vehicle
AU2013202582B2 (en) A Phone Holder
EP2296939A2 (en) Device for the support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anchorage device provided with a magnetic support
WO2015124994A1 (en) Mounting for a mobile device
KR100999532B1 (ko) 차량용 내비게이션 거치대
KR20120138564A (ko)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30051194A (ko) 멀티미디어기기 거치대
CN205365451U (zh) 一种新型车载手机支架
JP3209658U (ja) 首掛け式撮像装置
KR20160070623A (ko) 차량용 휴대 단말기의 핸들 거치장치
KR200413161Y1 (ko) 차량용 거치대
US20140124556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CN202888876U (zh) 新型车载手机充电器
CN205524013U (zh) 车载手机支架结构
KR20190056224A (ko) 차량용 핸드폰 충전 거치대와케이스
CN205311507U (zh) 一种用于夹持手机的车载手机支架
KR20150146164A (ko) 무접점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130071039A (ko)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KR20130001512U (ko) 스마트폰 거치대
CN207059959U (zh) 一种车载供电装置
CN205005121U (zh) 一种新型车载手机架
CN203920609U (zh) 新型车载无线手机自拍组件
CN210760602U (zh) 一种车载支架及基于车载支架的充电数据线固定结构
CN201315333Y (zh) 车载蓝牙多功能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