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581A - Drone and rotor blade structure - Google Patents

Drone and rotor blad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581A
KR20160069581A KR1020140175002A KR20140175002A KR20160069581A KR 20160069581 A KR20160069581 A KR 20160069581A KR 1020140175002 A KR1020140175002 A KR 1020140175002A KR 20140175002 A KR20140175002 A KR 20140175002A KR 20160069581 A KR20160069581 A KR 20160069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rms
rotor blade
propellers
blad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6170B1 (en
Inventor
강상욱
공현철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7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170B1/en
Publication of KR2016006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5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1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10Drag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and a rotor blade structure of a drone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rotor blade structure having high thrust to transport a heavy object to maintain control efficiency along with structural stability and a dron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or blade structure of a drone comprises a plurality of arms and propellers individually provided in the arms. Moreover, the number of the propellers individually provided in the arms is multiple.

Description

드론 및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DRONE AND ROTOR BLADE STRUCTURE}DRONE AND ROTOR BLADE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드론 및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제어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중량 물체 운반을 위한 고추력(高推力)의 회전익 구조체 및 이를 갖는 드론(Drone, 무인 비행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or blade structure of a drone and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or blade structure of a high thrust (high thrust force) for carrying heavy objects capable of maintaining control efficiency together with structural stability, Airplane).

드론(Drone, 무인 비행기)은 도 5a 내지 도 5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 프로펠러의 갯수에 따라 쿼드콥터(4개), 헥사콥터(6개), 옥토콥터(8개)로 나눠지는데, 현재 운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드론들은 작은 드론들이 대부분이며, 추력의 한계 때문에 탑재체들이 카메라, 비디오장치 등 중량이 작은 것들로 한정된다.
As shown in FIG. 5A to FIG. 5C, the drone is divided into four quadrupole copiers (4), hexacopters (6) and octocopters (8)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opellers, Most drones are mostly small drones, and due to thrust limitations, payloads are limited to small ones such as cameras and video devices.

따라서, 필요에 따라 드론이 중량이 큰 물체를 탑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작은 회전익 구조체와 프로펠러의 크기를 매우 크게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회전익 구조체와 프로펠러의 크기를 매우 크게 할 경우 그 크기 증가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중량 증가로 인한 제어의 효율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 size of the existing small rotor blade structure and the propeller must be greatly increased in order for the drone to load heavy objects as needed. However, if the sizes of the rotor blade structure and the propeller blade are made very large, the structural stability due to the increase in size may be deteriorated and the control efficiency due to the weight increase may be drastically reduc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案出)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및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작은 프로펠러의 수를 늘림으로써 고중량 물체 운반을 위한 고추력(高推力)의 회전익 구조체 및 이를 갖는 드론(Drone, 무인 비행기)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or blade structure for a drone and a drone, which is capabl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small propelle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or blade structure and a drone (drone)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및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에 의하면, 프로펠러 갯수, 이에 따른 특정 형상의 배치 구조 및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 등의 조합으로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제어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중량 물체 운반을 위한 고추력의 회전익 구조체 및 이를 갖는 드론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otor blade structure of the drone and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propellers,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opeller,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can be used for transporting heavy objects capable of maintain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control efficiency.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or blade structure of a high power and a dr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복수개의 아암(Arm)과 상기 아암에 각각 구비되는 프로펠러를 가지는 드론(Drone)에 있어서, 상기 아암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프로펠러의 갯수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owel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having a plurality of arms and a propeller provided on the arms, And the number of the propellers is plur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상기 아암의 갯수가 4, 6 또는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arms is 4, 6 or 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상기 프로펠러의 갯수가 4, 6 또는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propellers is 4, 6 or 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상기 복수개의 프로펠러가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
The dowel's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opellers are radi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상기 복수개의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rotor blade structure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opellers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상기 복수개의 아암이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게 정반대에 위치하는 제1그룹 및 제3그룹과 제2그룹 및 제4그룹의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제1그룹 및 제3그룹의 회전방향과 제2그룹 및 제4그룹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owel's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arm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around the center axis of the rotor blade structure of the drones and are disposed symmetrically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first and third groups,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and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first and third groups and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are opposite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상기 아암의 갯수가 4개인 경우에는 각 그룹은 1개의 아암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number of the arms is four, each group is composed of one ar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상기 아암의 갯수가 6개인 경우에는 제1그룹 및 제3그룹은 2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제2그룹 및 제4그룹은 1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the arms is six,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are composed of two arms, and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are composed of one arm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상기 아암의 갯수가 8개인 경우에는 각 그룹은 2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owel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number of the arms is eight, each group is composed of two arm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및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에 의하면, 작은 프로펠러의 수를 늘림으로써 고중량 물체 운반을 위한 고추력(高推力)의 회전익 구조체 및 이를 갖는 드론(Drone, 무인 비행기)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otor blade structure of the drones and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small propellers, thereby increasing the rotor blade structure having a high thrust force for carrying heavy objects and a dron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및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에 의하면, 프로펠러 갯수, 이에 따른 특정 형상의 배치 구조 및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 등의 조합으로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제어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중량 물체 운반을 위한 고추력의 회전익 구조체 및 이를 갖는 드론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otor blade structure of the drone and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propellers,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opeller,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can be used for transporting heavy objects capable of maintain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control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strength flywheel structure and a dron having the flywheel structur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5a 내지 도 5c는 종래 드론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FIGS. 1A to 3C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embodiments of a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to 4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photographs showing a state of a conventional drones.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다만,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종래 드론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FIGS. 1A to 3C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embodiments of a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o 4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o 5C are cross- It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ppearance.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복수개의 아암(Arm)과 상기 아암에 각각 구비되는 프로펠러를 가지는 드론(Drone)에 있어서, 상기 아암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프로펠러의 갯수가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The drone ro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having a plurality of arms and a propeller provided in each of the arms, and the number of the propellers provided in the arms may be plural .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상기 아암의 갯수가 4, 6 또는 8개이며, 상기 프로펠러의 갯수가 4, 6 또는 8개이며, 상기 복수개의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arms is 4, 6 or 8, the number of the propellers is 4, 6 or 8, and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are the same .

필요에 따라 드론이 중량이 큰 물체를 탑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작은 회전익 구조체와 프로펠러의 크기를 매우 크게 증가시켜야 하는데 회전익 구조체와 프로펠러의 크기를 매우 크게 할 경우 그 크기 증가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중량 증가로 인한 제어의 효율성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은 프로펠러를 복수개 구비하도록 하여 전체 탑재할 수 있는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mount heavy objects on the drone as required, the size of the existing small rotor blade structure and propeller should be greatly increased. If the size of the rotor blade structure and the propeller is made very large, the structural stability due to the increase in size may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efficiency of control due to the increase in weight may be drastically reduced, a plurality of small propellers may be provided in order to prevent the increase in weight.

보다 구체적으로, 원하는 추력을 얻기 위하여 회전익 구조체 및 프로펠러를 크게 구성하지 않고 동일한 크기에서 프로펠러의 갯수만을 증가시키되, 상기 복수개의 작은 프로펠러가 이루는 전체 회전 반경은 하나의 큰 프로펠러가 이루는 회전 반경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thrust, only the number of propellers is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rotor blade structure and the propeller, and the total turning radius of the plurality of small propellers is equal to the turning radius of one large propeller Can be configured.

이에 의하여, 원하는 추력을 얻기 위하여 회전익 구조체 및 프로펠러를 크게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프로펠러의 크기 또한 변화가 없으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제어가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total weight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rotor blade structure and the propeller are formed to obtain the desired thrust, and the size of the propeller does not change, so accurate and quick control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상기 아암의 갯수가 4, 6 또는 8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펠러의 갯수가 4, 6 또는 8개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3 × 3 = 9 가지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아암 및 프로펠러의 갯수는 짝수로서 10, 12, 14, … 로 가능한 범위까지 확장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한 수치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arms may be 4, 6, or 8, and the number of the propellers may be 4, 6, or 8, in the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3 × 3 = 9 types can be formed, and the number of arms and propellers is 10, 12, 14,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numerical values.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는, 도 1a 내지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아암(10)이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의 중심축(2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게 정반대에 위치하는 제1그룹(1) 및 제3그룹(3)과 제2그룹(2) 및 제4그룹(4)의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제1그룹 및 제3그룹의 회전방향과 제2그룹 및 제4그룹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아암의 갯수는 4, 6 또는 8개로 구성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S. 1A to 3C, the plurality of arms 1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around the central axis 20 of the dowel's rotor blade structure, The first group 1 and the third group 3 located symmetrically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group 2 and the fourth group 4 are divided into a first group 1 and a third group 3,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may be reversed, and the number of the arms may be 4, 6, or 8.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암의 갯수가 4개인 경우에는 도 1a 내지 도 1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그룹은 1개의 아암(1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아암의 갯수가 6개인 경우에는 도 2a 내지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그룹 및 제3그룹은 2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제2그룹 및 제4그룹은 1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아암의 갯수가 8개인 경우에는 도 3a 내지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그룹은 모두 2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the arms is four, as shown in FIGS. 1A to 1C, each of the groups may be composed of one arm 10. When the number of the arms is six, As shown in FIG. 2C,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may be composed of two arms,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may be composed of one arm, and when the number of the arms is eight, As shown in 3c, each group may be made up of two arms.

또한, 이들 그룹에 속하는 프로펠러들(30)은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그들의 회전방향은 모두 같다. 즉, 복수개의 프로펠러들을 어레이(Array) 형태로 생각하여 하나의 커다란 프로펠러로 산정할 수 있다.
Further, the propellers 30 belonging to these group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ir rotational directions are all the same. That is, a plurality of propellers may be regarded as an array, and a single large propeller may be used.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에서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은 제1그룹과 제3그룹에 속하는 프로펠러가 동일하고 제2그룹과 제4그룹에 속하는 프로펠러가 동일하며, 제1그룹 및 제3그룹에 속하는 프로펠러와 제2그룹 및 제4그룹에 속하는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로 구성한다.
4A,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in the rotor blade structure of the drone is the same for the propeller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the propeller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are the same, The propellers belonging to the group and the propeller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드론의 3축 제어를 위해 Roll, Pitch, Yaw 제어를 한다.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그룹 및 제3그룹에서 발생하는 추력을 일정하게 하고 제2그룹 및 제4그룹에서 발생하는 추력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Pitch 제어는 제2그룹 및 제4그룹에서 발생하는 추력을 일정하게 하고 제1그룹 및 제3그룹에서 발생하는 추력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Roll, pitch, and yaw controls for three-axis control of the drone. As shown in FIG. 4B, the thrust generated in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can be made constant, and the thrust generated in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can be controlled and controlled. The thrust generated in the group can be made constant and the thrust generated in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can be controlled and controlled.

이와 같이 Roll 및 Pitch 제어는 추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어하며, Yaw 제어는 제1그룹 및 제3그룹에서 발생하는 추력과 제2그룹 및 제4그룹에서 발생하는 추력의 Torque 차이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roll and pitch control are controlled using the difference in thrust, and the Yaw control is controlled by using the thrust generated in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and the torque difference in the thrust generated in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

도 1a 내지 도 1c는 4개의 아암과 상기 아암에 각각 구비되는 프로펠러의 갯수가 각각 4, 6, 8개인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아암의 갯수를 4개로 고정하고 각 아암에 구비되는 프로펠러의 갯수를 증가시켜 원하는 고추력을 얻을 수 있으며, 제1그룹 및 제3그룹에 속하는 프로펠러들의 회전방향은 같게, 그리고 이와 반대 방향으로서 제2그룹 및 제4그룹에 속하는 프로펠러들의 회전방향 또한 같게 함으로써 드론의 구조적 안정성 및 3축 제어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FIGS. 1A through 1C show embodiments in which the number of propellers provided in each of the four arms and the arm is 4, 6, and 8, respectively. In this manner, the number of the arms is fixed to four and the number of propellers provided in each arm is increased to obtain the desired high-power. The propeller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propeller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are made the same, so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drones and the efficiency of the triaxial control can be maintained.

또한, 도 2a 내지 도 2c는 6개의 아암과 상기 아암에 각각 구비되는 프로펠러의 갯수가 각각 4, 6, 8개인 실시예들을 보여주며, 도 3a 내지 도 3c는 8개의 아암과 상기 아암에 각각 구비되는 프로펠러의 갯수가 각각 4, 6, 8개인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FIGS. 2A to 2C show embodiments in which the number of propellers provided respectively in the six arms and the arms is four, six, and eight, respectively. FIG. 3A to FIG. The number of propellers being 4, 6, and 8, respectively.

이들 또한 제1그룹 및 제3그룹에 속하는 프로펠러들의 회전방향은 같게, 그리고 이와 반대 방향으로서 제2그룹 및 제4그룹에 속하는 프로펠러들의 회전방향 또한 같게 함으로써 드론의 구조적 안정성 및 3축 제어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a 내지 도 1c와 같이 아암의 갯수를 4개로 고정한 상태에서 각 아암에 구비되는 프로펠러의 갯수를 증가시켜도 원하는 고추력을 얻을 수 없을 경우에 적합한 형태이다.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drones and the efficiency of three-axis control are also improved by mak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ropeller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the same as those of the propeller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as the opposite direction As shown in FIGS. 1A to 1C, when the number of the arms is fixed to four and the number of propellers provided in each arm is increased, it is not suitable to obtain the desired high-power.

이와 같이 탑재체의 중량이 매우 큰 경우, 원하는 고추력을 얻기 위해서 자유롭게 아암에 구비되는 프로펠러의 갯수를 늘리거나 아암의 갯수를 늘릴 수 있다. 즉, 한 개의 프로펠러가 아닌 여러 개의 프로펠러를 어레이(Array) 형태로 묶어 한 개의 프로펠러와 같이 제어하면 원하는 고추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 및 3축 제어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weight of the loading body is very large, the number of propellers provided in the arm can be increased and the number of arms can be increased freely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high-power. In other words, by bundling several propellers instead of one propeller into an array type and controlling them with one propeller, it is possible to obtain desired high power and maintain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efficiency of three-axis contro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 및 이를 갖는 드론은 원하는 고추력에 따라 프로펠러의 갯수를 증가시키거나 프로펠러 및 아암의 갯수를 모두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아암 및 프로펠러는 모두 탈, 부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면, 프로펠러의 크기는 기존 1개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에 맞춰 아암에 구비되는 전체 총 프로펠러의 숫자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다.
Further, the drones of the r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ones having the drones are constructed such that both the arm and the propeller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so as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pellers or increase the number of propellers and arms according to a desired high- The size of the propell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total propellers provided on the arm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radius of the existing propeller.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set forth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아암
20 : 중심축
30 : 프로펠러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arm
20: center axis
30: Propeller

Claims (10)

복수개의 아암(Arm)와 상기 아암에 각각 구비되는 프로펠러를 가지는 드론(Drone)에 있어서,
상기 아암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프로펠러의 갯수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
1. A drone having a plurality of arms and a propeller provided in each of the arms,
And the number of the propellers provided in the arms is plur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갯수는 4, 6 또는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the arms is 4, 6, or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갯수가 4, 6 또는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umber of the propellers is 4, 6, or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로펠러는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propeller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radial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propellers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아암은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게 정반대에 위치하는 제1그룹 및 제3그룹과 제2그룹 및 제4그룹의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제1그룹 및 제3그룹의 회전방향과 제2그룹 및 제4그룹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arm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rotor blade structure of the drones, and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a first group and a third group symmetrically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second group and a fourth group And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and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are opposite to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갯수가 4개인 경우에는 각 그룹은 1개의 아암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when the number of the arms is four, each group is made up of one ar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갯수가 6개인 경우에는 제1그룹 및 제3그룹은 2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고 제2그룹 및 제4그룹은 1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number of the arms is six,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are made up of two arms, and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are made up of one ar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갯수가 8개인 경우에는 각 그룹은 2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when the number of the arms is eight, each group consists of two arms.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드론의 회전익 구조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A drones having a rotor blade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KR1020140175002A 2014-12-08 2014-12-08 Drone and rotor blade structure KR1016361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002A KR101636170B1 (en) 2014-12-08 2014-12-08 Drone and rotor blad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002A KR101636170B1 (en) 2014-12-08 2014-12-08 Drone and rotor blad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581A true KR20160069581A (en) 2016-06-17
KR101636170B1 KR101636170B1 (en) 2016-07-05

Family

ID=5634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002A KR101636170B1 (en) 2014-12-08 2014-12-08 Drone and rotor blad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1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288B1 (en) 2016-09-12 2018-07-27 한가현 Flight apparatus
KR20180101015A (en) 2017-03-03 2018-09-12 (주)코리아드론콥터 Rotor blade of UAV
KR20180002684U (en) 2017-03-06 2018-09-14 (주)코리아드론콥터 Rotor blade for UAV
KR102135285B1 (en) 2018-12-27 2020-07-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Veryical takeoff and landing fixed w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317660B1 (en) 2020-10-19 2021-10-26 (주)에이엠시스템 Drone with co-axial rotor structure
KR20230116310A (en) 2022-01-28 2023-08-0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Tailless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ai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839A (en) * 2008-09-26 2008-11-13 노인철 The unmanned aerial vehicle have 4 legs and 4 mo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839A (en) * 2008-09-26 2008-11-13 노인철 The unmanned aerial vehicle have 4 legs and 4 mo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170B1 (en)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170B1 (en) Drone and rotor blade structure
US11111009B1 (en) Operating multirotor aircraft with enhanced yaw control
US9616994B2 (en) Asymmetric multirotor helicopter
US11319063B2 (en) Vehicle configuration with motors that rotate between a lifting position and a thrusting position
JP6435991B2 (en) Electric aircraft
US10259591B1 (en) Adjustable unmanned aerial vehicles with adjustable body portions
US10870478B2 (en) Drone capable of varying propeller arrangement shape
US20170174336A1 (en) Aerial vehicle
US11136119B2 (en) Six degree of freedom aerial vehicle having reconfigurable motors
US10981649B2 (en) Six degree of freedom aerial vehicle having reconfigurable wings
US9764835B1 (en) Aerial vehicle configuration
US10892673B2 (en) Thrust producing split flywheel gyroscope method and apparatus
KR20220103177A (en) Bidirectional thrust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17518217A (en) Fixed rotor thrust vectoring
JP2019137389A (en) Flight device
US20160122010A1 (en) Aerial vehicle
JP2017056934A5 (en)
JP2017056934A (en) Flight device
US20240101250A1 (en) Tilted propellers for enhanced distributed propulsion control authority
EP3853125B1 (en) Six degree of freedom aerial vehicle having reconfigurable motors, propellers, or wings
GB2461051A (en) VTOL aircraft control
US20190300207A1 (en) Artificial satellite and satellite propulsion method
KR20220151738A (en) Drone for transporting heavy objects
CN109491402B (en) Multi-unmanned aerial vehicle cooperative target monitoring control method based on cluster control
KR101658386B1 (en) Propulsion controller and multi-copter having th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