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339A -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Google Patents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9339A KR20160069339A KR1020140175179A KR20140175179A KR20160069339A KR 20160069339 A KR20160069339 A KR 20160069339A KR 1020140175179 A KR1020140175179 A KR 1020140175179A KR 20140175179 A KR20140175179 A KR 20140175179A KR 20160069339 A KR20160069339 A KR 201600693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ergent
- container
- water
- space
- refi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5/00—Bottles and jars
- Y10S215/08—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농도 세제를 물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세제 용기의 반복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또한 오염이 심한 부위를 집중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를 제공할 목적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저수공간(11)이 형성되고, 외형의 일측에 리필용기가 내입되는 내입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내입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내입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제1연통관(1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내입공간이 상기 저수공간과 연결되도록 하는 제2연통관(14)이 형성된 용기본체(10); 상기 내입공간(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공간(51)에 세제가 충진되며 일측이 상기 제1연통관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연통관과 연결되는 상기 리필용기(50);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연통관을 통해 유입된 물과 상기 리필용기 내의 세제의 혼합물이 상기 저수공간으로 충진 가능하게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 저장이 가능한 용기본체의 일측에 고농도 세제가 내입된 리필용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고, 리필용기를 장착한 후 용기본체 내에 물을 주입함으로써 물과 세제가 상호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제는 세탁용, 설거지용, 건신용을 비롯하여 유연제, 표백제 등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으며 대부분 합성수지 용기 내에 액상으로 시판되고 있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186724호(특허문헌 1)에는 액상 세제류를 보관하는 펌프식 프라스틱 세제용기의 상측부에 장착되어 있는 누름 버튼의 펌프 작용에 의하여 용기내 보관 세제를 파이프를 통하여 밖으로 흘려 보내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펌프식 세제용기가 제안된 바 있고, 이는 매회 펌프 작용시 미리 정해진 필요량 만큼만 관을 통하여 밖으로 흘려 보내지도록 상.하 조절이 되는 조절 나사를 펌프의 누름버튼과 용기 뚜겅 사이에 형성한 배출량 조절 펌프식 세제용기에 관한 것이다.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179875호(특허문헌 2)에는 간단한 회전조작에 의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용기의 입구를 닫을 수 있고 사용할 때에는 용기의 입구를 열 수 있는 회전식 캡이 구비된 세제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들을 비롯하여 액상 세제를 용기로 포장한 일반적인 세제 용기는 세제를 저장, 보관, 운반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나, 이 경우 세제를 구입할 때 세제의 비용과 함께 매번 포장 용기의 비용을 함께 지불해야 하므로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크고, 제조자 역시 세제와 용기를 함께 제조해야 하므로 생산원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농도 세제를 물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세제 용기의 반복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또한 오염이 심한 부위를 집중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석회분이 많이 함유된 것과 같이 수질이 좋지 않은 물을 정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외형의 일측에 리필용기가 내입되는 내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입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내입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제1연통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내입공간이 상기 저수공간과 연결되도록 하는 제2연통관이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내입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세제가 충진되며 일측이 상기 제1연통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연통관에 연결되는 상기 리필용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연통관을 통해 유입된 물과 상기 리필용기 내의 세제의 혼합물이 상기 리필용기의 공간 및 저수공간 내에서 잔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의 일측에 고농도 세제가 내입된 리필용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고, 세제와 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본체의 반복적인 활용이 가능하므로 세제 구입시 용기본체의 구매를 생략하고 리필용기만 구매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 및 생산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게다가 용기본체의 물 주입 공간에 필터가 설치되므로 예컨대 석회분이 많이 함유된 것과 같이 수질이 좋지 않은 물을 정화하여 액상 세제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수질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종류의 세제를 소비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충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제1기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부(제1기밀부재)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부(제2기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분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조립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요부(리필용기)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제1기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부(제1기밀부재)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부(제2기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분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조립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요부(리필용기) 정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외형의 일측에 리필용기가 내입되는 내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입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내입공간으로 물이 유입되게 하는 제1연통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내입공간이 상기 저수공간과 연결되게 하는 제2연통관이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내입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세제가 충진되며 일측이 상기 제1연통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연통관에 연결되는 상기 리필용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연통관을 통해 유입된 물과 상기 리필용기 내의 세제 혼합물이 상기 저수공간으로 충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용기본체와 별도로 개폐용구를 마련하여 상기 제1연통관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수공간으로 연장된 흡입관을 갖는 펌핑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펌핑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하거나, 상기 제1연통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연통관의 내측에 상기 리필용기의 일측 개구부와 접하는 제1기밀부재가 구비되거나, 상기 제2연통관의 내측에 상기 리필용기의 타측 개구부와 접하는 제2기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필용기의 일측 개구부에 제1박막이 구비되고 상기 제1기밀부재에는 상기 리필용기가 상기 내입공간에 장착시 상기 제1박막을 커팅하는 커터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리필용기의 타측 개구부에 제2박막이 구비되고 상기 제2기밀부재에는 상기 리필용기가 상기 내입공간에 장착시 상기 제2박막을 커팅하는 커터가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2기밀부재에는 상기 저수공간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익이 연결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및 상기 회전익에 각각 극성이 다른 자석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익이 각 자석부재의 자력에 의해 무동력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연통관 내에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는 내부에 급수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급수공간으로 물을 주입하는 물 주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제1연통관으로 내입되어 상기 급수공간의 물이 상기 제1연통관으로 유입되게 하는 연장관을 갖는 급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관 내에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기는 상기 용기본체 상에서 연장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혼합물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수기가 더 마련된 경우 상기 개폐용구는 상기 급수기의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인입된 흡입관을 갖는 펌핑부재를 더 마련할 수 있고, 상기 펌핑부재는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급수기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개폐용구 내부에는 세제가 충진되는 세제충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폐쇄관의 단부에는 접촉을 통해 상기 세제충진공간의 세제가 배출되게 하는 접촉배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필용기는, 제1리필용기 및 제2리필용기로 양분되고, 제1리필용기의 제1공간 및 제2리필용기의 제2공간에는 이종의 세제가 내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도면에서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는, 기본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10)에 고농도 세제가 내입된 리필용기(5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용기본체(10) 내에서 물과 세제를 혼합시킨 혼합물을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저수공간(11)이 형성되고, 외형의 일측에 상기 리필용기(50)가 내입되게 하는 내입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내입공간(12)의 일측[바람직하게는 상측]에는 상기 내입공간(12)으로 물이 유입되게 유도하는 제1연통관(13)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입공간(12)의 타측[바람직하게는 하측]에는 상기 내입공간(12)과 상기 저수공간(11)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통관(14)이 형성된다.
상기 리필용기(50)는, 상기 내입공간(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공간(51)에는 고농도 세제가 충진되며 2개소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된 것으로, 리필용기(50)가 내입공간(12)에 장착되었을 때 리필용기(50)의 일측[바람직하게는 상측] 개구부가 상기 제1연통관(13)에 연결되고 타측[바람직하게는 하측] 개구부가 상기 제2연통관(14)에 연결된다.
상기 리필용기(50)가 내입공간(12)에 장착시 상기 제1연통관(13)을 통해 유입된 물과 상기 리필용기(50) 내의 고농도 세제가 상호 혼합될 수 있고, 이 혼합물이 상기 리필용기(50)의 공간(51) 및 저수공간(11) 내에 잔존하여 보관되며, 사용자가 상기 용기본체(10)를 뒤집었을 때 혼합물이 상기 제1연통관(13)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통관(13)은 물을 주입하는 주입구 기능과 혼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10)의 제1연통관(13)을 개폐하도록 뚜껑 기능을 가진 개폐용구(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용구(30)는 상기 제1연통관(13)에 삽입되어 제1연통관(13)을 폐쇄하는 폐쇄관(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용구(30) 내부에는 고농도 세제(예를 들면 표백제 또는 얼룩제거제 등)가 충진되는 세제충진공간(3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폐쇄관(32)의 단부에는 접촉배출수단(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배출수단(33)은 예컨대 롤온 타입 또는 발포우레탄이나 스폰지와 같이 다공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촉배출수단(33)을 오물이 묻은 부분에 대고 문지르는 방식과 같은 접촉을 통해 상기 세제충진공간(31)의 고농도 세제가 접촉배출수단(33)을 통해 스며나오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예컨대 찌든 때가 형성된 부분에 상기 접촉배출수단(33)을 대고 문지르면 마찰력과 함께 고농도 세제(예를 들면, 얼룩제거제 또는 표백제 등)를 통해 찌든 때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도면 중 설명되지 않은 받침대(40)는 용기본체(10) 하부의 개방부(16)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제1기밀부재(60) 및 제2기밀부재(70)는 각각 상기 제1연통관(13)과 제2연통관(14)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A'부(제1기밀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부(제1기밀부재)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B'부(제2기밀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연통관(13)의 내측에 제1기밀부재(60)가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2연통관(14)의 내측에 상기 리필용기(50)의 타측 개구부와 접하는 제2기밀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각 기밀부재(60)(70)는, 각 연통관(13)(14)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리필용기(50)의 각 개구부와 접촉함으로써 각 기밀부재(60)(70)와 리필용기(50)의 각 개구부 사이로 물 또는 세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각 기밀부재(60)(70)에는 선택적으로 탄성체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리필용기(50)의 일측[상측] 개구부에는 그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해 얇은 필름 형태의 제1박막(52)이 부착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기밀부재(60)에는 상기 리필용기(50)가 상기 내입공간(12)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1박막(52)을 커팅하기 위한 커터(68)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리필용기(50)의 타측[하측] 개구부에는 그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해 얇은 필름 형태의 제2박막(53)이 부착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기밀부재(70)에는 상기 리필용기(50)가 상기 내입공간(12)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2박막(53)을 커팅하기 위한 커터(7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밀부재(60)는 도 4와 같이 고정플레이트(62), 탄성체(64) 및 이동플레이트(6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62)는 내측에 관통구멍(61)이 형성되고 외측 가장자리에는 아래쪽으로 돌출 연장된 고정관(63)이 다수 개 형성되며, 중앙에는 침을 가진 커터(68)가 하향 돌출되는 한편, 상기 이동플레이트(66)는 가운데 부분에 관통구멍(65)이 형성된 링 형태이고, 가장자리에는 핀(67)이 윗쪽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고정관(63)으로 탄성체(64) 및 핀(67)이 각각 내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5의 (a)와 같이 제1기밀부재(60)가 제1연통관(13)에 장착되면, 고정플레이트(63)가 제1연통관(13)의 내벽에 고정되고, 이동플레이트(66)는 상기 탄성체(64)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 이동한다.
도 5의 (b)와 같이 내입공간(12)으로 리필용기(50)를 끼워 넣으면, 리필용기(50)의 상측 개구부가 상기 이동플레이트(66)와 접하여 이동플레이트(66)를 들어올리게 되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상기 커터(68)가 상기 제1박막(52)을 뚫거나 찢어서 제1연통관(13)으로 유입된 물이 리필용기(50) 내의 공간(51)으로 유입되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기밀부재(70)는 상기 제1기밀부재(60)와 상하 대칭 구조이다. 즉, 제2기밀부재(70)는 도 6과 같이 고정플레이트(72), 탄성체(74) 및 이동플레이트(7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72)는 내측에 관통구멍(71)이 형성되고 외측 가장자리에는 윗쪽으로 돌출 연장된 고정관(73)이 다수 개 형성되며, 중앙에는 침을 가진 커터(78)가 상향 돌출되는 한편, 상기 이동플레이트(76)는 가운데 부분에 관통구멍(75)이 형성된 링 형태이고, 가장자리에는 핀(77)이 아래쪽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고정관(73)으로 탄성체(74) 및 핀(77)이 각각 내입되는 구조이다.
제2기밀부재(70)가 제2연통관(14)에 장착된 상태에서 리필용기(50)가 내입공간(12)에 장착되면, 리필용기(50)의 하측 개구부가 상기 이동플레이트(76)와 탄성력으로 접촉하여 기밀성을 가지게 되고, 동시에 커터(78)가 제2박막(53)을 찢어서 리필용기(50) 내의 세제가 저수공간(11)으로 흘러들어가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기 제2기밀부재(70)에는 상기 저수공간(11)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전익(80)이 무동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부, 구체적으로는 용기본체(10) 하부의 받침대(40)에 자석부재(41)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익(80)에는 상기 받침대(40)의 자석부재(41)와 극성이 다른 자석부재(81)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극성이 서로 반대인 각 자석부재(41)(81)의 척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익(80)이 무동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익(80)의 회전에 의해 물과 세제가 교반되면서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리필용 세제 믹싱 용기의 사용 상태, 즉 물과 리필용기 내의 세제가 혼합되는 과정을 비롯하여 혼합 세제의 배출 관계를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리필용기(50)를 용기본체(10)의 내입공간(12)에 끼워 넣으면, 리필용기(50)의 상하부에 구비된 각 박막(52)(53)이 각 커터(68)(78)에 의해 절개되고, 이 상태에서 개폐용구(30)를 용기본체(10)에서 분리한 후 제1연통관(13)으로 물을 부으면, 물이 제1연통관(13)을 경유하여 리필용기(50) 내로 유입된다. 또한 리필용기(50)로 유입된 물은 세제와 혼합하면서 제2연통관(14)을 통해 배출되어 저수공간(11)으로 충진되며, 이에 따라 물과 리필용기(50)의 세제가 혼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세제 믹싱 용기는 상기 개폐용구(30) 대신에 제1연통관(13)에 흡입관(91)이 부설된 펌핑부재(90)를 장착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펌핑부재(90)는 통상 상기 용기본체(10) 내부로 인입되는, 유연성을 가진 튜브 형태의 흡입관(91)을 갖추고 있으므로 펌핑부재(90)를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0) 내의 혼합물을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핑부재(90)는 기성품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관(91)이 저수공간(11)으로 내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연통관(13)에는 흡입관(91)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부호 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세제 믹싱 용기는 용기본체(10)에 형성된 내입공간(12)이 용기본체(10)의 일측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는바, 이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에 대한 상기 내입공간(12)의 위치는 도 1과 같이 용기본체(10)의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일측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도 있는 바, 이와 같이 내입공간(12)의 위치는 제한이 없이 다양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
내입공간(12)이 용기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경우, 제1연통관(13)과 제2연통관(14)이 동시에 내입공간(12)의 각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연통관(13)에는 필터(2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24)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석회분, 중금속 등 유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부직포나 헤파필터, 숯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소재나 재료에 한정은 없다. 상기 필터(24)는 상기 제1연통관(1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게 하여 필터(24)를 교체하거나 세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통관(13)은 전술한 개폐용구(30)를 통해 개폐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용기본체(10)에는 전술한 펌핑부재(9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연통관(13)을 통해 물을 주입한 다음, 펌핑부재(90)를 통해 혼합물을 필요한 양만틈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1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저수공간(11)이 형성되고, 외형의 일측에 내입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내입공간(12)의 일측에는 제1연통관(13)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입공간(12)의 타측에는 상기 내입공간(12)과 상기 저수공간(11)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통관(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부에는 물과 세제의 혼합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5)가 하나 또는 2개소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15)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10) 상부에는 급수기(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기(20)는 내부에 급수공간(21)이 형성되고, 일측[바람직하게는 상측]에 상기 급수공간(21)으로 물을 주입하는 주입구(22)가 형성되며, 타측[바람직하게는 하측]에 상기 제1연통관(13)으로 내입되어 급수공간(21)의 물이 상기 제1연통관(13)으로 흘러들어가게 하는 연장관(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23) 내에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24)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필터(24)는 상기 연장관(2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게 하여 필터(24)를 교체하거나 세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기(20)의 주입구(22)를 개폐하기 위해 전술한 개폐용구(3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용구(30)의 폐쇄관(32)이 상기 주입구(22)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으로 주입구(22)를 개폐한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설명되지 않은 받침대(40), 리필용기(50), 제1기밀부재(60), 제1기밀부재(70) 및 회전익(80)은 앞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리필용기(50)를 용기본체(10)의 내입공간(12)에 끼워 넣으 다음, 급수기(20)의 주입구(22)로 물을 부으면, 물이 제1연통관(13)을 경유하여 리필용기(50) 내로 유입된다. 또한 리필용기(50)로 유입된 물은 세제와 혼합하면서 제2연통관(14)을 통해 배출되어 저수공간(11)으로 충진된다.
저수공간(11)에 세제 혼합물은 급수기(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노출된 배출구(15)를 통해 필요한 양만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는 바와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10)는 개폐용구(30)가 배제된 것으로, 용기본체(10)의 측면부에 내입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구(30)를 대체하여 상기 주입구(22)에 펌핑부재(90)가 장착된 것을 보인 것이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12에서 주입구(22)에 상기 개폐용구(30)를 설치하는 대신 급수기(20)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펌핑부재(90)를 상기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본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을 주입하는 부분과 혼합물을 배출하는 부분이 하나의 구멍으로 형성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별개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급수기(20) 역시 개폐용구(30)와 펌핑부재(90)가 서로 다른 구멍에 각각 착탈됨으로써 혼용되거나 하나의 구멍으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세제 믹싱 용기의 요부(리필용기) 정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리필용기(50) 내의 세제는 예를 들면 세정제 및 표백제 등과 같이 이종의 세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리필용기(50)는, 제1리필용기(510) 및 제2리필용기(520)로 양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리필용기(510)의 제1공간(51') 및 제2리필용기(520)의 제2공간(52')에는 각각 이종의 세제가 내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세제가 내입된 제1리필용기(510)와 제2리필용기(520)를 선택 구매한 후, 이들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용기본체(10)에 장착하면 이종의 세제가 물과 함께 혼합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용기본체
11...저수공간
12...내입공간
13...제1연통관 14...제2연통관 15... 배출구
16...개방부
20...급수기 21...급수공간 22...주입구
23...연장관 24...필터
30...개폐용구 31...세제충진공간
32...폐쇄관 33...접촉배출수단
40...받침대 41...자석부재
50...리필용기 51...공간 51'...제1공간
51"...제2공간 52...제1박막 53...제2박막
60...제1기밀부재 61...관통구멍 62...고정플레이트
63...고정관 64...탄성체 65...관통구멍
66...이동플레이트 67...핀 68...커터
70...제2기밀부재 71...관통구멍 72...고정플레이트
73...고정관 74...탄성체 75...관통구멍
76...이동플레이트 77...핀 78...커터
80...회전익 81...자석부재 82...축부
90...펌핑부재 91...흡입관
510...제1리필용기 511...볼트관
512...제3박막 513...커터
520...제2리필용기 521...너트관
522...제4박막 523...지지대
524...관통구멍 525...커터
13...제1연통관 14...제2연통관 15... 배출구
16...개방부
20...급수기 21...급수공간 22...주입구
23...연장관 24...필터
30...개폐용구 31...세제충진공간
32...폐쇄관 33...접촉배출수단
40...받침대 41...자석부재
50...리필용기 51...공간 51'...제1공간
51"...제2공간 52...제1박막 53...제2박막
60...제1기밀부재 61...관통구멍 62...고정플레이트
63...고정관 64...탄성체 65...관통구멍
66...이동플레이트 67...핀 68...커터
70...제2기밀부재 71...관통구멍 72...고정플레이트
73...고정관 74...탄성체 75...관통구멍
76...이동플레이트 77...핀 78...커터
80...회전익 81...자석부재 82...축부
90...펌핑부재 91...흡입관
510...제1리필용기 511...볼트관
512...제3박막 513...커터
520...제2리필용기 521...너트관
522...제4박막 523...지지대
524...관통구멍 525...커터
Claims (14)
-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외형의 일측에 리필용기가 내입되는 내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입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내입공간으로 물이 유입되게 하는 제1연통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내입공간이 상기 저수공간과 연결되게 하는 제2연통관이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내입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세제가 충진되며 일측이 상기 제1연통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연통관에 연결되는 상기 리필용기;
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연통관을 통해 유입된 물과 상기 리필용기 내의 세제 혼합물이 상기 저수공간으로 충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관을 개폐하는 개폐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 또는 상기 제1연통관에 탈착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저수공간으로 연장된 흡입관을 갖는 펌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관의 내측에 상기 리필용기의 일측 개구부와 접하는 제1기밀부재가 구비되거나, 상기 제2연통관의 내측에 상기 리필용기의 타측 개구부와 접하는 제2기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기의 일측 개구부에 제1박막이 구비되고, 상기 제1기밀부재에는 상기 리필용기가 상기 내입공간에 장착시 상기 제1박막을 커팅하는 커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기의 타측 개구부에 제2박막이 구비되고, 상기 제2기밀부재에는 상기 리필용기가 상기 내입공간에 장착시 상기 제2박막을 커팅하는 커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기밀부재에는 상기 저수공간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익이 연결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및 상기 회전익에 각각 극성이 다른 자석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익이 각 자석부재의 자력에 의해 무동력 회전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에 급수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급수공간으로 물을 주입하는 물 주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제1연통관으로 내입되어 상기 급수공간의 물이 상기 제1연통관으로 유입되게 하는 연장관을 갖는 급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 내에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기는 상기 용기본체 상에서 연장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혼합물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또는 상기 급수기의 일측을 개폐하는 동시에 펌핑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 내의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인입된 흡입관을 갖는 펌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관 내에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구 내부에 세제가 충진되는 세제충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폐쇄관의 단부에는 접촉을 통해 상기 세제충진공간의 세제가 배출되게 하는 접촉배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기는, 제1리필용기 및 제2리필용기로 양분되고, 제1리필용기의 제1공간 및 제2리필용기의 제2공간에는 이종의 세제가 내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5179A KR101751694B1 (ko) | 2014-12-08 | 2014-12-08 |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5179A KR101751694B1 (ko) | 2014-12-08 | 2014-12-08 |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9339A true KR20160069339A (ko) | 2016-06-16 |
KR101751694B1 KR101751694B1 (ko) | 2017-06-28 |
Family
ID=5635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5179A KR101751694B1 (ko) | 2014-12-08 | 2014-12-08 |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169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98247A (zh) * | 2020-04-22 | 2020-08-07 |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 一种可精细调节的微量乳液瓶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9875B1 (ko) | 1996-03-29 | 1999-04-01 | 이종수 | 아날로그 입력장치의 복합증설 장치 |
KR100186724B1 (ko) | 1996-09-30 | 1999-05-15 | 극동전선 공업주식회사 | 열경화성 피복전선의 선출속도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64130B2 (ja) | 2005-10-18 | 2011-08-31 | 紀伊産業株式会社 | 二成分混合容器 |
US20140078857A1 (en) * | 2012-09-20 | 2014-03-20 | Fit Systems, Llc | Apparatus for mixing measured amounts of concentrate with a dilutant and method of using same |
-
2014
- 2014-12-08 KR KR1020140175179A patent/KR1017516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9875B1 (ko) | 1996-03-29 | 1999-04-01 | 이종수 | 아날로그 입력장치의 복합증설 장치 |
KR100186724B1 (ko) | 1996-09-30 | 1999-05-15 | 극동전선 공업주식회사 | 열경화성 피복전선의 선출속도제어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98247A (zh) * | 2020-04-22 | 2020-08-07 |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 一种可精细调节的微量乳液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1694B1 (ko) | 2017-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283528B (zh) | 洗涤剂瓶、用于洗衣机的洗涤剂投放装置和洗衣机 | |
CN109252337B (zh) | 一种滚筒洗衣机 | |
CN108729130B (zh) | 一种洗衣机自动投放系统及洗衣机 | |
CN100564654C (zh) | 洗衣机特别是具有洗涤剂分配器的前端装料式洗衣机 | |
CN108729133B (zh) | 一种洗衣机自动投放系统及洗衣机 | |
CN108729132B (zh) | 一种洗衣机自动投放系统及洗衣机 | |
CN111648098A (zh) | 一种洗涤剂投放盒 | |
JP6943604B2 (ja) | 洗濯機 | |
KR101481959B1 (ko) |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 |
WO2018123493A1 (ja) | 洗濯機 | |
KR101751694B1 (ko) | 리필용 세제의 믹싱 용기 | |
CN109252331B (zh) | 一种滚筒洗衣机 | |
JPH08336695A (ja) | 洗濯機の洗剤投入装置 | |
KR20170001279A (ko) | 리필형 세정용품 용기 | |
WO2017064828A1 (ja) | 洗濯機 | |
EP2889418B1 (en) | Washing machine | |
JP5780494B2 (ja) | 浄水器 | |
JPH06154474A (ja) | 洗濯機 | |
WO2018040197A1 (zh) | 用于洗衣机的洗涤剂投放装置、洗涤剂瓶及洗衣机 | |
CN105581651A (zh) | 一种饮水机聪明座及饮水机 | |
KR20170084455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JP2021122527A (ja) | 洗濯機 | |
JPS6138555Y2 (ko) | ||
KR101556528B1 (ko) | 세제용기 | |
KR20130047426A (ko) | 침전물 혼합장치를 갖는 술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