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051A -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051A
KR20160069051A KR1020140173941A KR20140173941A KR20160069051A KR 20160069051 A KR20160069051 A KR 20160069051A KR 1020140173941 A KR1020140173941 A KR 1020140173941A KR 20140173941 A KR20140173941 A KR 20140173941A KR 20160069051 A KR20160069051 A KR 20160069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mode
transparent display
transparent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685B1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앤비
Priority to KR1020140173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6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화소별 투과도를 조절하여 화소별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모드 및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반사 모드 또는 투과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Transmittance selectable tranparent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과도 선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일반적으로 공통 전극과 컬러필터 등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표시판과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표시판 및 두 표시판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이때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에 전위차를 주면 액정층에 전기장이 생성되고 이 전기장에 의하여 방향이 결정된다. 이에 LCD는 액정 분자들의 배열방향에 따라 입사광의 투과율이 결정되므로 두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LCD는 백라이트를 제거하는 등의 방법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할 수 있으나, 필요시 투과도를 선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정공 주입 전극(anode)과 전자 주입전극(cathode)과 이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정공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유기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자기 발광형 표시장치이다. OLED는 기판의 양측으로 발광이 이루어져 기판의 양면에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투명 AM-OLED(Active Matrix OLED)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투명 AM-OLED를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경우, 투명 AM-OLED는 항상 외부의 빛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과되는 빛이 완전히 차단되어야 하는 블랙을 표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128611호 (2011년 11월 30일 공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투과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화면상에 선택적으로 일정부위 또는 화면 전체를 사용자가 원할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화소별 투과도를 조절하여 화소별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모드 및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반사 모드 또는 투과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는 전자종이일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모아레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형태와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의 화소 형태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투과도를 조절하여 시인성을 높이고, 투과되는 빛이 완전히 차단되어야 하는 블랙의 표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게임 장비와 광고 장비 등에 적용하여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광고용 모니터의 경우 사람이 접근할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로 전환되어 모니터 뒤의 제품을 광고하여 사람의 시선을 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게임용 모니터의 경우 기계적인 릴 장치를 모니터 뒤에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할 경우 기계적인 릴 게임과 그에 해당하는 비디오를 LCD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비디오 게임을 원할 경우 단순 LCD 모니터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도 선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로 이용되는 전자종이의 마이크로컵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도 선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도 선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도 선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디스플레이 장치라 함)(10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는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결합부재(140)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투명 LCD 또는 투명 OLED일 수 있다. 투명 LCD는 기존 LC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을 제외하거나, 투명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화소별로 투과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복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아레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화소 형태와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의 화소 형태를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 중 하나의 화소가 사각형인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 중 나머지 하나의 화소를 비정형 화소로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모드에서 동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전면에서만 영상 정보를 볼 수 있는 단면 디스플레이로서 동작하고, 투명 디스플레이(110)의 영상의 시인성을 높이고 블랙의 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 정보는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 모드에서 동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가 투명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동작하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전면 및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의 후면에서 영상 정보를 볼 수 있는 양면 디스플레이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도를 조절함으로써 투명도가 선택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결합부(140)에 설치가능한 제어부(13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와 연결된다. 제어부(13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표시될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처리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화소별 투과도가 제어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로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에서 영상을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투과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반사모드에서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는 반사 디스플레이로 동작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영상을 그대로 반사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투명하지 않은 일반 디스플레이와 같이 동작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화소 정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에서 표시되는 영상 중 블랙이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반사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반사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인성을 높이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투명 OLED로 구성되는 경우 블랙을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는 전자종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가 전자종이(120)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자종이(120)는 격벽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며 화소를 정의하는 마이크로컵 내부에 격납된 복수의 전기영동입자의 분포를 제어함으로써 화소별 투과도를 설정할 수 있다. 전자종이(120)는 에어로졸 상태의 기체 내의 소립자를 전기장에 따라 이동시켜서 영상을 표시하는 건식 전기영동 표시장치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는 백라이트가 있는 LCD 디스플레이로 작동하다가 특정한 시기에만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하기를 원할 경우 화면 전체 또는 일부분이 선택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처럼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기술이 적용될 경우 광고용 모니터 또는 카지노, 빠징꼬 등에서 이용되는 게임용 모니터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광고용 모니터의 경우 사람이 접근할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로 전환되어 모니터 뒤의 제품을 광고하여 사람의 시선을 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게임용 모니터의 경우 기계적인 릴 장치를 모니터 뒤에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할 경우 기계적인 릴 게임과 그에 해당하는 비디오를 LCD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비디오 게임을 원할 경우 단순 LCD 모니터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로 이용되는 전자종이의 마이크로컵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종이(120)는 Sipix사의 마이크로컵 형태의 전기영동 표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종이(120)는 서로 마주보는 표시판 사이의 유체에 분산되어 있는 전기영동입자를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이동시켜서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전기영동입자와 유체를 가두는 화소 영역을 격벽으로 둘러싸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 즉, 마이크로컵 영역(210)으로 정의하고, 마이크로컵 영역(210)에 유체와 전기영동 입자가 주입된다.
마이크로컵 형태의 전기영동부재를 이용한 전기영동 표시 장치는 패터닝된 하부 화소 전극 위에, PET 등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도전체 층과 그 위의 마이크로컵 형태의 전기영동 부재를 거꾸로 부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기영동부재 하부의 투명 도전체는 상부 패널의 전극 역할을 한다. 마이크로컵 형태의 전기영동 부재에 화소 전극층을 부착할 때, 접착층을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하부 전극 사이의 전기장에 따라 마이크로컵 내의 전기영동 입자가 이동하여 화소별로 투과 또는 반사 모드로 동작하여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도 선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광고용 모니터 또는 게임용 모니터로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는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광고용 모니터로 이용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람이 접근할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로 전환되어 모니터 뒤의 제품을 광고하여 사람의 시선을 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 표면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촉 또는 접근 위치를 판별하여, 접촉 또는 접근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120)의 대응되는 영역의 화소들을 투과 모드로 제어하여 해당 영역을 투명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접촉 또는 접근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은 사각형, 원형, 비정형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게임용 모니터로 이용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키보드, 마우스, 음성 인식 모듈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계적인 릴 장치를 모니터 뒤에 형성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기계적인 릴 게임과 그에 해당하는 비디오를 LCD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비디오 게임을 원할 경우 단순 LCD 모니터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20: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 130: 제어부
140: 결합부재 210: 마이크로컵 영역

Claims (5)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화소별 투과도를 조절하여 화소별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모드 및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상기 반사 모드 또는 상기 투과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는 전자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과 모드 또는 상기 반사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투과 모드 또는 반사 모드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모아레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형태와 선택적 반사 디스플레이의 화소 형태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73941A 2014-12-05 2014-12-05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43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41A KR101643685B1 (ko) 2014-12-05 2014-12-05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41A KR101643685B1 (ko) 2014-12-05 2014-12-05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051A true KR20160069051A (ko) 2016-06-16
KR101643685B1 KR101643685B1 (ko) 2016-08-01

Family

ID=5635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941A KR101643685B1 (ko) 2014-12-05 2014-12-05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463A1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토비스 양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996A (ko) * 2000-12-25 2002-07-04 구사마 사부로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JP2008083510A (ja) * 2006-09-28 2008-04-10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100029633A (ko) * 2008-09-08 2010-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능동형 반투과 소자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28611A (ko) 2010-05-24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방법
KR20120122792A (ko) * 2011-04-29 2012-11-07 전자부품연구원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996A (ko) * 2000-12-25 2002-07-04 구사마 사부로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JP2008083510A (ja) * 2006-09-28 2008-04-10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100029633A (ko) * 2008-09-08 2010-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능동형 반투과 소자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28611A (ko) 2010-05-24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방법
KR20120122792A (ko) * 2011-04-29 2012-11-07 전자부품연구원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463A1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토비스 양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685B1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3110B1 (en) Dual-mode display
US20170200424A1 (en)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device
US912832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888139B1 (ko) 스마트 윈도우 디스플레이
US9899001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310462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and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KR101431927B1 (ko) 터치 센서들을 갖는 전기 광학 디스플레이
US20080150901A1 (en) 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And Touch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304004B1 (ko) 표시 매체 및 표시 장치
EP2639679A1 (en) 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and touch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14165251A2 (en) Displays with local dimming elements
KR20120045290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KR101330749B1 (ko) 시야각 조절용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40016709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JP6347987B2 (ja) 表示装置
KR101643685B1 (ko) 투과도 선택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042883A1 (en) Transparent FIPEL pixel panels displaying a normal image from the front surface and a reverse image from the back surface
CN107463049B (zh) 一种显示屏、显示控制方法、装置及设备
US10379339B1 (e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configuration for reflective and transmissive modes
KR20160109438A (ko) 전자 디바이스
US11822165B1 (en) Displays with adjustable angles of view
US10670797B2 (en) Display panel
TWI814333B (zh) 內嵌式觸控透明顯示裝置
JP2015138217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0850614A (zh) 一种多功能透明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