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757A - 형태 적응적 컵을 갖는 브라 - Google Patents

형태 적응적 컵을 갖는 브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757A
KR20160068757A KR1020167008563A KR20167008563A KR20160068757A KR 20160068757 A KR20160068757 A KR 20160068757A KR 1020167008563 A KR1020167008563 A KR 1020167008563A KR 20167008563 A KR20167008563 A KR 20167008563A KR 20160068757 A KR20160068757 A KR 20160068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
sheet
notches
cup
br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 호벤 마농 투르란-반
Original Assignee
디비어패럴 오퍼레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비어패럴 오퍼레이션즈 filed Critical 디비어패럴 오퍼레이션즈
Publication of KR2016006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28Brassieres with size and configuration adjust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85Brassieres with ventilation fe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14Brassieres made from one piece with one or several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컵(2)이 브라가 착용되지 않은 때는 실질적으로 평면 시트(21)의 형태에 신장가능한 직물 재료의 조각(piece)으로 구성되고, 시트(21)의 표면의 주된 부분(major part)은 브라가 착용된 때 유방의 중량의 영향하에서 시트(21)의 평면을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앞쪽으로 전개되기에 적절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시트(21)의 안쪽 부분(23) 전체 둘레에 배열된 제한된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노치들(22)을 따라서 절단되어, 이 시트(21)가 유방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방의 형상에 맞는 볼륨을 취하게 하는 사용자의 유방을 수용하기 위한 두개의 컵들(2)을 포함하는 브라(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태 적응적 컵을 갖는 브라{BRA WITH MORPHOLOGICALLY ADAPTIVE CUPS}
본 발명은 직물 물품들의 영역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들의 직물 물품들의 영역에 관한 것이다.
브라는 전형적으로 중간 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된, 사용자의 유방을 수용하기 위한 두개의 컵들을 포함한다. 뒷(back) 부분은 그것의 컵의 측면 에지에 고정되고 브라가 사용자의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다른 뒷부분에 그것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브라 스트랩(strap)은 그것의 컵의 상단 에지를 뒷부분에 연결하고 이 컵의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된다.
브라들은 각각이 사용자의 유방을 에워싸도록 의도된 오목한, 실질적으로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방식으로 합치된 가요성의 쉘(shell)을 갖는 컵들을 가지고 제공되는 유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유방은 실질적으로 상이한 모폴러지(morphology)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실제로 두개의 유방의 모폴러지에 완벽하게 적응되는 브라(bra)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모폴러지 또는 사용자의 가슴의 볼륨(volume)은 실질적으로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브라는 그것의 사용자에 일시적으로 불편한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된 단점들이 없는 브라는 제안하는 목적을 갖는다. 특별히, 본 발명의 목적은 완벽하게 가슴의 모폴러지에 적응될 수 있고 또한 가슴 위에 과잉 압력을 발휘하지 않고서 가슴을 기분 좋은 홀딩(hold)을 보장하는 브라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의 유방을 수용하도록 의도되어 서로에 연결되고 그것들의 개별 측면 에지에 의해 뒷부분에 그리고 그것들의 개별 상단 에지에 의해 대응하는 뒷부분에 이어진 스트랩에 연결된 두개의 컵들을 포함하는 브라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컵은 브라가 착용되지 않을 때 실질적으로 평면 시트의 형태에 신장가능한(extensible) 직물 재료의 조각(piece)에 의해 구성되고, 및 상기 시트 표면의 주된 부분(major part)은 브라가 착용된 때 유방의 중량의 영향하에서 시트의 평면을 기본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앞쪽을 향해 전개되기에 적절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시트의 안쪽 부분(inner part) 전체 둘레에 배치된 제한된 길이의 복수개의 노치들을 따라 절단되어, 이 시트가 상기 유방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유방의 형상에 맞춘 볼륨을 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따라서 브라가 착용되지 않을 때는 평평하고 가슴 컵을 구성하는 직물 재료 시트에 제공된 적절한 컷(cut)들의 존재에 기인하여 실질적으로 가슴 앞쪽을 향하는 방향에서 유방의 중량의 영향하에서 변형 가능한 볼륨을 취하는 컵을 만드는 것에 근거한다. 일단 이것이 수행되면, 본 발명은 직물 영역에, 특별히 브라들의 직물 영역에 놀라운 특별히 유익한 방식으로 그것을 적응시키기 위해 "키리가미(kirigami)"의 이름으로 알려진 페이퍼 볼륨(volume of paper)을 변화시키고 절단하는 기술을 전유한다. 사실은, 컵들을 구성하는 직물 재료 시트내에 평평하게 제공된 노치들의 적절한 배열 때문에, 마지막에, 브라가 착용되지 않은 때 실질적으로 평면의 형상으로 존재하고, 브라가 착용된 때 유방의 중량의 영향하에서 가슴 앞쪽으로 향하는 선호되는 방향에서 “오픈 업(open up)”되고 동시에 브라가 더 조화롭게 및 더 편안하게 사용자의 흉부에 적용되고, 사용자의 유방의 모폴러지에 완벽하게 조정되는 방식으로 유방을 둘러싸면서, 가슴 위에 과잉 스트레스(stress)없이 홀딩(holding)을 제공한다.
더욱이, 이런식으로 내비치는(openworked) 유방의 홀딩 구조는 피부가 자유롭게 호흡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는 착용자의 안락함(comfort)을 보다 더 증가시킨다. 추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의 비-착용 상태에서는 컵들이 평평한 것을 허용하는 이 구성 때문에, 예를 들어 핫-몰딩된(hot-molded)되고 전형적으로 실질적으로 및 부분적으로 반구형의 오목한 형상이 존재하는 컵들을 포함하는 브라들에 비하여 마지막은 그렇게 크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유방을 홀딩하는 그것의 기술적 기능에 추가하여, 그것들이 브라의 착용 상태에서 전개되는 컵들의 내비치는 구조는 노치들을 위해 선택된 배향 및 형상의 상관관계(function)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현저한 심미적인 효과를 생성한다.
상기 노치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평면에 주기적으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치들의 적어도 일부는 개별 컵의 종축의 각각의 측면상에 개별적으로 연장된 두개의 대칭의 라인들의 세트(set)에 의해 구성된 만곡된 라인(curved line)들의 그물구조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개별 컵의 하단 부분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동심의, 원형 라인들을 따라 배열될 노치들의 연쇄(succession)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개별 컵의 상단 에지 근처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노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노치들은 바람직하게는 직선의(rectilinear) 또는 실질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노치들은 바람직하게는 10과 20 밀리미터 사이에서 구성된 최대 길이를 갖는다.
상기 노치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로부터 적어도 1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밀리미터 간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트는 장식 패턴(ornamental pattern)을 따라서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개별 컵의 상단 부분 및/또는 그것의 하단 부분에 배열된 추가 컷(cut)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직물 재료의 조각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및 엘라스테인(elastane)에 기초한 단층(mono-layer) 또는 다층(multi-layer) 니트 직물로 만들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높은 긴장성(nervousness)을 가지며 그리고 적어도 한 방향에서 10%와 80% 사이에서 구성된 15 뉴턴(newtons)에서의 연신율(elongation)을 갖는다(예를들어, 스프링백(springback)).
상기 니트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250과 400 g/m2 사이에서 구성된 중량(weight)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컵은 컵상의 둘레에 고정된 미세한 니트, 탄성 라이닝(lining)으로 줄 지어진다.
상기 라이닝은 적어도 한 방향에서 240% 이상이고 그리고 길이 및/또는 폭에서 적어도 130%과 같은 15 뉴턴에서의 연신율을 갖고 60 g/m2 크기의 경량 메시(mesh)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제공된 도면부호들을 갖는 비 제한적인 예시의 방식으로 주어진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이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의 통독으로 분명해질 것이다:
- 도 1 은 비 착용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브라(bra)의 예제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들 2 내지 4는 노치들의 실시예들의 상이한 변형예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의 컵들을 형성하기 위한 직물 재료(textile material)의 시트들의 예제들을 도시한다;
-도 5 는 착용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1) 의 예제를 예시한다. 이 브라는 사용자의 유방을 수용하기 위한 두개의 컵들(2)을 포함하고 중심 중간 부분(central intermediate part)(3)에 의해 컵들의 안쪽 측면상에서 서로에 연결된다. 각각의 컵(2)은 브라가 착용되지 않고 있을 때는 실질적으로 평면의 직물 재료의 시트(21)의 형상을 갖는다. 더욱이, 각각의 컵(2)은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하단 부분에서 강성의(rigid) 언더와이어링(underwiring)(24)에 고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소위 “유연한(soft)”, 또는 또한 밴듀(bandeau) 유형인 언더와이어링이 없는 브라들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된 예제에서 언더와이어링(24)은 하단 에지를 따라서 컵의 측면 에지(25)로 연장되고 다른 뒷 부분(back part)상에 고정 수단( 미도시) 를 포함한다. 스트랩(5)은 컵(2)의 상단 에지(26)를 대응하는 뒷 부분(4)에 연결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단층(mono-layer) 또는 다층(multi-layer)(열 접착에 의해 조립되는 몇몇의 재료들의 합성물(complex), 예를 들어) 시트일 수 있는 직물 재료의 각각의 시트(21)는 바람직하게는 원반형의(원형의 표면) 형상 또는 타원형의(오벌(oval) 표면) 형상이며 그리고 노치들이 없는 시트(21)의 안쪽 부분(23) 둘레 전체에 배열된 시트(21)의 전체 두께를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선형, 복수개의 노치(notch)들(22) 또는 슬롯(slot)들을 그것의 표면의 주된 부분(major part) 위의 시트 평면에 포함한다. 노치들(22)이 없는 안쪽 부분(23)은 바람직하게는 컵을 구성하는 시트의 실질적인 중심 부분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유방을 서로에 더 가까이 모으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컵의 안쪽 측면을 쪽으로(브라의 중심 부분 쪽으로) 중심에서 벗어날(off-center) 수 있다. 더욱이, 노치들(22)이 없는 안쪽 부분(23)에 의해 점유된 표면은 선택된 노치들(22)의 규모(dimension)의 함수이다. 따라서, 노치들이 더 작을 수록, 안쪽 부분(23)에 의해 점유된 표면은 더 크다.
시트 평면내 그것들의 형상, 차원 및 적절한 배향 때문에 노치들(22)은 브라가 착용된 때 유방의 중량의 영향하에서 가슴을 가로지르는 방향들에서 어느 정도의 시트의 강성도(rigidity)를 보존하면서 실질적으로 시트 평면(sheet plane)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즉, 가슴 앞쪽을 가리키는 방향에서 시트(21)의 확장을 허용하도록 의도된다. 다시 말해서, 노치들(22)에 의한 이 방식에서 내비치는(openworked) 시트(21)는 브라가 착용된 때 유방의 영향하에서 가슴 앞쪽을 가리키는 방향에서 브라의 개별 컵의 볼륨의 실질적으로 반구형의 변화를 확실히 허용하고 앞쪽으로 전개되기에 적절하고 그리고 브라가 착용되지 않을 때는 실질적으로 평면 구성으로 회귀되기 위해 접혀(folded)질 수 있기에 적절한 가역적으로 변형 가능한 홀딩 구조(holding structure)를 구성한다.
시트(sheet)의 형상은 제공된 브라의 형상 및 사이즈에 의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길게된(elongated), 실질적으로 타원형 형상 및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100 mm과 160 mm 사이에서 구성된 컵의 상단 에지와 개별 컵의 하단 에지 사이에서 연장된 주 축(major aixs) 및 예를 들어 50 mm과 130 mm 사이에서 구성된 개별 컵의 측면 에지(lateral edge)들 사이에서 연장된 마이너 축(minor axis)을 갖는 눈물(tear) 형상이다.
노치들(22)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10 mm과 20 mm 사이의,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mm로 구성된 최대 길이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시트(21)의 안쪽 부분(23) 전체 둘레에서 연장된 라인들의 그물구조(network of lines)를 따라 시트(21)의 평면내에 주기적으로 배열된다. 전반적 방식에서 노치들(22)은 그것들 간에 시트 평면의 모든 방향들에서 적어도 1 밀리미터 만큼,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5 mm 및 바람직하게는 3 mm 간격 된다.
시트(21)의 평면내 노치들(22)의 배열 및 형상에 추가하여, 시트의 직물 재료(textile material)는 브라가 착용된 때 유방의 중량의 영향하에서 마지막 볼륨 변화에 그리고 개구(opening)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직물 재료의 시트(21)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및 엘라스테인(바람직하게는 니트 직물의 총 중량에 비하여 대략 40% 중량의 엘라스테인(elastane))에 기초한 니트 직물들 단층 또는 다층(예를 들어, 열 접착(thermal adhesion)에 의한 합성물로 조립된 몇몇의 니트 직물들)으로 만들어진다.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 방향에서 10%과 80% 사이에서 구성된 15 뉴턴(newtons)에서의 연신율(elongation)을 가진다. 니트 직물의 비중량(specific weight)는 바람직하게는 250과 400 g/m2 사이에서 구성된다. 더욱이,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700과 900cN 사이에서 구성된 연신율의 30%까지의 힘(force)에 관한 특성들에 의해 표시되는 매우 높은 긴장성을 가진다(예를 들어, 스프링백). 이 사실 때문에 재료는 완벽하게 유방의 모폴러지(morphology)를 수반하고 브라가 착용되지 않은 때는 실질적으로 평면 구성으로의 시트(21)의 회귀에 유리하다.
노치들(22)의 배열의 상이한 변형예들이 브라가 착용된 때 유방을 홀딩하기에 적절한 실질적으로 반구형의 형상에 시트(21)의 볼륨에서의 변화를 위한 가슴 앞쪽에 겨냥된 방향에서의 시트(21)의 확장의 획득을 허용하는 평평한 때 시트(21)의 평면내에서 상이한 패턴들에 따라 설명될 것이다.
도 2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노치들(22)의 대부분은 시트(21)의 실질적으로 중심 안쪽 부분(23)을 통과하는 종축 X의 각각의 측면상에서 개별적으로 연장된 두개의 대칭 라인들의 세트(set)로 구성된 바람직하게는 등거리(equidistant)의 및 서로에 평행한 만곡된 라인(curved line)들의 그물구조에 따라 시트(21)의 평면내에 배열된다.
개별 컵(2)을 구성하는 직물 재료의 시트(21)의 하단 중앙 부분에서 라인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연속적인 노치들(22)은 바람직하게는 시트(21)의 실질적으로 중심 안쪽 부분(23)에 접근하고 컵(2)의 에지들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동심의 원형 라인들을 형성한다.
더욱이, 시트(21)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안쪽 부분(23)으로부터 컵의 상단 에지(26) 쪽으로 연장되는 몇몇의 수직 라인들의 형태로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는 적어도 컵의 상단 에지(26)의 근처에서의 개별 컵(2)의 상단 부분에서의 수직 노치(vertical notch)들(22)을 포함한다. 컵(2)의 개별 상단 부분내 노치들의 이 수직 배열은 브라가 착용된 때 신장 후에 이 상단 부분에서 컵을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유지하는 것을 허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컵들의 이 특정 실시예가 도 5에 브라(1)의 착용 상태에서 예시된다. 브라(1)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때, 노치들(22)은 유방의 중량의 영향하에서 오픈(open)되고, 시트(21)의 평면을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시트(21)가 앞쪽으로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고, 유방의 형상에 일치하고 그리고 이어서 오픈 확장된 노치들(22) 사이의 직물 재료는 유방의 중량(weight)의 영향하에서 앞쪽으로 돌출되어 컵의 에지들로부터 중심 존(23) 쪽으로 신장되고 유방을 유지하기에 적절한 노치들(22)사이의 재료에 의해 구성된 교차 라인들(220)의 그물구조를 형성한다.
도 3의 변형예에 따라, 시트(21)의 상단 중앙 부분에서 노치들(22)은 축 X에 관하여 시트(21)의 평면내에서 다른(distinct) 대칭 방향들로 배열된 비스듬한 라인들의 두개의 세트들로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중심 안쪽 부분(23)으로부터 개별 컵(2)의 에지들쪽으로 방사상으로(radially) 연장된다. 시트(21)의 상단 중앙 부분에 노치들(22)들의 이 배열은 특별히 브라의 측면들 즉, 컵들의 측면 에지(lateral edge)(25)의 사이드(side)에 대해 적응된 컵들(2)의 변형 구성의 획득을 허용하고 반면에 도 2 에 제공된 것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시트(21)의 상단 중앙 부분내 노치들(22)의 배열은 특별히 브라의 중심, 즉, 컵들의 안쪽에 대하여 적응된다 것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도 4에 변형예는 두개의 이전 실시예들의 조합을 예시하고 개별 컵(2)의 측면 에지(25)의 사이드(side)상에서의 도 3의 배열 및 컵(2)의 안쪽(inner side)상에서의 도2의 배열을 반복하는 시트(21)의 상단 중앙 부분내 노치들(22)의 배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가 무엇이든간에, 도 2에 관련하여 설명된 개별 컵(2)의 상단 부분내 수직 노치들을 배열하는 것은 권장할만하다. 노치들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만곡지고, 해당 노치들은 만곡된 선들을 그리고 수직 노치들에서는 직선을 따라서 배열되거나 또는 비스듬한 라인들을 따라서 배열된다. 더욱이, 장식 패턴에 따라 제공된 추가 컷들이 바람직하게는 컵의 상단 부분에 및/또는 실질적으로 중심 하단 부분(23)내에 이런 컵들이 브라가 착용된 때 너무 많이 개방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열 될 때까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컵(2)은 개별 컵(2)의 전체 바깥쪽 표면상에 적용되기 위해 제공된 미세한, 니트 탄성 라이닝(lining)(미도시)으로 줄 지어질 수 있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컵(2)의 바깥 표면에 둘레에 고정된다. 변형예에로서 컵은 그것의 안쪽 표면의 측면상에 미세한 탄성 라이닝으로 줄 지어질 수 있다. 일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라 이런 라이닝은 간단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60 g/m2 크기의 경량 메시(mesh)로 만들어질 수 있고 두개의 방향들 중 하나에서 적어도 240% 이상이고 길이 및/또는 폭에서 적어도 130%(180%과 360% 사이에서 구성된 그리고 그 이상의) 에 동등한 15 뉴턴에서의 연신율을 갖는다. 더욱이,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신장 후에 "헐렁해지지(go baggy)" 않게 할 수 있는 높은 긴장성을 갖는다(예를 들어, 스프링백).

Claims (13)

  1. 사용자의 유방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며 그 개별 측면 에지(25)에 의해 뒷 부분(4)에 연결되고 그 개별 상단 에지(26)에 의해 대응하는 뒷 부분을 잇는 스트랩(5)에 연결되는 서로 연결된 두개의 컵(2)을 포함하는 브라(1)로서, 각각의 컵(2)은 상기 브라가 착용되지 않은 때는 실질적으로 평면 시트(21)의 형태로 존재하는 신장가능한 직물 재료의 조각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가 착용된 때는 유방의 중량의 영향하에서 상기 시트(21)의 평면을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앞쪽을 향하여 전개되기에 적절한 가역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유방의 형태에 맞춰지고 유방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상기 시트(21)의 볼륨을 제공하도록, 상기 시트(21) 표면의 주된 부분이 상기 시트(21)의 안쪽 부분(23) 전체 둘레에 배열된 제한된 길이의 복수개의 노치들(22)을 따라서 절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22)은 상기 시트의 평면내에서 주기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22)의 적어도 일부는, 개별 컵의 종축(X)의 각각의 측면에서 개별적으로 연장되는 라인들의 두개의 대칭 세트로 구성된, 만곡된 라인들의 그물구조를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21)는 적어도 개별 컵(2)의 하단 부분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동심 원형 라인들을 따라 배열된 노치들(22)의 연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21)는 적어도 개별 컵(2)의 상단 에지(26) 근처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노치들(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22)은 직선형 또는 실질적으로 곡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22)은 10 내지 20 밀리미터의 최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22)은 서로 1 밀리미터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밀리미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21)는 장식 패턴을 따라서 제공되고 개별 컵의 상단 부분에 및/또는 그것의 하단 부분(23)에 배열되는 추가의 컷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재료의 조각은 폴리아미드 및 엘라스테인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층 또는 다층 니트 직물로 만들어지고, 높은 긴장성을 갖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10% 내지 80%의 15 뉴턴에서의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 직물은 250 내지 400 g/m2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컵(2)은 상기 컵(2)의 둘레에 고정된 니트직의 미세한 탄성 라이닝으로 라이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 240% 이상 및 길이 및/또는 폭에 있어서 130% 이상의 15 뉴턴에서의 연신율을 갖는 60 g/m2 크기의 경량 메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
KR1020167008563A 2013-09-02 2014-09-01 형태 적응적 컵을 갖는 브라 KR20160068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8387A FR3009930B1 (fr) 2013-09-02 2013-09-02 Soutien-gorge a bonnets a adaptation morphologique
FR1358387 2013-09-02
PCT/FR2014/052151 WO2015028762A1 (fr) 2013-09-02 2014-09-01 Soutien-gorge à bonnets à adaptation morpholog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757A true KR20160068757A (ko) 2016-06-15

Family

ID=4932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563A KR20160068757A (ko) 2013-09-02 2014-09-01 형태 적응적 컵을 갖는 브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045570B2 (ko)
EP (2) EP3041377B1 (ko)
JP (1) JP2016529414A (ko)
KR (1) KR20160068757A (ko)
CN (1) CN105491900B (ko)
AU (1) AU2014313986B2 (ko)
CA (1) CA2922759C (ko)
ES (2) ES2645844T3 (ko)
FR (1) FR3009930B1 (ko)
MX (1) MX2016002768A (ko)
WO (1) WO2015028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7774B2 (en) * 2004-03-19 2008-10-21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zoned modifiable textile structure
US20160338435A1 (en) 2015-05-22 2016-11-24 Nike, Inc. Lower body article of apparel having dynamic vent-slit structure
US10814514B2 (en) 2015-05-22 2020-10-27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apparel having dynamic vent-slits
US11213078B2 (en) * 2015-06-10 2022-01-04 Nike, Inc. Support garment with lock down support
WO2019161533A1 (en) 2018-02-22 2019-08-29 Regina Miracle International (Group) Limited Bra cup for a brassie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3116915A1 (en) * 2020-04-30 2021-10-30 Bryan Ishiguro Seamless male garm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8926U (ko) * 1973-10-09 1975-05-31
US6299505B1 (en) * 2000-08-04 2001-10-09 Strong Castle Ind. Co., Ltd. Pad for brassieres
US6540585B1 (en) * 2000-11-17 2003-04-01 William Lee Ventilated padded lingerie
EP1601259A2 (en) * 2003-02-19 2005-12-07 Sara Lee Corporation A brassiere having a spacer fabric and a method of making same
CN2662674Y (zh) * 2003-12-12 2004-12-15 陈耀祥 胸罩衬垫
DE202004008986U1 (de) * 2004-06-07 2005-10-27 diamona Hermann Koch GmbH & Co. KG Fabrik für Wohn- und Schlafkomfort Textiles Erzeugnis mit einer Innenfüllung
US7229335B2 (en) * 2005-04-20 2007-06-12 Brazabra Corporation Adhesive bra with improved breathability
FR2889033B1 (fr) * 2005-07-29 2007-12-28 Salomon Sa Vetement ajuste
JP2007167096A (ja) * 2005-12-19 2007-07-05 Daiichi Shiko Kk シート部材
JP2009179891A (ja) * 2008-01-29 2009-08-13 Bridgestone Corp ブラジャー材及びブラジャー
US20110143633A1 (en) * 2009-12-10 2011-06-16 Zhang wen bo Brassiere with anti-slip feature
US8657643B2 (en) * 2010-05-19 2014-02-25 Carlos F. Perez Nursing bra
CN201911311U (zh) * 2011-01-25 2011-08-03 张序平 一种乳胶胸罩
JP2013083026A (ja) * 2011-10-12 2013-05-09 Wacoal Corp 胸部サポート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7025A1 (fr) 2018-02-28
ES2645844T3 (es) 2017-12-11
CN105491900B (zh) 2017-07-21
FR3009930A1 (fr) 2015-03-06
ES2776649T3 (es) 2020-07-31
CA2922759C (en) 2019-01-15
EP3041377B1 (fr) 2017-08-09
JP2016529414A (ja) 2016-09-23
AU2014313986B2 (en) 2017-04-06
AU2014313986A1 (en) 2016-03-17
CN105491900A (zh) 2016-04-13
EP3041377A1 (fr) 2016-07-13
MX2016002768A (es) 2016-05-26
CA2922759A1 (fr) 2015-03-05
FR3009930B1 (fr) 2015-08-21
US20160198774A1 (en) 2016-07-14
US10045570B2 (en) 2018-08-14
WO2015028762A1 (fr) 2015-03-05
EP3287025B1 (fr)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8757A (ko) 형태 적응적 컵을 갖는 브라
EP2548461B1 (en) Athletic bra
CN107734985B (zh) 具有锁定支撑的支撑服装
US9565877B2 (en) Garment that clings to a wearer's ski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10225707A (zh) 支撑服装
KR101999042B1 (ko) 운동용으로 적응된 브라
EP3756493B1 (en) Garment and brassiere
JP2007507624A (ja) クッション性の有るアンダーワイヤー
WO2008079888A2 (en) Brassiere
CN103153100A (zh) 体育运动控制胸罩
US20150147939A1 (en) Sleeveless garment
CN112351700B (zh) 年轻人端庄支撑服装
KR20190001694U (ko) 브래지어
CA2972181C (en) Brassiere including a foam support for the breasts
US20150181948A1 (en) Cotton bra
CN107072343A (zh) 运动衣的肩带
EP3708014B1 (en) Breast support garment
JP5991797B2 (ja) ブラジャー
JP5970594B1 (ja) 支持部材、カップ付き衣類及び、支持部材の製造方法
KR200488530Y1 (ko) 브래지어
KR20230021941A (ko) 프리컷 브래지어
JP2000226701A (ja) ブラジャ
MX2009011185A (es) Sosten con varilla acolch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