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712A - 코 받침대 없는 안경 - Google Patents

코 받침대 없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712A
KR20160068712A KR1020160064639A KR20160064639A KR20160068712A KR 20160068712 A KR20160068712 A KR 20160068712A KR 1020160064639 A KR1020160064639 A KR 1020160064639A KR 20160064639 A KR20160064639 A KR 20160064639A KR 20160068712 A KR20160068712 A KR 20160068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glasses
eyeglass
connecting member
eyeglass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섭
Original Assignee
조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섭 filed Critical 조재섭
Priority to KR102016006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8712A/ko
Publication of KR2016006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안경은 안경 본체에 고착된 외측 안경다리와 내측 안경다리를 연결부재로 결합하여 형성된 이 중 안경다리 구조를 갖는 안경으로서, 코 받침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Description

코 받침대 없는 안경{GLASSES FRAME WITHOUT NOSE PAD}
본 발명은 선글라스, 보호안경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 으로서,
안경 본체에 고착된 좌우 외측 안경다리와 좌우 내측 안경다리를 좌우 각각 2개의 연결부재로 결합하여 형성된 이 중 안경다리를 구비하며,
안경 착용시, 안경 본체에 고착된 외측 안경다리를 지지대로 삼아, 안경다리 연결부재가 내측 안경다리를 착용자의 관자놀이 쪽으로 반발 탄성에 의해 밀쳐주어 코 받침대 없이도 착용지지 가능한 코 받침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안경 본체의 좌우측에 고착된 프레임을 통해서 한 쌍의 안경다리를 설치한 안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안경은 코 받침대가 콧등을 짓눌러 두통을 유발하는 등 착용감이 나빠지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내측 안경다리가 착용시 관자놀이에서부터 귀 뒤까지 머리형태되로 유연하게 밀착되게 함으로서, 콧등 누름현상을 해소하여 착용감을 높여 안정감을 주려한다.
안경 본체에 고착된 좌우 외측 안경다리에 좌우 내측 안경다리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이 중 안경다리 형태로 구성되어 진다.
안경다리 연결부재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만들어 진다.
착용시 내측 안경다리가 밀릴때 연결부재가 외측 안경다리를 지지대 삼아 반발 탄성으로 밀쳐주어 착용감을 높여 코 받침대 지지 없이도 착용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내측 안경다리가 착용시 머리형태되로 유연하게 밀착되어서 코 받침대가 필요 없으며 착용감을 높여 안정감을 준다.
도 1 은 대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외측 안경다리 끝부분에 덮게를 연장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내측 안경다리 타단이 전방으로 연장된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신축성 있거나, 탄성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결합한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1개만 사용한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외측 안경다리와 내측 안경다리를 안경다리 연결부재로 결합한 구조의 예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외측 안경다리와 내측 안경다리를 연결부재로 결합한 구조의 예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외측 안경다리와 내측 안경다리를 연결부재로 결합한 구조의 예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안경 본체
200 ; 외측 안경다리
310 ; 안경다리 연결부재
320 ; 안경다리 연결부재
400 ; 내측 안경다리
500 ; 경첩
600 ; 실시형태
700 ; 안경다리 덮게
800 ; 신축성, 탄성있는 소재의 물질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안경 본체(100)에 고착된 외측 안경다리(200)가 안경 본체(100)의 좌우에 있고, 내측 안경다리(400)가 외측 안경다리(200)의 내측으로 한 쌍이 구비되며, 좌우 각각 2개씩의 안경다리 연결부재(310), 안경다리 연결부재(320)가 결합되어 연결된 이 중 안경다리 형상의 형태이다.
안경다리 연결부재(310)를 외측 안경다리(200)의 내측 일단부에서 내측 안경다리(400)의 선단부에 결합하고, 안경다리 연결부재(320)를 외측 안경다리(200)의 끝단부 내측에서 내측 안경다리(400)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이루어 진다.
안경다리 연결부재(310)는 외측 안경다리(200)의 내측 일단부에서 내측 안경다리(400)의 어느 일단부에 다양하고 여러가지 형상으로 결합 가능하다.
안경다리 연결부재(310)는 탄성의 발생을 위해 타원형으로 만들수 있으며, 비스듬히 부착 가능하고 또한, 직선으로 바로 연결 가능하다.
안경다리 연결부재(310), (32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만들어 진다.
안경다리 연결부재(310). (320)는 안경 착용시에는 외측 안경다리(200)를 버팀목 삼아 내측 안경다리(400)를 착용자의 관자놀이 쪽으로 반발 탄성으로 밀쳐주고, 안경을 벗었을 때는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 오는 작용을 한다.
안경다리 연결부재(320)는 V자, U자, 기타의 여러 형상으로 만들수 있다.
안경다리 연결부재(320)는 외측 안경다리(200) 끝부분에서 내측 안경다리(400)의 일단부에 결합되거나, 외측 안경다리(200) 내측 일단부에서 내측 안경다리(40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안경다리 연결부재(320)는 전,후,상,하. 방향으로 결합 가능하다.
안경다리 연결부재(310), (320)는 도 3 처럼 착용시에는 외측 안경다리(200)와 내측 안경다리(400)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탄성력을 발생하고, 안경을 벗었을 때는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 오는 특징이 있는 작용을 한다.
안경다리 연결부재(320)는 외측 안경다리(200)와 내측 안경다리(400)의 결합부분을 홈을 파서 결합 가능하다.
다시말해, 도 3 처럼 좁혀질때 더 많이 좁혀질 수 있게 결합부분을 홈을파서 더 좁혀지게 한다.
본 발명은 안경다리 연결부재를 2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2개 이상으로도 가능하다.
안경다리 연결부재(310), (320)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정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면, 안경다리 연결부재(310), (320)를 짧게 하거나 길게 할 수 있으며, 폭을 넓게 하거나 좁게 할 수 있고,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얇게 적정 설계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외측 안경다리(200)와 내측 안경다리(400)를 결합함에 있어서 다양한 소재의 재질을 사용하여 결합 가능하다.
다시말해, 안경다리 연결부재를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결합하거나, 신축성 있는 소재를 부착 결합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내측 안경다리(400)는 착용자의 머리형태에 밀착되도록 원호형상으로 유연성을 갖는게 바람직 하다.
내측 안경다리(400)는 다양한 재질로 몰딩 가능하다.
내측 안경다리(400) 안쪽에는 귀 뿌리 고정홈을 만들 수 있다.
내측 안경다리(400) 안쪽에는 귀 뿌리 고정 돌기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경은 내측 안경다리(400)의 위치를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안경다리 길이 조절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경은 안경 본체(100), 외측 안경다리(200), 내측 안경다리(400)를 각각 분리 제조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식 안경을 만들 수 있다.
안경다리 덮게(700)를 외측 안경다리(200) 끝부분에 연장하여 제작 가능하다.
내측 안경다리(400)의 타단은 착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연결부재의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후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며, 금속재질과 폴리머, 합성수지를 부분별로 사용하여 제작 가능하다.
본 발명은 코 받침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9, 10 의 개념도를 대략 설명한다.
도 8, 9,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본체(100)에서 외측 안경다리(200)와 내측 안경다리(400)의 결합 구조의 예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의 (a), (d), (e), (f)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안경다리(400)와 외측 안경다리를 연결부재(310), 연결부재(320)로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안경다리의 타단은 연결부재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8 의 (b), (c)의 예에서와 같이 연결부재의 탄성 부여를 위해 비스듬히 경사질 수도 있다. 도 8 의 (g), (h)와 같이 연결부재를 교차하여 만들 수도 있다.
도 8 의 (l)은 탄성력 있는 스프링을 부착하여 나타낸 개념도 이다.
도 9 의 (a), (b), (c), (d), (i), (j), (k), (l), 를 참조하면 외측 안경다리(200)와 내측 안경다리(400)를 연결부재(310), (320)을 통해서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9 의 (f), (g), (h)의 예에서와 같이 연결부재(320)의 탄성 부여를 위해 비스듬히 경사질 수도 있고, 도 9 의 (e) 예에서와 같이 연결부재가 교차하여 만날 수 있다.
도 10 의 (a)는 연결부재를 3개를 연결하여 나타낸 개념도 이고, 도 10 의 (b), (c), (d), (e), (f), (g), (h), (i), (j), (k), (l)의 개념도는 연결부재(310), (320)을 여러방향으로 연결하여 만들수 있음을 나타낸 개념도 이다. 이때, 상기 내측 안경다리(400)의 타단은 관자놀이를 따라서 연결부재의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러가지 소재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소재나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경우 최종 제품의 과다한 중량과 과다한 제조비용 또는 그 외의 바람직 하지 못한 상황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제품과 제조자의 요구에 따라서 본 설명을 고려하여 특정 기술이나 소재를 최적화 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경은 선글라스, 도수있는 안경, 보호안경, 고글, 3D 안경 및 어린이용 완규류 안경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안경 본체(100)에 고착된 외측 안경다리(200)가 안경 본체(100)의 좌우에 한 쌍이 있고;
    외측 안경다리(200)에서 내측 안경다리(400)로 연결되는 안경다리 연결부재(310), 안경다리 연결부재(320)가 좌우 각각 한 쌍이 구비되며;
    안경다리 연결부재(310), 안경다리 연결부재(320) 각각은 좌우 한 쌍의 내측 안경다리(400)를 각각 연결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 안경다리(200)와 내측 안경다리(400)를 2개 이상의 연결부재로 각각 연결하여;
    이 중 안경다리 형태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착용지지 외측 안경다리(200), 내측 안경다리(400), 안경다리 연결부재(310), 안경다리 연결부재(320)의 이 중 안경다리 형태에서 탄성력을 발생 시키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코 받침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20160064639A 2016-05-26 2016-05-26 코 받침대 없는 안경 KR20160068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639A KR20160068712A (ko) 2016-05-26 2016-05-26 코 받침대 없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639A KR20160068712A (ko) 2016-05-26 2016-05-26 코 받침대 없는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712A true KR20160068712A (ko) 2016-06-15

Family

ID=5613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639A KR20160068712A (ko) 2016-05-26 2016-05-26 코 받침대 없는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8712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1-511320호(2011.04.07.)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3994B1 (ja) 鼻当てパッド及びこれを備える眼鏡
US11281021B2 (en) Eyeglasses
JP6749712B2 (ja) 眼鏡
JP5557728B2 (ja) 眼鏡フレーム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KR20080070211A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CN103246079A (zh) 一种眼镜
CN108292051B (zh) 用于不戴眼镜的人的护目镜
KR102027312B1 (ko) 사용자맞춤 코받침대 구비형 안경
KR101562750B1 (ko) 머리고정형 안경
JP5690907B1 (ja) 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フロント枠
KR20160068712A (ko) 코 받침대 없는 안경
KR20160121428A (ko) 착용감을 높여 안정감을 주는 안경
KR20190064744A (ko) 안경 다리 길이 조절장치
KR20190087223A (ko)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한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된 안경테
KR20160003557U (ko) 안경테
JP3210521U (ja) 明視用付加メガネ
KR101580079B1 (ko) 안경테
KR200487022Y1 (ko) 안경다리 없는 안경
KR101798033B1 (ko) 안경다리
CN209446909U (zh) 一种拆分镜脚连接结构
JP3208475U (ja) ノーズパッド
CN210199432U (zh) 眼镜
CN209070242U (zh) 一种婴幼儿使用的稳固型眼镜框架
KR200475570Y1 (ko) 스포츠안경과 보조안경의 탈착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7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29

Effective date: 2019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