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736A -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736A
KR20160067736A KR1020150162048A KR20150162048A KR20160067736A KR 20160067736 A KR20160067736 A KR 20160067736A KR 1020150162048 A KR1020150162048 A KR 1020150162048A KR 20150162048 A KR20150162048 A KR 20150162048A KR 20160067736 A KR20160067736 A KR 20160067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etection
fluid
buried pip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녕
이준혁
Original Assignee
이준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녕 filed Critical 이준녕
Publication of KR2016006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매설관의 일정간격에, 자가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 및 축전시키고 이렇게 축전된 전기를 제공받아 회전축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중앙관제센터에 전송하는 검출센서가 구성되는 탐지관을 모듈화시켜 연결시킴으로써, 지하에 장기간 매설된 매설관의 누수 등에 의한 이상발생을 용이하게 판별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성을 가지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유체를 이송하는 매설관(1); 및 상기 매설관(1)의 일정간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상기 매설관(1)으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자가발전이 이루어져 상기 매설관(1)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파별하도록 하는 탐지관(10)을 포함하고; 상기 탐지관(10)은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구성되는 발전부(120); 및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발전부(120)에 연결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110) 내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134)와, 상기 회전축(13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132)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136)를 포함하는 회전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ADMINISTRATION SYSTEM FOR UNDERGROUND PIPES USING SELF GENERATING ELECTRICITY}
본 발명은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설관의 일정간격에, 자가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 및 축전시키고 이렇게 축전된 전기를 제공받아 회전축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중앙관제센터에 전송하는 검출센서가 구성되는 탐지관을 모듈화시켜 연결시킴으로써, 지하에 장기간 매설된 매설관의 누수 등에 의한 이상발생을 용이하게 판별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성을 가지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단위 면적당 각종 시설물의 수용이 증가하여 공간의 밀집도가 높아짐에 따라 시설물을 보호하고, 지상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스관, 상하수도관, 송유관, 통신 및 전력 케이블 관 등의 기반시설을 지하에 매설하고 있다.
또한, 지하 매설관은 금속으로 제조되었으나 최근 유연성과 장기 내구성 등 여러 장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대체되고 있는데, 상기 지하 매설관은 그 위치와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유지보수가 어렵고 또한 각종 도로굴착공사로 인해 쉽게 파손되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지하 매설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상황에서 다른 공사를 위한 굴착 작업이 행해질 경우, 이미 매설되어 있는 지하 매설관의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크고, 특히, 가스나 전기를 공급하는 지하 매설관이 손상될 경우,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매우 크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지하 매설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땅을 굴착하지 않고 지하 매설관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07574호(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가 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두개 이상의 합성수지관을 가지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일단에는 서로에 대하여 접속하여 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속관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접속관부와 인접하는 외면에 그 일단을 잡고 풀어낼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관로탐사선과, 합성수지관들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관로탐사선과 합성수지관들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어 있는 관로탐사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관로탐사선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접속수단과, 합성수지관들 각각의 외면에 관로탐사선을 수용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보유 수단으로 구성되며, 합성수지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은 관로탐사선이 관로와 이격되어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관로와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는 경우에 정확한 매설위치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며, 관로탐사선이 파손되었을 때 관로의 매설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지하 매설관에 대한 각종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77073호(관로 측정장치, 이를 이용한 관로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측량 시스템)가 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와 RFID 리더(Reader)를 사용하여 관로에 대한 각종 정보를 측량하는 것으로, RFID 태그가 관 표면에 단순히 부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RFID 태그가 손상되거나 관 표면으로부터 탈락하게 되어 RFID 리더에 의한 RFID 태그 위치의 탐지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도관의 표면에 부착된 RFID 태그와 지상의 RFID 리더 간의 통신에 있어서 RFID 태그에 내장된 태그안테나와 RFID 리더의 안테나에서 송수신되는 전파가 확산되어 RFID 태그와 RFID 리더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지하에 매설된 RFID 태그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어 관로의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격지의 관리자 단말기에서 직접적으로 정보를 받는 것이 아니어서 지하 매설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07574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7707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설관의 일정간격에, 자가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 및 축전시키고 이렇게 축전된 전기를 제공받아 회전축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중앙관제센터에 전송하는 검출센서가 구성되는 탐지관을 모듈화시켜 연결시킴으로써, 지하에 장기간 매설된 매설관의 누수 등에 의한 이상발생을 용이하게 판별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성을 가지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유체를 이송하는 매설관; 및 상기 매설관의 일정간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상기 매설관으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자가발전이 이루어져 상기 매설관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파별하도록 하는 탐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탐지관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성되는 발전부;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발전부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 내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부에는, 상기 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일단이 상기 검출센서에 연결되는 연결선; 및 상기 연결선의 끝단에 구성되고 지표면에 위치되는 전파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임펠러는, 복수의 날개가 구성되고; 상기 날개는 몸체 내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탐지관에는, 상기 몸체의 양단 또는 어느 일단에 구성되어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필터; 및 상기 몸체에 상기 필터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에 체결되는 고정소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매설관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매설관의 일정간격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탐지관이 연결되어; 상기 탐지관에 구성된 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회전축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제공받아 이를 통해 상기 매설관의 어느 구역에서 누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설관의 일정간격에, 자가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 및 축전시키고 이렇게 축전된 전기를 제공받아 회전축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중앙관제센터에 전송하는 검출센서가 구성되는 탐지관을 모듈화시켜 연결시킴으로써, 지하에 장기간 매설된 매설관의 누수 등에 의한 이상발생을 용이하게 판별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성을 가지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관의 개략적인 관리시스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탐지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탐지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매설관 관리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일정길이의 매설관(1) 및 상기 매설관(1)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탐지관(10)을 포함한다.
상기 탐지관(10)은 상기 매설관(1)의 일정간격에 구성되어, 상기 매설관(1)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유량, 속도, 압력 등을 점검함으로써, 상기 매설관(1)의노후화 또는 손상 등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는 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탐지관(10)은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구성되는 발전부(12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구성되는 회전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각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몸체(110)의 양단 각각에는 매설관(1)의 일단에 위치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밀폐력을 가지도록 고정되는 플랜지(1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제조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측에 이송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전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부(130)에서 작용하는 회전력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발전부(120)는 상기 회전부(130)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122), 및 상기 발전기(122)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기(1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전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외주 일측에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전부(120)를 보호하도록 하는 커버(126)가 상기 몸체(110)의 외주 일측에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커버(126)는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발전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함몰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외주연에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6)는 상기 몸체(110)의 외주 일측에 구성된 발전부(120)를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몸체(110) 내측으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발전부(120)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회전부(130)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에 구성되는 임펠러(134)와, 상기 회전축(132)의 일측에 구성되는 검출센서(13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32)은 상기 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2)의 일단은 상기 발전부(120)의 발전기(122) 내측에 구성되어 회전축(132)의 회전력이 상기 발전기(122)에 제공됨으로써, 전기가 생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임펠러(134)는 상기 회전축(132)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132)에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임펠러(134)는 일반적인 날개형상 또는 스파이럴 형상 등으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임펠러(134)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134)는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서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형상 또는 위치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134)는 날개가 유선형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1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몸체(110) 내로 이송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원활한 회전을 이룰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검출센서(136)는 상기 회전축(132)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이를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함으로써, 몸체(110)의 내측에서 이송되는 유체의 유속 등을 통해 누수 등이 발생했는지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검출센서(136)는 엔코더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검출센서(136)는 몸체(110)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130)에는 상기 회전축(132)의 용이한 회전을 이루도록 지지하는베어링하우징(138)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베어링하우징(138)은 회전축(132)과의 용이한 연결관계 및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130)에는 상기 검출센서(136)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지상의 관제센터에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139)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139)는 일단이 상기 검출센서(138)에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단자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결선(1392) 및 상기 연결선(1392)의 끝단에 구성되고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전파봉(139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선(1392)은 매설관의 매설깊이만큼 연장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연결선(1392)은 매설관의 매설깊이에 구애되지 않고 상기 전파봉(1394)이 지표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콘넥트를 통해 계속적인 연결에 따른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파봉(1394)은 상기 연결선(1392)의 끝단에 구성되고,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파봉(1394)은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지표면에 박힘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전파봉(1394)에는 매설관의 매설깊이, 유체의 종류, 매설일시 등과 같은 기본 정보가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부를 가진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파봉(1394)은 지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지표면에 근접되게 매립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파봉(1394)은 지상의 관제센터에 매설관의 상태를 전송할 수 있는 재질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안테나(13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까지 전파봉(1394)을 인출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몸체(110)의 일측에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안테나(139)를 통해 검출센서(136)의 검출신호가 지상의 중앙관제센터(20)로 용이하게 전송될 수 있는 구성 및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탐지관을 통한 매설관 관리시스템을 살펴본다.
먼저, 지하에 매설관(1)을 매설하고, 또한, 상기 매설관(1)의 일정길이 예컨대, 5 ~ 15m 간격으로 탐지관(10)을 연결한다.
즉, 상기 탐지관(10)의 몸체(110) 양단 각각에 구성된 플랜지(112)를 통해 매설관(1)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연결시킨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매설관(1)의 재질 및 사용목적 등에 따라 플랜지연결을 대신하여 열 융착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매설관(1)의 일정간격으로 탐지관(10)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탐지관(10)에 구성된 안테나(139) 즉, 연결선(1392)을 인출시키고, 상기 연결선(1392)의 끝단에 구성된 전파봉(1394)이 지면에 노출되도록 한 후 흙을 되 메움한다.
상기 매설관(1)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매설관(1)을 통해 유체를 이송한다.
이때, 상기 매설관(1)의 일정간격에 위치한 탐지관(10)으로 유체가 이송되고, 이 경우, 상기 탐지관(10)의 몸체(110)에 구성된 필터부(140)에 의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됨으로써, 깨꿋한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상기 몸체(110) 내에 구성된 회전부(130)의 임펠러(134)가 일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134)가 고정된 회전축(132)이 회전을 함으로써, 상기 회전축(132)의 끝단에 구성된 발전기(122)에서 전기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발전기(122)를 통해 발생된 전기는 축전기(124)로 축전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2)의 일측에 구성된 검출센서(136)를 통해 상기 회전축(132)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이를 안테나(139)를 통해 지상의 중앙관제센터(2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중앙관제센터(20)로 전송되는 신호에는 탐지관(10)의 일렬번호 및 회전축(132)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센터(20)에서는 검출센서(136)를 통해 전송된 식별번호 및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판별하여, 어느 구역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점검한다.
예컨대, 탐지관 001(식별번호) '100(회전수 또는 회전속도)', 탐지관 002 '98', 탐지관 003 '99', 탐지관 004 '78', 탐지관 005 '70'... 등과 같이 중앙관제센터(20)에서 확인이 된다면, 상기 탐지관 001 내지 003에서는 오차범위 내에 유체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정상이라 판별된다.
다만, 탐지관 004에서 오차범위를 벗어난 수치가 검출됨으로써, 상기 탐지관 004 구역의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다.
한편, 탐지관(10)의 몸체(110) 내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축(132)을 계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별도의 외부 전원을 상기 탐지관(10)으로 제공하지 않고도 자체 발전에 의해 검출센서(136)를 작동시킴으로써, 장시간 매설되는 매설관(1)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탐지관(10)에는 몸체(110) 내로 이송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몸체(110)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여과시켜 깨끗한 유체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필터부(140)는 상기 몸체(110)의 일단에 구성되는 필터(142), 및 상기 필터(142)가 상기 몸체(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고정소켓(144)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142)는 상기 몸체(110)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고정소켓(144)은 상기 몸체(110)의 일단 내측에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소켓(144)과 몸체(110) 사이에 필터(142)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부(140)는 지하 매설관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유체의 이송관에 구성하여,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를 여과시키도록 하는데 적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매설관(1)으로만 통칭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상에 설치되어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관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탐지관 110: 몸체
112: 플랜지 120: 발전부
122: 발전기 124: 축전기
126: 커버 130: 회전부
132: 회전축 134: 임펠러
136: 검출센서 138: 베어링하우징
139: 안테나 1392: 연결선
1394: 전파봉 140: 필터부
142: 필터 144: 고정소켓
20: 중앙관제센터

Claims (5)

  1. 유체를 이송하는 매설관(1); 및
    상기 매설관(1)의 일정간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상기 매설관(1)으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자가발전이 이루어져 상기 매설관(1)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파별하도록 하는 탐지관(10)을 포함하고;
    상기 탐지관(10)은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구성되는 발전부(120); 및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발전부(120)에 연결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110) 내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134)와, 상기 회전축(13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132)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136)를 포함하는 회전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30)에는,
    상기 검출센서(136)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139)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139)는 일단이 상기 검출센서(136)에 연결되는 연결선(1392); 및
    상기 연결선(1392)의 끝단에 구성되고 지표면에 위치되는 전파봉(139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34)는,
    복수의 날개가 구성되고;
    상기 날개는 몸체(110) 내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지관(10)에는,
    상기 몸체(110)의 양단 또는 어느 일단에 구성되어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하는 필터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140)는 필터(142); 및
    상기 몸체(110)에 상기 필터(142)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110)에 체결되는 고정소켓(14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5. 매설관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설관(1)의 일정간격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탐지관(10)이 연결되어;
    상기 탐지관(10)에 구성된 검출센서(136)를 통해 검출되는 회전축(132)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제공받아 이를 통해 상기 매설관(1)의 어느 구역에서 누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중앙관제센터(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을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
KR1020150162048A 2014-12-04 2015-11-18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 KR201600677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206 2014-12-04
KR20140173206 2014-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736A true KR20160067736A (ko) 2016-06-14

Family

ID=5619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048A KR20160067736A (ko) 2014-12-04 2015-11-18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77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35B1 (ko) * 2019-12-06 2020-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매설물 관리를 위한 무선인식 전자태그 장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574B1 (ko) 2006-01-25 2006-08-03 이복현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KR100877073B1 (ko) 2008-07-04 2009-01-07 (주)선인이엔지 관로 측량장치, 이를 이용한 관로측량방법 및 이를 이용한관로 측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574B1 (ko) 2006-01-25 2006-08-03 이복현 관로탐사선 보유형 합성수지관
KR100877073B1 (ko) 2008-07-04 2009-01-07 (주)선인이엔지 관로 측량장치, 이를 이용한 관로측량방법 및 이를 이용한관로 측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35B1 (ko) * 2019-12-06 2020-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매설물 관리를 위한 무선인식 전자태그 장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5285B2 (en) Multi-piece inline jet-sonde
US4888706A (en) Fluid distribution to multiple users through distributed intelligence sub-centers
EP2159574B1 (en) Device for pipeline inspection and method of its use
KR101662050B1 (ko) 누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누출 감지 시스템
KR20090033338A (ko) 회전유니언용 누출검출시스템
KR20090067303A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1562625B1 (ko) 지하매설관 특정위치 탐지시스템 및 방법
EP4375636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onitoring of fluid pipes
Pearson Standard definitions for water losses
GB2536019A (en) Stopper safety system
WO2014120074A9 (en) System for monitoring pipeline leakage, pipeline element provided with the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the monitoring system onto a pipeline
KR101827949B1 (ko) 수도계량기용 누수감지장치
KR101762614B1 (ko) 상수관로의 누수 여부 및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상수관로용 안전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관로 안전감시 방법
KR20160067736A (ko) 매설관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탐지관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 관리시스템
EP3973177B1 (en) Fluid monitoring apparatus
GB2500816A (en) Subsea multiple annulus sensor
KR20140086507A (ko) 하수관거의 도통과 탐사 시스템
CN108872631B (zh) 一种光纤测速装置
KR100401482B1 (ko)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JP2016200416A (ja) 洗掘検知システム
KR20080074520A (ko) 배관재의 누수와 파손 감지 및 관로 위치 확인이 용이한 감지관
CN109373201A (zh) 一体化智能管道
KR20040027820A (ko) 압력계, 수위계 및 유속계를 이용한 하수도 침전물 높이 및 유량 측정 시스템
KR101497676B1 (ko) 유량 계측시스템
KR101759200B1 (ko)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