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530A -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530A
KR20160067530A KR1020140173050A KR20140173050A KR20160067530A KR 20160067530 A KR20160067530 A KR 20160067530A KR 1020140173050 A KR1020140173050 A KR 1020140173050A KR 20140173050 A KR20140173050 A KR 20140173050A KR 20160067530 A KR20160067530 A KR 2016006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storage card
mobile terminal
information storage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경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시스템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템테크 (주) filed Critical 시스템테크 (주)
Priority to KR1020140173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7530A/ko
Publication of KR2016006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환경에서 오인식에 따른 정당한 사용자의 인증실패를 방지할 수 있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이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른 생체 정보 저장 카드는, 운영체제, 칩 오퍼레이팅 시스템(COS) 및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외부의 이동단말기와 통신을 하고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이동단말기와 주고받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이동단말기로부터 생체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이동단말기로 제공하는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른 생체 정보 인증 방법은, 생체 정보 저장 카드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단계; 저장할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생체 정보의 검증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검증 확률이 임계 확률보다 낮지 않은 경우, 입력받은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생체 정보 저장 카드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저장 단계; 및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 생체 정보 저장 카드로부터 생체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BIOMETRIC SIGNATURE STORING CARD AND AUTHENTICATING METHOD USING THE SAME}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환경에서 오인식에 따른 정당한 사용자의 인증실패를 방지할 수 있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생체 정보에는 서명, 지문, 성문, 홍채, 안면영상 등이 포함된다.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그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미리 시스템 내에 저장하여 두고, 그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생체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현실적인 사용환경에서 이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생체 정보의 상태는 항상 일관된 것이 아니므로, 이와 같은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은 언제나 오작동의 우려가 상존한다.
예컨대, 지문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지문이 훼손되었거나, 손가락에 물기가 묻었거나, 지문 스캐너와의 접촉상태가 불량한 경우 등에 오작동이 발생한다. 성문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목이 쉬었거나, 주변 소음의 영향이 과도한 등의 상황에 오작동이 발생한다. 안면영상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촬영 각도나 조명 상황이 변하거나 사용자의 안면 자체에 변화가 있는(체중 변화 등) 경우에 오작동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에 언제나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며, 오작동의 양태는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1. 오인식(False Acceptance)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타인)의 생체 정보를 정당한 사용자(본인)의 생체 정보로 간주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할 확률을 말하는 오인식률(FAR: False Acceptance Rate)을 타인 수용율이라고도 한다.
2. 오거부(False Reject)
정단한 사용자(본인)의 생체 정보를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타인)의 생체 정보로 간주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할 확률을 말하는 오거부율(False Reject Rate)을 본인 거부율이라고도 한다.
위와 같은 오인식률 및 오거부율이 아무리 낮더라도, 인증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숫자가 많은 경우에는 정당한 사용자가 시스템 접근에 실패하여 어려움을 겪거나 부당한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여 부정 사용을 하게 될 위험성이 따른다.
따라서, 오인식 및 오거부의 우려를 해소한 생체 정보 인증 수단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필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오인식 및 오거부의 우려를 해소한 이동단말기 연동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생체 정보 저장 카드는, 운영체제, 칩 오퍼레이팅 시스템(COS) 및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외부의 이동단말기와 통신을 하고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기와 주고받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제공하는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보안에 관한 로직을 수행하는 보안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운영체제 및 상기 칩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상기 ROM에 저장되고,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하나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요청된 경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2 이상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요청된 경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2 이상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생체 정보 인증 방법은, 생체 정보 저장 카드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단계; 저장할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생체 정보의 검증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검증 확률이 임계 확률보다 낮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받은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저장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와의 연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생체 인식 앱을 구동하는 단계가 상기 연동을 수행하는 단계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을 수행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기가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를 탐색하기 위하여 탐색 RF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탐색 RF 신호를 수신한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로부터 응답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응답 RF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와의 연동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할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저장할 생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n종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n은 자연수임), 입력받은 상기 n종의 생체 정보의 검증 확률을 조합한 다중검증확률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중검증확률(Pt)은, Pt = (P1P2…Pn)/( P1P2…Pn + (1-P1)(1-P2)…(1- Pn)), (이 때, n은 생체 정보의 개수임.), 을 통하여 얻어지고, 이 때 P1, P2, … , Pn은 각각 제1 생체 정보, 제2 생체 정보, … , 제n 생체 정보일 수 있다.
오인식 및 오거부의 우려를 해소한 이동단말기 연동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생체 정보 인증 방법이 수행되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와 연동된 이동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생체 정보가 생체 정보 저장 카드에 저장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4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연동된 이동단말기에 제공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5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원하는 포털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6은 생체 정보 저장 카드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생체 정보 인증 방법이 수행되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와 연동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는 이동 단말기(2)와 연동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2)는 내장된 입력장치(20,22,24,26)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생체 정보 데이터라 함은,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성문, 안면 영상, 지문, 서명, 홍채 영상 등)를 획득한 후 생체 정보로부터 추출한 특징점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성문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마이크(20)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지문 스캐너(22)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내장된 화상 카메라(24)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홍채 이미지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에도, 내장된 화상 카메라(24)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에도, 내장된 터치스크린(26)을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에도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내장될 수 있는 공지의 각종 입력장치를 적절히 이용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2)는 입력받은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에 저장하고, 필요한 때에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는 복수의 생체 정보를 조합하여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의 보안 해제용으로도 사용자 인증과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를 이동 단말기(2)에 접촉시킴으로써, 별도의 패스워드 입력 등 조작을 하지 않고도 이동 단말기(2)의 보안 설정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모듈이 이동 단말기(2)의 펌웨어(firmware)에서 통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2), 입출력 인터페이스(14) 및 보안 프로세서(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2)는 운영체제, 칩 오퍼레이팅 시스템(COS: Chip Operating System) 및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메모리(12)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운영체제 및 칩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ROM에 저장한다. 또한, 생체 정보 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인증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는 RAM에 저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는 외부의 이동단말기와 통신을 하고,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와 주고 받는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이동단말기로부터 생체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이동단말기로 제공하는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보안 프로세서(16)는 보안에 관한 로직을 수행한다.
한편, 보안 프로세서(16)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통합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보안 프로세서(16)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와 연동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2)로부터 하나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요청된 경우, 요청에 대응하는 하나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2)로 전송한다.
만약 이동 단말기(2)로부터 2 이상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요청된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요청에 대응하는 2 이상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2)로 전송한다.
도 3은 생체 정보가 생체 정보 저장 카드에 저장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서 예시한 생체 정보 저장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에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와 이동 단말기(2)가 연동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2)에서는 먼저 생체 인식 앱이 구동된다(300).
생체 인식 앱이 구동되면, 이동 단말기(2)는 연동을 필요로 하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를 탐색한다(310). 이러한 탐색은, 탐색 RF 신호를 근처에 송출함으로써 수행된다(312).
탐색 RF 신호를 생체 정보 저장 카드(1)가 수신하면,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는 이에 대하여 응답한다(320). 응답은 탐색 RF 신호에 대응되는 RF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322). 이동 단말기(2)가 탐색 RF 신호에 대응되는 RF 신호를 수신하면, 생체 정보 저장 카드(1)가 송출한 RF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와 생체 정보 저장 카드(1) 사이의 연동이 완료된다.
한편, 생체 정보 저장 카드(1)가 일회용 패스워드(OTP: One Time Password)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보통의 경우, 앱 또는 펌웨어에서 생체정보저장카드 필요시 요청하면 생체 정보 저장카드(1)에서 응답하고 일회용 패스워드가 생성되어 전송된다.
전송된 일회용 비밀번호가 확인이 되어 승인이 되면, 생체 인식-추출정보 데이터를 전송하여 주고 일회용 패스워드와 생체 인식-추출정보데이터와의 관계는 암호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드의 물리적 특성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계되므로, 제3자가 복제하여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생체 인식 저장 카드(1)는 연동을 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만 연동이 이루어진다. 하드웨어적으로 상호 확인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호확인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상호 확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상호 확인을 위하여 Time & Amplitude Dimension등 다양한 공지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와 생체 정보 저장 카드(1) 사이에서 연동이 완료되면, 이동 단말기(2)의 생체인식 앱 상에서는 저장할 생체 정보에 관한 선택이 이루어진다(330). 이 때, 사용자의 선택조작에 따라 저장할 생체 정보에 관한 선택이 이루어진다.
저장할 생체 정보에 관한 선택이 이루어지면, 해당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340).
예컨대, 과정(330)에서 지문 정보가 선택된 경우에는, 과정(340)에서 지문 스캐너(22)를 구동하는 화면이 생체인식 앱 상에서 표시되고, 지문 스캐너(22)가 구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과정(330)에서 선택된 생체 정보가 2 이상인 경우에는, 2 이상의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과정(340)이 각각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생체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획득되면, 획득된 생체 정보의 검증 확률을 임계 확률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350).
비교의 결과, 획득된 생체 정보의 검증 확률이 소정의 임계 확률보다 낮지 않은(즉, 같거나 높은) 경우에는, 획득된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에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는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372).
비교의 결과, 획득된 생체 정보의 검증 확률이 소정의 임계 확률보다 낮은 경우에는, 획득된 생체 정보의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재차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과정(340)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컨대, 지문 정보를 획득하였는데 사용자가 기기를 오작동하거나 작동 환경이 불량한 등의 사유로 인하여 지문 이미지가 제대로 획득되지 않을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생체 정보를 다시 획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2 이상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입력받은 복수의 생체 정보의 검증 확률을 조합한 다중검증확률을 임계 확률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350).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지문 및 성문 등 2종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지문 정보의 검증 확률을 (P1)이라 하고, 성문 정보의 검증 확률을 (P2)라고 정의할 때, 지문 정보와 성문 정보를 조합하여, 다중 검증확률(Pt)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다중 검증확률(Pt)은 수학식 1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 경우, 임계 확률과 비교되어야 하는 확률은 다중 검증확률(Pt) 및 수학식1에 의하여 얻어진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서명, 지문 및 성문 등 3종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서명 정보의 검증 확률을 (P1)이라 하고, 지문 정보의 검증 확률을 (P2)라고 하며, 성문 정보의 검증 확률을 (P3)이라 정의할 때, 서명 정보, 지문 정보와 성문 정보를 조합하여, 다중 검증확률(Pt)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다중 검증확률(Pt)은 수학식 1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수학식 1 에서 나타낸 다중 검증확률의 산출식은 예시에 불과한 것이다. 2종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에 다중 검증확률을 산출하기 위해서 수학식 1과 상이한 산출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3종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에 수학식 1와 다른 산출식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나아가, 4종 또는 그 이상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에는 수학식 1이 아닌 산출식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나아가, 다중 검증확률의 산출식은 수학식1 이외에도, 오거부율이나 오인식률에 근거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확률로 표현된 인식율의 동적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측으로 생체 정보 데이터가 전송되면,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는 플래시 메모리 등 생체 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영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에 생체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380).
이 때, 하드웨어적으로 특정구역을 보안영역으로 설정하여 생체 정보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380).
이후, 이동 단말기(2)는 구동중인 생체인식 앱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다른 생체 보를 입력할 것인지에 관한 선택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390).
만약 사용자로부터 다른 생체 정보를 더 입력할 것임을 선택받은 경우에는, 저장할 생체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330)이 다시 진행된다. 한편, 사용자가 다른 생체 정보를 더 입력할 것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이 종료된다.
한편, 단계(380)에서, 다수의 생체 정보가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다(380).
예컨대, 사용자의 안면 및 성문 등 2종의 생체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단말기(2)의 카메라(24)를 통하여 사용자의 안면 영상을 획득함과 함께, 이동단말기92)의 마이크(22)를 통하여 사용자의 성문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는 획득된 안면 영상과 성문을 기초로 생체 정보 데이터가 하나의 데이터 파일로 생성된 후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로 전송되어 저장된다(380). 생체 정보 데이터가 임계확률과 비교하는 데에 사용됨은 단일 생체 정보에 기초한 생체 정보 데이터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4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연동된 이동 단말기에 제공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연동된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인증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서 예시한 절차들이 수행된다.
도 4와 관련하여,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포털 사이트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포털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2)는, 포털 사이트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400).
이동 단말기(2)는 이러한 생체 정보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생체인식 앱을 구동한다(410).
생체 인식 앱이 구동되면, 이동 단말기(2)는 연동을 필요로 하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를 탐색한다(420). 이러한 탐색은, 탐색 RF 신호를 근처에 송출함으로써 수행된다(422).
탐색 RF 신호를 생체 정보 저장 카드(1)가 수신하면,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는 이에 대하여 응답한다(430). 응답은 탐색 RF 신호에 대응되는 RF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432). 이동 단말기(2)가 탐색 RF 신호에 대응되는 RF 신호를 수신하면, 생체 정보 저장 카드(1)가 송출한 RF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와 생체 정보 저장 카드(1) 사이의 연동이 완료된다(434).
한편, 생체 정보 저장 카드(1)가 일회용 패스워드(OTP: One Time Password)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체 정보 저장 카드(1)가 탐색 RF 신호에 대응되는 RF 신호에 일회용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가 RF 신호에 포함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인식한 경우, 인식한 일회용 패스워드를 다시 생체 정보 저장카드(1)로 전송하도록 한다. 생체 정보 저장카드(1)는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가 이동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 일회용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만 이동 단말기(2)의 연동 요청을 허락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생체 인식 저장 카드(1)는 연동을 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만 연동이 이루어진다. 하드웨어적으로 상호 확인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호확인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상호 확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Time & Amplitude Dimension을 이용하여 상호 확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2)와 생체 정보 저장 카드(1) 사이에서 연동이 완료되면, 이동 단말기(2)의 생체인식 앱 상에서는 포털 사이트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생체 정보에 관한 선택이 이루어진다(440). 이 때, 사용자의 선택조작 또는 포털 사이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저장할 생체 정보에 관한 선택이 이루어진다.
저장할 생체 정보에 관한 선택이 이루어지면, 해당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450).
이 때,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판독하여 포털 사이트측으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이동 단말기(2)의 적절한 입력장치를 통하여 자신의 생체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포털 사이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결정될 수 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는, 해당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데에 관련된 입력장치가 구동되고, 생체인식 앱의 화면 상에서는 해당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데에 관한 기능이 수행된다(460).
만약 사용자가 자신의 생체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대신,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의 해당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에 요청한다(452).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는 필요한 생체 정보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 등 사용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영역에서 읽어들인다(470) 이후, 읽어들인 생체 정보 데이터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로부터 이동 단말기(2)로 전송된다(472).
과정(460) 또는 과정(452,470,472)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2)에 사용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입수되면,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포털 사이트의 서버로 전송된다(480).
포털 사이트는 사용자가 이전에 포털 사이트에 등록한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2)로부터 전송받은 생체 정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두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가 진정한 사용자라고 판단하게 될 것이다.
만약 포털 사이트에 사용자가 이전에 등록한 생체 정보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에 저장되어 있다면, 포털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해당 사용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는, 인증 절차에서 이동 단말기(2)를 통하여 포털 사이트에 전송하는 생체 정보 데이터와 언제나 100%의 확률로 일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과정(450)에서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에 저장된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읽어들일 것을 선택한다면, 오인식이나 오거부 등의 오작동에 관한 우려 없이 해당 사용자가 언제나 포털 사이트에 100%의 성공율로 인증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과정(440)에서 필요한 생체 정보가 2 이상인 경우에는, 2 이상의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과정(450-472)이 각각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경우에 따라서 순차적이 아니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원하는 포털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데스크탑 컴퓨터(3)에서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원하는 사이트(예컨대 포털 사이트)가 있을 때, 사용자는 ID 입력부분에 이동단말기 번호를 입력한다(500). 데스크탑 컴퓨터는 IP정보를 포털 서버(4)측에 전송함과 함께, 이동 단말기에 인증 요청을 한다(504).
이동 단말기는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생체인식 앱을 구동하고(510), 생체 정보 저장 카드를 탐색한다(520). 탐색에 따른 연동 과정(522,530,532,534)은 도 3, 도 4 등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연동이 이루어지면 포털 서버 접속 인증에 필요한 생체 정보가 선택된다(540). 또한, 선택된 생체 정보를 이동 단말기(2)에서 직접 획득할 것인지,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로부터 전송받을 것인지가 선택된다(550).
한편, 단계(550)에서, 사용자가 미리 생체 정보 획득 수단을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와 이동 단말기(2) 중 어느 하나로 고정하거나, 또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1)와 이동 단말기(2) 사이에서 변경을 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2) 또는 앱 내에서 환경설정을 할 수도 있다.
만약 생체 정보 저장 카드로부터 전송받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91)에 생체 정보 데이터를 요청한다(552).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는 요청에 따라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인출하고(570), 인출된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2)로 전송한다(572).
만약 이동 단말기(2)에서 직접 획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의 적절한 입력모듈에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획득된다(560).
이동 단말기(2)는 포털 서버(4)에 인증 요청을 하며(580), 이 때 생체 정보 데이터가 포털 서버(4)로 전송된다(582).
한편, 생체인식 앱은 접속하고자 하는 포털 사이트의 정보 및 IP 정보를 2차원 바코드화하여 표시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의 카메라로 2차원 바코드를 촬영한 후 포털 서버(4)로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포털 서버(4)는 서버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전송받은 생체 정보 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590).
만약 일치한다면, 포털 서버(4)는 데스크탑 컴퓨터(3)를 통한 포털 사이트 접속을 허가한다(592). 이에 따라, 데스크탑 컴퓨터(3)에서 포털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594).
만약 불일치한다면, 포털 서버는 다시 이동 단말기에 인증 요청을 할 수 있다(504).
한편, 도 5의 실시예를 위해서는 사전에 사용자는 포털 서버(4)에서의 생체 정보를 사용 동의함으로써, 포털 서버(4)에 미리 생체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여야 한다.
또는, 포털 서버(4)와 별도의 생체인증서버를 구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생체인증서버에 한번만 등록하면, 사용자는 그 생체인증서버와 연결된 다양한 웹사이트 및 포탈, 메일 등에서 생체인증서버가 제공하는 인증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이동단말기(2)에서 생체 정보 저장 카드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기(2)에서 생체인식 앱이 구동된다(610).
그 후, 데스크탑 컴퓨터(3)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포털 사이트가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인지 여부가 판단된다(620).
만약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가 아니라면, 데스크탑 컴퓨터(3)의 IP정보를 확인하여(630) 이동 단말기(2)로 전송한다(632)
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에 직접 데스크탑 컴퓨터의 IP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동단말기(2)의 생체인식앱에서 ① IP정보에 대응되는 데스크탑 컴퓨터(3)를 선택하고, ② 데스크탑 컴퓨터 상에서 열고자 하는 포털 사이트를 선택하고, ③ 생체정보저장카드(1)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데스크탑 컴퓨터(3)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포털 사이트가 열리게 된다.
만약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라면, 생체인색 앱에 그 사이트의 주소를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로서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생체 정보 저장 카드(1) 탐색이 수행된다(640). 탐색에 따른 연동 과정(642,650,652,654)은 도 3, 도 4, 도 5 등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연동이 이루어지면 포털 서버 접속 인증에 필요한 생체 정보가 선택된다(660). 또한, 선택된 생체 정보를 이동 단말기(2)에서 직접 획득할 것인지,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로부터 전송받을 것인지가 선택된다(670).
만약 생체 정보 저장 카드로부터 전송받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91)에 생체 정보 데이터를 요청한다(672). 생체 정보 저장 카드(1)는 요청에 따라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인출하고(674), 인출된 생체 정보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2)로 전송한다(676).
만약 이동 단말기(2)에서 직접 획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의 적절한 입력모듈에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획득된다(678).
이동 단말기(2)는 포털 서버(4)에 인증 요청을 하며(680), 이 때 생체 정보 데이터가 포털 서버(4)로 전송된다(682).
한편, 생체인식 앱은 접속하고자 하는 포털 사이트의 정보 및 IP 정보를 2차원 바코드화하여 표시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의 카메라로 2차원 바코드를 촬영한 후 포털 서버(4)로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포털 서버(4)는 서버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전송받은 생체 정보 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690).
만약 일치한다면, 포털 서버(4)는 데스크탑 컴퓨터(3)를 통한 포털 사이트 접속을 허가한다(692). 이에 따라, 데스크탑 컴퓨터(3)에서 포털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694).
만약 불일치한다면, 포털 서버는 이전 단계를 반복하여 인증을 재시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설명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생체 정보 저장 카드
2 ······이동 단말기
10······마이크로 프로세서
12······메모리
14······입출력 인터페이스
16······보안 프로세서
20······마이크
22······지문 스캐너
24······화상 카메라
26······터치 스크린

Claims (11)

  1. 운영체제, 칩 오퍼레이팅 시스템(COS) 및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외부의 이동단말기와 통신을 하고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기와 주고받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제공하는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보안에 관한 로직을 수행하는 보안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운영체제 및 상기 칩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상기 ROM에 저장되고,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하나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요청된 경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2 이상의 생체 정보 데이터가 요청된 경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2 이상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생체 정보 저장 카드.
  6. 생체 정보 저장 카드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단계;
    저장할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생체 정보의 검증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검증 확률이 임계 확률보다 낮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받은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저장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인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와의 연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생체 인식 앱을 구동하는 단계가 상기 연동을 수행하는 단계 전에 수행되는; 생체 정보 인증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을 수행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기가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를 탐색하기 위하여 탐색 RF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탐색 RF 신호를 수신한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로부터 응답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응답 RF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정보 저장 카드와의 연동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체 정보 인증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할 생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저장할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생체 정보 인증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n종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n은 자연수임),
    입력받은 상기 n종의 생체 정보의 검증 확률을 조합한 다중검증확률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체 정보 인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검증확률(Pt)은,
    Pt = (P1P2…Pn)/( P1P2…Pn + (1-P1)(1-P2)…(1- Pn)),
    (이 때, n은 생체 정보의 개수임.),
    을 통하여 얻어지고, 이 때 P1, P2, … , Pn은 각각 제1 생체 정보, 제2 생체 정보, … , 제n 생체 정보의 검증 확률인 생체 정보 인증 방법.
KR1020140173050A 2014-12-04 2014-12-04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 KR20160067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050A KR20160067530A (ko) 2014-12-04 2014-12-04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050A KR20160067530A (ko) 2014-12-04 2014-12-04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530A true KR20160067530A (ko) 2016-06-14

Family

ID=5619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050A KR20160067530A (ko) 2014-12-04 2014-12-04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75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2230B2 (en) Face-controlled liveness verification
JP6820062B2 (ja) アイデンティティ認証方法ならびに装置、端末及びサーバ
US11170084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US8925058B1 (en) Authentication involving authentication operations which cross reference authentication factors
ES2795669T3 (es) Método y sistema de autenticación de usuario usando teclado numérico variable e identificación biométrica
US9411946B2 (en) Fingerprint password
US11188628B2 (en) Biometric challenge-response authentication
US20150349959A1 (en) User Authentication Retry with a Biometric Sensing Device
US926261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security of secret authentication data during authentication transactions
US10063541B2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CN114077726A (zh) 用于对用户进行认证的系统、方法和机器可读介质
WO2020186902A1 (zh) 用于操作物联网设备的方法和系统
US9716593B2 (en) Leveraging multiple biometrics for enabling user access to security metadata
JP7006584B2 (ja) 生体データ処理装置、生体データ処理システム、生体データ処理方法、生体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生体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憶媒体
KR102317598B1 (ko) 서버, 서버의 제어 방법 및 단말 장치
JP7428242B2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JP2015176555A (ja) 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の認証方法
JP2007265219A (ja) 生体認証システム
CN106156590A (zh) 一种计算机开机处理方法及处理系统
JP2016071598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964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biometric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KR20160067530A (ko) 생체 정보 저장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인증 방법
Wells et al. Privacy and biometrics for smart healthcare systems: attacks, and techniques
US11128620B2 (en) Online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the identity of a subject
CN103049686A (zh) 用Usb Key来实现数据库和用户信息验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