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732A -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receiver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receiver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732A
KR20160065732A KR1020150076338A KR20150076338A KR20160065732A KR 20160065732 A KR20160065732 A KR 20160065732A KR 1020150076338 A KR1020150076338 A KR 1020150076338A KR 20150076338 A KR20150076338 A KR 20150076338A KR 20160065732 A KR20160065732 A KR 20160065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ake
wireless
electronic devic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상현
조군식
김명수
배충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6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7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92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energy consumption
    • Y02B60/4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echnology related to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and receiver used for an electronic device activated by a wakeup signal while usually keeping a sleep mode.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modulates the frequency or the amplitude of a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according to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modulated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comprises: an antenna; a wireless signal detection unit outputting a digital signal representing a change in the frequency or the amplitude of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from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a wakeup determination unit outputting an interrupt signal when the digital signal outputted from the wireless signal detection unit is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및 수신기{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receiver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for an electronic device,

평소 수면 모드(sleep mode) 상태로 있다가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에 의해 활성화되는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및 수신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A technique relating to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normally in a sleep mode and is activated by a wakeup signal is disclosed.

전자 기기 중에는 전력 소비를 효율화하기 위하여 평소 수면 모드로 동작하다가 이벤트에 반응하여 활성화되어 작동한 후 처리가 종료되면 다시 수면 모드로 돌아가는 기기들이 있다. 예를 들어,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개념에 따르면, 사물들에 무선 통신 장치가 장착되고 인터넷에 연결된다. 이런 사물 인터넷 기기들은 가격이 싸고 크기가 작으며 저전력을 소비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기들은 전력 소모를 관리하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수면 모드로 동작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활성화된다. Among electronic devices, there are devices that operate in a normal sleep mode in order to increase power consumption, activate in response to an event, and then return to a sleep mode when the process is finishe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which is becoming an issue nowadays, things are equipp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se things Internet appliances should be designed to be cheap, small in size and consuming low power. These devices operate most of the time in sleep mode to manage power consumption and are only activated when necessary.

수면 모드에 있는 기기들을 필요할 때만 활성화 시키는 방법으로 기기의 SoC(System on Chip) 내부 타이머가 설정된 시간에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켜 기기를 웨이크업 시키는 타이머 방식이 있다. 하지만, 타이머 방식은 슬립 모드에 있는 슬레이브 기기가 스스로 정해진 시간마다 깨어나서 마스터 기기와 통신하는 방식이므로 스마트 폰과 같은 마스터 기기가 통신을 원하는 시점에서 슬립 모드에 있는 슬레이브 기기를 웨이크업 시켜서 통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There is a timer method that wakes up the device by generating a wake-up signal at the set time of the SoC (System on Chip) internal timer of the device by activating the devices in the sleep mode only when necessary. However, since the slave device in the sleep mode wakes up at a predetermined time and communicates with the master device, the timer device can not communicate with the slave device in the sleep mode when the master device such as a smartphone wants to communicate with the slave device There is

수면 모드에 있는 기기들을 필요할 때만 활성화 시키는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외부 인터럽트 단자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외부 인터럽트 방식이 있다. 일반적인 외부 인터럽트 신호 발생 장치들은 주로 사용자가 직접 눌러서 작동시키는 스위치, Hole센서, 근거리 자기 센서, NFC등이 있는데 이러한 외부 인터럽트 신호 발생 장치들은 전력소비는 매우 낮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물리적인 행동을 수행주어야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스마트폰과 같은 마스터기기에서 자동으로 슬레이브 기기들을 깨울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외부 인터럽트 신호 발생 장치들은 고유한 송신기와 수신기 시스템이 모두 있어야 인식이 되므로 기존의 각종 스마트폰 기기들에 별도의 하드웨어가 추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종래 외부 인터럽트 발생 장치들은 대부분 기존 통신 모듈 IC (WIFI, BT, ZigBee)에 함께 집적화 할 수 없거나 NFC같이 IC로 집적화가 되어도 큰 안테나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Another method of activating devices in sleep mode only when needed is to use external interrupts to generate an interrupt signal to the external interrupt terminal at a desired point in time. Generally, external interrupt signal generators include switch, Hole sensor, near magnetic sensor, and NFC which are operated by user directly. These external interrupt signal generators are very low in power consumption, but users must manually perform physical ac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ster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can not automatically wake up slave devices. In addition, conventional external interrupt signal generators need to have separate transmitter and receiver systems so that additional hardware must be added to various existing smartphone devices. Conventionally, external interrupt generators can not be integrated with existing communication module ICs (WIFI, BT, and ZigBee) or require large antennas even when they are integrated into an IC such as NFC.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기술한 수면모드에서 마스터 기기가 원하는 시점에서 자동으로 슬레이브 기기를 깨울 수 있는 외부 인터럽트 신호 발생 장치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며 종래 각종 외부 인터럽트 발생 장치가 가지고 있는 근본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발명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xternal interrupt signal generator capable of automatically waking up a slave device at a desired time in a sleep mode in the above-described sleep mod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various external interrupt generators I would like to propose.

제안된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전자 기기의 수면 모드 대기 시간을 극대화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무선 웨이크업(RF wakeup) 신호 송신기 및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and a receiver capable of maximizing a sleep mode waiting time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나아가 사용자가 수동으로 물리적인 조작을 하지 않고 무선통신 장치들이 자동으로 웨이크업 시킨 후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erform communication after the user automatically wakes up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thout manually performing a physical operation.

더 나아가 종래 IC화된 무선 통신 장치에 함께 집적할 수 있는 무선 웨이크업 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d to provide a wireless wake up transmission and receiver which can be integrated together with a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더 나아가 별도의 웨이크업 송신기 하드웨어 없이 종래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들을 활용하여 범용성 있는 웨이크업 신호 송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eneral-purpose wake-up signal transmission method utilizing various conven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thout any additional wake-up transmitter hardware.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및 수신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는 고주파 반송 신호(carrier signal)의 주파수 혹은 진폭을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송신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고주파 반송 신호는 GHz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주파 반송 신호는 2.4 GHz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disclosed. The disclosed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modulates the frequency or amplitude of a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according to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According to one aspect,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may be a signal in the GHz band. More specifically,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may be a signal in the 2.4 GHz band.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는 고주파 반송 신호의 진폭을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송신한다.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는 초기에 진폭 최대값에 대응하는 값을 연속적으로 가지는 식별 헤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식별 헤더 구간은 6~10ms 길이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modulates and transmits the amplitude of a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n accordance with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may initially have an identification header period having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amplitude value. For example, this identification header section may have a length of 6 to 10 ms.

일 양상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모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고주파 반송 신호의 주파수 혹은 진폭을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변조하도록 모뎀부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이 모뎀부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가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근거리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모뎀부가 일정한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그 출력 여부를 단속하여 온 프 키잉(On Off Keying)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of an electronic device is stored in a memory and executed by a processor, and the modem unit is controlled so that a signal output from the modem unit modulates the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high- And the like.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the modem portion can be used for a local communication that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uses f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controls the modem to output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controls the modem to operate in an on-off keying manner by interrupting the output according to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은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를 FSK(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하여 송신하도록 모뎀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뎀부가 주파수가 구분된 복수의 채널을 사용할 때, 프로그램은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반송 신호의 주파수 차이가 최대인 두 채널로 교번하여 일정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모뎀부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program can control the modem unit to modulate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in a FSK (Frequency Shift Keying) manner and transmit the modulated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using a plurality of channels in which the modem additional frequency is used, the program can control the modem unit to transmit certain information alternately to two channels having the maximum frequency difference of the carrier signal according to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안테나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그 고주파 반송 신호의 주파수 혹은 진폭의 변화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신호 검출부와, 무선 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가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인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웨이크업 결정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가 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n antenna, a radio signal detector for outputting a digital signal representing a change in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radio frequency carrier signal from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a wake-up determination unit for outputting an interrupt signal in the case of the pattern information.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신호 검출부는 고주파 반송 신호의 진폭에 해당하는 포락선 신호(envelop signal)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파기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무선 신호 검출부는 고주파 반송 신호가 있는 구간에서는, 예를 들면 논리 '1'에 해당하는 최대 진폭 신호를, 없는 구간에서는, 예를 들면 논리 '0'에 해당하는 최소 진폭 신호를 출력하는 온 오프 키잉(On Off Keying) 방식의 포락선 검파기일 수 있다.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무선 신호 검출부는 예를 들면 저항, 인덕터, 콘덴서와 같은 수동 소자들로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the radio signal detecting unit may be an envelope detector that outputs an envelo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mplitude of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n addition, the radio signal detecting section outputs the maximum amplitude signal corresponding to logic '1' in the section where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exists, and outputs the minimum amplitude signal corresponding to, for example, logic '0' And may be an on-off keying envelope detector.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radio signal detection section may be composed solely of passive elements such as resistors, inductors, capacitors, for example.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웨이크업 결정부는 최대 진폭 신호와 최소 진폭 신호의 지속 시간(duration)을 측정하여 디지털 신호를 판별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웨이크업 결정부는 일정한 주기의 펄스를 각 신호 구간 동안 카운트하여 지속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can determine the digital signal by measuring the duration of the maximum amplitude signal and the minimum amplitude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can measure the duration by counting pulses of a constant period for each signal period.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펄스 발생부는 RC 클럭 발생회로일 수 있다. 또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웨이크업 결정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충전부의 출력을 정류하여 공급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the pulse generator may be an RC clock generator circuit.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More specifically, the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and supplying the output of the charging unit.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신호 검출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주파수가 제 1 주파수일 때 최대 진폭 신호를, 제 2 주파수일 때 최소 진폭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복조부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radio signal detector may be implemented as a frequency demodulator that outputs a maximum amplitude signal when the frequency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is the first frequency and a minimum amplitude signal when the frequency is the second frequency.

제안된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는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 없고 GHz 단위의 고주파를 사용하는 각종 일반적인 무선통신 장치들(WIFI, BT, ZigBee) 모뎀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 보급되어 사용중인 각종 마스터 기기들(스마트폰)에 별도의 무선 웨이크업 송신기 하드웨어를 추가하지 않고도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무선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수면모드에 있는 슬레이브 기기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으므로 GHz 대역의 다양한 무선통신 장치와 완벽한 송신기 호환성을 갖는다. 또한 종래 무선통신 장치를 내장한 각종 기기에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여 바로 적용이 가능하므로 신규 제품뿐만 아니라 기존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oposed wireless wake - up signal transmitter can be realized by software control of various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FI, BT, ZigBee) modems which do not require any hardware and use high frequency in GHz uni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wake up the slave devices in the sleep mode by generating a wireless wakeup signal only by changing the software without adding additional wireless wakeup transmitter hardware to various master devices (smartphone) Band full range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addition, since the software can be directly applied to various devices incorpo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new products but also to existing products.

또한 GHz 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안테나 사이즈도 종래 무선통신 장치의 안테나와 같이 소형이고 구현에 따라 별도의 안테나를 추가하지 않고 종래 무선통신 장치의 안테나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모드(수면모드 웨이크업 수신부쪽으로 연결, 일반모드 일반 무선통신장치쪽으로 연결)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작은 패턴 안테나와 같이 소형의 모듈로 제작이 가능하여 예를 들면 사람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이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GHz band frequency is used, the size of the antenna is small as in the case of the antenna of the conventional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antenna of the conventional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s commonly used as a mode (connected to the sleep mode wake- , General mode connection to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abricate a small-sized module such as a small pattern antenna, for example, to attach to or implant the human body.

또한 단말기에서 흔히 채용하는 bluetooth, zigbee, WiFi 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의 모뎀을 사용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므로 별도의 모듈이나 회로를 부가하지 않고 기존의 범용적인 단말기를 이용해 무선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using a modem of a local communication type such as bluetooth, zigbee, or WiFi, which is commonly used in a terminal, a wireless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using a conventional general terminal without adding a module or a circuit .

더 나아가, 이러한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센서 기기들이나 전자기기들이 가장 간단한 회로의 추가만으로 이러한 무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Furthermore, sensor devices or electronic devices that suppor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in this manner can receive such wireless wakeup signals with the simplest addition of circuitry.

또한 매우 간단한 정보를 간단한 변복조 방식을 통해 송수신하므로, 수신 가능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매우 넓어 비허가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인 ISM 주파수 대역 전체에 대해 거의 유사한 수신 성능을 가진다.In addition, since very simp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 simple modulation / demodulation method,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eivable signal is very wide, so that it has almost similar reception performance over the entire ISM frequency band which can be used for unauthorized use.

또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마다 전체 통신 주파수 대역도 약간씩 다르고 세부적인 통신 채널 주파수와 채널간 주파수 간격도 조금씩 다르지만 제안된 발명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이러한 다양한 무선통신 표준 장치들의 통신 주파수 대역, 변조 방식, 채널 주파수 차이와 상관없이 다양한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생성된 다양한 무선 웨이크업 신호를 거의 동일한 성능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Also, although the overall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is slightly different for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he detailed communication channel frequency and channel frequency interval are sligh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proposed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It is possible to receive various types of wireless wakeup signals generated from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es with almost the same performance irrespective of the channel frequency difference,

더 나아가, 이러한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의 다양한 송신 신호에 대한 동일한 수신 성능 특성을 통해 수신기 호환성이 확보된다. 즉, 일반적으로는 송신기 혹은 송신 신호에 최적화된 수신기가 송신기 혹은 송신 신호 별로 각각 다른데 제안된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하나의 회로로 다양한 무선통신 기기에서 생성한 무선 웨이크업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어 완벽한 수신기 호환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Further, receiver compatibility is ensured through the same recepti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for various transmission signals of such a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In other words, in general, a receiver optimized for a transmitter or a transmission signal is different for each transmitter or a transmission signal. The proposed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can receive all the wireless wakeup signals generated b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th one circuit It has perfect receiver compatibility.

추가적으로, 송신기에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불필요하므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수신기 측면에서도 웨이크업 목적에 상응하는 간단한 하드웨어로 구현되므로 종래 무선 통신 칩에 쉽게 통합되어 구현할 수 있어 추가적인 비용이 거의 들지 않고 안테나 구현도 용이하므로 모듈 제작 비용이 저렴해 진다. 또한 상용 무선통신 칩과의 호환성을 위해 외부 부품 형태로 무선 웨이크업 수신 칩을 사용할 경우에도 종래에 비해 크기나 비용 면에서 개선된다.
In addition, additional hardware is not required for the transmitter, thereby reducing costs. In addition, since it is implemented by simple hardware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wake-up in the receiver side, it can be easily integrated into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can be implemented. Also, when a wireless wakeup receiving chip is used as an external component for compatibility with a commercial wireless communication chip, the size and cost ar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se.

도 1은 NFC 모듈(190)을 포함하는 전자 선반 라벨(Electronic Shelf Label)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결정부(2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비교 도면이다. 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로, 전자 선반 라벨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로, 전자 선반 라벨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 1 show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shelf label including an NFC module 190.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signal comparativ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All.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shelf lab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shelf lab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are embodi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s of each embodiment are capable of various combinations within an embodiment as long as no other mention or mutual contradiction exists.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시스템을 변경이나 플러그인 가능하도록 구성한 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when a section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s used herein, the term " block " refers to a block of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ed to be changed or pluggable, i.e., a unit or block that performs a function in hardware or softwar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능한 기술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기술은 13.56MHz의 주파수를 이용하고 통신 거리는 수 cm 이내이며, 수신기는 별도의 배터리 충전 없이 송신기가 보내주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내부 전원을 충전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동식(passive) NFC 무선 통신 장치는 전술한 수면 모드 수준 이하의 전력 소비를 하면서도 송신기가 원하는 시점에서 외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웨이크업 수신기로 생각할 수 있다. As a possible technique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be considered. This technology uses the frequency of 13.56MHz and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within a few centimeters. The receiver charges the internal power using the radio signal sent by the transmitter without charge of the battery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Such a passive NF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 be thought of as a wake-up receiver capable of generating an external interrupt signal at a desired point of time while consuming less power than the above-mentioned sleep mode level.

예를 들어 도 1은 NFC 모듈(190)을 포함하는 전자 선반 라벨(Electronic Shelf Label)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전자 선반 라벨은 매장의 선반에 부착되어 게이트웨이와 무선 통신을 통해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제품이다. 전자 선반 라벨은, 예를 들면 IEEE 802.15.4 표준에 따른 PHY/MAC 계층 위에서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구비하여,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통해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제어부(110)는 이러한 과정을 제어한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10)는 NFC 모듈(190)과 연결된다. For example, FIG. 1 show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shelf label including an NFC module 190. The electronic shelf label is attached to the shelf of the store, receives product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gateway, and displays product information. The electronic shelf label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70 operating according to a protocol defined on the PHY / MAC layer according to IEEE 802.15.4 standard, for example, and receives product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gateway, ).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is process.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the control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NFC module 190.

전자 라벨들은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그룹별로 상품 정보가 갱신된다. 동일한 게이트웨이를 통해 관리되는 전자 라벨들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라벨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전자 라벨들은 정보 갱신에 필요한 웨이크업(wakeup) 기간을 제외하고는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한다. 또 표시부(13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정보 표시 상태를 유지하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D: Electronic Paper Display)를 사용한다. The electronic label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nd the product information is updated for each group. Electronic labels managed through the same gateway can form a group.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label powered by the battery, the electronic labels remain in a sleep state except for the wakeup period required for information update. Further, the display unit 130 uses an electronic paper display (EPD: Electronic Paper Display) that maintains the information display state even if power is not supplied.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인가된 후 초기화를 위해,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로 전자 선반 라벨을 강제적으로 웨이크업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는 NFC 리더기가 내장된 스마트폰(180)일 수 있다. NFC 모듈(190)은 NFC 리더기로부터 공급되는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내부 커패시터를 충전하면 그 전원에 의해 활성화된다. 스마트폰(180)의 NFC 리더기로부터 수신한 웨이크업 정보 패턴을 인식하여 제어부(110)에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NFC 모듈(190)의 안테나는 전형적으로 코일 안테나이다. 이에 의해 슬립 상태에 있던 제어부,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터럽트가 인가되어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한다. 웨이크업 된 전자 라벨은 무선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웨이크업 채널을 스캔하여 게이트웨이를 탐색한다. 게이트웨이가 탐색되면 자신을 그 게이트웨이에 등록하는 라벨 활성화(activation) 동작을 수행한다. 최초 활성화 동작 후에 전자 라벨은 자신의 해당 데이터 채널에서 정보 질의 요구(Inquiry Request) 프레임 및 정보 질의 응답(Inquiry Response) 프레임을 송수신함에 의해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For initialization after power is applied via the battery,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forces the electronic shelf label to wake up. For example, the wireless wake up signal transmitter may be a smart phone 180 with an embedded NFC reader. The NFC module 190 receives a radio signal supplied from the NFC reader through the antenna and charges the internal capacitor, thereby being activated by the power source. Recognizes the wakeup information pattern received from the NFC reader of the smartphone 180 and generates a hardware interrupt to the control unit 110. [ Where the antenna of the NFC module 190 is typically a coil antenna. Thus, an interrupt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for example, the microprocessor in the sleep state to switch to the wake-up state. The wake-up electronic label scans the wake-up channel to discover the gateway to form a wireless network. When the gateway is searched, it performs a label activation operation of registering itself in the gateway. After the initial activation operation, the electronic label receives and displays product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30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frame and an information inquiry response frame in its corresponding data channel.

하지만 이러한 NFC 무선 통신 기술은 전자 기기를 웨이크업 시켜 주는 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is NFC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 device that wakes up an electronic device and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큰 안테나 사이즈1. Large antenna size

NFC 방식은 13.56MHz 의 비교적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고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에너지 전달 및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이므로 비교적 넓은 면적의 코일 안테나가 송신기, 수신기에 필요하다. 송신기로 생각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는 이러한 코일 안테나를 장착하기에 문제가 없다. 그러나 수신기가 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센서 기기의 경우 신용 카드와 같이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코일 안테나의 장착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에 작은 칩 형태로 신체에 이식하는 센서 기기의 경우 NFC 방식에서 요구되는 크고 넓은 면적의 코일 안테나를 적용하기 어렵다.
The NFC method uses a relatively low frequency of 13.56 MHz and uses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to perform energy transfer and communication. Therefore, a coil antenna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is required for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at can be considered as a transmitter has no problem in mounting such a coil antenna. However, in the case of a sensor device which can be a receiver, for example, a sufficient space such as a credit card may not be secured, so that mounting of the coil antenna may be difficult. For example, it is difficult to apply a large and large area coil antenna required for the NFC method in the case of a sensor device that is implanted into the body in the form of a small chip on the body.

2. 마스터 기기와의 호환성2. Compatibility with master device

NFC 방식으로 통신하려면 NFC 칩과 안테나 코일이 따로 추가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송신기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스마트폰의 경우 대부분 WiFi와 블루투스는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지만 NFC는 일부에만 탑재되어 있어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로 사용하려면 별도의 어댑터를 필요로 한다.
To communicate by NFC method, NFC chip and antenna coil must be added separately. Most of the smartphones that are convenient to use as a general transmitter are equipped with WiFi and Bluetooth as default, but NFC is only partially installed, so you need a separate adapter to use as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3. 기능에 비해 과도한 비용 상승3. Excessive cost over function

NFC는 비록 데이터 전송 속도가 낮고 통신 거리가 아주 짧지만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그런데 응용 분야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전자 기기에서 송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NFC 방식으로 전송하기에는 그 데이터 량이 너무 큰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별도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WIFI, BT, zigbee)를 추가로 구비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는 데이터 통신용과 별도로 슬립 상태에서 무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부품을 구비해야 하고, 이로 인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NFC i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although the data transmission rate is low and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very short. However, the data amount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is often too large to be transmitted by the NFC method although there may be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field. Therefore, a separate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FI, BT, zigbee)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data communication. As a result, the electronic device must have a communication component capable of receiving a wireless wakeup signal in a sleep state separately from the data communication, thereby incurring additional costs.

이러한 맥락에서 발명자들은 송신기와 수신기에서 부품의 추가를 회피하거나 최소화하고, 그러면서도 수면 모드 상태에 있는 전자 기기를 원하는 임의의 시점에서 즉시 웨이크업시킬 수 있으며, 신체에 이식하는 분야의 센서 기기와 같이 초소형 전자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수신 기술을 제안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In this context, the inventors can avoid or minimize the addition of components at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nd at the same time instantly wake up the electronic device in sleep mode at any desired time, We propose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chnology applicable to electronic device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안테나(290)와, 안테나(290)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그 고주파 반송 신호의 주파수 혹은 진폭의 변화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신호 검출부(210)와, 무선 신호 검출부(21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가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인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웨이크업 결정부(230)를 포함한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antenna 290, a wireless signal outputting a digital signal indicative of a change in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from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290, And a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for outputting an interrupt signal when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wireless signal detection unit 210 is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일 양상에 따르면, 고주파 반송 신호는 GHz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주파 반송 신호는 2.4 GHz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bluetooth, zigbee, WiFi 와 같은 많은 근거리 통신 표준들이 이 2.4 GHz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무선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와, 웨이크업 시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동일한 대역으로 사용함으로써 안테나의 공유가 가능해 진다. 또 송신기 입장에서는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익숙한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may be a signal in the GHz band. More specifically,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may be a signal in the 2.4 GHz band. Many local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and WiFi are using this 2.4 GHz band. The antenna can be shared by using the frequency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wakeup signal and the frequency used for data communication for wakeup in the same ba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for a transmitter to send out a wake-up signal using a familiar communication module used for data communic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신호 검출부(210)는 고주파 반송 신호의 진폭에 해당하는 포락선 신호(envelop signal)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파기일 수 있다. 포락선 신호는 고주파 반송 신호에 접하는 곡선 형태의 신호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 포락선 검파기는 다이오드, 커패시터 및 저항의 수동 소자로 구성된 다이오드 검파기일 수 있다. 일 예로, 포락선 검파기는 다이오드 정류 회로에 저역 통과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예에서, 포락선 검파기는 N 단계 정류기 회로(N stage Rectifier circuit) 를 통해 능동적인 증폭 과정 없이 수신된 RF 신호를 누적하여 신호를 키우면서 정류해준다. 이후 이 신호를 검출기(Detector)회로에서 비교기를 통해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0 혹은 1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In one embodiment,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may be an envelope detector that outputs an envelop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mplitude of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The envelope signal is a curved signal tangent to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n one embodiment, the envelope detector may be a diode detector consisting of a passive element of diodes, capacitors and resistors. As an example, the envelope detector may comprise a low-pass filter in the diode rectifier circuit. In another example, an envelope detector accumulates received RF signals without active amplification through an N stage rectifier circuit, rectifying and amplifying the signal. This signal is then compared with a reference voltage through a comparator in a detector circuit to produce a digital signal of zero or one.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락선 검파기는 최소한의 소자로 구성되므로 기존의 통신 SoC에 함께 집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포락선 검파기는 단일의 패키지에 집적된 별도 부품 형태일 수 있다. 어느 경우나 그 출력은 SoC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외부 인터럽트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SoC 칩 내부에 내장되면 추가적인 부품 구입비나 모듈 조립비가 없어진다. 그러나 이미 판매되어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수많은 전자 기기들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외부 부품 형태로 무선 웨이크업 수신기 칩이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nvelope detector is composed of a minimum number of elements and can be integrated together in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SoC. In another embodiment, the envelope detector may be in the form of a separate component integrated into a single package. In either case, the output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rupt terminal of the microprocessor inside the SoC. If the chip is embedded in the SoC chip, there is no need to purchase additional parts or assembly costs. However,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wireless wakeup receiver chip in the form of an external component in order to be applied to a large number of existing electronic apparatuses that have already been sold and used.

또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검출부는 고주파 반송 신호가 있는 구간에서는 최대 진폭 신호를, 없는 구간에서는 최소 진폭 신호를 출력하는 온 오프 키잉(On Off Keying) 방식의 포락선 검파기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최대 진폭 신호는 논리 '1'의 신호이고, 최소 진폭 신호는 논리 '0'의 신호이다. 즉, 무선 신호 검출부(210)는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0과 1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radio signal detector may be an on-off keying envelope detector that outputs a maximum amplitude signal in a section where a high-frequency carrier signal exists and a minimum amplitude signal in a section without a high-frequency carrier signal. In this embodiment, the maximum amplitude signal is a signal of logic '1' and the minimum amplitude signal is a signal of logic '0'. That is,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generates 0 and 1 digital signals from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antenna.

이 온 오프 키잉 실시예에서 무선 웨이크업 신호는 2.4GHz 반송파로 디지털 데이터를 진폭 변조(AM )하여 송출한다. '1'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2.4GHZ 정현파가 최대 진폭으로 전송되고, '0'의 구간에서는 이 정현파가 송출되지 않는다. 이의 검출에는 다이오드 검파기와 같은 수동 소자들로만 구성되는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on-off keying embodiment, the wireless wakeup signal amplitude-modulates (AM) digital data with a 2.4 GHz carrier. In order to transmit the data of '1', a 2.4 GHz sine wave is transmitted at the maximum amplitude, and the sine wave is not transmitted in the interval '0'. For detection, a circuit consisting only of passive elements such as a diode detector may be used.

웨이크업 결정부(230)는 무선 신호 검출부(210)에서 출력되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원하는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가 유입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종적인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웨이크업 결정부(230)는 아날로그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디지털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whether the desired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digital signals 0 and 1 output from the wireless signal detection unit 210, and generates a final interrupt signal.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may be implemented by an analog circuit or a digital circuit.

일 양상에 따르면, 웨이크업 결정부(230)는 최대 진폭 신호와 최소 진폭 신호의 지속 시간(duration)을 측정하여 디지털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무선 신호 검출부에서는 수신된 신호의 유무에 해당하는 구형파에 가까운 신호가 출력된다. 웨이크업 결정부는 고정된 구형파 신호 패턴을 검출하기 위해 RLC 수동소자를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1110001' 신호 패턴을 검출하기 위해 연속된 8개의 지연기를 구성하고, 각 지연기에 의해 지연된 신호들을 이 신호 패턴 값과 비교하는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can determine the digital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duration of the maximum amplitude signal and the minimum amplitude signal. In the radio signal detecting section, a signal close to a square wave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eceived signal is output.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may configure the circuit using RLC passive elements to detect a fixed square-wave signal patter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eight consecutive delay units to detect the signal pattern '11110001', and to configure a circuit that compares the signals delayed by each delay with the signal pattern value.

또다른 예로, 웨이크업 결정부(230)는 수신한 신호를 일정 시간 적분한 값이 기준치에 부합하는지 비교값을 출력하는 회로와, 그 비교값을 지연시켜 논리곱하는 회로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wake-up determining unit 230 may be implemented by a circuit for outputting a comparison value indicating whether a value obtained by integrating a received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meets a reference value, and a circuit for delaying the comparison value and performing a logical multiplication.

또다른 예로, 웨이크업 결정부(230)는 일정한 주기의 펄스를 각 신호 구간 동안 카운트하여 지속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웨이크업 결정부(230)는 일정한 주기의 펄스를 각 신호 구간 동안 카운트하여 지속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can measure the duration by counting pulses of a predetermined period during each signal period. More specifically,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may count a pulse of a predetermined period during each signal interval to measure the duration.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결정부(2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결정부(230)는 펄스발생부(310)와, 무선 신호 검출부(210)의 출력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 의해 리셋 및 인에이블되어 펄스 발생부(310)의 출력 펄스를 카운트하는 제 1 카운터(330)와, 무선 신호 검출부(210)의 출력을 반전하는 반전기(370)와, 무선 신호 검출부(210)의 출력의 상승 에지에 의해 리셋되고, 반전기(370)의 출력의 상승 에지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펄스 발생부(310)의 출력 펄스를 카운트하는 제 2 카운터(350)와, 제 1 카운터(330)의 카운트 값과 제 2 카운터(350)의 카운트 값이 기준 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비교기(390)를 포함한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wake-up determining unit 230 includes a pulse generating unit 310 and a rising edge of the output of the wireless signal detecting unit 210, A first counter 330 for counting the output pulses of the radio signal detecting unit 210 and an inverter 370 for inverting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ing unit 210.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ing unit 210 A second counter 350 which is enabled by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of the inverter 370 and counts the output pulses of the pulse generator 310, And a comparator 390 that compares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350 with a reference value.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카운터(330)는 일정한 간격으로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310)의 출력 펄스를 카운트하되, 무선 신호 검출부(210)의 출력이 논리 '1'인 동안 카운트한다. 제 1 카운터(330)는 무선 신호 검출부(210)의 출력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서 리셋되고, 인에이블되어 카운트를 시작하고, 무선 신호 검출부(210)의 출력의 하강 에지(falling edge)에서 카운트를 종료한 후, 다음 리셋때까지 카운트 값을 유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카운터(330)는 4비트 카운터로, 16개까지의 펄스를 카운트할 수 있다. 제 1 카운터(33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4비트 보다 작거나 큰 비트의 카운터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counter 330 counts the output pulses of the pulse generator 310 that outputs pulses at regular intervals, and counts the output pulse of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during a logic '1' period. The first counter 330 is reset at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and is enabled and starts counting and at the falling edge of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After the count is ended, the count value is held until the next rese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counter 330 is a 4-bit counter capable of counting up to 16 pulses. The first counter 33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counter of bits smaller or larger than 4 bits.

제 2 카운터(350)는 일정한 간격으로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310)의 출력 펄스를 카운트하되, 무선 신호 검출부(210)의 출력이 논리 '0'인 동안 카운트한다. 제 2 카운터(350)는 무선 신호 검출부(210)의 출력의 상승 에지에서 리셋되고, 그 출력의 하강 에지에서 인에이블되어 카운트를 시작하고, 무선 신호 검출부(210)의 출력의 다음 상승 에지에서 카운트를 종료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카운터(350)는 4비트 카운터로, 16개까지의 펄스를 카운트할 수 있다. 제 1 카운터(33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4비트 보다 작거나 큰 비트의 카운터일 수 있다.  The second counter 350 counts the output pulses of the pulse generator 310 that outputs pulses at regular intervals and counts while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is logic '0'. The second counter 350 is reset at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and is enabled at the falling edge of its output to start counting and counts at the next rising edge of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Lt; / RTI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cond counter 350 is a 4-bit counter capable of counting up to 16 pulses. The first counter 33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counter of bits smaller or larger than 4 bits.

비교기(390)는 제 1 카운터(330)의 값과 제 2 카운터(350)의 값을 계속 기준 패턴 값과 비교하고 있다. 제 1 카운터(330)의 값은 무선 신호 검출부(210)의 출력이 논리 '0'인 동안 최종 카운트값을 유지한다. 따라서 제 2 카운터(350)의 카운트값이 기준값과 일치하는 순간, 비교기에서 펄스가 출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외부 인터럽트(external interrupt)가 발생한다. The comparator 390 compares the value of the first counter 330 and the value of the second counter 350 with the reference pattern value. The value of the first counter 330 maintains the final count value while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is logic '0'. Therefore, when the count value of the second counter 350 coincides with the reference value, a pulse is outputted from the comparator and an external interrupt is generated in the microprocessor.

도시된 실시예는 논리 '1'인 구간의 길이와 그 다음 논리 '0인 구간의 길이로부터 웨이크업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개수의 연속한 논리'1', 논리 '0' 값의 구간의 길이를 사용할 수 있다.
The illustrated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to wake up from the length of the interval of logical '1' and the length of the next logical '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length of an arbitrary number of consecutive logical '1' and logical '0' values.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비교 도면이다. 도면에서 상단의 a) 는 웨이크업 패턴 정보를 도시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비교기의 기준 값 중 제 1 카운터값과 대응되는 값은 6~10ms 길이의 최대 진폭 신호에 해당하는 값일 수 있다. 즉,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서 최초 논리 '1'인 구간의 길이가 6~10ms 일 수 있다. 이는 상용화된 bluetooth, zigbee, WiFi 등의 무선 표준에서 가장 긴 연속 논리 '1' 신호의 길이가 5ms 이내이므로 이보다 충분히 긴 구간을 잡아 일반적으로는 볼 수 없는 신호를 상정한 것이다. 4 is a signal comparativ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In the drawing, a) at the top shows wake-up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spect,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nter value of the reference value of the comparator may be a value corresponding to a maximum amplitude signal having a length of 6 to 10 ms. That is, the length of the interval of the first logic '1' in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may be 6 to 10 ms.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longest continuous logic '1' signal in a commercial Bluetooth standard such as bluetooth, zigbee, or WiFi is less than 5 ms.

무선 신호 검출부(210)는 단순한 정류기 및/또는 포락선 검파기 정도로 구현되므로 무선 반송파(RF carrier)의 주파수의 변화에 둔감하므로 송신기에서 따로 통신 채널 설정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또 각종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 장치들의 다양한 변조 방식에도 매우 둔감하여 서로간에 구별할 수 없고 단지 대략 2GHz 대역의 RF 신호의 시간적인 존재 유무에 대한 구별만 가능하다. 그래서 무선 웨이크업 신호는 상용화된 각종 근거리 무선통신 패킷 신호들과의 구별을 위해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표준들의 최대로 긴 패킷 길이보다 최초 논리 '1'인 구간의 길이를 충분히 더 길게 설정한다. 그리고 이후 추가적인 변별력을 위해 논리 '0'인 구간과 논리 '1'인 구간을 적절한 길이로 추가하는 것은 선택 사항이다.  Since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is implemented as a simple rectifier and / or an envelope detector, it is insensitive to a change in the frequency of a radio carrier (RF carrier), so that it is unnecessary to separately set a communication channel in the transmitter. In addition, it is very insensitive to various modulation schemes of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devices, so that they can not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only distinction can be made as to whether or not the RF signal in the approximately 2 GHz band exists temporally. Thus, the wireless wakeup signal sets the length of the first logic '1' longer than the maximum long packet length of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to distinguish it from the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acket signals. It is then optional to add an interval of logical '0' and an interval of logical '1' to an appropriate length for additional discrimination.

특히 웨이크업 결정부(230)가 아날로그 회로로 구현되는 경우 특정 패턴의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해 단지 각 신호 구간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인지 아닌지 정도를 구별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is implemented as an analog circui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length of each signal sec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in order to distinguish data of a specific pattern.

도 4에서 a)는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 b)는 안테나로 수신되어 무선 신호 검출부로 유입되는 RF 신호, c)는 무선 신호 검출부의 출력 신호, d)는 웨이크업 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들 및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인터럽트 신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4),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b) is an RF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d fed to the radio signal detecting unit, c) is an output signal of the radio signal detecting unit, and d) is a signal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ke- And the finally output interrupt signal.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종래 무선통신 표준 패킷과의 구별을 위해 무선 웨이크업 신호의 처음 논리 '1'의 길이는 충분한 마진 시간인 6~10ms 정도로 설정하였고 이후 추가적인 '0'의 길이를 설정하였다. 안테나로 b)와 같은 RF OOK 신호가 유입되면 무선 신호 검출부를 거치면서 c)와 같은 디지털 출력 신호를 얻게 된다. 이후 디지털로 구현된 웨이크업 결정부에서는 저전력 클럭으로 신호를 샘플링하여 논리 '1' 과 논리 '0 의 구간의 길이를 측정하여 정해진 무선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의 패턴과 유사하다고 판정될 경우 출력으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정해지는 개수의 지연기를 추가함으로써 추가적인 논리 '1' 구간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first logic '1' of the wireless wakeup signal is set to about 6 to 10 ms, which is a sufficient margin time, in order to distinguish from the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packet, and then an additional length of '0' is set. When an RF OOK signal such as b) is input to the antenna, a digital output signal such as c) is obtained while passing through a radio signal detecting unit. Then, the digital wake-up determination unit samples a signal with a low-power clock to measure the length of a period between logic '1' and logic '0'. If it is determined to be similar to the pattern of the determined wireless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Signal.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length of the additional logic '1' period can be measured by adding the number of delay unit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도 4의 d)에서 펄스열은 도 3에서 펄스 발생부(310)의 출력을 도시한다. 제 1 카운터(330)는 앞의 긴 논리 '1' 구간의 길이를 측정하는데, 카운트 값은 11이다. 제 2 카운터(350)는 그 다음 연속하는 짧은 논리 '0'의 구간의 길이를 측정하는데, 카운트 값은 3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실시예는 제 1,2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각각 '11', '3'이면 그 출력에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도록 작동한다. The pulse train in FIG. 4D shows the output of the pulse generator 310 in FIG. The first counter 330 measures the length of the preceding long logic '1' interval, and the count value is 11. The second counter 350 measures the length of the interval of the next consecutive short logic '0', the count value being 3. As shown in FIG. 3, the embodiment of FIG. 3 operates to generate an interrupt signal at its output if the count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nters are '11' and '3', respectively.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펄스 발생부(310)는 RC 클럭 발생회로일 수 있다. 디지털 회로 동작을 위해서는 클럭이 필요한데 수면 모드 동작시의 클럭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MHz ~ 수십MHz 의 결정(X tal) 클럭 발생기가 아닌 저전력 & 저주파수(보통 수kHz~수십kHz) 특성을 갖는 RC 클럭 발생기를 사용한다.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the pulse generating section 310 may be an RC clock generating circuit. The clock for the digital circuit operation is required. The clock for the sleep mode operation is an RC clock having a low power & low frequency (usually several kHz to several tens of kHz) characteristics rather than a commonly used X-tal clock generator of several MHz to several tens MHz Generators are used.

또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웨이크업 결정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립 모드와 활성 모드를 가진 전자기기는 전원공급부도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와 활성 모드 전원공급부로 구분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부품들은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부품 자체가 슬립 모드와 활성 모드에서 동작 전원이나 동작 클럭이 상이한 것들이 있다.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는 슬립 모드에서 작동하는 부품들에만 슬립 모드의 전원을 공급한다. 활성 모드 전원공급부는 활성 모드에서 작동하는 부품 전체에 활성 모드에 해당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는 단지 저전력만을 소모하면서 저전력을 공급한다.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Th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leep mode and the active mode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is divided into a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and an active mode power supply unit. Some components have different operating power or operating clocks in the sleep mode and active mode in order to make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t. The sleep mode power supply supplies sleep mode power only to parts operating in the sleep mode. The active mode power supply supplies power corresponding to the active mode to all of the components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The sleep mode power supply only supplies low power while consuming only low power.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충전부의 출력을 정류하여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로 공급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슬립 모드에서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소모하지 않고, 단지 충분한 세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그 무선 신호로부터 전원을 충전하여 작동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charging unit that charges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a rectifier that rectifies the output of the charging unit and supplies the rectified output to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Therefore,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does not consume power from the battery in the sleep mode, but starts charging by charging the power source from the radio signal when receiving the radio signal of sufficient strength.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선 신호 검출부(210)는 안테나(290)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주파수가 제 1 주파수일 때 최대 진폭 신호를, 제 2 주파수일 때 최소 진폭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복조부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무선 신호 검출부(210)는 주파수 변조 방식의 신호를 검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최대 진폭 신호는 논리 '1'의 신호이고, 최소 진폭 신호는 논리 '0'의 신호이다. 즉, 무선 신호 검출부(210)는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0과 1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2,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radio signal detecting unit 210 detects a maximum amplitude signal when the frequency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290 is the first frequency and a minimum amplitude signal when the frequency is the second frequency And a frequency demodulator for outputting the frequency demodulated signal. That is,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detects a signal of a frequency modulation scheme. In this embodiment, the maximum amplitude signal is a signal of logic '1' and the minimum amplitude signal is a signal of logic '0'. That is,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generates 0 and 1 digital signals from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antenna.

주파수 복조부는 주파수 판별 회로, 위상 판별 회로 등 다양한 방식이 알려져 있다. 제안된 발명에서는 상당히 긴 펄스폭을 통해 단지 '0'과 '1'의 두 가지 정보가 전달되므로, 간단한 주파수 판별 회로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The frequency demodulator is known in various ways such as a frequency discrimination circuit and a phase discrimination circuit. In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only two information '0' and '1' are transmitted through a considerably long pulse width, it can be implemented by a simple frequency discrimination circuit.

무선 신호 검출부(210)가 주파수 복조 방식일 경우에도 그 출력은 진폭 변조 방식인 경우와 동일하므로, 웨이크업 결정부(230)는 진폭 변조 방식인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웨이크업 결정부(230)는 최대 진폭 신호와 최소 진폭 신호의 지속 시간(duration)을 측정하여 디지털 신호를 판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웨이크업 결정부(23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Even when the radio signal detector 210 is a frequency demodulation system, its output is the same as that of the amplitude modulation system, and thus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mplitude modulation system. That is,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can determine the digital signal by measuring the duration of the maximum amplitude signal and the minimum amplitude signal.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in this embodiment is omitted.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웨이크업 결정부(230)가 디지털로 구현될 경우, 펄스 발생부(310)는 RC 클럭 발생회로일 수 있다. 디지털 회로 동작을 위해서는 클럭이 필요한데 수면 모드 동작시의 클럭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MHz ~ 수십MHz 의 결정(X tal) 클럭 발생기가 아닌 저전력 & 저주파수(보통 수kHz~수십kHz) 특성을 갖는 RC 클럭 발생기를 사용한다.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when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230 is implemented in a digital manner, the pulse generation unit 310 may be an RC clock generation circuit. The clock for the digital circuit operation is required. The clock for the sleep mode operation is an RC clock having a low power & low frequency (usually several kHz to several tens of kHz) characteristics rather than a commonly used X-tal clock generator of several MHz to several tens MHz Generators are used.

또 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웨이크업 결정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립 모드와 활성 모드를 가진 전자기기는 전원공급부도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와 활성 모드 전원공급부로 구분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부품들은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부품 자체가 슬립 모드와 활성 모드에서 동작 전원이나 동작 클럭이 상이한 것들이 있다. 슬립 모두 전원공급부는 슬립 모드에서 작동하는 부품들에만 슬립 모드의 전원을 공급한다. 활성 모드 전원공급부는 활성 모드에서 작동하는 부품 전체에 활성 모드에 해당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는 단지 저전력만을 소모하면서 저전력을 공급한다.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Th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leep mode and the active mode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is divided into a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and an active mode power supply unit. Some components have different operating power or operating clocks in the sleep mode and active mode in order to make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t. Sleep All The power supply supplies sleep mode power only to components operating in sleep mode. The active mode power supply supplies power corresponding to the active mode to all of the components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The sleep mode power supply only supplies low power while consuming only low power.

또다른 양상에 따라, 이 실시예에 따른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충전부의 출력을 정류하여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로 공급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슬립 모드에서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소모하지 않고, 단지 충분한 세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그 무선 신호로부터 전원을 충전하여 작동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output of the charging unit and supplying the rectified output to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Therefore,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does not consume power from the battery in the sleep mode, but starts charging by charging the power source from the radio signal when receiving the radio signal of sufficient strength.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송신기는 일 예로,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산업용 개인 휴대 단말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는 고주파 반송 신호(carrier signal)의 주파수 혹은 진폭을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고주파 반송 신호는 GHz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기의 안테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고주파 반송 신호는 데이터 통신용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반송 신호는 2.4 GHz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이는 bluetooth, zigbee, WiFi 등 범용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대역이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ansmitter shown in Fig. 5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an industri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one aspect,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modulates the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according to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Here,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may be a signal in the GHz band. Thus, the antenna size of the receiver can be reduc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may be a signal of a band for data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may be a signal in the 2.4 GHz band. It is a band used in general-purpos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zigbee, and WiFi.

도 5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zigbee, WiFi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기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두뇌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와, 그 주변 장치 및 입출력 장치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3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이다. 메모리(150)는 대용량의 플래쉬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In FIG. 5,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70 i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chemes such as zigbee and WiFi may be applied. The control unit 110 is a brai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s a whole and execut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ulticore processor, its peripheral devices, and input / output device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splay portion 130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The memory 150 may be implemented as a large-capacity flash memory.

즉,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는 메모리(150)에 저장되고 제어부(11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근거리 통신 모듈(17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고주파 반송 신호의 주파수 혹은 진폭을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변조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뎀부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웨이크업 신호 송신 외에 데이터 통신에도 겸용으로 사용된다. That is,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of the electronic device is stored in the memory 150 and i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controller 110,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170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wake- Up pattern information to contro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em unit so as to modulate the up-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aspec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70 is used for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wake-up signal transmiss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는 고주파 반송 신호의 진폭을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송신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응용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170)의 출력이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정해지는 소정의 지속 시간 동안 일정한 주기의 정현파 혹은 구형파가 되도록 제어한다. 블루투스 모듈의 경우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이지만, 의도적으로 생성된 정보를 동일한 채널로 송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주기의 정현파 혹은 구형파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는 디지털 데이터이므로, 진폭 변조의 경우에도 단지 진폭이 논리 '1'인 경우와 논리 '0' 인 경우 밖에 없으므로, 정현파 출력의 온 오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고주파 반송 신호의 출력 여부를 단속하여 온 오프 키잉(On Off Keying)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면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는 초기에 진폭 최대값, 에 대응하는 값을 연속적으로 가지는 식별 헤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modulates and transmits the amplitude of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according to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For this,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utput of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70 to be a sine wave or a square wave of a predetermined period for a predetermined dur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application program. In the case of the Bluetooth module, the GFSK (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is used. However,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nusoidal wave or a square wave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by controlling intentionally generat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on the same channel. Since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is digital data, even in the case of amplitude modulation, it can be controlled by on / off of the sinusoidal output, since the amplitude is only in the case of the logic '1' and the case of the logic '0'. That is, it may be controlled so as to operate in an on-off keying manner by interrupting the output of the high-frequency carrier signal according to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At this time, for the reason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may have an identification header section having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amplitude maximum value at the beginning.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를 FSK(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하여 송신할 수 있다. 출력되는 정보가 디지털 정보이고 그 정보 량이 매우 적고 저속이므로, 동일한 블루투스 모듈을 상이한 방식으로 제어함에 따라, 주파수 변조를 구현할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주파수 변조된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는 단지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두 가지 정현파가 교번하여 출력되는 형태로 송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은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반송 신호의 주파수 차이가 최대인 두 채널로 교번하여 일정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블루투스 모뎀을 제어한다. 블루투스 4.0 표준은 2.400 ~ 2.4835 GHz 대역에서 2MHz 단위로 40개의 채널을 정의한다. 따라서 가장 주파수가 낮은 채널은 2.402 GHz 이고, 가장 주파수가 높은 채널은 2.480 GHz 이다. 이 두 채널로 교번하여 정현파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신하는 수신기에서는 채널을 구분하지 못하고 단지 두 가지 주파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can be modulated by FSK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and transmitted. Since the information to be output is digital information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thereof is very small and low speed, frequency modulation can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same Bluetooth module in a different manner. In a simple embodiment, the frequency modulated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is sent out in such a form that only two sine waves with different frequencies are alternately outpu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rogram controls the Bluetooth modem to transmit certain information alternately to the two channels having the greatest frequency difference of the carrier signal according to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The Bluetooth 4.0 standard defines 40 channels in 2MHz increments in the 2.400 to 2.4835 GHz band. Therefore, the channel with the lowest frequency is 2.402 GHz, and the channel with the highest frequency is 2.480 GHz. By controlling the sine wave to be alternately outputted by these two channels,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radio signal of only two frequencies without distinguishing the channel in the receiving receiver.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로, 전자 선반 라벨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전자기기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를 구비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전자기기는 안테나(630)와, 이 안테나(630)로부터 무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와, 장치 전반을 제어하되, 상기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의 출력에 의해 전자기기를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대응되는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참조된다.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shelf lab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has a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690. According to an aspect,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n antenna 630, a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690 that receives a wireless wake up signal from the antenna 630, and a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690 to the wake-up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Parts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are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제어부(110)가 아직 슬립 모드에 있을 때,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280)로부터 무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10)에 포함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외부 인터럽트 단자에 신호를 인가하여 하드웨어 인터럽트 루틴의 실행을 촉발(trigger)한다. 제어부(11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별도의 데이터 통신 모듈(170)을 구비한다. 그러나 추가되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는 추가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 모듈(170), 제어부(110), 메모리(150)는 하나의 시스템 온 칩(SoC : system on chip)으로 구성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까지 이 시스템 온 칩에 함께 집적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통신 모듈(170)은 zigbee 통신 모듈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bluetooth와 같은 다른 근거리 통신 방식의 모듈뿐 아니라, WiFi, LTE, Wibro 와 같은 비교적 원거리의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110 is still in the sleep mode, the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690 receives the wireless wake up signal from the wireless wake up signal transmitter 280 and controls the external interrupt terminal of the microprocessor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10 And triggers the execution of the hardware interrupt routine.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 separate data communication module 170 for data communication. However, the added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690 has a simple enough structure to be able to reduce the added cost. In one embodiment,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70, the controller 110, and the memory 150 are configured as one system-on-chip (SoC). In yet another embodiment, up to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690 may be integrated together in a system on chip.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70 is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a module of another local communication type such as bluetooth, as well as a relatively remot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Fi, LTE and Wibro.

또 데이터 통신용 무선통신 수단인 데이터 통신 모듈(170)과,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는 공간의 제약이 크지 않을 때는 각각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으나, 공간의 제약이 있는 경우나 다른 필요성이 있을 때 하나의 공통 안테나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공통 안테나와 두 개의 무선 통신 모듈간의 신호 경로를 스위칭 하는 RF 스위치가 필요하다. 무선 웨이크업 수신기 회로가 무선 SoC 내부에 하나의 칩으로 구현된 경우에는 이 RF 스위치도 함께 집적될 수도 있다. Further,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70 and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690, which ar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data communication, may each have separate antennas when space is not restricted. However, One common antenna may be shared and used. In this case, an RF switch is needed to switch the signal path between one common antenna and two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If the wireless wakeup receiver circuit is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inside a wireless SoC, the RF switch may also be integrated.

일 양상에 따르면, 전자 기기는 데이터 통신 모듈용 안테나(610)와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용 안테나(630)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n antenna 610 for a data communication module and an antenna 630 for a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자기기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에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립 모드와 활성 모드를 가진 전자기기는 전원공급부도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와 활성 모드 전원공급부로 구분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부품들은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부품 자체가 슬립 모드와 활성 모드에서 동작 전원이나 동작 클럭이 상이한 것들이 있다. 슬립 모두 전원공급부는 슬립 모드에서 작동하는 부품들에만 슬립 모드의 전원을 공급한다. 활성 모드 전원공급부는 활성 모드에서 작동하는 부품 전체에 활성 모드에 해당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leep mode power supply 6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690. [ Th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leep mode and the active mode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is divided into a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and an active mode power supply unit. Some components have different operating power or operating clocks in the sleep mode and active mode in order to make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t. Sleep All The power supply supplies sleep mode power only to components operating in sleep mode. The active mode power supply supplies power corresponding to the active mode to all of the components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또다른 양상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65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충전하는 충전부(651)와, 충전부(651)의 출력을 정류하여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로 공급하는 정류부(65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슬립 모드에서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소모하지 않고, 단지 충분한 세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그 무선 신호로부터 전원을 충전하여 작동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leep mode power supply 650 includes a charging unit 651 for charg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a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655 for rectifying the output of the charging unit 651, And a rectifying unit 653 for supplying the rectified voltage to the rectifying unit 653. Therefore,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does not consume power from the battery in the sleep mode, but starts charging by charging the power source from the radio signal when receiving the radio signal of sufficient strength.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650)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부품들(always on parts)에 전원을 공급하는, 예를 들면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로 구현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650 may be implemented as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for example, that supplies power to the always on parts including the control unit 110 .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로, 전자 선반 라벨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RF 스위치(710)는 공통 안테나(700)를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용의 데이터 통신 모듈(170)로의 경로 또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로의 경로 스위칭 한다 스위칭 한다. 전자기기, 즉 여기서는 전자 선반 라벨이 슬립 모드일 때, 일 양상에 따라 RF 스위치(7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 측으로 경로를 연결한다. 무선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고 제어부(110)가 하드웨어 인터럽트에 따라 웨이크업 하면, 제어부(110)는 데이터 통신 모듈(170)을 통해 게이트웨이와 통신하기 위해 RF 스위치(710)를 데이터 통신 모듈(170) 측으로 경로를 연결하도록 스위칭 한다.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shelf lab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F switch 710 switches the path to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70 for data communication or to the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690, which communicates the common antenna 700 wirelessly with the external device. do. When the electronic device, in this case the electronic shelf label, is in the sleep mode, the RF switch 710,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routes the path to the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690 side as shown. When the wireless wakeup signal is received and the controller 110 wakes up according to a hardware interrupt,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RF switch 710 to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70 to communicate with the gateway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70. [ To switch the path to the other side.

이 양상에 따르면, 슬립 모드에서 공통 안테나(700)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690)측 경로로 연결된다. 웨이크업 되면 제어부(110)는 공통 안테나(700)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모듈(170)측 경로로 연결한다.  According to this aspect, in the sleep mode, the common antenna 700 is connected to the path of the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690 side. The controller 110 connects the common antenna 700 to the path of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170 for data communication.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자기기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leep mod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충전부의 출력을 정류하여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로 공급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슬립 모드에서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소모하지 않고, 단지 충분한 세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그 무선 신호로부터 전원을 충전하여 작동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similar to the above embodiment, the sleep mode power supply may include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output of the charging unit and supplying it to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have. Therefore,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does not consume power from the battery in the sleep mode, but starts charging by charging the power source from the radio signal when receiving the radio signal of sufficient strength.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로부터 자명하게 도출될 수 있는 많은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청구 범위는 의도되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48)

안테나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그 고주파 반송 신호의 주파수 혹은 진폭의 변화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신호 검출부와;
무선 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가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인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웨이크업 결정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An antenna;
A radio signal detector for outputting a digital signal indicating a change in frequency or amplitude of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from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 wake-up determination unit for outputting an interrupt signal when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wireless signal detection unit is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고주파 반송 신호는
GHz 대역의 신호인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A wireless wake - up signal receiver of an electronic device which is a signal in the GHz band.
제 2 항에 있어서, 고주파 반송 신호는
2.4 GHz 대역의 신호인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A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a signal in the 2.4 GHz band.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신호 검출부는
고주파 반송 신호의 진폭에 해당하는 포락선 신호(envelop signal)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파기인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o signal detector
A radio wakeup signal receiver of an electronic device, which is an envelope detector for outputting an envelope signal corresponding to an amplitude of a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신호 검출부는
고주파 반송 신호가 있는 구간에서는 최대 진폭 신호를, 없는 구간에서는 최소 진폭 신호를 출력하는 온 오프 키잉(On Off Keying) 방식의 포락선 검파기인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o signal detector
An on-off keying envelope detector for outputting a maximum amplitude signal in a section where a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s present and a minimum amplitude signal in a section without a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신호 검출부는
수동 소자들만으로 구성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o signal detector
A wireless wake - up signal receiver of an electronic device consisting solely of passive components.
제 5 항에 있어서, 웨이크업 결정부는
최대 진폭 신호와 최소 진폭 신호의 지속 시간(duration)을 측정하여 디지털 정보를 판별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wake-
A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a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digital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duration of a maximum amplitude signal and a minimum amplitude signal.
제 7 항에 있어서, 웨이크업 결정부는
일정한 주기의 펄스를 각 신호 구간 동안 카운트하여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wake-
A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measures a duration by counting pulses of a constant period for each signal interval.
제 8 항에 있어서, 웨이크업 결정부는:
펄스발생부와;
무선 신호 검출부의 출력이 논리 '1'인 동안 펄스 발생부의 출력 펄스를 카운트하는 제 1 카운터와;
무선 신호 검출부의 출력이 논리 '0'인 동안 펄스 발생부의 출력 펄스를 카운트하는 제 2 카운터와; 그리고
제 1 카운터의 카운트 값과 제 2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해당하는 기준 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비교기;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wake-
A pulse generating unit;
A first counter for counting output pulses of the pulse generator while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or is logic '1';
A second counter for counting the output pulses of the pulse generator while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or is logic '0'; And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count value of the first counter and the count value of the second counter with a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비교기의 기준 값 중 제 1 카운터값과 대응되는 값은 6~10ms 길이의 최대 진폭 신호에 해당하는 값인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10.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claim 9, wherein a value corresponding to a first counter value of the reference value of the comparator is a value corresponding to a maximum amplitude signal having a length of 6 to 10 ms.
제 9 항에 있어서, 펄스 발생부는 RC 클럭 발생 회로인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10.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claim 9, wherein the pulse generator is an RC clock generator circuit.
제 9 항에 있어서,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웨이크업 결정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A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And a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충전부의 출력을 정류하여 공급하는 정류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sleep mode power supply comprises: a charging unit charg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and supplying the output of the charging unit;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신호 검출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의 주파수가 제 1 주파수일 때 최대 진폭 신호를, 제 2 주파수일 때 최소 진폭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복조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o signal detector comprises:
And a frequency demodulator for outputting a maximum amplitude signal when the frequency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is the first frequency and a minimum amplitude signal when the frequency is the second frequency.
제 14 항에 있어서, 웨이크업 결정부는 최대 진폭 신호와 최소 진폭 신호의 지속 시간(duration)을 측정하여 디지털 신호를 판별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15.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claim 14, wherein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 digital signal by measuring a duration of a maximum amplitude signal and a minimum amplitude signal.
제 14 항에 있어서, 웨이크업 결정부는 일정한 주기의 펄스를 각 신호 구간 동안 카운트하여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15.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claim 14, wherein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measures the duration by counting pulses of a predetermined period during each signal period.
제 16 항에 있어서, 웨이크업 결정부는 :
펄스발생부와;
무선 신호 검출부의 출력이 논리 '1'인 동안 펄스 발생부의 출력 펄스를 카운트하는 제 1 카운터와;
무선 신호 검출부의 출력이 논리 '0'인 동안 펄스 발생부의 출력 펄스를 카운트하는 제 2 카운터와; 그리고
제 1 카운터의 카운트 값과 제 2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해당하는 기준 값과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비교기;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17. The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wake-
A pulse generating unit;
A first counter for counting output pulses of the pulse generator while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or is logic '1';
A second counter for counting the output pulses of the pulse generator while the output of the radio signal detector is logic '0'; And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count value of the first counter and the count value of the second counter with a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17 항에 있어서, 펄스 발생부는 RC 클럭 발생 회로인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18.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claim 17, wherein the pulse generator is an RC clock generator circuit.
제 17 항에 있어서,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는 수신기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18. The system of claim 17, wherein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comprises: a sleep mod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entire receiver; And a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19 항에 있어서,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충전부의 출력을 정류하여 공급하는 정류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20. The apparatus of claim 19, wherein the sleep mode power supply comprises: a charging unit charg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and supplying the output of the charging unit;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of the electronic device.
고주파 반송 신호(carrier signal)의 주파수 혹은 진폭을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송신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A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modulates and transmits the frequency or amplitude of a high-frequency carrier signal according to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제 21 항에 있어서, 고주파 반송 신호는 GHz 대역의 신호인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22.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of claim 21, wherein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s a GHz band signal.
제 21 항에 있어서, 고주파 반송 신호는 데이터 통신용 대역의 신호인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22.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of claim 21, wherein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s a signal for a data communication band.

제 21 항에 있어서, 고주파 반송 신호는 2.4 GHz 대역의 신호인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22.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of claim 21 wherein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s a signal in the 2.4 GHz band.
제 21 항에 있어서, 고주파 반송 신호의 진폭을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송신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of claim 21, wherein the amplitude of the high-frequency carrier signal is modulated according to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and transmitted.
제 25 항에 있어서,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고주파 반송 신호의 출력 여부를 단속하여 온 오프 키잉(On Off Keying)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according to claim 25, wherein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controls whether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s output according to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so as to operate in an on-off keying manner.
제 25 항에 있어서,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는 초기에 진폭 최대값에 대응하는 값을 연속적으로 가지는 식별 헤더 구간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26.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of claim 25, wherein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has an identification header interval that is initially consecutive with a value corresponding to an amplitude maximum value.
제 25 항에 있어서, 식별 헤더 구간은 6~10ms 길이를 가지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26.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of claim 25, wherein the identification header duration is 6-10 ms long.
제 21 항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가
프로세서;
비임시성(non transit) 메모리;
고주파 반송파를 변조하는 근거리 통신 모뎀부;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 모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고주파 반송 신호의 주파수 혹은 진폭을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변조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뎀부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electronic wakeup signal transmitter
A processor;
Non-transit memory;
A local communication modem unit for modulating the high frequency carrier wave; And,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to contro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em unit so that a signal output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em unit modulates a frequency or an amplitude of a high-frequency carrier signal according to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뎀부는 웨이크업 신호 송신 외에 데이터 통신에도 겸용으로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of claim 29, where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em unit is also used for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wake-up signal transmission.
제 29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모뎀부가 일정한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그 출력 여부를 단속하여 온 오프 키잉(On Off Keying)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The wireless wakeup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program controls the modem to output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controls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제 29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를 FSK(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하여 송신하도록 모뎀부를 제어하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30.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program controls the modem unit to modulate the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a FSK (Frequency Shift Keying) method.
제 29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디지털 웨이크업 패턴 정보에 따라 반송 신호의 주파수 차이가 최대인 두 채널로 교번하여 일정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모뎀부를 제어하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송신기.
The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program controls the modem unit to transmit certain information alternately to two channels having a frequency difference of a carrier signal of the maximum according to digital wake-up pattern information.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무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항에 따른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와; 그리고
장치 전반을 제어하되, 상기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의 출력에 의해 전자기기를 웨이크업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An antenna;
A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claim 1 for receiving a wireless wake up signal from the antenna;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ntire apparatu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electronic equipment in a wakeup mode by an output of the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
제 34 항에 있어서, 전자기기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모듈과;
상기 안테나를 데이터 통신 모듈 또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로의 경로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되, 슬립 모드에서는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 측 경로로 안테나를 연결하는 RF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35.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34,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es:
A dat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 RF switch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antenna to one of a path to a data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and for connecting an antenna to a path of a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in a sleep mode; Further comprising: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슬립 모드에서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가 무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웨이크업 하면 RF 스위치를 데이터 통신 모듈 측으로 경로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The apparatus of claim 35, wherein the control unit
In the sleep mode, when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receives a wireless wake-up signal, the wake-up controller controls the RF switch to connect to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side.
제 34 항에 있어서, 전자기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전자기기.
35.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34,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es: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wireless wake up signal receiver use the same frequency band.
제 34 항에 있어서, 고주파 반송 신호는 GHz 대역의 신호인 전자기기.
35.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s a GHz band signal.
제 34 항에 있어서, 고주파 반송 신호는 2.4 GHz 대역의 신호인 전자기기.
35.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34, wherein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s a signal in the 2.4 GHz band.
제 34 항에 있어서, 무선 신호 검출부는 고주파 반송 신호의 진폭에 해당하는 포락선 신호(envelop signal)를 출력하는 포락선 검파기인 전자기기.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radio signal detector is an envelope detector for outputting an envelo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mplitude of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제 34 항에 있어서, 무선 신호 검출부는 고주파 반송 신호가 있는 구간에서는 최대 진폭 신호를, 없는 구간에서는 최소 진폭 신호를 출력하는 온 오프 키잉(On f Keying) 방식 복조기인 전자기기.
The electronic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34, wherein the radio signal detector is an on-off keying demodulator that outputs a maximum amplitude signal in a section where a high-frequency carrier signal exists and a minimum amplitude signal in a section without a high-frequency carrier signal.
제 34 항에 있어서, 무선 신호 검출부는 수동 소자만으로 구성된 전자기기.
35.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radio signal detecting unit comprises only passive elements.
제 34 항에 있어서, 웨이크업 결정부는 최대 진폭 신호와 최소 진폭 신호의 지속 시간(duration)을 측정하여 디지털 신호를 판별하는 전자기기.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digital signal by measuring the duration of the maximum amplitude signal and the minimum amplitude signal.
제 43 항에 있어서, 웨이크업 결정부는 일정한 주기의 펄스를 각 신호 구간 동안 카운트하여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전자기기.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3, wherein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counts pulses of a predetermined period for each signal period to measure the duration.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웨이크업 결정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The apparatus of claim 34,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es: a sleep mod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wake-up determin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제 45 항에 있어서, 슬립 모드 전원공급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충전부의 출력을 정류하여 무선 웨이크업 신호 수신기로 공급하는 정류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46. The apparatus of claim 45, wherein the sleep mode power supply comprises: a charging unit charg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output of the charging unit and supplying the rectified output to the wireless wake-up signal receiver; .
제 34 항에 있어서, 무선 신호 검출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그 고주파 반송 신호의 주파수가 제 1 주파수일 때 최대 진폭 신호를, 제 2 주파수일 때 최소 진폭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복조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35. The apparatus of claim 34, wherein the radio signal detector comprises:
A frequency demodulator for outputting a maximum amplitude signal when the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s the first frequency and a minimum amplitude signal when the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carrier signal is the second frequency from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
제 47 항에 있어서, 주파수 복조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제 1 시정수(time constant)에 의해 적분하는 제 1 적분기와;
적분기의 출력을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기;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49. The apparatus of claim 47, wherein the frequency demodulator comprises:
A first integrator for integrating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by a first time constant;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output of the integrator with a reference value;
.




KR1020150076338A 2014-11-29 2015-05-29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receiver for the same KR2016006573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229 2014-11-29
KR20140169229 2014-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732A true KR20160065732A (en) 2016-06-09

Family

ID=5613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338A KR20160065732A (en) 2014-11-29 2015-05-29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receiver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5732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766A1 (en) * 2016-12-01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wakeup packet in wireless lan system
WO2018131883A1 (en) * 2017-01-10 2018-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akeup packet in wireless lan system
WO2018182131A1 (en) * 2017-03-30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ing same
WO2019006030A1 (en) * 2017-06-27 2019-01-03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support compatible low rate for wake-up radio packet transmission
KR20190050182A (en) * 2017-11-02 2019-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KR102208952B1 (en) * 2019-11-28 2021-01-2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low power wake-up protocol based on variable OOK modulation for IoT devices and method therefo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766A1 (en) * 2016-12-01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wakeup packet in wireless lan system
WO2018131883A1 (en) * 2017-01-10 2018-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akeup packet in wireless lan system
WO2018182131A1 (en) * 2017-03-30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ing same
WO2019006030A1 (en) * 2017-06-27 2019-01-03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support compatible low rate for wake-up radio packet transmission
KR20190050182A (en) * 2017-11-02 2019-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KR102208952B1 (en) * 2019-11-28 2021-01-2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low power wake-up protocol based on variable OOK modulation for IoT devices and method therefor
US11246096B2 (en) 2019-11-28 2022-02-08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using OOK modulation based low power wake-up protoc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5732A (en) wireless wakeup signal transmitter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receiver for the same
US10141785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2047963B1 (en) Wireless charge apparatus and wirelss charge method
KR101752378B1 (en) Wireless device detection an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US9941980B2 (en) Body coupled communication device with synchronization
US8909150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N104517083B (en) A kind of electronic tag and its control method
EP32381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harvest from a proximity coupling device
US20040155755A1 (en) Low-power passive transponder
US20160190818A1 (en) Power receiver control circuit, control method of wireless power receiver,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5469006B (en) A kind of electronic tag awakening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tag
CN111742323A (en) Method for wirelessly supplying energy by means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RFID system
WO2016196045A1 (en) Low power ultra-wide-band transmitter
KR10150396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f direct wakeup, and wakeup method of the same
CN104660353B (en) A kind of data processing trigge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GB2516719A (en) Wireless chip module embedding NFC function, electronic price display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wireless chip module embedding NFC function
US20190334366A1 (en) Analog ping detection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KR101781743B1 (en) Wi-Fi backscatter system and backscatter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H09298486A (en) Contactless data transmission reception method and its equipment
JP6234700B2 (e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TTING / RECEIVING METHOD
JP2010062609A (en)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19023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detecting card
CN213126484U (en)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US11742689B2 (en) Power sens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Suzuki et al. A 1-Mbps 1.6-µA Active-RFID CMOS LSI for the 300-MHz Frequency Band with an All-Digital RF Transmitting Sch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