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630A -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630A
KR20160065630A KR1020140169870A KR20140169870A KR20160065630A KR 20160065630 A KR20160065630 A KR 20160065630A KR 1020140169870 A KR1020140169870 A KR 1020140169870A KR 20140169870 A KR20140169870 A KR 20140169870A KR 20160065630 A KR20160065630 A KR 20160065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hion
content
fashion content
design elemen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언플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언플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언플러
Priority to KR102014016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5630A/ko
Publication of KR2016006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가, 리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복수의 패션 콘텐츠 중, 미리 디자인된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을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와 연계하여 편집되는 제 2 디자인 요소를 선정하여,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 및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를 편집하여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METHOD FOR PROVIDING REDESIGN SERVICE AND FASHION CONTENTS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은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제 1 패션 콘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편집되어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패션 분야에 대한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더 많은 패션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다양한 패션 상품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패션 상품은 유행에 따라 급진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빠르게 패션 콘텐츠를 디자인하여 상품으로 출시해야 하지만, 패션 콘텐츠를 다양하게 디자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디자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행에 따라 동일한 스타일의 다양한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어, 미리 디자인된 패션 콘텐츠를 리디자인하여 상품으로 출시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미리 디자인된 패션 콘텐츠를 용이하게 리디자인 하면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제 1 패션 콘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편집되어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가, 리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복수의 패션 콘텐츠 중, 미리 디자인된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을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와 연계하여 편집되는 제 2 디자인 요소를 선정하고,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 및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를 편집하여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제 1패션 콘텐츠와 동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패션 콘텐츠 중,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에 따라 편집된 제 1 디자인 요소가,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가 속하는 제 1 카테고리와 다른 제 2 카테고리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를 상기 제 2 카테고리의 대표값으로 편집하여,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와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연결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는, 편집 가능한 임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는,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값에 따라 편집 가능한 임계치가 정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 요청된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제 1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 제공 단계는, 디자이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 요청을 수신하여, 패턴사 단말기 또는 샘플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디자인된 복수의 패션 콘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각각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을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와 연계하여 편집되는 제 2 디자인 요소를 선정하고,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 및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를 편집하여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 1패션 콘텐츠와 동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패션 콘텐츠 중,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에 따라 편집된 제 1 디자인 요소가,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가 속하는 제 1 카테고리와 다른 제 2 카테고리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를 상기 제 2 카테고리의 대표값으로 편집하여,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와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연결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는, 편집 가능한 임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는,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값에 따라 편집 가능한 임계치가 정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요청 수신부는,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선택 요청된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제 1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디자이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요청 수신부는,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 요청을 수신하여, 패턴사 단말기 또는 샘플사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편집을 요청하였지만, 둘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편집되어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제 1 디자이너에 의해 디자인된 제 1 패션 콘텐츠를 제 2 디자이너가 용이하게 리디자인 할 수 있으므로, 리디자인 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중인 디자이너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디자이너 단말기(100),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 패턴사 단말기(300) 및 샘플사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 등의 외부 서버 또는 패턴사 단말기(300), 샘플사 단말기(400) 등의 외부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 등의 외부 서버 또는 패턴사 단말기(300), 샘플사 단말기(400) 등의 외부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등과 같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디자이너 단말기(100)에 의해 실행되는 실행 프로그램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패션 콘텐츠를 리디자인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나, 이러한 프로그램은 후술할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저장되어, 웹 환경에서 구현되며,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웹 환경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이 디자이너 단말기(100)에 의해 실행되는 도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통해 편집되는 패션 콘텐츠를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미리 정해진 기간 마다 편집중인 패션 콘텐츠를 데이터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으나, 편집중인 패션 콘텐츠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임시로 저장될 수도 있다.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미리 디자인된 패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패션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자세한 설명은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중인 디자이너 단말기(1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디자이너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디자이너의 선택에 의해,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다른 디자이너에 의해 미리 디자인된 패션 콘텐츠를 리디자인하기 위해, 패션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패션 도식화 툴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패션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션 콘텐츠는 디자이너에 의해 직접 선택될 수 있고, 콘텐츠 관리 서버(200)에 의해 임의적으로 선정될 수도 있다.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제 1 패션 콘텐츠를 화면의 일부분에 표시하면서,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예를 들면, 총길이, 가슴너비, 허리너비 등) 각각에 대한 사이즈 값을 화면의 다른 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패션 도식화 툴을 통해,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각각을 편집하기 위한 디자인 요소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 1 패션 콘텐츠의 소재 및 색깔을 선택하기 위한 패션 콘텐츠 편집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디자이너는 디자인 요소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제 1 디자인 요소(예를 들면, 허리 너비)에 대한 편집, 즉, 패션 콘텐츠에 대한 편집을 요청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을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제 1 패션 콘텐츠에서 편집 요청한 제 1 디자인 요소가 편집되면서, 제 2 디자인 요소까지 편집되어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제 2 패션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패션 콘텐츠는 제 1 패션 콘텐츠와 동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패션 콘텐츠일 수 있다.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제 2 패션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때, 제 1 패션 콘텐츠와 제 2 패션 콘텐츠를 연결하여, 제 2 패션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제 1 패션 콘텐츠와 제 2 패션 콘텐츠를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연결해주는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제 2 패션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데, 편집 전의 패션 콘텐츠 보기가 요청되면, 제 2 패션 콘텐츠와 제 1 패션 콘텐츠를 연결하여, 제 1 패션 콘텐츠를 화면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 1 패션 콘텐츠 및 제 2 패션 콘텐츠를 포함하는, 미리 디자인된 복수의 패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패션 스타일에 따라 카테고리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 별로 복수의 패션 콘텐츠 각각을 분류할 수 있다.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는 복수의 패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자이너에 의해 직접 선택된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고, 디자이너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한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을 디자이너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제 1 디자인 요소와 연계하여 편집되는 제 2 디자인 요소를 선정하여, 제 1 패션 콘텐츠에서 제 1 디자인 요소 및 제 2 디자인 요소를 편집하여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 1 패션 콘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편집된, 제 1 패션 콘텐츠를 리디자인한 제 2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 2 패션 콘텐츠 제공 시,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 1 패션 콘텐츠와 동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패션 콘텐츠 중에서, 제 2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제 1 디자이너에 의해 미리 디자인된 제 1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서를,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후,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제 2 디자이너에 의해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서를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업로드 할 수 있다. 이 때, 디자이너 단말기(100)는 제 1 패션 콘텐츠를 리디자인한 제 2 패션 콘텐츠를,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패턴사 단말기(300)는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서를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서의 문의 또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디자이너 단말기(100)가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서의 문의 또는 요청을 확인하면, 패턴사 단말기(300)는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서를 샘플사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샘플사 단말기(400)는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서의 문의 또는 요청을 디자이너 단말기(100) 또는 패턴사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디자이너 단말기(100) 또는 패턴사 단말기(300)가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서의 문의 또는 요청을 확인하면, 샘플사 단말기(400)는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생산 요청을 제조사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제조사에서 제 2 패션 콘텐츠에 상응하는 상품이 생산되면, 판매사 서버(미도시)는 생산된 상품에 대한 사진, 동영상 등을 웹 사이트에 등록하여, 사용자에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패션 콘텐츠 및 제 2 패션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션 콘텐츠 각각은, 의류 콘텐츠 뿐만 아니라, 모자 콘텐츠, 신발 콘텐츠, 악세서리 콘텐츠, 안경 콘텐츠, 잡화 콘텐츠 등 패션 관련 모든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디자이너 단말기(100)를 통해 리디자인된 패션 콘텐츠는 패션 관련 모든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조사에서 생산되어 판매사에서 판매되는 상품은, 패션 콘텐츠에 상응하므로, 패션 관련 모든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저장부(210), 요청 수신부(220) 및 콘텐츠 제공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미리 디자인된 복수의 패션 콘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각각 분류하여,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패션 콘텐츠에 관련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저장부(210)는 복수의 패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데, 이 때, 복수의 패션 콘텐츠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패션 콘텐츠와 같이, 그림, 사진, 동영상 등의 파일 형태로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10)는 복수의 패션 콘텐츠 각각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를 운영하는 운영자에 의해 카테고리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분만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Fashion Taste Fashion Type Design Item
Conservative
Contemporary
Trendy
Avant-garde
Classic
Feminine
Retro
Vintage
Innocent
Minimal
Sophysticated
Tailored
Round
Shirts
Shawl
No-Collard
Harrem
JK (Jacket)
PT (Pants)
SK (Skrits)
CT (Coat)
BL (Blouse)
OP (One-piece)
TS (T-Shirts)
저장부(210)는 복수의 기준("Fashion Taste", "Fashion Type", "Design", "Item" 등) 별로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기준 각각에 대하여, 패션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패션 콘텐츠는 "Fashion Taste" 중 "Trendy" 카테고리로, "Fashion Type" 중 "Vintage" 카테고리로, "Design" 중 "Round" 카테고리로, "Item" 중 "BL" 카테고리로 각각 분류된 패션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패션 콘텐츠는 "Fashion Taste" 중 "Avant-garde" 카테고리로, "Fashion Type" 중 "Innocent" 카테고리로, "Design" 중 "Harrem" 카테고리로, "Item" 중 "PT" 카테고리로 각각 분류된 패션 콘텐츠일 수 있다.
즉, 저장부(210)는 하나의 패션 콘텐츠를, 복수의 기준에 따른 카테고리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카테고리 별로 상응하는 패션 콘텐츠를 각각 등록할 수 있으며,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를 테이블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와 관련한 자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 콘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저장부(210)는 복수의 패션 콘텐츠 각각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와 패션 콘텐츠 각각을 연계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210)는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를 테이블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분만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Style Theme Width Length Detail
Neck Point 어깨 가슴 허리 총길이 팔길이 디테일
A 22 38 44 44 45 62 57 Poket /
Collar 넓이 / 단추 개수 등
B 38 40 46 42 51 67 57
C 27 39 48 44 49 64 57
편차 - ±1 ±2 ±2 ±3 - -
저장부(210)는 복수의 패션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디자인 요소("Style", "Theme", Width", "Length", "Detail" 등) 각각에 대한 값을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패션 콘텐츠는 "Fashion Taste" 중 "Trendy" 카테고리로, "Fashion Type" 중 "Vintage" 카테고리로, "Design" 중 "Tailored" 카테고리로, "Item" 중 "JK" 카테고리로 각각 분류된 패션 콘텐츠일 수 있는데, 해당 패션 콘텐츠에 대한 대표 카테고리로 "A" 스타일이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패션 콘텐츠는 "Neck Point" 디자인 요소의 값이 "22", "어깨" 디자인 요소의 값이 "38", "가슴" 디자인 요소의 값이 "44", "허리" 디자인 요소의 값이 "44", "힙" 디자인 요소의 값이 "45", "총길이" 디자인 요소의 값이 "62", "팔길이" 디자인 요소의 값이 "57", "디테일" 디자인 요소의 값이 "단추 3개"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패션 콘텐츠는 "Fashion Taste" 중 "Conservative" 카테고리로, "Fashion Type" 중 "Classic" 카테고리로, "Design" 중 "Tailored" 카테고리로, "Item" 중 "JK" 카테고리로 각각 분류된 패션 콘텐츠일 수 있는데, 해당 패션 콘텐츠에 대한 대표 카테고리로 "B" 스타일이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패션 콘텐츠는 "Neck Point" 디자인 요소의 값이 "38", "어깨" 디자인 요소의 값이 "40", "가슴" 디자인 요소의 값이 "46", "허리" 디자인 요소의 값이 "42", "힙" 디자인 요소의 값이 "51", "총길이" 디자인 요소의 값이 "67", "팔길이" 디자인 요소의 값이 "57", "디테일" 디자인 요소의 값이 "단추 1개"일 수 있다.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각각에는 편집 가능한 임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슴" 디자인 요소에는 편집 가능한 임계치로, "±2"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패션 콘텐츠를 제 1 패션 콘텐츠로, 도 7에 도시된 패션 콘텐츠를 제 2 패션 콘텐츠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210)는 제 1 패션 콘텐츠 및 제 2 패션 콘텐츠를 포함하는, 미리 디자인된 복수의 패션 콘텐츠를,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210)는 복수의 패션 콘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각각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220)는 후술할 콘텐츠 제공부(230)가 제공한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을 디자이너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 수신부(220)는 제 1 디자인 요소인 "어깨"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을 디자이너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편집 요청은 "어깨" 디자인 요소 값인 "38"을 "40"으로 편집하는 요청일 수 있으며, "어깨" 디자인 요소에는 편집 가능한 임계치로 "±1"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요청 수신부(220)는 디자인 단말기(100)로부터 "어깨" 디자인 요소 값인 "38"을 "40"으로 편집하는 요청을 수신한 경우, 편집 요청 값 "40"이 편집 전 값 "38"에서 편집 가능한 임계치 "±1"를 벗어나므로,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재편집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 패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청 수신부(220)는 디자이너 단말기(100)로부터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콘텐츠 제공부(230)는 선택 요청된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이너 단말기(100)에서 실행중인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패션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Fashion Taste" 기준에서 "Trendy" 카테고리, "Fashion Type" 기준에서 "Vintage" 카테고리, "Design" 기준에서 "Tailored" 카테고리, "Item" 기준에서 "JK" 카테고리가 각각 선택되면, 요청 수신부(220)는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요청을 디자이너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공부(230)는 기준 별로 각각 선택된 카테고리를 기초로, 제 1 패션 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으며, 선정한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 단말기(100)에서 실행중인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패션 콘텐츠의 대표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A" 스타일이 선택되면, 요청 수신부(220)는 "A" 스타일에 대한 선택 요청을 디자이너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부(230)는 "A" 스타일로 등록된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 패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부(230)는 디자이너 정보를 기초로, 제 1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선정한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이너 정보는 디자이너가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부(230)는 디자이너가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에 상응하는 카테고리를 기초로, 제 1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선정한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230)는 요청 수신부(220)가 수신한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을 확인하여, 제 1 디자인 요소와 연계하여 편집되는 제 2 디자인 요소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 수신부(220)는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제 1 디자인 요소인 "어깨"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을 디자이너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데, 콘텐츠 제공부(230)는 "어깨" 디자인 요소와 연계하여 편집되는 제 2 디자인 요소로 "가슴" 디자인 요소를 선정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 1 패션 콘텐츠에서 제 1 디자인 요소 및 제 2 디자인 요소를 편집하여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자이너 단말기(100)에서 제 1 패션 콘텐츠의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을 요청하면,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 1 디자인 요소를 편집하면서, 제 1디자인 요소와 연계된 제 2 디자인 요소까지 편집하여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에 따라 편집된 제 1 디자인 요소가, 제 1 패션 콘텐츠가 속하는 제 1 카테고리("A" 스타일)와 다른 제 2 카테고리("B" 스타일)에 해당될 경우, 제 2 디자인 요소를 제 2 카테고리의 대표값으로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이 "어깨" 디자인 요소 값인 "38"을 "40"으로 편집하는 요청인 경우, 편집 요청된 "어깨" 디자인 요소 값인 "40"이 제 1 패션 콘텐츠가 속하는 제 1 카테고리("A" 스타일)가 아닌 제 2 카테고리("B" 스타일)에 해당되므로, 콘텐츠 제공부(230)는 "어깨" 디자인 요소 값을 "38"에서 "40"으로 편집하면서, "어깨" 디자인 요소와 연계된 "가슴" 디자인 요소 값까지 "44"에서 제 2 카테고리("B" 스타일)의 "가슴" 디자인 요소 대표 값인 "46"으로 편집할 수 있으며, 어깨 디자인 요소 값이 "40"이고, "가슴" 디자인 요소 값이 "46"인 제 2 카테고리("B" 스타일)에 속하는 제 2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 2 디자인 요소 값 편집 시,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값에 따라 제 2 디자인 요소 값을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디자인 요소는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값에 따라 편집 가능한 임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자인 요소 값이 "38"에서 "40"으로 커지면, 제 2 디자인 요소 값도 "44"에서 "46"으로 커질 수 있다는 것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콘텐츠 제공부(230)는 이를 통해, 제 1 디자인 요소 값을 편집하면서, 제 2 디자인 요소 값도 편집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값인 "2"에 따라 정해진, 편집 가능한 임계치 "2" 내에서 제 2 디자인 요소 값을 "44"에서 "46"으로 편집할 수 있다.
제 2 패션 콘텐츠 제공 시,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 1 패션 콘텐츠와 동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패션 콘텐츠 중, 제 2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선정한 제 2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패션 콘텐츠가 "Item" 기준에서 "JK"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제공부(230)는 "Item" 기준에서 "JK" 카테고리로 분류된 패션 콘텐츠 중, 어깨 디자인 요소 값이 "40"이고, "가슴" 디자인 요소 값이 "46"인 제 2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선정한 제 2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편집 요청 시, 제 1 패션 콘텐츠와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편집 요청된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제 2 패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디자이너는 하나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을 요청하였지만, 둘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편집되어 리디자인된 패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230)는 제 1 패션 콘텐츠와 제 2 패션 콘텐츠를 연결하여 표시하도록, 제 2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공부(230)는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제 1 패션 콘테츠와 제 2 패션 콘텐츠를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제 2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230)가 제 2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100)로 제공한 이후, 요청 수신부(220)는 디자이너 단말기(100)로부터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 요청을 패턴사 단말기(300) 또는 샘플사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제 2 패션 콘텐츠에 상응하는 상품이 제조되어 판매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편집을 요청하였지만, 둘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편집되어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제 1 디자이너에 의해 디자인된 제 1 패션 콘텐츠를 제 2 디자이너가 용이하게 리디자인 할 수 있으므로, 리디자인 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편집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디자이너 단말기
200 :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210 : 저장부
220 : 요청 수신부
230 : 콘텐츠 제공부
300 : 패턴사 단말기
400 : 샘플사 단말기

Claims (16)

  1.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가, 리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복수의 패션 콘텐츠 중, 미리 디자인된 제 1 패션 콘텐츠를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을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와 연계하여 편집되는 제 2 디자인 요소를 선정하여,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 및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를 편집하여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제 1패션 콘텐츠와 동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패션 콘텐츠 중,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에 따라 편집된 제 1 디자인 요소가,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가 속하는 제 1 카테고리와 다른 제 2 카테고리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를 상기 제 2 카테고리의 대표값으로 편집하여,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와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연결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는, 편집 가능한 임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는,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값에 따라 편집 가능한 임계치가 정해지는 것인,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 요청된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제 1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 제공 단계는,
    디자이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 요청을 수신하여, 패턴사 단말기 또는 샘플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9. 미리 디자인된 복수의 패션 콘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각각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제 1 패션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요소 중,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을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와 연계하여 편집되는 제 2 디자인 요소를 선정하여,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 및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를 편집하여 리디자인된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 1패션 콘텐츠와 동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패션 콘텐츠 중,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요청에 따라 편집된 제 1 디자인 요소가,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가 속하는 제 1 카테고리와 다른 제 2 카테고리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를 상기 제 2 카테고리의 대표값으로 편집하여,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와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연결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는, 편집 가능한 임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디자인 요소는, 상기 제 1 디자인 요소에 대한 편집 값에 따라 편집 가능한 임계치가 정해지는 것인,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수신부는,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선택 요청된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제 1 패션 콘텐츠를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디자이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패션 콘텐츠를 선정하여,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 제공하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수신부는,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패션 콘텐츠에 대한 작업지시 요청을 수신하여, 패턴사 단말기 또는 샘플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KR1020140169870A 2014-12-01 2014-12-01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KR20160065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870A KR20160065630A (ko) 2014-12-01 2014-12-01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870A KR20160065630A (ko) 2014-12-01 2014-12-01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630A true KR20160065630A (ko) 2016-06-09

Family

ID=56138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870A KR20160065630A (ko) 2014-12-01 2014-12-01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56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865A (ko) * 2019-12-20 2022-07-08 (주)클로버추얼패션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865A (ko) * 2019-12-20 2022-07-08 (주)클로버추얼패션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6861B2 (en) Color based social networking recommendations
US9652868B2 (en) Automatic color palette based recommendations
US9727983B2 (en) Automatic color palette based recommendations
US11200274B2 (en) Method of e-commerce
JP7463434B2 (ja) 端末、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279787A1 (en)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native page generation
US20140279186A1 (en) Digital wardrobe with recommender system
US201400820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Shared Object Related to Real Scene
CN104156860A (zh) 产品定制选项的规定和显示
US20150302011A1 (en) Image management device, image generation program, image management method, and image management program
CN102932523A (zh) 实施于通讯装置的媒体内容管理系统与方法
CN108781262B (zh) 用于合成图像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电子装置
KR102345983B1 (ko)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90037263A1 (en) Content management device and content request program
US20130166416A1 (en) Dynamic catalogs on mobile wireless devices
KR101950908B1 (ko) 디자인 의뢰를 위한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US20150356507A1 (en)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total solution in which product design, design community, product manufacturing through design, and marketing are carried out online
KR20160065630A (ko) 리디자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패션 콘텐츠 관리 서버
KR101668467B1 (ko) 3차원 프린터용 데이터 중개 장치
JP6155937B2 (ja) 試し読み用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
CN106959843A (zh) 一种跨平台巢引擎系统及其开发方法
US10452683B2 (en) Selectively synchronizing data on computing devices based on selective sync templates
US20150170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Consumers According to Size
TWI556182B (zh) 購物方法
JP6281381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推薦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