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480A - Assembly type steel pallets - Google Patents

Assembly type steel pall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480A
KR20160065480A KR1020140169498A KR20140169498A KR20160065480A KR 20160065480 A KR20160065480 A KR 20160065480A KR 1020140169498 A KR1020140169498 A KR 1020140169498A KR 20140169498 A KR20140169498 A KR 20140169498A KR 20160065480 A KR20160065480 A KR 20160065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pallet
intermediate suppor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82698B1 (en
Inventor
이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산업
이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산업, 이희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산업
Priority to KR1020140169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698B1/en
Publication of KR2016006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4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6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allet used in producing and keeping products or for transportation of distribu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type steel pallet which can improve bearing power through various reinforcement structures while achieving weight lightening by being assembled and used at a site directly by easy assembly and separation with a simple structure and simplifying components of the pallet. In the steel pallet including an upper board, a lower board, and a middle support part, the middle support part is formed with an uneven structure which is continuous in a lateral direction. A combining protrusion inserted and combined to the upper board and the lower board respectively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of protruding parts at both sides of the uneven structure.

Description

조립식 철재 파렛트 {Assembly type steel pallets}Assembly type steel pallets

본 발명은 제품의 생산 및 보관이나 물류의 운송 등에 사용되는 철재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allet for use in production and storage of products and transportation of good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llet which can be assembled and separated easily with a simpl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teel pallet that can simplify the elements and lighten the weight and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through various reinforced structures.

일반적으로 번들(Bundle)로 묶인 화물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게차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파렛트는 목재,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어 대부분의 공장 또는 부두 등에서 화물의 운반에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Generally, a pallet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a bundle bundle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ation of forklifts is made of wood, synthetic resin, etc., and has been widely used for transportation of cargoes at most factories or quays.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파렛트는 화물을 제외한 빈 파렛트 자체의 부피만도 크게 형성되어 적재되는 화물의 부피를 불필요하게 과대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어 물류비용이 과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allet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of the empty pallet itself except for the cargo is formed to be too large, which makes the volume of the cargo unnecessarily unnecessarily large, resulting in an excessive cost of logistics.

또한, 목재 재질의 파렛트는 각종 병균이 발생될 수 있어 위생상 안전하지 못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파렛트는 생산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생산시 각 사이즈별 금형이 별도로 필요하므로 다양한 치수의 파렛트 생산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allet of wood material can be produced various kinds of germs, which is unsafe for hygiene, and a pallet made of plastic or synthetic resin that can replace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oduction cost is low. However, So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roduce pallets of various sizes.

최근에는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은 철재 파렛트를 생산하고 있으나 부품수가 많아, 제작비의 상승 및 양산 자동화의 어려움 등 문제점이 대두되었으며, 조립한 피스 볼트가 장시간 사용시 진동 등에 의해 쉽게 이완되어 사용의 불편함과 수명이 짧은 단점이 대두되었고, 이후 다리부분까지 파렛트 전체를 일체로 제작하였으나, 설비비가 과다하게 투입되는 등의 여러가지 어려운 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파렛트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는 중량, 원가, 사용상 등에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conventional steel pallets have been produced, but the number of parts has increased, resulting in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s and difficulty in automating mass production, and the assembled piece bolts are easily relaxed due to vibration during prolonged use And the shortage of the service life of the pallet has shortened. After that, the entire pallet has been integrally manufactured up to the leg portion. However,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the excessive installation of the equipment cost are appear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allet, And so on.

또한, 종래에는 상판과 하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중간지지구를 용접에 의해 제작하였기 때문에 파렛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조립된 상태로 운반 및 보관을 해야 하므로, 중량과 부피가 커서 파렛트의 운반 및 보관에 따른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since the middle plate for join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manufactured by welding, even when the pallet is not used, it must be transported and stored in the assembled state. Therefore, the pallet is heavy and bulky, So that it is not easy to hand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2932호에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인 조립식 파렛트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는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2932 discloses a prefabricated pallet, which is a registered patent of the present applicant, and its main technical structure is a prefabricated pallet comprising a top plate, Wherein the intermediate support is slidably fitt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즉, 상기 종래기술은 중간지지구를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단순한 구성에 의해 파렛트를 구성하는 상판과 하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나, 파렛트를 구성하는 프레임들이 하나의 판으로 구성되어 철재로 파렛트를 제조하더라도 중량의 화물을 지속적으로 운반하는 경우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파렛트의 테두리 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사용 중 작업자의 부상이 우려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That is,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dle plate is fitt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a sliding method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onstituting the pallet can be easily assembled by a simple structure. However, Even if pallets are made of a single piece of steel plate, the pallets may be deformed when the heavy cargo is continuously transported, and the rim of the pallet may be sharpene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이즈별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현장에서 직접 원하는 크기의 파렛트를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metal pallet that can be assembled directly into a pallet of a desired size directly on the spot without using the pallet.

또한, 본 발명은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형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metal pallet capable of improving the supporting force through various reinforcing structures while minimizing the weight of the pallet and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hav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구조의 양측 돌출부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상판 및 하판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al pallet comprising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and a middle plate, wherein the intermediate plate has a concave-convex structure continuous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vex-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are protruded.

또한, 본 발명은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의 상단 및 하단에는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구가 결합되는 상판 및 하판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pallet including 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middle plate, wherein a clamping protrusion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protrudes from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middle plate, And a fasten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plate.

또한, 본 발명은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의 상단 및 하단에는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구가 결합되는 상판 및 하판에는 상기 체결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pallet comprising 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middle plate, wherein a coupling groove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is form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middle plate, And a fasten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groove protrudes from the lower plate.

이때, 상기 요철 구조의 양측 돌출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제1힘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concave-convex structure are formed with the first forcep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상판은 중간지지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세로프레임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로프레임 및 상기 중간지지구와 제1가로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plate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a first horizontal fram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dis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a side frame provided at an edge of the upper plate.

또한, 상기 하판은 중간지지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세로프레임과, 상기 제2세로프레임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plate may include a second vertical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s in a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1 또는 제2세로프레임은 중간지지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or second vertical frame may include an opening for allowing the intermediate support to be inserted therein, an engagement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to engage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and an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engagement protrusion And a second electrode.

또한, 상기 제2세로프레임의 연장부와 제2가로프레임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ension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re coupled by welding.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세로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힘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rst or second vertical frame is formed with the second forcep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1가로프레임은 네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폐쇄된 형상으로 제1보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홈의 내측에는 가로방향으로 제2보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horizontal frame has four corners in a round shape, and a first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in a closed shap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in an inn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groove in a lateral direction .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은 하부에 중간지지구가 삽입 설치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가로프레임이 안치되는 제1수평면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는 측벽이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frame has a receiving part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with a middle holding protrusion inserted therein, a first horizontal surface having a first horizontal frame formed thereon, and a side wall protruding upward from the outer end.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은 내측에 제1가로프레임이 안치되는 안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의 내측으로는 돌출부에 의해 안치부와 분리되는 제2수평면이 형성되며, 측면프레임의 외측 단부에는 측벽이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frame is formed with an inner side portion in which a first horizontal frame is placed, and a second horizontal surface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portion by a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portion. And is protruded.

이때, 상기 제2수평면 상에는 돌출부 및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박스형 파렛트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box pallet supported by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side wall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그리고, 상기 측벽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2겹 이상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walls are formed by bending one plate to form two or more layers.

또한, 상기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그루브 라인(groove lin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walls are formed with at least one groov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측벽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rough holes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ide wall.

그리고, 상기 제1,2세로프레임 또는 측면프레임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U자형 절곡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frames or the side frames are formed by bending a single plate, and U-shaped bent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te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중간지지구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mediate support is formed by combining first and second frames having a cross-section of a 'C' shape.

이때,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 내면에는 체결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 단부는 체결구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fasteners are protruded from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and both side ends of the first frame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astener.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 외면에는 보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보강부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reinforcing portions are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rame, and insertion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to receive the reinforcing portions.

또한, 상기 상판의 상면 및 하판의 하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non-slip projections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이즈별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현장에서 직접 원하는 크기의 파렛트를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과 물류비용을 혁신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let can be directly assembled and separated in a simpl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used directly in the field, and it is possible to directly assemble pallets of a desired size directly on the spot without using a mold for each size,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being able to innovatively reduce costs and logistics cos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형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allet so a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allet, and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through various reinforcement structures and minimize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Respective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중간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중간지지구와 상판 및 하판 사이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의 (a) ~ (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가로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측면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12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1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 중 중간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결합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stee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stee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4 (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middle hold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support is join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Figures 6 (a) - (c)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a first horizonta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s 7 and 8 show various embodiments of side fram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S. 9 and 11A and 11B are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assembled meta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12 (a), 12 (b) and 12 (c) are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assembled meta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a) and 13 (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combin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mediate support among the assembled metal pa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assembled meta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prefabricated stee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의 (a),(b)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중간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중간지지구와 상판 및 하판 사이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의 (a) ~ (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가로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측면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정단면도이며, 도 12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정단면도이고, 도 1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 중 중간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결합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stee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stee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middle hold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ddle hold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S. 6 (a) to 6 (c) ar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nd FIGS. 7 and 8 are cross- 9 and 11 (a) and 11 (b) are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tee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a), 3 (b) and 3 (c) are cross- 13A and 1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onnectio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iddle support of the assembled meta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assembled iron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10,10')에 관한 것으로, 그 제1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상판(100), 하판(200) 및 중간지지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for a pallet, which can be assembled and separated easily with a simpl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used directly in the field,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allet 10 or 10 'includes a top plate 100, a bottom plate 200, and a middle plate 300 as shown in FIG.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판(100)은 적재물이 상부에 안치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적재물이 직접 안치되는 면이 형성되는 제1가로프레임(120)과, 상기 제1가로프레임(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가로프레임(120)을 지지함과 동시에 그 하부에 중간지지구(300)가 결합되는 제1세로프레임(110) 및 제1가로프레임(120)과 중간지지구(300)의 사이 또는 제1가로프레임(120)과 제1세로프레임(1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100)의 가장자리 즉,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upper plate 100 supports a load to support the load, and includes a first horizontal frame 120 on which a surface on which the load is directly positioned,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120 ar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middle frame 300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120, And a side frame 130 installed at an edge of the upper plate 100, that is,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또한, 상기 하판(200)은 중간지지구(300)에 의해 상판(10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파렛트(10)가 지면 등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과 대응되도록 하여 중간지지구(300)의 하부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세로프레임(210)과, 상기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가로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The lower plate 20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0 by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to support the pallet 10 so that the pallet 10 can be stably placed on the ground. A second vertical frame 210 installed vertically in a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a second vertical frame 210 provided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And a frame 220.

다음, 상기 중간지지구(300)는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하부와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 상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판(100)과 하판(200)이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판(100)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상판(100)(100)의 하부에 지게차의 포크 등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에 얹혀지는 적재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설치된다.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300 is coupl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of the upper plate 10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of the lower plate 200 to support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nd a space for allowing the fork of a forklift or the like to be fit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late 100 is spaced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large number of lugs are install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loa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를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중간지지구(300)는 도 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 우 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져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도 견고한 지지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4 (a) and 4 (b),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is divided into a left and r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S. 4 (a) and 4 (b) It is composed of continuous uneven structure, and it is constructed to have light weight and strong bearing capacity.

이때, 상기와 같이 요철 구조로 이루어진 중간지지구(300)의 양측 돌출부 상단 및 하단에는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결합돌기(310)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310)는 중간지지구(300)가 상기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및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circular or polygonal coupling protrusions 310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having the concave and convex structure, To be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of the lower plate 200 by a sliding method.

또한, 상기 중간지지구(300)의 양측 돌출부에는 길이방향, 즉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1힘살부(320)를 형성하여 중간지지지구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rst force-generating part 320 may be formed on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mprov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intermediate support.

다음, 상기 중간지지구(3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과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은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12,212), 걸림턱(114,214), 연장부(116,2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개구부(112,212)는 중간지지구(300)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걸림턱(114,214)은 개구부(112,212)의 양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개구부(112,212)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 결합된 중간지지구(300)의 결합돌기(310)가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first vertical frame 110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of the lower plate 200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the openings 112 and 212 and the engaging protrusions 114 and 214 and the extended portions 116 and 216 as shown in FIG. And the engaging protrusions 310 and 214 of the middle stopper 300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openings 112 and 212 and are inserted inward through the openings 112 and 212 in a sliding manner So that they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다음, 상기 연장부(116,216)는 걸림턱(114,214)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제1세로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연장부(116)는 보강부재 등을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제2세로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연장부(216)는 제2가로프레임(220)과의 결합시 용접 등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사용된다.The extension portions 116 and 216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engagement protrusions 114 and 214. The extension portion 116 formed in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additional reinforcement members And the extended portion 216 formed in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is used as a place where welding or the like is performed when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0 is coupled with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0.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의 (b)에 표시된 제1세로프레임(110)의 연장부(116)와 상판(100)의 측면프레임(1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상에 상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삽입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plate 100 is formed o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extended portion 116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shown in FIG. 5 (b) and the side frame 130 of the upper plate 100, It is possible to insert a reinforc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제2세로프레임(210)의 연장부(216)의 경우 제2가로프레임(220)의 상단부 상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스폿(spot)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제2세로프레임(210)과 제2가로프레임(2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extended portion 216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is provided to abut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0 and is fixed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by spot welding or the lik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0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2세로프레임(210)을 제2가로프레임(22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세로프레임(1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세로프레임(210)의 연장부(216)와 제2가로프레임(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상에 지지력 향상을 위한 보강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When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is installed on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0, as in the cas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the extended portion 210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A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the supporting force may be provided on the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216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0.

다음, 상기 제1세로프레임(110)과 제2세로프레임(210)에는 지지력 보강을 위한 제2힘살부(118,218)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제2힘살부(118,218)는 개구부(112,212)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수평면에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다.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may have second power cuts 118 and 218 for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The second cutouts 118 and 218 may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110 and 210, One or m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horizontal plan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한편, 상기 제1세로프레임(110)의 상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제1가로프레임(1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1가로프레임(120)은 지지력 강화 및 하중으로 인한 변형방지를 위해 도 6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6 (a) and 6 (b), the first horizontal frame 120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In order to strengthen the supporting force and prevent deformation due to the load, and may be form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as shown in FIGS.

또한, 상기 제1가로프레임(120)의 상면에도 구조적 강성 향상을 위한 제3힘살부(1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lso, a third force portion 122 for improving the structural rigidity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1가로프레임(120)은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그 상면에는 폐쇄된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보강홈(124)과, 상기 제1보강홈(124)의 내측에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보강홈(126)이 형성되어 제1가로프레임(120)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6 (c), the first horizontal frame 120 may have a flat plate shape. In this case, a first reinforcing groove 124 having a closed polygonal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reinforcing groove 126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groove 124 is formed to improv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first transverse frame 120.

한편, 상기 제1가로프레임(120)의 가장자리 부분은 측면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중간지지구(300)와 가로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10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다.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20 is supported by the side frame 130. The side frame 130 is disposed between the middle frame 300 and the horizontal frame, As shown in FIG.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도 7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132), 제1수평면(136) 및 측벽(13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수용부(132)는 그 내측으로 중간지지구(300)의 상단부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용부(132)의 양측에는 절곡부(134)가 형성되어 전술한 제1세로프레임(110)의 개구부(112) 구성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7A and 7B, the side frame 13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32, a first horizontal surface 136, and a side wall 138, The accommodating portion 132 serves to slide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in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2. A bending portion 13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2, The vertical frame 11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opening 112 of the vertical frame 110.

즉, 도 7에 나타낸 측면프레임(130)의 제1실시예는 중간지지구(300)의 상부에 직접 결합되어 제1세로프레임(110)의 역할 또한 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ide frame 130 shown in FIG. 7 is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to serve as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다음, 상기 제1수평면(136)은 측면프레임(130)의 상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제1가로프레임(120)이 안치됨과 동시에 후술할 박스형 파렛트(400)가 설치될 수 있다.Next,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136 constitutes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frame 130, and a first horizontal frame 12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136, and a box pallet 4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측벽(138)은 제1수평면(136)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파렛트(10)의 측면, 즉 가장자리 부분을 강화시킴으로써 적재물의 하중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파렛트(10)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후술할 박스형 파렛트(40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들(410,420,430,440)을 지지함으로써 평판형 파렛트를 박스형 파렛트(400)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side wall 138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136 and to strengthen the side surface or edge of the pallet 10 so that the pallet 10 And supports the plates 410, 420, 430 and 440 constituting the box-shaped pallet 400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transforming the flat pallet into the box pallet 400 and using it.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수용부(132), 제1수평면(136) 및 측벽(138)을 형성시킴으로써 측벽(138)이 2겹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파렛트(10) 가장자리 부분의 강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side frame 1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ide wall 138 is formed in two or more layers by bending one plate to form the receiving portion 132,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136, and the side wall 138 This is to improve the strengthening effect of the edge portion of the pallet 10.

또한, 상기 측벽(138)을 구성하는 내측벽과 외측벽은 서로 접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보다 강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constituting the side wall 138 may b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obtain a stronger supporting force.

한편, 상기 측벽(138)에는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그루브 라인(groove line)(138a)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상기 그루브라인(138a)은 측벽(138)의 하중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One or more groove lines 138a may be formed in the side wall 13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roove line 138a may improve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side wall 138, It is a role to play.

또한, 상기 측벽(138)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홀(138b)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138b)은 여러 개의 파렛트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holes 138b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ide wall 138. The through holes 138b ar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pallets to each other.

즉, 필요에 의해 다수 개의 파렛트(10,10',10")를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할 경우, 상기 관통홀(138b)을 통해 체결부재를 삽입시켜 이웃하는 파렛트(10,10',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when a plurality of pallets 10, 10 ', 10 "are to be us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as needed, the adjacent pallets 10, 10', 10"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1수평면(136)의 상부에 박스형 파렛트(400,40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측벽(138)에 형성된 관통홀(138b)에 고정수단(미도시)을 삽입하여 박스형 파렛트(400,400')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box pallets 400 and 400 'are installed on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136, fixing means (not shown)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138b formed in the side walls 138, Of course, be fixed.

다음, 도 8의 (a),(b)는 측면프레임(130')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제1세로프레임(110)과 제1가로프레임(1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100)의 가장자리 즉,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8A and 8B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side frame 130 ', wherein the side frame 130'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a first horizontal frame 120 That is, at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0. As shown in FIG.

즉,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제1세로프레임(110)과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다.That is, the side frame 130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안치부(132'), 돌출부(134'), 제2수평면(136') 및 측벽(1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안치부(132')는 그 상부에 제1가로프레임(120)의 단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돌출부(134')는 안치부(132')와 제2수평면(136')의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안치부(132')와 제2수평면(136') 사이를 구획함과 동시에 측면프레임(130')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side frame 130 'includes a notch 132', a protrusion 134 ', a second horizontal surface 136' and a side wall 138 '. The notch 132' And the protruding portion 134 'serves to support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20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protruding portion 134' protrudes between the annular portion 132 'and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136' And serves to define the gap between the annular portion 132 'and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136' and to improv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side frame 130 '.

또한, 상기 제2수평면(136')은 그 상부에 후술할 박스형 파렛트(400,40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 및 연결프레임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수평면(136')에 삽입 설치된 플레이트들(410,420,430,440,414') 및 연결프레임(460,460')은 측벽(138') 및 돌출부(1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136 'serves to provide plates and connection frames constituting the box-shaped pallets 400 and 40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136 ' The connection frames 460 and 460 'may be supported by the side walls 138' and the protrusions 134 '.

다음, 상기 측벽(138')은 제2수평면(136')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그루브라인(138a')과 관통홀(138b') 등의 구성은 전술한 제1측벽(138)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Next, the side wall 138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136'. The structure of the groove line 138a 'and the through hole 138b'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ide wall 138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하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세로프레임(210)과 제2가로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가로프레임(2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 개로 분할되어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제2세로프레임(2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200 of the assembled steel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vertical frame 210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22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2 and 3,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s 21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frames 210.

이때, 상기 제2가로프레임(220)이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가로프레임(220)의 양측 단부가 제2세로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연장부(216)와 스폿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0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s 210, as described above,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s 220 are formed in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By spot welding with the extensions 216 that are formed.

또한, 상기 제2가로프레임(220)도 제1가로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요철 구조로 형성되거나 평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힘살부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Also, the second transverse frame 220 may be form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or a flat plate-like structure like the first transverse frame 120, and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improve the structural rigidity. May be formed.

다음, 도 9 내지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판(100)과 하판(200)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중간지지구(300)의 상단 및 하단에 체결돌기(33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판(100) 및 하판(200)에는 중간지지구(300)의 체결돌기(330)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홈(113,133,213)이 형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9 to 11 (a) and 11 (b)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teel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let 1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A fastening protrusion 330 protrudes from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and a fastening protrusion 330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113, 133, 213) are formed.

즉, 상기 중간지지구(300)의 상단 및 하단에 원형, 타원형 또는 쐐기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돌기(33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구(330)가 결합되는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및 측면프레임(130)과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에는 상기 체결돌기(330)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113,133,213)이 형성되어 중간지지구(300)가 제1세로프레임(110)과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 또는 측면프레임(130)과 제2세로프레임(210)의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ther words, a fastening protrusion 330 having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wedge shape is protruded and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300, and the upper plate 100, to which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330 is coupled,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the side frame 130 of the lower plate 20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of the lower plate 200 are formed with coupling grooves 113 and 133 and 213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330, The first vertical frame 30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or between the side frames 13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합방식에 의해 중간지지구(300)와 상판(100) 및 하판(200) 사이의 결합면적이 증대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력 및 지지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상판(100), 하판(200) 및 중간지지구(300) 사이의 결합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upling area between the middle plate 300 and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is increased by the above-described coupling method, so that a stronger coupling force and supporting force can be obtained, and the upper plate 100, 200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300 can be more quickly and easily fastened.

이때, 상기 중간지지구(3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 원형 또는 이를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300 may have a rectangular,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한편, 도 12의 (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중간지지구(300)의 상단 및 하단에 원, 타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체결홈(340)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구(300)가 결합되는 상판(100)과 하판(200), 즉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및 측면프레임(130)과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에는 상기 체결홈(340)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돌기(미도시,135,215)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중간지지구(300)와 상판(100) 및 하판(200)이 전술한 제2실시예와 반대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12 (a), 12 (b) and 12 (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teel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10 of the lower plate 200 to which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is coupled are formed, Fastening protrusions (not shown) (135, 215)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groove 340 are protruded from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of the side frame 130 and the lower plate 200,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may have a shape opposite to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중간지지구(300)의 상단에는 체결돌기(330)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는 체결홈(340)이 형성되는 등 전술한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a coupling protrusion 330 is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and a coupling groove 34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course, can be used.

또한, 상기 중간지지구(300) 및 중간지지구(300)에 결합되는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및 측면프레임(130)과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형상에 의해 전체적인 파렛트(10)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the side frame 130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of the lower plate 200 coupled to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and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The pallet 10 is formed to have a hollow pipe shape by bending a single plate. The entire pallet 10 can be made light in weight by the above-described shape.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즉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U자형 절곡부(140)가 형성되는데, 상기 U자형 절곡부(140)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중간지지구(300), 제1,2세로프레임(110,210) 및 측면프레임(1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U-shaped bent portions 14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meshed with each other to form a U-shaped bent portion 140, Thereby improv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rames 110 and 210 and the side frames 130.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나머지 구성 즉, 상판(100) 및 하판(200)을 구성하는 제1세로프레임(110), 제1가로프레임(120), 측면프레임(130) 및 제2세로프레임(210), 제2가로프레임(220)의 특징적인 구성들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remaining parts of the assembled steel pallet 10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s of the frame 120, the side frame 130,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0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중간지지구(300)는 도 1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프레임(360)과 제2프레임(370)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제1프레임(360)과 제2프레임(370)은 그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13 (a) and 13 (b),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of the prefabricated metal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360 and a second frame 370 The first frame 360 and the second frame 370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C' shape.

즉, 제1프레임(360)과 제2프레임(370)이 결합하여 중간지지구(300)를 형성하는 경우, 그 측면부가 이중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중간지지구(300)의 하중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frame 360 and the second frame 370 are combined to form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the sid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60 and 360 may be doubly formed, It will be.

이때, 상기 제2프레임(370)의 양측 내면에는 제1프레임(360)의 양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구(372)가 돌출 형성되어, 추가적인 접착수단이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제1프레임(360)과 제2프레임(37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fasteners 372 for inserting both side ends of the first frame 360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370, (360) and the second frame (370).

또한, 상기 제1프레임(360)의 양 측면에는 보강부(36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370)의 양 측면에는 상기 보강부(364)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374)이 형성되어 제1프레임(360)과 제2프레임(37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중간지지구(300)의 구조적 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 reinforcing portion 364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360 and an insertion hole 374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portion 364 is inserte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370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frame 360 and the second frame 370 is strengthened and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intermediate support 300 is improved.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프레임(360) 및 제2프레임(37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중간지지구(300)가 결합되는 상판(100)과 하판(200), 즉 상판(100)의 제1세로프레임(110) 및 측면프레임(130)과 하판(200)의 제2세로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체결홈(113,133,213)에 삽입 결합되는 체결돌기(330)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upper frame 100 and the lower frame 200, to which the intermediate frame 300 is coupled,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frame 360 and the second frame 370, The fastening protrusions 33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s 113, 133 and 213 formed in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the side frame 130 of the upper frame 10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10 of the lower plate 200 ar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100)의 상부에 박스형 파렛트(400)를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박스형 파렛트(400)는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4, the box pallet 40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late 100. The box pallet 40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box pallet 400, The pallet 400 includes first to fourth plates 410, 420, 430, and 44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측면프레임(130,130')에 형성되는 제1수평면(136) 또는 제2수평면(136') 상에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가 각각 설치되어 상판(100)의 상부에 박스형 파렛트(4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는 제1수평면(136) 상에 설치되어 측벽(138) 및 제1가로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거나, 제2수평면(136') 상에 설치되어 측벽(138') 및 돌출부(13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박스형 파렛트(400)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More specifically, first to fourth plates 410, 420, 430, and 440 having rectangular shapes are installed on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136 or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136 'formed on the side frames 130 and 130' The first to fourth plates 410, 420, 430, and 440 are installed on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136 and include a side wall 138 and a first horizontal frame 120 Or supported on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136 'by side walls 138' and protrusions 134 'to serve as a box pallet 400. The box pallet 400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는 중간지지구(300)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보다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to fourth plates 410, 420, 430, and 440 may have a concave and convex structure continuou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middle support member 300, there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and improving the structural rigidity .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의 상단부에는 지지프레임(45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프레임(450)은 그 단면이 'H'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박스형 파렛트(40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그 상부에 추가적인 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support frame 45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to fourth plates 410, 420, 430 and 440. The support frame 450 may have an H-shaped cross-section, So that the plate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part thereof.

즉,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H' 형상을 갖는 지지프레임(450)의 상부로 추가적인 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박스형 파렛트(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height of the box pallet 400 can be adjusted by installing additional plates on the upper part of the 'H' shaped support frame 450 installed a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to fourth plates 410, 420, 430 and 440.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의 양 측면에도 그 단면이 'H'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설치하여 이웃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frame having a 'H' shape in cross section on both sides of the first to fourth plates 410, 420, 430 and 440 so that the neighboring plates can be more easily coupled.

다음,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 사이의 연결부에는 연결프레임(46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프레임(460)은 이웃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웃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력 강화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Next, a connection frame 46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to fourth plates 410, 420, 430, and 440. The connection frame 460 may facilitate coupling between neighboring plates, Thereby enhancing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plates.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 사이의 연결부 상단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의 고정프레임(47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프레임(470)은 이웃하는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박스형 파렛트(400)의 사용시 제1 내지 제4플레이트(410,420,430,440)가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4, a 'fixed' frame 470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o fourth plates 410, 420, 430 and 440, By improv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lates, the first to fourth plates 410, 420, 430, and 440 can be stably engaged when the box pallet 400 is used.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470)과 연결프레임(460)의 사이에는 경첩수단(미도시)이 설치되어 고정프레임(470) 또는 연결프레임(460)이 박스형 파렛트(400)의 사용 도중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 hinge means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frame 470 and the connection frame 460 so that the fixed frame 470 or the connection frame 460 is separated or released during use of the box pallet 400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10,10')를 구성하는 상판(100)의 상면 및 하판(200)의 하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150)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50)는 파렛트(10,10')와 지면 사이 및 파렛트(10,10')와 파렛트(10,10') 상에 놓여진 물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파렛트(10,10') 및 파렛트(10,10') 상에 놓여진 물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1, a plurality of non-slidable protrusions 150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of the upper plate 100 constituting the assembled metal pallets 10,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slip protuberance 150 may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allet 10,10 'and the ground and between the pallet 10,10' and the object placed on the pallet 10,10 ' 10 ', 10') and the pallets 10, 10 '.

즉, 샌드 블라스트 등의 공정을 통해 상판(100)의 상면 및 하판(200)의 하면에 미세한 미끄럼방지돌기(150)를 형성시킴으로써 적재물과의 마찰력 증가에 따른 미끄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by forming a fine non-slip protuberance 15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0 through a process such as sand blasting, a slip prevention effect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an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with the load.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재 파렛트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이즈별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현장에서 직접 원하는 크기의 파렛트를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과 물류비용을 혁신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형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meta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and separate the metal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metal pallet can be used directly in the field, The pallet can be assembled and used directly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logistics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pallet can be simplified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components, And at the same time,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so that durability can be improved.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without materially departing from the novel teachings and advantages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은 제품의 생산 및 보관이나 물류의 운송 등에 사용되는 철재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파렛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면서도 다양한 보강구조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allet for use in production and storage of products and transportation of good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llet which can be assembled and separated easily with a simpl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teel pallet that can simplify the elements and lighten the weight and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through various reinforced structures.

10, 10' : 철재 파렛트 100 : 상판
110 : 제1세로프레임 112, 212 : 개구부
113, 133, 213, 340 : 체결홈 114, 214 : 걸림턱
116, 216 : 연장부 118, 218 : 제2힘살부
120 : 제1가로프레임 122 : 제3힘살부
124 : 제1보강홈 126 : 제2보강홈
130, 130' : 측면프레임 132 : 수용부
132' : 안치부 134 : 절곡부
134' : 돌출부 135, 215, 330 : 체결돌기
136 : 제1수평면 136' : 제2수평면
138, 138' : 측벽 138a, 138a' : 그루브라인
138b, 138b' : 관통홀 140 : U자형 절곡부
150 : 미끄럼방지돌기 200 : 하판
210 : 제2세로프레임 220 : 제2가로프레임
300 : 중간지지구 310 : 결합돌기
320 : 제1힘살부 360 : 제1프레임
364 : 보강부 370 : 제2프레임
372 : 체결구 374 : 삽입홀
400 : 박스형 파렛트 410 : 제1플레이트
420 : 제2플레이트 430 : 제3플레이트
440 : 제4플레이트 450 : 지지프레임
460 : 연결프레임 470 : 고정프레임
10, 10 ': steel pallet 100: top plate
110: first vertical frame 112, 212: opening
113, 133, 213, 340: fastening groove 114, 214:
116, 216: extension part 118, 218:
120: first horizontal frame 122: third force bar
124: first reinforcing groove 126: second reinforcing groove
130, 130 ': side frame 132:
132 ': anchoring portion 134: bent portion
134 ': protrusions 135, 215, 330:
136: first horizontal plane 136 ': second horizontal plane
138, 138 ': side wall 138a, 138a': groove line
138b, 138b ': Through hole 140: U-
150: Slip prevention projection 200: Lower plate
210: second vertical frame 220: second horizontal frame
300: middle region 310: engaging projection
320: first power cutter 360: first frame
364: reinforcement portion 370: second frame
372: fastener 374: insertion hole
400: box pallet 410: first plate
420: second plate 430: third plate
440: fourth plate 450: support frame
460: connection frame 470: stationary frame

Claims (21)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철구조의 양측 돌출부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상판 및 하판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In a steel pallet comprising 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middle plate,
Wherein the intermediate support has a concave and convex structure continuou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oupling protrusions, which are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protrude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concave and convex structure.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의 상단 및 하단에는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구가 결합되는 상판 및 하판에는 상기 체결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In a steel pallet comprising 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middle plate,
Wherein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protrudes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mediate support and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which the intermediate support is coupled. .
상판, 하판 및 중간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의 상단 및 하단에는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구가 결합되는 상판 및 하판에는 상기 체결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In a steel pallet comprising a top plate, a bottom plate and a middle plate,
And a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is protruded from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to which the middle supporting plate is coupled, the coupling plate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is form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middle holding plat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의 양측 돌출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제1힘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concavoconvex structur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중간지지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세로프레임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로프레임 및 상기 중간지지구와 제1가로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pper plate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a first horizontal frame installed verticall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dis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support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a side frame provided at an edge of the palle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중간지지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세로프레임과, 상기 제2세로프레임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wer plate comprises a second vertical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s in a vertical direc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세로프레임은 중간지지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or second vertical frame may include an opening for allowing the intermediate support to be inserted therein,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to engage with the locking protrusion, and an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locking protrusion Wherein the metal pallet is made of met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로프레임의 연장부와 제2가로프레임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extension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re joined by weld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세로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힘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or second vertical frame is formed with a second force pie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프레임은 네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폐쇄된 형상으로 제1보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홈의 내측에는 가로방향으로 제2보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horizontal frame has four rounded corners, a first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in a closed shap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side the first reinforcing groove Prefabricated steel palle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하부에 중간지지구가 삽입 설치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가로프레임이 안치되는 제1수평면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는 측벽이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ide frame has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with a middle holding portion inserted therein, a first horizontal surface having a first horizontal fram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ide wall protruding upward at an outer end portion thereof.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내측에 제1가로프레임이 안치되는 안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의 내측으로는 돌출부에 의해 안치부와 분리되는 제2수평면이 형성되며, 측면프레임의 외측 단부에는 측벽이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ide frame is formed with an inner side portion in which a first horizontal frame is placed, a second horizontal surface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portion by a projecting por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portion, and a side wall protruding upward Wherein the metal pallet is a metal palle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면 상에는 돌출부 및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박스형 파렛트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box-shaped pallet supported by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side wall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2겹 이상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ide wall is formed by bending one plate into two or more layer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그루브 라인(groove lin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one or more groove lines are formed on the side wa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ide wal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세로프레임 또는 측면프레임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U자형 절곡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frames or the side frames are formed by bending one plate, and U-shaped bend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te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구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intermediate support is formed by coupling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having a 'C' shape in cross section.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 내면에는 체결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 단부는 체결구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fastening openings are form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second frame and both side ends of the first frame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astening openings.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 외면에는 보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보강부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reinforcing portions are protruded from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rame and insertion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so that the reinforcing portion is inserted and coupled.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면 및 하판의 하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KR1020140169498A 2014-12-01 2014-12-01 Assembly type steel pallets KR1016826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498A KR101682698B1 (en) 2014-12-01 2014-12-01 Assembly type steel pall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498A KR101682698B1 (en) 2014-12-01 2014-12-01 Assembly type steel pall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480A true KR20160065480A (en) 2016-06-09
KR101682698B1 KR101682698B1 (en) 2016-12-07

Family

ID=5613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498A KR101682698B1 (en) 2014-12-01 2014-12-01 Assembly type steel pall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6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4576A (en) * 2018-01-31 2018-05-18 江西固久金属制品有限公司 A kind of storage cage door net assembly too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442B1 (en) * 2020-04-06 2022-01-12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Frame members for prefabricated aluminium palle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984A (en) * 2009-07-15 2012-05-03 에코-블럭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allet that can be assembled with sliding boards and a locking spine member
KR20140007700A (en) * 2012-07-10 2014-01-20 김교희 Pallet for loading cargo with packaging bo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984A (en) * 2009-07-15 2012-05-03 에코-블럭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allet that can be assembled with sliding boards and a locking spine member
KR20140007700A (en) * 2012-07-10 2014-01-20 김교희 Pallet for loading cargo with packaging box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4576A (en) * 2018-01-31 2018-05-18 江西固久金属制品有限公司 A kind of storage cage door net assembly tooling
CN108044576B (en) * 2018-01-31 2024-05-24 江西固久金属制品有限公司 Storage cage door net assembly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698B1 (en)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932B1 (en) Assembly type pallets
MX2013001828A (en) Pallet assembly.
US9079683B2 (en) Pallet base and pallet provided with said base
KR101682698B1 (en) Assembly type steel pallets
KR101693331B1 (en) Multipurpose Steel Pallets
KR101378394B1 (en) Pallet for Loading Cargo with Reinforced Assembly Structure
KR101115606B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strength in pallet
KR101810977B1 (en) Assembly type steel pallet
KR20140041372A (en) A fabricated pallet
KR101680773B1 (en) Prefabricated pallet
KR101252180B1 (en) Assembly type steel pallets
KR101610910B1 (en) Multipurpose steel pallets
KR100818353B1 (en) Sectional plastic pallet
KR200462050Y1 (en) Form panel
KR101612531B1 (en) Steel pallet
KR101780256B1 (en) Assembly type steel pallet
KR20110007347U (en) Pallet rack
KR101363567B1 (en) Pallet for Loading Cargo with Packaging Assembly Structure
KR101589283B1 (en) Steel pallet
KR101567033B1 (en) Lightweight steel pallets
KR101365154B1 (en) pallet for cargo loading
KR101632334B1 (en) Pallet for Loading Cargo
KR102030772B1 (en) Cage for vehicle door transportation
KR20180001848A (en) Prefabricated pallet equipped with a key l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as
KR101612532B1 (en) Steel p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