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337A -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337A
KR20160065337A KR1020140168752A KR20140168752A KR20160065337A KR 20160065337 A KR20160065337 A KR 20160065337A KR 1020140168752 A KR1020140168752 A KR 1020140168752A KR 20140168752 A KR20140168752 A KR 20140168752A KR 20160065337 A KR20160065337 A KR 20160065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unit
case
ultraviolet
ultraviolet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익환
김종락
변상환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5337A/ko
Publication of KR20160065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0Details adapted to collapse or fold, e.g. for porta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42Ozonizers

Abstract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방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또는 개방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커버와;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와; 자외선조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의 외측면 전체가 자외선조사부의 자외선 조사 영역에 노출되도록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APPARATUS FOR STERILIZ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살균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받아들여 기기 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송신부는, 그 특성상 사용자가 말을 하거나 숨을 내쉴 때에 발산되는 통화자의 타액에 의해 오염이 되고 휴대폰 자체 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일정온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습하고 온난한 상태를 유지하여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한다.
보편적으로 모바일 기기는, 특정 케이스에 보관되기보다는 사용자의 편의로 인해 주머니, 가방, 차량 내부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보관되므로 각 보관장소에 서식하는 많은 종류의 세균들과 접촉되기 쉽고, 항상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세균의 유입이 용이한 환경에 노출된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송신부뿐 아니라 그 본체부 또한 각종 세균에 의해 오염될 소지가 많을 뿐 아니라, 개인용 모바일 기기라 할지라도 여러 명이 돌려가며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사람이 보유하고 있는 세균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여러 형태의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중 대표적인 형태는, 박스 형태의 케이스에 자외선 살균램프를 내장시킨 형태로서, 모바일 기기가 케이스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측부 또는 상부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램프가 작동되어 세균에 오염된 모바일 기기를 살균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살균장치는, 자외선 살균램프를 향해 노출된 모바일 기기의 한쪽 면에 대한 살균만을 수행할 수 있어 모바일 기기 전체에 대한 살균을 수행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모바일 기기가 살균되는 과정 또는 모바일 기기가 케이스에 출납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어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종래 살균장치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가 살균장치 내부에서 살균되는 동안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기능을 전혀 사용할 수 없으므로, 모바일 기기를 살균처리하면서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살균에 이용되는 자외선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향상된 살균 성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살균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는: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또는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모바일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와; 상기 자외선조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외측면 전체가 상기 자외선조사부의 자외선 조사 영역에 노출되도록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자외선조사부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전원단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자외선조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속부는, 상기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동작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원연결부를 통한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조사부는,250∼2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자외선조사부;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자외선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 테두리와 접촉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과 접촉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향을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향출력부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자외선조사부(130)의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자외선조사부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을 단속함으로써, 모바일 기기가 살균되는 과정 또는 모바일 기기가 케이스에 출납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 외부로 유출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천장면과 케이스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된 자외선조사부 및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자외선을 받기에 적합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것도 제외되는 부분 없이 모바일 기기의 전체에 대한 살균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대한 살균이 실시되는 동안 충전 기능, 음향 재생 기능, 영상 재생 기능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균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에 모바일 기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위치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에 모바일 기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위치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충전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는, 케이스(110)와, 커버(120)와, 자외선조사부(130)와, 전원공급부(140) 및 위치고정부(15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의 본체를 이룬다. 이러한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모바일 기기(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일측, 예를 들어 상부 측에는 수용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부(부호생략)가 형성된다.
커버(120)는,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120)는, 그 일측이 케이스(110)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커버(120)는, 힌지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또는 개방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 위치가 변화된다.
즉 커버(120)가 폐쇄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케이스(110)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폐되는 상태가 되고, 커버(120)가 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케이스(11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자외선조사부(130)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1)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자외선조사부(130)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1)의 외측면 전체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와 커버(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조사부(130)는 제1자외선조사부(131)와 제2자외선조사부(135)를 포함한다.
제1자외선조사부(131)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1)의 전면과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커버(12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제1자외선조사부(131)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1)의 전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모바일 기기(1)의 전면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자외선조사부(135)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1)의 후면과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제2자외선조사부(135)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1)의 후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모바일 기기(1)의 후면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자외선조사부(131)와 제2자외선조사부(135) 각각은, 250 내지 280㎚ 범위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 더욱 바람직하게는 275㎚ 파장의 자외선을 출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132,136)를 포함한다.
제1자외선조사부(131)와 제2자외선조사부(135) 각각에 포함되는 자외선 발광 바이오드(132,136)의 설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케이스(110)의 크기, 모바일 기기(1)의 크기, 각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2,136)의 출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는, 자외선조사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40)는, 자외선조사부(130) 및 그 외 후술할 충전부(170), 음향출력부(180), 영상출력부(190) 등과 같이 전원 공급이 필요한 여러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140)는 전원입력부(141)와 전원연결부(14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원입력부(141)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비된다. 이러한 전원입력부(141)는, 케이스(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 형태로 케이스(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과 연결된 케이블의 단자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전원연결부(143)는, 전원입력부(141)와 자외선조사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비된다. 이러한 전원연결부(143)는, 케이스(120) 및 커버(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자외선조사부(131)와 제2자외선조사부(135)를 전원입력부(141)와 연결하는 한편, 그 외 후술할 충전부(170), 음향출력부(180), 영상출력부(190) 등과 같이 전원 공급이 필요한 여러 구성 또한 전원입력부(141)와 연결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150)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1)의 외측면 전체가 자외선조사부(130)의 자외선 조사 영역에 노출되도록 모바일 기기(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케이스(110)에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1)의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홈(11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10)에 구비된 제2자외선조사부(135)는, 안착홈(111)이 형성된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위치고정부(150)는, 상기와 같이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1)가 제2자외선조사부(135)가 설치된 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모바일 기기(1)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고정부(150)는, 안착홈(111)이 형성된 케이스(110)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위치고정부(150)는, 모바일 기기(1)의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홈(111)의 내부에 설치되되, 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1)의 후면과 접촉되며 모바일 기기(1)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위치고정부(150)에 의해 지지되는 모바일 기기(1)는,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2자외선조사부(135)와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고정부(150)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재질, 예를 들면 단량체 비율이 높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위치고정부(150)는, 모바일 기기(1)를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2자외선조사부(135)와 이격되게 지지하는 한편, 제2자외선조사부(135)에서 출사된 자외선이 제2자외선조사부(135)와 모바일 기기(1) 사이에서 차단되지 않고 모바일 기기(1)의 후면까지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에는 위치고정부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위치고정부(150)는 안착홈(111)이 형성된 케이스(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위치고정부(150)는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모바일 기기(1)의 후면과 접촉되며 모바일 기기(1)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위치고정부(150) 또한, 모바일 기기(1)를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2자외선조사부(135)와 이격되게 지지하는 한편, 제2자외선조사부(135)에서 출사된 자외선이 제2자외선조사부(135)와 모바일 기기(1) 사이에서 차단되지 않고 모바일 기기(1)의 후면까지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이러한 형태의 위치고정부(150)는, 모바일 기기(1)의 크기에 관계 없이 모바일 기기(1)를 지지할 수 있어 더욱 유리하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원단속부(160)는 커버(120)의 위치에 따라 전원공급부(140)로부터 자외선조사부(130)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을 단속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전원단속부(160)는, 케이스(110) 및 커버(120)의 개방 여부에 따라 자외선조사부(130)의 작동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감지부(161)와 스위치부(163)를 포함한다.
감지부(161)는, 커버(12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동작된다. 이러한 감지부(161)는, 케이스(110)와 커버(12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161)는, 케이스(110)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폐되는 상태일 때 커버(1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예를 들면 분리되어 있는 두 부재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센서, 물체가 접근해 왔을 때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근접 센서 등과 같이 여러 형태의 센서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감지부(161)는, 커버(120)가 개방위치에 위치해 있는지 폐쇄위치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스위치부(163)로 전송한다.
스위치부(163)는, 감지부(161)의 동작에 따라 전원연결부(143)를 통한 전원 공급을 단속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부(163)는 커버(120)가 개방위치에 위치해 있다는 신호가 감지부(161)로부터 전송되면, 전원연결부(143)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외선조사부(13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스위치부(163)는, 커버(120)가 폐쇄위치에 위치해 있다는 신호가 감지부(161)로부터 전송되면, 자외선조사부(130)로의 전원 공급이 전원연결부(143)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외선조사부(130)의 동작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원단속부(160)는, 케이스(110)의 내부가 커버(120)에 덮여 완전히 밀폐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자외선조사부(1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을 단속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가 살균되는 과정 또는 모바일 기기(1)가 케이스(110)에 출납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 외부로 유출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는 충전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70)는, 모바일 기기(1)의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충전부(170)는, 전원공급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편, 모바일 기기(1)의 충전장치, 예컨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받은 전원을 모바일 기기(1)의 충전을 위한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부(170)는 유선 충전 포트를 구비하는 형태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충전부(170)는, 무선 충전 포트를 구비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유선 충전 포트 및 무선 충전 포트를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충전부(170)는 모바일 기기(1)가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1)의 충전을 위한 전원을 모바일 기기(1)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전부(17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는, 모바일 기기(1)의 충전만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모바일 기기(1)의 충전과 살균을 동시에 실시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는, 도 1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출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80)는, 모바일 기기(1)와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1)에서 재생되는 음향을 케이스(110)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음향출력부(180)는, 모바일 기기(1)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81)와, 신호수신부(18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에서 재생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8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출력부(180)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통신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신호수신부(181)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1)와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스피커(183)는 이와 같이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에서 재생되는 음향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181)가 케이스(110)의 양 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음향출력부(180)는 모바일 기기(1)와 스피커(181)를 연결하는 연결선(미도시)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80)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1)와 스피커(181)는 연결선을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유선 방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선이 유선 충전 포트 형태의 충전부(170)와 연결됨으로써, 모바일 기기(1)가 충전부(170)에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1)의 충전 및 음향 출력을 위한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향출력부(180)는 모바일 기기(1)가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1)에서 재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향출력부(18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는, 모바일 기기(1)의 살균, 충전, 음향 재생 기능 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실시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기능을 동시에 실시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는, 살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자외선조사부(130), 충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부(170), 음향 재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음향출력부(180)를 하나의 기기에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의 내부에 모바일 기기(1)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커버(120)를 개방위치로 회동시켜 케이스(110)의 내부를 개방하고(도 2 참조), 개방된 케이스(110)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홈(111) 내부에 모바일 기기(1)가 위치되도록 모바일 기기(1)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1)는, 위치고정부(150)에 의해 지지되어 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처럼 모바일 기기(1)가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를 폐쇄위치로 회동시켜 케이스(110)의 내부를 폐쇄하면, 전원단속부(160)는 이를 감지하여 자외선조사부(130)의 동작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동작된다.
이때 전원단속부(160)는, 케이스(110) 내부가 개방되면 자외선조사부(130)의 동작이 활성화되지 않고 케이스(110) 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자외선조사부(130)의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자외선조사부(130)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을 단속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1)가 살균되는 과정 또는 모바일 기기(1)가 케이스(110)에 출납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 외부로 유출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바일 기기(1)가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120)에 마련된 조작버튼(125)을 조작하여 자외선조사부(130)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면, 자외선조사부(130)로부터 모바일 기기(1)를 향해 자외선이 조사되어 모바일 기기(1)에 대한 살균을 실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모바일 기기(1)의 전면에는 커버(120)에 설치된 제1자외선조사부(131)로부터 출사된 자외선이 조사되고, 모바일 기기(1)의 전면에는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2자외선조사부(133)로부터 출사된 자외선이 조사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1)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2,136)로부터 출사되는 250 내지 280㎚ 범위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 더욱 바람직하게는 275㎚ 파장의 자외선이 작용하게 되어 모바일 기기(1)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커버(120)의 천장면과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된 자외선조사부(130)에 의해, 모바일 기기(1)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것도 제외되는 부분 없이 모바일 기기(1)의 전체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위치고정부(150)는, 모바일 기기(1)가 제2자외선조사부(133)가 설치된 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모바일 기기(1)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제2자외선조사부(133)에서 출사되는 자외선이 모바일 기기(1)의 후면에 효과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위치고정부(150)는 모바일 기기(1)의 후면 테두리 부분과 접촉되며 모바일 기기(1)를 지지한다. 이러한 위치고정부(150)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재질로 형성되므로, 자외선조사부(130)로부터 출사된 자외선이 도중에 차단되지 않고 모바일 기기(1) 후면 테두리를 포함한 모바일 기기(1) 전체에 골고루 조사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모바일 기기(1)가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1)를 충전부(170)와 연결시키면 모바일 기기(1) 충전을 위한 전원을 모바일 기기(1)에 공급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 충전을 위한 모바일 기기(1)와 충전부(170)의 연결은, 유선 포트 접속을 통한 유선 연결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자기 유도 또는 자기공명을 이용한 무선 연결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모바일 기기(1)가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1)를 음향출력부(180)와 연결시키면 모바일 기기(1)에서 재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에서 재생되는 음향 출력을 위한 모바일 기기(1)와 음향출력부(180)의 연결은,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모바일 기기(1)와 음향출력부(180)의 연결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에서 재생되는 음악 등을 케이스(110)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스피커(183)를 통해 풍부한 음량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1)와 충전부(170), 음향출력부(180) 간의 연결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에서 구현 가능한 살균 기능, 충전 기능, 음향 재생 기능은,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기능이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에 대한 살균을 실시하면서 모바일 기기(1)를 충전할 수도 있고, 모바일 기기(1)를 충전하면서 음향출력부(180)를 통해 모바일 기기(1)에서 재생되는 음향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세 기능 모두를 동시에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는, 케이스(110) 내부가 개방되면 자외선조사부(130)의 동작이 활성화되지 않고 케이스(110) 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자외선조사부(130)의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자외선조사부(130)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을 단속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가 살균되는 과정 또는 모바일 기기(1)가 케이스(110)에 출납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 외부로 유출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는, 커버(120)의 천장면과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된 자외선조사부(130) 및 모바일 기기(1)의 위치를 자외선을 받기에 적합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150)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것도 제외되는 부분 없이 모바일 기기(1)의 전체에 대한 살균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100)는, 모바일 기기(1)에 대한 살균이 실시되는 동안 충전 기능, 음향 재생 기능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균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일 실시예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인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200)는, 영상출력부(290)를 더 포함한다.
영상출력부(290)는, 모바일 기기(1; 도 9 참조)와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1)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케이스(110)의 외부로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출력부(290)는 모바일 기기(1)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렌즈와 같은 광학장치를 통해 확대 투영하는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영상출력부(290)는, 모바일 기기(1)를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200)에 장착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1)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 위에 확대 투영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가 살균, 충전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에 저장된 영상을 큰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200 :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110 : 케이스
111 : 안착홈 120 : 커버
125 : 조작버튼 130 : 자외선조사부
131 : 제1자외선조사부 132,136 :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135 : 제2자외선조사부 140 : 전원공급부
141 : 전원입력부 143 : 전원연결부
150 : 위치고정부 160 : 전원단속부
161 : 감지부 163 : 스위치부
170 : 충전부 180 : 음향출력부
181 : 신호수신부 183 : 스피커
290 : 영상출력부

Claims (13)

  1. 모바일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또는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커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모바일 기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
    상기 자외선조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외측면 전체가 상기 자외선조사부의 자외선 조사 영역에 노출되도록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자외선조사부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전원단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자외선조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속부는, 상기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동작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원연결부를 통한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250∼2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자외선조사부;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자외선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자외선조사부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 테두리와 접촉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과 접촉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향을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KR1020140168752A 2014-11-28 2014-11-28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KR20160065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752A KR20160065337A (ko) 2014-11-28 2014-11-28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752A KR20160065337A (ko) 2014-11-28 2014-11-28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37A true KR20160065337A (ko) 2016-06-09

Family

ID=5613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752A KR20160065337A (ko) 2014-11-28 2014-11-28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53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1187A (zh) * 2016-10-28 2017-02-01 圆融健康科技(深圳)有限公司 摄像头镜筒、摄像头模组及手机
KR102207062B1 (ko) * 2020-05-13 2021-01-22 황은태 휴대용 접촉팁 살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1187A (zh) * 2016-10-28 2017-02-01 圆融健康科技(深圳)有限公司 摄像头镜筒、摄像头模组及手机
KR102207062B1 (ko) * 2020-05-13 2021-01-22 황은태 휴대용 접촉팁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440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nitizer
US10186884B2 (en)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multi-station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284639B1 (ko) 자외선 엘이디를 이용한 살균 휴대폰 케이스
US933957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nitizer
CN107708744A (zh) 用于对复杂装置进行储存和消毒的系统
US10603391B2 (en) Stethoscope sanitizing device
KR20160030650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살균 장치
KR102158599B1 (ko) 휴대폰 무선충전 살균기
US10251962B2 (en) Single-pair earphone sterilizer with germicidal light
KR20160007849A (ko) 차량용 도어 손잡이 겸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60065337A (ko) 모바일 기기 살균장치
KR20150050334A (ko) 멀티 충전기 및 살균기
KR20060012144A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춘 휴대폰 충전기
US20220023464A1 (en) Ultraviolet irradiator
CN209862582U (zh) 一种移动紫外线消毒耳机盒
KR20150003425U (ko)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1551107B1 (ko) 관악기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관악기 살균시스템
KR101616913B1 (ko) 휴대전자기기 살균케이스
KR101696728B1 (ko) 치아미백기와 자외선 살균기가 설치된 치아미백기 보관케이스
KR102328245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수납기구.
KR102082389B1 (ko) 살균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200389668Y1 (ko) 자외선 살균등과 건조히터가 내장된 보청기 수납함
KR20160150245A (ko) 모바일 기기 살균 케이스
KR20140061594A (ko) 전자기기 살균 케이스
KR200391490Y1 (ko) 휴대가 용이한 휴대폰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