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010A - Sdn 환경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Sdn 환경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010A
KR20160065010A KR1020150166500A KR20150166500A KR20160065010A KR 20160065010 A KR20160065010 A KR 20160065010A KR 1020150166500 A KR1020150166500 A KR 1020150166500A KR 20150166500 A KR20150166500 A KR 20150166500A KR 20160065010 A KR20160065010 A KR 2016006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am
sfp
controller
oam message
s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037B1 (ko
Inventor
이광국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6006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4Routing performance; Theoretical aspects

Abstract

SDN(Software Defined Network) 환경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Service Function Chaining)을 위하여 효율적으로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OAM 메시지 전송 방법은, 컨트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SFC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컨트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SFC 각각에 대한 SFP(Service Function Path)를 확인하여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추출하는 단계와; 컨트롤러가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고려하여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OAM 메시지 전송에 따른 대역폭 소모를 줄일 수 있고, OAM 메시지 처리에 따른 부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SDN 환경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TRANSMITTING OAM MESSAGE FOR SERVICE FUNCTION CHAINING IN SOFTWARE DEFINED NETWORK ENVIRONMENT}
본 발명은 SDN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DN(Software Defined Network) 환경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Service Function Chaining)을 위하여 효율적으로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표준을 만드는 기구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최근 서비스 기능 체이닝(SFC, service function chaining) 워킹 그룹(working group)을 결성하여 복수 개로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VNF, virtualized network functions)들을 순서화한 후, 순서화된 기능들을 하나의 서비스 체인 단위로 관리하는 표준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는 기존에 H/W기반 어플라이언스 장비 중심으로 정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지던 서비스 네트워크 영역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체계로 전환함으로써, 해당 네트워크에서 빈번히 이루어지던 서비스간의 연동을 하나의 논리적인 서비스 체인의 형태로 관리함으로써 서비스 네트워크를 보다 동적이고 탄력적인 리소스 활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한편, SDN 기술 표준화를 위한 ONF(Open Networking Foundation)에서는 L2/L3 패킷 포워딩 평면만을 갖는 장비에 중앙의 컨트롤러 장비를 통해 패킷 포워딩 경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OpenFlow 프로토콜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최근 ONF는 ONF의 예하 조직인 OTWG(Optical Transport Working Group)을 통해 OAM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및 보호 절체 기능 등, 전달망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들에 대해서도 OpenFlow 기술을 기반으로 표준화 중에 있다.
한편, 포워딩 평면과 제어 평면이 분리되지 않은 IP 라우팅 시스템에 대해서도 외부 컨트롤러를 이용한 제어를 지원하는 Interface to Routing System (I2RS) 기술이 라우팅 시스템을 위한 SDN 기술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라우팅 시스템을 위한 Interface to Routing System 기술은 현재 IETF에서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으며, 외부 컨트롤러와 라우터 장비간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및 인터페이스 등이 정의되고 있다.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현재 서비스 중인 경로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운영 중인 서비스의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 트래픽을 대체 경로로 빠르고 안정적으로 스위칭하는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비들은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서비스 트래픽이 전달되는 네트워크 종단간 OAM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서비스 트래픽 경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장애시 미리 설정된 복구 메커니즘을 통해 장애 경로의 트래픽을 빠른 시간내에 우회하여 서비스의 가용성을 보장할 수 있다.
IETF에서 현재 표준화 중인 서비스 기능 체이닝(SFC) 기술 또한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들을 순서화하여 생성된 서비스 트래픽 경로(서비스 체인)에 대해 OAM이 지원되어야 함을 권고하고 있으며, OAM 기능을 활용하여 서비스 체인의 장애 여부와 장애 위치 탐지 및 성능 측정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대역폭이 상대적으로 큰 전달망 영역(예를 들면, 10~100Gbps)과는 달리 서비스 네트워크 도메인은 일반적으로 100Mbps~1Gbps급의 적은 대역폭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성이 이루어지므로 수천~수백만 가입자를 위한 서비스 체인의 형성이 이루어질 때, OAM 메시지에 의한 네트워크 대역폭 소모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노드 별 증가된 OAM 메시지 처리에 의한 지연 등으로 오히려 서비스 가용성 측면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달망에서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OAM 메시지의 전송 주기는 3.3ms이며, SFC등과 같이 서비스 레벨 상에서 설정되는 OAM 메시지의 주기는 보통 수백 ms 또는 1초 주기를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SFC 워킹 그룹에서 정의된 OAM 기능은 기본적인 OAM 기능에 대해서 명시할 뿐, 효율적인 전달 메커니즘에 대한 논의가 없는 상태로 OAM 메시지를 효율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SDN 환경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DN 환경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OAM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체이닝(SFC: Service Function Chaining)을 위한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메시지 전송 방법은, 컨트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SFC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컨트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SFC 각각에 대한 SFP(Service Function Path)를 확인하여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추출하는 단계와; 컨트롤러가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고려하여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FC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컨트롤러가 운용자 단말로부터 SFC 생성 요청을 위한 지시, 트래픽 처리를 위한 정책(policy) 정보, OAM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추출하는 단계는, 컨트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SFC에 대한 설정 요청에 상응하는 SFF(Service Function Forwarder) 및 SF(Service Function)를 선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SFC 각각에 대한 SFP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컨트롤러가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에 OAM 그룹 ID를 할당하는 단계와; 컨트롤러가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로 중에서 OAM 메시지를 전달할 SFP를 선정하는 단계와; 컨트롤러가 상기 선정된 SFP를 통해 OAM 메시지를 전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정된 SFP를 통해 상기 OAM 메시지를 전달시키는 단계는, 컨트롤러가 classifier, 상기 선정된 SFP 상에 위치한 SFF 및 SF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OAM 메시지를 선정된 SFP를 통해 전달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컨트롤러가 상기 선정된 SFP를 통해 전달된 OAM 메시지의 결과를 OAM 그룹 ID가 할당된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에 공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컨트롤러가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대신하여 OAM 메시지를 전송할 OAM 기능 SFP를 설정하는 단계와; 컨트롤러가 OAM 기능 SFP를 통해 OAM 메시지를 전달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OAM 메시지를 전송할 OAM 기능 SFP를 설정하는 단계는,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 상에 위치한 SFF(Service Function Forwarder) 및 SF(Service Function) 중에서 SF가 바이패스(bypass)되도록 OAM 기능 SFP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컨트롤러가 OAM 기능 SFP를 통해 전달된 OAM 메시지의 결과를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에 공유시킬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체이닝(SFC: Service Function Chaining)을 위한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SFC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SFC 각각에 대한 SFP(Service Function Path)를 확인하여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추출하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고려하여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OAM 메시지를 전송시키는 Classifier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은, 서비스 기능 체이닝이 동일한 고객 서비스 트래픽 경로에 대해서 OAM 그룹을 정의하고, OAM 그룹이 동일한 서비스 기능 체이닝에 대해서 대표로 선출된 경로를 기반으로 OAM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OAM 메시지 전송에 따른 대역폭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OAM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로가 SF를 거치지 않고, SFF로만 전달이 가능한 효율화함으로써 OAM 메시지 처리에 따른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가상화된 네트워크의 기능 간 연결을 위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가상화된 네트워크의 기능 간 연결을 위한 서비스 기능 체이닝에 따른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AM 그룹 ID 설정을 통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FP ID를 참조 설정을 통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F를 바이패스(bypass)하여 OAM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AM의 효율화를 위한 SFC 헤더 및 페이로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컨트롤러 또는 Control Logic는 통합 SDN 컨트롤러(Unified SDN controller)로, 트래픽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관련 구성 요소(예를 들면, 스위치, 라우터 등)를 제어하는 기능 요소(entity)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또는 Control Logic은 물리적인 구현 형태나 구현 위치 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ONF(OpenFlow),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 및/또는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등에서 정의하고 있는 컨트롤러 기능 요소(entity)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네트워크 장치는 '스위치(switch)' 또는 '라우터(router)'와 같이 트래픽(또는 패킷)을 실질적으로 포워딩하거나 스위칭 또는 라우팅하는 기능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스위치 또는 라우터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는 ONF, IETF, ETSI 및/또는 ITU-T 등에서 정의하고 있는 스위치, 라우터, 스위치 요소(Switching Element), 라우터 요소(Routing Element), 포워딩 요소(Forwarding Elemen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기능 체이닝(Service Function Chaining, SFC)은 네트워크 이용자의 트래픽이 NAT, Firewall, IPS등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 중에서 이용자에게 필요한 기능들만 선택적으로 경유하도록 하는 개념이며, 이러한 서비스들은 물리적인 서버에서 동작할 수도 있고 가상머신 상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FC 위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F(Service Function)는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는 기능 블록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양한 레이어의 프로토콜 스택에서 작동할 수 있다. SF는 논리적 구성으로서, 물리 네트워크 구성(physical network component)에 임베디드된 가상 요소(virtual element)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SF가 하나의 네트워크 구성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F는 Firewall, IPS(Intrusion Prevention System), DPI(Deep Packet Inspection) 및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을 수행하는 개념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동일 SFC 도메인 내에 중복된 SF 인스턴스가 존재할 수 있다.
SFF(Service Function Forwarder)는 수신된 패킷을 SF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SFF는 SFC encapsulation에서 전달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SF에 트래픽 또는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SFF는 패킷을 다른 SFF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스위치, 라우터, 스위치 요소(Switching Element), 라우터 요소(Routing Element), 포워딩 요소(Forwarding Element) 등과 동등한 개념을 가질 수 있다.
SFP(Service Function Path)는 추상적 개념의 SFC를 구현하기 위해 패킷이 경유하는 실제의 네트워크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SFP 상에는 복수의 SFF 및 복수의 SF가 존재할 수 있다.
SFC Encapsulation은 최소한의 SFP Identification을 제공한다. 또한, SFC Encapsulation은 SFF, SFC aware SF등과 같은 SFC-aware function에서 이용되며, 일반 네트워크 도메인의 패킷 전달에는 이용되지 않으며, SFP ID 외에도 data plane context 정보(metadata)를 전달할 수 있다.
Classifier는 Classification 또는 Service Classification을 수행하는 기능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Classification은 트래픽을 정책에 의해 고객/서비스 단위로 분류하고 Profile에 따라 해당 고객이 이용하는 SF(Service Function)들을 분류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Classification는 트래픽에 적합한 Forwarding 정책(Policy), 이용자 및 네트워크 프로파일의 식별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SFC-enabled Domain은 SFC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단일 네트워크 관리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가상화된 네트워크의 기능 간 연결을 위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가상화된 네트워크의 기능 간 연결을 위한 서비스 기능 체이닝에 따른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Controller(100), Classifier(200), 5 개의 네트워크 노드(NE1, NE2, NE3, NE4, NE5)(310, 320, 330, 340, 350) 및 SF(410, 420, 430)로 구성될 수 있다.
Controller(100)는 Classifier(200)와 5 개의 네트워크 노드들(NE1, NE2, NE3, NE4, NE5)(310, 320, 330, 340, 350)를 제어할 수 있고, 네트워크 노드들(310, 320, 330, 340, 350)에 연결된 SF(410, 420, 4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노드들(310, 320, 330, 340, 350)중에서 NE3(330)와 NE4(340)는 서비스 기능 체이닝이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도메인(SFC-enabled domain)에 포함된다. 또한, NE3(330)와 NE4(340)은 SFC 헤더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 트래픽 포워딩을 수행시키는 서비스 기능 포워더(SSF, service function forwarder)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E3(330)은 SFFa를 가질 수 있고, NE4(340)는 SFFb를 가질 수 있다.
SFFa를 포함하는 NE3(340)은 실제 서비스 기능을 담당하는 SFc(410)와 SFd(420)를 연결되고, SFFb를 포함하는 NE4(340)는 SFe(43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Classifier(200)는 NE1(310) 또는 NE2(320)로부터 입력되는 트래픽에 대해서 "classification rule table"을 참조하여 입력된 트래픽이 어떤 서비스 체인과 연결이 되어 있는지 판별 후 해당 서비스 체인 경로(SFP, service function path)로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lassification rule table에 따르면, 포트 1번으로 입력된 트래픽은 SFP A와 매핑이 되고, 포트 2번로 입력된 트래픽은 SFP B로 매핑되며, TCP 포트 번호가 21인 트래픽은 SFP C로 매핑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테이블 정보에 의해 classification이 완료된 패킷에는 SFC 헤더가 포함되며, SFC 헤더 내에는 SFC 버전정보, SFP ID 정보, OAM 설정 및 데이터 패킷 여부 등을 판단하는 플래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Classifier(200)는 SFC 헤더가 포함된 패킷을 IP, ETHERNET 또는 GRE 등의 터널링 기술을 통해 NE3(330)로 전달하고, NE3(330)은 해당 트래픽을 SFFa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SFFa는 SFP ID를 기반으로 어떤 SF에게 트래픽을 전달해야 할지 결정하고, 해당 SF로 트래픽을 전달을 위해 다시 IP, ETHERNET 또는 GRE 등의 터널링 헤더를 붙여서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SFP A와 SFP B로 설정된 트래픽은 NE3(330)에서 SFc(410)와 SFd(420)를 거치고, 이후 NE4(340)로 전달되어 SFe(430)을 거쳐 최종적으로 NE4(340)의 SFFb에서 SFC 헤더를 제거하고 NE5(350)로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TCP 포트 번호가 21로 분류된 트래픽은 NE3(330) 및 NE4(340)을 통해서 SFc(410)와 SFe(420)만을 거쳐 서비스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출력될 수 있다.
특히, Classifier(200), SFF, SF(410, 420, 430)에 설정되는 classification rule 및 서비스 체이닝 경로의 프로비저닝은 외부에 있는 Controller에 의해서 설정 또는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레벨(NE 포워딩 부분을 제외한 레벨) 상에서 SFP A와 SFP B는, Classifier→SFFa→SFc→SFFa→SFd→SFFa→SFFb→SFe→SFFb 순서를 갖는 서비스 체이닝 경로를 가지며, SFP C는 Classifier→SFFa→SFc→SFFa→SFFb→SFe→SFFb 순서를 갖는 서비스 체이닝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SFC 별로 OAM 기능이 적용된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들을 바탕으로 classifier로부터 마지막 SFF까지 OAM 메시지가 전달되어야 한다.
여기서, OAM 메시지를 이용한 OAM 기능은 해당 체인에 대해서 특정 상태 정보 리포팅, 주기적인 continuity check 메시지를 통한 장애 감지, 장애 시 어떤 구간에서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추적할 수 있는 link trace 기능을 가지며, 해당 서비스 체인에 대해서 loss 및 delay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3개의 SFP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SFC는 가입자 별 서비스 트래픽 제어가 가능한 기술이므로 실제 상용화시 수백~수천개의 SFP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수많은 SFP들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SFP 각각을 통해 OAM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달할 경우 적지않은 대역폭 소모 및 OAM 메시지 처리로 인한 지연으로 기존 데이터 패킷 처리의 지연까지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SFP를 갖는 서비스 기능 체이닝에 대해서 OAM 기능을 그룹화하는 것이 필요하고, 대표가 되는 SFP를 통해 OAM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OAM 메시지에 의해 초래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AM 그룹 ID 설정을 통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Controller에 동일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경로를 갖는 SFP가 생성될 때, 현재 생성되는 SFP와 기존 SFP를 그룹화한 후 기존에 설정된 OAM 세션을 활용할 수 있다.
즉, SFP의 생성이 전체 서비스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Controller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SFC Control Logic 입장에서 동일한 서비스 기능 체이닝 경로를 거치는 SFP들을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OAM 그룹 ID를 이용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ontroller는 운영자(Operator)(또는 운영자 단말)로부터 SFC 설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310). SFC 설정 요청을 위한 정보는 서비스 네트워크(SFC-enabled domain)내에 존재하는 특정 서비스를 받기 위한 트래픽 분류를 위한 Policy 정보 및 OAM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OAM 설정 정보는 OAM ID 정보, 주기성 OAM 메시지에 대한 OAM 주기, 장애 처리에 관련된 OAM 문턱값(threshold), OAM을 통해 수집하고자 하는 Loss 및 Delay 정보에 대한 설정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FC 설정 요청을 수신한 Controller은 SFP A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서비스 네트워크 상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경로 생성에 필요한 SFF와 SF를 선정할 수 있다(S311). 즉, Controller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엔터티(entity)인 SFF, SF, Classifier 들을 관장하고 토폴로지 정보를 알고 있는 주체이기 때문에 SFC 설정 요청에 상응하는 SFF와 SF의 선정을 수행할 수 있다.
Controller는 운영자로부터 수신된 policy 정보를 기반으로 classification rule을 생성하여 Classifier로 전달할 수 있고, 이 때 운영자로부터 수신된 OAM 메시지의 관리 기능(loss, delay 측정) 및 주기성 OAM 메시지에 대한 전송 주기 등을 Classifier에게 설정할 수 있으며(S312), 이를 통하여 SF 및 SFF를 연결하는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나타내는 SFP A로 입력된 패킷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Controller는 SFP A의 연결 경로 중간 상에 위치하는 SFF에게 SFP A 인스턴스 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OAM 세션 정보 및 OAM 관리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OAM를 설정할 수 있다(S313).
예를 들면, 운영자가 Classifier에게 주기적으로 OAM 메시지 전송을 통하여 Loss 및 Delay 측정을 요청하였다면, SFF에서는 서비스 기능 체이닝에 따라 거쳐야할 SF에 대해서 Loss 및 Delay 측정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정보들을 OAM 메시지에 포함하여 다음 SF 또는 다음 SFF로 전달할 수 있다.
Controller는 SFF뿐만 아니라 SF에 대해서도 SFP A 인스턴스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SF가 입력된 트래픽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Controller는 서비스 기능 체인 경로의 마지막 노드인 Egress SFF에게 SFP A 인스턴스 정보를 전달하여 SFP A에 대해서 encapsulation된 메시지의 헤더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Classifier로부터 전달되는 OAM 메시지 전송 주기 및 OAM 메시지를 통해 수집된 Loss, Delay 정보 등의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S314, S316). 또한, 수집된 결과는 Controller로 통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SFF는 주기성 OAM 메시지의 유실에 따른 장애 판단을 위해서 연속적인 OAM 메시지에 대한 유실 횟수 등과 같은 상세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FF는 Classifier로부터 100 ms 단위로 전달되는 OAM 메시지에 대해서 연속해서 3번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해 장애로 판정할 수 있고, 이러한 장애 정보를 Controller로 전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설정된 SFP A에 대해서 Classifier는 주기적으로 OAM 메시지를 Egress SFF로 전달하기 시작하며, 운영자로부터 요청된 Loss 및 Delay 측정 등을 경로 중간상에 있는 SF, SFF 등에서 수행하도록 OAM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15).
Classifier로부터 시작된 OAM 메시지를 수신한 Egress SFF는 측정된 Delay, Loss 정보를 수집하고(S316), 특정 문턱값(threshold)을 초과하는 경우 Controller로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보할 수 있게 된다.
SFP A가 정상적으로 동작한 이후, Controller는 또 다른 SFC 설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Controller는 또 다른 SFC 설정 요청에 따라 SFP B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SFP B의 서비스 네트워크 상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설정하기 위한 SF, SFF 선정할 수 있다(S321).
만일, 선정된 SF와 SFF의 정보가 기존에 설정된 SFP A와 동일하고, OAM 설정이 요구되는 경우, Controller는 SFP A와 SFP B에 대한 공통의 OAM Group ID를 할당하고, OAM 메시지 전송을 맡게된 SFP를 선정할 수 있다(S322).
예를 들어, OAM 메시지 전달을 위한 SFP 선정은 SFP의 우선순위 정보 또는 Controller에 의한 랜덤한 선정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다 복잡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시간 순서대로 SFP A, SFP B를 번갈아가면서 OAM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SFP별 weight에 따라 OAM 메시지 전송의 빈도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SFP A와 SFP B를 위해 요구되는 메시지 전송 주기가 다를 경우, 전송 주기가 짧은 SFP를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기설정된 OAM 전송 주기보다 현재 요청된 전송 주기가 더 짧은 경우에는, Controller가 Classifier에게 설정 정보를 전달할 때 OAM 메시지를 더 짧은 전송 주기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OAM 전송 주기 변경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변경된 전송 주기에 맞추어 Loss, Delay 수집 등에 대한 문턱값 조정 및 장애 통보 내용들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ontroller는 운영자로부터 요청된 트래픽 Policy 정보를 통해 classification rule을 생성하여 Classifier로 전달할 수 있고, OAM Group ID 정보, OAM 메시지를 전송하는 SFP 정보를 Classifier로 전달할 수 있다(S322).
Classifier는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Classification rule을 테이블에 포함시키고, SFP B를 생성할 수 있으며, OAM 메시지 처리에 대해서는 Controller로부터 전달된 OAM Group ID 정보를 바탕으로 OAM 관리를 설정할 수 있다(S322). 즉, OAM Group ID가 동일한 세션 정보를 참조할 수 있도록 Classifier를 설정할 수 있다. 즉, Classifier는 Controller로부터 전달된 SFP 선정 정보를 바탕으로 SFP B를 통하여 OAM 메시지를 전송할지, 아니면 기설정된 SFP A를 통하여 OAM 메시지를 처리할지 결정할 수 있다.
Controller는 SFP B 중간 상에 존재하는 SFF에 대해서 SFP B 인스턴스 정보를 전달하고, OAM 관리 기능 및 Group ID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S323).
또한, Controller는 SFP B 중간 상에 존재하는 SF에 대해서도 SFP B 인스턴스 정보를 전달하고, OAM 관리 기능 및 Group ID 정보 등을 전달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Egress SFF는 Controller로부터 전달된 SFP B 인스턴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될 OAM 메시지에 대해서 그룹화된 OAM 메시지의 결과를 참조할 수 있도록 OAM Group ID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32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FP ID를 참조 설정을 통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F를 바이패스(bypass)하여 OAM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FP A와 SFP B가 동일한 SF, SFF 경로를 경유할 경우, Controller는 SFP A와 SFP B를 위해 OAM만을 전담하는 새로운 SFP를 생성할 수 있으며, SFP A와 SFP B가 새롭게 생성되는 SFP의 ID 정보를 바탕으로 OAM 관리 기능(장애감지, delay, loss 등의 성능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SFP A와 SFP B를 위해 OAM만을 전담하는 새로운 SFP는 'OAM 기능 SFP'로 명명될 수 있다.
도 4에서의 S410 내지 S416은 도 3에서의 S310 내지 S316의 절차와 동일하게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FP A가 정상적으로 동작한 이후, Controller는 또 다른 SFC 설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Controller는 또 다른 SFC 설정 요청에 따라 SFP B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SFP B의 서비스 네트워크 상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설정하기 위한 SF, SFF 선정할 수 있다(S421).
만일, 선정된 SF와 SFF의 정보가 기존에 설정된 SFP A와 동일하고, OAM 설정이 요구되는 경우, Controller는 SFP A와 SFP B를 위한 OAM 기능 SFP를 설정할 수 있다(S421).
Controller는 운영자로부터 요청된 트래픽 Policy 정보를 통해 classification rule을 생성하여 Classifier로 전달할 수 있고, OAM 기능 SFP에 정보를 Classifier로 전달할 수 있다(S422).
Classifier는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Classification rule을 테이블에 포함시키고, SFP B를 생성할 수 있으며, OAM 메시지 처리에 대해서는 Controller로부터 전달된 OAM 기능 SFP에 정보를 바탕으로 OAM 관리를 설정할 수 있다(S422).
OAM 기능 SFP는 Classifier와 SFF만을 한정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SFP A와 SFP B를 위한 장애 감지는 Classifier→SFFa→SFFb를 순서로 전달되는 OAM 메시지만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OAM 기능 SFP는 Classifier→SFFa→SFFb로 설정될 수 있다. 즉, SFFa에 연결된 SFc 및 SFd는 바이패스(bypass)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OAM 메시지에 따른 부하를 줄이기 위한 OAM 경로 효율화를 위해서 필요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동일한 노드 상에서 SF와 SFF가 가상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SFF와 SF는 내부 가상화 기반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SF와 SFF 사이에 논리적인 링크에서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 가상화된 기반을 통해 SFF가 장애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애를 인지한 SFF에서 OAM 메시지를 생성하여 마지막 SFF인 Egress SFF에게 장애 통보를 할 수 있다. 또한, Classifier-SFF-SFF 구간 상에서 장애가 없지만 SF-SFF 사이의 장애 정보를 수집한 Egress SFF는 장애 사항을 Controller로 통보하여 장애에 따른 조치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OAM 메시지에는 SF bypass를 위한 플래그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Classifier로부터 전달된 OAM 메시지가 SFF에 전달된 후 해당 SFF가 다음 SFF로 OAM 메시지를 바로 전달(bypass)하기 위해서는 OAM 메시지 내에 SF bypass를 위한 플래그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그 정보가 1로 설정된 트래픽을 받은 SFFa는 SFFb로 바로 OAM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Controller는 SFP B 중간 상에 존재하는 SFF에 대해서 SFP B 인스턴스 정보를 전달하고, OAM 관리 기능 및 OAM 기능 SFP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S423).
또한, Controller는 SFP B 중간 상에 존재하는 SF에 대해서도 SFP B 인스턴스 정보를 전달하고, OAM 관리 기능 및 OAM 기능 SFP 정보 등을 전달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Egress SFF는 Controller로부터 전달된 SFP B 인스턴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될 OAM 메시지에 대해서 OAM 기능 SFP에 따라 수집된 결과를 참조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S424).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ontroller, Classifier, SFF 및 SF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AM의 효율화를 위한 SFC 헤더 및 페이로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a)을 참조하면, SFC 헤더 및 페이로드 정보는 SFC 버전 정보, DATA 패킷인지 OAM 패킷인지 여부를 알 수 있는 FLAG 정보, SF BYPASS를 위한 FLAG 정보, SFP ID 정보 및 SF INDEX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FP ID 정보는 SFF, SF에서 수신된 패킷이 어떤 SFP에 의해서 서비스 처리가 되어야 할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고, SF INDEX는 SFF 입장에서 어떤 SF로 전달될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OAM Group ID는 도 3에서 설명된 실시예가 적용될 경우 SFC 헤더의 페이로드(payload) 내에 OAM Group ID 정보가 포함되며, Egress SFF까지 전달된 OAM 메시지에 대한 결과를 다른 SFP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이 된다.
도 6 (b)를 참조하면, 도 4에서 OAM Group ID를 할당하지 않고, 새로운 OAM 기능 SFP를 생성하여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SFC 헤더의 페이로드 내에 OAM 메시지를 전달하는 OAM 기능 SFP의 ID를 삽입함으로써 다른 SFP에서 이 OAM 메시지 결과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은, 서비스 기능 체이닝이 동일한 고객 서비스 트래픽 경로에 대해서 OAM 그룹을 정의하고, OAM 그룹이 동일한 서비스 기능 체이닝에 대해서 대표로 선출된 경로를 기반으로 OAM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OAM 메시지 전송에 따른 대역폭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OAM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로가 SF를 거치지 않고, SFF로만 전달이 가능한 효율화함으로써 OAM 메시지 처리에 따른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Controller 200: Classifier
310: NE1 320: NE2
330: NE3 340: NE4
350: NE5 410: SFc
420: SFd 430: SFe

Claims (18)

  1. 서비스 기능 체이닝(SFC: Service Function Chaining)을 위한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SFC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SFC 각각에 대한 SFP(Service Function Path)를 확인하여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고려하여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AM 메시지 전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FC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운용자 단말로부터 SFC 생성 요청을 위한 지시, 트래픽 처리를 위한 정책(policy) 정보, OAM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SFC에 대한 설정 요청에 상응하는 SFF(Service Function Forwarder) 및 SF(Service Function)를 선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SFC 각각에 대한 SFP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에 OAM 그룹 ID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로 중에서 상기 OAM 메시지를 전달할 SFP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선정된 SFP를 통해 상기 OAM 메시지를 전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OAM 메시지 전송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SFP를 통해 상기 OAM 메시지를 전달시키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classifier, 상기 선정된 SFP 상에 위치한 SFF 및 SF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OAM 메시지를 상기 선정된 SFP를 통해 전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선정된 SFP를 통해 전달된 상기 OAM 메시지의 결과를 상기 OAM 그룹 ID가 할당된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에 공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OAM 메시지 전송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대신하여 상기 OAM 메시지를 전송할 OAM 기능 SFP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OAM 기능 SFP를 통해 상기 OAM 메시지를 전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OAM 메시지 전송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OAM 메시지를 전송할 OAM 기능 SFP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 상에 위치한 SFF(Service Function Forwarder) 및 SF(Service Function) 중에서 상기 SF가 바이패스(bypass)되도록 상기 OAM 기능 SFP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OAM 기능 SFP를 통해 전달된 상기 OAM 메시지의 결과를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에 공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OAM 메시지 전송 방법.
  10. 서비스 기능 체이닝(SFC: Service Function Chaining)을 위한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SFC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SFC 각각에 대한 SFP(Service Function Path)를 확인하여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추출하며,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고려하여 OAM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OAM 메시지를 전송시키는 Classifier를 포함하는,
    OAM 메시지 전송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운용자 단말로부터 SFC 생성 요청을 위한 지시, 트래픽 처리를 위한 정책(policy) 정보, OAM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Classifier는,
    상기 SFC 생성 요청을 위한 지시, 상기 트래픽 처리를 위한 정책(policy) 정보, 상기 OAM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OAM 메시지를 전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FC에 대한 설정 요청에 상응하는 SFF(Service Function Forwarder) 및 SF(Service Function)를 선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SFC 각각에 대한 SFP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시스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에 OAM 그룹 ID를 할당하고,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로 중에서 상기 OAM 메시지를 전달할 SFP를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SFP를 통해 상기 OAM 메시지를 전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정된 SFP를 통해 전달된 상기 OAM 메시지의 결과를 상기 OAM 그룹 ID가 할당된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에 공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시스템.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를 대신하여 상기 OAM 메시지를 전송할 OAM 기능 SFP를 설정하고, 상기 OAM 기능 SFP를 통해 상기 OAM 메시지를 전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 상에 위치한 SFF(Service Function Forwarder) 및 SF(Service Function) 중에서 상기 SF가 바이패스(bypass)되도록 상기 OAM 기능 SFP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OAM 기능 SFP를 통해 전달된 상기 OAM 메시지의 결과를 상기 동일한 경로를 가지는 SFP에 공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AM 메시지 전송 시스템.
KR1020150166500A 2014-11-28 2015-11-26 Sdn 환경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1802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8549 2014-11-28
KR1020140168549 2014-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010A true KR20160065010A (ko) 2016-06-08
KR101802037B1 KR101802037B1 (ko) 2017-11-27

Family

ID=5619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500A KR101802037B1 (ko) 2014-11-28 2015-11-26 Sdn 환경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4573A4 (en) * 2016-10-27 2020-07-29 Nec Corporation CHAIN CONSTRUCTION DEVICE, TEST DEVICE, TEST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21075683A1 (ko) * 2019-10-15 2021-04-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비스 기능의 지연 시간 측정 시스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938B2 (en) 2009-03-17 2016-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mote procedure call chai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4573A4 (en) * 2016-10-27 2020-07-29 Nec Corporation CHAIN CONSTRUCTION DEVICE, TEST DEVICE, TEST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21075683A1 (ko) * 2019-10-15 2021-04-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비스 기능의 지연 시간 측정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037B1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1728B2 (en) Software-defined data center and service cluster scheduling and traffic monitoring method therefor
US10454806B2 (en) SDN controller, data center system, and routing connection method
CN106100999B (zh) 一种虚拟化网络环境中镜像网络流量控制方法
CN110535760B (zh) 聚合接口的转发检测
US20160119253A1 (en) Method and system of performing service function chaining
US20060182033A1 (en) Fast multicast path switching
CN107370673B (zh) 一种网络中建立转发路径的方法、控制器及系统
EP3142303A1 (en) Networ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10530669B2 (en) Network service aware routers, and applications thereof
KR20140106235A (ko) 오픈플로우 스위치 및 그 패킷 처리 방법
EP2553870B1 (en) An operations, administrations and management proxy and a method for handling operations, administrations and management messages
US20150263939A1 (en)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5515816B (zh) 检测层次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Adami et al. A novel SDN controller for traffic recovery and load balancing in data centers
KR102011021B1 (ko) Sdn 기반 네트워크 가상화 플랫폼의 네트워크 하이퍼바이저에서 트래픽 엔지니어링 방법 및 프레임워크
CN105634935A (zh) 一种服务层信号失效检测装置及方法
KR20150002474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장애 복구 방법
CN111327527B (zh) 流量转发方法、系统、sdn控制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02037B1 (ko) Sdn 환경에서 서비스 기능 체이닝을 위한 oam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0787A (ko) 서비스 펑션 체이닝의 안정성 보장을 위한 sff-sf 간 링크 구성 방법
US8964596B1 (en) Network service aware routers, and applications thereof
Muthumanikandan et al. Switch failure detection in software-defined networks
Heise et al. Self-configuring real-time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OpenFlow
Cui et al. SD-HDC: Software-Defined Hybrid Optical/Electrical Data Center Architecture
CN111327537B (zh) 流量转发方法、系统、sdn控制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