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808A -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808A
KR20160064808A KR1020140168949A KR20140168949A KR20160064808A KR 20160064808 A KR20160064808 A KR 20160064808A KR 1020140168949 A KR1020140168949 A KR 1020140168949A KR 20140168949 A KR20140168949 A KR 20140168949A KR 20160064808 A KR20160064808 A KR 20160064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formation
power
web service
information mode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6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4808A/ko
Publication of KR2016006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생산 스테이션을 관리하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은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에 따라 다를 수 있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력 생산 스테이션을 관리하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을 수행하는 스테이션 접속부, 상기 스테이션 접속부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 전력량을 포함하는 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형식 언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에 따른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 및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동적으로 적응시켜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에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는 데이터 형식 및 통신 프로토콜의 합치를 통해 생성된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WoT BASED HOME ENERGY MOR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홈 에너지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WoT(Web of Things) 기반의 가정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 및 소비 전력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증하고 있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를 위해서는 에너지의 생산 및 소비 현황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 전제가 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은 패널에 부착된 인버터로부터 PLC, Ethernet, WLAN 또는 ZigBee와 같은 통신 모듈을 통해 발전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모니터링하였으나, 인버터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같은 종류의 하드웨어 통신 모듈을 사용했다고 가능한 것이 아니라 데이터 형식 및 통신 프로토콜의 합치가 이루어져야 했다. 그러나 데이터 형식이나 통신 프로토콜은 인버터 제조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해당 인버터 제조사에서 개발한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을 함께 구입해야 하는 제품의 폐쇄성 및 종속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4607호는 ICT 환경에서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ICT 환경에서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을 위하여 큰 스케일 및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효율적이며 신뢰할 수 있고, 포괄적이고 정확한 방식으로 에너지 소비 관련 정보가 검색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1879호는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이더넷 등을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의 미들웨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원격에서 현장의 에너지 사용량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4607호 (2013. 02. 07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1879호 (2013. 03. 06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 형식 및 통신 프로토콜의 합치를 통해 생성된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에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에 제공하여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형식 언어를 통해 전력 정보에 따른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여 웹 서비스 방식의 개방형 프로토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전력 생산 스테이션을 관리하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된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에서 수행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으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 전력량을 포함하는 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형식 언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에 따른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동적으로 적응시켜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통신망과 무관한 장치 독립적인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의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환경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정해진 주기마다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온디맨드 요청에 따라 상기 전력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생산 전력량이 전력 하한 임계치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소비 전력량이 전력 상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전력 정보를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따라 구분되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표현 객체(상기 전력 정보 모델에 해당)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의 콘텐츠에 따라 상기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산 전력량이 전력 하한 임계치 이하일 때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생산 스테이션이 스마트 그리드 또는 마이크로 그리드에 해당하면 해당 그리드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전력 정보를 매시업(Mashup)하여 그리드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는 전력 생산 스테이션을 관리하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을 수행하는 스테이션 접속부, 상기 스테이션 접속부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 전력량을 포함하는 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형식 언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에 따른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 및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동적으로 적응시켜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에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은 데이터 형식 및 통신 프로토콜의 합치를 통해 생성된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은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에 제공하여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은 형식 언어를 통해 전력 정보에 따른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여 웹 서비스 방식의 개방형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에서 주기적 방식으로 수행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에서 주문형 방식으로 수행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에서 이벤트 전송 방식으로 수행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 (110),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 및 전력 생산 스테이션(130)을 포함한다.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110)는 센서 네트워크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력 생산 스테이션(130)을 관리하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과 네트워크 통신될 수 있다.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은 센서에서 센싱된 전력 정보 전송을 위하여 각종 센서에 부착될 수 있고, 전력 정보를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정보는 에너지 발전량, 에너지 소비량 및 환경 정보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발전량은 태양광 발전량, 풍력 발전량 및 수력 발전량과 같은 센싱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풍향, 풍속, 적설량, 일사량 및 강우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은 인버터 및 미터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이 인버터로 구현되는 경우, 전력 생산 스테이션(130)은 태양광 발전 모듈, 풍력 발전 모듈, 수력 발전 모듈과 같은 재생 에너지 발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은 전력 생산 스테이션(130)으로부터 발전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네트워크 에이전트(211, 212)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은 재생 에너지 발전 장치에서 생산된 직류 전원을 최대 효율을 가지는 변환 방식을 통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은 발전량 데이터를 교류 방식으로 네트워크 에이전트(211, 212)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이 미터기로 구현되는 경우,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은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네트워크 에이전트(211, 212)에 제공할 수 있다. 미터기는 전력 소비량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데이터를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에이전트(211, 212)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110)는 스테이션 접속부(즉, 장치 독립적인 디바이스 드라이버)(210),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 웹 서비스부(230),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240), 플러그인 관리자(250) 및 데이터베이스(260)를 포함한다.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전력 생산 스테이션(130)을 관리하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에이전트(211, 212)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에이전트(211, 212)는 센서 네트워크 에이전트(211) 및 유무선 네트워크 에이전트(212)를 포함할 수 있고,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은 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1) 및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2)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에이전트(211, 212)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전력 생산 스테이션(130)을 관리하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과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된 전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또는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수신된 전력 정보를 기초로 직접 이벤트를 발생시키거나 데이터베이스(260)에 전력 정보를 축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미리 설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환경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정해진 주기마다 또는 사용자의 온디맨드 요청에 따라 전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에 의하여 연결된 통신망과 무관한 장치 독립적인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해당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과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세션을 형성하는 방법은 센서 네트워크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 에이전트(211) 및 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1)는 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네트워크는 유선 센서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 에이전트(212) 및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2)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선 네트워크는 Ethernet 및 RS232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는 Zigbee, IP-USN(Internet Protocol - Ubiquitous Sensor Network) 및 무선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REST(REpresentational Status Transfer) 웹 서비스 방식을 기반으로 전력 정보를 매시업(Mashup)하여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와 연동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복수의 전력 생산 스테이션들(130)을 매시업하여 지능형 전력망을 구축할 수 있고, 각각의 전력 생산 스테이션들(130)의 전력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는 전력 생산 스테이션(130)이 스마트 그리드 또는 마이크로 그리드에 해당하면 해당 그리드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전력 정보를 매시업하여 그리드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웹 서비스부(230)는 그리드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240)에 동적으로 적응시켜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14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110)는 스마트 그리드와 연동하여 그리드 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에너지의 생산 및 소비를 최적화할 수 있다. 웹 서비스부(230)는 스마트 그리드와 연동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240)에 임베딩할 수 있다.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는 스테이션 접속부(210) 또는 데이터베이스(260)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생성된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는 스테이션 접속부(210)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 전력량을 포함하는 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형식 언어를 통해 수신된 전력 정보에 따른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형식 언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는 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따라 구분되는 XML 표현 객체(예를 들어, 전력 정보 모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은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되어 웹 서비스부(230)에 제공되는 전력 정보 모델에 해당할 수 있다.
Data Type Data Schema
Periodic data (residential solar generation information) by post method <Reading href="/WSMD_ipaddress:37000/wsdm/data/generation/mic1">
<inverterid>MIC_ID</inverterid>
<datetime>DATE_TIME</datetime>
<svoltage>SOL_VOL_VALUE</svoltage>
<scurrent>SOL_CUR_VALUE</scurrent>
<spower>SOL_POWER_VALUE</spower>
<gvoltage>GRID_VOL_VALUE</gvoltage>
<icurrent>MIC_CUR_VALUE</icurrent>
<ppower>PRD_POWER_VALUE</ppower>
<gridfreq>GRID_FREQ_VALUE</gridfreq>
<powerphour>POWER_PER_HOUR_VALUE</powerphour>
<apower>ACCUMUL_POWER_VALUE </apower>
</Reading>
Periodic data (residential consumption power information) <Reading href="/WSMD_ipaddress:37000/wsdm/data/consumption/meter1">
<meterid>METER_ID</meterid>
<datetime>DATE_TIME</datetime>
<ccurrent>CONSUMPION_CUR_VALUE</ccurrent>
<voltage>POWER_VOLTAGE</voltage>
</Reading>
On-demand data (event, response for get request) by get response or push <Reading href="/WSMD_ipaddress:37000/wsdm/data/management/mic1">
<inverterid> mic1 </inverterid>
<zigbeeid> ze1 </zigbeeid>
<operation> active </operation>
<status> event1 </status>
</Reading>
일 실시예에서, [표 1]은 주기적(Periodic) 또는 주문형(On-demand) 방식에 의한 전력 정보 모델에 해당할 수 있다. 전력 정보 모델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표현 객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정보 모델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와 수정이 가능하며, 표준 프로토콜에 입각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준 프로토콜은 SEP(Smart Energy Profile) 2.0 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는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전력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110)는 데이터 형식 및 통신 프로토콜의 합치를 통해 생성된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140)에 제공할 수 있다.
웹 서비스부(230)는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동적으로 적응시켜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140)에 제공할 수 있다. 웹 서비스부(230)는 전력 정보 모델의 콘텐츠에 따라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부(230)는 생산 전력량이 전력 하한 임계치 이하일 때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임베딩할 수 있다.
웹 서비스부(230)는 전력 정보 모델에 따라 관리 및 구성 서비스(231), 전력 정보 모니터링 서비스(232) 및 WoT(Web of Things) 서비스(233)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웹 서비스부(230)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을 관리하거나 설정함으로써 관리 및 구성 서비스(231)를 제공하여 전력 생산 스테이션(130)으로부터 전력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웹 서비스부(230)는 주기적(Periodic) 또는 주문형(On-demand) 방식으로 전력 정보 모니터링 서비스(232)를 제공하여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140)에 전력 정보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및 구성 서비스(231) 및 전력 정보 모니터링 서비스(232)는 WoT 기반의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부(23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WoT 서비스(233)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WoT 서비스(233)는 관리 및 구성 서비스(231) 및 전력 정보 모니터링 서비스(232) 이외의 WoT 기반의 웹 서비스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웹 서비스부(230)는 전력 정보 모델을 주기적으로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부(230)는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140)의 요청에 의하여 전력 정보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웹 서비스부(230)는 생산 전력량이 전력 하한 임계치 이하일 때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임베딩할 수 있다. 따라서, 웹 서비스부(230)는 생산 전력량이 외부로부터 요청되는 전력 공급량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부족한 전력을 보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웹 서비스부(230)는 에너지 발전량(또는 생산 전력량)이 전력 하한 임계치 이하이거나 에너지 소비량(또는 소비 전력량)이 전력 상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전력 정보를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발전량의 전력 하한 임계치가 20%이고 에너지 발전량이 최대 발전량의 20%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웹 서비스부(230)는 전력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소비량의 전력 상한 임계치가 80%이고 에너지 소비량이 최대 발전량의 80%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웹 서비스부(230)는 전력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너지 발전량의 전력 하한 임계치는 외부로부터 요청되는 전력 공급량을 충족시킬 수 없는 에너지 공급량에 해당하며, 에너지 소비량의 전력 상한 임계치는 에너지 소비 과잉으로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는 에너지 소비량에 해당할 수 있다.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240)는 전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웹 서비스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웹 서비스 방식은 REST(REpresentational Status Transfer) 웹 서비스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사용하여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과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고, 대용량의 정보를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는 전력 정보를 해당 콘텐츠에 따라 XML 표현 객체로 변환할 수 있고, 웹 서비스부(230)는 각각의 요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인 관리자(250)는 웹 서비스부(230)에서 동적으로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로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러그인 관리자(250)는 생성된 전력 정보 모델에 따라서 웹 서비스부(230)에서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240)로부터 로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60)는 장기간 동안 수집된 전력 정보를 기초로 구축되어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에 전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110)는 REST 방식을 사용하여 전력 정보에 대한 요청을 독립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110)는 수집된 전력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5는 도 1에 있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에서 주기적, 주문형 또는 이벤트 전송 방식으로 각각 수행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에서,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110)는 주기적(Periodic) 방식으로 에너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주기적으로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과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전력 정보를 XML 표현 객체로 변환할 수 있고, 웹 서비스부(230)는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140)에 제공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110)는 에너지 발전량이 전력 하한 임계치 이하이거나 에너지 소비량이 전력 상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모니터링의 주기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 (100)는 에너지 발전량 및 소비량이 안정적인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모니터링의 주기를 느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발전량의 전력 하한 임계치가 20%인 경우, 에너지 발전량이 최대 발전량의 20%이면 모니터링의 주기는 3초에 해당할 수 있고, 에너지 발전량이 최대 발전량의 15%이면 모니터링의 주기는 2초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소비량의 전력 상한 임계치가 80%인 경우, 에너지 소비량이 최대 발전량의 80%이면 모니터링의 주기는 3초에 해당할 수 있고, 에너지 소비량이 최대 발전량의 85%이면 모니터링의 주기는 2초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발전량 및 소비량이 최대 발전량의 50%이면 모니터링의 주기는 10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에서,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110)는 주문형(On-demand) 방식으로 에너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비스부(230)는 생산 전력량이 전력 하한 임계치 이하일 때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임베딩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부(230)는 생산 전력량이 전력 하한 임계치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소비 전력량이 전력 상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전력 정보를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에 요청할 수 있다. 웹 서비스부(230)의 요청은 스테이션 접속부(210)에 전달될 수 있고,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이에 대응하여 계통 관리 스테이션(120)과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110)는 이벤트 전송 방식으로 에너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스테이션 접속부(210)는 직접 이벤트를 발생시켜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220) 또는 데이터베이스(26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
120: 계통 관리 스테이션 121: 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22: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30: 전력 생산 스테이션
140: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
210: 스테이션 접속부 211: 센서 네트워크 에이전트
212: 유무선 네트워크 에이전트 220: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
230: 웹 서비스부 231: 관리 및 구성 서비스
232: 전력 정보 모니터링 서비스 233: WoT 서비스
240: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 250: 플러그인 관리자
260: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전력 생산 스테이션을 관리하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은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에 따라 다를 수 있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에서 수행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으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 전력량을 포함하는 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형식 언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에 따른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동적으로 적응시켜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통신망과 무관한 장치 독립적인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의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환경 구성 정보에 의하여 정해진 주기마다 또는 상기 사용자의 온디맨드 요청에 따라 상기 전력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생산 전력량이 전력 하한 임계치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소비 전력량이 전력 상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전력 정보를 상기 계통 관리 스테이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따라 구분되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표현 객체(상기 전력 정보 모델에 해당)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의 콘텐츠에 따라 상기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산 전력량이 전력 하한 임계치 이하일 때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생산 스테이션이 스마트 그리드 또는 마이크로 그리드에 해당하면 해당 그리드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전력 정보를 매시업(Mashup)하여 그리드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9. 전력 생산 스테이션을 관리하는 계통 관리 스테이션과 연결을 수행하는 스테이션 접속부;
    상기 스테이션 접속부로부터 생산 또는 소비 전력량을 포함하는 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형식 언어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전력 정보에 따른 전력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전력 정보 모델 생성부; 및
    상기 전력 정보 모델을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동적으로 적응시켜 웹 서비스 가능형 장치에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장치.

KR1020140168949A 2014-11-28 2014-11-28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160064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49A KR20160064808A (ko) 2014-11-28 2014-11-28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49A KR20160064808A (ko) 2014-11-28 2014-11-28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808A true KR20160064808A (ko) 2016-06-08

Family

ID=5619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949A KR20160064808A (ko) 2014-11-28 2014-11-28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480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607A (ko) 2009-04-17 2013-02-07 엔이씨 유럽 리미티드 Ict 환경에서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21879A (ko) 2011-08-24 2013-03-06 (주)에이시에스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607A (ko) 2009-04-17 2013-02-07 엔이씨 유럽 리미티드 Ict 환경에서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21879A (ko) 2011-08-24 2013-03-06 (주)에이시에스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53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energy management by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KR101189768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다중 가변 출력 직류전원 공급장치 및 방법
KR20190005469A (ko) 검침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96967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CN108919758A (zh) 一种区域能源管理系统
KR20160053129A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hmim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ome automation system for smart grid applications
Byun et al. An intelligent cloud-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s in future energy environments
KR20140129944A (ko) 스마트 가전 장치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CN204632087U (zh) 基于物联网的电能信息采集与监控系统
KR101211906B1 (ko) 네트워크 연결장치 및 방법
CN207541472U (zh) 一种光伏电站运行监控装置
KR101411128B1 (ko) 디바이스 에이전트와 그것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US9693318B1 (en) Multi-protocol load control
CN107168210B (zh) 分布式光伏电站的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20160064808A (ko) WoT 기반의 홈 에너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Juhana et al. Non-intrusive load monitoring using Bluetooth Low Energy
US20170059633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ower thereof
KR101839801B1 (ko) 스마트 미터링 단말장치
Ghatikar Internet of things and smart grid standardization
KR20140129942A (ko) 다중 홈 영역 네트워크 환경에서 연합 인증 센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시스템
KR102515984B1 (ko) IoT 기술 일체형 소형 데이터 수집장치(L-RTU) 및 이를 활용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287208B1 (ko) 스마트 시티 에너지 관리를 위한 xEMS 에너지 정보 연계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2177819U (zh) 一种智能楼宇能效管理系统
CN107479512A (zh) 智能家庭能量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