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615A - image capturing apparatus obtaining image of 3D object - Google Patents

image capturing apparatus obtaining image of 3D obj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615A
KR20160064615A KR1020140168437A KR20140168437A KR20160064615A KR 20160064615 A KR20160064615 A KR 20160064615A KR 1020140168437 A KR1020140168437 A KR 1020140168437A KR 20140168437 A KR20140168437 A KR 20140168437A KR 20160064615 A KR20160064615 A KR 20160064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mera
image capturing
dimensional object
capt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성태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4615A/en
Publication of KR2016006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6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2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scanning movement of lens or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imaging apparatus comprises: an imaging rack for mounting an imaging object; a first rail arranged along a circular orbit in a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imaging rack; a second rail arranged along a circular orbit in a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imaging rack by intersecting with the first rail; and a camera for imaging the imaging object by moving on the first rail. The first rail circles along the second rail while mounting the camera.

Description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image capturing apparatus obtaining image of 3D objec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capturing an image of a 3D object,

본 개시(disclosure)는 이미지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대상체의 촬영 위치 정렬을 위한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ure relates to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moving means for aligning a photographing position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이미지 촬영을 통해 3차원 대상체의 상태를 진단하거나 관리하는 방법이 최근 의료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X-Ray 촬영, CT 촬영, MRI 촬영 등과 같이 신체 내부의 이상 부위를 진단하기 위한 촬영 방법뿐만 아니라, 피부와 같이 인체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에 대한 이미지 촬영을 위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A method of diagnosing or managing the stat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through image shooting has been widely used in the medical field 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images not only for imaging abnormalities in the body, such as X-ray imaging, CT imaging, and MRI, but also for image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uman body, such as skin.

일 예로서, 피부는 인체가 외부 환경과 마주하는 요소로서, 다양한 신진 대사 산물과 구성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때때로,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혈색이 좋지 않은 경우, 혈액 순환 장애 또는 소화 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피부에 트러블이 생기는 경우, 정신적 스트레스를 의심해볼 수도 있다. 한편, 최근에는 외모 중시의 사회적 경향에 따라, 각종 성형 및 미용 목적의 피부 처지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피부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관리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As an example, skin is a component of the human body facing the external environment, containing a variety of metabolites and constituents, and sometimes an indicator of health status. As a specific example, when blood color is poor, blood circulation disorder or digestive disorder may be suspected. As another example, if a skin problem occurs, mental stress may be suspected. Meanwhil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various skin shaping methods for cosmetic and cosmetic purposes, and a method of periodically monitoring and managing the skin condition has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e social tendency of the appearance-oriented societ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 상태의 모니터링을 위해 시간 차를 두고 복수의 이미지 촬영을 하는 경우에, 촬영된 이미지들이 피부의 동일한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 신뢰성이 요청된다. 일 예로서, 얼굴을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세부 영역 별로 피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시간 차를 두고 복수 회 촬영한 이미지들 상호 간에 동일한 세부 영역을 촬영하였다는 것을 보장할 필요성이 있다. 왜냐하면 상술한 이미지 촬영의 신뢰도는 특정 세부 영역에 대한 검진 결과의 신뢰도와 직접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aking a plurality of images with a time difference for monitoring the skin condition, reliability is required as to the fact that the photographed images represent the same area of the skin. For example, when the f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regions and the skin condition is monitored for each sub-region, it is assured that the same sub-region is photographed between images taken a plurality of times with a time difference There is a need to do. This is because the above-described reliability of the image taking can be directly linked to the reliability of the examination result on a specific sub-area.

이미지 촬영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 대상체인 3차원 구조물과 카메라 사이에 정밀한 정렬도가 요청된다. 이를 위해, 상기 3차원 구조물을 기준으로 카메라를 정렬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는 스테이지 장치가 요청된다. 종래의 경우,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렬을 위해 직선 운동을 하는 3 종류의 스테이지(즉, X, Y, Z 방향의 스테이지), 및 방향 정렬을 위해 2 방향의 회전축을 구비하는 스테이지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5 종류의 축을 구비하는 스테이지를 적용하는 경우, 스테이지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스테이지 장치의 부피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image shooting, a precise alignment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be inspected and the camera is required. To this end, a stage device is required that aligns the camera with respect to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appropriately adjusts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camera. Conventionally, three kinds of stages (that is, X, Y, and Z directions) for performing linear motion for aligning the camera and a stage having two rotation axes for direction alignment are applied. However, when a stage having five kinds of shafts is applied, the configuration of the stage apparatu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volume of the stage apparatus may increase.

본 개시는, 3차원 대상체에 대한 복수회의 이미지 촬영시에, 상기 3차원 대상체의 세부 영역과 카메라 사이의 정렬 신뢰도를 향상시키면서, 보다 간단한 정렬 수단을 가지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having a simpler alignment means while improving alignment reliability between the detailed region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the camera at the time of taking a plurality of images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일 측면에 따르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는, 촬영 대상체를 안착시키는 촬영거치대, 상기 촬영거치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원형 궤도를 따라 배치되는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교차하며 상기 촬영거치대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의 원형 궤도를 따라 배치되는 제2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 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촬영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카메라를 실장한 상태로 제2 레일을 따라 선회한다.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photographing cradle for placing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a first rail arranged along a horizontal circular track on the basis of the photographing cradle, And a camera moving on the first rail and photographing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The first rail rotates along the second rail while the camera is mounted.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는 촬영 대상체의 주위로 서로 다른 원형 궤도를 따라 배치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을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레일 위를 카메라가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가 설치된 레일은 나머지 하나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는 상기 촬영 대상체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has first and second rails arranged along different circular orbits around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so that the camera moves on either one of the rails Respectively. Also, the rails provided with the camera are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other one of the rails. At this time, the camera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상술한 구성은, 종래의 5종의 이동축을 구비하는 스페이지의 구조에 비해, 그 구성이 간단하고, 상기 촬영 대상 영역의 중심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 대상 영역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촬영 대상 영역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정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be mov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a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five-axis moving shaft,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alignment with respect to a specific area of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상술한 발명의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효과 중 일부를 예시하는 것이며, 제시하는 실시예의 구성으로부터 자명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효과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The eff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illustrate some of the various effects derived from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exclude other various effect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에 대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B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3차원 대상체의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gion A of FIG. 1; FIG.
3 is an end view of the region A of FIG. 1;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area B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gion B in Fig.
FIG.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lign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is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width,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are enlarg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components of each device.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terms "comprise"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영역에 대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B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gion A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gion A of FIG.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egion B of FIG. 1,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gion B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10)는 촬영거치대(110), 제1 레일(120), 제2 레일(130), 및 카메라(140)를 포함한다. 제1 레일(120) 및 제2 레일(130)은 서로 다른 궤도를 가지면서 촬영거치대(110)의 주변에 배치된다. 카메라(140)는 제1 레일(120) 상을 이동하며, 제1 레일(120)은 카메라(140)를 실장한 상태로 제2 레일(130)을 따라 선회할 수 있다.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10)는 카메라(140)와 제1 레일(12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50)를 구비할 수 있다.1,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0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includes a photographing mount 110, a first rail 120, a second rail 130, and a camera 140. The first rail 120 and the second rail 130 are disposed around the photographing stand 110 with different orbits. The camera 140 moves on the first rail 120 and the first rail 120 can turn along the second rail 130 while the camera 140 is mounted.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may include a camera 140 and a controller 15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rail 120.

촬영거치대(110)는 촬영 대상체(20)인 3차원 구조물을 안착시키고, 상기 3차원 구조물 중 촬영 대상 영역(2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촬영 대상체(20)가 사람인 경우, 촬영거치대(110)는 사람을 적절히 안착시켜, 촬영 대상 영역(210)으로서의 얼굴 부위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촬영거치대(110)가 얼굴의 턱 부위를 고정하도록 배치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촬영 대상체(20)를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공지의 구성요소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The photographing cradle 110 can seat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as the shooting object 20 and fix the position of the shooting object region 210 among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s.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object 20 to be photographed is a person, the photographing cradle 110 can properly seat the person and fix the position of the face region as the object region 210. [ In the figure, the photographing cradle 110 is arranged so as to fix the jaw portion of the face,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but also a known component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photographing object 20 can be provided.

촬영거치대(110)는 상하 방향의 승강이동이 가능한 높이 변환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 변환 장치는 촬영거치대(110)에 촬영 대상체(20)가 안착될 때, 촬영 대상 영역(210)의 중심점(215), 일 예로서, 얼굴의 중심점(215)이 제1 레일(120) 및 제2 레일(130)의 궤도 중심이 되도록 촬영거치대(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stand 110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changing devic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enter of gravity 215 of the image pickup area 210,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face 215, is positioned on the first rail 120 when the object 20 is placed on the photographing stand 110. [ And the height of the photographing cradle 110 can be adjusted to be the center of the orbit of the second rail 130.

제1 레일(120)은 촬영거치대(11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원형 궤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촬영 대상체(20)가 촬영거치대(110)에 안착된 후, 제1 레일(120)은 촬영대상체(20)의 촬영 대상 영역(210)의 중심점(215)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반구형의 가상 공간에서, 경도 방향을 따라 촬영 대상체(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rail 120 may be disposed along a horizontal circular track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stand 110. The first rail 120 is set on the basis of the center point 215 of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210 of the photographing target object 20 after the photographing target object 20 is seated on the photographing receptacle 110 It can be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object 20 along the direction of the hardness in the hemispherical virtual space.

제1 레일(120) 상에는 촬영 대상 영역(210)을 촬영하는 카메라(14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40)는 촬영 대상 영역(210)의 중심점(215)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140)가 제1 레일(120)을 따라 위치를 이동하더라도, 카메라(140)는 촬영 대상 영역(210)의 중심점(215)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On the first rail 120, a camera 140 for photographing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210 may be disposed. The camera 14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center point 215 of the region 210 to be photographed. The camera 140 can maintain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215 of the region 210 to be photographed even if the camera 140 moves along the first rail 120.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레일(120) 및 제1 레일(120) 상을 이동하는 카메라 캐리어(141)이 도시되고 있다. 카메라 캐리어(141) 상에는 카메라(141)가 결합되고, 카메라 캐리어(141)가 제1 레일(120)과 기어 결함함으로써, 카메라(141)가 제1 레일(120) 상을 이동할 수 있다.2 and 3, there is shown a camera carrier 141 that moves on a first rail 120 and a first rail 120. The camera 141 is coupled to the camera carrier 141 and the camera carrier 141 is gear-connected to the first rail 120 so that the camera 141 can move on the first rail 120.

제1 레일(120)은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121) 및 상기 수평 방향의 궤도를 따라 몸체부(121)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랙 기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캐리어(141)는 랙 기어(122)와 맞물려 동작하는 피니언 기어(12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레일(120)은 제1 지지부재(125)에 의하여, 형태 및 구조가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rail 12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21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rack gear 122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21 along the horizontal track. The camera carrier 141 may have a pinion gear 123 that operates in engagement with the rack gear 122. The first rail 120 can be supported in the shape and structure by the first support member 125.

한편, 카메라 캐리어(141)는 모터(127), 및 모터(127)와 제1 회전축(128)에 의해 연결되는 주동 기어(126)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기어(126)는 종동 기어(125)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종동 기어(125)는 피니언 기어(123)와 함께 제2 회전축(124)에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mera carrier 141 may include a motor 127 and a driven gear 126 connected to the motor 127 by a first rotary shaft 128. The driven gear 126 may be disposed to be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125 and the driven gear 125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al shaft 124 together with the pinion gear 123.

모터(127)가 동작하면 제1 회전축(128)이 회전하면서 주동 기어(126)가 구동되고, 이어서, 종동 기어(125)가 주동 기어(126)에 맞물려 동작할 수 있다. 종동 기어(125)의 움직임이 제2 회전축(124)에 전달되어, 한쌍의 피니언 기어(123)와 랙 기어(122)가 맞물려 동작함으로써, 카메라 캐리어(141)가 제1 레일(120)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캐리어(141)가 이동함으로써, 카메라 캐리어(141)에 결합된 카메라(140)가 제1 레일(120) 상을 α방향을 따라 선회할 수 있다.When the motor 127 is operated, the first rotary shaft 128 rotates and the driven gear 126 is driven, and then the driven gear 125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126 to operate. The movement of the driven gear 125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24 so that the pair of pinion gears 123 and the rack gear 122 engage with each other to move the camera carrier 141 on the first rail 120 Can be moved. As the camera carrier 141 moves, the camera 140 coupled to the camera carrier 141 can turn on the first rail 120 along the? Direction.

한편, 카메라 캐리어(141)가 제1 레일(120) 상을 이동할 때, 몸체부(121)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몸체부(121)와 접촉하는 카메라 캐리어(141) 외측부에 볼 베어링과 같은 베이링 장치(129)가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mera carrier 141 is moved on the first rail 120, a ball bearing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amera carrier 141 which contacts the body portion 121 to reduce friction with the body portion 121 A baying device 129 may be disposed.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2 레일(130)은 제1 레일(120)과 교차하며, 촬영거치대(110)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의 원형 궤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추가로 참조하면, 제2 레일(130)은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131), 상기 수직 방향의 궤도를 따라 몸체부(131)의 일측벽에 배치되는 랙 기어(132), 랙 기어(132)와 맞물려 동작하는 피니언 기어(132), 및 랙 기어(132)와 피니언 기어(132)를 구동하는 제2 모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일(130)은 제2 지지부재(135)에 의하여, 형태 및 구조가 지지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second rail 130 intersects the first rail 120, and may be disposed along a vertical circular orbit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stand 110. 4 and 5, the second rail 130 includes a body portion 131 having an outer appearance, a rack gear 132 disposed on one side wall of the body portion 13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pinion gear 132 that operates in engagement with the rack gear 132 and a second motor 134 that drives the rack gear 132 and the pinion gear 132. [ The second rail 130 can be supported in shape and structure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135.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레일(130)은 촬영대상체(20)의 촬영 대상 영역(210)의 중심점(215)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반구형의 가상 공간에서, 위도 방향을 따라 촬영 대상체(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레일(130)은 촬영 대상체(20)의 수직 중심축에 평행하도록 고정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rail 130 is moved along the latitudinal direction in the hemispherical virtual space set on the basis of the center point 215 of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210 of the photographing target object 20, As shown in FIG. The second rail 130 may be fixedly dispos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center axis of the object 20.

제2 모터(134)는 회전축(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이 피니언 기어(133)와 결합됨으로써, 제2 모터(134)의 회전 운동이 제2 레일(130)의 궤도를 따르는 랙 기어(132) 및 피니언 기어(133)의 선회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The second motor 134 has a rotation shaft (not shown) and the rotation shaft is coupled with the pinion gear 133 so tha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econd motor 134 is transmitted to the rack gear 133 along the track of the second rail 130. [ (132) and the pinion gear (133).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제1 레일(120)의 몸체부(121)는 브라켓(136)을 이용하여 제2 모터(134)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랙 기어(132) 및 피니언 기어(133)의 선회 운동으로, 제1 레일(120)은 제2 레일(130)을 따라 도 1에 도시되는 β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4 and 5, the body portion 121 of the first rail 120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motor 134 using the bracket 136, whereby the rack gear 132 and / With the pivotal movement of the pinion gear 133, the first rail 120 can move along the second rail 130 along the? Direction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카메라(140)는 α 방향을 따라 제1 레일(120)을 선회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일(120)이 카메라(140)를 실장한 상태로 제2 레일(130) 상을 이동함으로써 카메라(140)가 β방향을 따라 선회할 수 있다. 카메라(140)가 촬영 대상 영역(210)의 중심점(215)을 향하도록 고정되고 제1 레일(120)과 제2 레일(130)이 원형 궤도를 가짐으로써, 카메라(140)는 촬영 대상 영역(210)의 전체 영역을 신뢰성 있게 커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amera 140 can pivot the first rail 120 along the? Direction. Also, the first rail 120 moves on the second rail 130 while the camera 140 is mounted, so that the camera 140 can turn in the? Direction. The camera 140 is fixed so as to face the center point 215 of the region 210 to be photographed and the first rail 120 and the second rail 130 have circular orbit, 210 can be reliably covered.

이로써, 종래의 5종의 이동축을 구비하는 스페이지의 구조에 비해, 그 구성이 간단하고, 상기 촬영 대상 영역(210)의 중심점(215)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어서, 높은 촬영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Thus,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can be mov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215 of the photographing object region 210, so that high photographing reliability can be obtained .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촬영 장치(10)는 제어 장치(1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카메라(140)가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미지 정보를 통해, 촬영 대상체의 위치를 판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50)는 상기 연산부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카메라(140)의 위치를 제1 레일(120) 및 제2 레일(130) 상에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제1 및 제2 모터(124, 13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 또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송선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controller 150. The control device 150 may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140, and an oper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imaged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140 on the first and second rails 120 and 130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operation unit. The control device 150 may provide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motors 124 and 134 or a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3차원 대상체의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3차원 대상체(20)를 시간 차를 두고 복수회 이미지 촬영할 때, 눈, 눈썹, 코, 미간과 같이 상기 시간차에도 변하지 않는 촬영 대상체의 신체 위치 정보를 정렬자로 사용하여 이미지를 정렬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5 포인트의 정렬 자(212a, 212b, 212c, 212d, 212e)가 제공되고, 이들이 촬영 대상 영역(210)의 중앙 및 외곽에 걸쳐 배치되고 있지만, 정렬자(212a, 212b, 212c, 212d, 212e)의 위치 및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른 위치 또는 개수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정렬자(212a, 212b, 212c, 212d, 212e)는 촬영 대상 영역(210)의 특정 부위에 부착되거나 기재되는 표식일 수도 있다.FIG.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lign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ree-dimensional object 20 is photographed a plurality of times with a time difference, the image is aligned using the body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which does not change even in the time difference, such as eye, eyebrow, nose, can do. In the drawing, five aligners 212a, 212b, 212c, 212d, and 212e are provided, and they are arranged over the center and the outline of the area 210 to be imaged. 212c, 212d, 212e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other positions or numbers are also possible. In other embodiments, the aligners 212a, 212b, 212c, 212d, and 212e may be indicia attached to or described at a particular site in the region 210 to be imaged.

도 6의 (a)에서와 같이, 정렬자(212a, 212b, 212c, 212d, 212e)에 의해, 카메라와 촬영 대상 영역(210)사이의 정렬이 완료된 후에, 정렬자(212a, 212b, 212c, 212d, 212e)의 위치는 촬영 이미지 및 제1 및 제2 레일(120, 130) 상의 좌표로서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며 촬영 대상 영역(210)에 대한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6A, after the alignment between the camera and the photographing target region 210 is completed by the aligners 212a, 212b, 212c, 212d, and 212e, the aligners 212a, 212b, 212c, 212d, 212e may be stored as coordinates on the captured image and the first and second rails 120, Then, the image capturing for the region 210 to be photographed may b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aligned state.

이후에, 시간이 경과한 후에, 동일한 촬영 대상 영역(210)에 대해 이미지 촬영을 다시 할 경우, 먼저, 카메라(140)는 상기 저장된 정렬자(212a, 212b, 212c, 212d, 212e)의 좌표로 이동한다. 그리고, 카메라(140)는 정렬자(212a, 212b, 212c, 212d, 212e)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예비로 촬영하여, 정렬자(212a, 212b, 212c, 212d, 212e)의 위치가, 이전 촬영시의 위치와 동일한 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6의 (b)에서와 같이, 촬영된 정렬 표지자(212a1, 212b1, 212c1, 212d1, 212e1)의 좌표가 도 6의 (a)의 이전에 촬영된 정렬 표지자(212a, 212b, 212c, 212d, 212e)의 좌표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카메라(140)와 촬영 대상 영역(210) 사이에 새로운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40)와 촬영 대상 영역(210) 사이의 새로운 정렬 작업은 일 예로서, 촬영 대상체(20)의 위치를 오차만큼 이동시켜 교정하거나, 다른 예로서, 제1 레일(120) 또는 제2 레일(130) 상에서 카메라(140)의 위치를 이동시켜 조절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정렬 작업을 통해, 도 6의 (a)와 도 6의 (b)의 이미지 상에서 정렬자의 정렬을 일치시킨후에, 이미지 촬영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Then, when the image capturing is performed again with respect to the same region 210 to be photographed after a lapse of time, the camera 140 first determines the coordinates of the stored aligners 212a, 212b, 212c, 212d, and 212e Move. The camera 140 takes a preliminary photograph of the image including the aligners 212a, 212b, 212c, 212d and 212e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aligners 212a, 212b, 212c, 212d, I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 The coordinates of the taken alignment markers 212a1, 212b1, 212c1, 212d1 and 212e1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lignment markers 212a, 212b, 212c, 212d, and 212d previously photographed in FIG. 6 (a) A new alignment may be made between the camera 140 and the region 210 to be photographed. A new alignment operation between the camera 140 and the photographing object area 210 may be performed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20 by an error and calibrat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20 as another example,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140 on the display unit 130. With this new sorting operation, after the alignments of the aligners are matched on the images of Figs. 6 (a) and 6 (b), the image taking operation can proceed.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 광조사 및 광검출 장치, 20: 촬영 대상체,
110: 촬영거치대, 120: 제1 레일,
121 131: 몸체부, 122 132: 랙기어, 123 133: 피니언 기어,
124 134: 모터, 125 135: 회전축, 126 136: 브라켓,
125: 제1 지지 부재, 126a: 걸림 돌기부, 126b: 걸림 홈,
135: 제2 지지 부재,
130: 제2 레일, 140: 카메라,
150: 제어장치.
10: light irradiation and light detection device, 20: object to be photographed,
110: shooting stand, 120: first rail,
121 131: body portion, 122 132: rack gear, 123 133: pinion gear,
124 134: motor, 125 135: rotating shaft, 126 136: bracket,
125: first supporting member, 126a: engaging projection, 126b: engaging groove,
135: second supporting member,
130: second rail, 140: camera,
150: Control device.

Claims (10)

촬영 대상체를 안착시키는 촬영거치대;
상기 촬영거치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원형 궤도를 따라 배치되는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교차하며 상기 촬영거치대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의 원형 궤도를 따라 배치되는 제2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 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촬영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카메라를 실장한 상태로 제2 레일을 따라 선회하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
A photographing mount for placing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A first rail disposed along a horizontal circular track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stand;
A second rail intersecting with the first rail and disposed along a vertical circular orbit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stand; And
And a camera moving on the first rail and photographing the photographing object,
The first rail is pivotally moved along the second rail with the camera mounted thereon
An image captur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촬영 대상체의 촬영 대상 영역의 중심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center point of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An image captur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결합하는 카메라 캐리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캐리어가 상기 제1 레일과 기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제1 레일 상을 이동하는
3차원 대상체 이미지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mera carrier coupled with the camera,
The camera carrier is gear-engaged with the first rail,
The camera moves on the first rail
3-dimensional object image capturing device.
제3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레일은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
상기 수평 방향의 궤도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캐리어는
상기 랙 기어와 맞물려 동작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rail
An outer body portion;
And a rack gea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along the horizontal track,
The camera carrier
And a pinion gear operable to engage with the rack gear
An image captur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캐리어는
모터;
상기 모터와 제1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는 주동 기어; 및
상기 주동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종동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종동 기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함께 제2 회전축에 결합되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amera carrier
motor;
A main gear connected to the motor by a first rotation shaft; And
And a driven gear disposed to be engaged with the main gear,
The driven gear is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together with the pinion gear
An image captur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촬영 대상체의 수직 중심축에 평행하도록 고정 배치되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rail is fixedly dispos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center axis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An image captur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은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
상기 수직 방향의 궤도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벽에 배치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맞물려 동작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랙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rail
An outer body portion;
A rack gear disposed on one side wall of the body along the vertical track;
A pinion gear operable to engage with the rack gear; And
And a second motor for driving the rack gear and the pinion gear.
An image captur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의 몸체부가 상기 제2 모터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레일이 상기 제2 레일 상을 이동하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rail is engaged with the second motor such that the first rail moves on the second rail
An image captur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미지 정보를 통해, 상기 촬영 대상체의 위치를 판정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orage unit for storing image information taken by the camera;
An arithmetic unit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imaged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operation unit
An image captur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촬영 대상체 상에 배치되는 정렬자의 위치를 판정하는
3차원 대상체의 이미지 촬영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arithmetic section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aligner disposed on the shooting object
An image captur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KR1020140168437A 2014-11-28 2014-11-28 image capturing apparatus obtaining image of 3D object KR201600646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37A KR20160064615A (en) 2014-11-28 2014-11-28 image capturing apparatus obtaining image of 3D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37A KR20160064615A (en) 2014-11-28 2014-11-28 image capturing apparatus obtaining image of 3D obj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615A true KR20160064615A (en) 2016-06-08

Family

ID=5619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437A KR20160064615A (en) 2014-11-28 2014-11-28 image capturing apparatus obtaining image of 3D obj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461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4004A (en) * 2018-03-23 2018-09-21 深圳市中科智诚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afety-type face recognition device that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s hig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4004A (en) * 2018-03-23 2018-09-21 深圳市中科智诚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afety-type face recognition device that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s high
CN108564004B (en) * 2018-03-23 2020-07-07 黄山徽扬物联科技有限公司 Safe type face identification equipment that recognition accuracy is high based on thing network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412B1 (en) Dental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EP3117770B1 (en) Medical imag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06580240B (en) A kind of capsule gastroscope magnetic control system
US7632015B2 (en) CT scanner including device to visually indicate area of CT scan
JP2010035984A (en) X-ray imaging apparatus
JP2007185514A (en) Imaging medical device and method to set working parameter of imaging medical device
US20080025459A1 (en) X-ray hybrid diagnosis system
CN102970928A (en) Radiological image photography display method and system
CN102440788B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method and device
KR101695117B1 (en) Method for planning support and computer tomography device
EP2708188B1 (en) X-ray imaging apparatus
CN103068314A (en) Medical diagnostic imaging equipment
KR20140044158A (en) Radiography system for dental model and jig device used thereof
JP2010035814A (en) Medical image diagnostic apparatus
KR100990474B1 (en) Dual source X-ray CT equipment
CN104168831A (en) Portable X-ray imaging system and operating table apparatus using same
KR101198917B1 (en) Micro-robot motion controlling system utilizing a dual source X-ray CT equipment and method therefor
CN102406508A (en) Radiological image displaying device and method
JP2010167129A (en) X-ray imaging apparatus
US9320480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3D display of a patient's organ
KR20160064615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obtaining image of 3D object
US201901106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uided interventional procedures
JP2011104115A (en) Image display, and program of the same
CN102342843A (en) Radiological image radiographing and displaying method and radiological image radiographing and displaying apparatus
JP2012061188A (en) Radiation ray image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