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948A - 컵힌지용 댐핑 장치 - Google Patents

컵힌지용 댐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948A
KR20160063948A KR1020140167891A KR20140167891A KR20160063948A KR 20160063948 A KR20160063948 A KR 20160063948A KR 1020140167891 A KR1020140167891 A KR 1020140167891A KR 20140167891 A KR20140167891 A KR 20140167891A KR 20160063948 A KR20160063948 A KR 20160063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ever
cup
damping devi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이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만 filed Critical 이영만
Priority to KR102014016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948A/ko
Publication of KR2016006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1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both radial and axial friction, e.g. con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2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movabl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6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hinge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05Y2201/256Fluid or viscous friction with pistons or v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컵힌지(10)의 닫힘 작동을 감쇠하기 위한 댐핑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댐핑 장치(100)는 컵힌지(10)의 레버(12)와 미끄럼 접촉하여 그 접촉부가 레버(12)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고, 그 변위를 통해 발생한 탄성력을 레버(12)와 로드(120)에 인가시키는 작동 수단(105)과 충돌부(14)에 충돌하여 도어(3)의 충격 에너지를 전달하는 로드(120)를 통해 감쇠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댐핑 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소형화할 수 있어 컵힌지에의 적용이 내장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컵힌지용 댐핑 장치 {Damping device for cup-hinge}
본 발명은 가구의 여닫이문 등에 적용되는 컵힌지의 작동에서 닫힘 작동을 감쇠하기 위한 댐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닫힘 작동의 종료 구간에서 컵힌지의 레버와 미끄럼 접촉하여 그 접촉부가 레버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고 그 변위를 통해 발생한 탄성력으로 마찰력을 증가시켜 감쇠 기능을 수행하는 컵힌지의 댐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닫이문이 사용되는 씽크대나 옷장 등의 가구에는 여닫이문을 작동하기 위해 컵힌지가 많이 사용된다. 컵힌지는 여닫이문의 열림 작동과 닫힘 작동과 함께 닫힘 위치에서 쉽게 열리지 않도록 닫힘 유지력을 부여하는 기능도 함께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닫힘 유지 기능으로 인해 여닫이문이 가구 본체에 닫힐 때 충돌 소음이 발생하고 충돌로 인한 가구의 손상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소음과 손상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충격 완충기로 유압이나 공압 댐퍼가 사용되었다. 충격 완충기 적용 초기의 경우 컵힌지와 적절히 이격된 위치의 가구 본체에 선형 댐퍼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는데 이는 가구 본체에 별도 설치를 해야 한다는 불편이 있었고 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컵힌지에 탈부착할 수 있는 댐퍼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탈부착하는 불편과 비용 뿐 만 아니라 가구에 물품을 수납할 시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1273호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댐퍼가 개시되고 있으나, 복잡한 구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3-004127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컵힌지에 내장하기 용이한 컵힌지 닫힘 작동 감쇠용 댐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댐핑 장치는, 컵힌지의 닫힘 작동을 감쇠하기 위한 컵힌지용 댐핑 장치로써, 컵힌지의 레버와 미끄럼 접촉하여 그 접촉부가 레버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는 작동 매체와 작동 매체의 변위를 통해 발생한 탄성력을 레버와 로드에 가해 레버와 로드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압박스프링과 컵힌지의 암의 충돌부와 충돌하여 여닫이문의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는 로드와 미끄럼 접촉이 해제되는 즈음에 로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작동 매체와 압박스프링은 일체로 만들어 적용할 수 있으며, 작동 매체나 로드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또는 공압 댐퍼나 충격 완충 기능이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된 범퍼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작동 매체와 로드의 일정 부분에 마찰력을 증감할 수 있는 부가 마찰재를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부가된 공압 댐퍼의 피스톤과 로드를 일체로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댐핑 장치는, 미닫이문이 최종 닫힘 위치에 도달하기 전 일정 구간에서 마찰 댐핑 기능이 최대가 되고 댐핑 기능이 해제되고 원상 복귀될 때는 마찰 저항이 최소가 되는 작동 매체의 스위치 기능으로 인해 댐핑 장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컵힌지에 내장이 용이하다.
또한, 작동 매체와 압박스프링을 일체로 만들어 적용함으로써 구조를 더욱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유압 또는 공압 댐퍼 내지 범퍼를 추가 구성하거나 부가 마찰재 적용을 통해 부드러운 작동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로드와 공압 피스톤을 일체로 작동하게 하여 구조의 단순화와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컵힌지용 댐핑 장치가 적용될 여닫이문의 사용 상태도.
도2는 본 발명 실시예가 조립될 컵힌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3은 도2의 A-A'단면도.
도4는 본 발명 실시 예를 구성하는 컵힌지용 댐핑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5는 도3의 B-B' 단면도.
도6은 본 발명 실시예가 작동하기 전의 설명도.
도7은 본 발명 실시예가 작동한 후의 설명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 및 작동 전의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 후의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 및 작동 전의 설명도.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작동 후의 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의 바람직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13은 작동 매체가 압박스프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장치 작동 전의 설명도이자 로드에 의해 작동되는 추가 구성된 공압 댐퍼의 작동 전의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4는 작동 매체가 압박스프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장치 작동 후의 설명도이자 로드에 의해 작동되는 추가 구성된 공압 댐퍼의 작동 후의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5는 작동 매체에 의해 작동되는 추가 구성된 공압 댐퍼를 보인 설명도
도16은 로드에 의해 작동되는 추가 구성된 범퍼를 보인 설명도
도17은 로드의 일정 부분에 로드와 마찰 계수가 다른 재질의 부가 마찰재를 구성한 사시도
도18은 작동 매체의 일정 부분에 작동 매체와 마찰 계수가 다른 재질의 부가 마찰재를 구성한 사시도
도19는 로드와 공압 피스톤이 일체로 작동되는 구조에서 댐핑 장치 작동 전의 설명도.
도20은 로드와 공압 피스톤이 일체로 작동되는 구조에서 댐핑 장치 작동 후의 설명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컵힌지의 닫힘 운동 감쇠용 댐핑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1은 씽크대나 옷장 등의 여닫이문에 적용된 컵힌지(10)를 보인 가구(1)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가구(1)는 본체(2)와 도어(3) 및 하나 이상의 컵힌지(10)로 구성되어 있고 컵힌지(10)는 컵(11)과 암(13)과 하나 이상의 레버(12)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직시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형태의 마운팅플레이트를 통해 가구(1)의 본체(2)는 암(13)에 의해 연결되고 도어(3)는 컵(11)에 의해 연결되며 컵(11)과 암(13)은 레버(12)에 의해 연결된다. 즉 컵(11)은 도어(3)를 레버(12)에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암(12)은 본체(2)를 레버(12)에 연결하는 기능을 하며, 컵(11)과 암(13)을 힌지 결합하여 도어(3)가 회전 운동을 하여 여닫힐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레버(12)가 수행한다. 레버(12)의 양단이 컵(11)과 암(13)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컵(11)의 회전과 함께 레버(12)도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도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컵힌지(10) 내부에는 닫힘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이 내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가구(1)와 컵힌지(10)는 주지의 기술로 자세한 설명은 불필요하겠지만 결론적으로 도어(3)를 본체(2)에 연결하고 여닫히는 작동을 하게 하며 닫힌 후 의도되지 않게 쉽게 열리지 못하도록 일정한 힘으로 닫힘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컵힌지(10)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댐핑 장치가 조립되기 전의 컵힌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힌지(10)는, 가구 본체(2)에 고정되는 암(13)과 도어(3)에 고정되는 컵(11)과 상기 암(13)과 컵(11)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레버(12)와 도2에 도시하지 않은 탄성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암(13)은 판재를 절곡하여 그 단면이 도2에서 역“U”자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었으며 그 우측 일단이 핀(21)에 의해 레버(12)와는 힌지 결합되어 있고 이 핀(21)에 의한 제1힌지축(22)을 기준으로 레버(12)와는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었다.
상기 암(13)의 우측면(도 2에서)에는 충돌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충돌부(14)는 암(13)의 우측면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아래에서 설명할 댐핑 장치의 로드와 충돌하여 감쇠력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컵(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2)가 수용 가능하도록 하부(도 2에서)로 함몰된 “U”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컵(11)의 좌우 양측으로는 도어(3)에 장착되는 고정 플랜지(15)가 연장 형성된다. 컵(11)과 레버(12)는 도2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제2힌지축(2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작동된다. 도어(3)가 닫히는 작동을 하게 되면 암(13)은 본체(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레버(12)는 제1힌지축(2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컵(11)은 제2힌지축(2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어(3)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레버(12)는 컵(11)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컵(11)의 우측면(도 2에서)에는 조립 안내부(16)가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립 안내부(16)는 아래에서 설명할 댐핑 장치의 일부가 노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조립 안내부(16)의 우측에는 조립 연결부(17)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플랜지(15)의 일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소정 크기의 조립 연결부(17)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조립 연결부(17)는 아래에서 설명할 댐핑 장치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 플랜지(15) 양단에는 고정홀(2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20)은 나사나 볼트(bolt) 등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레버(12)는 판재를 절곡하여 그 단면이 도2에서 역“U”자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었으며 양단이 암(13)과 컵(11)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레버 측면 모서리부(18)는 상기 레버(12)의 역“U”자 절곡 외부 모서리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후에 설명할 댐핑 장치의 작동 매체의 레버 미끄럼부와 접촉하여 작동 매체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컵힌지(10) 내부(도 2에서는 레버(12)와 암(13)아래)에는 닫힘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이 내재되어 있어, 컵(11)에 연결된 도어(3)가 닫힌 후 의도되지 않게 쉽게 열리지 못하도록 일정한 힘으로 닫힘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도3은 도2의 A-A'단면으로,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즉, 도어(3)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 실시예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장치(100)가 컵(11)에 조립된 상태에서 컵(11)은 도어(3)에 형성된 함몰부(4)에 삽입되어 있고 고정 플랜지(15)부가 컵(1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도어(3)의 일면과 맞닿아 있는 상태로 컵(11)을 지지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홀(20)에 나사못이나 볼트 등이 사용되어 컵(11)은 도어(3)에 최종 고정된다. 도어(3)가 닫히게 되면 암(13)과 레버(12)는 제1힌지축(22)과 제2힌지축(23)을 중심으로 도3의 경우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상대적인 운동을 하게 되어(실제 움직이는 것은 도어(3)이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어(3)를 고정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상대적으로 암(13)과 레버(12)가 움직이는 것이 됨) 레버(12)는 컵(11)에 수용되게 된다. 레버(12)가 컵(11)에 수용되어 지는 도중에 레버 측면 모서리부(18)가 댐핑 장치(100)의 레버 미끄럼부(이후에 설명함)와 맞닿게 되며 충돌부(14) 역시 댐핑 장치(100)의 로드(이후에 설명함)와 충돌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컵힌지(10)의 구조는 조립 안내부(16)와 조립 연결부(17) 및 충돌부(14)를 제외하면 일반 컵힌지와 유사한 구조인 관계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댐핑 장치의 구조와 설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 실시 예를 구성하는 댐핑 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댐핑 장치는, 레버(12)에 미끄럼 접촉하여 레버(12)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고 변위를 통해 발생한 탄성력을 레버(12)와 아래에 설명할 로드(120)에 가해 레버(12)와 로드(120)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작동 수단(105)과, 도어(3)의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는 로드(120)와, 도어(3)가 열린 후 상기 로드(1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14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수단(105)은, 작동 매체(110)와 압박 스프링(130)을 주로하여 이루어진다.
작동 매체(110)는 기본적으로 폭이 얇은 직육면체의 형상에 도4에서는 왼쪽 아래 부분에 단면이 부채꼴 모양의 케익 슬라이스 형상이 덧붙여져 레버 미끄럼부(113)를 형성하고 있고 도4에서 위쪽 오른쪽 측방으로 2개의 판재 형상의 날개부(111)가 서로 이격되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각 날개부에는 조립홀(11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홀(117)에는 아래에 설명할 리벳트(160)가 삽입된다.
압박 스프링(130)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압축 코일 스프링과 같은 형상과 기능을 한다.
단면 형상이 “
Figure pat00001
”와 유사한 턱이 있는 병뚜껑 형상의 덮개(131)는 압박 스프링(130)의 좌측 일단에 끼워져 댐핑 장치가 작동될 때 아래에서 설명할 로드(120)와 접촉된다. 로드(120)의 표면 상태나 압박 스프링(130)의 표면 상태에 따라 덮개(131)는 사용되지 않아도 되며 이 경우 로드(120)와 압박 스프링(130)은 직접 접촉된다.
이상의 요소로 작동 수단(105)이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바디(150)에는 아래에 설명할 리벳트(160)가 삽입되는 핀홀(153)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상기의 압박 스프링(130)이 삽입되는 압박 스프링홀(152)과 반구 형상의 돌출된 로드 가이드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 스프링홀(152) 하부에는 모따기가 이루어져 아래에서 설명할 로드(120)가 작동할 공간을 확보하였다. 도4에서 오른쪽 측면 일부에는 원통 형상의 복귀 스프링 고정부(155)가 오른쪽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면 중앙 일부에는 단면 형상이 “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와 같은 창끝 모양의 후크(151)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직육면체 형상의 로드(120) 아래 부분에는 역시 직육면체 형상의 로드 돌기부(121)가 좌우 측방으로 돌츨되어 형성되어 있다. 로드(120)의 좌우 폭은 상기 작동 매체(110)의 두 개의 날개부(111) 내측 폭보다 작게 하고 로드 돌기부(121)의 좌우 폭은 날개부(111) 내측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140)은 일반 비틀림 스프링과 유사하게 일단의 팔이 스프링 본체로부터 뻗어 나와 있고 리벳트(160)과 와셔(161)는 일반 리벳트와 와셔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른 댐핑 장치 조립 과정을 보면 압박 스프링(130)은 덮개(131)와 조립된 상태로 바디(150)의 압박 스프링홀(152)에 삽입 조립된다. 작동 매체(110)는 날개부(111)의 조립홀(117)과 바디(150)의 핀홀(153)이 리벳트(160)와 와셔(161) 등으로 리벳팅 결합하여 바디(150)에 대해 일정 구간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상의 절차로 작동 수단(105)과 바디(150)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후 로드(120)는 작동 매체(110)와 덮개(131) 사이로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끼워지며 로드(120)의 상단이 날개부(111)을 지나 두 날개부(111)의 내측 폭보다 넓게 돌출된 로드 돌기부(121)가 작동 매체(110) 날개부(111)하단에 맞닿아 정지되는 위치에서 바디(150)의 복귀 스프링 고정부(155)에 조립된 복귀 스프링(140)의 팔에 의해 소정의 힘으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댐핑 장치(100)가 컵(11)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조립된 댐핑 장치(100)를 도2의 조립 안내부(16)와 조립 연결부(17)에 삽입 설치한다. 즉 바디(150) 상부에 성형된 후크(151)를 도2의 조립 연결부(17)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억지 끼워 밀어 올리면 후크(151)가 조립 연결부(17)에 고정 조립된다. 댐핑 장치(100)의 작동 매체(110)와 로드(120) 등은 조립 안내부(16)를 통해 노출되게 된다.
상기의 조립 안내부(16)와 조립 연결부(17)는 다양한 형상과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어 본 발명에서 예시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댐핑 장치(100)는 컵(11)의 고정 플랜지(15)와 상기와 같은 후크 결합이 아닌 별도의 볼트를 사용한 결합도 가능할 것이다.
도5는 도3의 B-B'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1)은 도어(3)의 함몰부(4)에 삽입되어 있고 레버 미끄럼부(113)와 로드(120)등의 댐핑 장치(100) 좌측 일부가 조립 안내부(16)를 통해 컵(11)으로부터 좌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직사각 단면 형상의 로드(120)는 작동 매체(110)의 레버 미끄럼부(113)의 반대면인 로드 미끄럼부(112)와 두 날개부(111) 및 바디(150)의 로드 가이드부(154)에 의해 네 면이 안내되고 있다. 작동 매체(110)는 날개부(111)가 바디(150)에 리벳트(160)와 와셔(161)를 통해 리벳팅 조립되어 있어 리벳트(160)를 축으로 일정 구간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레버(12)의 레버 측면 모서리부(18)는 도어(3)의 작동 즉 컵(11)의 작동에 따라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레버 측면 모서리부 작동 궤적(19)을 따라 움직인다. 이 궤적은 작동 매체(110)의 레버 미끄럼부(113)을 지나가고 있다.
이상의 구조와 조립 과정을 거쳐 컵(11)에 설치된 상태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댐핑 장치 작동 전후 과정을 도6과 도7을 통해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 실시예가 작동하기 전의 설명도이고 도7은 본 발명 실시예가 작동한 후의 설명도이다.
도어(3)가 닫히는 동작이 시작되면 레버(12)는 도3에서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레버 측면 모서리부(18)가 그리는 궤적은 도6과 도7에서 일점쇄선으로 그려진 레버 측면 모서리부 작동 궤적(19)이 되며 이 궤적은 작동 매체(110)의 레버 미끄럼부(113)을 지나게 된다. 도6과 도7에서의 경우 도어(3)가 닫히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동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레버 측면 모서리부(18)가 마침내 작동 매체(110)의 레버 미끄럼부(113)와 접촉하게 되면 작동 매체(110)는 리벳트(160)를 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이 회전에 따라 로드(120)도 회전하게 되며 작동 매체(110)의 로드 미끄럼부(112) 반대 편 로드(120) 면 즉 바디(150)의 로드 가이드부(154)와 접촉하고 있는 면이 압박 스프링(130)의 덮개(131)와 맞닿아 압박 스프링(130)을 압축하게 된다. 즉 레버(12) 작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작동 매체(110)가 변위를 일으키고 이렇게 발생한 변위에 의해 압박 스프링(130)이 압축되게 되며 이 압축력은 레버(12)의 회전과 함께 증대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마찰 댐핑 에너지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에너지원이 된다.
한편 레버(12)의 회전과 함께 힌지 컵(11)도 회전을 하게 되어 로드(120)가 암(13)에 형성된 충돌부(14)와 충돌하게 된다. 충돌 시점은 레버 측면 모서리부(18)가 레버 미끄럼부(113)와 접촉하는 시점과 동시에 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적절한 시차를 두고 설계될 수도 있다. 충돌과 함께 로드(120)는 작동 매체(110)의 로드 미끄럼부(112)와 반대편인 바디(150)의 로드 가이드부(154) 및 압박 스프링(130)의 덮개(131) 사이를 미끄럼 운동한다. 이러한 미끄럼 운동은 레버(12)가 정지될 때까지 즉 도어(3)가 닫힐 때까지 계속된다. 로드(120)가 미끄럼 운동을 하면서 로드 돌기부(121)에 접촉되어 있는 복귀 스프링(140)도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리게 되어 로드(120) 복귀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복귀 스프링(140)의 힘은 가능한 작게 설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복귀 스프링(140)의 힘의 방향이 로드(120)를 통해 도어(3)를 열리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되기 때문이다. 즉 컵힌지(10)의 닫힘력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상의 댐핑 장치(100) 작동 과정에서 마찰력 발생과 댐핑력 발생 과정을 보면 먼저 레버 측면 모서리부(18)와 작동 매체(110)의 레버 미끄럼부(113) 사이에서 미끄럼 마찰력이 일차로 발생된다. 이 일차 마찰력은 미끄럼부의 마찰계수와 로드(120)와 작동 매체(110)를 통해 전달된 압박 스프링(130)의 압축력에 의해 결정된다. 이어서 로드(120)가 작동 매체(110)의 로드 미끄럼부(112)와 압박 스프링(130)의 덮개(131) 사이를 미끄럼 운동하면서 미끄럼 마찰력이 이차로 발생된다. 이 이차 마찰력은 로드 미끄럼부(112)와 로드(120) 및 로드(120)와 덮개(131)라는 양쪽 면의 미끄럼부에 대한 마찰 계수와 압박 스프링(130)의 압축력에 의해 결정된다. 일, 이차 마찰력은 레버(12)의 회전에 따라 증대되는 압박 스프링(130)의 압축력에 의해 증대되며 이러한 마찰력은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항시 작용하므로 운동에 대항하는 댐핑력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댐핑력에 의해 도어(3)는 부드럽게 닫히게 되고 소음과 파손이 방지된다.
결론적으로 작동 매체(110)와 압박 스프링(130) 등으로 이루어진 작동 기구(105)는 레버(12)와 미끄럼 접촉하여 레버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고 변위를 통해 발생한 탄성력을 레버(12)와 로드(120)에 가해 레버(12)와 로드(120)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데 이러한 마찰력은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도어(3)에 대해 댐핑 작용을 하는 것이다.
도어(3)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어(3)가 정지하는 것이므로 레버(12)의 운동도 정지되고 미끄럼 운동도 정지되므로 일, 이차 마찰력도 소멸된다. 일차와 이차 마찰력의 크기 설계는 컵힌지(10)의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경우에는 이차 마찰력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이는 복귀 과정을 통해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이제 복귀 과정 즉 도어(3)가 열리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어(3)가 열림에 따라 도어(3)에 설치된 댐핑 장치(100)와 컵(11)의 위치가 본체(2)에 연결된 암(13)으로부터 멀어진다. 이에 따라 컵(3)과 본체(2)를 연결하는 레버(12)도 회전 운동을 하게 되고 레버(12)의 회전과 함께 암(13)의 충돌부(14)는 로드(120) 끝단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지면서 로드(120)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도6과 도7에서의 경우 하측에서 상측으로 레버 측면 모서리부(18)가 작동 매체(110)의 레버 미끄럼부(113)를 미끄럼 운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함께 작동 매체(110)도 압박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로드(120)는 충돌부(14)와 접촉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복귀 과정 시작부터 계속되지만 압박 스프링(130)이 로드(120)를 계속 압박하고 있어 작동 매체(110)와 덮개(131) 사이를 미끄럼 운동하지는 못한다. 복귀 스프링(140)의 힘을 약하게 설계하였기 때문에 로드(120)에 가해진 압박 스프링(130)의 미끄럼 마찰 저항을 이기지 못하는 것이다. 레버 측면 모서리부(18)와 작동 매체(110)의 레버 미끄럼부(113)의 미끄럼 운동이 끝나면서 작동 매체(110)의 회전 운동도 종료되어 원상 복귀되고 이러한 상태가 거의 되어갈 즈음에 복귀 스프링(140)의 복귀력이 마찰 저항을 이기고 로드(120)를 원상 복귀시키게 된다. 이상의 복귀 과정에서 보면 레버 측면 모서리부(18)와 작동 매체(110)의 레버 미끄럼부(113) 사이에서 발생되는 미끄럼 마찰력인 일차 마찰력만이 도어(3)가 열리는 운동 반대 방향으로(마찰력은 항시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함) 도어(3)에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차 마찰력을 전달하는 매개체인 로드(120)가 복귀 과정 중에는 충돌부(14)와 떨어지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압박 스프링(130)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는 구간에서는 로드(120)의 미끄럼 운동이 없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여 일차 마찰력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문을 열 때 발생하는 일차 마찰력을 이기기 위해서는 문에 힘을 주어야 하고 이러한 힘이 컵힌지(10)의 연결 또는 고정 부위의 내구력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작동할 때와 복귀할 때 마찰력을 다르게 할 수 있는 이상의 구조와 작동 과정을 통해 가구(1)의 도어(3)가 최종 닫힘 위치에 도달하기 전 일정 구간에서 마찰 댐핑 기능이 최대가 되게 하고 도어(3)가 열릴 때는 마찰 저항이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 기구(105)의 스위치 기능을 통해 댐핑 장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8과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댐핑 장치 작동 전과 작동 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댐핑 장치는, 레버(12)에 미끄럼 접촉하여 레버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고 변위를 통해 발생한 탄성력을 레버(12)와 아래에 설명할 로드(120)에 가해 레버(12)와 로드(120)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작동 수단(105)과, 도어(3)의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는 로드(120)와, 도어(3)가 열린 후 상기 로드(1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140a)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수단(105)은, 작동 매체(110a)와 압박 스프링(130a)을 주로 하여 이루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매체(110a)는 전술한 실시 예인 도4내지 도7과 유사한 구조로 바디(150a)에 리벳팅 결합되어 리벳트(160)를 축으로 일정 구간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레버 미끄럼부(113) 하측 일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압박 스프링(130a)를 고정하기 위한 리벳팅 안착부(190)와 리벳팅 홀(191)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 미끄럼부(113) 반대 면인 스프링 미끄럼부(118) 하단에는 판스프링으로 된 압박 스프링(130a)의 일단이 스프링 리벳트(162)에 의해 리벳팅 고정되어 있고 압박 스프링(130a)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눌려지면 압박 스프링(130a)의 다른 일단은 자유 상태로 작동 매체(110a)의 스프링 미끄럼부(118) 위를 미끄러지게 되어 있다. 스프링 리벳트(162)는 일반적인 리벳트로 리벳팅 홀(191)에 삽입되고 머리 부분이 리벳팅 안착부(190)에 자리한다.
이상의 요소로 작동 수단(105)이 구성된다.
바디(150a)는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전술한 실시 예와 유사하게 작동 매체(110a)를 리벳팅 결합하기 위한 핀홀(153)을 도8과 도9에서 좌측 상부에 형성하고 있으며 핀홀(153) 우측에는 로드(120)가 상하로 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는 로드(120)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로드 가이드홀(158)을 상하로 관통 형성하였다. 또한 바디(150a) 좌측 중앙을 거쳐 하부까지 수직 방향으로 복귀 스프링(140a)이 작동할 수 있게 복귀 스프링 홀(159)을 형성하였다. 바디(150a) 상부에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은 후크부가 설치되나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인 관계로 이하에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로드(120)는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바디(150a)에 설치된 로드 가이드홀(158)을 따라 상하로 운동하게 되어 있고 도8과 도9에서 로드 우측면 일부 역시 바디(150a)의 좌측면 일부와 맞닿아 상하로 미끄럼 마찰 운동하게 되어 있으며 도8과 도9에서 로드(120) 우측 하부의 우측으로 로드(120)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로드 돌기부(121a)를 두었다. 로드(120)는 로드 돌기부(121a)에 맞닿는 복귀 스프링(140a)의 힘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된다.
복귀 스프링(140a)은 일반적인 압축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바디(150a)의 복귀 스프링 홀(159)에 조립되어 로드 돌기부(121a)를 지지하고 있다.
레버(12)의 레버 측면 모서리부(18)가 도어(3)의 작동 즉 컵(11)의 작동에 따라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레버 측면 모서리부 작동 궤적(19)을 따라 움직이는 것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른 점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 댐핑 장치(100)의 구성 순서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면서 작동 매체(110), 로드(120), 압박 스프링(130)의 순서였다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작동 매체(110a), 압박 스프링(130a), 로드(120)라는 순서이다. 또한 압박 스프링으로 코일 스프링 대신 판스프링을 사용하였고 복귀 스프링으로 비틀림 스프링 대신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였다. 댐핑 장치(100) 작동 과정과 복귀 과정은 전술한 실시 예와 유사하고 판스프링이나 압축 코일 스프링 작동 과정은 상식적인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차 마찰력 발생 지점이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로드 미끄럼부(112)와 로드(120) 및 로드(120)와 덮개(131) 사이였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압박 스프링(130a)과 로드(120) 및 로드(120)와 바디(150a) 사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10과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댐핑 장치 작동 전과 작동 후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12는 도10과 도11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댐핑 장치는, 레버(12)에 미끄럼 접촉하여 레버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고 변위를 통해 발생한 탄성력을 레버(12)와 아래에 설명할 로드(120)에 가해 레버(12)와 로드(120)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작동 수단(105)과, 도어(3)의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는 로드(120)와, 도어(3)가 열린 후 상기 로드(1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140a)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수단(105)은, 작동 매체(110b)와 압박 스프링(130)을 주로하여 이루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매체(110b)는 전체적으로 “U”자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상으로 우측 상하에 4개의 날개부(111b)를 가지고 각 날개부(114b)에는 변위 안내홈(114)을 두어 아래에 설명할 바디(150b)에 형성된 4개의 변위 안내 돌기(156)와 형합되게 하였다. 즉 작동 매체(110b)의 변위 안내홈(114)이 변위 안내 돌기(156)를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미끄럼 변위가 가능하게 하였다. 작동 매체(110b) 중앙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된 압박 스프링(130)과 턱이 있는 병뚜껑 형상의 덮개(131)를 두었다. 작동 매체(110b) 좌측에는 역”D”자의 형상으로 레버 미끄럼부(1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요소로 작동 수단(105)이 구성된다.
바디(150b)는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도12에서 우측면과 도시되지 않은 좌측면의 상하에 모두 4개의 원통 형상의 변위 안내 돌기(156)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에서 설명한 변위 안내홈(114)의 미끄럼 변위를 안내한다. 로드 가이드홀(158)과 복귀 스프링 홀(159)은 도8과 도9에서 전술한 다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이고 바디(150b) 상부에는 역시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은 후크부가 설치되나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인 관계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로드(120)와 복귀 스프링(140a) 역시 도8과 도9에서 전술한 다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인 관계로 설명을 생략한다.
레버(12)의 레버 측면 모서리부(18)가 도어(3)의 작동 즉 컵(11)의 작동에 따라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레버 측면 모서리부 작동 궤적(19)을 따라 움직이는 것 역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서 댐핑 장치(100)는 구성 순서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면서 작동 매체(110b), 압박 스프링(130), 로드(120)의 순서가 되지만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전술한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와의 차이점은 레버(12)의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에 대한 작동 매체의 변위가 작동 매체의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라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어(3)가 닫히면서 도3의 레버 측면 모서리부(18)가 레버 측면 모서리부 작동 궤적(19)을 따라 도10과 도11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레버 미끄럼부(113b)에 접촉하게 되면서 작동 매체(110b)를 접촉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밀게 되지만 4개의 변위 안내 돌기(156)와 4개의 변위 안내 홈(114)에 의해 작동 매체(110b)의 운동 방향이 제한되는 관계로 레버 측면 모서리부 작동 궤적(19)과 직각 방향으로 작동 매체(110b)는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의 댐핑 장치(100) 작동 과정과 복귀 과정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와 유사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 매체(110,110a,110b)가 압박 스프링(130,130a)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작동 수단(105)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13과 도14는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8과 도9에서 작동 매체(110a)와 압박 스프링(130a)을 일체로 제작한 작동 수단(105)이 적용된 댐퍼 장치 작동 전과 작동 후의 설명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에 사용되는 재질과 유사한 고탄성 재질로 제작된 일체형 작동 수단(105)은 전체적으로 “C”자 형상을 가지며 우측 상부를 절곡하여 장착부(171)를 형성하고 이 장착부(171)는 바디(150c)의 고정부(157)에 조립 고정된다. 좌측 중앙부에는 레버 미끄럼부(113c)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 끝단에 로드 미끄럼부(112c)가 로드(120)와 거의 맞닿는 위치가 되도록 작동 수단(105)이 설치되어 있다.
바디(150c)는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도13과 도14에서 좌측 상부에 상기 작동 매체(105)의 장착부(171)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부(157)를 형성하며 여타의 구조는 도8,9와 동일하다. 다만 도13과 도14의 하부에 별도의 댐핑 구조가 도시된 것은 이하의 추가 구성되는 댐핑 구조에서 별도로 다시 설명한다.
로드(120)와 복귀 스프링(140a) 및 여타의 바디(150c) 구조가 전술한 다른 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인 관계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레버(12)의 레버 측면 모서리부(18)가 도어(3)의 작동 즉 컵(11)의 작동에 따라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레버 측면 모서리부 작동 궤적(19)을 따라 움직이는 것 역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작동 과정과 전술한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 및 또 다른 실시 예와의 차이점은 레버(12)의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에 대한 작동 수단(105)의 변위가 작동 매체(110)의 회전 운동이나 직선 운동이 아닌 작동 수단(105)의 탄성 변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라는 것이다. 이하 댐핑 장치(100) 작동을 설명하면 도어(3)가 닫히면서 도3의 레버 측면 모서리부(18)가 레버 측면 모서리부 작동 궤적(19)를 따라 도13과 도1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작동 수단(105)의 레버 미끄럼부(113c)에 접촉하게 되면 작동 수단(105)에 접촉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고 작동 수단(105)은 반시계 방향의 토르크를 받게 된다. 이 토르크에 의해 작동 수단(105)은 레버(12)의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도 탄성 변형을 일으키기 시작하고 작동 수단(105)의 로드 미끄럼부(112c)가 로드(120)와 접촉하게 된다. 로드(120)와의 접촉이 시작되면서 더 이상 레버(12)의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에 대한 작동 수단(105)의 변위가 방해되므로 레버 미끄럼부(113c)와 로드 미끄럼부(112c)의 간격은 탄성 변형에 의해 가까워지게 되며 이러한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력이 레버(12)와 로드(120)에 압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작동 수단(105)이 압박 스프링(130a)의 기능과 작동 매체(110a)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작동 수단(105)의 댐핑 기능 작용과 복귀 작동에 대한 것은 전술한 실시 예와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도13 내지 도16은 전술한 바와 같은 마찰력에 의한 댐핑 구조에 추가하여 다른 댐핑 기능을 수행하는 보완 구조에 대한 설명도이다. 이는 보다 부드러운 댐핑 작동을 얻기 위한 구조이다.
도13과 도14의 하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의 하단이 상하 운동하는 위치에 로드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 댐퍼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공압 댐퍼는 일단이 밀폐된 원통 형상의 실린더(203)와 실린더(203) 내부에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제작된 리턴 스프링(202)을 설치하고 상부가 밀폐된 원통 형상의 피스톤(201)을 조합하는 구성을 이루었다. 이 공압 댐퍼(200)의 구조는 일반적인 선형 공압 댐퍼의 구성이면 충분하여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암(13)의 충돌부(14)가 로드(120)와 충돌하면서 로드(120)는 아래 방향으로 작동하기 시작하고 전술한 마찰 댐핑력을 도어(3)에 전달한다. 로드(120)가 작동되는 적정 시점에 추가로 구성된 공압 댐퍼(200)의 피스톤(201)이 로드(120)와 충돌하면서 공압 댐퍼(200)는 작동되고 로드(120)에 추가적인 댐핑력을 전달한다. 로드(120) 운동의 종료와 함께 공압 댐퍼(200)의 작동도 정지되고 복귀 과정은 로드(120)의 복귀와 함께 리턴 스프링(202)의 힘에 의해 피스톤(201)이 복귀된다.
도15의 하부에는 작동 매체(110)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 댐퍼(200)를 추가로 구성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도6과 7의 구조를 예로 하여 설명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50)의 하부에는 우측이 밀폐된 원통 형상의 공압 댐퍼(200)의 실린더(203)를 성형하였다. 또한 좌측이 밀폐된 원통 형상의 피스톤(201)과 실린더(203) 내부에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제작된 리턴 스프링(202)를 설치하여 일반 선형 공압 댐퍼의 구조를 갖추었고 상기와 같이 추가적인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작동 매체(110) 하부 우측에는 피스톤(201)을 작동시킬 수 있는 위치에 작동 돌기부(115)를 추가로 형성시킨다.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레버 측면 모서리부(18)와 레버 미끄럼부(113)의 충돌에 의해 작동 매체(110)의 회전이 시작되고 작동 돌기부(115)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마침내 작동 돌기부(115)가 피스톤(201)과 충돌하면서 공압 댐퍼(200)가 작동된다. 공압 댐퍼(200)의 작동으로 발생한 댐핑력이 작동 매체(110)의 회전을 억제하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레버 미끄럼부와 맞닿아 있는 레버 측면 모서리부(18)의 회전을 억제하게 되고 결국 도어(3)의 운동도 억제되어 추가적인 댐핑 효과를 얻게 된다. 작동 매체(110) 운동의 종료와 함께 공압 댐퍼(200)의 작동도 정지되고 복귀 과정은 작동 매체(110)의 복귀와 함께 리턴 스프링(202)의 힘에 의해 피스톤(201)이 복귀된다.
도16의 하부에는 로드(120)에 의해 작동되는 범퍼(210)를 추가로 구성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도6과 7의 구조를 예로 하여 설명된다.
도16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20)의 하단이 상하 운동하는 위치에 범퍼(210)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로드(120)에 의해 작동되는 이 범퍼(210)는 고무와 같은 충격 완화 재질로 이루어진 일반 범퍼의 구성이면 충분하여 추가적인 설명은 역시 생략한다.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암(13)의 충돌부(14)가 로드(120)와 충돌하면서 로드(120)는 아래 방향으로 작동하기 시작하고 전술한 마찰 댐핑력을 운동 부분(3)에 전달한다. 로드(120)가 작동되는 적정 시점에 추가로 구성된 범퍼(210)가 로드(120)와 충돌하면서 범퍼(210)는 압축되고 로드(120)에 추가적인 댐핑력을 전달한다. 로드(120) 운동의 종료와 함께 범퍼(210)의 작동도 정지되고 복귀 과정은 로드(120)의 복귀와 함께 범퍼(210) 자체 재질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추가 댐퍼 구조를 구성하는 것 이외에도 보다 부드러운 댐핑 효과를 얻기 위해 아래와 같은 다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17에는 도6과 도7에 적용된 로드(1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차이점은 로드(120)의 일부 구간에 로드(120)의 재질과 다른 마찰 계수를 가진 재질로 된 로드(120) 부가 마찰재(122)를 적용한 것이다.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작동되는 이러한 댐핑 구조는 로드(120)에 가해지는 마찰 댐핑력이 로드 부가 마찰재(122) 구간이 마찰력을 일으키는 구간에서 다른 마찰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원하는 특성의 댐핑 효과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도18에는 도6과 도7에 적용된 작동 매체(1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차이점은 로드 미끄럼부(112)의 일부 구간에 작동 매체(110)의 재질과 다른 마찰 계수를 가진 재질로 된 작동 매체 부가 마찰재(116)를 적용한 것이다.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작동되는 이러한 댐핑 구조는 로드(120)에 가해지는 마찰 댐핑력이 작동 매체 부가 마찰재(116) 구간이 마찰력을 일으키는 구간에서 다른 마찰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원하는 특성의 댐핑 효과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이상의 부가 마찰재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추가 댐퍼 구조와 부가 마찰재가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도19와 도20에는 도13과 도14에서 설명한 로드(120)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 댐퍼(200)를 추가로 구성한 경우에 있어 로드(120)와 공압 피스톤(201)이 일체로 작동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50d) 내부에는 로드(120)와 피스톤(201)이 일체로 제작된 피스톤로드(123)가 설치된다. 피스톤로드(123) 상부는 전술한 다른 실시 예 및 또 다른 실시 예와 같은 로드 기능을 하는 구조이고 하부는 공압 피스톤 기능을 하는 구조로 상부가 밀폐된 원통 형상을 하고 있다.
바디(150d) 하부에는 하부가 밀폐된 원통 형상의 공압 댐퍼의 실린더(203)를 구성하였고 내부에는 복귀 스프링(140a)을 설치하였다. 이로써 일반 선형 공압 댐퍼의 구조를 갖추었고 상기와 같이 추가적인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암(13)의 충돌부(14)가 피스톤로드(123)와 충돌하면서 피스톤로드(123)는 아래 방향으로 작동하기 시작하고 전술한 마찰 댐핑력을 도어(3)에 전달한다. 피스톤로드(123) 하단이 실린더(203) 상단을 통과하면서 공압 댐핑 기능이 작동되고 추가적인 댐핑력이 충돌부(14)를 통해 도어(3)에 전달한다. 피스톤로드(123) 운동의 종료와 함께 공압 댐퍼(200)의 작동도 정지되고 복귀 과정은 복귀 스프링(140a)의 힘에 의해 피스톤로드(123)가 복귀된다.
이와 같이 일체로 작동하게 하면 공압 댐퍼(200)의 리턴 스프링(202)이 필요 없게 될 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공압 피스톤(201)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큰 공압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도8과 도9와 같은 구조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조에서 한 개의 컵힌지에 한 개의 댐핑 장치를 설치하여 작동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한 개의 컵힌지에 두 개의 댐핑 장치를 대칭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충돌부(14)를 암(13)에 설치하지 않고 마운틴플레이트나 가구 본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 가구 2. 본체 3. 도어 4. 함몰부
10. 컵힌지 11. 컵 12. 레버 13. 암 14. 충돌부 15. 고정 플랜지
16. 조립 안내부 17. 조립 연결부 18. 레버 측면 모서리부
19. 레버 측면 모서리부 작동 궤적 20. 고정홀 21. 핀 22. 제1힌지축
23. 제2힌지축
100. 댐핑 장치 105. 작동 수단
110. 작동 매체 111. 날개부 112. 로드 미끄럼부 113. 레버 미끄럼부
114. 변위 안내홈 115. 작동 돌기부 116. 작동 매체 부가 마찰재
117. 조립홀 118. 스프링 미끄럼부
120. 로드 121. 로드 돌기부 122. 로드 부가 마찰재 123. 피스톤로드
130. 압박 스프링 131. 덮개
140. 복귀 스프링
150. 바디 151. 후크 152. 압박 스프링 홀 153. 핀홀
154. 로드 가이드부 155. 복귀 스프링 고정부 156. 변위 안내 돌기
157. 고정부 158. 로드 가이드홀 159. 복귀 스프링홀
160. 리벳트 161. 와셔 162. 스프링 리벳트
171. 장착부
190. 리벳팅 안착부 191. 리벳팅 홀
200. 공압 댐퍼 201. 피스톤 202. 리턴 스프링 203. 실린더

Claims (5)

  1. 컵힌지 내장형 댐핑 장치로써,
    레버(12)에 미끄럼 접촉하여 레버(12)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고, 변위를 통해 발생한 탄성력을 상기 레버(12)와 상기 로드(120)에 가해 상기 레버(12)와 상기 로드(120)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작동 수단(105)과;
    상기 작동 수단(105)의 일측에 구비되며, 도어(3)의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는 로드(120)와;
    도어(3)가 열린 후 상기 로드(1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140,140a);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컵힌지용 댐핑 장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105)은,
    레버 운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변위를 일으키는 작동 매체(110,110a,110b)와;
    상기 작동 매체(110,110a,110b)의 변위를 통해 발생한 탄성력을 상기 레버(12)와 상기 로드(120)에 가해 상기 레버(12)와 상기 로드(120)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압박 스프링(130,130a);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컵힌지용 댐핑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105)이나 로드(120)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 매체(110,110a,110b)나 로드(120)와 다른 마찰 계수를 갖는 부가 마찰재(116,12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힌지용 댐핑 장치.
  4.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105)이나 로드(120)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 돌기부(115)나 로드(120)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또는 공압 댐퍼(200)나 범퍼(21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힌지용 댐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120)와 공압 피스톤(201)이 일체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힌지용 댐핑 장치
KR1020140167891A 2014-11-27 2014-11-27 컵힌지용 댐핑 장치 KR20160063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891A KR20160063948A (ko) 2014-11-27 2014-11-27 컵힌지용 댐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891A KR20160063948A (ko) 2014-11-27 2014-11-27 컵힌지용 댐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948A true KR20160063948A (ko) 2016-06-07

Family

ID=5619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891A KR20160063948A (ko) 2014-11-27 2014-11-27 컵힌지용 댐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9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273A (ko) 2010-08-27 2013-04-24 줄리우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가구용 댐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273A (ko) 2010-08-27 2013-04-24 줄리우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가구용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926B1 (ko) 제동 장치를 가지는 가구 경첩
US8857014B2 (en) Damping device for furniture parts
US11414908B2 (en) Decelerated hinge for furniture
AU2015261478B2 (en) Hinge
KR102142743B1 (ko) 댐핑을 구비한 멀티-링크 힌지
KR101603462B1 (ko) 가구용 힌지
JP6013333B2 (ja) 家具ヒンジ
CN103452414B (zh) 门开关用支撑条
US9611682B2 (en) Devic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and piece of furniture
RU2594867C2 (ru) Шарнир
US20170130502A1 (en) Lid hinge assembly with snubber and counterbalance spring
US20170122020A1 (en)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with snubber
EP3571367B1 (en) Improvements in damper assemblies
JP7297790B2 (ja) 家具用の減衰ヒンジ
US20150292252A1 (en) Hinge Assemblies
JP5503440B2 (ja) 緩衝装置
EP3795790B1 (en) A snap hinge with a damper device
KR20160063948A (ko) 컵힌지용 댐핑 장치
CN113710865A (zh) 用于家具的铰接门的打开和关闭的铰接件
CN116964292A (zh) 铰链组件
RU2788713C2 (ru) Фурнитура створки для предмета мебели, боковая стенка корпуса предмета мебели и предмет мебели, имеющий боковую стенку
CN106460436A (zh) 用于家具或家用电器的铰链
KR20210091881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구 경첩 제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