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947A - Plate Speaker - Google Patents

Plate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947A
KR20160063947A KR1020140167889A KR20140167889A KR20160063947A KR 20160063947 A KR20160063947 A KR 20160063947A KR 1020140167889 A KR1020140167889 A KR 1020140167889A KR 20140167889 A KR20140167889 A KR 20140167889A KR 20160063947 A KR20160063947 A KR 20160063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ember
resonance
holes
sound output
vibra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9439B1 (en
Inventor
박병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439B1/en
Publication of KR20160063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9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4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speaker for improving an output sound. The plat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which has an inner part of a hollow cone shape and has an installation part for installing a resonance member in one end thereof, the resonance member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part of the body, and a cover which is combined with one end of the body and has a sound output member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Description

평판 스피커{Plate Speaker}Flat Speaker {Plate Speaker}

본 발명은 평판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력 음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된 평판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t speaker capable of increasing output volume.

최근 정보통신기기의 경박단소화가 진행되면서 이들 정보기기에 채용되는 스피커의 경우에도 소형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스피커의 소형화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서 박막 스피커 또는 평판 스피커가 주목받고 있다.In recent years,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come thinner and thinner, the size of speakers used in these information devices has also been rapidly increasing. Thin-film loudspeakers or flat-panel loudspeaker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being most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of loudspeakers.

일반적으로 평판 스피커는 예컨대 압전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진동판이나 진동 패널을 진동시킴으로써 전기적인 신호를 물리적인 음파에너지로 변동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박막 스피커 등에 대해서는 특허출원 10-2001-0015695, 10-2001-0033419, 10-2001-0078293, 특허등록 10-0533714, 10-1367453, 실용등록 20-0350350 등에 개시되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flat speaker uses a piezoelectric element composed of, for example, piezoelectric ceramics to vibrate a diaphragm or a vibration panel so that an electric signal is changed into physical sound energy. Such thin film loudspeakers are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s 10-2001-0015695, 10-2001-0033419, 10-2001-0078293, 10-0533714, 10-1367453, and 20-0350350.

통상 스피커는 진동 패널의 진동이 주변 매질, 즉 공기를 진동시킴으로써 음파 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스피커의 출력 음량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진동 패널의 상하 진동 변위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박막 스피커에 채용되는 압전소자 등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진동하게 되는 진동 변위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일정한 한도가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박막 스피커의 출력 음량을 제고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Generally speaking,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panel generates sound energy by vibrating the surrounding medium, that is, air.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output volume of the speaker,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vertical vibration displacement amount of the vibration panel.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output volume of the thin film speaker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or the like employed in the thin film speaker because there is a certain limit to increase the amount of vibration displacement caused by the electrical signal.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평판 스피커의 출력음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된 평판 스피커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t speaker capable of improving the output volume of a flat speaker.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평판 스피커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일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박막 스피커 또는 평판 스피커로 구성되는 음성출력부재 및, 상기 음성출력부재의 음성신호 출력측에 설치되는 공명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부재는 음성출력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at speaker comprising: a body; a sound output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composed of a thin speaker or a flat speaker; Wherein the resonance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member passes.

또한 상기 몸통은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들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ody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 a conical shape.

또한 상기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가 다른 관통공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at least one of the through-holes may have a length different from the through-hole.

또한 상기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지름이 다른 관통공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t least one of the through-holes is set to be different from the through-hole having a different diameter.

또한 상기 음성출력부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진동패널 및, 상기 진동패널의 하면에 결합되는 압전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패널의 상면에는 1개 이상의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und output member includes a frame, a vibration panel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a piezoelectric element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vibration panel, wherein at least one groov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ibration panel .

또한 상기 홈이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groove is hemispherical.

또한 상기 홈이 2개 이상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홈의 크기는 다른 홈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wo or more grooves are provided, and the size of at least one groove is set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grooves.

또한 상기 홈이 2개 이상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홈의 형상은 다른 홈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t least two grooves are provided, and the shape of at least one groov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grooves.

또한 상기 음성출력부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진동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 패널은 강유전 물질로 구성되는 강유전체층과, 상기 강유전체층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brating panel may include a ferroelectric layer formed of a ferroelectric material,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erroelectric layer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erroelectric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and an electrod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layers, respectively.

또한 상기 강유전 물질이 PVDF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erroelectric material is PVDF.

또한 상기 PVDF가 β상 PVDF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VDF is a? Phase PVDF.

또한 상기 강유전체층에 금속이 추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etal is further mixed in the ferroelectric layer.

또한 상기 강유전체층은 중앙 부분과 측면 부분이 서로 두께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erroelectric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re set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평판 스피커는 음성출력부재와, 상기 음성출력부재의 음성신호 출력 측에 구비되는 제1 공명부재 및, 상기 음성출력부재와 제1 공명부재를 에워싸면서 구성되는 제2 공명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lat speaker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output member, a first resonance member provided on a sound signal output side of the sound output member, and a second resonance member surrounding the sound output member and the first resonance member And two resonance members.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공명부재는 헬름홀츠 공명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or second resonance member may be a Helmholtz resonator.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평판 스피커는 내부가 중공된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일단부에 공명부재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가 구비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공명부재 및, 상기 상기 몸통의 일단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내측면에 음성출력부재가 구비되는 덮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lat speaker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hollow conical shape inside and having a seating portion for seating a resonance member at one end, a resonance member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body, And a lid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having an audio output member on an inner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몸통의 타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lang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또한 상기 공명부재는 음성출력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onance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member passes.

또한 상기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가 다른 관통공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at least one of the through-holes may have a length different from the through-hole.

또한 상기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지름이 다른 관통공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t least one of the through-holes is set to be different from the through-hole having a different diameter.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가 제1 및 제2 헬름홀츠 공명기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평판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음향 및 음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 출력 음향 및 음량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lat speaker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elmholtz resonato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utput sound and the volume output from the flat speaker, and to set the output sound and the volume thereof various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스피커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평판 스피커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평판 스피커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평판 스피커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성출력부재의 제1 구성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성출력부재의 제2 구성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진동 패널(6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shape of a flat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flat speaker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flat speaker shown in Fig.
Fig.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flat speaker shown in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configuration example of a sound output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of a sound output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vibration panel 60 i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represent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of such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t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hereof.

도면에서 평판 스피커는 원추형 몸통(10)을 구비한다. 즉 몸통(10)은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통(10)의 일단부의 지름이 타단부의 지름 보다 크게 설정된다. 몸통(10)의 재질로서는 특정한 것이 요구되지 않고 음성신호를 용이하게 반사할 수 있는 모든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figure, the flat speaker has a conical body 10. That is, the body 10 has a hollow tubular shape inside, and the diameter of one end of the body 10 is se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As the material of the body 10, any material which is not required to be specific and can easily reflect an audio signal can be used.

몸통(10)의 일단부, 즉 지름이 큰 단부에는 플랜지(11)가 구비된다. 이 플랜지(11)는 평판 스피커를 오디오 기기 등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기에는 체결공(111)이 구비된다.A flange 1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10, that is, at an end having a large diameter. The flange 11 is for coupling a flat speaker to an audio device or the like, and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111 therein.

그리고 지름이 작은 단부에는 덮개(12)가 구비된다. 이 덮개(12)의 내측면에는 음성출력부재가 설치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음성출력부재로서는 박막 스피커나 평판 스피커가 채용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덮개(12)에는 음성출력부재와 외부 기기를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And a lid 12 is provided at an end of a small diameter. An audio output member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id 12. Fig. 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a thin-film speaker or a flat-panel speaker is employed as the sound output member. Also, 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s, the lid 12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electrically coupling the audio output member and the external device.

또한 몸통(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덮개(12)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안착부(13)가 구비된다. 이 안착부(13)에는 공명부재(20)가 안착된다.In addition, a seating part 13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id 12. [ The resonance member 2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3. [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평판 스피커의 평면도이고, 도 4는 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공명부재(20)는 다수의 관통공(2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관통공(21)은 각각 헬름홀츠 공명기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관통공(21)은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측부분으로 가면서 그 길이가 짧아지록 설정되어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는 그 길이에 따라 공명 주파수가 달라지게 된다. 즉, 길이가 길어질수록 공명 주파수가 저음역대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관통공(21)의 길이를 복수 종류로 설정함으로써 공명부재(20)가 다양한 공명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때 공명부재(20)의 형상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명부재(20)는 외측부분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모든 관통공(21)이 그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IG. 3 is a plan view of the flat speaker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thereof. The resonance member 20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s 21 constitute a Helmholtz resonator,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ough holes 21 are set so as to become shorter from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outer portion. The Helmholtz resonator varies in resonant frequency depending on its length. That is, as the length becomes longer, the resonance frequency shifts to the low frequency range. The resonance member 20 can output various resonance sounds by setting the length of the through hole 21 to a plurality of types. The shape of the resonance member 2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For example, the resonance member 20 can be configured such that its length becomes shorter toward the center portion from the outer por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ll the through holes 21 have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도 5는 덮개(12)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음성출력부재의 구성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ound output memb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12. Fig.

본 예에서 음성출력부재(30)는 프레임(31)과, 이 프레임(31)의 상측에 결합되는 진동패널(32)을 구비하고, 이 진동패널(32)의 하측에는 압전소자(33)가 결합된다. 특히 상기 진동패널(32)의 상면에는 1개 이상의 홈(321)이 구비된다.In this example, the sound output member 30 includes a frame 31 and a vibration panel 32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31. A piezoelectric element 33 is disposed below the vibration panel 32 . In particular, at least one groove 32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ibration panel 32.

상기 홈(321)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상기 홈(321)의 형상이나 크기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홈(321)은 다수개 구비되고, 이 홈(321)들의 크기나 형상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groove 321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ne. Preferably, a plurality of the grooves 321 are provided, and the grooves 321 may have different sizes and shapes.

상기 구성에서 압전소자(33)에 전기적인 음성신호가 인가되면, 그 음성신호에 따라 압전소자(33)가 진동하면서 진동패널(32)이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그 진동 에너지가 매질, 즉 진동 패널(32)을 에워싸고 있는 공기를 진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공기의 진동이 음파 에너지로서 방사되게 된다.When an electrical voice signal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33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iezoelectric element 33 vibrates in accordance with the voice signal, causing the vibration panel 32 to vibrate up and down. Then, the vibration energy causes the air surrounding the vibration panel 32 to vibrate, and the vibration of the air is radiated as sound energy.

특히 진동패널(32)의 상면에는 다수의 홈(321)이 형성된다. 이 홈(321)은 진동패널(32)과 매질,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확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진동패널(32)의 진동에너지는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를 진동시키게 된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grooves 32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ibration panel 32. This groove 321 enlarg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vibration panel 32 and the medium and air. Accordingly, the vibration energy of the vibration panel 32 more effectively causes the air to vibrate.

도 6은 음성출력부재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진동 패널(6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sound output member,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bration panel 60 in Fig.

본 예에서 음성출력부재는 프레임(31)과, 이 프레임(31)의 상측에 결합되는 진동패널(60)을 구비한다. 도 6에서 진동 패널(60)은 강유전 필름으로 구성되는 강유전체층(61)과, 이 강유전체층(61)의 상,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도전층(62), 이 제1 및 제2 도전층(62)에 결합되는 전극(6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In this example, the sound output member has a frame 31 and a vibration panel 60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31. 6, the vibration panel 60 includes a ferroelectric layer 61 composed of a ferroelectric film,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62 respectively coupled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erroelectric layer 61, And an electrode 63 coupled to the second conductive layer 62.

상기 강유전제층(61)은 바람직하게는 PVDF로 구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β상을 갖는 PVDF로 구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유전체층(61)에는 예컨대 철(Fe) 등의 금속 물질이 혼합된다. 이때 금속 물질이 혼합비는 대략 2 중량% 이하로 설정된다.The ferroelectric precursor layer 61 is preferably made of PVDF, more preferably a PVDF having a beta phase. More preferably, the ferroelectric layer 61 is mixed with a metal material such as iron (Fe). 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of the metal material is set to about 2% by weight or less.

상기 β상 PVDF 필름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PVDF 필름을 형성하고, 이를 β상을 나타내는 온도, 예컨대 65도에서 PVDF 필름을 급속 냉각하는 방법으로 구현한다.The above-mentioned? -Phase PVDF film is 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of forming a PVDF film and rapidly cooling the PVDF film at a temperature at which the? -Phase is exhibited, for example, at 65 degrees.

통상적으로 박막 스피커 또는 평판 스피커를 구성하는 음성출력부재에 있어서는 강유전체층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제조한다. 그러나 본 예에 있어서는 강유전체층(61)의 중앙 부분의 두께가 양측면에 비해 크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본 예의 음성출력부재는 진동 패널(60)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중앙 부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외부 전기신호에 의해 강유전체층이 진동하게 될 때 측면 부분에 비해 중앙 부분의 변위폭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음성출력부재의 출력 음량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Generally, in a sound output member constituting a thin-film speaker or a flat-plate speaker, the thickness of the ferroelectric layer is made generally flat. However, in this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erroelectric layer 61 is set to be larger than both sides. Therefore, when the ferroelectric layer vibrates due to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ibration plate 60 is position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ound output membe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is phenomenon provide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output volume of the sound output member.

또한 본 예에서는 진동 패널(60)과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게 됨으로써 진동 패널(60)의 진동 에너지가 매질, 즉 공기층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이 역시 음성출력부재의 음량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this exampl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vibration panel 60 and the air is increased, so that the vibration energy of the vibration panel 60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medium, that is, the air layer. This also provide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sound output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공명부재(20)가 제1 헬름홀츠 공명기를 구성하고, 스피커의 몸통(10)이 제2 헬름홀츠 공명기를 구성하게 된다. 공명부재(20)의 하측, 즉 덮개(12)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음성출력부재에서 음성신호가 출력되면, 이 음성신호는 공명부재(20)에 의해 일차적으로 공명되면서 증폭된다. 특히 공명부재(2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가 각각 다른 다수의 관통공(21)이 구비된다. 즉 다수의 공명 주파수를 구비한다. 음성출력부재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관통공(21)에서 공진되어 증폭된다. 여기서 관통공(21)의 길이와, 특정 길이를 갖는 관통공의 수효를 조절하는 방식을 통해 전체적인 스피커의 음향 특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nce member 20 constitutes a first Helmholtz resonator, and the body 10 of the speaker constitutes a second Helmholtz resonator. When a voice signal is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memb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sonance member 20, that is,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id 12, this voice signal is amplified while being resonated primarily by the resonance member 20. In particular, the resonance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having different lengths as described above. That is, a plurality of resonance frequencies. The voice signals of various frequency bands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member are resonated and amplified in the through holes 21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band. He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speaker through a method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hrough-hole 21 and the number of through-holes having a specific length.

또한 공명부재(2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제2 헬름홀츠 공명기. 즉 몸통(10)의 내부에서 합성 및 공진되어 외부로 출력된다.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resonance member 20 is a second Helmholtz resonator. Synthesized and resonated inside the body 10 and output to the outside.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출력부재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1차 헬름홀츠 공명기에서 주파수 대역별로 공진 및 증폭시킨 후, 다시 2차 헬름홀츠 공명기에서 전체적으로 합성 및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평판 스피커의 전체적인 음향 특성과 음량 특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member is resonated and amplified in each frequency band in the first Helmholtz resonator, and then synthesized and amplified in the second Helmholtz resonator as a whole to be output to the out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verall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the volume characteristics of the flat panel speaker.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공명부재(20)에 구비되는 관통공(21)의 지름이 모두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관통공(21)을 이용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공명 주파수에 따라 관통공(21)의 길이와 더불어 그 지름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with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thereof. For example, although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1 provided in the resonance member 20 is shown to be the same,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onance frequency to be implemented using the through hole 21, The diameter can be set in various ways.

10 : 몸통, 11 : 플랜지,
12 : 덮개, 20 : 공명부재,
21 : 관통공.
10: body, 11: flange,
12: cover, 20: resonance member,
21: Through hole.

Claims (20)

몸통과,
상기 몸통의 일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박막 스피커 또는 평판 스피커로 구성되는 음성출력부재 및,
상기 음성출력부재의 음성신호 출력측에 설치되는 공명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부재는 음성출력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The body,
An audio output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composed of a thin speaker or a flat speaker;
And a resonance member provided on a sound signal output side of the sound output member,
Wherein the resonance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member pas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들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s conic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가 다른 관통공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hrough holes is set differently from the through hole having a different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지름이 다른 관통공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hrough holes is set differently from the through hole having a different dia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부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진동패널 및, 상기 진동패널의 하면에 결합되는 압전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패널의 상면에는 1개 이상의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output member includes a frame, a vibration panel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a piezoelectric element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vibration panel, wherein at least one groov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ibration panel Flat speak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2개 이상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홈의 크기는 다른 홈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two grooves are provide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grooves has a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groov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2개 이상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홈의 형상은 다른 홈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two grooves are provided,
Wherein a shape of at least one groove is set different from that of another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부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진동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 패널은 강유전 물질로 구성되는 강유전체층과, 상기 강유전체층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ice output member includes a frame and a vibration panel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wherein the vibration panel includes a ferroelectric layer formed of a ferroelectric material, first and second electrod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erroelectric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and an electrod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layers, respective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이 PVD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erroelectric material is PVDF.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VDF가 β상 PVD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VDF is a? Phase PVDF.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층에 금속이 추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평판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And a metal is further mixed in the ferroelectric lay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층은 중앙 부분과 측면 부분이 서로 두께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erroelectric layer has a central portion and a side portion different in thickness from each other.
음성출력부재와,
상기 음성출력부재의 음성신호 출력 측에 구비되는 제1 공명부재 및,
상기 음성출력부재와 제1 공명부재를 에워싸면서 구성되는 제2 공명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An audio output member,
A first resonance member provided on a sound signal output side of the sound output member,
And a second resonance member surrounding the sound output member and the first resonance memb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공명부재는 헬름홀츠 공명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or second resonance member is a Helmholtz resonator.
내부가 중공된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일단부에 공명부재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가 구비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공명부재 및,
상기 상기 몸통의 일단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내측면에 음성출력부재가 구비되는 덮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A body having a hollow conical shape inside and having a seat for seating a resonance member at one end,
A resonance member that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of the body,
And a lid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having an audio output member on an inner surface thereof.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타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flang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재는 음성출력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esonance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member passe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가 다른 관통공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hrough holes is set differently from the through hole having a different length.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지름이 다른 관통공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스피커.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hrough holes is set differently from the through hole having a different diameter.
KR1020140167889A 2014-11-27 2014-11-27 Plate Speaker KR1022094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889A KR102209439B1 (en) 2014-11-27 2014-11-27 Plate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889A KR102209439B1 (en) 2014-11-27 2014-11-27 Plate Sp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947A true KR20160063947A (en) 2016-06-07
KR102209439B1 KR102209439B1 (en) 2021-01-28

Family

ID=5619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889A KR102209439B1 (en) 2014-11-27 2014-11-27 Plate 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43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5498A (en) * 1990-03-31 1991-12-16 Taiyo Yuden Co Ltd Piezoelectric acoustic device
JP2606447B2 (en) * 1990-05-25 1997-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Speaker device
KR19980058043A (en) * 1996-12-30 1998-09-25 배순훈 Car audio speaker
KR20080001568A (en) * 2006-06-28 2008-01-03 고어텍 인크 Semiconductor microphone chip
JP2009278377A (en) * 2008-05-14 2009-11-26 Nippon Hoso Kyokai <Nhk> Sounding body
KR20120016801A (en) * 2010-08-17 2012-02-2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m spe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0473060Y1 (en) * 2013-01-23 2014-06-10 이성호 Speak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5498A (en) * 1990-03-31 1991-12-16 Taiyo Yuden Co Ltd Piezoelectric acoustic device
JP2606447B2 (en) * 1990-05-25 1997-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Speaker device
KR19980058043A (en) * 1996-12-30 1998-09-25 배순훈 Car audio speaker
KR20080001568A (en) * 2006-06-28 2008-01-03 고어텍 인크 Semiconductor microphone chip
JP2009278377A (en) * 2008-05-14 2009-11-26 Nippon Hoso Kyokai <Nhk> Sounding body
KR20120016801A (en) * 2010-08-17 2012-02-2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m spe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0473060Y1 (en) * 2013-01-23 2014-06-10 이성호 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439B1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9641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device
JP3193281U (en) Piezoelectric speaker
US20150109889A1 (en) Acoustic transducer with membrane supporting structure
JP2015222939A (en) Speaker system
US11496820B2 (en) MEMS device with quadrilateral trench and insert
US8526643B2 (en) Speaker
US20180332406A1 (en) Acoustic output device
TW201640911A (en) Speaker structure
KR101848735B1 (en) Speaker capable of reproducing a multi voice range using bar magent
CN114501267B (en) Pixel sounding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gital sounding chip and electronic terminal
KR102209439B1 (en) Plate Speaker
CN105979449B (en) Moving coil piezoelectric composite loudspeaker
KR102306965B1 (en) Flat Panel Speaker
KR101583650B1 (en) nonflammables speaker of piezo electricity type
WO2021152922A1 (en) Sound pickup device
JP7338147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2252581B1 (en) Speaker
WO2020110756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20160111097A (en) Speaker
KR20160095601A (en) PZT ceramic speaker
KR101738516B1 (en) Piezoelectric Speaker
KR100697350B1 (en) Hybrid speaker
KR20160051177A (en) Plate Speaker
KR200394376Y1 (en) Hybrid speaker
US10993044B2 (en) MEMS device with continuous looped insert and tr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