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852A - Cowl cross bar assemble device of vehicle crash pad module for innovating assemble qulity - Google Patents

Cowl cross bar assemble device of vehicle crash pad module for innovating assemble qu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852A
KR20160063852A KR1020140167643A KR20140167643A KR20160063852A KR 20160063852 A KR20160063852 A KR 20160063852A KR 1020140167643 A KR1020140167643 A KR 1020140167643A KR 20140167643 A KR20140167643 A KR 20140167643A KR 20160063852 A KR20160063852 A KR 20160063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assembly
support
cross bar
cras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한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852A/en
Publication of KR2016006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8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wl cross bar assembling device to improve the assembly rate of a crash pad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wl cross bar assembling device to improve the assembly rate of a crash pad module of a vehicle comprises cowl assembly parts and guide pin units. The cowl assembly part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a chassis, on which a driver′s seat and an assist seat are arranged, and have a cowl assembling hole formed thereon in the lower slope direction to allow a cowl cross bar to be assembled thereto. The guide pin unit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cowl cross bar to correspond to the cowl assembly parts. Each guide pin unit has one part, which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other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cowl assembling hole in the lower slope direction and has multiple notches formed thereon at intervals to prevent the guide pin unit from releasing from the cowl assembling hole after insertion.

Description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 {COWL CROSS BAR ASSEMBLE DEVICE OF VEHICLE CRASH PAD MODULE FOR INNOVATING ASSEMBLE QULIT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wl cross bar assembly device for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of a crash pad module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래쉬 패드 모듈이 조립되는 카울 크로스 바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w cross bar assembly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w cross bar assembly apparatus for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of a crash pad module of a vehicle, .

일반적으로, 차량의 칵핏유닛은 크래쉬 패드 모듈과 크래쉬 패드 모듈이 거치되어 함께 크래쉬 패드 모듈을 카울 패널에 조립시킬 수 있는 카울 크로스 바로 구성될 수 있다.Generally, the cockpit unit of the vehicle can be configured as a cow cross bar, in which the crash pad module and the crash pad module are mounted together to assemble the crash pad module to the cowl panel.

카울 크로스 바는 차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카울 사이드 브라켓의 조립 홀에 가이드 핀이 끼워져 차체에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카울 크로스 바는 운전석과 조수석 앞쪽의 프런트 패널에 조립된다.The cowl cross bar can be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by inserting the guide pin into the assembly hole of the cowl side bracke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t this time, the cow crossbar is assembled to the front panel of the driver's seat and front passenger's seat.

가이드 핀은 차체의 수평 방향으로 조립 홀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는데, 카울 크로스 바의 자중에 의해 조립 홀이 있는 홀 영역에서 가이드 핀의 노치부가 조립 홀 상부 측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핀이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카울 크로스 바가 차체의 후방 측으로 이탈될 수 있었다.The guide pin can be assemb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y virtue of the weight of the cow cross bar, the notch portion of the guide pin can be dispos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assembly hole in the hole region having the assembly hole. As a result, the guide pin is rotated upward, and the cowl cross bar can be released to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ody.

또한 노치가 없는 가이드 핀에 의해 카울 크로스 바가 조립되는 경우에는 카울 크로스 바의 움직임에 의해 홀 영역에서 가이드 핀이 쉽게 빠지거나 이동될 수 있었으므로 카울 크로스 바의 조립 공차가 발생될 수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cow cross bar is assembled by the guide pin having no notch, the guide pin can easily be removed or moved in the hole area due to the movement of the cow cross bar, so that the assembly tolerance of the cow cross bar may occur.

한편 카울 크로스 바의 중앙부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어 하부 차체의 터널에 거치되는 센터 서포트 브라켓이 전방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하는 회전 방지 스토퍼에 의해 전방 측으로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조립 과정에서 카울 크로스 바의 미소한 회전 이동에 따른 공차를 줄일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enter support bracket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wl cross bar and prevented from rotating forward by the rotation preventing stopper restrict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enter support bracket mounted on the tunnel of the lower vehicle body, The tolerance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can be reduced.

그러나 센터 서포트 브라켓이 회전 방지 스토퍼에 접촉되지 않고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카울 크로스 바가 차체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카울 크로스 바의 움직임이 발생되어 조립 공차가 발생될 수 있었다.However, when the cowl cross bar is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in a state where the center support bracket is not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stopper and is spaced rearward, movement of the cowl cross bar may occur and assembly tolerance may occur.

아울러 크래쉬 패드 모듈을 카울 크로스 바와 함께 조립하는 과정에서는 크래쉬 패드 모듈의 투입기 고정 핀을 크래쉬 패드 모듈의 상응하는 핀 고정홀에 끼워 투입기에 거치한 후 차체에 대한 조립을 수행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rash pad module with the cowl cross bar, the injector fixing pin of the crash pad module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in fixing hole of the crash pad module, and the assembly is performed on the car body.

그러나 투입기의 고정 핀이 핀 고정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크래쉬 패드 모듈이 회전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하는 핀 고정홀으로부터 고정 핀이 움직이게 되어 조립 공차가 발생될 수 있었다.However, in the state where the fixing pin of the injector is fitted in the pin fixing hole, the fixing pin moves from the pin fixing hole where the crash pad module moves due to rotation, and assembly tolerance may be generated.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카울 크로스 바와 함께 크래쉬 패드 모듈을 차체에 조립 및 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처짐 혹은 움직임에 따른 누적 공차로 인해 모듈과 차체 체결 위치가 불일치 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cowl cross bar and the crash pad module may be assembled and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resulting in inconsistency between the module and the vehicle body fastening position due to a cumulative tolerance due to deflection or move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크래쉬 패드 모듈을 차체에 조립 및 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처짐 혹은 움직임을 제한하여 누적 공차로 인한 크래쉬 패드 모듈의 차체 체결 위치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sh pad module of the vehicle, which can eliminate the inconsistency of the body fastening position of the crash pad module due to the cumulative tolerance by restricting the deflection or movement generated in assembling and fastening the crash pad module to the vehicle body To provide a cow cross bar assembly device with improved assemblabilit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석과 조수석이 배치되는 차체의 양쪽에 배치되며, 카울 크로스 바가 조립 가능한 카울 조립 홀이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마련되는 카울 조립부; 및 상기 카울 조립부에 상응하여 상기 카울 크로스 바의 양쪽에 배치되며, 상기 카울 조립 홀에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일 부분이 타 부분에 대해 회전되게 마련되며 상기 카울 조립 홀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치가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 핀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wl assembly including: a cowl assembly disposed on both sides of a vehicle body in which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are disposed, the cowl assembly hole having a cowl crossbar assemblable in a downward sloping direction; And a cowl assemb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wl cross bar in correspondence to the cowl assembly part, wherein one part of the cowl assembly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other part so as to be insertable in a downward inclined direction in the cowl assembly ho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w crossbar assembling apparatus which improves the assemblability of a crash pad module of a vehicle including a guide pin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tches at intervals so as to prevent deviation.

상기 가이드 핀 유닛은, 상기 카울 조립 홀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치가 마련되어 있는 전방 노치부; 및 상기 전방 노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카울 크로스 바에 결합된 후방 노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guide pin unit comprises: a front notch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tch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cow assembly hol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cow assembly hole; And a rear notch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notch portion and coupled to the cowl cross bar.

상기 카울 조립부는,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카울 조립 홀 영역에서 차체의 전방부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카울 조립 패널; 및 상기 제1 제1 카울 조립 패널에 상응하여 상기 조립 홀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카울 조립 패널의 하단부에서 이격되어 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카울 조립 패널의 하단부에 교차하도록 상단부가 마련되는 제2 카울 조립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w assembly includes a first cowl assembly panel that is vertically disposed and is bent to a front portion of a vehicle body in the cow assembly hole region and is inclined downward; And a first cowl assembly panel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first cowl assembly panel and spaced apart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cowl assembly panel so as to form the assembly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wl assembly panel, 2 cowl assembly panel.

상기 전방 노치부에는 상기 후방 노치부에 삽입되는 회전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후방 노치부에는 상기 회전 결합부에 상응하는 회전 결합 홈부가 마련되되, 상기 회전 결합부와 상기 회전 결합 홈부는 핀 결합될 수 있다.Wherein the front notch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onal engaging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rear notch portion, and the rear notch portion has a rotational engaging reces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rotational engaging portion and the rotational engaging recess portion are pin- .

상기 회전 결합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 결합 홈부에 삽입되도록 수평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 결합 홈부에는 상기 수평 돌기에 상응하는 돌기 홈이 마련될 수 있다.A horizontal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otary coupling groove portion, and a protrus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projection may be provided in the rotary coupling groove portion.

상기 카울 크로스 바에는 상기 카울 크로스 바를 차체의 중앙 하부에 지지시키며, 복수의 지지 핀을 구비한 센터 서포트 브라켓이 마련되며, 차체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센터 서포트 브라켓의 조립 진행 방향과 반대로 상기 지지 핀이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 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핀이 안치될 수 있는 복수의 지지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center support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ins is provided on the cowl cross bar to support the cowl cross bar in the center of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A plurality of support recesses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support pins can b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pins so as to prevent movement.

상기 지지 홈부는 차체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는 터널 패널에 배치되되, 상기 터널 패널에는 상기 지지 홈부가 상기 터널 패널의 상면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부 안치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support groove may be disposed in a tunnel panel disposed at a central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tunnel panel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seat portion such that the support groove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tunnel panel.

상기 카울 크로스 바에는 차체용 투입기에 의해 차체의 횡 방향으로 조립 가능토록 상기 투입기의 복수의 고정 핀에 조립 가능한 핀 삽입 홀과 상기 투입기 측에 삽입 가능한 서포트 플랜지를 갖는 투입 장착 거치부가 마련되며, 상기 투입기에는 상기 서포트 플랜지에 상응하여 상기 서포트 플랜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서포트 홀이 마련될 수 있다.The cowl cross bar is provided with a loading mounting portion having a pin insertion hole that can be assembled to a plurality of fixing pins of the charging device and a support flange insertable into the charging device so as to be assembl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y a body- A support hole may be provided in the injector so that the support flange can be inser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upport flange.

상기 서포트 플랜지는 상기 카울 크로스 바와 함께 조립되는 크래쉬 패드 모듈에 의한 하방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 홀이 형성된 영역부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부를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flange may have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that is supported in an area where the support hole is formed to prevent the downward deflection by the crash pad module assembled with the cowl cross bar.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크래쉬 패드 모듈을 차체에 조립 및 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처짐 혹은 움직임을 제한하여 누적 공차로 인한 크래쉬 패드 모듈의 차체 체결 위치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inconsistency of the body fastening position of the crash pad module due to the cumulative tolerance by restricting the deflection or movement generated in assembling and fastening the crash pad module to the vehicle body.

도 1은 기존의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의 카울 크로스 바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를 도 1의 상응하는 위치에 적용했을 때 가이드 핀 유닛이 카울 조립 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이드 핀 유닛의 일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이드 핀 유닛이 카울 조립 홀에 삽입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이드 핀 유닛의 회전 결합부가 회전 결합 홈에 삽입된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1의 센터 서포트 브라켓의 거치되는 방향과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은 기존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핀 고정 홀에 투입기의 고정 핀이 삽입되는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핀 고정 홀이 있는 부분에 서포트 플랜지를 추가하고, 서포트 플랜지에 대응하여 투입기의 고정 핀이 인접한 영역한 서포트 홀을 마련한 상세도이다.
1 is an assembled state view of a cow cross bar of a conventional cowl cross bar assembly device.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pin unit is inserted into a cow assembly hole when a cow cross bar assembling apparatus improved in assembling performance of a crash pad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FIG. Detailed view.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guide pin unit of FIG. 2.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guide pin unit of FIG. 2 inserted into the cowl assembly hole.
FIG. 5 is a detailed view of the guide pin unit of FIG. 4 in which the rotational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al engaging groove.
6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mounting direction and structure of the center support bracket of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fixing pin of a charging device is inserted into a pin fixing hole of a conventional crash pad module.
FIG. 8 is a detailed view of the support flange in FIG. 7, in which a support flange is added to a portion where the pin fixing hole is provided, and a support hole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xing pin of the injector in correspondence with the support flange.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by way of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fference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mutually exclusive. That is,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rrangements may be altered, wher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feature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length and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배치되는 차체(100)의 양쪽 사이드 패널(101, 102)에 배치되며 카울 크로스 바(110)가 조립 가능한 카울 조립 홀(105)이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마련되는 카울 조립부(103)와, 카울 조립부(103)에 상응하여 카울 크로스 바(110)의 양쪽에 배치되며, 카울 조립 홀(105)에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일 부분이 타 부분에 대해 회전되게 마련되며 카울 조립 홀(105)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치(131)가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 핀 유닛(1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cowl cross bar assembling apparatus improves the assemblability of a crash pad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w cross bar assembling apparatus includes a body 100 on which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are disposed, A cow assembly part 103 disposed in the panels 101 and 102 and provided with a cow assembly hole 105 in which the cow cross bar 110 can be assembled in a downward inclined direction, The cowl assembly hole 105 can be inserted in the cowl assembly hole 105 in a downward sloping direction so that one portion of the cowl assembly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other portion of the cowl assembly hole 105, And a guide pin unit 12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tches 131 at intervals.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크래쉬 패드 모듈(108)을 차체(100)의 칵핏 공간(107)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처짐 혹은 움직임을 제한하여 카울 크로스 바(110)에 마련되는 가이드 핀 유닛(120)과 이에 상응하여 차체(100)에 마련되는 카울 조립부(103)의 누적 공차로 인한 크래쉬 패드 모듈(108)의 차체(100) 체결 위치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strict deflection or movement occurring in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crash pad module 108 in the cockpit space 107 of the vehicle body 100,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sistency in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crash pad module 108 due to the cumulative tolerance of the unit 120 and the cow assembly 103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100. [

가이드 핀 유닛(120)은 카울 상부 본체(111)의 양쪽에 있는 카울 사이드부(112)에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카울 조립부(103)의 카울 조립 홀(105)에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으며, 카울 조립 홀(105)에 경사지게 끼워지면서 카울 조립부(103)와 이격이 거의 없는, 즉 조립 공차를 발생시키지 않는 조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카울 조립부(103)는 카울 사이드 브라켓에 해당된다.The guide pin unit 120 is disposed on the cowl side portions 112 on both sides of the cowl upper main body 111 and moves in the downward inclined direction to the cow assembly holes 105 of the cowl assembly portion 10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ssembling structure in which the cowl assembly 103 is inclinedly fitted into the cowel assembly hole 105 so that there is little separation from the cowel assembly 103, that is, an assembly tolerance is not generated. At this time, the cow assembly 103 corresponds to the cowl side bracket.

또한 가이드 핀 유닛(120)은 카울 조립 홀(105)에 끼워진 상태에서 노치(131)에 의해 끼움 방향과 반대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카울 크로스 바(110)의 자중에 의한 회전 움직임을 충분히 제한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조립 공차를 발생시키지 않는다.In addition, the guide pin unit 120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guide pin unit 12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by the notch 131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cow assembly hole 105, thereby sufficiently limiting the rotational movement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cow cross bar 110 , So that the assembly tolerance does not occur.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핀 유닛(120)은 카울 조립 홀(105)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치(131)가 마련되어 있는 전방 노치부(122)와 전방 노치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카울 크로스 바(110)에 결합된 후방 노치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guide pin unit 120 includes a front notch 122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tches 131 spaced apart from the cow assembly hole 105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cow assembly hole 105, And a rear notch 127 rotatably coupled to the crown 122 and coupled to the cow cross bar 110.

전방 노치부(122)와 후방 노치부(127)는 사각형상의 블록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방 노치부(122)는 카울 조립 홀(105)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단부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노치부(127)는 노치가 없는 블록 형상으로서 카울 크로스 바(110)에 장착된다.The front notch portion 122 and the rear notch portion 127 may have a square block structure and the front notch portion 122 may have an end portion for facilitating assembly in the cow assembly hole 105. [ Further, the rear notch 127 is mounted on the cowl cross bar 110 as a block shape without a notch.

카울 조립부(103)는 가이드 핀 유닛(120)에 상응하도록 마련된다. 즉 카울 조립부(103)는 상하로 배치되며 카울 조립 홀(105) 영역에서 차체(100)의 전방부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카울 조립 패널(141)과, 제1 카울 조립 패널(141)에 상응하여 조립 홀을 형성하도록 제1 카울 조립 패널(141)의 하단부에서 이격되어 후방부에 배치되는 제2 카울 조립 패널(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카울 조립 패널(142)은 제1 카울 조립 패널(141)의 하단부에 교차하도록 상단부가 구성될 수 있다.The cow assembly 103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guide pin unit 120. That is, the cow assembly 103 includes a first cowl assembly panel 141 that is vertically disposed and is bent downwar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00 in the cow assembly hole 105 area, And a second cowl assembly panel 142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wl assembly panel 141 and disposed at the rear portion thereof to form an assembly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wl assembly panel 141. The second cowl assembly panel 142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upper end to intersec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wl assembly panel 141.

이러한 제1 카울 조립 패널(141)과 제2 카울 조립 패널(142)에 마련되는 카울 조립 홀(105)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방향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진 방향은 제1 카울 조립 패널(141)의 하단부 경사구조와 제2 카울 조립 패널(142)의 상단부의 이격된 수평 구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The cow assembly holes 105 provided in the first cow assembly panel 141 and the second cow assembly panel 142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hole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constituted by a lower end inclined structure of the assembling panel 141 and a horizontal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wl assembly panel 142. [

전방 노치부(122)에는 후방 노치부(127)에 삽입되는 회전 결합부(125)가 마련되며, 후방 노치부(127)에는 회전 결합부(125)에 상응하는 회전 결합 홈부(133)가 마련되되, 회전 결합부(125)와 회전 결합 홈부(133)는 핀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notch portion 122 is provided with a rotation engaging portion 125 inserted into the rear notch portion 127 and a rotation engaging recess portion 133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engaging portion 125 is formed in the rear notch portion 127 The rotation coupling part 125 and the rotation coupling recess 133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회전 결합부(125)는 볼록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회전 결합 홈부(133)는 이에 대응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두 요소는 핀 결합에 의해 회전 결합부(125)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방 노치부(122)는 후방 노치부(127)에 대해 수평된 상태에서 카울 조립 홀(105)에 끼워질 때 카울 조립 홀(105)의 경사진 양상에 의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rotary coupling portion 125 is formed in a convex shape and the rotary coupling groove portion 133 is provided in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hereto. The two elements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the rotary coupling portion 125 by pin coupling. The front notch portion 122 can be inclined downwardly by the inclined aspect of the cow assembly hole 105 when it is fitted in the cow assembly hole 105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rear notch portion 127 .

회전 결합부(125)의 중앙부에는 회전 결합 홈부(133)에 삽입되도록 수평 돌기(135)가 마련되며, 회전 결합 홈부(133)에는 수평 돌기(135)에 상응하는 돌기 홈(137)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방 노치부(122)와 후방 노치부(127)는 수평 돌기(135)가 돌기 홈(137)에 끼워지는 구조에 의해 수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방 노치부(122)가 카울 조립 홀(105)에 끼워질 때 수평 돌기(135)가 돌기 홈(137)에서 이탈하게 되어 전방 노치부(122)가 후방 노치부(127)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A horizontal protrusion 135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coupling portion 125 to be inserted into the rotary coupling groove 133 and a protrusion groove 137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protrusion 135 is provided at the rotary coupling groove 133 . The front notch portion 122 and the rear notch portion 127 can maintain a horizontal state by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protrusion 135 is fitted in the protrusion groove 137, The horizontal protrusion 135 may be detached from the protrusion groove 137 when the protrusion 135 is fitted into the protrusion 105 and the front notch 122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ar notch 127.

한편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 바(110)에는 카울 크로스 바(110)를 차체(100)의 중앙 하부에 지지시키며, 복수의 지지 핀(116)을 구비한 센터 서포트 브라켓(115)이 마련되며, 차체(100)의 중앙 하부에는 센터 서포트 브라켓(115)의 조립 진행 방향과 반대로 지지 핀(116)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지지 핀(116)에 대응하여 지지 핀(116)이 안치될 수 있는 복수의 지지 홈부(149)가 마련될 수 있다.1 and 6, the cow cross ba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cow cross bar 110 at the center of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ins 116 And a center support bracket 115 is provid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body 100 so as to prevent the support pins 116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center support bracket 115,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 portions 149 on which the pins 116 can be placed can be provided.

이러한 센터 서포트 브라켓(115)은 상하로 길게 배치된 구조로서, 크래쉬 패드 모듈(108)이 조립되는 카울 크로스 바(110)의 상부 본체를 차체(100) 하부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The center support bracket 115 is vertically and vertically arranged and can support the upper body of the cow cross bar 110 where the crash pad module 108 is assembled with respe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100.

카울 크로스 바(110)의 가이드 핀 유닛(120)이 프런트 패널에 조립될 때 센터 서포트 브라켓(115)은 하부 차체(100)의 터널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하단부에 있는 지지 핀(116)이 지지 홈부(149)에 거치되어 카울 상부 본체(111)의 회전에 의한 움직임이 저지될 수 있다. 이처럼 센터 서포트 브라켓(115)의 회전 방지 구조가 구성됨으로써 카울 크로스 바(110)의 회전에 의한 조립 공차를 해소할 수 있다. 이때의 지지 홈부(149)는 실질적으로 반원형의 홈에 해당될 수 있다.When the guide pin unit 120 of the cow cross bar 110 is assembled to the front panel, the center support bracket 115 can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tunnel of the lower body 100 and the support pin 116 at the lower end, The movement of the cowl upper main body 111 due to the rotation can be preven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nti-rotation structure of the center support bracket 115 is configured, assembly tolerance due to rotation of the cow cross bar 110 can be eliminated. At this time, the support groove 149 may correspond to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groove.

지지 홈부(149)는 차체(100)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는 터널 패널(145)에 배치되며, 터널 패널(145)에는 지지 홈부(149)가 터널 패널(145)의 상면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부 안치부(147)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홈부(149)는 터널 패널(145)의 측면부에 결합되며 하부 안치부(147)를 갖는 부가적인 패널에 미리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support trench 149 is disposed on the tunnel panel 145 disposed at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100 and the support trench 149 is positioned below the top surface portion of the tunnel panel 145 And a lower guide 147 may be provided. Such a support groove 149 may be provided in advance in an additional panel having a lower mounting portion 147 coupled to a side surface portion of the tunnel panel 14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 바(110)에는 차체용 투입기(160)에 의해 차체(100)의 횡 방향으로 조립 가능토록 투입기(160)의 복수의 고정 핀(161)에 조립 가능한 핀 삽입 홀(159)과 투입기(160) 측에 삽입 가능한 서포트 플랜지(155)를 갖는 투입 장착 거치부(151)가 마련될 수 있다.The cow cross ba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in inserting unit 160 which can be assembled to the plurality of fixing pins 161 of the input unit 160 so as to be assembl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100 by the body- A loading mount 151 having a hole 159 and a support flange 155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jector 160 may be provided.

이러한 투입 장착 거치부(151)에 대응하여 투입기(160)에는 서포트 플랜지(155)에 상응하여 서포트 플랜지(1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서포트 홀(163)이 마련될 수 있다.A support hole 163 may be formed in the injector 160 so that the support flange 155 can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flange 155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sertion mounting portion 151.

즉 도 7과 같이 기존의 투입 장착 거치부(151)는 서포트 플랜지(155)가 없었으며, 투입기(160)의 고정 핀(161)이 결합 가능한 핀 삽입 홀(159)만 있었지만 도 8과 같이 투입기(160)에 결합 가능한 서포트 플랜지(155)가 마련되어 투입기(160)와의 조립성이 견고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크래쉬 패드 모듈(108)의 차체(100)의 투입 조립에서 발생될 수 있는 조립 공차를 해소할 수 있다.7, there is no support flange 155 and only the pin insertion hole 159 to which the fixing pin 161 of the injector 160 can be coupled. However, as shown in FIG. 8, The support flange 155 can be attached to the crush pad module 160 to assemble the crush pad module 108 with the crusher 160. The assembly flange 155 can be assembled with the crusher 160, Can be solved.

도 8을 참조하면 서포트 플랜지(155)는 투입기(160)의 고정 핀(161)이 투입 장착 거치부(151)의 핀 삽입 홀(159)에 삽입될 때 투입기(160)의 고정 핀(161)이 핀 삽입 홀(159)로부터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한하게 되며, 투입기(160)에 대해 크래쉬 패드 모듈(108)이 정해진 위치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투입기(160)에 의한 조립 시에 공차가 발생되지 않는다.8, the support flange 155 is fixed to the fixing pin 161 of the injector 160 when the fixing pin 161 of the injector 160 i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159 of the insertion mounting portion 151, The possibility of moving from the pin insertion hole 159 is limited and the crash pad module 108 can be fix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njector 160 so that a tolerance is not generated in assembling by the injector 160 Do not.

이러한 서포트 플랜지(155)는 카울 크로스 바(110)와 함께 조립되는 크래쉬 패드 모듈(108)에 의한 하방 처짐을 방지하도록 서포트 홀(163)이 형성된 영역부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부(157)를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flange 155 may have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157 supported in an area where the support hole 163 is formed to prevent the downward sag due to the crash pad module 108 assembled with the cow cross bar 110 have.

즉 수평 지지부(157)는 투입기(160)에 크래쉬 패드 모듈(108)이 조립될 때 투입기(160)에 대해 크래쉬 패드 모듈(108)의 움직임을 기존보다 제한하여 크래쉬 패드 모듈(108)의 하방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크래쉬 패드 모듈(108)의 처짐에 의한 누적 조립 공차가 발생되지 않는다.That is, when the crash pad module 108 is assembled to the injector 160, the horizontal support part 157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crash pad module 108 relative to the injector 16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rash pad module 108 downward And no cumulative assembly tolerance due to deflection of the crash pad module 108 occur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 조립 시에 누적 공차가 발생되지 않거나 줄어들어 기존보다 카울 크로스 바(110)에 의한 크래쉬 패드 모듈(108)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mulative tolerance is not generated or reduced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cowl crossbar assembling apparatus, which improves the assemblability of the crash pad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ssemblability of the first electrode 108.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Deletion, addition or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차체 101, 102: 사이드 패널
103: 카울 조립부 105: 카울 조립 홀
107: 칵핏 공간 108: 크래쉬 패드 모듈
110: 카울 크로스 바 111: 카울 상부 본체
112: 카울 사이드부
115: 센터 서포트 브라켓 116: 지지 핀
120: 가이드 핀 유닛 122: 전방 노치부
125: 회전 결합부 127: 후방 노치부
131: 노치 135: 수평 돌기
133: 회전 결합 홈부 137: 돌기 홈
141: 제1 카울 조립 패널 142: 제2 카울 조립 패널
145: 터널 패널 147: 하부 안치부
149: 지지 홈부 151: 투입 장착 거치부
155: 서포트 플랜지 157: 수평 지지부
159: 핀 삽입 홀 160: 투입기
161: 고정 핀 163: 서포트 홀
100: body 101, 102: side panel
103: Cow assembly part 105: Cow assembly hole
107: cockpit space 108: crash pad module
110: a cowl cross bar 111: a cowl upper body
112: Cowl side portion
115: center support bracket 116: support pin
120: Guide pin unit 122: Front notch
125: rotation coupling part 127: rear notch
131: notch 135: horizontal projection
133: rotation coupling groove portion 137: projection groove
141: first cowl assembly panel 142: second cowl assembly panel
145: Tunnel panel 147: Lower panel
149: support groove part 151:
155: Support flange 157: Horizontal support
159: pin insertion hole 160: injector
161: Fixing pin 163: Support hole

Claims (9)

운전석과 조수석이 배치되는 차체의 양쪽에 배치되며, 카울 크로스 바가 조립 가능한 카울 조립 홀이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마련되는 카울 조립부; 및
상기 카울 조립부에 상응하여 상기 카울 크로스 바의 양쪽에 배치되며, 상기 카울 조립 홀에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일 부분이 타 부분에 대해 회전되게 마련되며 상기 카울 조립 홀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치가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 핀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
A cowl assembly disposed on both sides of a vehicle body in which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are disposed and having a cow assembly hole in which a cow cross bar can be assembled, And
The cowl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wl assembly includes: a cowl assembly including: a cowl assembly including a cowl assembly bar, And a guide pin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tches at intervals so as to prevent the collision of the crash pad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유닛은,
상기 카울 조립 홀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노치가 마련되어 있는 전방 노치부; 및
상기 전방 노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카울 크로스 바에 결합된 후방 노치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in unit includes:
A front notch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tches at intervals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cow assembly hole; And
And a rear notch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notch portion and coupled to the cowl cross bar to improve the assemblability of the crash pad module of the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조립부는,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카울 조립 홀 영역에서 차체의 전방부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카울 조립 패널; 및
상기 제1 제1 카울 조립 패널에 상응하여 상기 조립 홀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카울 조립 패널의 하단부에서 이격되어 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카울 조립 패널의 하단부에 교차하도록 상단부가 마련되는 제2 카울 조립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w assembly includes:
A first cowl assembly panel which is vertically disposed and which is bent to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body in the cowling assembly hole region and is inclined downward; And
A second cowl assembly panel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first cowl assembly panel and spaced apart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cowl assembly panel so as to form the assembly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wl assembly panel, A cow crossbar assembling apparatus which improves the assemblability of a crash pad module of a vehicle including a cowl assembly pan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노치부에는 상기 후방 노치부에 삽입되는 회전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후방 노치부에는 상기 회전 결합부에 상응하는 회전 결합 홈부가 마련되되, 상기 회전 결합부와 상기 회전 결합 홈부는 핀 결합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ront notch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onal engag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rear notch portion, and the rear notch portion has a rotational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rotational engaging portion and the rotational engaging portion are pin- A cow crossbar assembly device that improves the assemblability of a crash pad module of a vehi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결합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 결합 홈부에 삽입되도록 수평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 결합 홈부에는 상기 수평 돌기에 상응하는 돌기 홈이 마련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cowl cross bar assembly for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of a crash pad module of a vehicle in which a horizontal projection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coupling portion and a protrus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projection is provided in the rotary coupling groove por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 바에는 상기 카울 크로스 바를 차체의 중앙 하부에 지지시키며, 복수의 지지 핀을 구비한 센터 서포트 브라켓이 마련되며, 차체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센터 서포트 브라켓의 조립 진행 방향과 반대로 상기 지지 핀이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 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핀이 안치될 수 있는 복수의 지지 홈부가 마련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support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ins is provided on the cowl cross bar to support the cowl cross bar in the center of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recesses are formed on the support pin so that the support pin can b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in so as to prevent movement of the support p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부는 차체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는 터널 패널에 배치되되, 상기 터널 패널에는 상기 지지 홈부가 상기 터널 패널의 상면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부 안치부가 마련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upport groove portion is disposed on a tunnel panel disposed at a central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tunnel panel has assemblability of a crash pad module of a vehicle provided with a lower seat portion such that the support groove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tunnel panel Improved cowl crossbar assembl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 바에는 차체용 투입기에 의해 차체의 횡 방향으로 조립 가능토록 상기 투입기의 복수의 고정 핀에 조립 가능한 핀 삽입 홀과 상기 투입기 측에 삽입 가능한 서포트 플랜지를 갖는 투입 장착 거치부가 마련되며,
상기 투입기에는 상기 서포트 플랜지에 상응하여 상기 서포트 플랜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서포트 홀이 마련되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wl cross bar is provided with a loading mounting portion having a pin insertion hole that can be assembled to a plurality of fixing pins of the charging device and a support flange insertable into the charging device so as to be assembl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y a body-
Wherein the support hole is provided in the injector so that the support flange can be inser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upport flange,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of the crash pad module of the vehi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랜지는 상기 카울 크로스 바와 함께 조립되는 크래쉬 패드 모듈에 의한 하방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 홀이 형성된 영역부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부를 갖는 차량의 크래쉬 패드 모듈의 조립성을 개선한 카울 크로스 바 조립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pport flange has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supported in a region where the support hole is formed to prevent downward deflection by a crash pad module assembled with the cowl cross bar, Device.
KR1020140167643A 2014-11-27 2014-11-27 Cowl cross bar assemble device of vehicle crash pad module for innovating assemble qulity KR201600638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43A KR20160063852A (en) 2014-11-27 2014-11-27 Cowl cross bar assemble device of vehicle crash pad module for innovating assemble qu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43A KR20160063852A (en) 2014-11-27 2014-11-27 Cowl cross bar assemble device of vehicle crash pad module for innovating assemble qu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52A true KR20160063852A (en) 2016-06-07

Family

ID=5619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643A KR20160063852A (en) 2014-11-27 2014-11-27 Cowl cross bar assemble device of vehicle crash pad module for innovating assemble qu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85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125B1 (en) 2021-04-09 2022-03-02 대우공업 (주) Preventing rotation unit for cowl cross b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125B1 (en) 2021-04-09 2022-03-02 대우공업 (주) Preventing rotation unit for cowl cross b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790B2 (en) Structure of instrument panel area of vehicle
US7707908B2 (en) Steering unit support device for a vehicle
US9168945B2 (en) Steering column comprising an improved depth-blocking mechanism
KR101371838B1 (en) Structure for dispersing collision energy of front pillar during car crash
US10654513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KR20160063852A (en) Cowl cross bar assemble device of vehicle crash pad module for innovating assemble qulity
JP2013220770A (en) Headrest device for vehicle seat
CN102476656A (en) Rear structure for vehicle body
KR20170004231A (en)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KR20160063853A (en) Structure of vehicle wheel part corresponding to small overlap crush
JP2010221952A (en) Steering device
JP6584820B2 (en) In-vehicle device
US20130241252A1 (en) Motor vehicle rear seat
JP2011184006A (en) Vehicle instrument panel peripheral structure
KR102061862B1 (en) Back board assembly for vehicle seat
JP2013047060A (en) Vehicle steering device
US20190344729A1 (en) Door trim
JP5508628B2 (en) Steering device
KR20130115759A (en) Latching apparatus for steering device for vehicle
CN108909676A (en) Rain brush sub-component for motor vehicles
KR101026119B1 (en) Tilting ass'y of Steering coulmn
JP2020199921A (en) Head lamp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200477395Y1 (en) Panhard rod use reinforcement device
KR20120029937A (en) Air bag door for vehicles
US8672392B1 (en) Crash absorption instrument panel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