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662A - 완구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완구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662A
KR20160063662A KR1020140167181A KR20140167181A KR20160063662A KR 20160063662 A KR20160063662 A KR 20160063662A KR 1020140167181 A KR1020140167181 A KR 1020140167181A KR 20140167181 A KR20140167181 A KR 20140167181A KR 20160063662 A KR20160063662 A KR 20160063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unit
data
driving
h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석
우덕건
채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로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로보
Priority to KR1020140167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662A/ko
Publication of KR2016006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상기 완구 제어 시스템은 구동부, 단말기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완구의 구동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설정하고 전송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들을 나타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포함하고, 상기 GUI 상에서 상기 블록들을 드래그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의 상기 완구 구동을 위한 자체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설정한다.

Description

완구 제어 시스템{TO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로봇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트리를 설정가능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및 자체 프로토콜이 적용된 헥스(Hexadecimal: HEX)를 통해 완구를 제어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조부모와 같이 지내는 아이들의 증가로 인해 구매력이 높은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아이들을 위한 완구구입이 늘어나고 있고 경제력 있는 20, 30대 직장인들의 취미생활로 완구구입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에니메이션, 영화 등의 영향으로 에니메이션과 영화와의 연계를 통해 조립 로봇 완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조립을 통해 창의력을 증진시키고 나만의 로봇을 만들고자 하는 수요가 늘고 있어서 완구의 시장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완구를 즐기는 연령층이 다양해지면서 단순하게 이동만 하거나 소수의 기능들을 출력하는 완구보다는 사용자가 컴퓨터 상에서 기능을 추가하고 변환시키며 완구들은 자체 프로토콜을 통해 추가되고 변환된 기능들의 데이터들을 읽어서 다양한 동작들을 구동이 가능하고 복수의 센서들을 장착하여 다양한 외부자극에 다양한 반응을 발생시키도록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완구의 구동을 제어할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거나 작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손쉽게 그리고 직관적으로 완구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요구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60949호는 장난감 자동차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4-0000867호는 원격제어 단말기와 와이파이 통신 유니트를 통해 장난감을 원격제어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자체 프로토콜에 의해 코드화 되고 사용자가 창조적으로 구동을 변경하고 추가하는 발명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양한 완구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자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동되는 완구 제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관적으로 블록들을 드래그 하여 HEX 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와 자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EX 데이터를 해석하여 완구를 제어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구 제어 시스템은 구동부, 단말기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완구의 구동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설정하고 전송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들을 나타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포함하고, 상기 GUI 상에서 상기 블록들을 드래그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의 상기 완구 구동을 위한 데이터를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구동부 간의 데이터 전송은 자체 프로토콜 규격을 통해 코드화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는 HEX 데이터로 코드화 되어 상기 구동부에 전송되고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HEX 데이터를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상기 HEX 데이터를 실행 및 해석하여 완구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송수신부, 제어부,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HEX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HEX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석하여 입출력데이터를 발생시키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출력데이터를 수신하여 완구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저장부, 해석부 및 완구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HEX 데이터를 EEPROM을 통해 저장하고, 상기 해석부는 상기 HEX 데이터를 해석하며, 상기 완구구동부는 해석된 상기 HEX 데이터를 입출력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출력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석부는 계수기 및 CPU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계수기는 상기 HEX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고 해석하도록 순차적으로 실행해야 할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나타내고, 상기 CPU 모듈은 상기 HEX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해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GUI는 기능창 및 설정창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창은 상기 완구의 기능들을 나타내는 블록들을 나타내며, 상기 설정창은 상기 블록들을 드래그 이동하여 상기 완구의 구동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은 Start 블록, DC Motor 블록 및 Brake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Start 블록은 상기 완구의 구동시작을 나타내며, 상기 DC Motor 블록은 상기 완구를 이동시키며, 상기 Brake 블록은 상기 완구의 구동을 멈추며, 상기 설정창으로 상기 Start 블록, 상기 DC Motor 블록 및 상기 Brake 블록을 차례대로 각각의 상기 블록들의 하부를 향해 드래그 이동하여 연결되어 블록트리를 형성하면, 상기 완구는 구동시작, 이동 및 구동을 멈추는 동작을 순서대로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완구의 기능들을 기능창의 블록들을 통해 파악하고, 블록들을 선택적으로 설정창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켜 블록트리를 설정하여 전문적인 컴퓨터 용어를 이용하여 코드를 제작할 필요없이 블록들이 나타내는 완구의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GUI에서 블록들의 조합으로 설정되는 블록트리는 블록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설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들이 창의적으로 완구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복잡한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를 배우기 전에 프로그램을 설정하는데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교육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GUI의 블록트리를 통해 생성되는 HEX 데이터는 자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부를 통해 구동부로 이동하며, 해석부는 HEX 데이터를 EEPROM과 PC를 통해 읽고 해석하여 입출력데이터를 생성하여 완구가 구동하므로 별도의 컴파일 작업이 필요 없이 완구의 구동이 가능한 편의성이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완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기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상의 구동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1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해석부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완구 제어 시스템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제어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완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기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상의 구동화면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완구 제어 시스템(100)은 단말기(200), 통신부(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20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210)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완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GUI(210)는 기능창(211) 및 설정창(212)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창(211)은 블록들(211a)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창(212)은 블록트리(212a)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200)는 로봇, 자동차, 인형 등의 완구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태블릿 기기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상기 구동부(400)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GUI(210)는 상기 단말기(200)와 상기 구동부(400)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 장치로서, 해당 사용자가 상기 GUI(210)를 통해 상기 구동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면, 상기 GUI(210)는 사용자의 제어를 인식하고 이를 데이터화 하여 상기 통신부(300)를 거쳐 상기 구동부(400)에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GUI(210)는 사용자와 상기 단말기(200)를 연결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상기 GUI(210)는 그래픽을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윈도우의 마우스를 사용하여 아이콘을 클릭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아이패드의 어플 아이콘을 터치하여 어플을 실행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이런 그래픽을 사용하는 상기 GUI(210)는 문자로 이루어진 명령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문자 유저 인터페이스(Character User Interface: CUI)와 비교해서 직관적이고 손쉽게 상기 단말기(200)를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에 상기 완구를 제어하는 방법은 조이스틱이나 버튼을 이용한 조 종기 를 위주로 사용하였고,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터치를 이용하거나 자이로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완구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완구의 연속적인 동작을 창의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컴퓨터와 연결해서 C언어와 같은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편집하지 않는 이상 상기 완구의 복잡하고 다양한 동작을 구현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GUI(210)는 상기 블록들(211a)이 상기 단말기(200)와 연결된 완구가 실현 가능한 세분화된 동작들이나 기능들을 나타내고 있어, 사용자가 상기 블록들(211a)을 상기 설정창(212)으로 이동시켜 다양한 조합의 상기 블록트리(212a)를 형성시키면, 상기 블록트리(212a) 안에서 상기 블록들(211a)이 상기 설정창(212)에서 아래를 향해 연결된 순서대로 상기 완구가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들(211a)은 Start 블록, DC Motor 블록 및 Brake 블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블록트리(212a)의 상기 블록들(211a) 중 상기 Start 블록을 상기 설정창(212)의 상기 블록트리(212a)의 상부의 위치로 드래그하고, 상기 DC Motor 블록을 상기 블록트리(212a)의 상기 Start 블록의 하부에 드래그하고, 다시 상기 Brake 블록을 상기 DC Motor 블록의 하부에 연결하고, 이를 상기 구동부(400)로 전송하면, 상기 완구는 상기 Start 블록의 명령으로 전원을 켜고 순차적으로 상기 DC Motor 블록의 명령으로 상기 완구의 모터가 구동하여 전진하며, 상기 Brake 블록의 명령으로 상기 완구는 일정 거리를 이동한 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블록들(211a)이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들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다양한 상기 블록트리(212a)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다양한 구동명령을 통해 다양한 완구의 동작을 구현시킬 수 있고, 전문적인 컴퓨터 용어를 모르는 학생들의 경우 직관적으로 상기 완구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어, 상기 완구를 제어하는데 흥미를 유발하고, 더불어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유발하는 교육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들(211a)은 완구의 구조나 기능에 따라서 다른 기능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해석부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400)는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데이터베이스(430), 입력부(440) 및 출력부(4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20)는 데이터저장부(421), 해석부(422) 및 완구구동부(423)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410)는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송수신부(41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토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송수신된 상기 프로토콜 명령 메시지, 포트속도, 데이터비트, 패리티비트, 등의 송수신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입력부(440) 및 상기 출력부(450)에서 실행되기 위한 입출력데이터의 표시형태 구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형태 구분은 헥스(Hexadecimal: HEX)를 사용하고, 상기 데이터는 HEX 데이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송수신부(410)로부터 송수신하는 상기HEX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HEX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해석하여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입출력데이터는 상기 완구구동부(423)를 통해서 상기 입력부(440)를 지나 상기 출력부(450)로 전송된다. 상기 입출력데이터는 상기 단말기(200)의 상기 GUI(210)를 통해 사용자가 드래그하여 설정한 상기 블록트리(212a)의 상기 구동명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450)가 상기 입력부(440)를 통해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완구는 상기 블록트리(212a)의 상기 구동명령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구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20)의 상기 데이터저장부(421)는 상기 단말기(200)에서 생성된 상기 HEX 데이터를 상기 구동부(400)에 형성된 제어보드의 컨트롤러 비휘발성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에 저장하고, 상기 HEX 데이터를 상기 해석부(422)로 전송한다.
상기 해석부(422)는 상기 HEX 데이터를 해석하여 자체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HEX 데이터의 상기 GUI(210)에서 조작된 상기 블록트리(212a)의 상기 구동명령을 해석하고 이에 관한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완구구동부(423)를 통해 상기 입력부(440)로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450)로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완구가 동작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GUI(210)의 상기 블록트리(212a)의 상기 구동명령을 통해 생성된 상기 HEX 데이터는 상기 통신부(300)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421)를 거쳐 상기 해석부(422)로 전송된다(단계 S101).
상기 HEX 데이터는 상기 해석부(422)의 상기 EEPROM으로 전송되어 저장된다(단계 S102).
계수기(Program countor: PC)는 상기 HEX 데이터가 상기 해석부(422)의 프로세서에서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지정하게 된다(단계 S103).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C를 통해 상기 HEX 데이터를 상기 EEPROM에서 순차적으로 실행한다(단계 S104).
상기 프로세서는 자체 프로토콜을 통한 상기 GUI(210)에서 설정된 상기 블록트리(212a)의 상기 구동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HEX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출력데이터로 전환한다(단계 S105).
상기 입출력데이터는 상기 완구구동부(423)를 통해 상기 입력부(440)로 전송되고, 상기 입력부(440)는 상기 출력부(450)로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전송하여 해당 완구는 상기 블록트리(212a)의 설정대로 구동을 한다(단계 S106).
도 6은 도 1의 완구 제어 시스템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200)를 실행한다(단계 S201).
상기 단말기(200)의 상기 GUI(210)를 실행하여 상기 기능창(211) 및 상기 설정창(212)을 상기 단말기(200)에 나타낸다(단계 S202).
상기 기능창(211)의 상기 블록들(211a)이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들을 사용자의 임의대로 선택적으로 상기 설정창(212)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록트리(212a)를 설정하여 상기 블록트리(212a)의 구동명령에 해당하는 상기 HEX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203).
상기 HEX 데이터는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상기 구동부(400)로 송신되고, 상기 HEX 데이터는 상기 송수신부(410)를 거쳐 상기 제어부(420)로 이동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HEX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420)의 상기 데이터저장부(421)에서 상기 EEPROM에 저장되며, 상기 해석부(422)는 상기 EEPROM에서 상기 HEX 데이터를 읽고 해석한다(단계 204).
상기 해석부(422)에서 해석된 상기 HEX 데이터는 파일 형식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다(단계 205).
상기 해석부(422)에서 해석된 상기 HEX 데이터가 나타내는 상기 블록트리(212a)의 구동명령은 상기 해석부(422)의 자체 프로토콜을 통해 해석되어 입출력데이터로 변환되고 상기 완구구동부(423)를 통해 상기 입력부(440)로 전송되고, 상기 입력부(440)는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출력부(450)로 전송하여 완구가 상기 블록트리(212a)의 구동명령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구동한다(단계 206).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GUI(210)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완구의 기능들을 상기 기능창(211)의 상기 블록들(211a)을 통해 파악하고, 상기 블록들(211a)을 선택적으로 상기 설정창(212)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켜 상기 블록트리(212a)를 설정하여 전문적인 컴퓨터 용어를 이용하여 코드를 제작할 필요없이 상기 블록들(211a)이 나타내는 완구의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UI(210)에서 상기 블록들(211a)의 조합으로 설정되는 상기 블록트리(212a)는 상기 블록들(211a)의 다양한 조합으로 설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들이 창의적으로 완구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복잡한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를 배우기 전에 프로그램을 설정하는데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교육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GUI(210)의 상기 블록트리(212a)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HEX 데이터는 자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상기 구동부(400)로 이동하며, 상기 해석부(422)는 상기 HEX 데이터를 상기 EEPROM과 상기 PC를 통해 읽고 해석하여 입출력데이터를 생성하여 완구가 구동하므로 별도의 컴파일 작업이 필요없이 완구의 구동이 가능한 편의성이 증가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합의 블록트리를 설정하여 완구를 제어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은 가정, 회사 및 학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 완구 제어 시스템 200 : 단말기
300 : 통신부 400 : 구동부
410 : 송수신부 420 : 제어부
430 : 데이터베이스 440 : 입력부
450 : 출력부

Claims (9)

  1. 완구의 구동을 실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설정하고 전송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및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들을 나타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포함하고,
    상기 GUI 상에서 상기 블록들을 드래그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의 완구 구동을 위한 데이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구동부 간의 데이터 전송은 자체 프로토콜 규격을 통해 코드화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HEX 데이터로 코드화 되어 상기 구동부에 전송되고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HEX 데이터를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상기 HEX 데이터를 실행 및 해석하여 완구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HEX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HEX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석하여 입출력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출력데이터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하여 완구를 구동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HEX 데이터를 EEPROM을 통해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HEX 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부; 및
    해석된 상기 HEX 데이터를 입출력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출력부로 전송하는 완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부는,
    상기 HEX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고 해석하도록 순차적으로 실행해야 할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나타내는 계수기(Program Counter: PC); 및
    상기 HEX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해석하는 CPU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상기 완구의 기능들을 나타내는 블록들을 나타내는 기능창; 및
    상기 블록들을 드래그 이동하여 상기 완구의 구동 순서를 설정하는 설정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완구의 구동시작을 나타내는 Start 블록;
    상기 완구를 이동시키는 DC Motor 블록; 및
    상기 완구의 구동을 멈추는 Brake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창으로 상기 Start 블록, 상기 DC Motor 블록 및 상기 Brake 블록을 차례대로 각각의 상기 블록들의 하부를 향해 드래그 이동하여 연결되어 블록트리를 형성하면, 상기 완구는 구동시작, 이동 및 구동을 멈추는 동작을 순서대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제어 시스템.
















KR1020140167181A 2014-11-27 2014-11-27 완구 제어 시스템 KR20160063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181A KR20160063662A (ko) 2014-11-27 2014-11-27 완구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181A KR20160063662A (ko) 2014-11-27 2014-11-27 완구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662A true KR20160063662A (ko) 2016-06-07

Family

ID=5619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181A KR20160063662A (ko) 2014-11-27 2014-11-27 완구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6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664A (ko) * 2018-07-04 2020-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록코딩을 이용한 자동차 편의장치 작동 설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664A (ko) * 2018-07-04 2020-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록코딩을 이용한 자동차 편의장치 작동 설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ádvorník et al. Remote control robot using Android mobile device
CN103093658B (zh) 一种面向儿童实物交互的故事创建方法和系统
US20170053550A1 (en) Education System using Connected Toys
KR101119030B1 (ko) 지능형 로봇 장치의 서비스 시나리오 편집 방법,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지능형 로봇 장치 및 지능형 로봇의 서비스 방법
KR20200033637A (ko) 주행 로봇을 이용한 코딩 교육 제공 시스템
JP6319772B2 (ja) リアルタイムで行われる移動ロボットの脈絡ある挙動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9848985A (zh) 一种机器人的图形编程方法、装置及智能终端
KR101676676B1 (ko) 저항과 자석이 내장된 카드키 및 보드를 이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용 키트 및 방법
US20210342126A1 (en) System for co-ordination of logical sequence of instructions across electronic devices using visual programm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CN107491015A (zh) 一种机器人教育套件
KR20140033297A (ko) 스마트 로봇 교육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CN113570944B (zh) 一种用于积木块编程学习的智能教具控制系统和方法
KR20160063662A (ko) 완구 제어 시스템
KR102316919B1 (ko) 피지컬 컴퓨팅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코딩 교육 교재 및 이를 활용한 코딩 교육 방법
KR20200074340A (ko) 다중 코딩 소스를 제어할 수 있는 코딩 교육용 스마트 토이 시스템
Besari et al. Preliminary design of interactive visual mobile programming on educational robot ADROIT V1
CN112073944B (zh) 基于物联网通信的快速系统开发的模块与组件设计方法
KR20090048262A (ko) 다개체 상호 작용을 위한 로봇 컨트롤 시스템
KR102137273B1 (ko) Rfid 태그를 이용한 코딩 교육용 스마트 토이 시스템
CN110370280B (zh) 机器人行为的反馈控制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062555A (ko) 교육용 완구 제어 시스템
KR20150124009A (ko) 손동작을 이용한 로봇 코칭 시스템
JP2020038450A (ja) 自走式機器及び自走式機器システム
KR20090128631A (ko) 지능로봇실습키트 및 지능로봇을 이용한 지능로봇교육시스템
KR20090000589A (ko) 스크립트를 이용한 효과적인 감성표현이 가능한 양방향모션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