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138A - 작업 실행을 위한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실행을 위한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138A
KR20160062138A KR1020167011209A KR20167011209A KR20160062138A KR 20160062138 A KR20160062138 A KR 20160062138A KR 1020167011209 A KR1020167011209 A KR 1020167011209A KR 20167011209 A KR20167011209 A KR 20167011209A KR 20160062138 A KR20160062138 A KR 20160062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duration
user equipment
state
opera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094B1 (ko
Inventor
쥐안 정
사 마
치앙 리
위안 샤
즈위 옌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6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사용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 및/또는 동기화의 결과가 잘못되는 문제점을 해결는 데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UE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 및/또는 동기화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셀이 서비스를 갖지 않는 때에는 셀의 비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 실행을 위한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SER EQUIPMENT TO EXECUTE TASK}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작업 실행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기술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모바일 서비스 트래픽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서비스 트래픽에 대한 요구의 빠른 증가를 충족하기 위해, 매크로 셀룰러 네트워크(macro cellular network) 상에서 데이터 오프로딩(offloading)이 행해질 수 있으며, 소형셀(Small cell)이 몇몇의 실내 또는 실외 핫스팟 내에 밀집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소형셀(Small cell)은, 메트로 셀(Metr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피코 셀(Pico cell), 펨토 셀(Femto cell), 및 Wi-Fi(Wireless Fidelity) 기술을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형 셀(Small cell)들은 커버리지가 작고 송신 전력이 낮다는 특징을 가지며, 고속 데이터 송신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소형 셀은 커버리지가 작기 때문에 소형 셀에 의해 서빙되는(served)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의 서비스의 용량(volume)이 자주 변화한다. 현재 소형 셀 내의 UE가 서비스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소형 셀은 에너지 절약을 위해 일시적으로 비활성화(disabled)될 수 있고, 이 경우 소형 셀은 신호 송신을 중단한다. 소형 셀 내의 UE가 서비스 데이터 송신을 수행해야 할 때에는, UE에 대해 데이터 송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소형셀이 활성화될(enable) 수 있다. 소형 셀에 의해 서빙되는 UE가 서비스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소형 셀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소형 셀을 위해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소형 셀들이 밀집하여 배치된 시나리오에서는 그 소형 셀로부터 다른 셀로의 신호 간섭을 줄이고 통신 시스템의 채널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소형 셀이 비활성화되었을 때에 UE는, 디폴트(default)로, 소형 셀이 항상 적어도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를 전송한다고 간주한다. 따라서 UE는 각각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수신된 CRS를 이용하여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한다. 이 경우 UE에 의해 수행된 측정 및/또는 동기화의 결과는 명백하게 잘못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 및/또는 동기화의 결과가 잘못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 및/또는 동기화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작업 실행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상에 따르면,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상기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를 포함한다.
제1 양상을 참조하여, 제1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가,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configure) 단계;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AM: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antenance) 엔티티(entity)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상의 제1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2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가,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양상의 제2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3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상기 이웃 셀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상, 또는 제1 양상의 제1 내지 제3 실현 가능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한 제4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상기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intra-frequency)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동일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inter-frequency)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상기 제2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제1 양상, 또는 제1 양상의 제1 내지 제4 실현 가능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한 제5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상의 제5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6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양상의 제6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7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DRX 사이클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active-state time)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inactive-state time)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제1 양상의 제6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8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restrictive)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상기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다.
제2 양상에 따라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 기기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를 포함한다.
제2 양상을 참조한 제1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제3 양상에 따르면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지속 기간을 결정 모듈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지속 기간을 수신하고,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상기 결정 모듈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상기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한다.
제3 양상을 참조한 제1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AM: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antenance) 엔티티(entity)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양상의 제1 실현 가능 방식을ㅇ 참조한 제2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또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에 따라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양상의 제2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3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상기 이웃 셀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양상, 또는 제3 양상의 제1 내지 제3 실현 가능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한 제4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상기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동일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상기 제2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제3 양상, 또는 제3 양상의 제1 내지 제4 실현 가능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한 제5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상기 결정 모듈이 결정한 후에,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3 양상의 제5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6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제3 양상의 제6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7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DRX 사이클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제3 양상의 제6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8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restrictive)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상기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다.
제4 양상에 따르면,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를 실행 모듈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상기 실행 모듈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제4 양상을 참조한 제1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제5 양상에 따르면,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semi-static enabled)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dynamic enabled-disabled)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상기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함 -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상기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를 포함한다.
제5 양상을 참조한 제1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가,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configure) 단계;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AM: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antenance) 엔티티(entity)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5 양상의 제2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3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가,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5 양상, 또는 제5 양상의 제1 내지 제3 실현 가능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한 제4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상기 이웃 셀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5 양상, 또는 제5 양상의 제1 내지 제4 실현 가능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한 제5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상기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intra-frequency)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동일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inter-frequency)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상기 제2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상기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제5 양상, 또는 제5 양상의 제1 내지 제4 실현 가능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한 제5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5 양상, 또는 제5 양상의 제1 내지 제4 실현 가능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한 제5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제5 양상의 제6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7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DRX 사이클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active-state time)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inactive-state time)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제5 양상의 제6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8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restrictive)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상기 측정될 셀이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다.
제6 양상에 따르면,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 기기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상기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함 - ; 및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를 포함한다.
제6 양상을 참조한 제1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제7 양상에 따르면,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지속 기간을 결정 모듈에게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상기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상기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함 - ; 및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지속 기간을 수신하고,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상기 결정 모듈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상기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한다.
제7 양상을 참조한 제1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antenance) 엔티티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7 양상의 제1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2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또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에 따라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7 양상의 제2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3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상기 이웃 셀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7 양상, 또는 제7 양상의 제1 내지 제3 실현 가능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한 제4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상기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동일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상기 제2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상기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제7 양상, 또는 제7 양상의 제1 내지 제4 실현 가능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한 제5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상기 결정 모듈이 결정한 후에,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7 양상의 제5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6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제7 양상의 제6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7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DRX 사이클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제7 양상의 제7 실현 가능 방식을 참조한 제8 실현 가능 방식에서는,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restrictive)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상기 측정될 셀이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다.
제8 양상에 따르면,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를 실행 모듈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상기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상기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함 - ;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상기 실행 모듈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한다.
제8 양상을 참조한 제1 실현 가능 방식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모식적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모식적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셀의 운용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9는 DRX 사이클의 모식적 구성도이다.
도 10은 UE에 의해 행해지는 인트라-주파수(intra-frequency) 이웃셀 측정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서빙 셀의 서로 다른 운용 상태 및 인터-주파수(inter-frequency) 이웃셀의 상호 보완을 나타낸 모식적 구성도이다.
도 12는 서빙 셀의 서로 다른 운용 상태 및 인터 주파수 이웃 셀의 상호 중첩을 나타낸 모식적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모식적 구조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모식적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분명하게는,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며 일부 실시예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 수고 없이 도출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현재의 2G 및 3G 통신 시스템과 차세대 통신 시스템,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rel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ddressing)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단일-반송파(single-carrier) FDMA(SC-FDAM) 시스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다른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 기기 및/또는 기지국을 기준으로 다양한 양태를 설명한다.
사용자 기기는 무선 단말 또는 유선 단말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무선 연결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컬을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Radio Access Network) 등)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어(core)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모바일폰(‘셀룰러(cellular)’ 폰이라고도 함) 및 모바일 단말로 된 컴퓨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용, 포켓 사이즈(pocket-sized), 핸드헬드,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 내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무선 전화 세트(cordless telephone set),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폰,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일 수 있다. 무선 송신 시스템은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모바일 단말(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또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라고 할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sector)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과 통신을 하는 디바이스를 일컫는 것일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over-the-air 프레임과 IP 패킷을 상호 전환하고, 무선 단말과 액세스 네트워크의 남은 일부 사이의 라우터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의 남은 일부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의 속성(attribute) 관리를 조정할(coordinate)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GSM 또는 CDMA 내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일 수 있고, 또한 WCDMA 내의 NodeB일 수 있으며, 나아가 LTE 내의 NodeB(NodeB, eNB, 또는 e-NodeB(evolutional Node B))일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적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 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설명하는 것이고 세 가지의 상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의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A만 존재하는 경우; A 및 B 모두 존재하는 경우; B만 존재하는 경우. 또한 본 명세서의 문자 ‘/’는 기본적으로 관련 대상 간 ‘또는’의 관계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셀은 기지국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며,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01: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cell working state)의 지속 기간(duration)을 획득하며, 여기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시그널 송신을 수행하는 기간(duration) 및/또는 셀이 시그널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기간을 포함한다.
단계 S102: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measurement) 및/또는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며, 여기서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UE가 머무르는(camp) 서빙 셀일 수 있고, 셀 운용 상태는 서빙 셀의 운용 상태 및/또는 이웃 셀의 운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 내의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은, 무선 자원 측정(RRM: Radio Resource Measurement),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Radio Link Monitoring), 및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UE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은 서빙 셀의 측정 및/또는 이웃 셀의 측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동기화는, 초기 동기화, 동기화 트래킹(tracking) 및/또는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UE에 의해 수행되는 동기화는 서빙 셀과의 동기화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만을 획득하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에 따라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만을 획득하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에 따라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과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모두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 내의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결정된 시간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UE에 명령할 수 있다. 측정 수행 시간이,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 수행 시간이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UE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 및/또는 동기화의 결과의 정확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의 결과의 정확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셀이 서비스를 갖지 않을 때에는 셀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셀에 대한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고, 셀로부터 다른 셀로의 신호 간섭이 감수될 수 있으며, 시스템 성능이 실현된다.
선택적으로, 단계 S101에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configure) 단계; 또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AM: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antenance) 엔티티(entity)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UE는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수행 및/또는 서빙 셀과의 동기화 수행을 하기만 하면 되는 경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직접 설정하거나,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할 수 있으며; UE가 또한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또한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해야 한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과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및 이웃 셀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 예컨대 X2 인터페이스, S1 인터페이스, 또는 에어(air)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운용 상태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또한,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되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먼저, 서빙 셀의 서비스 분주도(busyness)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그 후에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설정된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게로 송신할 수 잇으며; 이웃 셀은 수신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의 수신을 알리기 위해, 이웃 셀에게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설정 기간의 경과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과의 상호 작용 후에 결정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간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 모두에게 알려져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은 정보 교환을 수행함으로써 설정 기간을 결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설정 기간을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현 가능 방식으로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서빙 셀의 서비스 분주도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먼저 설정할 수 있고, 그 후에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설정된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이웃 셀이, 수신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과 이웃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대해 적응적인(adaptive) 설정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이웃 셀은, 이웃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설정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최초 설정된 지속 기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한다. 선택적으로, 이웃 셀에 의해 설정된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하고,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의 수신을 알리기 위해 이웃 셀에게 정보를 송신하며, 및/또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조절된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게 통지한다. 설정 기간의 경과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과의 상호 작용 후에 결정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간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 모두에게 알려져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은 정보 교환을 수행함으로써 설정 기간을 결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설정 기간을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여, 실현 가능 방식으로서,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구성하고, 구성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이웃 셀은,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의 수신을 알리기 위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설정 기간의 경과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과의 상호 작용 후에 결정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간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 모두에게 알려져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은 정보 교환을 수행함으로써 설정 기간을 결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설정 기간을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현 가능 방식으로서, 이웃 셀은 먼저, 이웃 셀의 서비스 분주도에 따라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그 후에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설정된 지속 기간을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 수신된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과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대한 적응적 설정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설정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이웃 셀의 다른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로 더 송신할 수 있고; 이웃 셀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초기 설정된 지속 기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한다. 선택적으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이웃 셀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초기 설정된 지속 기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하고,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의 수신을 알리기 위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정보를 송신하며, 및/또는 조절된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통지한다. 설정 기간의 경과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과의 상호 작용 후에 결정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간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 모두에게 알려져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은 정보 교환을 수행함으로써 설정 기간을 결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설정 기간을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UE가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때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며, 서빙 셀과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이하의 상관 관계를 충족해야 한다: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intra-frequency)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동일함; 및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inter-frequency)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름.
제1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이와 같이, 서빙 셀이 활성화 상태일 때, UE는, 역시나 활성화 상태인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이 비활성화 상태일 때,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 내의 UE는, 역시나 비활성화 상태인 서빙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 중 일부 또는 전체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이와 같이, 서빙 셀이 비활성화 상태일 때, UE는 비활성화 상태인 인터-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터-주파수 이웃 셀이 비활성화 상태일 때, 인터-주파수 이웃 셀 내의 UE는 활성화 상태인 서빙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결정된 시간에 따라 사용자 기기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르게 말하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는, 먼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사용자 기기에 지시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명백하게 또는 암시적으로,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UE에게 직접 송신할 수도 있고, 아니면,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에 대한 정보를 UE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즉, 셀이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 다르게 말하면 셀이 비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기간을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새로운 메시지에 추가하여 UE에게 그 시간을 지시하거나; 또는, 이미 존재하는 메시지를 설정하여 UE에게 시간을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로부터 랜덤하게(randomly) 선택된 시간 세그먼트(time segment)를 UE에게 송신하고, UE는 수신된 시간 세그먼트 내에서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UE에게 송신하고, UE는 네트워크 측과 미리 이루어진 합의에 따라, 수신된,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제외한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UE에게 전송하며,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로부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랜덤하게 선택된 시간 세그먼트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전술한 셀은 측정될 셀을 일컫는 것이며;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전술한 셀은 서빙 셀을 일컫는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방식이 구체적으로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UE에게 직접 송신함으로써, UE가 네트워크측과 미리 이룬 합의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진화된 버전(evolved version)의 UE에 적용된다. 다른 방식은, 결정된,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에 따라,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에 이용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고,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UE에게 송신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진화된 버전 또는 진화되지 않은 버전(non-evolved version)의 UE에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이 방식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첫 번째 방식: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UE에게 송신한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이 결정된 후에, 3GPP Release 12(R12)와 같은 진화된 버전에서의 UE에 대해,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UE에게로 송신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R12 등의 진화된 버전에서의 UE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가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때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만을 UE에 송신하거나,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만을 UE에게 송신하거나, 또는,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과,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모두 UE에게 송신할 수 있다. UE가 동기화를 수행해야 하는 때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만을 UE에 송신하거나,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만을 UE에게 송신하거나, 또는,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과,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모두 UE에게 송신할 수 있다.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는,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내에,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 수행 및/또는 동기화 수행을 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내에, UE가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UE는,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내에, 서빙 셀에 대해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UE는 또한,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내에, 지속 기간 동안 역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 내에, 지속 기간 동안 신호 송신을 수행하고 있는 인터-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인터-주파수 측정 구간에 따라, 지속 기간 동안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인터-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이웃 셀이 신호 송신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운용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UE가 이웃 셀에 대해 직접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서빙 셀과 이웃 셀의 운용 상태를 이미 미리 결정한 것이므로, 이들 둘의 운용 상태는, UE가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술한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에서, UE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또는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또는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UE가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또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UE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 간의 기설정된 대응 관계에 따라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할 수 있고; UE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와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 간의 대응 관계는, 제1 설정 기간 내에 서빙 셀과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 동일하다는 것일 수 있고,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와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 간의 대응 관계는, 제2 설정 기간 내에 서빙 셀과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서로 다르다는 것일 수 있다. 서빙 셀의 운용 상태와 이웃 셀의 운용 상태 간의 상관 관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되며,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UE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더 수신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UE에 송신한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R8, R9, R10 또는 R11 등의 낮은 버전의 UE에 대해서는, 셀의 서로 다른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결정된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가 UE에게로 송신될 수 있다. R8과 R9에서의 UE에 대해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RX cycle: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을 포함할 수 있고, R10과 R11에서의 UE에 대해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DRX 사이클에 더하여 제한적 측정 세트(Resource-Restricted Measurement Set)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두 가지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식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방식 1: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데에 이용되는 DRX 사이클을 포함하며, DRX 사이클은 UE의 활성 상태 시간(active-state time) 및 UE의 비활성 상태 시간(inactive-state time)을 포함하고, UE의 활성 상태 시간은 UE의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R8과 R9에서의 UE에 대해 DRX 사이클이 설정될 수 있다. UE는 DRX 사이클 내의 UE의 활성 상태 시간 내에 서빙 셀에 대한 측정 및/또는 서빙 셀과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DRX 사이클 내의 UE의 활성 상태 시간 내에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DRX 사이클이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UE의 활성 상태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내이며, UE의 비활성 상태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 내이거나, UE의 비활성 상태 시간은 또한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내일 수도 있다.
R10과 R11 버전에서의 UE에 대해서는, DRX 사이클을 이용하여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에 더하여, 아래와 같이, 측정은 또한,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식 2: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가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 내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구체적인 실현 중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설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내의 모든 서브프레임들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S201: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사용자 기기가 수신하며, 여기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지속 기간을 포함한다.
단계 S202: 사용자 기기가,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며, 여기서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현 중에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한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작업 실행에서의 UE 지원 방법에 대응되는, 작업 실행에서의 UE 지원 장치를 더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장치에 의한 문제 해결의 원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업 실행에서의 UE 지원 방법의 그것과 유사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장치의 실현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부분은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의 모식도이며, 이 장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고, 획득된 지속 기간을 결정 모듈(32)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31) -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획득 모듈(31)에 의해 획득된 지속 기간을 수신하고,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32) -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획득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획득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또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에 따라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획득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동일하고,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제1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제2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 모듈(32)이 결정한 후에,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33)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DRX 사이클을 포함하며, DRX 사이클은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 및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을 포함하고,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의 모식도이며, 이 장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지시 정보를 실행 모듈(42)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41) -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수신 모듈(41)에 의해 수신된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행 모듈(42)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및 장치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엔티티 장치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모식적 구조도이며, 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고,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며, 획득된 지속 기간을 메모리(52)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51) -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및
프로세서(51)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52)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1)는 구체적으로,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1)는 구체적으로,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또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에 따라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메모리(52)에 저장되어 있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게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전송기(53)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동일하고,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제1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제2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1)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한 후에,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지시 정보를 메모리(52)에게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전송기(53)는 메모리(52)에 저장되어 있는 지시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게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DRX 사이클을 포함하며, DRX 사이클은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 및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을 포함하고,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모식적 구조도이며, 이 사용자 기기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지시 정보를 프로세서(62)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신기(61) -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수신기(61)에 의해 수신된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62)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업 실행에서의 UE 지원 방법 및 장치를 더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며,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701: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semi-static enabled)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dynamic enabled-disabled state)를 포함하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한다.
단계 S702: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UE가 머무르는 서빙 셀일 수 있고, 셀 운용 상태는 서빙 셀의 운용 상태 및/또는 이웃 셀의 운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 내의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정확한 시간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UE에 명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측정과 동기화의 의미는 실시예 1에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재차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셀 운용 상태는, 순환적으로 교호하는(cyclically alternating) 두 가지 운용 상태로서, 준 정적 활성화 상태와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사이클은 상태기(state period)라고 일컬을 수 있으며, 상태기 내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은 고정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상태기가 60ms이고, 이전의 상태기 내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은 20ms이며, 현재의 상태기 내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은 30ms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기간은 또한 0ms로 설정될 수 있다.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셀은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고,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세트 서브프레임 또는 모든 서브프레임 상에서,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에 이용되는 참조 신호, 예를 들어 공통 기준 신호(CRS: Common Reference Signal)를 송신한다. 세트 서브프레임은,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거나, 동일한 서브프레임 구간으로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셀은, 동기화 채널(SCH: Synchronization Channel) 데이터, 물리 방송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데이터, 및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을, 활성화 상태에서 더 전송할 수 있다.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셀은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switch)할 수 있다. 셀이 서비스를 갖지 않을 때, 셀은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셀은 신호 송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신호 송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셀은, 설정된 패턴(set pattern)에 따라, 특정 신호, 예컨대 탐색 기준 신호(DRS: Discovery Reference Signal)를 더 송신하고, 다른 신호의 송신은 중단할 수 있다. 설정 신호(set signal)는, UE 또는 달든 셀이 설정 신호를 송신하는 상태의 셀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그러한 상태에서 다른 셀을 위한 무선 동기화 신호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된다.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두 가지 순환 교호적 운용 상태가 아니라도, 서비스로 인해 분주할 경우 셀은 일반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만 획득하고,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결정하거나; 또는, 셀의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만 획득하고,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셀의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결정하거나; 또는,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과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을 모두 획득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운용 상태의 획득된 지속 기간에 따라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측정을 수행할 시간이,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이거나 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UE는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명령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UE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 및/또는 동기화의 정확성이 보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셀이 서비스를 갖지 않는 때에 셀의 비활성화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셀에 대한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고, 셀로부터 다른 셀로의 신호 간섭을 줄일 수 있어서 시스템 성능이 실현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UE가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수행 및/또는 서빙 셀과의 동기화를 수행하기만 하면 되는 경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직접 설정하거나,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할 수 있고; UE가 또한,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또한,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해야 한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과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과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X2 인터페이스, S1 인터페이스, 또는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용 상태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또한,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먼저 서빙 셀의 서비스 분주도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고, 그 후에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설정된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게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웃 셀은,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고,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설정된 지속 기간을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의 수신을 알리기 위해 이웃 셀에게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설정 기간의 경과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과의 상호 작용 후에 결정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간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 모두에게 알려져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은 정보 교환을 수행함으로써 설정 기간을 결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설정 기간을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먼저 서빙 셀의 서비스 분주도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고, 그 후에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설정된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게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웃 셀이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과 이웃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대한 적응적인 설정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이웃 셀은, 이웃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설정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로 송신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최초 설정된 지속 기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한다. 선택적으로, 이웃 셀에 의해 설정된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최초 설정된 지속 기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하고,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의 수신을 알리기 위해 이웃 셀에게 정보를 송신, 및/또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조절된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게 통지한다. 설정 기간의 경과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과의 상호 작용 후에 결정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간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 모두에게 알려져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은 정보 교환을 수행함으로써 설정 기간을 결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설정 기간을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여,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서,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고,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설정된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이웃 셀은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의 수신을 알리기 위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설정 기간의 경과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과의 상호 작용 후에 결정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간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 모두에게 알려져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은 정보 교환을 수행함으로써 설정 기간을 결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설정 기간을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현 가능 방식으로서, 이웃 셀은 먼저 이웃 셀의 서비스 분주도에 따라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고, 그 후에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설정된 지속 기간을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로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과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대한 적응적 설정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설정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이웃 셀의 다른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로 더 송신할 수 있고; 이웃 셀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최초 설정된 지속 기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한다. 선택적으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이웃 셀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최초 설정된 지속 기간을 조절하고,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의 수신을 알리기 위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정보를 송신, 및/또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조절된 지속 기간을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게 통지한다. 설정 기간의 경과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이웃 셀과의 상호 작용 후에 결정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간은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 모두에게 알려져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이웃 셀은 정보 교환을 수행함으로써 설정 기간을 결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설정 기간을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UE가 이웃 셀을 측정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전술한 프로세스에 따라 알 수 있듯이, UE가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해야 할 때,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며, 서빙 셀과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이하의 상관 관계를 충족해야 한다: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동일함; 및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름.
제1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이와 같이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일 때, UE는, 역시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일 때,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 내의 UE는, 역시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서빙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이와 같이,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일 때, UE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인터-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터-주파수 이웃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일 때, 인터-주파수 이웃 셀 내의 UE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서빙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한 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결정된 시간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사용자 기기에 명령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르게 말하면,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방식이 구체적으로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UE에게 직접 송신함으로써, UE가 네트워크측과 미리 이룬 합의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진화된 버전(evolved version)의 UE에 적용된다. 다른 방식은, 결정된,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에 따라,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에 이용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고,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UE에게 송신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진화된 버전 또는 진화되지 않은 버전(non-evolved version)의 UE에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이 방식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첫 번째 방식: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UE에게 송신한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이 결정된 후에, 3GPP Release 12(R12)와 같은 진화된 버전에서의 UE에 대해,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UE에게로 송신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R12 등의 진화된 버전에서의 UE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가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때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측정될 셀이 준-정적 상태인 지속 기간만을 UE에 송신하거나,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지속 기간만을 UE에게 송신하거나, 또는, 측정될 셀이 준-정적 상태인 지속 기간과,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지속 기간을 모두 UE에게 송신할 수 있다. UE가 동기화를 수행해야 하는 때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서빙 셀이 준-정적 상태인 지속 기간만을 UE에 송신하거나,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지속 기간만을 UE에게 송신하거나, 또는, 서빙 셀이 준-정적 상태인 지속 기간 지속 기간과,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지속 기간을 모두 UE에게 송신할 수 있다.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UE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내에 측정 수행; 및/또는, UE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내에 동기화 수행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 방식에서, UE는 서빙 셀에 대한 측정 및/또는 서빙 셀과의 동기화를,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 또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수행할 수 있다. UE는 또한,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또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역시 준-정적 활성화 상태 또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인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서빙 셀의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준-정적 활성화 상태 또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인 인터-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거나, 서빙 셀의 정상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인터-주파수 측정 구간에 따라, 준-정적 활성화 상태 또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인 인터-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이웃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 또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셀의 운용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이웃 셀에 대해 직접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서빙 셀과 이웃 셀의 운용 상태를 이미 미리 결정한 것이므로, 이들 둘의 운용 상태는, UE가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술한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에서, UE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또는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또는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UE가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또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UE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 간의 기설정된 대응 관계에 따라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할 수 있고; UE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수신한 후에,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와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 간의 대응 관계는, 제1 설정 기간 내에 서빙 셀과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 동일하다는 것일 수 있고,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와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 간의 대응 관계는, 제2 설정 기간 내에 서빙 셀과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서로 다르다는 것일 수 있다. 서빙 셀의 운용 상태와 이웃 셀의 운용 상태 간의 상관 관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되며,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UE는,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더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에서, UE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셀에 의해 송신되는 설정 신호, 예컨대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에 따라 측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서빙 셀 및/또는 이웃 셀에 의해 송신되는 설정 신호에 따라 전술한 측정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서빙 셀에 의해 송신되는 전술한 신호에 따라 서빙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이웃 셀에 의해 송신되는 설정 신호에 따라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을 실행할 때에는 UE가 상술한 두 가지 방식을 결합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UE는,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일 때 서빙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거나,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서빙 셀에 의해 송신된 설정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UE는, 이웃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일 때 이웃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거나,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이웃 셀에 의해 송신된 설정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이웃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 측정 및/또는 동기화 수행을 위한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UE에게로 송신한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R8, R9, R10 또는 R11 등의 낮은 버전의 UE에 대해서는, 셀의 서로 다른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결정된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가 UE에게로 송신될 수 있다. R8과 R9에서의 UE에 대해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불연속 수신 사이클(DRX cycle: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을 포함할 수 있고, R10과 R11에서의 UE에 대해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DRX 사이클에 더하여 제한적 측정 세트(Resource-Restricted Measurement Set)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두 가지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식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방식 1: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데에 이용되는 DRX 사이클을 포함하며, DRX 사이클은 UE의 활성 상태 시간(active-state time) 및 UE의 비활성 상태 시간(inactive-state time)을 포함하고,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R8과 R9에서의 UE에 대해 DRX 사이클이 설정될 수 있다. UE는 DRX 사이클 내의 UE의 활성 상태 시간 내에 서빙 셀에 대한 측정 및/또는 서빙 셀과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DRX 사이클 내의 UE의 활성 상태 시간 내에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DRX 사이클이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UE의 활성 상태 시간은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이고, UE의 비활성 상태 시간은 서빙 셀의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이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는 DRX 사이클의 모식적 구성도로서, 수신된 DRX 사이클 내에 UE가 측정, 동기화, 및/또는 다른 작업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UE가 동기화 작업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동기화는 초기 동기화(initial synchronization) 및/또는 동기화 트래킹(synchronization tracking)을 포함할 수 있다. DRX 사이클 내의 UE의 활성 상태 시간 이전의 기간 동안 UE가 초기 동기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UE의 활성 상태 시간의 시작 타임이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의 시작 타임 이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초기 동기화 수행을 위한 시간의 구체적인 길이는 상이한 요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shortDRX-Cycle/longDRX-Cycle 및 drxStartOffset 또는 다른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DRX 사이클 내의 UE의 활성 상태 시간의 설정된 시작을 UE에게 통지할 수 있다. 셀은 초기 동기화의 지속 기간 내에 적어도 동기화 기준 신호, 예를 들면 CRS를 송신해야 하며; 또한 셀은, 초기 동기화의 지속 기간 내에 데이터 송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활성 상태의 진입 후에, UE는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동기화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UE는 서빙 셀의 측정을 실행한다.
여기서 서빙 셀의 측정은 RRM 측정, RLM 측정, 및 CSI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UE는 구체적으로 DRX 사이클 내의 UE의 활성 상태 시간 내에 서빙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한다.
UE는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측정을 실행한다.
여기서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측정은 RRM 측정 및 CSI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UE는, DRX 사이클 내의 활성 상태 시간 내에, 즉,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역시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일 때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 역시 준-정적 활성화 상태일 것을 요구한다. 구체적인 실현 중에, 서로 다른 인트라-주파수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간의 중첩이 OAM 엔티티에 의한 구성의 방식 또는 셀 간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의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은 UE에 의해 실행되는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측정의 모식도이다.
UE는 인터-이웃 셀의 측정을 실행한다.
여기서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측정은 RRM 측정과 CSI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측정될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인 한편, UE의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외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가 서로 순환적으로 교호하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될 시에, UE는 DRX 사이클 내의 UE의 비활성 상태 시간 내에, 즉, 서빙 셀의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인터-주파수 이웃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UE의 서빙 셀이 정상적 활성화 상태이고, 측정될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준-정적 활성화 상태와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가 서로 순환적으로 교호하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될 시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UE의 인터-주파수 측정 구간이, 측정될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속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UE의 서빙 셀과 인터-주파수 이웃 셀이 모두, 준-정적 활성화 상태와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가 서로 순환적으로 교호하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될 때에,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측정은 두 가지 방식으로 실현된다. 한 가지 방식은 서빙 셀과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서로 다른 운용 상태가 서로 보완하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일 때에 인터-주파수 이웃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이거나, 또는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일 때에 인터-주파수 이웃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이다. 이와 같이 UE는, DRX 사이클 내의 비활성 상태 시간 내에, 즉, 서빙 셀의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인터-주파수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방식은 서빙 셀과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서로 중첩되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내에, 인터-주파수 이웃 셀은, 얼마 동안은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이고, 얼마 동안은 준-정적 활성화 상태이며;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일 때, 인터-주파수 이웃 셀은, 얼마 동안은 준-정적 활성화 상태이고, 얼마 동안은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이다. 이 경우, UE가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측정을 실행해야 한다면, UE가 활성 상태일 때 시그널링이 UE에게로 송신될 수 있으며, 이로써 UE가 지속적인 수신 상태에 있게 되고; 인터-주파수 측정 구간이 UE를 위해 설정됨으로써 인터-주파수 측정 구간이 측정될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속하게 되고, UE가 인터-주파수 측정을 완료한 후에 시그널링이 송신됨으로써 UE는 DRX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렇지 않으면, UE가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측정을 실행해야 할 때에, UE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인 이웃 셀로 핸드오버(hand over), 예를 들어 UE는 마이크로 셀에서 매크로 셀로 핸드오버되며, 이에 따라 UE는 핸드오부 이후의 셀 내에서 타겟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측정을 완료한다.
상술한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측정 프로세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해 있는 인터-주파수 셀들은 서로의 상태를 알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실현 중에, 셀은 OAM 엔티티에 의한 설정 방식 또는 시그널링 상호 작용의 방식에 의해 서로의 상태를 알게될 수 있다.
UE는 데이터 전송 작업을 실행한다.
전술한 측정 및 동기화 외에, UE는 또한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해야 한다. UE는 구체적으로, DRX 사이클 내의 UE의 활성 상태 시간 이내에, 즉,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실현 중에, onDurationTimer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onDurationTimer 상의 타임은 UE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동안의 시간 이상이고,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 진입하기 전에도 UE가 여전히 데이터 전송을 완료하지 못했다면, DRX Command MAC 컨트롤 엘리먼트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UE는 데이터 전송을 유보하고 비활성 상태에 진입한다.
R10 및 R11 버전의 UE에 대해서는, DRX 사이클을 이용하여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에 더하여, 아래와 같이,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설정함으로써 측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방식 2: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사용자 기기에 측정을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 내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에 있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일 때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속한다.
구체적인 실현 중에,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설정할 수 있고, 이로써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 내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측정될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이내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시간 내에 속한다. 확실하게는,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와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가 서로 순환적으로 교호하는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지 않은 경우, 즉, 측정될 셀이 정상적 활성화 상태인 경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 내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측정될 셀의 정상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일 수 있다. 여기서의 측정은 RRM 측정, RLM 측정, 및 CSI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며,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301: 사용자 기기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한다.
단계 S1302: 사용자 기기가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현 중에,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재차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UE에 의한 작업 실행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설명을 위한 구체적인 실현 방식을 나열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며, 이 실시예는 R12와 같은 진화된 버전의 UE에 대해 특화되었고,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401: 기지국이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한다.
여기서, UE가 서빙 셀에 대한 측정 및/또는 서빙 셀과의 동기화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은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하기만 하면 되고; UE가 이웃 셀에 대해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은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과, 측정될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으 지속 기간을 결정해야 한다. 구체적인 실현 중에, 서빙 셀의 기지국은, 이웃 기지국과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을 통해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할 수도 있고, 또는,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와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두 가지 순환 교호적 운용 상태를 포함할 수 있고, 정상적 활성화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402: 기지국이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UE에게 송신하며, 이로써 UE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실현 중에, R12와 같은 진화된 버전의 UE는, 셀 운용 상태의 획득된 지속 기간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구체적인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시간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UE는 서빙 셀에 대한 측정 및/또는 서빙 셀과의 동기화를,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 또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수행할 수 있고,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 또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 역시 준-정적 활성화 상태 또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인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UE는, 서빙 셀의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으 지속 기간 내에, 준-정적 활성화 상태 또는 정상적 활성화 상태인 인터-주파수 이웃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거나,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인터-주파수 측정 구간에 따라 서빙 셀의 정상적 활성화 기간의 지속 기간 내에 인터 주파수 이웃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며, 이 실시예는 R8 또는 R9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버전의 UE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R10, R11, 또는 R12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버전의 UE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501: 기지국이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한다.
단계 S1502: 기지국이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DRX 사이클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DRX 사이클은 UE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데에 이용되고, DRX 사이클은 UE의 활성 상태 시간과 UE의 비활성 상태 시간을 포함하며, UE의 활성 상태 시간은 UE의 서빙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이다.
단계 S1503: 기지국이 설정된 DRX 사이클을 UE에게 송신함으로써, UE는 DRX 사이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실현 중에, UE는, 서빙 셀에 대한 측정 및/또는 서빙 셀과의 동기화를 DRX 사이클 내의 UE의 활성 상태 시간 내에 수행하거나, 또는 UE의 활성 상태 시간 내에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고, DRX 사이클 내의 UE의 비활성상태 시간 내에 인터-주파수 이웃 셀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UE가 구체적으로 측정 및/또는 동기화 작업을 실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 1에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재차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겠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며, 이 실시예는 R10, R11, 또는 R12 버전의 UE에 적용할 수 있고,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601: 기지국이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결정한다.
단계 S1602: 기지국이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구성하고, 여기서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 내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측정될 셀의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이내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통지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의 시간 이내이다.
단계 S1603: 기지국이 설정된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UE에게로 송신하며, 이로써 UE는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에 따라 측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실현 프로세스에서, R10 또는 R11 버전의 UE는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에 따라 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기 동기화 작업 또는 동기화 트래킹 작업이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 4에 따른 방법이 더 이용되어야 한다.
동일한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작업 실행에서의 UE 지원 방법에 대응되는, 작업 실행에서의 UE 지원 장치를 더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장치에 의한 문제 해결의 원리는, 전술한 작업 실행에서의 UE 지원 방법의 그것과 유사하며, 이하 장치의 실현에 대해서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의 모식도이며, 이 장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고, 획득된 지속 기간을 결정 모듈(172)에게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171) -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함 - ; 및
획득 모듈(171)에 의해 획득된 지속 기간을 수신하고,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172) -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획득 모듈(171)은 구체적으로,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획득 모듈(171)은 구체적으로,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또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에 따라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획득 모듈(171)은 구체적으로,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동일하고,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제1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제2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 모듈(172)이 결정한 후에,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173)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을 포함하며, DRX 사이클은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 및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을 포함하고,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의 모식도이며, 이 장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지시 정보를 실행 모듈(182)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181) -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함 - ; 및
수신 모듈(181)에 의해 수신된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행 모듈(182)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모식적 구조도이며, 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고,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며, 결정된 시간을 메모리(52)에게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91)-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하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 및
프로세서(191)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92)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91)는 구체적으로,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OAM 엔티티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91)는 구체적으로,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또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에 따라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메모리(192)에 저장되어 있는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이웃 셀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전송기(193)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동일하고,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제1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제2 설정 기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91)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한 후에,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지시 정보를 메모리(192)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으며; 전송기(193)는 메모리(192)에 저장되어 있는 지시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DRX 사이클을 포함하며, DRX 사이클은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 및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을 포함하고,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모식적 구조도이며, 이 사용자 기기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시 정보를 프로세서(202)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신기(201) -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함 - ; 및
수신기(201)에 의해 수신된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202)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및/또는
지시 정보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데에 이용된 것에 불과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방법과 핵심적인 사상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Claims (44)

  1.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상기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가,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configure) 단계;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AM: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antenance) 엔티티(entity)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가,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상기 이웃 셀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상기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intra-frequency)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동일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inter-frequency)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상기 제2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DRX 사이클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active-state time)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inactive-state time)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restrictive)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상기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10.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12.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지속 기간을 결정 모듈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지속 기간을 수신하고,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상기 결정 모듈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상기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AM: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antenance) 엔티티(entity)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또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에 따라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상기 이웃 셀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상기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동일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상기 제2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상기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상기 결정 모듈이 결정한 후에,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DRX 사이클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restrictive)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상기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21.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를 실행 모듈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의 지속 기간을 포함함 - ;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상기 실행 모듈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23.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semi-static enabled)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dynamic enabled-disabled)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상기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함 - ;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상기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가,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configure) 단계;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OAM: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antenance) 엔티티(entity)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가,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상기 이웃 셀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상기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intra-frequency)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동일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inter-frequency)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상기 제2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상기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DRX 사이클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active-state time)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inactive-state time)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restrictive)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상기 측정될 셀이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32.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가,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상기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함 - ; 및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34.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지속 기간을 결정 모듈에게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상기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상기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함 - ; 및
    상기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지속 기간을 수신하고,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는 상기 결정 모듈 -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상기 사용자 기기가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antenance) 엔티티에 의해 설정되는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의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또는
    이웃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수신된 지속 기간에 따라,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과정
    에 따라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설정한 후에, 상기 서빙 셀의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상기 이웃 셀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 및 상기 이웃 셀의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1 설정 기간 내의 인트라-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가 동일하고,
    상기 서빙 셀과 제2 설정 기간 내의 인터-주파수 이웃 셀의 운용 상태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이고,
    상기 제2 설정 기간은, 상기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와, 상기 서빙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인 기간의 일부 또는 전체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39. 제34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상기 결정 모듈이 결정한 후에,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DRX 사이클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비활성 상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활성 상태 시간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서빙 셀이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인,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을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는 제한적(restrictive)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는 측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기기에 명령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적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상기 측정될 셀이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에 있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43.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를 실행 모듈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상기 셀 운용 상태는 준-정적 활성화 상태 및/또는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준-정적 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셀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의 지속 기간 내에는 상기 셀이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를 전환함 - ;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지시 정보에 따라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 내에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상기 실행 모듈 - 측정을 수행할 시간은, 측정될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 및/또는 상기 측정될 셀이 동적 활성화-비활성화 상태에서 신호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이고,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은, 서빙 셀이 준-정적 활성화 상태인 동안의 지속 기간의 범위 내임 -
    을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셀 운용 상태의 지속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측정 및/또는 동기화를 수행할 시간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실행에서의 사용자 기기 지원 장치.
KR1020167011209A 2013-09-27 2013-09-27 작업 실행을 위한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1797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84476 WO2015042877A1 (zh) 2013-09-27 2013-09-27 一种支持用户设备执行任务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138A true KR20160062138A (ko) 2016-06-01
KR101797094B1 KR101797094B1 (ko) 2017-12-12

Family

ID=5274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209A KR101797094B1 (ko) 2013-09-27 2013-09-27 작업 실행을 위한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54586B2 (ko)
EP (1) EP3043588B1 (ko)
KR (1) KR101797094B1 (ko)
CN (1) CN104995944B (ko)
WO (1) WO2015042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6244B2 (en) * 2012-07-06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DD UL-DL configuration applicable for radio frames
KR101797094B1 (ko) * 2013-09-27 2017-12-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작업 실행을 위한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및 장치
ES2703922T3 (es) * 2014-01-31 2019-03-13 Ericsson Telefon Ab L M Mediciones de asistencia en pequeñas células con un esquema de encendido/apagado
US9831999B2 (en) * 2014-05-08 2017-11-28 Nvidia Corporation Enhanced discontinu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s
WO2018126633A1 (en) * 2017-01-05 2018-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discontinuous reception
CN110099394B (zh) * 2018-01-29 2022-07-2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异频测量及异系统测量的实现方法、装置及用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8313B2 (en) * 2001-02-23 2003-09-09 Intel Corporation Self-timed activation logic for memory
US8351922B2 (en) 2008-09-22 2013-01-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TE radio link failure determination in DRX mode
CN103139832B (zh) * 2008-10-31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性测量方法及用户设备、演进网络基站
CN101742618B (zh) * 2008-11-14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非连续发射模式的方法、基站
CN102123447B (zh) * 2010-01-08 2015-1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不连续接收方法及系统
WO2011085238A2 (en) * 2010-01-08 2011-07-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base stations and remote access points
EP3709719A1 (en) * 2010-02-12 2020-09-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EP2375828A1 (en) * 2010-04-06 2011-10-12 Alcatel Lucent Network node control for facilitating relocation
EP2403186B1 (en) * 2010-07-02 2017-12-27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CN102595478A (zh) * 2011-01-14 2012-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节能信息处理方法、网络侧设备和用户设备
KR101763750B1 (ko) * 2011-06-17 2017-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협력 통신을 위한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544219A1 (en) * 2011-08-12 2019-09-2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Flexible bandwidth operation in wireless systems
US9356757B2 (en) 2011-12-30 2016-05-31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scanning for available base stations using reduced bandwidth
JP6099329B2 (ja) * 2012-08-02 2017-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基地局、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3947244B (zh) * 2012-11-22 2018-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新载波类型小区的测量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4322096B (zh) * 2013-04-12 2018-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测量方法、基站和用户设备
KR101797094B1 (ko) * 2013-09-27 2017-12-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작업 실행을 위한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95944B (zh) 2020-04-28
WO2015042877A1 (zh) 2015-04-02
KR101797094B1 (ko) 2017-12-12
CN104995944A (zh) 2015-10-21
US20160212650A1 (en) 2016-07-21
EP3043588B1 (en) 2018-04-04
EP3043588A1 (en) 2016-07-13
EP3043588A4 (en) 2016-08-10
US9854586B2 (en)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7983B2 (ja) オン/オフ方式によるスモールセルにおける測定の支援
US20240155446A1 (en)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234234B2 (en) Clustered periodic gaps for measurements in a heterogeneous network
JP7038816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ユーザ機器、ネットワークノードおよび方法
US11864008B2 (en) User equipment and network node for configuring measurements of cells and bea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41951B2 (en) Configuration measurement time slots for mobile terminals in a TDD system
KR102072556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기 관리 방법
KR101797094B1 (ko) 작업 실행을 위한 사용자 기기 지원 방법 및 장치
TW201935869A (zh) 通道狀態資訊參考訊號之測量定時配置方法及使用者設備
EP3393170B1 (en)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170040329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측정 향상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CN110521157A (zh) 一种辅小区配置方法、基站及终端设备
JP2020506580A (ja) マルチキャリア動作のためのヌメロロジーコンビネーションセット
WO2014023254A1 (zh) 切换或承载分离的判决及测量上报方法和设备
EP2943010A1 (en) Approach detection and measurement method for inter-frequency neighbour cells,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user equipment
EP3104647B1 (en) Information reporting and receiving method, ue and network device
WO2022209906A1 (ja)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