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17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176A
KR20160061176A KR1020140163753A KR20140163753A KR20160061176A KR 20160061176 A KR20160061176 A KR 20160061176A KR 1020140163753 A KR1020140163753 A KR 1020140163753A KR 20140163753 A KR20140163753 A KR 20140163753A KR 20160061176 A KR20160061176 A KR 20160061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signal
user
uni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860B1 (ko
Inventor
허승현
민선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8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음성인식 모드에서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 음성 신호 및 커서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커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 신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 등으로부터 전송된 화상을 CRT, PDP,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통적인 아날로그 TV에서 고화질의 영상 및 고음질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DTV(Digital TV)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IPTV(Internet Protocol TV) 등으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지털 방식의 방송 수신 기능 이외에도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의 수신 기능, 양방향 통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 환경 또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 서버의 기능까지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IPTV는 원하는 방송을 골라서 보거나 편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TV와 구별된다. 즉, 인터넷을 통하여 기존의 TV와 마찬가지로 방송국에서 방영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 없이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IPTV는 다양한 장점을 보유한다. 이러한 장점들 때문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IPTV가 더욱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래의 단순한 컨텐츠 디스플레이 기능에서 벗어나, 더욱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인식과 동시에 리모컨 신호를 인식함으로써 직관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음성인식 모드에서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 음성 신호 및 커서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커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 신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음성인식 모드에서, 사용자 음성 신호 및 커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영역,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쿼리 영역, 및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리스트 영역을 디스플레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커서가 위치한 하나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시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커서가 위치한 하나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영역 또는 리스트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커서가 위치한 하나의 컨텐츠를 컨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커서가 위치한 하나의 컨텐츠를 컨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커서가 위치한 하나의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커서가 위치한 하나의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리모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중 일부를 리모컨를 통한 드래그 동작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선택된 텍스트를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대체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컨텐츠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커서로써 선택하고,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하여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텍스트 이미지이고, 제어부는 텍스트 이미지가 변환된 텍스트에 대하여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오브젝트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커서가 위치한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기 설정된 시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 측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하여 화면 전체를 커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음성인식 모드에서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및 커서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커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성인식 모드에서 사용자 음성뿐만 아니라 리모컨 신호에 따른 동작이 실행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에 관한 블럭도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블럭도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입력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양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입력부에 관한 블럭도의 일 예,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의 일 예,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양한 예,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의 일 예,
도 18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양한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아날로그 TV, DTV, IPTV, Smart TV, 3D TV, 프로젝션 TV, 및 그 외의 다양한 모니터 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TV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국(10), 네트워크 서버(20) 또는 외부 장치(3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이 TV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셋톱박스(settop box; STB), IPTV(Internet Protocol TV),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기(100)는 방송국(10)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처리한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네트워크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0)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0)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다양한 웹 서비스 기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30)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 예로 외부 장치(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 장치(30)는 카메라,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방송국(10), 네트워크 서버(20), 또는 외부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국(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국(10), 네트워크 서버(20) 및 외부 장치(30)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직접 재생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이를 전달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50)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송국(10)에 포함된 방송 송신 장치(50)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50)는 방송 컨텐츠 저장부(51), GUI 정보 생성부(52), 방송 데이터 변환부(53), 전송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컨텐츠 저장부(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방송 컨텐츠를 저장한다. 방송 컨텐츠 저장부(51)는 외부에서 생성된 방송 컨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거나, 전송할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방송 컨텐츠는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비디오 방송, 오디오 방송, 데이터 방송으로 호칭한다. 방송 컨텐츠를 다르게 표현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호칭할 수 있다.
GUI 정보 생성부(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GUI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GUI 정보는 이미지 정보, 색상 정보, 메뉴 정보, 텍스트 정보, 화면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는 GUI에 이용될 각종 이미지에 관한 정보이다. 이미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플래시,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 정보는 GUI에 사용될 각종 색상, 명도, 채도 등을 포함하는 영상 특성에 관한 정보이다. 메뉴 정보는 GUI에 표시될 메뉴의 종류 또는 구성에 관한 정보이다. 텍스트 정보는 GUI에 이용될 텍스트의 색상, 폰트, 크기 등에 관한 정보이다. 화면구성 정보는 GUI에 이용될 이미지, 메뉴, 텍스트의 구성에 관한 정보이다.
GUI 정보 생성부(52)에 저장된 GUI 정보는 방송국(10)의 고유한 GU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UI 정보는 방송국(10)을 대표하는 또는 방송국(10)이 제공하는 특정 채널을 대표하는 로고(logo)를 포함할 수 있다. 로고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UI 정보는 방송국(10)에서 생성되는 특정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고유한 GU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GUI 정보는 그래픽 요소 및 상기 오디오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UI 정보는 그래픽 요소 및 오디오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장소의 경로를 지시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국(10)이 운영하는 웹 서버(web server)에 그래픽 요소 및 오디오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어 있고, GUI 정보 생성부(52)에 저장된 GUI 정보는 그래픽 요소 또는 오디오 요소가 웹 서버에 저장된 경로를 지시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위치 정보를 포함한 GUI 정보를 수신한 경우,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그래픽 요소 또는 오디오 요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방송 데이터 변환부(53)는 방송 컨텐츠 저장부(51)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와 GUI 정보 생성부(52)가 출력하는 GUI 정보를 전송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원칙이나 방송 규격에 따라, 생성된 방송 신호를 패킷화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전송부(54)는 방송 데이터 변환부(53)가 생성한 방송 신호를 전송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1)와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71)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1)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이라고 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영상 표시 및 음성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70)는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2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60) 및 명령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70)와 디스플레이부(171)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구동부(170)와 디스플레이부(171)는 별개로 모듈화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출력부(172), 사운드를 센싱(Sensing)하기 위한 사운드 센싱부(173) 및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센싱하기 위한 모션 센싱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수신부(110)는 튜너(111), 복조부(11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튜너(111)와 복조부(112)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구비하면서 튜너(111)와 복조부(112)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6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복조부(112)는 튜너(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1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11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2)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12)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11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2)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6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71)에 영상을 출력하고, 사운드 출력부(172)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에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저장부(120)가 제어부(160)와 별도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저장부(120)는 제어부(16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명령 입력부(150)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150)는 유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유선 입력부(151) 및 무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무선 입력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150)는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음량 조절, 화면상에서 커서(Cursor)의 이동, 메뉴(Menu) 선택 등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선 입력부(200)는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명령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신호를 명령 입력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유선 입력부(151)를 통해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된 명령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어부(160)에 전달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무선 입력부(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명령 입력부(150)의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 키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튜너(111) 또는 복조부(112)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1)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사운드 출력부(172)로 음성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튜너(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1)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 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71) 또는 사운드 출력부(172)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71) 또는 사운드 출력부(17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7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71)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71)를 통하여 출력하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71)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플레이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1)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1)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71)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운드 출력부(172)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172)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운드 센싱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운드 센싱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전화벨 소리, 초인종 소리, 물 소리, 사용자의 목소리 등의 다양한 사운드를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운드 센싱부(173)는 음성 센서 혹은 마이크(Microphone)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싱부(174)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션 센싱부(174)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60)로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모션 센싱부(174)는 카메라(Camera) 등의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60)에 입력될 수 있다.
또는 모션 센싱부(174)는 센서부와 촬영부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모션 센싱부(174)는 사용자의 모션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안면(Face)의 형태,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 등의 정보를 센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무선 입력부(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입력부(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입력부(2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무선 입력부(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11)와 복조부(11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된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6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6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7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무선 입력부(2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1)에 무선 입력부(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1)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 경우 포인터(201)는 커서(Cursor)일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 입력부(200)를 상하, 좌우(도 4(b)), 앞뒤(도 4(c))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1)에 표시된 포인터(201)는 무선 입력부(200)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입력부(200)는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1)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b)는 사용자가 무선 입력부(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1)에 표시된 포인터(201)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무선 입력부(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무선 입력부(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6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무선 입력부(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1)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c)는 무선 입력부(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 입력부(200)를 디스플레이부(171)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포인터(2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71)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Zoom in)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무선 입력부(200)를 디스플레이부(171)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71)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Zoom out)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입력부(200)가 디스플레이부(171)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무선 입력부(200)가 디스플레이부(171)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입력부(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무선 입력부(200)가 디스플레이부(171)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무선 입력부(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선 입력부(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1)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1)의 이동 속도나 이동 방향은 무선 입력부(200)의 이동 속도나 이동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201)는 무선 입력부(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71)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201)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1)가 디스플레이부(171)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무선 입력부(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입력부(200)는 무선 통신부(230), 사용자 입력부(270), 센서부(250), 출력부(240), 전원 공급부(210), 저장부(220), 제어부(260), 마이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60)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입력부(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경유하여 제어부(16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3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입력부(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3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입력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60)로 무선 입력부(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31)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입력부(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6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3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입력부(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32)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6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7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70)를 조작하여 무선 입력부(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7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무선 입력부(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7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무선 입력부(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70)는 스크롤 키,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50)는 자이로 센서(251) 또는 가속도 센서(252)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51)는 무선 입력부(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이로 센서(251)는 무선 입력부(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52)는 무선 입력부(200)의 이동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71)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7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6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4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7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7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42),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43),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44)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10)는 무선 입력부(2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10)는 무선 입력부(200)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210)는 무선 입력부(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무선 입력부(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약 무선 입력부(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3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무선 입력부(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입력부(200)의 제어부(260)는 무선 입력부(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마이크(280)는 무선 입력부(200)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입력하여 이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는 제어부(260)로 전송되며, 제어부(260)는 이를 RF 모듈(23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무선 입력부(200)의 제어에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 입력부(270)의 기 설정된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50)에서 센싱한 무선 입력부(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기에 앞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의 일 예이다.
도 6(a)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성인식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리모컨(31) 상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31)에는 음성인식 버튼(32)이 형성되며, 음성인식 버튼(32)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성인식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음성인식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사용자는 발화를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음성인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는 검색 창(34)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검색 창(34)에는 사용자 음성이 텍스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a)를 참조하면, 커서(35) 또는 포인터는 디스플레이부(33)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된다. 이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가 음성인식 모드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음성에 따른 동작만을 수행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음성에 의해서 조작이 이루어지며, 리모컨(31) 신호 중 음성인식 버튼(32)에 대응되는 신호에 의해서만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커서(35) 또는 포인터 등에 의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리모컨(31)상에 형성된 음성인식 버튼(32)을 한번 더 선택하여 음성인식 모드를 해제하여야 한다. 즉 도 6(b)을 참조하면, 음성인식 모드에서 사용자는 리모컨(31) 상에 형성된 음성인식 버튼(32)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성인식 모드가 해제되며, 디스플레이부(33)에는 커서(35)가 디스플레이된다. 음성인식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하나를 커서(35)로써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음성인식 모드가 설정되면 커서(35)는 사라지고 사용자 음성만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음성인식 모드가 해제되어야만 화면상에 커서(3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음성인식 모드에서도 커서(35)에 따른 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용이하고 빠른 사용자 조작이 수행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음성인식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 신호 및 커서 신호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S710). 사용자 음성 신호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다. 커서 신호는 리모컨(200)의 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71)상의 커서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 신호는 리모컨(2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항상 음성인식 모드로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 신호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센싱하기 위한 사운드 센싱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운드 센싱부(173)를 통해 사용자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 신호를 센싱하면 음성인식 모드를 실행하여, 그 이후의 사용자 음성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TV”라고 발화하면 제어부(160)는 음성인식 모드를 실행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TV 볼륨 높여”라고 발화하면, 제어부(160)는 볼륨을 증가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리모컨(200) 상에 형성된 음성인식 버튼(미도시)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인식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컨(200)의 제어부(260)는 리모컨(200)에 내장된 마이크(280)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6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RF 모듈(231)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200)상에 형성된 음성인식 버튼(미도시)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볼륨 높여”라고 발화하면, 제어부(260)는 이를 음성 신호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하여 볼륨을 증가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리모컨(200) 상에 형성된 음성인식 버튼(미도시)이 한번 더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인식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커서 신호
이하에서는 리모컨(200)상에 형성된 음성인식 버튼(미도시)이 선택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사용자 음성 신호, 커서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인식 모드에서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부(17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720).
구체적으로 음성인식 모드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발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쿼리(query)를 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AA”에 대한 검색을 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AAA” 또는 “AAA를 검색해줘”라고 발화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60)는 사용자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텍스트는 디스플레이부(171)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은 공지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음성인식 모드에서 제어부(160)는 커서 신호를 비롯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도중이나 사용자 음성 신호가 텍스트로 변환되는 도중에도, 제어부(160)는 수신된 커서 신호에 대응하여 커서(201)를 디스플레이부(171)상의 일 지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화면을 전환하거나 아이템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서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730).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인식 모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음성 신호가 변환된 텍스트와 커서 신호를 조합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검색해줘”라고 발화한 상태이며, 커서(201)는 특정 아이템을 선택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60)는 “검색해줘”에 대응하는 명령을 리모컨(200)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커서(201)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이 “AAA”라면, 제어부(160)는 “AAA”에 대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인식 모드에서 사용자 음성 신호뿐만 아니라 리모컨 이동에 따른 커서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음성 신호와 커서 이동에 따른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므로, 음성인식 모드에서 구현되는 기능이 많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예시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양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음성인식 모드에서의 화면 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1)에는 쿼리 영역(181), 리스트 영역(182), 컨텐츠 영역(184)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텐츠 영역(184)에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영역(184)에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기기(30)로부터 수신한 정지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음성인식 모드가 아닌 경우 또는 음성인식 모드에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71)에는 컨텐츠 영역(184)만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음성인식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리모컨(200)으로부터 사용자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6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이를 쿼리 영역(18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쿼리 영역(181)에는 검색 또는 실행의 대상이 되는 텍스트 즉 쿼리가 디스플레이되며, 쿼리 영역(181)은 검색 창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쿼리를 검색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검색 서버(20)는 수신된 쿼리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검색 서버(20)로부터 수신된 검색 결과를 리스트 영역(18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리스트 영역(182)에 디스플레이된 검색 결과인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를 실행하여 컨텐츠 영역(184)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1)의 일부 영역에만 컨텐츠 영역(184)이 형성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1)의 전체 영역에 컨텐츠 영역(184)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리스트 영역(182)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커서(201)가 위치한 하나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시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리스트 영역(182)에는 쿼리에 따른 검색 결과인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200)을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20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커서(201)가 위치한 컨텐츠에 대해 선택되지 않은 다른 컨텐츠와 대비되는 색으로 표시하거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휘도를 증가시키는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리스트 영역(182)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커서(201)가 위치한 하나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영역(184) 또는 리스트 영역(182) 중 어느 하나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리스트 영역(182)에는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리모컨(200)을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20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커서(201)가 위치한 컨텐츠를 자동으로 실행하여 컨텐츠 영역(184)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영역(184)의 일 측에는 방송 또는 프로그램의 로고(192)나 명칭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201)가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실행해”라고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201)가 위치한 컨텐츠를 실행하여 컨텐츠 영역(184)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201)가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리모컨(200) 상에 형성된 실행 버튼 (미도시)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선택된 실행 버튼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201)가 위치한 컨텐츠를 실행하여 컨텐츠 영역(184)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리모컨(200)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쿼리 영역(181)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를 수정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쿼리 영역(181)에는 발화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AAA”가 아닌 “AAB”에 대한 검색을 하고자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서(201)를 수정하고자 하는 텍스트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201)가 위치한 텍스트의 하단에 밑줄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201)가 위치한 텍스트의 전체에 대하여 다각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커서(201)가 위치한 텍스트에 대해 선택되지 않은 다른 텍스트와 대비되는 색으로 표시하거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휘도를 증가시키는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정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다른 텍스트와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중 일부를 리모컨(200)을 통한 드래그 동작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세 개의 문자 중 두 번째 및 세 번째 문자를 수정하고자 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두 번째 문자에 커서(201)를 위치시킨 후 드래그를 하여 세 번째 문자까지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컨(200) 상에는 터치 패드(미도시) 또는 클릭 버튼(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두 번째 문자에 커서(201)를 위치시킨 후 터치 패드(미도시)를 터치하거나 클릭 버튼(미도시)을 누를 수 있다. 이 후 터치 패드(미도시)에 대한 터치 또는 클릭 버튼(미도시)에 대한 누름 동작을 유지하면서 세 번째 문자까지 커서(2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커서(201)가 세 번째 문자까지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는 터치 패드(미도시)에 대한 터치 또는 클릭 버튼(미도시)에 대한 누름 동작을 해제함으로써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자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0(a) 내지 도 10(c)와 같은 방식에 의해 수정할 문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새로운 문자 또는 텍스트 등에 대응되는 음성을 발화함으로써 쿼리를 수정 또는 대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정 또는 추가할 문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새로운 문자 또는 텍스트 등을 리모컨(200)에 형성된 터치 패드(미도시) 또는 문자 버튼(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입력함으로써 쿼리를 수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쿼리를 “ABC”로 수정했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또는 대체된 쿼리인 “ABC”에 따른 검색 결과가 리스트 영역(18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중 임의의 위치에 커서(201)를 위치함으로써 문자 또는 텍스트 등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에 문자 또는 텍스트를 추가하고자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마지막 문자의 우측에 커서(20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문자 또는 텍스트 등에 대응되는 음성을 발화하거나 또는 리모컨(200)에 형성된 터치 패드(미도시) 또는 문자 버튼(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문자 또는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쿼리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되었던 쿼리에 “MUSIC”을 추가했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쿼리인 “ABC MUSIC”이 쿼리 영역(181)에 디스플레이되며, 그에 따른 검색 결과가 리스트 영역(18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10(e)를 참조하면,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쿼리 영역(181)의 일 측에는 재시도 버튼(183)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쿼리 영역(181)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에 대한 검색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재시도 버튼(183)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쿼리 영역(181)에 디스플레이되었던 텍스트를 삭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음성을 발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도 12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컨텐츠 상에 커서(20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리모컨(200)에 형성된 실행 버튼(미도시)을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가 실행되어 컨텐츠 영역(184)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리스트 영역(182)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201)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커서(201)가 위치한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리스트 영역(182)에 포함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보고자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 상에 커서(20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정보” 또는 “정보를 보여줘”라고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인 “정보” 또는 “정보를 보여줘”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를 커서(201)가 위치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 출력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리모컨(200) 상에 형성된 정보 버튼(미도시)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선택된 정보 버튼(미도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커서(201)가 위치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 출력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커서(201)가 위치하였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리스트 영역(182)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201)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커서(201)가 위치한 하나의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리스트 영역(182)에 포함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자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 상에 커서(20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선택” 또는 “실행”이라고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인 “선택” 또는 “실행”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를 커서(201)가 위치한 컨텐츠에 대한 실행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리모컨(200) 상에 형성된 선택 버튼(미도시) 또는 실행 버튼(미도시)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이러한 버튼(미도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커서(201)가 위치한 컨텐츠에 대한 실행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커서(201)가 위치하였던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리스트 영역(182)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201)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커서(201)가 위치한 하나의 컨텐츠를 컨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리스트 영역(182)에 포함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하고자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 상에 커서(20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삭제”라고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인 “삭제”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를 커서(201)가 위치한 컨텐츠에 대한 삭제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리모컨(200) 상에 형성된 삭제 버튼(미도시)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삭제 버튼(미도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커서(201)가 위치한 컨텐츠에 대한 삭제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커서(201)가 위치하였던 컨텐츠를 컨텐츠 리스트로부터 삭제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컨텐츠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17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인식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후 음성인식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710).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커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커서 신호는 커서(201)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로서, 리모컨(200)의 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71)상의 커서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서(201)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S172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71)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중 선택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커서(201)가 위치하도록 리모컨(200)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선택된 이미지에 대해서 선택되지 않은 다른 이미지와 시각적으로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730). 구체적으로 사용자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740).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7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서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가 커서(201)에 의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특정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발화할 수 있다. 발화된 사용자 음성 신호는 텍스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71)에 디스플레이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텍스트에 따른 동작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750).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선택된 이미지에 대하여 특정 동작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시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양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음성인식 모드에서의 화면 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컨텐츠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컨텐츠 영역(184)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하나에 대하여 커서(201)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201)가 특정 오브젝트 상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명령을 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검색해줘” 또는 “이건 뭐야?”라고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1)의 일 측에 형성된 쿼리 영역(181)에 발화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후 제어부(160)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예시의 경우 제어부(160)는 커서(201)가 위치한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커서(201)가 위치한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를 검색 서버(20)로 전송한다. 검색 서버(20)는 수신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검색 결과를 수신한 제어부(160)는 이를 디스플레이부(17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71)의 일 영역에 형성된 리스트 영역(182)에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텍스트 이미지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이미지로서, 텍스트 파일이 아닌 이미지 파일의 실행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화면 중 자막(191)은 텍스트임에 반해, 도 19에 도시된 화면 중 텍스트를 촬영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부분, 예를 들어 “BBB BEER” 등이 텍스트 이미지일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이미지를 리모컨(200)을 통한 드래그 동작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드래그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그에 따른 화면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선택된 텍스트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인 텍스트 이미지를 텍스트 파일인 텍스트로 변환하는 방식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커서(201)로써 특정 텍스트 이미지를 선택한 후 사용자는 원하는 명령을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커서(201)로써 선택한 텍스트 이미지에 대해 선택되지 않은 다른 이미지와 대비되는 색으로 표시하거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휘도를 증가시키는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60)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커서(201)로써 선택한 특정 텍스트 이미지가 변환된 텍스트를 검색 서버(20)로 전송한다. 검색 서버(20)는 수신된 텍스트에 대해 검색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검색 결과를 수신한 제어부(160)는 이를 디스플레이부(17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71)의 일 영역에 형성된 리스트 영역(182)에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도 18 내지 도 20에서는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자 상거래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영역(184)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후 사용자는 하나의 오브젝트를 커서(201)로써 선택한 후 “얼마지?”라고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쿼리 영역(18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택된 하나의 오브젝트를 검색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색 서버(20)는 수신된 이미지의 가격에 대해 검색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검색 결과를 수신한 제어부(160)는 이를 리스트 영역(18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후 사용자는 리스트 영역(182)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하나를 커서(201)로써 선택한 후 “구입해”라고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쿼리 영역(18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서버로 접속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이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71)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오브젝트에 커서(201)가 위치한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음성으로써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게임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음성인식 모드에서, 사용자는 도 24의 좌측 도면과 같이, 커서(201)를 우측의 오브젝트(19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원하는 명령을 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KICK”이라고 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4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201)가 위치했던 우측의 오브젝트(190)는 발화된 사용자 음성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화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커서(201)가 위치한 오브젝트(190)에 대해 선택되지 않은 다른 오브젝트와 대비되는 색으로 표시하거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휘도를 증가시키는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도 2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공간 이동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음성인식 모드에서, 사용자는 도 25의 좌측 도면과 같이, 커서(201)를 3번과 4번 사이의 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MOVE”라고 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5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201)의 위치를 기준으로 시점이 이동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발화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수신부
120: 저장부 13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150: 명령 입력부
160: 제어부 170: 구동부

Claims (19)

  1. 리모컨에 의해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음성인식 모드에서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 음성 신호 및 커서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커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 신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인식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음성 신호 및 상기 커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영역, 상기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쿼리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리스트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커서가 위치한 하나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시각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커서가 위치한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영역 또는 상기 리스트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커서가 위치한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커서가 위치한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커서가 위치한 하나의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 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커서가 위치한 하나의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리모컨으로써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중 일부를 상기 리모컨를 통한 드래그 동작으로써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를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체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상기 리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커서로써 선택하고,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텍스트 이미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이미지가 변환된 텍스트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오브젝트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커서가 위치한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기 설정된 시각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 측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 전체를 상기 커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리모컨에 의해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음성인식 모드에서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및 커서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63753A 2014-11-21 2014-11-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4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753A KR102334860B1 (ko) 2014-11-21 2014-11-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753A KR102334860B1 (ko) 2014-11-21 2014-11-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176A true KR20160061176A (ko) 2016-05-31
KR102334860B1 KR102334860B1 (ko) 2021-12-03

Family

ID=5609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753A KR102334860B1 (ko) 2014-11-21 2014-11-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8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742A1 (ko) * 2019-06-28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128974B2 (en) 2017-11-16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udio system comprising same
US11437034B2 (en) * 2019-11-21 2022-09-06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ag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40B1 (ko) * 2007-12-10 2009-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송신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이를 이용한 epg 정보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4743A (ko) * 2010-11-22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음성과 제스쳐를 이용한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KR20130016016A (ko) * 2011-08-05 201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KR20130134545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리모컨을 이용한 디지털tv 음성 검색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40B1 (ko) * 2007-12-10 2009-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송신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이를 이용한 epg 정보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4743A (ko) * 2010-11-22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음성과 제스쳐를 이용한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KR20130016016A (ko) * 2011-08-05 2013-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KR20130018464A (ko) * 2011-08-05 2013-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134545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리모컨을 이용한 디지털tv 음성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8974B2 (en) 2017-11-16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udio system comprising same
WO2020262742A1 (ko) * 2019-06-28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437034B2 (en) * 2019-11-21 2022-09-06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a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860B1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242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12792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164672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tents using the same
US8937664B2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thereof
KR101899597B1 (ko)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CN108886634B (zh) 显示装置及操作显示装置的方法
KR10166198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20392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8012826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77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4894B1 (ko) 음성 인식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48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580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20069961A (ko) 컨텐츠 이미지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60009415A (ko) 외부 입력장치와 컨텐츠 연동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4321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231124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8370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2412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573095B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178466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891614B1 (ko) 휴대 단말기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877389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804913B1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