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095A -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095A
KR20160061095A KR1020140163571A KR20140163571A KR20160061095A KR 20160061095 A KR20160061095 A KR 20160061095A KR 1020140163571 A KR1020140163571 A KR 1020140163571A KR 20140163571 A KR20140163571 A KR 20140163571A KR 20160061095 A KR20160061095 A KR 20160061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bscriber identity
terminal
subscriber
subscriber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617B1 (ko
Inventor
최창용
김성환
손영민
조정일
Original Assignee
코나아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나아이 (주) filed Critical 코나아이 (주)
Priority to KR102014016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617B1/ko
Priority to US15/510,931 priority patent/US9832634B2/en
Priority to JP2017534508A priority patent/JP6415727B2/ja
Priority to PCT/KR2015/001711 priority patent/WO2016080595A1/ko
Priority to CN201580062699.7A priority patent/CN107079282B/zh
Publication of KR20160061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617B1/ko
Priority to US15/794,703 priority patent/US10136307B2/en
Priority to US15/794,764 priority patent/US10251051B2/en
Priority to JP2018187385A priority patent/JP656775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06K19/0773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comprising a first part capable of functioning as a record carrier on its own and a second part being only functional as a form factor changing part, e.g. SIM cards type ID 0001, removably attached to a regular smart card form fa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이용한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UICC의 외부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ULTI NUMBER SERVIC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스마트 카드(smart card), 예컨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에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저장함으로써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관리할 수 있는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범용 IC 카드라고 일컬어지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요 구성으로써,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가 확장된 형태로 구현된다.
UICC는 단말기 내에 삽입되어 사용자 인증을 위한 모듈로 사용될 수 있으며, UICC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사용자가 가입한 이동 통신 사업자에 대한 사업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UICC에는 표준 규격에 따라 하나의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만이 저장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하나의 스마트 카드(smart card), 예컨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에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저장함으로써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관리할 수 있는 멀티 넘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smart card)를 이용한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스마트 카드의 외부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상기 스마트 카드 내의 파일 시스템(file system)에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 내의 상기 파일 시스템에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는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추가 요청에 따라 관리 서버에 의해 검색되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리스트(list)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삭제 요청에 따라 관리 서버에 의해 검색되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리스트(list)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관리 서버가 제1단말기의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등록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제2단말기에 의해 접속 요청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상응하는 응답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검색된 응답을 상기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응답은 메시지 또는 통화 연결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관리 서버가, 제1단말기의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활성화된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제2단말기로부터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로 상기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관리 서버가 제1단말기의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활성화된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제2단말기로부터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 접속 요청이 되었음을 알리는 접속 경로 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하나의 스마트 카드(smart card), 예컨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에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저장함으로써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각각은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및 네트워크 접속에 사용되는 키(ke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순히 여러 개의 전화번호만을 관리하는 것과는 달리, 하나의 물리적인 스마트 카드에서 복수의 스마트 카드 식별정보(예컨대, ICCID) 별로 사용자의 명의(예컨대, IMSI)와 키 정보까지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여러 개의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서비스 외에도 법인 사용자의 개인 명의 사용, 후불 요금제 사용자의 선불 요금제 명의 사용 등 다양한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UICC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추가 또는 삭제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관리 서버는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별로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 포함된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UICC 내에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UICC 파일 시스템의 파일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데이터 플로우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 포함된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의 개념도이다.
실시 예에 따라, 제1단말기(100)는 이동 전화기(cellular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 형태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제한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에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일 예로써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10)가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UICC(10)는 칩(chip) 또는 카드 형태로 제1단말기(10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카드(smart card)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ICC 등 가입자 식별정보 세트를 관리할 수 있는 SE(Secure Element)를 포괄하는 개념을 의미할 수 있다.
UICC(1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사용자가 가입한 이동 통신 사업자에 대한 사업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UICC(10)는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는 가입자, UICC(또는 USIM), 또는 이동 통신 사업자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세트를 폭넓게 의미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각각은 하나의 전화번호에 상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는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키(key)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UICC 내에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UICC 파일 시스템의 파일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 과 도 2를 참조하면, UICC(10) 내에는 UICC 파일 시스템(12)이 존재하며,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과 USIM 어플리케이션(16)이 UICC(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응용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애플릿(applet)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는 제1단말기(100)의 네트워크 접속시 사용할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예컨대,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Set1)를 UICC 파일 시스템(12)에 등록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UICC 파일 시스템(12)의 파일 구조는 MF(Master File;12A)의 하부에 여러 파일들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필수(madatory) 파일로 포함되는 리니어 픽스드 타입(linear fixed type)의 EF(Element File)인 EF-DIR(12B)이 MF(12A)의 하위 파일로 존재한다.
ADF-USIM(12C)은 USIM 어플리케이션(16)에서 사용하는 EF들(예컨대, EF-ICCID(12E), EF-IMSI(12F), EF-MSISDN(12G), EF-KI(12H) 등)의 최상위 노드이며, EF-DIR(12B)에는 ADF-USIM(12C)에 대한 링크(link)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ADF-USIM(12C)의 하위에 여러 파일들이 존재하며, 이 중에 필수 파일로 포함되는 DF(Dedicated File; 12D)의 하위에는 실제 이동통신망 접속을 위해 필요한 EF들, 즉 EF-ICCID(12E), EF-IMSI(12F), EF-MSISDN(12G), EF-KI(12H) 등이 구성된다. 실제 이동통신망 접속시 USIM 어플리케이션(16)에 의해 EF-ICCID(12E), EF-IMSI(12F), EF-MSISDN(12G), EF-KI(12H)가 UICC(10) 외부로 리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ICC(10)에서는 실제 이동통신망 접속을 위해 필요한 EF들, 즉 EF-ICCID(12E), EF-IMSI(12F), EF-MSISDN(12G), EF-KI(12H) 등은 가입자 식별정보 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 또는 USIM 어플리케이션(16)을 통해 업데이트(update1 또는 update2)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Set1)에 포함된 ICCID1은 UICC 파일 시스템(12)의 ICCID 저장을 위한 EF(예컨대, EF-ICCID(12E))에 저장되고,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Set1)에 포함된 IMSI1은 UICC 파일 시스템(12)의 IMSI 저장을 위한 EF(예컨대, EF-IMSI(12F))에 저장되고,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Set1)에 포함된 MSISDN1은 UICC 파일 시스템(12)의 MSISDN 저장을 위한 EF(예컨대, EF-MSISDN(12G))에 저장되고,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키(KI1) 정보는 키 저장을 위한 EF(예컨대, EF-KI(12H))에 저장될 수 있다.
제1단말기(100)가 네트워크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UICC 파일 시스템(12)에 저장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는 USIM 어플리케이션(16)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은 UICC(10) 내에 저장되는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Set1, Set2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Set1, Set2 등)은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Set1, Set2 등) 각각은 ICCID, IMSI, MSISDN, 및 K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Set1)는 ICCID1, IMSI1, MSISDN1, 및 KI1을 포함하고,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Set2)는 ICCID2, IMSI2, MSISDN2, 및 KI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은 UICC(10) 외부로부터 수신된 외부 명령(CMD)에 따라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Set1, Set2 등) 중에서 어느하나를 선택하여(S10), 활성화시킬 수 있다(S11).
외부 명령(CMD)는 UICC(10) 외부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은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Set1, Set2 등) 중에서 제1 가입자 식별정보세트(Set1)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1 가입자 식별정보세트(Set1)를 UICC 파일 시스템(12)에 업데이트(update)함으로써 제1 가입자 식별정보세트(Set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은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미도시)를 통하여 직접 UICC 파일 시스템(12)에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예컨대, Set1)를 업데이트(Update1)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은 API(미도시)와 USIM 어플리케이션(16)을 통하여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예컨대, Set1)를 UICC 파일 시스템(12)에 업데이트(Update2)할 수도 있다.
USIM 어플리케이션(16)은 제1단말기(100)의 네트워크 접속 및 가입자 인증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동된다.
USIM 어플리케이션(16)은 네트워크 접속 및 가입자 인증시 UICC 파일 시스템(12)에 저장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UICC(10)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USIM 어플리케이션(16)은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과 UICC 파일 시스템(12) 간에 수행되는 업데이트(Update2)를 중계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별로 상응하는 주소록, 문자 수발신 내역, 또는 통화 수발신 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0)는 활성화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따라, 활성화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상응하는 주소록, 문자 수발신 내역, 또는 통화 수발신 내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특히, 특정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상응하는 주소록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 제1단말기(100)는 상기 주소록에 상응하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CMD)을 UICC(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별로 배경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말기(100)는 활성화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따라, 활성화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그룹을 배경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별로 정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정보 보호가 요구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상응하는 주소록, 문자 수발신 내역, 또는 통화 수발신 내역은 UICC(10), 제1단말기(100) 내부 또는 제1단말기(100) 외부의 별도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소록, 문자 수발신 내역, 또는 통화 수발신 내역은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암호화는 UICC(10) 내의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별로 컨텐츠(contents, 예컨대 사진 파일, 음성 파일, 동영상 파일 등)를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말기(100)는 활성화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따라, 활성화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상응하는 컨텐츠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별로 비밀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말기(100)는 특정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 문자 또는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제1단말기(100)에 표시하지 않고 수신된 문자 또는 전화에 관한 정보는 UICC(1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100)는 문자 또는 전화의 발신자에게로 현재 연락이 어렵다는 상황을 알리기 위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별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말기(100)는 특정 가입자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예컨대,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100)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은 외부 단말기(예컨대, 회사 보안 관리자의 단말기)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별로 공인인증서를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말기(100)는 활성화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따라, 활성화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상응하는 공인인증서를 디폴트(default)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는 제1단말기(100)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IC카드(또는 칩카드(chip card) 또는 스마트카드(smart card))의 일 예로써 UICC(10)를 나타내고 있으나, UICC(10)는 다른 명칭 또는 다른 종류의 카드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의 전원이 켜지면(S20), 제1단말기(100)의 제어에 따라 UICC(10)가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2).
그 이후, UICC(10)는 초기화를 수행하며, 제1단말기(100)의 단말기 프로파일(terminal profile)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툴킷(toolkit)을 등록할 수 있는 경우 이를 등록할 수 있다(S24). 또한,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MF(12A)를 선택할 수 있다(S24).
S24 단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6),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못한 경우에는, 이러한 상황이 특정횟수 이상 반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8).
특정 횟수 이상이 반복된 경우, UICC(10)는 UICC 파일 시스템(12)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S30).
특정 횟수 이상이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는 S22 단계부터 다시 수행될 수 있다.
S24 단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UICC(10)는 EF-DIR(12B)을 선택하여 리드할 수 있다(S32).
S32 단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4),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못한 경우에는 S28 단계가 수행되고, S32 단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에 UICC(10)는 EF-DIR(12B)의 링크 정보에 따라 ADF-USIM(12C)에 접근할 수 있다(S36).
S36 단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8), S36 단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못한 경우에는 S28 단계가 수행되고, S36 단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에 UICC(10)는 ADF-USIM(12C)의 하위에 있는 DF(12D)를 구성하고 있는 EF들(예컨대, EF-ICCID(12E), EF-IMSI(12F), EF-MSISDN(12G), 및 EF-KI(12H) 등)을 리드할 수 있다(S40).
S40 단계 이후에, UICC(10)는 대기(idle)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S42), S44 단계가 수행되기 이전까지 제1단말기(100)는 S40 단계에서 리드된 EF들(예컨대, EF-ICCID(12E), EF-IMSI(12F), EF-MSISDN(12G), 및 EF-KI(12H) 등)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UICC(10)의 내부 또는 UICC(10)의 외부 프로세스에 의해 가입자 식별정보세트가 선택될 수 있다(S44). 예컨대, 도 2의 가입자 식별정보 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으로 입력된 외부 명령(CMD)에 의해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 세트들(예컨대, Set1, Set2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입자 식별정보 세트(예컨대, Set1)가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 세트(예컨대, Set1)가 활성화될 수 있다(S46). 즉,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 세트(예컨대, Set1)의 각 데이터(예컨대, ICCID1, IMSI1, MSISDN1, KI1)는 UICC 파일 시스템(12)의 각 EF(예컨대, EF-ICCID(12E), EF-IMSI(12F), EF-MSISDN(12G), EF-KI(12H))에 다양한 업데이트 경로(예컨대, update1, update2)를 통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가입자 식별정보 세트 변경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8),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에 UICC(10)는 S24 단계부터 다시 수행하고, 가입자 식별정보 세트 변경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 S42 단계의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데이터 플로우이다.
관리 서버(200)는 제1단말기(100)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관리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인증을 통한 등록할 수 있는 서버이다. 실시 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통신사 서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제1단말기(100)의 식별 정보와 이에 상응하는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매핑(mapping)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추가하기 위한 요청 또는 삭제하기 위한 요청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50).
관리 서버(200)는 제1단말기(100)의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52). 실시 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의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을 통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가 본인 인증에 성공한 경우, 추가할 수 있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검색할 수 있다(S54).
실시 예에 따라, 제1단말기(100)로부터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추가 요청이 있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추가할 수 있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새로 생성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00)는 검색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리스팅(listing)하여 제1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56).
사용자는 제1단말기(100)를 통하여 수신된 리스트에서, 추가 또는 삭제할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관한 정보는 관리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S58).
관리 서버(200)는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관리 서버(200) 또는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또는 삭제 등록할 수 있다(S60). 이때, 관리 서버(200)는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제1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매핑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리스트에서 추가 또는 삭제 등록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0)는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에 할당된 메모리에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S62).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관리 서버(300)에 등록해놓을 수 있다(S70). 이때, 사용자는 제1단말기(100)를 통하여 관리 서버(300)에 등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마다 서로 다른 응답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제2단말기(200)로부터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의 접속 요청을 받을 수 있다(S72).
관리 서버(300)는 등록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제2단말기(200)에 의해 접속 요청된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상응하는 응답을 검색할 수 있다(S74).
관리 서버(300)는 검색된 응답을 제2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76).
실시 예에 따라, S76 단계에서의 응답은 응답 메시지 또는 통화 연결음일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300)는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 접속 요청이 온 경우에는 "해지된 번호입니다"라는 응답 메시지를 제2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 접속 요청이 온 경우에는 통화 연결음을 제2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300)는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 접속 요청이 온 경우와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 접속 요청이 온 경우에 서로 다른 응답 메시지(또는 통화 연결음)를 제2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활성화된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관리 서버(300)에 등록해놓을 수 있다(S80).
관리 서버가(300)는 제2단말기로부터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82).
관리 서버(300)는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와 매칭되어 있는, 즉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가지고 있는 제1단말기(100)에서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검색할 수 있다(S84). 즉, 관리 서버(300)는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와 매핑되어 있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검색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상응하는 제1단말기(100)로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86).
즉, 제1단말기(100)가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켜 놓았으나, 제2단말기(200)로부터는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 접속 요청이 온 경우, 관리 서버(300)는 제1단말기(100)로 하여금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키도록 관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의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14)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활성화된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관리 서버(300)에 등록해놓을 수 있다(S90).
관리 서버(300)는 제2단말기(200)로부터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92).
관리 서버(300)는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와 매칭되어 있는, 즉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가지고 있는 제1단말기(100)에서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검색할 수 있다(S94).즉, 관리 서버(300)는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와 매핑되어 있는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검색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 접속 요청이 되었음을 알리는 접속 경로 정보를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상응하는 제1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96).
즉, 제1단말기(100)가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켜놓았으나, 제2단말기(200)로부터는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 접속 요청이 온 경우, 관리 서버(300)는 제1단말기(100)로 하여금 일단 활성화 되어 있는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하도록 하면서,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 접속 요청이 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12 : UICC 파일 시스템
14 :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
16 :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어플리케이션
100, 200 : 단말기
300 : 관리 서버

Claims (11)

  1. 스마트 카드(smart card)를 이용한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의 외부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상기 스마트 카드 내의 파일 시스템(file system)에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키는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 내의 상기 파일 시스템에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키는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는,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을 포함하는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6. 단말기가,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추가 요청에 따라 관리 서버에 의해 검색되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리스트(list)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7. 단말기가,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삭제 요청에 따라 관리 서버에 의해 검색되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리스트(list)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선택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8. 관리 서버가, 제1단말기의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등록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제2단말기에 의해 접속 요청된 가입자 식별정보세트에 상응하는 응답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검색된 응답을 상기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메시지 또는 통화 연결음인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10. 관리 서버가, 제1단말기의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활성화된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제2단말기로부터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로 상기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11. 관리 서버가, 제1단말기의 스마트 카드(smart card)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가입자 식별정보세트들 중에서 활성화된 제1가입자 식별정보세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제2단말기로부터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가입자 식별정보세트로 접속 요청이 되었음을 알리는 접속 경로 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40163571A 2014-11-21 2014-11-21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10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571A KR101710617B1 (ko) 2014-11-21 2014-11-21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US15/510,931 US9832634B2 (en) 2014-11-21 2015-02-23 Method for providing multi-number service
JP2017534508A JP6415727B2 (ja) 2014-11-21 2015-02-23 マルチナンバーサービス提供方法
PCT/KR2015/001711 WO2016080595A1 (ko) 2014-11-21 2015-02-23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CN201580062699.7A CN107079282B (zh) 2014-11-21 2015-02-23 用于提供多号码服务的方法
US15/794,703 US10136307B2 (en) 2014-11-21 2017-10-26 Method for providing multi number service
US15/794,764 US10251051B2 (en) 2014-11-21 2017-10-26 Method for providing multi number service
JP2018187385A JP6567751B2 (ja) 2014-11-21 2018-10-02 マルチナンバーサービス提供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571A KR101710617B1 (ko) 2014-11-21 2014-11-21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970A Division KR102101649B1 (ko) 2017-02-21 2017-02-21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095A true KR20160061095A (ko) 2016-05-31
KR101710617B1 KR101710617B1 (ko) 2017-02-27

Family

ID=5609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571A KR101710617B1 (ko) 2014-11-21 2014-11-21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6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749B1 (ko) * 2007-10-15 2008-10-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Uicc 응용 파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01027A (ko) * 2009-06-29 2011-01-06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가입자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스마트 카드 및 가입자 식별 번호 설정 방법
KR20130107339A (ko) * 2010-12-06 2013-10-01 제말토 에스에이 동일한 물리적 uicc에 포함된 제1 논리적 uicc와 제2 논리적 uicc 간의 전환을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749B1 (ko) * 2007-10-15 2008-10-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Uicc 응용 파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01027A (ko) * 2009-06-29 2011-01-06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가입자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스마트 카드 및 가입자 식별 번호 설정 방법
KR20130107339A (ko) * 2010-12-06 2013-10-01 제말토 에스에이 동일한 물리적 uicc에 포함된 제1 논리적 uicc와 제2 논리적 uicc 간의 전환을 위한 방법
KR20130108637A (ko) * 2010-12-06 2013-10-04 제말토 에스에이 단말기 간 가입 정보 전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617B1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719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ustom alpha tags
US10136307B2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 number service
KR100735341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의 데이터 리드 속도 개선 방법 및 장치
CN102308561A (zh) 通过uicc进行的me网络参数配置
JP201017779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9313650B2 (en) Communications system,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ransition control device, transition control method, and transition control program
CN109660979B (zh) 物联网空中开卡方法及装置、计算设备和存储介质
KR20170023052A (ko)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10617B1 (ko)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79203B1 (ko)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46836B1 (ko) 내부 파일 시스템을 이용해 가입자 식별 정보를 로딩하는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712991B1 (ko)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46102B1 (ko)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17239B1 (ko) 멀티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CN112188591A (zh) 网络接入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287554B1 (ko) Nssai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213083B1 (en) Method of selecting a set of phonebook entries in a card
KR100981251B1 (ko) 단말장치와 단말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526782B1 (ko)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위한 통신 단말 및 그 통신 단말의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28623A (ko) 웹 또는 음성정보에 의한 ota 기반의 usim 카드정보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2071A (ko) 공중전화 시스템 및 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