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934A - Ice maker for forming refrigerant evaporator - Google Patents

Ice maker for forming refrigerant evapo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934A
KR20160060934A KR1020140163139A KR20140163139A KR20160060934A KR 20160060934 A KR20160060934 A KR 20160060934A KR 1020140163139 A KR1020140163139 A KR 1020140163139A KR 20140163139 A KR20140163139 A KR 20140163139A KR 20160060934 A KR20160060934 A KR 2016006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tube
evaporator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윤호
Original Assignee
지엔비아이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엔비아이스(주) filed Critical 지엔비아이스(주)
Priority to KR102014016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0934A/en
Publication of KR2016006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9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5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 F25C1/147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by using au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outer walls of cool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12Ice-shav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ce maker where a refrigerant evaporation pipe is formed. In the ice maker where the refrigerant evaporation pipe is formed, the ice maker may include: an inner pipe for accommodating an auger coaxially installed inside; a refrigerant pipe which is spirally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ipe, and has a refrigerant inlet and a refrigerant outlet formed at both ends; an outer pipe for accommodating the inner pipe and the refrigerant pipe; and a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for feeding a refrigerant to a clearance between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The ice maker has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not only at a lower part of a cooling pipe but also at an upper part thereof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Description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ICE MAKER FOR FORMING REFRIGERANT EVAPORATOR}ICE MAKER FOR FORMING REFRIGERANT EVAPORATOR [0002]

본 발명은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 공급 모세관 및 냉매 공급 노즐을 이용하여 냉각 효율을 높이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for increasing a cooling efficiency is formed by using a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and a refrigerant supply nozzle.

도 1은 일반적인 오거식 제빙기를 나타낸 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auger type ice maker.

도 1을 참조하면, 오거식 제빙기는 냉각관(11) 내에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오거(auger)(12)에 의해서 밀어 올려 이송되어 온 수분을 함유한 얼음을 서서히 압축함으로써, 대부분의 수분을 제거한 경질의 얼음기둥을 생성하고, 이 얼음기둥을 칩(chip)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얼음덩어리를 만들 수 있다.
1, the auger type ice maker is constructed by slowly compressing ice containing water transferred by being pushed up by an auger 12 coaxially disposed in a cooling pipe 11, thereby removing most of the water It is possible to make a lump of ice by creating a hard ice pillar and cutting this ice pillar into a chip shape.

도 2는 종래의 오거식 제빙기의 냉각관을 나타낸 도이다.2 is a view showing a cooling pipe of a conventional auger type ice maker.

도 2를 참조하면, 오거식 제빙기의 냉각관은 냉각관(21)에 냉매 파이프(22)를 감싸기 위해서는 냉매 파이프(22)를 냉각관(21)의 외주에 직접 밀착하여 결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냉매 파이프(22)로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 등에 대해 내식성이 강한 동제(銅製) 파이프가 주로 사용되며, 냉각관(21)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권장된 상태에서 납땜에 의해 고착될 수 있다. 또한, 납땜 방법으로는 냉각관(21)의 외주에 냉매 파이프(22)의 나선을 따라 밀착된 냉매 파이프(22)와 냉각관(21) 사이의 나선형 공간에 그 나선 일단 측 개구로부터 용융된 납재, 일명 밴더가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주입방법, 혹은 냉매 파이프(22)를 냉각관(21)에 감아 장착하는 작업 시, 납을 나선형 공간에 내재시키면서 감은 후에 냉각관을 납의 용융온도(융점)까지 가열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2, in order to cover the refrigerant pipe 22 in the cooling pipe 21, a cooling pipe of the auger type ice-maker can be u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efrigerant pipe 22 is directly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oling pipe 21 have. Here, as the refrigerant pipe 22, a copper pipe having a high corrosion resistance is mainly used for a refrigerant or the lik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refrigerant pipe 22 having a good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refrigerant pipe 22 is fixed by soldering in a spiral- . In the soldering method, the molten solder material is melted in the spiral space between the cooling pipe 21 and the refrigerant pipe 22, which is closely attached along the spiral of the refrigerant pipe 22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oling pipe 21, Or a method in which a so-called blower flows in or a refrigerant pipe 22 is wound around a cooling tube 21, the lead is wound in a spiral space while being internally heated, and then the cooling tube is heated to the melting temperature Can be used.

그러나, 저온 상태로 팽창된 냉매(기체상태)가 냉매 파이프(22) 입구에 주입됨으로써, 냉각관의 하부는 냉각 효율이 좋으나, 냉매 파이프(22) 출구에 위치한 냉각관(21) 상부는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lower part of the cooling pipe has a good cooling efficiency because the refrigerant (gas) expanded in the low temperature state is injected into the inlet of the refrigerant pipe 22. However, the upper part of the cooling pipe 21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refrigerant pipe 22, There was a problem of fall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냉각 장치의 내부에 냉매 공급 모세관 및 냉매 공급 노즐이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냉각관 하부뿐만 아니라, 냉매가 유출되는 상부의 냉각효율도 우수한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ing apparatus comprising a cooling device, a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and a refrigerant supply nozzl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cooling device so that not only a lower portion of a cooling pip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but also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냉매 파이프를 세로가 긴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내부에 냉매 공급 모세관을 삽입하여, 증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er in which a coolant pipe is formed into a vertically long oval shape and a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olant pipe to form a coolant evaporating pipe capable of increasing evaporation effect.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에 있어서 내부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오거를 수용하는 내관;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장 형성되고, 양단에 냉매 유입구와 냉매 유출구가 형성되는 냉매 파이프; 상기 내관과 상기 냉매 파이프를 수용하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 모세관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n inner pipe accommodating an auger coaxially installed therein; A refrigerant pipe in which a coolant inlet port and a coolant outlet port are formed at both ends in a spiral shape, which is recommend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An outer pipe housing the inner pipe and the refrigerant pipe; And a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for supplying coolant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내관;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장 형성되고, 양단에 냉매 유입구와 냉매 유출구가 형성되는 냉매 파이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관과 상기 냉매 파이프를 수용하고, 외주면에서 제빙이 발생하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comprising: a cylindrical inner tube; A refrigerant pipe in which a coolant inlet port and a coolant outlet port are formed at both ends in a spiral shape, which is recommend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An outer tube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ouses the inner pipe and the refrigerant pipe, and which generates i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for supplying coolant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에 있어서, 내부에 제빙 공간부가 마련되어 동축으로 설치되는 오거를 수용하는 내관;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관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형 스크루; 상기 내관과 상기 나선형 스크루를 수용하는 외관; 및 상기 내관에 형성되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he ice maker comprising: an inner pipe accommodating an auger provided with an ice-making space portion therein and installed coaxially; A spiral screw having an inner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receive the inner pipe and having a helical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 outer tube for receiving the inner tube and the helical screw; And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formed in the inner tube and supplying coolant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내관;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관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형 스크루;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관과 상기 나선형 스크루를 수용하고, 외주면에서 제빙이 발생하는 외관; 및 상기 내관에 형성되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comprising: a cylindrical inner tube; A spiral screw having an inner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receive the inner pipe and having a helical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 outer tube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ccommodates the inner tube and the helical screw, and which generates ice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formed in the inner tube and supplying coolant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냉각 장치의 내부에 냉매 공급 모세관 및 냉매 공급 노즐이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냉각관 하부뿐만 아니라, 냉매가 유출되는 상부의 냉각효율도 우수하여, 냉각관을 균일하게 냉각하여 빙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and the coolant supply nozzle are formed inside the cooling device, so that not only the lower part of the cooling tube into which the cooling medium flows but also the cooling efficiency at the upper part where the cooling medium flows out are excellent. And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capable of cooling and improving ice quality can b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냉매 파이프를 세로가 긴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내부에 냉매 공급 모세관을 삽입하여, 증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maker in which a coolant pipe is formed into a vertically long oval shape and a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olant pipe to form a coolant evaporating pipe capable of increasing evaporation effect.

도 1은 일반적인 오거식 제빙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오거식 제빙기의 냉각관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B-B`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내관 및 냉매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제빙 드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제빙 드럼의 C-C'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D-D'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노즐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auger type ice maker.
2 is a view showing a cooling pipe of a conventional auger type ice maker.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A 'cross-section of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of FIG. 6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B` section of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of FIG. 6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n inner tube and a coolant supply device of an ice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ice making drum of an ice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ce-making drum of the ice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or of FIG. 10 is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C-C '.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the ice 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or of FIG. 12 is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nozzle pipe of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FIG.
15 and 16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part of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18 to 21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냉매 공급 모세관을 이용하여 냉각 효율을 높이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적용될 수 있는 제빙기는 플레이크 얼음을 생산하는 오거식 제빙기와 가루얼음을 생산하는 드럼식 제빙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며, 아래에서는 각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for increasing a cooling efficiency is formed by using a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Here, the applicable icemaker is applicable to an auger type ice maker for producing flake ice and a drum type ice maker for producing powder ice, and each of them will be described below.

(실시예 1)(Example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는 플레이크 얼음을 생산하는 오거식 제빙기로, 내관(110), 외관(120), 냉매 파이프, 그리고 냉매 공급 모세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매 증발관은 냉매 파이프, 냉매 공급 모세관 등의 냉매를 공급하여 증발이 발생함으로써 냉각을 일으키는 파이프를 의미할 수 있다. 3,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is an auger type ice maker for producing flake ice. The ice maker may include an inner tube 110, an outer tube 120, a refrigerant pipe, and a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230. Here, the refrigerant evaporation pipe may refer to a pipe that generates refrigerant by supplying refrigerant such as a refrigerant pipe or a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to generate evaporation.

내관(11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오거를 수용하는 제빙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빙 공간부에는 내관의 내벽에 물 등의 원료가 공급되어 외부의 냉매에 의해 얼음이 형성되며, 오거의 회전에 의해 내벽의 얼음을 절단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플레이크 얼음을 생산할 수 있다. The inner tube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ice-making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auger coaxially installed therein can be formed. In the ice making space part, raw material such as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ner tube, and ice is formed by the external coolant. Ice of the inner wall is cut by the rotation of the aug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producing flake ice.

외관(120)은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내관(110)과 냉매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관(120)에는 냉매 유입구(210), 냉매 유출구(220), 및 냉매 공급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tube 12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can receive the inner tube 110 and the refrigerant pipe. A coolant inlet port 210, a coolant outlet port 220, and a coolant supply port 230 may be formed in the outer tube 120.

냉매 파이프는 내관(1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장 형성되고, 양단에 냉매 유입구(210)와 냉매 유출구(220)가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를 통과한 다음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The refrigerant pipe is recommended to be spi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ipe 110. The refrigerant inlet port 210 and the refrigerant outlet port 220 are formed at both ends so that the refrigerant may flow into the refrigerant pipe,

냉매 공급 모세관(250)은 내관(110)과 외관(120)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냉매 공급 모세관(250)은 내관(110)과 외관(120)의 사이 공간부에 형성되는 냉매 파이프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끝단이 굴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관(120)의 상단에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 공급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can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110 and the outer tube 120.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may be formed such that its end is bent so as to be at least partly accommodated in the refrigerant pip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110 and the outer tube 120. A coolant supply port 230 through which coolant is suppli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e 120 may be formed.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는 냉매 유입구(210), 냉매 유출구(220), 그리고 냉매 공급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4 and 5, the ice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may include a refrigerant inlet 210, a refrigerant outlet 220, and a refrigerant inlet 230.

냉매 유입구(210)는 내관(1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냉매 파이프에 냉매를 유입하는 입구로, 그 위치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외관(12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olant inlet port 210 is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coolant into the coolant pip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10. The coolant inlet port 21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tube 120,

냉매 유출구(220)는 내관(1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냉매 파이프에 공급된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로, 그 위치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외관(1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냉매 공급구(230)를 통해 공급된 냉매도 냉매 유출구(2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The refrigerant outlet 220 i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refrigerant pip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10 is discharged. The outlet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e 120.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supplied through the refrigerant supply port 230 may also be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220.

냉매 공급구(230)에는 내관(110)과 외관(120)의 사이 공간부로 가이드 되는 냉매 공급 모세관(250)이 삽입 형성되어, 냉매 파이프 사이 공간부 및 내관과 냉매 파이프의 이격된 공간으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A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guided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110 and the outer tube 120 is inserted into the coolant supply port 230 so that the coolant is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coolant pipe and the inner tube, Can supply.

이때, 냉매 공급구(230)는 냉매 유출구(220)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관(120)의 상단에 배치되어, 냉매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냉매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상단에서 증발을 일으켜, 냉매 파이프가 권장된 부분 전체에서 균일하게 증발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olant supply port 230 may be disposed at the coolant outlet 220, preferably at the top of the coolant pipe 120, So that evaporation is uniformly generated in the entire recommended portion of the refrigerant pipe, thereby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show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ice 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of FIG. 6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B-B`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of FIG. 6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는 내관(110), 외관(120), 냉매 파이프(240), 그리고 냉매 공급 모세관(250)을 포함할 수 있다. 6 to 8, the ice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may include an inner tube 110, an outer tube 120, a refrigerant pipe 240, and a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내관(11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제빙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 공간부에는 내부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오거를 수용할 수 있다. The inner pipe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ice-making space portion can be formed therein. In addition, the auger provided coaxially inside the ice making space can be accommodated.

이러한, 내관(110)은 제빙이 일어나는 곳으로, 내측은 물 등이 접촉되고 가공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좋으며, 내식성이 좋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inner pipe 110 is a portion where ice making is performed and the inner portion is a portion where water is contacted and processed, a material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and good corrosion resistance can be used.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n aluminum material, or the like can be used.

그리고, 내관(110)은 제빙 공간부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내부에 홀이 형성되고, 홀 내부에 오거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거는 외부의 동력원(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내관(110)의 내벽에 형성된 얼음을 긁어내어 상부로 밀어 올려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플레이크 얼음을 생산할 수 있다. 이때, 내관(110)의 내부에는 물 공급 장치 등에 의해 물 등의 얼음이 생성되는 원료가 공급될 수 있다. The inner pipe 110 is an ice-making space part, but its shape is not limited, but a hole is formed therein, and the auger can be coupled to the inner part of the hole so as to be rotatable. Accordingly, the auger is rot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motor), and the ic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ner pipe 110 is scraped off and pushed up to the outside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ereby producing flake ice. At this time, a raw material for generating ice such as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pipe 110 by a water supply device or the like.

외관(1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내관(110)과 냉매 파이프(24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외관(120)은 내관(110)과는 달리 물 등과 직접 접촉하거나 가공이 일어나는 부분이 아니므로 스테인리스강 등의 내식성이 좋은 소재가 아니라도 사용 가능하며, 외측은 발포 등의 방법에 의해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outer tube 12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can accommodate the inner tube 110 and the refrigerant tube 240 therein. Unlike the inner tube 110, the outer tube 120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water or machined. Therefore, the outer tube 120 may not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corrosion resistance such as stainless steel. Can be maintained.

냉매 파이프(240)는 내관(110)의 외주에 직접 밀착하여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냉매 파이프(240)는 내관(1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장 형성되고, 양단에 냉매 유입구(210)와 냉매 유출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 파이프(240)는 외관(120)의 상단에 냉매 유출구(220)가 형성되고, 외관(120)의 하단에 냉매 유입구(210)가 형성되어, 외관(12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냉매가 흐를 수 있다. The refrigerant pipe 24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ipe 110 and may be used. That is, the refrigerant pipe 240 is recommended to be spir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110, and the refrigerant inlet port 210 and the refrigerant outlet port 220 may be formed at both ends. The refrigerant pipe 240 has a refrigerant outlet 22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e 120 and a refrigerant inlet 21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tube 120, Can flow.

여기서, 냉매 파이프(240)는 열전도율이 우수하고, 내부를 흐르는 냉매 등에 대해 내식성이 강한 동제 파이프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 파이프(240)는 내관(110)의 외주에 권장되며, 내관(110)에 고착시키지 않아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증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Here, the refrigerant pipe 240 has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a copper pipe having high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refrigerant flowing in the inside can be mainly used. The refrigerant pipe 240 is recommen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pipe 110 and is not fixed to the inner pipe 110, so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the efficiency of the space can be increased, and the evaporation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그리고, 냉매 파이프(240)는 기계 등을 이용하여 가압에 의해 눌러, 그 단면이 가로의 길이보다 세로의 길이가 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원형의 단면을 가진 냉매 파이프(240)의 사이 공간부에 냉매 파이프(240)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냉매 공급 모세관(250)을 일부 삽입함으로써, 압력에 의해 사이 공간부로 냉매가 안내되어 흐를 수 있다. The refrigerant pipe 240 may be pressurized by using a machine or the like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240 is formed into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transverse length. Accordingly, by partially inserting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olant pipe 240 i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refrigerant pipes 240 having the elliptical cross section, the refrigerant is guided to the space portion by the pressure Can flow.

예를 들어, 냉매 파이프(240)는 동제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기계 등을 이용하여 눌러, 가로 직경이 6 파이에서 3-4 파이 정도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냉매 파이프(240) 사이 공간부로 안내하는 직경 2-3 파이 정도의 냉매 공급 모세관(250)을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로 삽입할 수 있다. 기존의 동제 파이프를 눌러 타원형의 냉매 파이프(240)를 사용함으로써 증발 효과를 높이고, 냉매 공급 모세관(250)을 내관(110)과 외관(120)의 사이 공간부로 안내하여 압력에 의해 냉매 파이프(240)의 사이로 냉매를 공급하여 증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때, 냉매 파이프(240)는 내관(110)의 외주면에 고착되지 않았으며, 기계 등을 이용하여 타원형으로 누를 때 일반적으로 고르게 눌러지지 않아 울퉁불퉁하게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내관(110)과 냉매 파이프(24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이격된 공간 등으로 냉매 공급 모세관(250)을 통해 공급된 냉매가 흘러 증발의 발생을 더욱 활발하게 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frigerant pipe 240 can be made of copper pipe, which can be changed by using a machine or the like to change the horizontal diameter from 6 pi to 3-4 pi, A coolant supply capillary 250 having a diameter of about 2-3 picoseconds can be inserted between the inner tube 110 and the outer tube 120. The refrigerant pipe 240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240 by pressure so as to increase the evaporation effect by using the elliptical refrigerant pipe 240 by pressing the existing copper pipe and to guide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ipe 110 and the outer pipe 120, The evaporation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pipe 240 is not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10, and is generally irregularly formed irregularly when pressed in an elliptical shape using a machine or the like so that the inner tube 110 and the refrigerant pipe 240 A space that is spaced apart is generated. The refrigerant supplied through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flows into the spaced spaces or the like to further increase the evaporation, thereby enhancing the cooling efficiency.

냉매 공급 모세관(250)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관(110)과 외관(120)의 사이 공간부로 적어도 일부 수용되며, 외관(120)의 상단에 냉매 공급구(230)가 형성되어 냉매가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내관(110)과 외관(120)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가 흐르면서 증발이 발생할 수 있다.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is at least partly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110 and the outer tube 120 and the refrigerant supply port 23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e 120, The refrigerant may flow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110 and the outer tube 120 by the supplied pressure, and evaporation may occur.

다시 말하면, 외관(120)의 상단에 냉매 공급구(230)가 형성되고, 냉매 공급구(230)에 파이프 형태의 냉매 공급 모세관(250)이 삽입되어 내관(110)과 외관(120)의 사이 공간부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내관(100)과 외관(120)의 사이 공간부에 끝단이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냉매 파이프(240) 사이 공간부인 내부로 냉매가 공급되어 증발이 발생하고, 이후 냉매 유출구(220)를 통해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냉매 공급 모세관(250)은 냉매 유출구(220) 측에 형성되고, 직경이 냉매 파이프(240)의 직경보다 작으며, 냉매 공급구(230)를 관통하여 끝단이 굴절 형성되어 냉매 파이프(240)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냉매 공급 모세관(250)을 냉매 파이프(240) 내부가 아니라 권선된 냉매 파이프(240) 사이 공간으로 안내하여 냉매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other words, a coolant supply port 23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e 120, and a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in the form of a pipe is inserted into the coolant supply port 230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the inner tube 110 and the outer tube 120 And can be guided to the space portion.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ipes 240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ipe 100 and the outer pipe 120, The refrigeran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220.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is formed on the coolant outlet port 220 side and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olant pipe 240. The end of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is bent through the coolant supply port 230, ). ≪ / RTI >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the refrigerant by guiding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ipes 240 that are wound not inside the refrigerant pipe 240.

또한, 냉매 공급 모세관(250)은 모세관으로 표현하였으나, 내관(11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은 내관(110)과 외관(120)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함으로써, 증발을 일으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formed in the inner tube 110.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s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formed in the inner tube 110 and the outer tube 120, By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space portion, evaporation can be caused and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이와 같이, 냉매 공급구(230)로 냉매가 공급되어 냉매 공급 모세관(250)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면서 증발 작용이 일어나고, 냉매 공급 모세관(250)의 끝단이 냉매 파이프(240)의 사이 공간부에 형성되어, 냉매는 냉매 공급 모세관(250)에서 냉매 파이프(240)의 사이 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는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냉매 파이프(240)의 사이 공간부로 흐르고, 이후 다시 하부에서 상부로 되돌아 나오면서 다시 한번 더 증발 작용이 일어나게 되며 냉매 유출구(220)로 배출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refrigerant supply port 230 and flows along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o evaporate the refrigerant. The end of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is connected to the inter- So that the refrigerant can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and the refrigerant pipe 240. Therefore, the refrigerant flows to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ipes 240 by the supplied pressure, and then returns again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so that evaporation action occurs again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refrigerant outflow port 220.

여기서, 냉매 공급 모세관(250)은 그 길이에 제한은 없으나 냉매 공급관(230)에 삽입되어 냉매 파이프(240)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안내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length of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is not limited, but may be inserted into the refrigerant supply pipe 230 so as to guide the refrigerant to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ipes 240.

이와 같이, 냉매 공급 모세관(250)으로 공급된 냉매는 냉매 공급 모세관(250)을 흐르며 증발이 일어나며, 냉매가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를 흐르며 증발이 계속 발생하고, 다시 냉매 파이프(240)의 사이 공간부를 흘러 냉매 유출구로 배출되며 증발이 일어나게 되어 잔열을 전부 이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flows through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and evaporates.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apillary tube 250 to continuously evaporate, The refrigerant flows out through the space, is discharged to the refrigerant outlet, evaporates and can utilize all the remaining heat, thus enabling efficient cooling.

그리고, 냉매 공급 장치 및 냉매 회수 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 냉매 파이프(240)의 냉매 유입구(210) 및 냉매 공급 모세관(250)의 냉매 공급구(230)는 냉매 공급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냉매 파이프(240)의 냉매 유출구(220)는 냉매 회수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The refrigerant supply device and the refrigerant recovery device are separately constructed so that the refrigerant inlet port 210 of the refrigerant pipe 240 and the refrigerant supply port 230 of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can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supply device, The refrigerant outlet 220 of the refrigerant pipe 240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recovery devic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내관 및 냉매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9 is a side view showing an inner tube and a coolant supply device of an ice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도 9를 참조하면,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내관(110), 냉매 파이프(240), 그리고 냉매 공급 모세관(250)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는 냉매 파이프(240)의 내부에 냉매 공급 모세관(250)이 삽입된 형태를 보여주는 일 실시예이다. Referring to FIG. 9, the inner pipe 110, the refrigerant pipe 240, and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of the ice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ion pipe is formed are illustrated. The refrigerant pipe 240 includes a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are inserted in the first embodiment.

여기서, 냉매의 흐름은 냉매 파이프(240) 하부의 냉매 유입구(210)에서 상부의 냉매 유출구(220)로 흐르게 되며, 냉매는 증발에 의해 내관(110)을 냉각하게 된다. 그러나,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 유출구 주변에서는 냉각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 유출구 측에 냉매 공급 모세관(250)을 내관(110)과 외관(120)의 내부에 삽입하여 냉매를 공급함으로써, 냉매 유출구 측에서도 활발한 증발에 의해 내관(1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Her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refrigerant inlet 210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nt pipe 240 to the upper refrigerant outlet 220, and the refrigerant cools the inner tube 110 by evapora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ling efficiency is lowered around the outlet of the refrigerant from which the refrigerant flows out. Accordingly,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110 and the outer tube 120 to supply the coolant to the coolant outlet, thereby cooling the inner tube 110 by vigorous evaporation from the coolant outlet.

또한, 냉매 공급 모세관(250)의 끝단은 냉매 파이프(240)의 사이 공간부에 있어, 냉매 공급 모세관(250)으로 유입된 냉매는 압력에 의해 냉매 파이프(240)의 사이 공간부로 유입되어 증발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냉매는 내관과 냉매 파이프(240)에 고착되지 않아 형성된 이격된 공간부로도 흘러 냉매 유출구로 되돌아 나오며 증발이 일어나게 되므로, 잔열을 전부 사용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이 좋아질 수 있다.
The end of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ipes 240.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ipes 240 by the pressure, . Since the refrigerant is not fixed to the inner pipe and the refrigerant pipe 240, the refrigerant flows to the separated space formed and returns to the refrigerant outflow port, and evaporation occurs. Therefore, all the residual heat can be used, and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실시예 2)(Example 2)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제빙 드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ice making drum of an ice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제빙 드럼의 C-C'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ce-making drum of the ice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or of FIG. 10 is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C-C '.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는 가루얼음을 생산하는 드럼식 제빙기로,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오거식 제빙기와 반대로 외벽의 증발에 의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ice 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s a drum type ice maker for producing powder ice, and in contrast to the auger type ice maker described in FIGS. 3 to 9,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evaporation of the outer wall.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제빙 드럼(300)은 내관(310)과 외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관(310)과 외관(320)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내부 공간부에 냉매가 흐르는 냉매 파이프(410)와 냉매 공급 모세관이 형성될 수 있다.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각각의 구성은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제빙기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ice making drum 300 of the ice 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may include an inner pipe 310 and an outer pipe 320. Here,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refrigerant pipe 410 and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may be formed. The constitution of each of the ice makers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s similar to that of the ice maker explained in Figs. 3 to 9, so that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내관(31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에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냉매가 공급되는 냉각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tube 3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a rotary shaft may be formed at both ends so as to be rotatable. A cooling device for supplying the coolant may be formed inside.

외관(3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관(310)을 수용하되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관(320)은 상기 내관(310)과 상기 냉매 파이프(410)를 수용할 수 있다. The outer tube 32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may receive the inner tube 310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ly, the outer pipe 320 can receive the inner pipe 310 and the refrigerant pipe 410.

그리고, 외관(320)의 외주면에서 제빙이 발생하여 가루얼음을 생산할 수 있다. 즉, 외관(320)의 외주면에는 급수조 등을 마련하여 얼음을 생산할 수 있는 원료를 공급하고, 이 원료가 내부에 형성된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되어 외관의 외주면에 얼음이 형성되면, 절삭날을 이용하여 절단함으로써 가루 얼음을 생산할 수 있다. Then, ice making is gener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320, and powdered ice can be produced. That i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320, a raw material capable of producing ice is provided, and when the raw material is cooled by the cooling device formed therein and ic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So that powdered ice can be produced.

냉매 파이프(410)는 내관(3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장 형성되고, 양단에 냉매 유입구와 냉매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nt pipe 410 is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310, and a refrigerant inlet port and a refrigerant outlet port may be formed at both ends.

냉매 공급 모세관은 상기 내관(310)과 상기 외관(320)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can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D-D'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the ice 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or of FIG. 12 is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는 내관(310), 외관(320), 냉매 파이프(410), 그리고 냉매 공급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12 and 13, the icemaker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or is formed may include an inner tube 310, an outer tube 320, a refrigerant pipe 410, and a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내관(31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축(33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내관(310)의 내부에 냉매 공급관(420)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The inner tube 31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can be rotated by the rotation shaft 330. In addition, a refrigerant supply pipe 4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inner pipe 310.

외관(3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내관(310)과 냉매 파이프(410)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관(320)의 외주면에서 제빙이 발생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내관과 외관은 급수조에 일정 부분 담겨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외관의 외주면에 급수조의 원료가 냉각된 다음, 절삭날을 이용하여 절단함으로써 가루얼음을 생산할 수 있다. The outer pipe 32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can receive the inner pipe 310 and the refrigerant pipe 410 therein. More specifically,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re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while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re partly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tank, the raw material of the water supply tank is coo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By cutting, powdered ice can be produced.

이때, 냉각 드럼(내관 및 외관)의 내부에는 중공의 기화실이 형성되며, 외부 일단면 상에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체인을 통하여 전달받도록 그 회전중심에 스프로켓(340)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로켓(340)은 직접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a hollow vaporizing chamber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cooling drum (inner tube and outer tube), and a sprocket 340 can be formed on the outer one end surface of the cooling drum so as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through the chain. Here, the sprocket 340 may be connected to the direct drive motor and rotated.

그리고, 내부에 냉매가 공급되는 냉각장치를 형성하여 외관(320)의 외주면의 원료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장치는 외관(320)의 내주면에 권장 형성되는 냉매 파이프(410) 및/또는 내관(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매 공급관(420)이 될 수 있다. Further, a cooling device for supplying a coolant to the inside can be formed to cool the raw material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320. The cooling device may be a refrigerant pipe 410 which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320 and / or a refrigerant supply tube 420 formed inside the inner tube 310.

냉매 공급관(420)은 내관(310)의 내부로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 파이프 및 노즐관 등에 의해 내관(310)의 외주면에 냉매를 분사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refrigerant supply pipe 420 allows the refrigerant to flow into the inner pipe 310, and a method of spraying the refrigeran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310 by means of a pipe, a nozzle pipe, or the like can be used.

그리고, 절삭날을 이용하여 외관(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얼음을 절삭하여 가루얼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루얼음을 낙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빙기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드럼식 제빙기가 사용될 수 있다. By using the cutting edge, ic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320 is cut to generate powder ice, and the generated powder ice can be dropped. Here, the shape of the ice-maker is not limited, and various types of drum-type ice makers can be used.

냉매 파이프(410)는 내관(3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장 형성되고, 양단에 냉매 유입구와 냉매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매 파이프(410)는 일단에 냉매 유출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냉매 유입구가 형성되어, 냉매가 냉매 유입구로 유입되어 냉매 유출구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 드럼(300)을 사용하는 제빙기에서는 외관(320)의 외주면에서 제빙이 발생하므로, 냉매 유입구 및 냉매 유출구를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The refrigerant pipe 410 is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310, and a refrigerant inlet port and a refrigerant outlet port may be formed at both ends. The refrigerant pipe 410 may have a refrigerant outlet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refrigerant inlet port at the other end thereof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into the refrigerant inlet port and flow out to the refrigerant outlet. In the ice maker using the cooling drum 300, the ice making is gener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320, so that the coolant inlet port and the coolant outlet port can be formed inside.

그리고, 냉매 파이프(410)는 내관(310)의 외주에 권장 형성되되, 내관(310)에 고착되지 않아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증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냉매 파이프(410)는 내관과 외관의 사이 공간부에 권장되어 형성되되, 외관에 밀착시켜 외부의 냉각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The refrigerant pipe 410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pipe 310 and is not fixed to the inner pipe 310, so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the efficiency of the space can be increased, and the evaporation effect can be enhanced. Further, the refrigerant pipe 41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and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cooling effect of the outside by adhering it to the outer pipe.

한편, 냉매 파이프(410)는 기계 등을 이용하여 가압에 의해 눌러, 그 단면이 가로의 길이보다 세로의 길이가 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원형의 단면을 가진 냉매 파이프(410)에 직경이 작은 냉매 공급 모세관을 삽입하여 압력에 의해 냉매가 공급되어 증발이 일어나고, 이후 권장 형성된 냉매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나 내관 또는 외관에 고착되지 않아 형성된 공간으로 냉매가 흐르면서 다시 한번 증발이 발생하고 냉매 유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이 활발하게 발생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nt pipe 410 can be pressurized by using a machine or the like so that its cross section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transverse length. Accordingly,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having a small diameter is inserted into the refrigerant pipe 410 having the elliptical cross section, and the refrigerant is supplied by the pressure to evaporate. Then, the refrigerant is not fixed to the space,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formed space again, and evaporation occurs again, and the refrigerant can be discharged to the refrigerant outflow port. As a result, evaporation is actively generated and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냉매 공급 모세관은, 내관(310)과 외관(320)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유입할 수 있다. 이때, 냉매 공급 모세관은 내관(310)과 외관(320)의 사이 공간부에 형성된 냉매 파이프(410)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냉매 공급 모세관은 냉매 공급구에 파이프 형태의 냉매 공급 모세관이 삽입되어 내관(310)과 외관(320)의 사이 공간부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내관(100)과 외관(320)의 사이 공간부에 끝단이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냉매 파이프(410) 사이 공간부인 내부로 냉매가 공급되어 증발이 발생하고, 이후 냉매 유출구를 통해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can introduce the refrigerant into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310 and the outer tube 320.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may be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410 formed i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inner pipe 310 and the outer pipe 320. In other words,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may be guided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310 and the outer tube 320 by inserting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in the form of a pipe into the coolant supply port. An end of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ipe 100 and the outer pipe 320 and the refrigerant is suppli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ipes 410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또한, 냉매 공급 모세관은 냉매 파이프(410) 사이 공간으로 냉매를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Further,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may guide the refrigerant to the space between the refrigerant pipes 410. [

다시 말하면, 냉매 공급 모세관은 내관과 외관의 사이 공간부에 형성된 냉매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되, 냉매 유출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 공급 모세관은 내관과 외관의 사이 공간부에 끝단이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내부로 냉매가 공급되어 증발이 발생한 다음, 냉매 유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is accommod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nd can be formed at the refrigerant outlet side.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has an end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nd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side by the pressure to be evapora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refrigerant outlet.

또한, 냉매 공급 모세관의 직경은 냉매 파이프(410)의 직경보다 작고, 내부에 고착되지 않고 일정 간극을 가지고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olant pipe 410, and can be accommodated with a certain gap without being fixed inside.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노즐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nozzle pipe of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FIG.

도 14를 참조하면, 내관(310)에 구멍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의 위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을 통해 내관의 외부로 냉매를 분사하여 권선된 냉매 파이프(410) 및 외관을 냉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can be formed by forming holes in the inner pipe 310. At this tim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positions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and the coolant pipe 410 and the outer pipe can be cooled by spraying the coolant to the outside of the inner pipe through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앞에서, 냉매 공급 모세관으로 표현하였으나, 냉매 공급 모세관은 내관(31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은 내관(310)과 외관(320)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함으로써, 증발을 일으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formed in the inner tube 310 and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tube 310 and the outer tube 320, By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space portion, evaporation can be caused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이와 같이, 모세관보다 노즐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순간 제빙이 가능하고, 증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In this way, when a nozzle is used rather than a capillary, instantaneous ice-making is possible, and the evaporation effect can be enhanced.

예를 들며, 모세관은 길게 형성하여 냉매를 공급하는 압력에 의해 원하는 길이까지 도달해야 하나, 노즐은 복수 개 마련함으로써 원하는 길이까지 더 빨리 도달할 수 있으므로 증발 효과가 더 빨라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pillary tube is formed to be long and needs to reach the desired length by the pressure to supply the refrigerant. However, since a plurality of nozzles are provided, the evaporation effect can be further accelerated because the capillary tube can reach the desired length more quickly.

(실시예 3)(Example 3)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5 and 16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part of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는 내관(510), 외관(520), 나선형 스크루(530), 그리고 냉매 공급 노즐(5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의 각각의 구성은 도 3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제빙기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15 to 17,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may include an inner pipe 510, an outer pipe 520, a spiral screw 530, and a coolant supply nozzle 540. The structure of each of the ice-makers in which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s similar to that of the ice-maker described in FIGS. 3 to 14, and therefore,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내관(510)은 내부에 제빙 공간부가 마련되어 동축으로 설치되는 오거를 수용하여, 오거의 회전에 따라 내벽에 형성되는 얼음을 절단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inner pipe 510 accommodates an auger provided with an ice-making space portion and coaxially installed therein, and cuts ice formed on the inner wall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auger, and discharges the ice to the outside.

나선형 스크루(530)는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관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The helical screw 5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receive the inner tube, and a helical thread can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외관(520)은 내관과 상기 나선형 스크루를 수용할 수 있다. The outer tube 520 can receive the inner tube and the helical screw.

냉매 공급 노즐(540)은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내관에 형성되어 내관과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540)은 내관과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게 되고, 공급된 냉매는 나선형 스크루의 나사산 부분을 따라 안내되어 흐르면서 증발이 발생함으로써 냉각이 일어나게 된다. Preferably,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540 are provided, and the coolant may be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That is, the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540 supply the coolant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nd the supplied coolant is guided along the threaded portion of the helical screw, and evaporation occurs.

추가적으로, 외관과 나선형 스크루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frigerant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tube and the spiral screw.

그리고, 나선형 스크루는 그 소재에 제한은 없으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형성 가능하여 대량생산에 유리할 수 있다. The helical screw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but may be made of polyether ether ketone (PEEK) material and can be injection molded, which is advantageous for mass production.

여기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소재는 내열성, 내식성, 내화공약품성, 내전도성, 내가공성의 특성을 가지며, 비용도 저렴할 뿐만 아니라 사출 형성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Here, the polyether ether ketone (PEEK) material has heat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conductivity, porosity, and is inexpensive and can be mass-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또한, 이와 같은 구조는 외관의 외주면에서 제빙이 발생하는 드럼식 제빙기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가루얼음을 생산할 수 있다. Such a structure is also applicable to a drum type ice maker in which ice is produc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thereby producing powdered ice.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는 내관(510), 외관(520), 나선형 스크루(530), 그리고 냉매 공급 노즐(540)을 포함할 수 있다.15 and 16,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may include an inner pipe 510, an outer pipe 520, a spiral screw 530, and a coolant supply nozzle 540.

여기서, 내관(51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inner pipe 5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그리고, 나선형 스크루(530)는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관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The helical screw 5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receive the inner tube, and a helical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외관(5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관과 상기 나선형 스크루를 수용하고, 외주면에서 제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언급한 드럼식 제빙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The outer tube 520 has a cylindrical shape to receive the inner tube and the helical screw, and the outer tube 520 may be freezed. This explana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drum type ice maker, so repeated explanation will be avoided.

냉매 공급 노즐(540)은 상기 내관에 형성되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The coolant supply nozzle 540 may be formed in the inner pipe to supply the coolant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추가적으로, 외관과 나선형 스크루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frigerant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tube and the spiral screw.

그리고, 나선형 스크루는 그 소재에 제한은 없으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형성 가능하여 대량생산에 유리할 수 있다. The helical screw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but may be made of polyether ether ketone (PEEK) material and can be injection molded, which is advantageous for mass production.

이와 같이, 나선형 스크루(530)를 몰드 방식으로 형성하여, 내열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약간의 수축이 발생하더라도 오히려 증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lical screw 530 is formed by a mold method, so that not only the heat resistance is excellent but also the evaporation effect can be enhanced even if some shrinkage occurs.

그리고, 모세관 대신 복수 개의 노즐을 형성하여 냉매를 공급함으로써, 증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By providing a plurality of nozzles in place of the capillary to supply the refrigerant, the evaporation effect can be enhanced.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8 to 21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ce maker in which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도 3과 도 6 내지 도 8에 각각 대응되는 도면으로, 냉매 공급구(231)가 추가 형성되며, 냉매 공급 모세관(251) 또한 추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거(130)의 회전에 의해 플레이크 얼음을 생산하는 오거식 제빙기뿐만 아니라, 드럼식 제빙기에도 활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8 to 21, FIGS. 3 and 6 to 8 respectively correspond to FIG. 3, in which a coolant supply port 231 is additionally formed, and a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251 may be additionally formed. Here, not only an auger type ice maker that produces flake ice by rotation of the auger 130 but also a drum type ice maker can be used.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매 공급구(230, 231) 및 냉매 공급 모세관(250, 251)을 형성함으로써 냉매를 추가 공급하여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는 냉매 공급 모세관에 한정되지 않고, 냉매 공급 노즐에도 적용 가능하다. That is, by forming the at least one refrigerant supply port 230, 231 and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250, 251, the refrigerant can be additionally supplied to enhance the cooling effect. This is not limited to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but is also applicable to the refrigerant supply nozzle.

특히, 드럼식 제빙기에서 모세관 또는 노즐을 복수 개 형성하여 순간 제빙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세관 또는 노즐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 냉매의 도달거리가 훨씬 줄어들어 증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복수 개의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 그 위치 및 개수에 제한이 없어 증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In particular, in a drum type ice maker, a plurality of capillaries or nozzles may be formed to enable instantaneous ice making.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capillaries or nozzles are formed, the reaching distance of the refrigerant is much reduced and the efficiency of evaporation can be increased. Furthermore, when a plurality of nozzles are use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nozzles, and the evaporation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따라서, 순간 제빙이 가능하고, 산업용 제빙기 등 대형화된 제빙기에 적용하여 모세관 또는 노즐의 개수를 늘려 증발 효율을 높임으로써 제빙기의 성능이 좋아질 수 있다.
Accordingly, instantaneous ice-making is possible, and the performance of the ice-maker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apillaries or nozzles by increasing the evaporation efficiency by applying it to a large-sized ice maker such as an industrial ice mak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냉매 파이프의 내부에 냉매 공급 모세관이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내관 하부뿐만 아니라, 냉매가 유출되는 상부의 냉각 효율도 우수하여, 내관을 균일하게 냉각하여 빙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ant supply capillary tube is formed inside the coolant pipe, so that not only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tube into which the coolant flows but also the cooling efficiency at the upper portion where the coolant flows out is also excellent, Can be increased.

또한, 냉매 파이프를 세로가 긴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내부에 냉매 공급 모세관 또는 냉매 공급 노즐을 삽입하여 증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Further, the refrigerant pipe may be formed into a vertically elongated oval shape, and a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or a refrigerant supply nozzle may be inserted therein to enhance the evaporation effect.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20)

내부에 제빙 공간부가 마련되어 동축으로 설치되는 오거를 수용하는 내관;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장 형성되고, 양단에 냉매 유입구와 냉매 유출구가 형성되는 냉매 파이프;
상기 내관과 상기 냉매 파이프를 수용하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 모세관
을 포함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An inner pipe accommodating auger provided with an ice-making space portion therein and coaxially installed therein;
A refrigerant pipe in which a coolant inlet port and a coolant outlet port are formed at both ends in a spiral shape, which is recommend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An outer pipe housing the inner pipe and the refrigerant pipe; And
A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for supplying a refrigerant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파이프는
상기 외관의 상단에 상기 냉매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관의 하단에 상기 냉매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igerant pipe
Wherein the refrigerant outlet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tube and the refrigerant inlet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outer tub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파이프는
단면이 세로 길이가 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igerant pi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an oval having a long vertical length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공급 모세관은
상기 외관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냉매 공급구가 형성되어 상기 냉매 공급구에 의해 냉매가 공급되고,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에 끝단이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내부로 상기 냉매가 공급되어 증발이 발생한 다음, 상기 냉매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At least one refrigerant supply port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e so that the refrigerant is supplied by the refrigerant supply port and an end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so that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side by pressure Evaporated, then discharged to the refrigerant outlet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공급 모세관은
상기 냉매 유출구 측에 형성되고, 직경이 상기 냉매 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냉매 공급구를 관통하여 끝단이 굴절 형성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The refrigerant pi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and having an end bent through the refrigerant supply port to be accommod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공급 모세관은
상기 내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은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상기 냉매를 공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And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formed in the inner tube, wherein the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supply the coolant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공간부는
상기 내관의 내벽에 물이 공급되어 얼음이 형성되며, 상기 오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얼음을 절단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ner tube to form ice, and the ice is cut by the rotation of the aug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원통 형상의 내관;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장 형성되고, 양단에 냉매 유입구와 냉매 유출구가 형성되는 냉매 파이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관과 상기 냉매 파이프를 수용하고, 외주면에서 제빙이 발생하는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 모세관
을 포함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A cylindrical inner tube;
A refrigerant pipe in which a coolant inlet port and a coolant outlet port are formed at both ends in a spiral shape, which is recommend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An outer tube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ouses the inner pipe and the refrigerant pipe, and which generates i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for supplying a refrigerant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과 외관은 급수조에 일정 부분 담겨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외관의 외주면에 상기 급수조에 의해 공급된 원료가 냉각된 다음, 절삭날을 이용하여 절단하여 가루얼음을 생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are rotated by a driving motor with a certain portion in the water supply tank, the raw material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tank is coo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ipe, and then cut using a cutting edge to produce powder ic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파이프는
단면이 세로 길이가 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rigerant pi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an oval having a long vertical length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공급 모세관은
직경이 상기 냉매 파이프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에 형성된 상기 냉매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되되, 상기 냉매 유출구 측에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The refrigerant pi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and being accommod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공급 모세관은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에 끝단이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내부로 상기 냉매가 공급되어 증발이 발생한 다음, 상기 냉매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An end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and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side by pressure to be evapora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refrigerant outlet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파이프는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에 권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외관에 밀착되고 상기 내관과 이격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rigerant pipe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re preferably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nd are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tub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tub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공급 모세관은
상기 내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은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상기 냉매를 공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rigerant supply capillary tube
And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formed in the inner tube, wherein the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supply the coolant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내부에 제빙 공간부가 마련되어 동축으로 설치되는 오거를 수용하는 내관;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관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형 스크루;
상기 내관과 상기 나선형 스크루를 수용하는 외관; 및
상기 내관에 형성되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
을 포함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An inner pipe accommodating auger provided with an ice-making space portion therein and coaxially installed therein;
A spiral screw having an inner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receive the inner pipe and having a helical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 outer tube for receiving the inner tube and the helical screw; And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formed in the inner tube for supplying coolant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과 상기 나선형 스크루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 refrigerant supply unit for supplying a refrigerant 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tube and the helical screw,
And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urther formed on the evaporato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크루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piral screw
Made of polyether ether ketone (PEEK) and injection molded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원통 형상의 내관;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관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형 스크루;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관과 상기 나선형 스크루를 수용하고, 외주면에서 제빙이 발생하는 외관; 및
상기 내관에 형성되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냉매 공급 노즐
을 포함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A cylindrical inner tube;
A spiral screw having an inner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receive the inner pipe and having a helical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 outer tube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ccommodates the inner tube and the helical screw, and which generates ice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 plurality of coolant supply nozzles formed in the inner tube for supplying coolant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과 상기 나선형 스크루의 사이 공간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A refrigerant supply unit for supplying a refrigerant 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tube and the helical screw,
And a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urther formed on the evaporato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크루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piral screw
Made of polyether ether ketone (PEEK) and injection molded
Wherein the refrigerant evaporating pipe is formed in the evaporator.
KR1020140163139A 2014-11-21 2014-11-21 Ice maker for forming refrigerant evaporator KR201600609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139A KR20160060934A (en) 2014-11-21 2014-11-21 Ice maker for forming refrigerant evapo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139A KR20160060934A (en) 2014-11-21 2014-11-21 Ice maker for forming refrigerant evapo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934A true KR20160060934A (en) 2016-05-31

Family

ID=5609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139A KR20160060934A (en) 2014-11-21 2014-11-21 Ice maker for forming refrigerant evapo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093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849B1 (en) * 2020-10-08 2021-02-23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Method of attaching refrigerant pipe of an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and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for energy savings
KR102235287B1 (en) * 2020-02-11 2021-04-02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Method of attaching refrigerant pipe of an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and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287B1 (en) * 2020-02-11 2021-04-02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Method of attaching refrigerant pipe of an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and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KR102218849B1 (en) * 2020-10-08 2021-02-23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Method of attaching refrigerant pipe of an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and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for energy sav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843B1 (en) A drum type machine for making ice
EP2419192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20160060934A (en) Ice maker for forming refrigerant evaporator
BR112016022942B1 (en) Apparatus for pressing oilseeds
KR20170105301A (en) Ice maker
US5394708A (en) Auger-type ice making apparatus
JPWO2016013584A1 (en) Ice making equipment
JP5395131B2 (en) Slurry ice making equipment
KR101640421B1 (en) Direct ice making device
KR101509215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ntaneous ice making for guiding the flow of refrigerant
KR101433526B1 (en) Ice maker
KR102247219B1 (en) Cold water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732165B1 (en) Refrigerator including ice tray and ice tra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ce tray
KR100750089B1 (en) Refrigerants cycle device for ice making machine
US20030159459A1 (en) Auger-type ice making apparatus with improved evaporator
JP2017003239A (en) Ice-making machine
KR1015126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ce
KR102316928B1 (en) Ice-maker
JP7086603B2 (en) Ice maker and heat exchanger for the ice maker
JP2014129908A (en) Auger type ice-making machine
KR102128070B1 (en) Evaporator of auger-type ice machine
KR101728133B1 (en) Apparatus of instantaneous ice making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evenly
KR200480759Y1 (en) Snow ice maker
KR102000498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2029758B1 (en) Evaporating tube structure of auger type ice maker horizontally install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