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886A - 장갑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갑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886A
KR20160060886A KR1020140162916A KR20140162916A KR20160060886A KR 20160060886 A KR20160060886 A KR 20160060886A KR 1020140162916 A KR1020140162916 A KR 1020140162916A KR 20140162916 A KR20140162916 A KR 20140162916A KR 20160060886 A KR20160060886 A KR 20160060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silicone
hardness
resin mix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128B1 (ko
Inventor
이미남
Original Assignee
이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남 filed Critical 이미남
Priority to KR102014016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1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03Multi-way nozz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갑 제조방법은 고인장 실리콘과 저경도 실리콘이 혼합된 신율이 높은 수지조성물과 시온안료가 혼합된 조성물로 일정온도에서 사출성형시켜, 착용성과 신율이 우수하며 시각적으로 운동효과를 인지할 수 있는 장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장갑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GLOVE}
본 발명은 장갑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소재를 사용하여 저온에서 사출성형함으로써 착용감과 신율을 높일 수 있는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가나 필라테스 등의 운동이나 운동기구를 잡고 운동을 하는 경우에, 운동기구를 잡거나 매트에 손바닥으로 체중을 유지시킬 때 손바닥의 땀으로 인해 쉽게 미끄러져 장갑을 착용하고 운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운동용 장갑은 라텍스나 실리콘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장갑의 종래기술은 하기와 같다.
한국등록특허 제1345655호에서는 골프용 장갑을 라텍스나 니트릴, 실리콘 드으이 고무재질로 형성하고, 골프용 장갑에 요철형태의 돌기를 구성하여 손과의 접촉면은 요(凹)형태로 구성하여 손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공기가 순환되어 땀의 발생을 억제하며, 그립과 골프장갑 사이에 마찰력을 증대시켜 골프채 그립이 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골프용 장갑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라텍스나 실리콘 등의 장갑을 착용하고 운동을 하는 경우에, 장갑의 신율과 수축성이 떨어져 실리콘 소재의 장갑이 손바닥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착용되지 않아, 손바닥의 땀으로 인해 장갑을 착용하여도 매트에 손바닥을 대거나 운동기구를 잡는 경우에도 쉽게 미끄러져 운동기구가 손에서 쉽게 빠질 수 있다.
또한, 장갑을 착용시에도 장갑이 밀착되지 않아 운동시의 지압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면 발명된 것으로, 신율과 인열강도가 우수한 실리콘소재를 사용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며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고, 체중이나 운동기구의 무게로 손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손바닥의 충격을 분산시키도록 하는 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시온안료가 배합된 실리콘소재를 사용하여 손바닥의 체온을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운동효과를 인지할 수 있는 장갑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지혼합물과 손의 온도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안료가 혼합된 조성물을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갑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혼합물은 인열강도 40이상인 고인장실리콘 및 경도 30이하인 저경도실리콘이 혼합되며, 상기 수지혼합물은 고인장실리콘 및 저경도실리콘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출성형은 100~150℃에서 5분~6분동안 유지시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시온안료는 상기 조성물의 5중량부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고인장 실리콘과 저경도 소재의 실리콘을 혼합하여 저온에서 장시간으로 사출성형으로 신율과 수축성이 우수한 장갑을 제조함으로써, 착용감이 우수하고 운동시에 매트나 운동기구와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중과 운동기구 등의 힘을 분산시켜 손바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리콘소재에 시온안료가 배합되어 시각적으로 운동효과를 인지할 수 있으며, 장갑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며, 착용시 신축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을 착용한 상태의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갑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장갑(100)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혼합물과 시온안료를 제조한다.
상기 수지혼합물은 라텍스나 고무 등 다양한 천연수지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운동용에 적합하고 인열강도, 신율 및 수축성이 우수한 실리콘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혼합물은 고인장 실리콘과 저경도 실리콘이 혼합된 구성이다.
일반 실리콘은 인열강도가 25~30이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인장 실리콘은 인열스테르테스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도록 인열강도가 4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열강도가 40~60이다.
또한, 일반 실리콘이 경도가 30~50로서 신율이 저경도 실리콘에 비해 떨어지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저경도 실리콘은 경도가 30 이하의 소재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일반 실리콘에 비해 신율이 높은 특성을 나타내어 신율 900~1000%의 물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저경도 실리콘은 경도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경도가 10~3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혼합물은 상기 고인장실리콘 및 상기 저경도실리콘을 각각 1:1~1:0.8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료안료의 배합비율은 분말가루형태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장갑의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5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를 기준으로 3~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온안료가 전체 조성물의 5중량% 초과시 배합원료의 물성에 영향을 주어 신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사출성형시 수지혼합물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분말형태인 시온안료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장갑에 분말이 묻어나올 수 있다.
시온안료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안료로서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안료로서 운동을 하면서 손의 체온이 올라가는 경우에 운동효과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시온안료는 두가지 색깔 이상의 다른 안료를 조합함으로써 운동시의 손바닥의 체온변화를 시각적으로 다양한 색깔로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은 수지혼합물과 상기 시온안료를 혼합된 조성물을 100~150℃에서 5분~7분 동안 유지시켜 가열용해시킨 후 사출성형하는 바람직하다. 상기 사출성형시 온도를 150℃이상으로 고온으로 가열하는 경우에는 신율과 인열강도가 낮아지며 사출성형시 수지혼합물이 금형에 붙어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으며, 100℃이하로 가열시에는 수지혼합물과 시온안료가 완전히 용해가 되지 않으며 신율과 인열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출성형되어 제조되는 장갑(100)두께는 실리콘 소재로 0.8mm~1.3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장갑두께가 1.3mm이하인 경우 신율과 수축성이 높아지며, 손에 착용시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상가 장갑의 손바닥 부분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갑(100)을 사출성형시 손바닥 부분에 다수개의 홈(40)이 소정간격으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손바닥에 착용시 실리콘 소재의 장갑이 쉽게 늘어나 착용감이 좋아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의 손바닥부분에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20)가 형성되어 손바닥과 접촉되는 매트나 운동기구와의 미끄럼을 방지하며, 체중이나 운동기구의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0)는 사출성형시 장갑두께를 달리하여 장갑(100)에 일체로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장갑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특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인열강도 50인 고인장 실리콘과 경도28인 저경도 실리콘을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한 수지혼합물과 시온안료를 전체중량부에 대하여 4%중량인 분말가루를 혼합한 후 100~150℃에서 5~7분 동안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두께가 1.3mm인 장갑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와 수지혼합물과 시온안료의 조건은 동일하게, 인열강도 50인 고인장 실리콘과 경도28 저경도 실리콘을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한 수지혼합물과 시온안료를 전체중량부에 대하여 4%중량인 분말가루를 혼합한 후 150~170℃에서 4~6분 동안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두께가 1.3mm인 장갑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와 수지혼합물과 시온안료의 조건은 동일하게, 인열강도 50인 고인장 실리콘과 경도28 저경도 실리콘을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한 수지혼합물과 시온안료를 전체중량부에 대하여 4%중량인 분말가루를 혼합한 후 90~100℃에서 7~9분 동안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두께가 1.3mm인 장갑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인열강도 및 신율측정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장갑에 대해 인열강도와 신율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두께(mm) 인열강도(N) 신율(%)
비교예1 1.31 45.548 1031
비교예2 1.31 46.157 1006
실시예 1.31 49.412 122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고인장실리콘과 저경도 실리콘 및 시온안료를 혼합하여 100~150℃에서 5~7분동안 가열용해시켜 사출성형한 장갑을 제조한 실시예 1의 장갑은 150~170℃에서 4~5분 동안 가열용해시켜 사출성형한 비교예 1 와 90~100℃에서 7~9분 동안 가열용해시켜 사출성형한 비교예 2의 장갑에 비해 인열강도 및 신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0: 미끄럼방지부 40: 홈
100: 장갑

Claims (7)

  1. 수지혼합물과 손의 온도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안료가 혼합된 조성물을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갑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혼합물은 인열강도 40이상인 고인장실리콘 및 경도 30이하인 저경도실리콘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혼합물은 고인장실리콘 및 저경도실리콘을 각각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은 100~150℃에서 5분~6분 동안 유지시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온안료는 상기 조성물의 5중량부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시 손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홈과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엠보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제조방법.
KR1020140162916A 2014-11-20 2014-11-20 장갑 제조방법 KR101704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16A KR101704128B1 (ko) 2014-11-20 2014-11-20 장갑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16A KR101704128B1 (ko) 2014-11-20 2014-11-20 장갑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886A true KR20160060886A (ko) 2016-05-31
KR101704128B1 KR101704128B1 (ko) 2017-02-08

Family

ID=5609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916A KR101704128B1 (ko) 2014-11-20 2014-11-20 장갑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1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747A (ko) 2020-03-23 2021-10-0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유기막 형성용 재료, 반도체 장치 제조용 기판, 유기막의 형성 방법, 패턴 형성 방법 및 유기막 형성용 화합물
KR20220045560A (ko) 2020-10-05 2022-04-12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유기막 형성용 재료, 반도체 장치 제조용 기판, 유기막의 형성 방법, 패턴 형성 방법 및 유기막 형성용 화합물
KR20220117819A (ko) 2021-02-15 2022-08-24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유기막 형성용 재료, 반도체 장치 제조용 기판, 유기막의 형성 방법, 패턴 형성 방법 및 유기막 형성용 화합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4890A (ko) * 2008-03-04 2009-09-09 서대일 코팅층이 형성된 골프장갑
KR100976036B1 (ko) * 2009-11-30 2010-08-17 오승록 스트롱 그립퍼를 구비한 골프장갑 및 스트롱 크립퍼를 이용한 골프 클럽의 그립 방법
JP2011080185A (ja) * 2009-10-12 2011-04-21 David Gellis 多用途手袋
KR101345655B1 (ko) * 2012-09-19 2013-12-27 (주)씨에치엘텍 골프용 장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4890A (ko) * 2008-03-04 2009-09-09 서대일 코팅층이 형성된 골프장갑
JP2011080185A (ja) * 2009-10-12 2011-04-21 David Gellis 多用途手袋
KR100976036B1 (ko) * 2009-11-30 2010-08-17 오승록 스트롱 그립퍼를 구비한 골프장갑 및 스트롱 크립퍼를 이용한 골프 클럽의 그립 방법
KR101345655B1 (ko) * 2012-09-19 2013-12-27 (주)씨에치엘텍 골프용 장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747A (ko) 2020-03-23 2021-10-0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유기막 형성용 재료, 반도체 장치 제조용 기판, 유기막의 형성 방법, 패턴 형성 방법 및 유기막 형성용 화합물
KR20220045560A (ko) 2020-10-05 2022-04-12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유기막 형성용 재료, 반도체 장치 제조용 기판, 유기막의 형성 방법, 패턴 형성 방법 및 유기막 형성용 화합물
KR20220117819A (ko) 2021-02-15 2022-08-24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유기막 형성용 재료, 반도체 장치 제조용 기판, 유기막의 형성 방법, 패턴 형성 방법 및 유기막 형성용 화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128B1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6670A1 (en) Liquid injection molded hand grips
TWI435747B (zh) 可變硬度手柄
US7381156B2 (en) Exercise device
KR101704128B1 (ko) 장갑 제조방법
US20200360775A1 (en) Lightweight multicolor compression molded grip
AU2007255121B2 (en) Hand grip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30269211A1 (en) Footwear
Nikolaidis et al. Inter-individual variability in soccer players of different age groups playing different positions
WO2009058167A1 (en) Golf club gri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8047235A (ja) リマインダーリブをもつゴルフグリップ
US9339690B1 (en) Exercise devices, guide/hook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130041722A (ko) 골프용 장갑
US9636536B2 (en) Resistance training apparatus
US7824350B2 (en) Towel structure with projected energy body
US20090005510A1 (en) Aramid fiber reinforcement for elastomeric products
KR200255648Y1 (ko) 골프장갑
KR200401494Y1 (ko)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골프 그립
KR101437566B1 (ko) 골프용 장갑
JP1709612S (ja) スポーツ用マウスガード
US20210106892A1 (en) Twist-inhibiting collar for sport
JP2517924B2 (ja) グリツプ
KR20150095303A (ko) 줄넘기
CN206007966U (zh) 一种握姿纠正兵乓球拍
Rogers et al. Caloric Expenditure of Elastic Resistance Training in Upper and Lower Body Exercise: 900 Board# 315 May 28, 3: 30 PM-5: 00 PM
KR20180000718U (ko) 미끄럼방지 스포츠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