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439A -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439A
KR20160060439A KR1020140162767A KR20140162767A KR20160060439A KR 20160060439 A KR20160060439 A KR 20160060439A KR 1020140162767 A KR1020140162767 A KR 1020140162767A KR 20140162767 A KR20140162767 A KR 20140162767A KR 20160060439 A KR20160060439 A KR 20160060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rtual
screen
image data
vi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828B1 (ko
Inventor
최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8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시야각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객체 크기를 확장시켜 표시함으로써, 시청자가 정면이 아닌 위치에서 화면을 시청하더라도 정면에서 시청하는 효과를 줄 수 있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가 제공된다. 영상데이터 보상장치는 가상화면생성부 및 데이터보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Apparatus for data compensa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청자가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벗어난 시야각에서 화면을 시청하더라도 정면에서 시청하는 것과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데이터를 보상할 수 있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에는 평판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가 이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이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들은 시청자가 정면에서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경우에,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 즉 영상이 시청자에게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청자가 정면이 아닌 측면에서 화면을 바라볼 때 시청자는 왜곡된 영상을 인지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시청위치에 따라 시청자가 인식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의 화면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객체(15)가 표시되고 있다.
그리고, 시청자는 표시장치(10)의 정면에서 화면을 시청하기 때문에, 표시장치(10)의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객체(15)는 동일한 크기로 시청자에게 인식된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가 표시장치(10)의 일측으로 치우친 방향에서 화면을 시청하는 경우에, 표시장치(10)의 화면에 표시되는 다수의 객체(15)는 동일하지 않은 크기로 시청자에게 인식된다.
다시 말해, 도 1b와 같이, 시청자가 표시장치(10)의 좌측에서 화면을 응시하는 경우에,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다수의 객체(15)는 우측 방향, 즉 시청자의 시선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으로 시청자에게 인식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평판표시장치에서는 시청자가 정면에서 화면을 시청한다고 가정하여 정면용 영상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시청자의 시청위치가 달라지게 되면 시청자는 시청위치에 따라 정면용 영상이 왜곡된 영상을 시청하게 되어 정확한 정보 전달이 불가하였다.
본 발명은 시청위치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상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청자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정면에서 시청하는 것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 보상장치는, 가상화면생성부 및 데이터보상부를 포함한다.
가상화면생성부는 시청자의 위치에 따른 시청자 시야각으로부터 표시패널의 가상화면을 생성한다.
데이터보상부는 영상신호로부터 가상화면에 표시되는 가상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패널의 원 화면과 가상화면의 화면 크기비율에 따라 가상영상데이터의 객체 크기를 보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터 보상장치는, 시야각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객체 크기를 확장시켜 표시함으로써, 시청자가 정면이 아닌 위치에서 화면을 시청하더라도 정면에서 시청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시청위치에 따라 시청자가 인식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데이터 보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영상데이터 보상부의 동작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영상데이터 보상부의 동작 예시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데이터확장부의 동작 예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영상데이터 보상장치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액정표시장치 외에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장치에서도 영상데이터 보상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110), 게이트구동부(120), 데이터구동부(130), 타이밍제어부(140) 및 위치감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패널(110)은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라인(GL) 및 다수의 데이터라인(DL)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이 교차되는 영역에는 화소(pixel)가 정의되고, 각 화소에는 박막트랜지스터(T), 액정커패시터(Clc) 및 스토리지커패시터(Cst)가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구동부(120)는 타이밍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된 게이트제어신호(GCS)에 따라 게이트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이트신호를 액정패널(110)의 다수의 게이트라인(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구동부(120)는 액정패널(110)과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액정패널(110) 내에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부(130)는 타이밍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제어신호(DCS)에 따라 영상데이터(RGB')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신호를 액정패널(110)의 다수의 데이터라인(DL) 각각에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부(130)는 감마전압발생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된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RGB')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구동부(130)로 제공되는 영상데이터(RGB')는 후술될 영상데이터 보상부(150)에 의해 보상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타이밍제어부(140)는 외부 시스템(미도시)에서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제어신호(GCS) 및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제어신호(GCS) 및 데이터제어신호(DCS)는 각각 게이트구동부(120) 및 데이터구동부(130)로 출력될 수 있다.
게이트제어신호(GCS)는 게이트스타트펄스(GSP), 게이트쉬프트클럭(GSC), 출력인에이블신호(GO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제어신호(DCS)는 소스스타트펄스(SSP), 소스샘플링클럭(SSC), 출력인에이블신호(SOE), 극성제어신호(P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감지부(160)는 카메라, 초음파 거리센서 등과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감지부(160)는 액정표시장치(100)의 전면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시청자의 시청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정보, 예컨대 시청위치(PI)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감지부(160)는 카메라일 수 있으며, 시청자 위치 감지를 위해 액정표시장치(100)의 전면 중앙 및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타이밍제어부(140)는 영상데이터 보상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 보상부(150)는 위치감지부(160)로부터 제공된 시청위치(PI)에 따라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된 영상신호(RGB) 중에서 특정영역의 객체 크기가 보상된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표시장치(100)는 시청자가 정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가정하여 정면용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시청자가 액정표시장치(100)의 정면이 아닌 위치에 있는 경우에, 시청자는 정면용 영상과 대비하여 객체의 크기가 왜곡된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데이터 보상부(150)는 시청자가 어느 위치에서라도 정면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영상의 객체 크기가 보상된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데이터 보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영상데이터 보상부의 동작순서도이다. 또, 도 5a 내지 도 5d는 영상데이터 보상부의 동작 예시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영상데이터 보상부(150)는 위치산출부(151), 가상화면생성부(153) 및 데이터보상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산출부(151)는 위치감지부(160)로부터 제공된 시청위치(PI)로부터 시청자 시야각(θ)을 산출할 수 있다(S10). 시청자 시야각(θ)은 액정패널(110)의 중심에서 시청자의 시청위치(PI)까지의 이격 정도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산출부(151)는 정면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액정패널(110)의 중앙부, 즉 화면의 중심점(C)의 좌표와 위치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된 시청위치(PI)의 좌표 간의 각도로 시청자 시야각(θ)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화면생성부(153)는 위치산출부(151)에서 산출된 시청자 시야각(θ)에 따라 가상화면(VS)을 생성할 수 있다(S20). 가상화면(VS)은 원 화면(S)의 일부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화면생성부(153)는 시청자 시야각(θ)에 따라 원 화면(S)으로부터 사다리꼴 형태로 일부 영역이 제거된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을 생성할 수 있다.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은 일변(a), 예컨대 시청위치(PI)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화면의 일측변이 이와 대응되는 원 화면(S)의 일변(b)보다 작은 길이(a<b)를 갖도록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일변(a)의 길이는 시청자 시야각(θ)의 크기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시청자 시야각(θ)이 커질수록 가상화면생성부(153)는 경사변의 기울기가 점차 증가되는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일변(a)의 길이는 점차 작아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시청자가 원 화면(S)의 중심점(C)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시청자 시야각(θ)이 산출되고, 이러한 시청자 시야각(θ)에 따라 가상화면생성부(153)에서 수평방향으로 점차 작아지는 형태의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을 생성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시청자가 원 화면(S)의 중심점(C)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시청자 시야각(θ)이 산출될 수도 있으며, 이때 가상화면생성부(153)는 수직방향으로 점차 작아지는 형태의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화면생성부(153)는 시청자 시야각(θ)으로부터 수식 등을 통해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을 생성하거나, 시청자 시야각(θ)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대응되는 가상화면(VS)의 형태, 즉 가상화면(VS)의 일변(a) 길이가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미도시)을 이용하여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보상부(155)는 가상화면생성부(153)에서 생성된 사다리꼴 가상화면(VS) 내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 예컨대 가상영상데이터(v_data)를 예측하여 생성할 수 있다(S30). 또, 데이터보상부(155)는 생성된 가상영상데이터(v_data)를 원 화면(S)과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크기비율, 즉 화면비율에 따라 보상하여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할 수 있다(S40). 생성된 영상데이터(RGB')는 데이터구동부(130)로 출력될 수 있다(S50). 데이터보상부(155)는 가상화면데이터생성부(156) 및 데이터확장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면데이터생성부(156)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RGB)로부터 사다리꼴 가상화면(VS)에 표시될 가상영상데이터(v_data)를 예측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RGB)는 다수의 객체, 예컨대 제1 내지 제4영상객체(d1~d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영상객체(d1~d4)는 동일한 크기, 예컨대 동일한 수직길이를 가지며 원 화면(S)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화면생성부(153)는 시청자 시야각(θ)에 따라 원 화면(S)보다 크기가 작은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화면데이터생성부(156)는 영상신호(RGB)로부터 사다리꼴 가상화면(VS)에 표시될 가상영상데이터(v_data)를 예측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가상화면데이터생성부(156)는 영상신호(RGB)의 제1 내지 제4영상객체(d1~d4)와 대응되도록 제1 내지 제4가상객체(D1~D4)가 포함된 가상영상데이터(v_data)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가상화면데이터생성부(156)는 사다리꼴 가상화면(VS)에 대한 가상영상데이터(v_data)를 생성하기 때문에,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1 내지 제4가상객체(D1~D4)는 영상신호(RGB)의 제1 내지 제4영상객체(d1~d4)와 대비하여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원 화면(S)에서 제1영상객체(d1)가 표시되는 영역과 이에 대응되는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영역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화면데이터생성부(156)는 영상신호(RGB)의 제1영상객체(d1)와 동일한 크기, 즉 동일한 수직길이를 갖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1가상객체(D1)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원 화면(S)에서 제2영상객체(d2)가 표시되는 영역과 이에 대응되는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영역은 동일한 크기가 아닐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화면데이터생성부(156)는 영상신호(RGB)의 제2영상객체(d2)보다 작은 크기, 즉 작은 수직길이를 갖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2가상객체(D2)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 화면(S)에서 제3 및 제4영상객체(d3, d4)가 각각 표시되는 영역과 이에 대응되는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영역도 동일한 크기가 아닐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화면데이터생성부(156)는 영상신호(RGB)의 제3 및 제4영상객체(d3, d4)보다 작은 수직길이를 갖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3 및 제4가상객체(D3, D4)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4가상객체(D4)는 제2 및 제3가상객체(D2, D3)보다 작은 수직길이를 갖도록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확장부(157)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다수의 객체, 즉 제1 내지 제4가상객체(D1~D4)의 크기를 보상하고, 크기가 보상된 다수의 객체로 구성된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확장부(157)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1 내지 제4가상객체(D1~D4)의 수직길이를 확장시켜 보상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확장부(157)는 원 화면(S)과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화면비율에 따라 제1 내지 제4가상객체(D1~D4)의 수직길이를 확장시켜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확장부(157)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1 내지 제4가상객체(D1~D4) 각각에 대한 확장데이터, 예컨대 제1 내지 제4확장데이터(D2'~D4')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1가상객체(D1)는 영상신호(RGB)의 제1영상객체(d1)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므로, 데이터확장부(157)는 제1가상객체(D1)에 대한 확장데이터는 생성하지 않는다.
제2 내지 제4확장데이터(D2'~D4')는 원 화면(S)과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화면비율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확장부(157)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2가상객체(D2)가 표시되는 영역의 일변 길이와 이에 대응되는 원 화면(S)의 일변 길이의 비율에 따라 제2가상객체(D2)에 대한 제2확장데이터(D2')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데이터확장부(157)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3 및 제4가상객체(D3, D4)가 각각 표시되는 영역의 일변 길이와 이에 대응되는 원 화면(S)의 일변 길이의 비율에 따라 제3 및 제4가상객체(D3, D4)에 대한 제3 및 제4확장데이터(D3', D4')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확장부(157)는 도 5b에 도시된 원 화면(S)의 일변(b)과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일변(a)의 길이 비율에 따라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각 객체에 대한 확장데이터를 b/a의 비율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비율은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객체가 표시되는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영역의 일변 및 이에 대응되는 원 화면(S)의 영역의 일변에 대한 길이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어,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확장부(157)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각 객체에 대응되는 확장데이터를 결합시킴으로써, 객체 크기가 보상된 영상데이터(RGB')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확장부(157)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2가상객체(D2)에 제2확장데이터(D2')를 결합시켜 영상데이터(RGB')의 제2보상객체(D2'')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확장데이터(D2')는 제2가상객체(D2)의 상단 및 하단에 동일 크기로 분할되어 결합되며, 이에 따라 객체 수직길이가 확장된 영상데이터(RGB')의 제2보상객체(D2'')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데이터확장부(157)는 제3 및 제4확장데이터(D3', D4') 각각을 동일 크기로 분할하고, 분할된 확장데이터를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3 및 제4가상객체(D3, D4)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시켜 객체 수직길이가 확장된 영상데이터(RGB')의 제3 및 제4보상객체(D3'', D4'')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다리꼴 가상화면(VS)에는 객체 크기, 즉 객체 수직길이가 확장된 영상데이터(RGB')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시청자(P)가 정면이 아닌 영역, 예컨대 정면에서 좌측으로 치우친 영역에서 화면을 시청하더라도 객체 크기가 확장된 영상데이터(RGB')에 의해 보여지는 범위가 넓어지게 되어 정면에서 화면을 시청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데이터확장부의 동작 예시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확장부(157)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객체의 계조레벨 또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객체와 인접하는 픽셀의 계조레벨에 따라 확장데이터의 계조레벨을 정의할 수 있다.
도 5c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일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1 내지 제6픽셀(P1~P6)이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일변에는 가상영상데이터(v_data)의 제4가상객체(D4)가 제3픽셀(P3) 및 제4픽셀(P4)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3픽셀(P3) 및 제4픽셀(P4)은 블랙(black)계조, 예컨대 255계조레벨을 가질 수 있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픽셀들은 화이트(white)계조, 예컨대 0계조레벨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확장부(157)는 원 화면(S)과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화면 비율에 따라 제4가상객체(D4)에 대한 제4확장데이터(D4')를 생성할 수 있다. 제4확장데이터(D4')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픽셀(P2) 및 제5픽셀(P5)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4확장데이터(D4')는 제4가상객체(D4) 및 이에 인접된 픽셀, 예컨대 도 6a에 도시된 제2 및 제5픽셀(P2, P5)의 계조레벨 평균값에 해당하는 계조레벨로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4확장데이터(D4')는 제4가상객체(D4)의 255계조레벨과 제2픽셀(P2) 및 제5픽셀(P5)의 0계조레벨의 평균값인 128계조레벨을 갖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확장부(157)가 제4가상객체(D4)와 이에 인접된 픽셀의 계조레벨 평균값을 이용하여 제4확장데이터(D4')를 생성함으로써, 제4확장데이터(D4')에 의해 확장된 영상데이터(RGB')의 제4보상객체(D4'')가 제4가상객체(D4)에 비하여 휘도레벨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a에서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일변에 제2 내지 제5픽셀(P2~P5)이 배열되고, 제4가상객체(D4)가 제3 및 제4픽셀(P3, P4)로 표시되며, 제4확장데이터(D4')가 제2 및 제5픽셀(P2, P5)로 표시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확장부(157)는 제4가상객체(D4) 및 제4확장데이터(D4')가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일변 전체에 표시되기 때문에, 제4확장데이터(D4')의 계조레벨을 제4가상객체(D4)의 계조레벨과 동일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a에서 사다리꼴 가상화면(VS)의 일변에 제1 내지 제6픽셀(P1~P6)이 배열되고, 제4가상객체(D4)가 제3 및 제4픽셀(P3, P4)로 표시되며, 제4확장데이터(D4')가 제2픽셀(P2)로 표시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확장부(157)는 제4확장데이터(D4')의 계조레벨을 제4가상객체(D4)의 계조레벨에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한 계조레벨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0과 1사이의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 보상부(150)는 시청자 시야각(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RGB')의 객체 크기를 수직방향으로 확장시켜 보상하여 출력함으로써, 시청자가 액정표시장치(100)의 정면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시청자에게 정면에서 화면을 시청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액정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왜곡없이 시청하여 정확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데이터 보상부(150)가 포함된 액정표시장치(100)는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오토모티브(automotive)향(向) 제품으로 제조되어 차량에 설치된 경우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예컨대, 오토모티브용 액정표시장치는 보통 차량 내부의 중앙에 설치되며, 운전자는 좌측에서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을 시청하게 된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가 오토모티브용으로 설치된 경우에 운전자는 좌측 시야각에서 액정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면용 영상을 시청하게 되므로 정면용 영상이 왜곡되어 시청자에게 인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액정표시장치는 운전자의 좌측 시야각에서 객체 크기가 보상된 영상을 표시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정면용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어 왜곡된 정보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액정표시장치 110: 액정패널
120: 게이트구동부 130: 데이터구동부
140: 타이밍제어부 150: 영상데이터 보상부
151: 위치산출부 153: 가상화면생성부
155: 데이터보상 156: 가상화면데이터생성부
157: 데이터확장부 160: 위치감지부

Claims (14)

  1. 시청자의 위치에 따른 시청자 시야각으로부터 표시패널의 가상화면을 생성하는 가상화면생성부; 및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가상화면에 표시되는 가상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원 화면과 상기 가상화면의 화면 크기비율에 따라 상기 가상영상데이터의 객체 크기를 보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보상부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면은 상기 시청자 시야각에 따라 상기 원 화면에서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면은 상기 시청자 시야각에 따라 사다리꼴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면은 상기 시청자 시야각이 커질수록 경사변 기울기가 커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보상부는,
    상기 가상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가상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상화면데이터생성부; 및
    상기 화면비율에 따라 상기 가상영상데이터로부터 확장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확장데이터로부터 상기 가상영상데이터의 객체 크기를 보상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영상데이터의 객체 수직길이는 상기 영상신호의 객체 수직길이보다 감소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데이터는 상기 가상영상데이터의 객체로부터 b/a의 비율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여기서, a는 가상화면의 일변의 길이를 의미하고, b는 상기 가상화면의 일변과 대응되는 원 화면의 일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상기 확장데이터로 상기 가상영상데이터의 객체 수직길이를 확장시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데이터는 상기 가상영상데이터 및 인접하는 픽셀의 계조레벨 평균값의 계조레벨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데이터는 상기 가상영상데이터의 계조레벨과 동일한 계조레벨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데이터는 상기 가상영상데이터의 계조레벨에 가중치가 부여된 계조레벨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의 시청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표시패널의 중심점 좌표와 상기 시청위치의 좌표가 사이의 각도에 따른 상기 시청자 시야각을 산출하는 위치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하나 이상 구비된 카메라 또는 초음파 거리센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14.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시청자의 시청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시청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영상데이터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데이터 보상부는,
    시청자의 위치에 따른 시청자 시야각으로부터 표시패널의 가상화면을 생성하는 가상화면생성부; 및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가상화면에 표시되는 가상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원 화면과 상기 가상화면의 화면 크기비율에 따라 상기 가상영상데이터의 객체 크기를 보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40162767A 2014-11-20 2014-11-20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52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67A KR102252828B1 (ko) 2014-11-20 2014-11-20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67A KR102252828B1 (ko) 2014-11-20 2014-11-20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439A true KR20160060439A (ko) 2016-05-30
KR102252828B1 KR102252828B1 (ko) 2021-05-14

Family

ID=5712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767A KR102252828B1 (ko) 2014-11-20 2014-11-20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9762B2 (en) 2017-12-06 2020-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arameter of virtual scre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623A (ko) * 2000-09-27 2002-07-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188218A (ja) * 2006-01-12 2007-07-26 Seiko Epson Corp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38471A (ko) * 2011-10-10 2013-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위치 기반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623A (ko) * 2000-09-27 2002-07-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188218A (ja) * 2006-01-12 2007-07-26 Seiko Epson Corp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38471A (ko) * 2011-10-10 2013-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위치 기반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9762B2 (en) 2017-12-06 2020-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arameter of virtual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828B1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117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image of flexible display device
US10453396B2 (en) Bendable display panel and ben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2359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 distortion and curv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79374B1 (ko) 열화보상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084950A (ko) 곡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969135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luminance of a logo region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same
KR10205885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360412B1 (ko) 영상 생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05275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트랜지스터 특성 검출방법
KR10231569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50050244A (ko) 표시장치의 얼룩 검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얼룩 보상 방법
KR20220081161A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의 동작 방법
TW200834156A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003217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2020008042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148207B1 (ko) 열화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70062572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375270B1 (ko) 구동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39647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데이터 보상방법
KR20070109003A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50037303A (ko) 터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137949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252828B1 (ko)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79373B1 (ko) 열화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76244B1 (ko) 표시장치와 그의 로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