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643A - 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643A
KR20160058643A KR1020140160394A KR20140160394A KR20160058643A KR 20160058643 A KR20160058643 A KR 20160058643A KR 1020140160394 A KR1020140160394 A KR 1020140160394A KR 20140160394 A KR20140160394 A KR 20140160394A KR 20160058643 A KR20160058643 A KR 20160058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eiving
communication unit
pest
accommo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1917B1 (en
Inventor
최홍수
김미경
정태우
유재승
김준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4016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917B1/en
Publication of KR2016005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6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ollector and a harmful insec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The harmful insect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collection device including a collection net for collecting harmful insects, and a discharge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collection net; and an accommodation device including a central process part for creating coun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harmful insects, and an accommodating part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of the collection device and accommodating the harmful insects flowing in from the discharge hole of the collection device, wherein the accommodation part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an inlet formed in on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a rotary cas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able to rotate; and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rooms formed in the rotary case, wherein the accommodation rooms are formed in a radial form, centering the center of the rotary case, at predetermined angle intervals, and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inlet as the rotary case rotates, thereby accommodating the harmful insects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on room, in which the harmful insects collected by the smart collector are accommodated,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and thus, the overcrowding of the accommodation rooms can be prevented and accurate information of harmful insects can be obtained. Furthermore, there is no need that an investigator visits installation places of the smart collectors in order to change the accommodation room, and thus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rapper and a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mart trapper,

본 발명은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rapper and a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mart trapper.

매년마다 해충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충을 포집하여 제거하고 해충의 종류 및 계수를 파악하기 위한 공중 포집기가 설치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ir trapper is installed to collect and remove pests and identify the types and coefficients of pests.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바람이 강한 날이나 비가 오는 날 등 기후 조건이 좋지 않은 날에는 해충을 원활하게 포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air sampler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llect pests smoothly on weathery days such as windy or rainy days.

또한,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조사 요원이 직접 설치 현장을 방문하여 해충에 대한 계수 정보, 영상 정보 기타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공중 포집기를 수리 및 관리하여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공중 포집기를 수리 및 관리하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air samplers were required to visit the installation site directly to collect coun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other insect information about pests, and to repair and manage air samplers. Therefore, the conventional air trap has a problem that it requires a lot of manpower to collect insect information or to repair and manage the air trap.

또한,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이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이 수용되는 수용망을 구비하는데, 수용망에 수용된 해충의 밀도가 높아지면 정확한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없으므로, 조사 요원이 주기적으로 설치 현장을 방문하여 수용망을 비워주거나 교체하여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수용망을 교체하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ir sampler has a receiving network in which the collected insects are contained. However, if the density of the insects contained in the receiving network becomes high, accurate insect information can not be collected. Therefore, the inspecting personnel periodically visits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reception network had to be emptied or replaced. Therefore, the conventional air collecting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a lot of manpower is required to replace the reception network.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충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which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pest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collected and remotely provided.

나아가, 본 발명은 소수의 인력을 이용하여, 다수의 포집기로부터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다수의 포집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improve the structure of collecting pest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collectors 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plurality of collectors using a small number of manpower.

나아가, 본 발명은 기후 조건이 좋지 않은 날에도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at improves the structure so that pest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even on poor weather conditions.

나아가, 본 발명은 해충이 수용되는 수용망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is improved in structure to automatically replace a receptacle containing a pes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망, 포집망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을 구비하는 포집 장치; 및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 및 포집 장치의 배출홀과 연결되며, 포집 장치의 배출홀로부터 유입된 해충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수용 장치를 포함하며; 수용부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수용 공간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배출홀과 연결되는 유입구; 수용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 및 회전통에 회전통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회전통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충이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collection network for collecting pests; a collection device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llection network; And 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of the collecting device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insect poured from the discharge hole of the collecting device;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space;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A rotator installed rotatably in a receiving space;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chambers which are radially form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round a center of the spinning machine and which are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inlet as the spinning machine is rotated to receive the insect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회전통을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시킨 후 정지 가능한 구동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ccommoda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drive motor capable of rotating after rotating the rotator by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바람직하게, 구동 모터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회전통을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rive motor rotates the rotor by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every predetermined period.

바람직하게, 회전통은,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기어를 구비하며, 구동 모터는,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otary shaft has a first gear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drive motor includes a second gear meshed with the first gear.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유입구와 각각의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구비하며, 유입구와 회전통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플레이트; 회전통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지지대와 회전통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통을 회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fixing plate having a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inlet and each containing chamber, and inter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rotator; A support secured to the stationary plate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ermentation; And at least one bearing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rotating body and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ng body.

바람직하게, 고정 플레이트는, 일측면 쪽으로 개방 형성된 끼움홈을 구비하며, 수용 공간은,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끼움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xing plate has a fitting groove formed to be opened toward one sid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has a fitting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from one side surface and detachably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바람직하게, 수용 공간은, 일측면에 마련되며, 고정 플레이트가 걸림되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and is characterized by having at least one latching portion to which the latching plate is hooked and supported.

바람직하게, 각각의 수용실은,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되도록 회전통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수용실은, 개방된 후면에 장착되며,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수용망을 구비하고, 회전통은, 수용실의 개방된 전면과 수용 공간의 일측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each of the containing chambers is formed so that a front and a back surface are respectively opened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respectively, and each containing chamber is mounted on an open rear surface and has a receiving net having a net structure, And the open front fac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and one side 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face each other.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수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해충을 유입구와 연통된 수용실로 유도하는 흡입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ccommoda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suction fan for sucking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guiding the insect to the accommodation chamber communicated with the inlet.

바람직하게, 중앙 처리부는, 포집 장치의 배출홀과 유입구를 연결하며, 해충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 안내관을 통과하는 해충을 감지하고,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계수 센서; 및 안내관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omprises: an information pipe connecting the discharge hole and the inlet of the collecting devic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est; A coefficient sensor capable of detecting pests passing through the guide tube and generating coun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number of pests; And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pests passing through the guide pipe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바람직하게, 수용 장치는,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더 구비하며,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ceiv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ng section for transmitting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wherein the insect information managing system is capable of performing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2 communication uni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efficien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바람직하게, 제2 통신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송신하며,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제2 통신부에 의하여 송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부, 및 제3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third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 third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바람직하게, 단말기는, 중앙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더 구비하며, 제어 신호는, 제3 통신부로부터 제1 통신부에 직접 전달되거나 제2 통신부를 경유하여 제3 통신부로부터 제1 통신부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며, 중앙 처리부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wherein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directly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r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via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 communication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driving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스마트 포집기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이 수용되는 수용실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용실의 과밀화를 방지하여 정확한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조사 요원이 수용실을 변경하기 위해 스마트 포집기의 설치 장소를 방문할 필요가 없어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sinc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hange the receptacle accommodating the collected pests by the smart trapper,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accurate insect information by preventing the overfilling of the receptacle, and to install the smart trapper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efficiency because there is no need to visit the place.

둘째, 스마트 포집기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자동으로 서버 및 단말기에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remotely provide the server and the terminal with the pes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mart collector.

셋째, 소수의 인력으로도,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확인하고,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ird, even with a small number of manpower, it is possible to check insect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large number of smart collectors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many smart collectors.

넷째,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서버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Fourth, the pest information collected from many smart collectors can be managed integrally using the server.

다섯째, 기후 조건이 좋지 않은 날에도 해충을 포집하여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Fifth, insect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by collecting pests even on poor weather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 포집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포집 장치의 포집망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수용 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제1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의 제2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의 중앙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의 수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통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통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부분 확대도.
도 12는 도 1의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mart trap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lection net frame of the collection device of FIG. 2;
4 is a conceptual view of the receiving apparatus of Fig.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the first filter of figure 4;
Figure 6 schematically shows the second filter of figure 4;
FIG. 7 schematically show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FIG. 4. FIG.
Fig. 8 schematically shows the receiving portion of Fig. 4; Fig.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ionary plate and rotor of Figure 8;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ionary plate and the yoke of FIG. 8;
11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2 is a block diagram of the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1;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elem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elem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정보 관리 시스템(1)은, 해충을 포집하고, 포집된 해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스마트 포집기(10), 스마트 포집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서버(20), 및 서버(20)로부터 해충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는 단말기(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est collec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collector 10 for collecting pests and collecting information on collected pests, A server 20 capable of storing and managing pest information, and a terminal 30 capable of receiving pes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 and the like.

즉, 본원 발명은 스마트 포집기(10)를 통해 해충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20)와 단말기(30)를 이용하여 해충 정보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smart trapper 10 and the pest information can be remotely managed using the server 20 and the terminal 30.

도 2는 도 1의 스마트 포집기의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the smart sorter of FIG.

스마트 포집기(10)는 해충을 포집하여 수용하고, 포집된 해충에 대한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 포집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 장치(40), 포집 장치(40)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을 이송하는 이송관(50), 포집 장치(40)와 이송관(50)을 지지하는 지지대(70) 및 해충 정보가 수집되며 해충이 수용되는 수용 장치(60)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The smart trapper 10 can collect and accept pests and generat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for the collected pests. 2, the smart trapper 10 includes a collecting device 40 for collecting outside pests, a conveyance pipe 50 for conveying collected insects by the collecting device 40, a collecting device 40 A support 70 for supporting the transfer pipe 50, and a receiving device 60 for collecting pest information and containing pests, and the like.

스마트 포집기(10)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70)와 수용 장치(60)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바닥면(C) 위에 설치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mart collector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position of the smart collector 10 may be set on the concrete floor C so as to firmly fix the support 70 and the receiving device 60 Can be installed.

도 3은 도 2의 포집 장치의 포집망 프레임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lection net frame of the collecting device of Fig.

포집 장치(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42), 배출홀(44), 포집망 프레임(46) 및 연통홀(48)을 포함한다.The collecting device 40 includes a collecting net 42, a discharge hole 44, a collecting net frame 46, and a communication hole 48, as shown in Figs.

포집망(42)은 해충을 포집할 수 있으며, 배출홀(44)은 포집망(42)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포집망(42)은, 해충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를 가지며, 개구된 전면을 통해 해충이 유입되어 포집될 수 있다. 배출홀(44)은 포집망(42)의 후면에 형성되며, 포집망(42)을 통해 포집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collection net 42 can collect insects and the discharge holes 44 can discharge the collected insects by the collection net 42 to the outside. The collection net 42 has a network structure for collecting insects, and the insects can be collected and collected through the open front. The discharge hole 44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pping net 42 and can discharge the trapped trapped matter through the trapping net 42 to the outside.

포집망 프레임(46)은, 포집망(42)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포집망(42)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포집망(42)의 외측면과 결합될 수 있고, 연통홀(48)을 구비할 수 있다. 포집망 프레임(4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42)을 둘러쌀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포집망(42)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포집망(42)의 외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llection net frame 46 is provided to surround the collection net 42 and can be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collection net 42 so as to secure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collection net 42, 48 may be provided. 3, the collection net frame 46 has a funnel shape that can surround the collection net 42 and is combined with the outer side of the collection net 42 to form an exoskeleton of the collection net 42 .

즉, 포집망 프레임(46)은 포집망(42)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포집망(42)을 외부로부터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도 포집망(42)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어 해충을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다.That is, the collection network frame 46 can perform a function of holding the collection network 42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collection network 42 can maintain a constant shape. Therefore, even when the wind is strongly blowing, a predetermined space is secured in the trapping net 42, and the pest can be captured smoothly.

연통홀(48)은 포집망 프레임(46)은 후면에 마련되며, 포집망(42)의 배출홀(44)과 후술할 이송관(50)을 연통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통홀(48)의 내부에 포집망(42)의 배출홀(44)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연통홀(48)은 후술할 이송관(50)과 결합됨으로써, 포집망(42)의 배출홀(44)과 이송관(50)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hole 48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llection net frame 46 so that the discharge hole 44 of the collection net 42 can communicate with the transfer pipe 50 to be described later. More specifically, the discharge hole 44 of the trapping net 42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communication hole 48, and the communication hole 48 is engaged with the transporting pipe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discharge hole 44 and the transfer tube 5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이송관(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42)의 배출홀(44)과 연통되어, 포집망(42)의 배출홀(44)에서 배출된 해충을 후술할 수용 장치(60)로 안내할 수 있다.Next, the transfer pipe 5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44 of the trapping net 42, as shown in Fig. 2, and the discharge pit 44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44 of the trapping net 42 Can be guided to the receiving device 60.

다음으로, 지지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풀리(72), 제2 폴리(73), 와이어 로프(74), 및 손잡이(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70 may then include a first pulley 72, a second pulley 73, a wire rope 74, and a handle 76,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7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concrete at the lower end, and may have the shape of a column extended elongated in the upward direction.

제1 풀리(72)는 지지대(7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폴리(73)는 지지대(7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풀리(7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42)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지지대(7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폴리(73)는 포집망(42)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지지대(7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pulley 7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70 and the second pulley 73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70. 2, the first pulley 7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70 so as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collecting net 42 and the second pulley 73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lecting net 42, And may be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70 so as to be positioned lower.

와이어 로프(74)는 일단은 포집망(42)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포집망(42)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와이이 로프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부는 포집망(42)의 상단부로부터 시작되어 제1 풀리(72)와 제2 폴리(73)에 순차적으로 감긴 후에 포집망(42)의 하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손잡이(76)는 와이어 로프(74)에 고정될 수 있다.The wire rope 74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rapping net 4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trapping net 42. The middle portion between one end of the wire rop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trapping net 42 And can be extend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on net 42 and the knob 76 can be secured to the wire rope 74. [

와이어 로프(74)의 일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 프레임(46)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포집망 프레임(46)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부는 제1 풀리(72)와 제2 폴리(73)에 순차적으로 감길 수 있다. 즉, 와이어 로프(74)와 포집망 프레임(46)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 로프(74)와 포집 장치(4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지대(70)에 의하여 포집 장치(40) 및 포집 장치(40)와 연결된 이송관(50)이 지지될 수 있다.One end of the wire rope 74 may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net frame 46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net frame 46 as shown in Fig. Can be sequentially wound on the first pulley 72 and the second pulley 73, That is, the wire rope 74 and the collecting net frame 46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wire rope 74 and the collecting device 40, whereby the collecting device 40 and the collecting device 40 can be connected by the support 70, A conveying pipe 50 connected to the conveying pipe 40 can be supported.

또한, 손잡이(76)는 와이어 로프(74)의 중간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76)를 파지한 후에, 손잡이(7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포집 장치(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Further, the handle 76 is fix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wire rope 74, and can provide a gripping surface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s hand. Therefore, after the user holds the handle 76, the user can move the collecting device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moving the handle 76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런데, 포집 장치(40)는 이송관(50)과 연결되어있으므로, 포집 장치(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송관(50)의 길이 또한 함께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송관(50)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주름진 주름관의 형상을 가지며, 포집 장치(40)와 연동되어 포집 장치(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하여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Since the collecting device 40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pipe 50,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conveying pipe 50 is also adjusted when the collecting device 40 is moved up and dow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veying pipe 50 has a corrugated corrugated shape so that the length thereof can be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collecting device 40 is adjusted by moving the collecting device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

즉, 이송관(50)을 길이 조정이 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7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포집 장치(40)의 설치 높이와 이송관(50)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포집기(10)의 설치 장소나 높이에 맞추어 포집 장치(40)의 높이와 이송관(50)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the conveyance pipe 50 into a corrugated pip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the user can move the handle 76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collecting device 40 and the length of the conveyance pipe 50 simultaneously .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collecting device 40 and the length of the conveyance pipe 50 can be adjusted simultaneously with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height of the smart collector 10.

도 4는 도 2의 수용 장치의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view of the receiving apparatus of Fig.

수용 장치(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충 및 해충과 함께 함께 유입된 물을 분리시키는 제1 필터(80),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 기능을 수행하는 제2 필터(90),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100), 해충을 수용하는 수용부(110), 및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스마트 포집기(10)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는 제1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4, the receiving device 60 includes a first filter 80 for separating water introduced together with pests and pests, a second filter 80 for perform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unction on the air introduced with the pests, A filter 90, a central processing unit 100 for generating insect coefficien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 receiving unit 110 for receiving pests, an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trapper 10 to the outside Or a first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도 5는 도 4의 제1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rst filter of Fig.

제1 필터(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1), 유입구(83), 분리망(85), 배출구(87) 및 배출 밸브(89)를 포함한다.The first filter 80 includes a housing 81, an inlet 83, a separation net 85, an outlet 87 and a discharge valve 89, as shown in Fig.

하우징(81)은 내부에 소정의 분리 공간(81a)이 형성되며, 유입구(83)는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을 하우징(81)의 분리 공간(81a)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망(85)은 분리 공간(81a)에 장착되며,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해충과 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81a is formed in the housing 81 and the inlet 83 can introduc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space 81a of the housing 81 together with pests and insects. In addition, the separation net 85 is installed in the separation space 81a, and can selectively pass the wate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insect pests to separate the insects and wate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1)은 제1 필터(8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의 분리가 이뤄지는 분리 공간(81a)이 형성된다. 유입구(83)는 이송관(50)과 연결되며, 포집 장치(40)를 통해 포집된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외부의 물을 하우징(81)의 분리 공간(81a)을 안내할 수 있다. 분리망(85)은 분리 공간(81a)의 하부에 장착되며,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그물망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해충은 분리망(85)은 통과하지 못하고, 물만 분리망(85)을 통과하여 분리망(85)의 하부 공간으로 이동됨으로써, 해충과 함께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해충과 분리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housing 81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filter 80, and a separation space 81a for separating water introduced together with pests and insects is formed therein. The inlet port 83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50 and can guide the external wate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insects and pests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ng device 40 to the separation space 81a of the housing 81. The separation net 85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space 81a and has a mesh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passing water. Therefore, the insects can not pass through the separation net 85, and only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separation net 85 and moves to the lower space of the separation net 85,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insect can be separated from the insect .

배출구(87)는 분리망(85)에 의하여 분리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배출 밸브(89)는 분리망(85)에 의하여 분리된 물을 외부로 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87 discharges the insect pest separated by the separation net 85 to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valve 89 can discharge the water separated by the separation net 85 to the outsid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87)는 분리망(85)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우징(81)의 측면에 형성되며, 배출 밸브(89)는 분리망(85)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하우징(8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망(85)을 통과하지 못한 해충은 배출구(87)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분리망(85)을 통과한 물은 배출 밸브(89)를 통해 수용 장치(6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87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81 so as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paration net 85 and the discharge valve 89 is formed in the housing 81 so as to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separation net 85,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insect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separation net 85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87, and the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separation net 8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device 60 through the discharge valve 89 .

도 6은 도 4의 제2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ond filter of Fig. 4. Fig.

제2 필터(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92), 유입구(94) 및 배출구(96)를 포함한다.The second filter 90 includes a housing 92, an inlet 94 and an outlet 96, as shown in FIG.

하우징(92)은 내부에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이 이뤄지는 항온항습 공간(9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94)는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항온항습 공간(92a)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배출구(96)는 해충 및 항옹항습 공간에서 항온항습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housing 92 can be formed with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92a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gains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92. The inlet 94 allows the air introduced together with pests and insects to enter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92a And the discharge port 96 can discharge the air that has been subjected to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insect pest and anti-hygroscopic space to the outsid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92)은 제2 필터(9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이 수행되는 항온항습 공간(9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항온항습 공간(92a)에는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의 온도와 습도의 조절이 가능한 항온항습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6, the housing 92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filter 90, and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92a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92 for performing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on the ai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insect pests .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92a may be equipped with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i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pest.

유입구(94)는 제1 필터(80)의 배출구(87)와 연결되며, 제1 필터(80)의 배출구(87)에서 배출된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항온항습 공간(92a)에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94)를 통해 공기는 항온항습이 이뤄진 상태에서 해충과 함께 배출구(9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inlet 94 is connected to the outlet 87 of the first filter 80 and the ai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pest and pest discharged from the outlet 87 of the first filter 80 is introduced into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92a . Therefore,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96 together with the insect pest through the inlet 94 in a state where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performed.

도 7은 도 4의 중앙 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FIG.

중앙 처리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 안내관(102), 유입구(103), 배출구(104), 계수 센서(105), 카메라(106) 및 조명(미도시)을 포함한다.7,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includes a housing 101, a guide tube 102, an inlet 103, an outlet 104, a counting sensor 105, a camera 106, Time).

하우징(101)은 중앙 처리부(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안내관(102), 계수 센서(105), 카메라(106)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있고, 안내관(102)은 해충에 대한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해충을 이동을 안내할 수 있고, 유입구(103)는 안내관(102)에 해충을 유입시키며, 배출구(104)는 안내관(102)을 통과한 해충을 배출시킨다.The housing 101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and provides a space for installing the guide pipe 102, the counting sensor 105, the camera 106 and the like, The inlet 103 can introduce insects into the guide pipe 102 and the outlet 104 can communicate with the insect pest 102 through the guide pipe 102. [ .

또한, 계수 센서(105)는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감지하고,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계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카메라(106)는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조명(미도시)은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에 대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efficient sensor 105 can detect the pest passing through the guide pipe 102, measure the number of pests and collect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camera 106 can collect pests passing through the guide pipe 102, And the illumination (not shown) can irradiate the insect that passes through the guide pipe 102 with ligh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90)의 배출구(96)와 연결된 유입구(103)를 통해 안내관(102)의 내부로 해충이 유입될 수 있다. 계수 센서(105)는 안내관(102)의 경로 상에 설치되며,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감지하고,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해충의 계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계수 센서(105)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Area Beam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insect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102 through the inlet 103 connected to the outlet 96 of the second filter 90. The coefficient sensor 105 is installed on the path of the guide pipe 102, detects pests passing through the guide pipe 102, and measures the number of pests to collect pest count information. The type of the coefficient sensor 10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n area beam sensor can be used.

카메라(106)는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하여 해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내관(102)은 카메라(106)가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을 가지는 투명창(102a)으로 이뤄질 수 있다. 조명(미도시)은 카메라(106)가 해충의 영상 정보를 원활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안내관(102)의 통과하는 해충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The camera 106 may capture the insect that passes through the guide tube 102 and generat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insect. The guide tube 10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window 102a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transparent glass or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camera 106 can take pictures of the pest that passes through the guide tube 102. [ The illumination (not shown) can illuminate the insect pests that pass through the guide tube 102 so that the camera 106 can smoothly collect image information of the insects.

한편, 카메라는(106)는 안내관(102)를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106)는 안내관(102)보다 해충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용부의 수용실을 촬영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amera 106 has been described as shooting the insect passing through the guide pipe 10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amera 106 may be installed so as to photograph a storage room of a storage portion having a relatively higher density of pests than the guide pipe 102.

도 8은 도 4의 수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eceiving portion of Fig. 4. Fig.

수용부(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 유입구(112), 고정 플레이트(113), 지지링(114), 베어링(115), 회전통(116), 수용실(117), 구동 모터(118) 및 흡인팬(119)을 포함한다.8, the housing 110 includes a housing 111, an inlet 112, a fixing plate 113, a support ring 114, a bearing 115, a rotor 116, (117), a driving motor (118), and a suction fan (119).

하우징(1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111a),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고정 플레이트(113)의 끼움홈(113b)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 돌기(111b), 및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에 마련되며, 고정 플레이트(113)의 양측 단부가 각각 걸림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걸림대(111c)를 구비한다.8, the housing 111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1a and the receiving space 111a formed in the inside thereof, and is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113b of the fixing plate 113 And a pair of latching belts 111c which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1a and on which both side ends of the latching plate 113 are respectively hooked and supported.

유입구(1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중앙 처리부(100)의 배출구(104)와 연결되어 중앙 처리부(100)의 배출구(104)로부터 배출된 해충을 수용실(117)로 유입시킨다.8, the inlet 1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1a a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104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a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104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The insecticide is discharged into the storage room 117.

다음으로, 고정 플레이트(1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2)와 회전통(116)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고정 플레이트(1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13)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유입구(112)와 수용실(117)을 연통시키는 연통홀(113a), 및 고정 플레이트(113)의 정면에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 쪽으로 개방 형성되며, 하우징(111)의 끼움 돌기(111b)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홈(113b)을 포함한다.8, the fixing plate 113 is fixed to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a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inlet 112 and the rotor 116. As shown in Fig. 8, the fixing plate 113 includes a communication hole 113a through which the fixing plate 113 penetrates and communicates the inlet 112 with the accommodation chamber 117, and a fixing plate 113 And a fitting groove 113b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1a and open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1a and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111b of the housing 111 is removably fitted.

이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13)가 마련됨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1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113b)에 하우징(111)의 끼움 돌기(111b)가 끼워지고 양측 단부가 각각 이와 대응되는 걸림대(111c)에 걸림되어 지지되도록 고정 플레이트(113)를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8, the fitting plate 113 is fitt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 111b of the housing 111 in the fitting groove 113b, and both ends of the fitting plate 113 The fixing plate 113 can be fix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1a so as to be held by the corresponding latching lid 111c.

도 9는 도 8의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통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통의 결합 사시도이다.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ionary plate and the rotator of FIG. 8, and FIG.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ionary plate and rotator of FIG.

지지링(114)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116)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고정 플레이트(113)에 고정된다. 지지링(114)은, 후술할 베어링(115)이 회전통(116)을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통(116)의 직경보다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큰 직경을 가진다.The support ring 114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113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rotator 116, as shown in Figs. The support ring 114 has a diameter larger by a predetermined length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or 116 so that the bearing 115 to be described later rotatably supports the rotator 116. [

도 11은 도 8의 부분 확대도이다.11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베어링(115)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링(114)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링(114)에 삽입된 회전통(116)을 회전 지지한다. 베어링(115)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 개의 베어링(115)이 지지링(114)의 내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9 and 11, the bearing 11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ing 114, and rotatably supports the rotator 116 inserted into the support ring 114. As shown in Fig. The number of the bearings 115 to be install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plurality of bearings 115 may b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ing 114.

다음으로, 회전통(116)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고정 플레이트(113)의 후면과 대면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지지링(114)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베어링(115)에 의하여 회전 지지된다. 회전통(11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구동 모터(118)의 제2 기어(118a)와 치합되는 제1 기어(116a)를 포함하며, 제1 기어(116a)와 제2 기어(118a)에 의하여 구동 모터(118)의 구동력이 회전통(116)에 전달될 수 있다.8 and 10, at least a portion of the rotor 116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ring 114 so that the front surface thereof faces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3, and the bearing 115 . 10 includes a first gear 116a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eshing with the second gear 118a of the drive motor 118,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18 can be transmitted to the rotator 116 by the gear 116a and the second gear 118a.

한편, 회전통(116)의 전면과 고정 플레이트(113)의 후면이 접촉되면, 회전통(116)의 회전 시에 회전통(116)과 고정 플레이트(113)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회전통(116)과 고정 플레이트(113)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116)의 전면과 고정 플레이트(113)의 후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or 116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3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frictional force acts between the rotor 116 and the fixing plate 113 during rotation of the rotor 116, 116 and the fixing plate 113 may be damag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1, it is preferable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or 116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3.

다만, 회전통(116)의 전면과 고정 플레이트(113) 후면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커지면 이러한 간격을 통해 어느 하나의 수용실(117)에 수용된 해충이 다른 하나의 수용실(117)로 이동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회전통(116)의 전면과 고정 플레이트(113)의 후면 사이의 간격은, 회전통(116)의 전면과 고정 플레이트(113) 후면의 접촉이 방지됨과 동시에 수용실(117)들 간의 해충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 예를 들어, 0.1 mm 일 수 있다.Howeve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or 116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3 becomes excessively large, the pests stored in one of the storage rooms 117 may move to the other storage room 117 .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or 116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3 prevents the contact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or 116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3, For example, 0.1 mm,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ubstrate W can be prevented.

또한, 회전통(116)은,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과 회전통(116) 사이에 고정 플레이트(113)가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전통(116)은, 회전통(116)의 전면, 달리 말하면, 후술할 수용실(117)의 개방된 전면이 상기 수용 공간(111a)의 일측면와 직접적으로 대면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The rotator 116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113 inter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1a and the rotator 116. Howe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otor 116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front face of the rotor 116, in other words, the open front face of the housing chamber 1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irectly faces one side of the housing space 111a have.

다음으로, 수용실(117)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회전통(116)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즉, 회전통(116)이 동일한 각도 간격만큼 회전될 때마다 유입구(112)와 연통되는 수용실(117)이 변경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용실(117)이 회전통(116)에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Next, as shown in Figs. 8 and 9, a plurality of the accommodating chambers 117 are radially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ou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or 116. That is, a plurality of receiving chambers 117 are provided in the rotator 116 at equal angular intervals (intervals) so that the receiving chamber 117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12 can be changed each time the rotator 116 is rotated by the same angular interval. .

각각의 수용실(11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되도록 회전통(116)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고정 플레이트(113)의 연통홀(113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각각의 수용실(11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후면에 장착되며,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수용망(117a)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each of the accommodating chambers 117 is formed so that a front face and a rear face are respectively opened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Shape. Each accommodating chamber 117 also includes a receiving net 117a, which is mounted on the open rear side and has a mesh structur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복수의 수용실(117)이 마련됨에 따라, 회전통(116)이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되면 복수의 수용실(117) 중 어느 하나의 수용실(117)과 유입구(112)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또한, 수용실(117)의 개방된 후면은 수용망(117a)에 의하여 폐쇄되므로, 이로 인해 수용실(117)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은 수용실(11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provision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chambers 117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or 116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any on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s 117 and the inlet 112 is selectively . The opened rear surface of the containing chamber 117 is closed by the receiving net 117a so that the insect entered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ing chamber 117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containing chamber 117.

다음으로, 구동 모터(118)는, 회전통(116)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수용 공간(111a)에 설치된다. 구동 모터(11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116)의 제1 기어(116a)와 치합 가능한 제2 기어(118a)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 모터(118)가 회전되면 구동 모터(118)의 구동력이 제2 기어(118a)와 제1 기어(116a)를 통해 회전통(116)에 전달되어 회전통(116)이 회전될 수 있다.Next, the driving motor 118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rotor 116, and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111a. The drive motor 118 includes a second gear 118a engageable with the first gear 116a of the rotator 116, as shown in Fig. When the driving motor 118 is rotate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18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shaft 116 through the second gear 118a and the first gear 116a so that the rotating shaft 116 can be rotated have.

구동 모터(118)는 복수의 수용실(117) 중 어느 하나의 수용실(117)이 유입구(112)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회전통(116)을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시킨 후 정지시킨다. 이를 위하여 구동 모터(118)는,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태핑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iving motor 118 rotates the rotator 116 by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and stops the rotator 116 so that any on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s 117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chambers 117 can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inlet 112 . For this purpose, the drive motor 118 preferably comprises a stepping motor capable of precisel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구동 모터(118)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회전통(116)을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터(118)는 하루에 한번 씩 유입구(112)와 연통되는 수용실(117)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회전통(116)을 하루 한번 씩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사 요원이 스마트 포집기(10)의 설치 장소를 방문할 필요 없이 유입구(112)와 연통되는 수용실(117)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용실(117)의 과밀화를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118 can automatically rotate the rotor 116 by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the drive motor 118 may automatically rotate the trolley 116 once a day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so that the receiving chamber 117, which communicates with the inlet 112 once a day, have. Therefore, since the surveying personnel can change the storage room 117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12 without having to visit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smart collector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filling of the storage room 117, Can be collected.

다음으로, 흡인팬(119)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수용 공간(111a)의 공기를 흡입하여 해충을 유입구(112)와 연통된 수용실(117)로 유도한다. 즉, 흡인팬(119)을 구동하여 수용 공간(111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 수용 공간(111a)의 압력이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이로 인해 해충이 유입구(112)와 연통된 수용실(117)로 빨려 들어와 수용되는 것이다.8, the suction fan 119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1 and sucks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1a to supply insects to the infusion chamber 112, (117). That is, when the suction fan 119 is driven to discharge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1a to the outside, the press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a becomes low. As a result, 117).

다음으로, 제1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스마트 포집기(10)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부는 중앙 처리부(100)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Nex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collector 10 to the outside or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pes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or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제1 통신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을 위하여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on)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The type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WLAN (Wireless LAN) (Wi-Fi), a Wibro (Wireless Broadband), 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ccess), and LTE (Long Term Evolution).

도 12는 도 1의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of the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 포집기(10)에서 포집된 해충들에 대한 해충 정보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포집기(10), 서버(20), 단말기(30) 사이에는 해충 정보 및 제어 신호가 교환될 수 있다.12, the smart trapper 10, the server 20, and the terminal 30 can collect and store pes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pest information collected and stored in the smart trapper 10, Control signals can be exchanged.

서버(20)는 스마트 포집기(10)에서 포집된 해충들에 해충 정보를 통합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제2 통신부(미도시), 및 저장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20 may collectively store and manage pest information on the pests trapped in the smart trapper 10 and may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a storage unit (not shown) .

제2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는 스마트 ㅍ포집기의 제1 통신부로부터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전송받고, 저장부에 저장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단말기(30)로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s capable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outside or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 card collector, and may transmit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terminal 30.

저장부는 기억 매체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예를 들어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이격된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10)로부터 각각 전송된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has a function as a storage medium and can store, for exampl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ccordingly, by storing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smart collectors 10 installed in the reg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storage unit,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plurality of smart collectors 10 are collectively managed can do.

단말기(30)는 서버(20)에 접속하여 서버(20)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고, 스마트 포집기(10)의 제어 신호를 원격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제3 통신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입력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30 may access the server 20 to receiv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20 and remotely input a control signal of the smart collector 10 and may be connected to a third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 display unit (Not shown), and an input unit (not shown).

단말기(3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ype of the terminal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제3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단말기(30)와 서버(20) 사이 또는 단말기(30)와 스마트 포집기(10) 사이에 정보를 각각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통신부는 서버(20)의 제2 통신부에 의하여 송신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30)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communication unit is capable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the terminal 30 and the server 20 or between the terminal 30 and the smart collector 1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the pest cou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20 and store th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of the terminal 30.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3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영상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3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영상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can display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30, and can display the cou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pest received by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and provide the image to the user.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포집기(10)와 이격된 장소에서도 단말기(30)를 통해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여러 지역을 직접 돌아다닐 필요없이 복수의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인력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remotely check the pest cou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smart trapper 10 through the terminal 30 even in a place separated from the smart trapper 10. As a result, since the user can remotely check the pest cou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plurality of smart collectors 10 without having to travel directly to various regions, Can be reduced.

디스플레이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영상 출력을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The type of the display pa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may be used.

입력부는 사용자가 단말기(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generate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30 by the user. The type of the input un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key pad dome switch, a jog wheel, and a jog switch.

또한,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는 입력 장치로도 기능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also function as an input device when a display unit and a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that detects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이와 같이 단말기(30)에 입력부가 마련됨에 따라, 입력부를 통해 중앙 처리부(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기타 스마트 포집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를 통해 계수 센서(105), 및 카메라(106), 조명 등의 ON/OFF 및 회전통(116)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계수 센서(105), 카메라(106), 조명 및 회전통(116)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As the input unit is provided to the terminal 3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sorter 10 can be inputted. For example, the control signals of the counting sensor 105 and the camera 106, the ON / OFF of the illumination, and the rotation 116 ar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o the counting sensor 105, the camera 106, The driving of the rotor 116 can be controlled remotely.

이와 같이,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제어 신호는 단말기(30)의 제3 통신부로부터 스마트 포집기(10)의 제1 통신부로 직접으로 전달되거나 단말기(30)의 제3 통신부로부터 서버(20)의 제2 통신부와 스마트 포집기(10)의 제1 통신부에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input by the input unit is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of the terminal 30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 collector 10 or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of the terminal 3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20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 collector 10 sequentially.

따라서, 스마트 포집기(10)의 제어부에 의하여 중앙 처리부(100)는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그 결과, 스마트 포집기(10)의 설치 장소를 직접 방문할 필요가 없이 한 명의 사용자가 단말기(30)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마트 포집기(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포집기(10)의 관리에 필요한 인력이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can be driven by the control unit of the smart collector 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 by the input unit. As a result, since one user can control driving of the plurality of smart collectors 10 using the terminal 30 without having to directly visit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smart collectors 10, The manpower required for management can be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0 : 스마트 포집기
20 : 서버 30 : 단말기
40 : 포집 장치 42 : 포집망
44 : 배출홀 46 : 포집망 프레임
48 : 연통홀 50 : 이송관
60 : 수용 장치 70 : 지지대
72 : 제1 풀리 74 : 와이어 로프
76 : 손잡이 80 : 제1 필터
81 : 하우징 81a : 분리 공간
83 : 유입구 85 : 분리망
87 : 배출구 89 : 배출 밸브
90 : 제2 필터 92 : 하우징
92a : 항온항습 공간 94 : 유입구
96 : 배출구 100 : 중앙 처리부
101 : 하우징 102 : 안내관
102a : 투명창 103 : 유입구
104 : 배출구 105 : 계수 센서
106 : 카메라 110 : 수용부
111 : 하우징 111b : 끼움 돌기
111c : 걸림대 112 : 유입구
113 : 고정 플레이트 113a : 연통홀
114 : 지지링 115 : 베어링
116 : 회전통 116a : 제1 기어
117 : 수용실 117a : 수용망
118 : 구동 모터 118a : 제2 기어
119 : 흡입팬
1: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 Smart collector
20: server 30: terminal
40: collection device 42: collection network
44: exhaust hole 46: collection net frame
48: communication hole 50: conveying pipe
60: Receiving device 70: Support
72: first pulley 74: wire rope
76: handle 80: first filter
81: housing 81a: separation space
83: Inlet port 85: Separation net
87: Exhaust port 89: Discharge valve
90: second filter 92: housing
92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94: inlet
96: outlet 100: central processing unit
101: housing 102: guide tube
102a: transparent window 103: inlet
104: Outlet 105: Coefficient sensor
106: camera 110:
111: housing 111b: fitting projection
111c: latch 112: inlet
113: fixed plate 113a: communicating hole
114: support ring 115: bearing
116: Rotary shaft 116a: First gear
117: receiving chamber 117a: receiving network
118: drive motor 118a: second gear
119: Suction fan

Claims (13)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망, 상기 포집망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을 구비하는 포집 장치; 및
상기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 처리부, 및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며, 상기 배출홀로부터 유입된 상기 해충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수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는 유입구;
상기 수용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 및
상기 회전통에 상기 회전통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통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충이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A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insects, a collecting device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llecting ne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coefficien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insect pest, and a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insect poured from the discharge hole;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space;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A rot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lurality of rotatably formed rotatable rotatably dispos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round a center of the rotatable shaft and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rotatable shaft as the rotatable rotates to receive a plurality of pests And a storage room for storing the pes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회전통을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시킨 후 정지 가능한 구동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unit further comprises a drive motor that rotates the rotator by the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and then stop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상기 회전통을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만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ive motor rotates the rotator by the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every predetermined peri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은,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on includes a first gear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drive motor includes a second gear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유입구와 각각의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회전통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회전통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회전통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을 회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stationary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rotator, the stationary plate having a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inlet and each containing chamber;
A support secured to the stationary plate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otator; And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bearing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pinnere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pinner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일측면 쪽으로 개방 형성된 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xing plate has a fitting groove that is open toward the one side surface,
Wherein the accommodating space includes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ne side surface and having a fitting protrusion detachably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일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걸림되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on the one side surface and includes at least one latching portion to which the fixing plate is hooked and supported.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용실은,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되도록 상기 회전통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수용실은, 개방된 후면에 장착되며,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수용망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은, 상기 수용실의 개방된 전면과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containing chambers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rotating body in such a manner that the front and rear faces thereof are respectively opened,
Wherein each of the storage rooms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net having a mesh structure,
Wherein the rotatable device is installed such that an open front face of the accommodating room and a side 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face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해충을 상기 유입구와 연통된 수용실로 유도하는 흡입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uction fan for sucking air in the receiving space and guiding the insect to a receiving chamber communicated with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배출홀과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며, 상기 해충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통과하는 상기 해충을 감지하고, 상기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상기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계수 센서; 및
상기 안내관을 통과하는 상기 해충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 guide pipe connecting the discharge hole and the inflow port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insect pest;
A coefficient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pest passing through the guide tube and measuring the number of pests and generating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And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pest passing through the guide pipe to generate the imag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장치는,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video information,
The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ing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storage unit storing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Wherein the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하여 송신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부, 및 상기 제3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third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ing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coefficient information and the image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to the p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중앙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3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통신부에 직접 전달되거나 상기 제2 통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3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통신부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Wherein the control signal is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r in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via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KR1020140160394A 2014-11-17 2014-11-17 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KR101651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94A KR101651917B1 (en) 2014-11-17 2014-11-17 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94A KR101651917B1 (en) 2014-11-17 2014-11-17 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43A true KR20160058643A (en) 2016-05-25
KR101651917B1 KR101651917B1 (en) 2016-08-29

Family

ID=5611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394A KR101651917B1 (en) 2014-11-17 2014-11-17 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91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672A1 (en) * 2017-11-07 2019-05-16 주식회사 엑스티엘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insect trapper fails through measurement of current value
KR20200073842A (en)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Wind response type apparatus for collecting harmful insects
KR20220062916A (en) * 2020-11-09 2022-05-17 전라남도 Automatic Photographing Apparatus of Injurious insect
US20220217962A1 (en) * 2019-05-24 2022-07-14 Anastasiia Romanivna ROMANOVA Mosquito monitoring and count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515B1 (en) 2018-07-27 2019-02-28 경상북도(농업기술원) Harmful insect intelligence repor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037B1 (en) * 2007-05-29 2008-07-29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Apparatus of capturing harmful vermin
KR20100127473A (en) * 2009-05-26 2010-12-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Harmful insect intelligence report system and method
KR101476256B1 (en) * 2014-09-23 2014-12-26 대한민국 insect trap having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KR20150057526A (en) * 2013-11-19 2015-05-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037B1 (en) * 2007-05-29 2008-07-29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Apparatus of capturing harmful vermin
KR20100127473A (en) * 2009-05-26 2010-12-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Harmful insect intelligence report system and method
KR20150057526A (en) * 2013-11-19 2015-05-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KR101476256B1 (en) * 2014-09-23 2014-12-26 대한민국 insect trap having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672A1 (en) * 2017-11-07 2019-05-16 주식회사 엑스티엘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insect trapper fails through measurement of current value
KR20200073842A (en)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Wind response type apparatus for collecting harmful insects
US20220217962A1 (en) * 2019-05-24 2022-07-14 Anastasiia Romanivna ROMANOVA Mosquito monitoring and counting system
KR20220062916A (en) * 2020-11-09 2022-05-17 전라남도 Automatic Photographing Apparatus of Injurious ins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917B1 (en) 201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917B1 (en) 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KR101507554B1 (en) insect trap having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for managing information of insect
JP2020095050A (en) Cooling system and optics cup
US11579158B2 (en) Automatic human urine detection system
CN103792378B (en) Self-moving granary detecting device and detecting method thereof
JP2019039932A (en) System for conducting identification of bacteria in biological samples
CN105636436A (en) Smart imaging system and insect-trapp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CN107532125A (en) The tube seat circle detection based on image for vision system
KR102042277B1 (en) Radioactivity detector
CN104597265A (en) Fully automatic night soil analyzer
CN115571637B (en) Sample receiving device for intelligent medical system
JP2017218325A (en)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rticl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winding device
AU2017332498B2 (en) Insect egg conveyor
KR101570728B1 (en) 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WO2012103174A2 (en) Iris control system for conducting the identification of bacteria in biological samples
JP2008073042A (en) Apparatus for capturing bacterium in air
CN108562758A (en) Clinical examination flow-line equipment
CN110684641A (en) Intelligent spore capturing analyzer
CN107607533A (en) A kind of flexible testing agency of intelligent closestool urine examina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CN207379933U (en) A kind of flexible testing agency of intelligent closestool urine examination device
CN208298194U (en) Bar code scanner
JPWO2016174766A1 (en) Luminescence measuring device
CN209890638U (en) Plant germ spore capturing and analyzing system
CN213802308U (en) Real-time online analytical equipment of atmosphere pollution particulate matter
ITTO20110009A1 (en) LABORATORY CENTRIFUGE, WITH CONTINUOUS CONTAINER LOADING AND DOWNLOADING SYSTEM, WITH ROTOR IN RO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