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881A -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실내장식물 - Google Patents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실내장식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7881A KR20160057881A KR1020140159070A KR20140159070A KR20160057881A KR 20160057881 A KR20160057881 A KR 20160057881A KR 1020140159070 A KR1020140159070 A KR 1020140159070A KR 20140159070 A KR20140159070 A KR 20140159070A KR 20160057881 A KR20160057881 A KR 201600578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weight
- parts
- light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69—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mprising a decorative sheet and a core formed by one or more resin impregnated sheets of paper
- B44C5/0492—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mprising a decorative sheet and a core formed by one or more resin impregnated sheets of paper containing woode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서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나타내면서 실내장식 효과를 겸할 수 있는 실내장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재료로서 닥나무 펄프, 페그마타이트 및 전분을 포함하고, 부재료로서 천연 비취 광물, 일라이트, 편백 분, 쑥 분말, 녹차 분말 및 염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실내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서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나타내면서 실내장식 효과를 겸할 수 있는 실내장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재료로서 닥나무 펄프, 페그마타이트 및 전분을 포함하고, 부재료로서 천연 비취 광물, 일라이트, 편백 분, 쑥 분말, 녹차 분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실내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장식물은 또한, 실내장식물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이 포름알데히드(HCHO)나 암모니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을 흡착, 및 탈취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고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흡음성 및 항균성이 우수하고 접착력이 우수하여 제조 시 화학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흘러내지 않아 제품화가 쉬우며, 시멘트나 나무, 유리, 석고보드 등 작업하기 힘든 곡선 부분들에도 견고하게 접착이 가능한바 다양한 형태의 실내장식물로 제조되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장식물은, 실내장식물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에 다양한 천연 염료를 섞어 이를 심미적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도 겸할 수 있다.
현대인의 생활 공간인 주택이나 사무실, 공공건물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바, 콘크리트의 주성분인 시멘트는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시멘트에 함유되어 있던 강 알칼리성 질소 화합물이 유기 불순물이나 수분 등과 반응하여 염기성의 유해한 암모니아 가스나 포름알데히드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들 유해 물질들로부터 기인하는 특유의 냄새나 독소들이 인체 내로 흡입 침투되면, 피부와 점막에 장애를 일으키거나, 각종 암, 피부질환, 아토피, 알레르기, 천식, 페렴 등을 발생시키는 바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 새집 증후군(Sick House Syndrome) 및 헌집 증후군의 예방과 실내 내장재로부터 나오는 화학물질로 인한 실내 오염 공기의 정화 문제가 큰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주택 거주자의 쾌적한 실내 공기환경 확보를 위해 우선적으로 오염물질 발생원인을 근본적인 차단하고 제거할 수 있는 마감재 및 내장재 개발과 함께 추가적으로 층간 소음문제 또한 완화시킬 수 있는 마감재 및 내장재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고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주지하다시피 대기오염 및 환경오염의 심각성 및 겨울 철 실내 습도 조절을 목적으로 공기정화장치 및 가습기는 대중적으로 일반화되어 있다. 그 기능에 있어서도 단순기능을 탈피하여 다기능이 부가됨으로써 다양한 오염원으로부터 거주자들의 보호범위를 넓히고 있다. 또한, 상기한 기계장치와는 별개로 재질적인 특성을 살려 일반소품으로 활용하면서 공기정화기능 또는 습도조절 기능을 갖는 제품들이 제작보급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사진액자, 숯, 수반 등이 그것이다.
이들 소품형 공기정화기구는 대부분 정화매체로서 저가의 숯이 사용되고 있는데, 숯은 그 본질이 흡착력은 있으나 분해성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흡착력이 포화상태에 도달하게 되므로 그 본래의 기능이 점차 저하 및 상실되고, 이에 부설된 장식물의 경우에는 오염물이 부착되어 외관의 미려함이 상실되기 때문에 대부분 수명이 짧다.
또 다른 소품형 공기정화기구에는, 꽃바구니에 광촉매재인 산화티타늄(TiO2)이 코팅된 조화를 장식하고, 강력한 화학작용(산화 및 환원)을 유발하기 위해 조화의 상측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광촉매 작용에 의한 살균탈취오염방지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제품이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자외선 램프의 수명이 짧고 빛이 없는 무광인 곳에서는 그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며, 또한 산화티타늄의 광촉매 기능은 산화분해력은 있으나 흡수력이 없고 산화티타늄의 표면에서만 작용하기 때문에 기능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광원설치의 불편함과 광원수명의 단점 때문에 보급율이 낮다. 아울러 기존의 산화티타늄은 TiO2재질을 프로필렌 알코올로 희석시킨 후 불소수지계의 강산성 유기물 접착제(SiO2)로서 고온 소성방식으로 경화되는 이중형 코팅방식으로 하여야 하나 단순히 상온에서 바로 경화시킨 것으로 접착성이 약하여 산화티타늄 분말이 쉽게 이탈되고 도포용 접착제의 성분도 강산성이므로 인체에 해로워 주거용으로 적절치 않다.
한편, 실내 습도 조절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가습기의 경우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가습기 살균제의 유해성이 대두되면서 사용이 주춤해지고 있고, 전력 소모량이 크고, 잔유물이 가습기 내부에 잘 쌓여 청소가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 뜨거운 수증기를 내뿜으므로 어린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주의를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조명용 스탠드의 경우 광원 및 덮개부로 이루어져 있어 빛을 내는 효과 이외에 다른 효과를 나타낼 수 없었고, 빛의 방사로 인하여 주변 습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파티션의 경우 플라스틱, 부직포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실내 공기를 정화하거나, 습도를 조절하는 효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소재를 일정한 소품형상, 예컨대 아트월, 액자, LED 스탠드, 파티션 형태로 형상화함으로써 실내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갖는 실내장식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름알데히드(HCHO)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을 흡착, 및 탈취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고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흡음성 및 항균성 또한 우수한 기능성 소재를 일정한 소품형상, 예컨대 아트월, 액자, LED 스탠드, 파티션 형태로 형상화함으로써 실내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해물질의 흡착 및 탈취를 통해 공기를 정화하고,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면서 흡음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실내장식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패되지 않고,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며,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는 실내장식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닥나무 펄프, 분말 또는 닥나무 펄프 및 분말; 천연 비취 광물, 페그마타이트 및 일라이트; 편백분, 쑥 분말 및 녹차 분말; 감자 전분; 및 염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도포되어 있는 장식층; 및 벽면 프레임층, 액자 프레임층, 파티션 프레임층 및 광원을 함유하는 광원시트층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실내장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은, 닥나무 펄프, 분말 또는 닥나무 펄프 및 분말 100 중량부; 천연 비취 광물 0.1 내지 0.5 중량부; 페그마타이트 10 내지 15 중량부; 일라이트 5 내지 10 중량부; 편백분 3 내지 5 중량부; 쑥 분말 1 내지 3 중량부; 녹차 분말 1 내지 3 중량부; 감자 전분 20 내지 30중량부; 및 염료 0.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은 견운모, 흑운모 및 숯 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할 수 있는데, 이 때 견운모는 10 내지 15 중량부; 흑운모는 5 내지 10중량부; 숯 분말은 1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각 성분의 길이는, 닥나무 펄프의 단위 섬유의 경우 0.1 mm 내지 3 mm, 닥나무 분말의 경우 0.04 mm 내지 0.08 mm, 천연 비취 광물의 경우 0.005 mm 내지 0.01 mm, 페그마타이트의 경우 0.01 mm 내지 0.05 mm, 일라이트의 경우 0.01 mm 내지 0.05 mm, 편백 분말, 쑥 분말 및 녹차 분말의 경우 각각 0.05 mm 내지 0.2 mm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 중에 추가로 함유될 수 있는 견운모 및 흑운모의 경우 입자 크기를 0.01 mm 내지 0.05 mm, 숯 분말의 경우 0.05 mm 내지 0.2 mm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은 LED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장식물은 공기 정화, 방음, 항균 효과를 또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내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소재를 일정한 소품형상, 예컨대 아트월, 액자, LED(light emitting diode) 스탠드, 파티션 형태로 형상화함으로써 실내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갖는 실내장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포름알데히드(HCHO)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을 흡착, 및 탈취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고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흡음성 및 항균성 또한 우수한 기능성 소재를 일정한 소품형상, 예컨대 아트월, 액자, LED 스탠드, 파티션 형태로 형상화함으로써 실내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해물질의 흡착 및 탈취를 통해 공기를 정화하고,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면서 흡음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실내장식물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패되지 않고,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며,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는 실내장식물을 제공한다.
도 1은 암모니아 가스 탈취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적외선 열화상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1℃, 습도 30%의 조건에서 시험한 결과로서, 측정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방사에너지를 영상과 온도 데이터로 처리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40℃에서 FT-IR 분광계를 이용하여 방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40℃에서 FT-IR 분광계를 이용하여 방사에너지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아트월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LED 스탠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액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음이온, 습도조절용 화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액자 및 그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적외선 열화상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1℃, 습도 30%의 조건에서 시험한 결과로서, 측정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방사에너지를 영상과 온도 데이터로 처리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40℃에서 FT-IR 분광계를 이용하여 방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40℃에서 FT-IR 분광계를 이용하여 방사에너지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아트월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LED 스탠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액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음이온, 습도조절용 화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액자 및 그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닥나무 펄프, 분말 또는 닥나무 펄프 및 분말; 천연 비취 광물, 페그마타이트 및 일라이트; 편백분, 쑥 분말 및 녹차 분말; 감자 전분; 및 염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도포되어 있는 장식층; 및 벽면 프레임층, 액자 프레임층, 파티션 프레임층 및 광원을 함유하는 광원시트층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실내장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주요 구성 성분들의 정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닥나무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쌍떡잎 식물로 껍질을 흑피(黑皮) 또는 조피(粗皮)라고 부르며, 이를 다시 가공하면 백피(白皮)를 얻을 수가 있다.
페그마타이트는 대략 3cm 이상 크기의 매우 굵은 결정 입자가 엉겨 굳어진 맥상암체(脈狀岩體)를 말하며, 거정석 또는 거정 화강암이라고도 불리운다. 마그마 분화과정에서 최후기에 형성되며, 화강암과 거의 같은 조성을 가지나 특징적으로는 석영, 장석, 운모 등의 주성분 광물이 이상적으로 큰 결정체를 이루고 있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 닥나무 펄프와 전분 풀을 혼합하여 제조된 점성의 페이스트 재료에 페그마타이트를 첨가하여 아트원, 액자, 파티션 및 LED 스탠드를 제조한 결과, 상당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부패, 변질 및 곰팡이 발생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품을 만들 때 유동성과 발림 특성이 좋아져 제품을 제조하는 데 매우 편리하였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퀴퀴한 냄새도 상당히 줄어듦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연비취는 옥(玉)의 일종으로서, 화학적 성분은 Na2OAl2O34SiO3로 이루어진 단사정계(單斜晶系)결정체로 완전한 모양을 이루지 않고 미세한 섬유같은 것이 얽혀져 있는 휘석광물로 단사정계(單斜晶系) 결정체로 인체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여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항균작용, 혈액순환, 피부 미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 비취를 더 첨가하여 제품화 한 결과, 페그마타이트와 더불어 부패 방지, 곰팡이 억제 면에서 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라이트(illite)는 점토입자 크기의 미립질 광물로서 일반적인 백운모와 흡사한 판상구조를 갖는 점토광물이다. 화학조성은 백운모에 비하여 K, Al은 적으나 Si, H2O는 약간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성분은 SiO2,Al2O3,K2O,FeO2등으로 된 황백색 합성광물이며, 물리 화학적 성질은 수중에서 다량의 용존 산소를 발산하는 효능이 있고, 또 수중에 용존하는 중금속 이온, 유기질 이온 및 부패 유기질의 악취 등을 흡착하는 흡착성이 좋으며, 이 흡착성은 공기 중에서도 발휘되어 유독가스 및 악취 제거제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편백나무는 히노끼 또는 노송이라고도 하며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수로 우리나라에서 생장하는 편백은 소나무나 잣나무보다도 많은 양의 피톤치드를 발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백나무의 강한 향은 살균이나 탈취, 피부미용이나 혈액순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쑥은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45~120 cm이고 근격은 길게 뻗으며 줄기는 곧추서고 질은 단단하며 회백색의 부드러운 털로 뒤덮여 있다. 쑥의 잎(애엽)은 잎을 말린 것으로 봄과 여름에 잎은 무성하나 꽃이 아직 피지 않았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던가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쓰고 시며 성질은 온화하며 항균작용, 출혈과 응혈시간을 단축하고 거담 및 소염작용이 있으며 기혈을 다스리고 한습을 몰아내며 지혈작용과 복부냉증에 의한 통증, 토혈, 비출혈, 하혈, 월경불순 등을 치료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녹차는 탄닌, 카페인, 각종 아미노산, 팩틴류, 비타민, 망간, 철, 요오드 등과 같은 무기질 혹은 유기질 영양성분이 다량 함유된 오래된 민간의 기호품 도는 약재로서, 탄닌이 갖는 탁월한 살균, 소염, 지혈, 해독, 지사작용으로 두피의 손상된 부분에 대한 소염진정, 지혈 효과를 갖게 되며, 공해로 찌든 머리에 대한 해독, 지사작용을 발휘하면서 각종 미량 아미노산으로 손상모의 회복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은, 닥나무 펄프, 분말 또는 닥나무 펄프 및 분말 100 중량부; 천연 비취 광물 0.1 내지 0.5 중량부; 페그마타이트 10 내지 15 중량부; 일라이트 5 내지 10 중량부; 편백분 3 내지 5 중량부; 쑥 분말 1 내지 3 중량부; 녹차 분말 1 내지 3 중량부; 감자 전분 20 내지 30중량부; 및 염료 0.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은 견운모, 흑운모 및 숯 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할 수 있는데, 이 때 견운모는 10 내지 15 중량부; 흑운모는 5 내지 10중량부; 숯 분말은 1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각 성분의 길이는, 닥나무 펄프의 단위 섬유의 경우 0.1 mm 내지 3 mm, 닥나무 분말의 경우 0.04 mm 내지 0.08 mm, 천연 비취 광물의 경우 0.005 mm 내지 0.01 mm, 페그마타이트의 경우 0.01 mm 내지 0.05 mm, 일라이트의 경우 0.01 mm 내지 0.05 mm, 편백 분말, 쑥 분말 및 녹차 분말의 경우 각각 0.05 mm 내지 0.2 mm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 중에 추가로 함유될 수 있는 견운모 및 흑운모의 경우 입자 크기를 0.01 mm 내지 0.05 mm, 숯 분말의 경우 0.05 mm 내지 0.2 mm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은 LED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장식물은 공기 정화, 방음, 항균 효과를 또한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A)(a) 닥나무 줄기 껍질을 백피화하는 단계; (b) 백피화된 닥나무 줄기 껍질을 분쇄 및 고해하고, 가성소다에 용해시킨 후 숙성하여 닥나무 펄프를 제조하거나 백피화된 닥나무 줄기 껍질을 분말화 하는 단계; (c) 광석 성분으로서, 천연 비취 광물, 페그마타이트 및 일라이트를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d) 식물 성분으로서, 편백나무 줄기, 쑥 잎 및 녹차를 분쇄하여 편백 분말, 쑥 분말 및 녹차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e) 감자전분에 물을 혼합 및 교반하여 감자 전분풀 형태의 천연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b)단계의 닥나무 펄프, 분말 또는 닥나무 펄프 및 분말, 상기 (c)단계의 분말화된 광석 성분, 상기 (d)단계의 편백 분말, 쑥 분말 및 녹차 분말, 상기 (e) 단계의 천연 바인더 및 물, 여기에 염료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조성물이 도포되어 있는 장식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벽면 프레임층, 액자 프레임층, 파티션 프레임층 및 광원을 함유하는 광원시트층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실내장식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a) 단계의 백피화는 닥나무 줄기를 적정 길이로 잘라 증기로 찐 후, 껍질을 벗긴 흑피를 물에 담가 충분히 수분을 흡수시킨 뒤, 검은색 외피를 벗겨내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b) 단계의 닥나무 펄프 분말 제조는 백피화된 닥껍질을 0.1 mm내지 1 mm로 잘게 분쇄하여 6 내지 10시간 동안 고해한 뒤, 가성 소다에 용해시켜 20 내지 4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1 내지 2일간 숙성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닥나무 펄프 분말은 섬유조직이 정착되어 신축율이 낮아지게 되며, 분말 형태가 되어야 광물질 및 식물질과 괴리가 일어나지 않고 시멘트의 모르타르와 같은 뛰어난 부착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숙성 과정을 거쳐야만 전분 등과 혼합 시에도 장기간 동안 부패나 변질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c) 단계의 분말화된 천연 비취 광물, 일라이트, 및 페그마타이트의 제조는 통상적인 광석 분쇄기를 이용하며, 그 크기가 0.01 mm 내지 0.05 mm가 되도록 잘게 분쇄하여야 한다.
(d) 단계의 편백분, 쑥 분말 및 녹차 분말은 통상의 믹서기를 이용하여, 그 크기가 0.05 mm 내지 0.2 mm가 되도록 분쇄하여야 한다.
(e) 단계의 감자 전분풀은 일정 온도를 유지하면서 풀이 눌러 붙지 않도록 교반하여 제조한다.
(f) 단계의 천연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는 닥나무 펄프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비취 광물 0.1 내지 0.5 중량부, 일라이트 10 내지 15 중량부, 페그마타이트 5 내지 10 중량부, 편백분 3 내지 5 중량부, 쑥 분말 1 내지 3 중량부, 녹차 분말 1 내지 3 중량부, 감자 전분 20 내지 30 중량부 및 물 40 내지 50 중량부를 반죽기에 넣고 각 성분들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80 내지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일정 시간 동안 교반하여 모르타르 형태가 되도록 수행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려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닥나무 펄프 분말의 제조
닥나무를 제지원료로 가공하려면 먼저 수확된 닥나무 줄기를 1~2 m 길이로 잘라 밀폐된 솥에 넣고 2시간 증기로 찐 후 껍질을 벗긴 흑피를 하룻밤 동안 물에 담가서 수분을 충분히 흡수시켜 검은 외피를 긁어 벗긴 뒤, 8시간 동안 물에 담가둔 후 씻어 건조시켜 백피를 얻었다.
상기의 백피 1 Kg을 분쇄기에 넣고 0.1 mm 내지 1 mm로 잘게 분쇄하여 분말화 한 후 6시간 고해시켰다. 고해가 끝난 백피 분말을 가성소다에 용해시켜 20 내지 40℃로 일정하게 온도를 유지하면서 섬유조직이 정착해서 신축율이 낮아지도록 48시간 숙성시킨 후 24시간 물에 담가 씻은 후 동결 건조시켰다.
2) 광물들의 준비단계
천연 비취 광물, 일라이트 및 페그마타이트(pegmatite)을 각각 광석분쇄기로 0.01 mm 내지 0.05 mm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3) 식물성분들의 준비단계
3 cm 크기로 절단한 깨끗이 세척한 편백나무 줄기와 쑥 및 녹차 잎을 각각 믹서기에 넣고 0.05 mm 내지 0.2 mm가 되도록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4) 감자 전분풀의 제조
물 4L에 감자전분 1 Kg을 넣고 80 내지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풀이 눌려붙지 않도록 50분간 잘 저어 두면서 감자 전분풀을 제조하였다.
5) 천연 조성물의 제조
상기의 닥나무 펄프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비취 광물 0,1 내지 0.5 중량부, 일라이트 10 내지 15 중량부, 페그마타이트(pegmatite) 5 내지 10 중량부, 편백분 3 내지 5 중량부, 쑥 분말 1 내지 3 중량부, 녹차 분말 1 내지 3 중량부와 상기의 감자 전분 25 중량부 및 물 50 중량부를 반죽기에 넣고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각각의 성분들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2 내지 4 시간 교반하여 모르타르 형태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6) 염료의 제조
쪽( Persicaria tincroria) 유래 천연 수성 안료
쪽(Persicaria tincroria)의 전초 또는 잎을 건조시켜 분말화한 후, 수용액에 용해시켜 인디고(Indigo) 청색의 천연 수성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에 따른 천연 마감재 조성물과 혼합하여 청색 재료를 제조하였다.
소목(
Red
wood
) 유래 천연 수성 안료
소목(Red wood)의 잎을 건조시켜 분말화한 후, 수용액에 용해시켜 적색 천연 수성 안료 조성물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에 따른 천연 마감재 조성물과 혼합하여 적색 재료를 제조하였다.
울금
(
Tumeric
) 유래 천연 수성 안료
울금(Tumeric)을 수추출하여 황색 천연 수성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에 따른 천연 마감재 조성물과 혼합하여 황색 재료를 제조하였다.
정향
(
Clove
) 유래 천연 수성 안료
정향(clove)을 마른 헝겊이나 미세 섬유면을 사용해 짜내어, 적색 천연 수성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에 따른 천연 마감재 조성물과 혼합하여 적색 재료를 제조하였다.
오배자(
gallnut
) 유래 천연 수성 안료
오배자(gallnut)를 건조시켜 분말화한 후 수용액에 용해시켜 베이지색 천연 수성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에 따른 천연 마감재 조성물과 혼합하여 베이지색 재료를 제조하였다.
꼭두서니(
Rubis
tinctoria
) 뿌리 유래 천연 수성 안료
꼭두서니(Rubis tinctoria) 뿌리를 건조시켜 분말화한 후 수용액에 용해시켜 적색 천연 수성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에 따른 천연 마감재 조성물과 혼합하여 적색 재료를 제조하였다.
황벽
(
Phellodendron
amurense
) 유래 천연 수성 안료
황벽을 수추출하여 황다색 천연 수성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에 따른 천연 마감재 조성물과 혼합하여 황다색 재료를 제조하였다.
기린초(
Solindago
virgaurea
) 유래 천연 수성 안료
기린초(Solindago virgaurea)를 건조시켜 분말화한 후, 수용액에 용해시켜 황금색 내지 흑갈색 천연 수성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에 따른 천연 마감재 조성물과 혼합하여 흑갈색 재료를 제조하였다.
호두(
Juglans
regia
) 유래 천연 수성 안료
호두(Juglans regia)의 껍질을 분말화한 후, 수용액에 용해시켜 갈색 계통의 천연 수성 안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에 따른 천연 마감재 조성물과 혼합하여 갈색 재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1. 탈취 시험
탈취시험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장식층용 조성물 (시료 A)을 100 mm x 200 mm 크기의 시트 한 면에 도포한 후 건조한 시트를 시험가스(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가 채워진 5L 반응기에 넣고, KICM-FIR-1085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간경과에 따른 탈취율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시험결과는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1-2. 탈취 시험
KFIA-FI-1004방법에 의해 탈취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가스는 암모니아이고,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가스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도 1 참조)
시험항목 | 경과시간(분) | Blank농도(ppm) | 시료농도(ppm) | 탈취율(%) |
탈취시험 | 초기 | 500 | 500 | - |
30 | 480 | 50 | 90 | |
60 | 470 | 40 | 91 | |
90 | 460 | 30 | 93 | |
120 | 450 | 25 | 94 |
2. 중금속 함유 확인 시험
중금속 함유 시험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장식층용 조성물 (시료 A)을 100 mm x 200 mm 크기의 시트 한 면에 도포한 후 건조한 시트에 대하여 KS M ISO 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3. 항균 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장식층용 조성물(시료 A)에 대하여 항균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로는 Escherichia coli ATCC 25922 (대장균) 및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녹뇽균)을 사용하였으며, 시험방법은 KICM-FIR 1002의 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결과는 [표 4]와 같다.
4. 흡음성 시험
표 4는 종래 마감재가 도포된 시트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층용 조성물이 도포된 시트의 차음 성능을 측정한 결과로서, 투과손실은 음원실의 음압레벨과 수음실의 음압레벨 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값이 높을수록 차음성능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250 Hz | 500 Hz | 1,000 Hz | 2,000 Hz | |
실시예 | 38.15 | 50.84 | 61.02 | 65.57 |
비교예 | 34.15 | 42.03 | 57.64 | 59.21 |
5. 적외선 열화상 측정 시험
KFIA-FI-1006 방법에 의해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열화상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1℃, 습도 30%의 조건에서 시험하였으며, 측정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방사에너지를 영상과 온도 데이터로 처리한 측정 결과는 도2 (위는 일반 조성물(마감재)를 사용한 경우, 아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냄)에 나타낸 바와 같다.
6.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량 측정 시험
KFIA-FI-1005방법에 의해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 40℃에서 FT-IR 분광계를 이용하여 시험하였고, 블랙 바디(black body) 대비 측정결과는 다음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방사율 (5~20 m) | 방사에너지 (W/m2·m, 40℃) |
0.904 | 3.64 X 102 |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측정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는 각각 도 3과 도4 에 나타낸 바와 같다.
7. 음이온 방출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장식층용 조성물에 대하여 음이온 방출 시험을 수행하였다. KFIA-FI-1042방법을 사용하였다. 전하입자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온도 19℃, 습도 42%, 대기중 음이온수 106/cc 조건에서 시험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측정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체적당 ION수로 표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시료명 / 항목 | 음이온(ION/cc) |
실시예 | 832 |
Claims (7)
- 닥나무 펄프, 분말 또는 닥나무 펄프 및 분말; 천연 비취 광물, 페그마타이트 및 일라이트; 편백분, 쑥 분말 및 녹차 분말; 감자 전분; 및 염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도포되어 있는 장식층; 및
벽면 프레임층, 액자 프레임층, 파티션 프레임층 및 광원을 함유하는 광원시트층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실내장식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은, 닥나무 펄프, 분말 또는 닥나무 펄프 및 분말 100 중량부; 천연 비취 광물 0.1 내지 0.5 중량부; 페그마타이트 10 내지 15 중량부; 일라이트 5 내지 10 중량부; 편백분 3 내지 5 중량부; 쑥 분말 1 내지 3 중량부; 녹차 분말 1 내지 3 중량부; 감자 전분 20 내지 30중량부; 및 염료 0.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실내장식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은 견운모, 흑운모 및 숯 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에서 견운모는 10 내지 15 중량부; 흑운모는 5 내지 10중량부; 숯 분말은 1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실내장식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에서,
닥나무 펄프의 단위 섬유 길이는 0.1 mm 내지 3 mm, 닥나무 분말의 입자 크기는 0.04 mm 내지 0.08 mm, 천연 비취 광물의 입자 크기는 0.005 mm 내지 0.01 mm, 페그마타이트의 입자 크기는 0.01 mm 내지 0.05 mm, 일라이트의 입자 크기는 0.01 mm 내지 0.05 mm, 편백 분말, 쑥 분말 및 녹차 분말의 입자 크기는 0.05 mm 내지 0.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실내장식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에 도포되는 조성물에서,
견운모 및 흑운모의 입자 크기는 0.01 mm 내지 0.05 mm이고, 숯 분말의 입자 크기는 0.05 mm 내지 0.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실내장식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실내장식물.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내장식물은 공기 정화, 방음 또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실내장식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9070A KR102335234B1 (ko) | 2014-11-14 | 2014-11-14 |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실내장식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9070A KR102335234B1 (ko) | 2014-11-14 | 2014-11-14 |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실내장식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7881A true KR20160057881A (ko) | 2016-05-24 |
KR102335234B1 KR102335234B1 (ko) | 2021-12-07 |
Family
ID=5611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9070A KR102335234B1 (ko) | 2014-11-14 | 2014-11-14 |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실내장식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52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33109A (zh) * | 2019-01-14 | 2019-05-10 | 河南仲景源艾业有限公司 | 一种环保装饰材料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0206A (ko) * | 2007-08-23 | 2009-02-26 | 디에스케이엔지니어링(주) | 규산질 천연광물질을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
KR101068557B1 (ko) * | 2010-12-31 | 2011-09-28 | 서도석 | 황토를 이용한 조명 기구 제조 방법 |
KR20130051688A (ko) * | 2011-11-10 | 2013-05-21 | 한천석 | 건축용 미장재 |
KR20130123898A (ko) * | 2012-05-04 | 2013-11-13 | 장석운 | 식물 재배가 가능한 한지공예 액자형 공기청정기 |
-
2014
- 2014-11-14 KR KR1020140159070A patent/KR1023352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0206A (ko) * | 2007-08-23 | 2009-02-26 | 디에스케이엔지니어링(주) | 규산질 천연광물질을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
KR101068557B1 (ko) * | 2010-12-31 | 2011-09-28 | 서도석 | 황토를 이용한 조명 기구 제조 방법 |
KR20130051688A (ko) * | 2011-11-10 | 2013-05-21 | 한천석 | 건축용 미장재 |
KR20130123898A (ko) * | 2012-05-04 | 2013-11-13 | 장석운 | 식물 재배가 가능한 한지공예 액자형 공기청정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33109A (zh) * | 2019-01-14 | 2019-05-10 | 河南仲景源艾业有限公司 | 一种环保装饰材料及其制备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5234B1 (ko) | 2021-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0754B1 (ko) | 천연 마감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651265B1 (ko) | 건축마감재용 코팅제 | |
KR101977565B1 (ko) | 친환경 페인트 조성물 | |
KR100837850B1 (ko) | 토양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1875551A (zh) | 一种具有室内吸附净化分解有害物质的墙泥 | |
KR100605660B1 (ko) |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사하며 솔향을 발산하는 합지제조용 천연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69017B1 (ko) | 친환경 페인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도장방법 | |
KR20190131848A (ko) | 주거 및 생활용품 코팅용 조성물 | |
KR100844079B1 (ko) | 친환경 공기질 개선제 조성물 | |
KR20100138320A (ko) | 도장용 도료조성물 | |
KR20160061723A (ko) | 기능성 항균 벽지 및 벽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10922804A (zh) | 除甲醛植物蛋白胶材料及墙体施工方法 | |
KR101869800B1 (ko) | 기능성 다운 의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다운 의류 | |
KR20080097728A (ko) | 천연소재를 이용한 액상 건축자재 | |
KR20160057881A (ko) |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실내장식물 | |
US20110030577A1 (en) | Functional cotton spray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building material using the same | |
KR20160120926A (ko) | 천연 조성물을 이용한 교구재용 고무점토 | |
KR101415088B1 (ko) |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 |
KR102423141B1 (ko) | 불연 및 항균성 친환경 건축마감용 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마감 시공방법 | |
KR20160066961A (ko) | 한지 질감의 표면 마감용 천연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장판 바닥 마감 공법 | |
KR101628018B1 (ko) | 천연 재료를 이용한 외장패널 | |
KR100738884B1 (ko) | 필터부재에 코팅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 및 이로부터기능성 친환경 필터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필터부재 | |
KR101949091B1 (ko) | 한방 무기물 도료 조성물 | |
KR100983189B1 (ko) | 새집증후군 제거용 수용액의 제조 방법 | |
KR20070012284A (ko) | 바이오 세라믹 및 접착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