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349A - 신호전송 제어방법 및 장치, 전자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신호전송 제어방법 및 장치, 전자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349A
KR20160057349A KR1020157013428A KR20157013428A KR20160057349A KR 20160057349 A KR20160057349 A KR 20160057349A KR 1020157013428 A KR1020157013428 A KR 1020157013428A KR 20157013428 A KR20157013428 A KR 20157013428A KR 20160057349 A KR20160057349 A KR 2016005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request
wireless connection
request frame
transmitting terminal
establi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434B1 (ko
Inventor
지아린 판
치오치 후앙
항 치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05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전송 제어방법, 장치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며,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며,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안을 통해,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감소하고, AP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전송 제어방법 및 장치, 전자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신호 전송 제어 방법, 장치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출원 번호가 2014105556682이며, 출원일이 2014년 10월 17일자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AP(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는 정기적으로 외부로 Beacon(비콘 프레임) 신호를 송신하여, 주변의 STA(Station, 스테이션 또는 단말기)가 상기 Beacon 신호를 인터셉트 하는 것을 통해, 대응하는 AP가 확립한 무선 네트워크를 발견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이 바로 무선 네트워크 발견시의 <수동스캔>과정이다.
수동스캔 과정에서, STA는 Beacon 신호를 인터셉트 할 필요만 있고, 능동적으로 프로브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STA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하지만, 주변에 접속해야 할 STA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Beacon 신호의 송신은 무선 자원의 낭비인것이 분명하고, 또한 AP의 소비 전력의 증가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의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의 송신에 의해 AP의 소비 전력이 과대하게 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호전송 제어방법 및 장치,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전송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신호전송 제어방법은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며,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예정된 시간 길이의 연속하는 시간대 내에,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전송 제어방법은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했을 경우,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확립했던 적이 있을 경우, 상기 송신기능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이력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과거의 접속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존재할 경우,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확립했던 적이 없을 경우, 상기 송신단말기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누적횟수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횟수가 예정된 횟수 이상일 경우, 상기 송신기능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없을 경우, 이번 상기 송신단말기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작동이 실패할 경우, 상기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미리 설정된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능 상태를 전환하는 작동은 수신한 상기 블랙 리스트에 매칭되는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과는 관계없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전송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신호전송 제어장치는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유닛과,
검출한 결과,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며,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기 위한 처리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출유닛은
예정된 시간 길이의 연속하는 시간대 내에,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서브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전송 제어장치는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했을 때,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유닛과,
판단한 결과, 확립했던 적이 있을 경우, 상기 송신기능을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전환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판단유닛은,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서브유닛과,
미리 설정된 이력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과거의 접속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서브유닛을 포함하며,
존재할 경우,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다고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전송 제어장치는
상기 판단한 결과, 확립했던 적이 없을 경우, 상기 송신단말기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누적횟수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유닛과,
상기 누적횟수가 예정된 횟수 이상일 경우, 상기 송신기능을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전환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전송 제어장치는
상기 송신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없을 경우, 이번 상기 송신단말기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작동이 실패할 경우, 상기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미리 설정된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추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능 상태를 전환하는 작동은 수신한 상기 블랙 리스트에 매칭되는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과는 관계없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자장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며,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술안은 하기와 같은 기술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AP주변의 STA(단말기)의 무선 접속에 대한 요구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요구가 없을 경우, 비콘 프레임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켜, AP가 <휴면> 상태가 되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피면하고, AP의 소비 전력의 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동시에, 본 발명은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는 것으로, AP가 <휴면> 상태에서도 주변 STA의 요구에 대한 검출과 판단을 유지할 수 있어, STA의 정상적인 무선 접속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및 해석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표시된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며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송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송 제어에 이용되는 장치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여기에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 예시를 도면에 표시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그들은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어떤 방향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일례에 불과하다.
도 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송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AP에 사용되어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2에서,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AP는 무선 인터넷을 컴파일 (compile) 하여 무선 네트워크 커버리지로 전환하는데만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응용되는 교환기에 상당하는 단순형 AP일 수 있고, 또는 AP는 확장형 AP, 즉 무선 라우터일 수도 있다. 여기서, AP는 독립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에 집적된 핫스포트 기능을 가지는 WIFI(Widely Fidelity) 모듈과 같은 기타 디바이스에 집적된 기능 모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을 수신했을 경우, 당해 단말기가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고 있다고 볼수 있다. 당연히, 접속 확립에 대한 단말기의 의도를 확정하기 위한 기타 방법도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응용할 수 있다.
단계 104에서,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만 판단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Beacon)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동시에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의 길이를 기록할 수도 있다. 예정된 시간의 길이의 연속하는 시간대 내에,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 본 발명은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시기적절하게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가능한 한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회사에서 근무중 일때, 집의 무선 라우터는 자동적으로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오프 할 수 있어 대응하는 소비 전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2에서, 정상적인 상황일 경우, AP는 정상적인 작업상태에 놓여 있으며, 즉 AP가 예정된 주기대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고, 한편, STA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리성을 위해 정상적인 작업 상태를 사용하여, 후속 휴면 상태와 구별되도록 한다. 여기서, 정상적인 작업상태에서, AP는 외부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여, STA가 상기 AP가 확립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하여 수동적 스캔을 실시하도록 함과 동시에 AP는 STA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여, AP가 확립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STA의 능동적 스캔을 완성하도록 한다.
단계 204에서, AP와의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ST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존재할 경우, 요구에 응답함과 동시에 계속 판단을 수행한다.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계 206으로 진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STA가 송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조건으로 하는 것을 통해, 대응하는 STA에 접속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했을 경우, 대응하는 STA가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한다고 판단하고, 반대일 경우,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STA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1분이라는 예정된 시간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예정된 시간 길이 이상의 연속하는 시간대 내에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STA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접속을 요구하는 STA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며, 단계 206으로 진입한다. 반대로, 1분인 시간대 내에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STA가 검출되었을 경우, 시간을 다시 계산할 필요가 있다.
단계 206에서, AP를 정상적인 작업상태로부터 휴면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휴면상태의 AP는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하고,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낮에 유저가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을 때, 아무도 집의 무선 라우터를 계속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무선 접속을 확립할 필요가 있는 디바이스도 없다.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계속한다는 것은, 자원과 에너지 소비의 낭비인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AP를 휴면상태로 전환하여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당분간 정지시키고,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만 유지한다. 따라서, 비콘 프레임의 송신에 의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회피하는 한편, 유저가 퇴근하여 귀가 후, 유저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스마트 폰 등의 디바이스를 통해 능동적으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여, AP를 시기적절하게 환기한다.
단계 208에서, 디바이스가 송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했을 경우, 단계 210으로 진입한다.
단계 210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한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취득하고, AP가 과거에 상기 디바이스와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즉, 상기 디바이스가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정한다. 여기서, 확립했던 적이 있을 경우, 단계 212으로 진입하고, 반대일 경우, 현재 디바이스가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인 것을 의미하며, 단계 214으로 진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식별정보는 부동한 하드웨어를 식별하고 구별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 미디어 액세스 제어) 주소 등이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AP는 디바이스와 무선 접속의 확립을 완성할 때마다,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기록하여, 이력 데이터 베이스를 확립할 수 있으며, 상기 이력 데이터 베이스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매칭을 실시하는 것을 통해, 현재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STA가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정한다.
단계 212에서, AP는 정상적인 작업상태로 회복되어, 다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가 위험하고 불안정하다고 인정하여, STA가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가 아닐 경우, AP가 안전하고 안정적인 작업 환경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어, 정상적인 작업상태로 환기할 수 있다. 한편,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가 아닌 STA가 검출되었을 때,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기타 디바이스가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P가 회사의 무선 라우터인 경우, 사원이 잇달아 회사에 도착할 수 있고, 또는 AP가 가정용 무선 라우터인 경우, 유저가 외출하여 돌아올 수 있으며, 기타 사원 또는 가족이 잇달아 또는 동시에 도착할 수 있어, AP가 모든 유저의 사용 요구를 만족하도록 AP를 정상적인 작업상태로 되돌린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기초하여, AP는 그에 대해 정상적인 응답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STA에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리턴한다.
단계 214에서,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무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기초하여, 단계 214에서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그대로 무시하는 것 외에, 기타 처리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3과 도 4에 결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한다. 대응하는 기술방안의 응용장면에는 AP 및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없는 STA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AP는 유저 집의 무선 라우터일 수 있고, STA는 집 밖을 지나는 낯선 사람의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2에서, AP는 도 2에 나타낸 단계 202부터 단계 206까지의 처리과정에 기초하여, 정상적인 작업상태로부터 휴면상태로 전환된다.
단계 304에서, STA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 1을 수신한다.
단계 306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 1로부터 예를 들어 STA의 MAC 주소와 같은 STA의 식별정보를 취득하고, 미리 설정된 블랙 리스트에 서로 매칭하는 디바이스 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여기서, 매칭하는 디바이스 표지가 존재할 경우, AP가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 1을 그대로 무시하고, STA가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여러번 송신하여도, 대응하는 STA의 MAC 주소가 블랙 리스트에 기록되여 있다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면,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전부 무시하며, AP의 운행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이에 근거하여 휴면상태로부터 정상적인 작업상태로 회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블랙 리스트 중의 디바이스는 안전 리스크가 존재할 수 있으며, 또는 접속의 확립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따라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STA를 블랙 리스트와 비교하는 것을 통해, AP가 환기되는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며, 안전성을 높이고, AP의 소비 전력을 절감한다.
본 실시예에서, AP가 저장한 이력 데이터 베이스는 블랙 리스트와 공통 부분(Intersection)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우선 STA의 식별정보를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매칭을 진행하여,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일 경우, 다음 단계로 블랙 리스트와 매칭을 진행한다. 또는, 우선 블랙 리스트와 매칭을 진행하여, 리스크가 없을 경우, 다음 단계로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매칭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2에서, AP는 도 2에 나타낸 단계 202로부터 단계 206까지의 처리과정에 기초하여, 정상적인 작업상태로부터 휴면상태로 전환된다.
단계 404에서, STA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 1을 수신한다.
단계 406에서, STA가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인 것이 확정되었을 경우(도2에 표시된 단계 210을 통해 판단), 미리 설정된 블랙 리스트와 매칭을 진행한다.
단계 408에서, 블랙 리스트에 STA와 매칭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대 내에 AP가 STA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횟수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이때의 기록횟수는 1이다.
AP내에 예정된 횟수 n을 미리 배치하여, 기록한 횟수가 상기 예정된 횟수 n보다 작을 경우, 이번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무시한다. 예를 들면, n=3일 경우,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 1을 무시할 필요가 있다.
예정된 시간대 내에, AP가 STA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수신했을 때, 프로브 요구 프레임1과 유사한 처리 방법을 채용한다. 즉, 수신횟수를 기록하고, 이번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무시한다.
단계 410에서, STA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 n을 수신한다.
단계 412에서, STA가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이라고 확정되었을 경우, 미리 설정된 블랙 리스트와 매칭을 진행한다.
단계 414에서, 블랙 리스트에 STA와 매칭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예정된 시간대 내에 AP가 STA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횟수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이 때의 기록횟수를 n으로 갱신한다.
기록한 횟수 n이 예정된 횟수 n과 동일하기 때문에, 단계 416으로 진입한다.
단계 416에서, AP의 작업상태를 휴면상태로부터 정상적인 상태로 전환한다. 즉 AP는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재개한다.
단계 418에서, AP는 STA와의 무선 접속의 확립을 시도한다. 예를 들면, STA에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리턴하며, 기타 비콘 프레임과의 인터랙티브를 계속한다.
단계 420에서, AP와 STA와의 무선 접속의 확립결과를 확정하며, 확립이 실패했을 경우, STA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MAC 주소)를 블랙 리스트에 추가한다. 이후 AP가 휴면상태에서 STA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했을 경우, AP는 도 3에 나타낸 처리 방법을 채용하여,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그대로 무시하고, AP의 작업상태를 바꾸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신호전송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도 5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검출유닛(51)과 처리유닛(52)을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유닛(51)은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처리유닛(52)은, 검출한 결과,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AP주변의 STA(단말기)의 무선 접속에 대한 요구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요구가 없을 경우, 비콘 프레임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켜, AP가 휴면 상태가 되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피하고, AP의 소비 전력의 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동시에, 본 발명은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는 것으로, AP가 휴면 상태에서도 주변 STA의 요구에 대한 검출과 판단을 유지할 수 있어, STA의 정상적인 무선 접속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6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초상에, 검출유닛(51)은,
예정된 시간 길이의 연속하는 시간대 내에,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서브유닛 (5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고,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길이를 기록하여, 예정된 시간 길이의 연속하는 시간대 내에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이 존재하는지 여부"에만 대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초상에, 상기 장치는 판단유닛(53)과 제1 전환유닛(54)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판단유닛(53)은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했을 경우,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제1 전환유닛(54)은, 판단한 결과, 확립했던 적이 있을 경우, 상기 송신기능을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인증된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프로브 요구 프레임이 검출되었을 경우, AP를 정상적인 작업상태로 회복시켜, 무선 접속의 확립을 희망하는 기타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AP가 모든 유저의 사용 요구를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도 7에 나타낸 장치 실시예의 판단유닛(53)과 제1 전환유닛(54)의 구조는 전술한 도 6의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본발명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8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초상에, 판단유닛(53)은 취득서브유닛(531)과 검색서브유닛(5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취득서브유닛(531)은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며,
검색서브유닛(532)은, 미리 설정된 이력 데이터 베이스중에 상기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과거의 접속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존재할 경우,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AP는 디바이스와 무선 접속의 확립을 완성할 때마다,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기록하여, 이력 데이터 베이스를 확립할 수 있으며, 상기 이력 데이터 베이스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매칭을 실시하는 것을 통해, 현재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STA가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정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9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초상에, 상기 장치는 기록유닛(55)과 제2 전환유닛(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유닛(55)은, 상기 판단한 결과, 확립했던 적이 없을 경우, 상기 송신단말기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누적횟수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며,
제2 전환유닛(56)은, 상기 누적횟수가 예정된 횟수 이상일 경우, 상기 송신기능을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STA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누적횟수가 너무 적을(예를 들면, 예정된 횟수보다 적을)경우, 상기STA는 우연히 지나감에 불과하고,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요구가 없을수 있으며, 따라서, 응답 또는 작업상태를 전환할 필요가 없다. 동일한 STA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누적횟수가 비교적 많을(예를 들면, 예정된 횟수 이상일) 경우, 상기 STA가 대범위적으로 이동하지 않았다는 것을 설명하며, 무선 접속의 확립을 희망할 가능성이 클수 있으며, 또한 주변에 유사한 디바이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모든 디바이스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AP의 작업상태를 전환한다. 여기서, AP는 STA로부터의 모든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무시하고,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만으로 STA는 AP에 대해 스캔을 실현할 수 있으며, 또는, AP는 STA가 송신하는 마지막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응답하여, 즉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리턴할 수도 있다.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10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신호전송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도9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초상에 상기 장치는 추가유닛(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유닛(57)은 상기 송신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없을 경우, 이번 상기 송신단말기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작동이 실패할 경우, 상기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미리 설정된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능 상태를 전환하는 동작은, 수신한 상기 블랙 리스트에 매칭되는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과는 관계없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블랙 리스트 메커니즘을 채용하는 것을 통해, 블랙 리스트에 기록된 STA에 응답하는 것을 회피하고, AP의 안전성의 향상과 소비 전력의 절감에 도움이 된다. 동시에, STA가 무선 접속을 성공적으로 확립하지 못할 경우, 이번 AP를 환기하는 작업이 낭비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P는 소정 시간동안 정상적인 작업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무선 접속을 성공적으로 확립하지 못한 STA를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으로, 다음 번에 상기 STA에 의해 환기되는 것을 회피하고, AP의 운행 소비 전력의 절감에 도움이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의 장치에 관해서, 각 모듈이 작동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미 관련하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을 실시하였으며,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장치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에 대응하기때문에, 관련하는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부분적인 설명을 참고로 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고, 여기서 분리부품으로서 설명된 상기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일 수 있고 아닐수도 있다. 즉, 한곳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의 요구에 근거하여, 그 중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모듈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기술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
상응하여, 본 발명은 신호전송 제어장치를 더 제공하며,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며,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응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호전송 제어장치(11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1100)는 AP, 무선 라우터, AP기능을 가지는 이동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 폰 또는 타블렛 디바이스 등 )일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1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처리 어셈블리(1122), 및 메모리(1132)를 대표로 하는 기억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억장치는 예를 들면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처리 어셈블리(1122)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한다. 메모리(1132)에 저장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듈은 일련의 인스트럭션에 대응된다. 또한, 처리 어셈블리(1122)는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을 실행한다.
장치(1100)는 장치(1100)의 전원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전원 에섬블리(1126)와, 장치(1100)를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50) 및 하나의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158)을 더 포함한다. 장치(1100)는 메모리(1132)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에 기초하여 작동할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참조하고 또한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행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며, 본 명세서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관용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와 취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되고 도면에 나타낸 구체적인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13)

  1.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며,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예정된 시간 길이의 연속하는 시간대 내에, 상기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했을 경우,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확립했던 적이 있을 경우, 상기 송신기능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상기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이력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송신단말기의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과거의 접속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존재할 경우,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확립했던 적이 없을 경우, 상기 송신단말기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누적횟수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횟수가 예정된 횟수 이상일 경우, 상기 송신기능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단말기와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없을 경우, 이번 상기 송신단말기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작동이 실패할 경우, 상기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미리 설정된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능 상태를 전환하는 동작은 수신한 상기 블랙 리스트에 매칭되는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과는 관계없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 제어방법.
  7.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유닛과,
    검출한 결과,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며,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기 위한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유닛은
    예정된 시간 길이의 연속하는 시간대 내에, 상기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서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 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했을 때,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단말기와 상기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유닛과,
    상기 판단 결과, 확립했던 적이 있을 경우, 상기 송신기능을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전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유닛은,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상기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서브유닛과,
    미리 설정된 이력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송신단말기의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과거의 접속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서브유닛을 포함하며,
    존재할 경우, 상기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 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판단 결과, 확립했던 적이 없을 경우, 상기 송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누적횟수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유닛과,
    상기 누적횟수가 예정된 횟수 이상일 경우, 상기 송신기능을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전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신호전송 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송신단말기와 상기 무선 접속을 확립했던 적이 없을 경우, 이번 상기 송신단말기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작동이 실패할 경우, 상기 송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미리 설정된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추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능 상태를 전환하는 작동은 수신한 상기 블랙 리스트에 매칭되는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과는 관계없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 제어장치.
  13.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콘 프레임의 송신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며,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수신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157013428A 2014-10-17 2015-03-23 신호전송 제어방법 및 장치, 전자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648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555668.2A CN104333890A (zh) 2014-10-17 2014-10-17 信号传输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201410555668.2 2014-10-17
PCT/CN2015/074878 WO2016058335A1 (zh) 2014-10-17 2015-03-23 信号传输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349A true KR20160057349A (ko) 2016-05-23
KR101648434B1 KR101648434B1 (ko) 2016-08-16

Family

ID=5240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428A KR101648434B1 (ko) 2014-10-17 2015-03-23 신호전송 제어방법 및 장치, 전자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44091B2 (ko)
EP (1) EP3010289B1 (ko)
JP (1) JP6130081B2 (ko)
KR (1) KR101648434B1 (ko)
CN (1) CN104333890A (ko)
BR (1) BR112015024400A2 (ko)
MX (1) MX356723B (ko)
RU (1) RU2628324C2 (ko)
WO (1) WO2016058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3890A (zh) * 2014-10-17 2015-02-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号传输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20160242072A1 (en) * 2015-02-18 2016-08-18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over-sized call setup messages
US9961619B2 (en) * 2015-05-05 2018-05-0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intelligently and dynamically selecting beacon transmitting nodes in ad-hoc networks
NL1041509B1 (en) * 2015-10-08 2017-04-26 Assumite Gladium Spiritus B V Activation procedure for low radiation wireless networks.
US10367836B2 (en) * 2015-10-27 2019-07-30 Sk Planet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state of beacon device in wireless mesh network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10484942B2 (en) * 2016-04-21 2019-11-19 Arris Enterprises Llc Wireless access point managing apparatus
CN105959124A (zh) * 2016-04-26 2016-09-2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降低路由辐射的方法和系统
US10785718B2 (en) * 2016-06-06 2020-09-22 Apple Inc. Software-enabled access point with power saving
US10924986B2 (en) 2016-12-21 2021-02-16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to access point in wireless network
US10674450B2 (en) 2017-03-22 2020-06-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ynchronous wake-up mode and related mode switching
CN108668342B (zh) * 2017-03-28 2020-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US10440031B2 (en) * 2017-07-21 2019-10-08 Cisco Technology, Inc. Wireless network steering
CN110889911B (zh) * 2018-08-15 2022-01-2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锁休眠唤醒的低功耗控制方法及设备
CN110557779B (zh) 2019-05-16 2021-08-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连接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173364A (zh) * 2020-09-10 2022-03-11 艾锐势企业有限责任公司 用于无线网络的网络设备、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2248A (ja) * 2008-03-24 2009-10-08 Toshiba Corp 無線基地局、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2009302798A (ja) * 2008-06-12 2009-12-24 I-O Data Device Inc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ビーコン信号送信制御方法およびビーコン信号送信制御プログラム
CN102437897A (zh) * 2011-11-11 2012-05-02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Beacon的发送方法和设备
KR20140100569A (ko) * 2011-12-07 2014-08-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액세스 포인트 전력 절약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8977B1 (de) * 1998-02-27 2003-10-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Telekommunikationssysteme mit drahtloser, auf code- und zeitmultiplex basierender telekommunikation
FR2834595A1 (fr) * 2002-01-08 2003-07-11 Canon Kk Procede de communication dans un reseau
JP2003348104A (ja) * 2002-05-28 2003-12-05 Canon Inc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
US7660980B2 (en) 2002-11-18 2010-02-09 Liquidware Labs, Inc. Establishing secure TCP/IP communications using embedded IDs
WO2004075583A1 (en) * 2003-02-24 2004-09-02 Swisscom Ag Reduction of electrosmog in wireless local networks
US20070214379A1 (en) * 2006-03-03 2007-09-1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JP2007251564A (ja) 2006-03-15 2007-09-27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lanシステム
US7929513B2 (en) * 2006-10-30 2011-04-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s, end-point communication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generate security alert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interfering signals and/or connection messages
KR101650118B1 (ko) * 2008-07-11 2016-08-22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액세스 포인트들을 위한 전력 절감 모드
CN101873677B (zh) * 2009-04-23 2016-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功率的控制方法及装置
WO2011124853A1 (fr) * 2010-04-08 2011-10-13 France Telecom Procede de controle d'un point d'acces d'une passerelle domestique d'un reseau domestique
CN102378322B (zh) * 2010-08-11 2015-06-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无线访问节点及其节省功耗的方法
CN102083192A (zh) * 2010-08-12 2011-06-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小区节能去激活方法、系统和设备
TWI463895B (zh) 2010-08-13 2014-12-01 Hon Hai Prec Ind Co Ltd 無線訪問節點及其節省功耗之方法
US8588698B2 (en) * 2010-08-26 2013-11-19 At&T Mobility Ii Llc Bluetooth-enabled femto pilot gating
US8611268B1 (en) * 2011-04-15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power save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2938926A (zh) 2011-08-16 2013-02-2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网络中实现接入点节能的方法及接入点
EP2595433B1 (en) 2011-11-21 2021-06-02 Deutsche Telekom AG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centric discovering of points of attachement to the network for mobile devices within networks having plural access points
WO2013161248A1 (ja) * 2012-04-25 2013-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通信デバイス、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制御プログラム
CN102685860B (zh) 2012-05-04 2015-04-08 华为终端有限公司 数据发送、接收的方法与装置
WO2014132469A1 (ja) * 2013-02-27 2014-09-04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端末装置、それと無線通信を行う無線装置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US9185648B2 (en) 2013-03-13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Intelligent beaconing by software-enabled access point
US20140269476A1 (en) * 2013-03-14 2014-09-18 FlowNet LLC Power management for wireless access point
CN104080148A (zh) 2013-03-29 2014-10-01 华为终端有限公司 实现快速网络连接的方法和装置
CN103843417A (zh) * 2013-09-27 2014-06-04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接入点的控制方法和装置
KR102000159B1 (ko) * 2013-12-18 2019-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불법 위장 단말 식별 장치 및 방법
US9351326B2 (en) * 2014-01-21 2016-05-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ccess point discoverability in multi-role multi-channel devices
CN104066164B (zh) 2014-05-30 2017-11-17 深圳市吉祥腾达科技有限公司 通过检测WiFi信号切换AP工作模式的方法和装置
EP3099117A4 (en) * 2014-06-27 2017-07-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Energy saving method and wake-up method for wireless ap, related device and system
CN104333890A (zh) * 2014-10-17 2015-02-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号传输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2248A (ja) * 2008-03-24 2009-10-08 Toshiba Corp 無線基地局、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2009302798A (ja) * 2008-06-12 2009-12-24 I-O Data Device Inc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ビーコン信号送信制御方法およびビーコン信号送信制御プログラム
CN102437897A (zh) * 2011-11-11 2012-05-02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Beacon的发送方法和设备
KR20140100569A (ko) * 2011-12-07 2014-08-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액세스 포인트 전력 절약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30081B2 (ja) 2017-05-17
EP3010289B1 (en) 2018-07-25
BR112015024400A2 (pt) 2017-07-18
JP2016536950A (ja) 2016-11-24
CN104333890A (zh) 2015-02-04
RU2015132441A (ru) 2017-02-08
WO2016058335A1 (zh) 2016-04-21
US9844091B2 (en) 2017-12-12
RU2628324C2 (ru) 2017-08-15
KR101648434B1 (ko) 2016-08-16
EP3010289A1 (en) 2016-04-20
MX356723B (es) 2018-06-11
US20160113055A1 (en) 2016-04-21
MX2015009664A (es)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434B1 (ko) 신호전송 제어방법 및 장치, 전자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052898B2 (en) 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with device power optimization, using HTTP protocol
US9813873B2 (en) Mobile device tracking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US10063546B2 (en)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781556B2 (en) Network-assisted to direct device discovery switch
EP2996367B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starting mobile hotspot
EP29624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nternet connection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391298B (zh) 一种网络自动切换的系统及电子设备
JP5748772B2 (ja) ポータブル端末で近距離無線ネットワークの自動接続の方法及び装置
US10536886B2 (en) Network sha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US20160183317A1 (en) Method to reduce user perceived connection time for miracast/widi
KR20170118086A (ko) 액세스 포인트 조종
KR101763171B1 (ko) 단말 간의 피어투피어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065092B1 (ko) 네트워크 컨트롤러 및 소형 기지국
WO2014090052A1 (zh) 无线网络接入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392185B (zh) 一种智能设备的联网方法、装置及系统
CN106664652B (zh) 一种唤醒无线保真网络的方法和终端
JP2009135783A (ja) 通信アダプタ及びその接続情報設定方法
WO2016197809A2 (zh) 接入点切换方法及装置
CN106792694B (zh) 一种接入认证方法,及接入设备
CN10591541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终端设备
WO2020088320A1 (zh) 快速搜索高制式网络的方法和终端设备
JP2010233184A (ja) 無線基地局、ゲートウェイ装置、並びに呼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684521B (zh) 一种wifi接入点控制方法及wifi接入点
KR20130075345A (ko) 무선 단말장치에서 근거리 통신 연결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