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096A - 충전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096A
KR20160057096A KR1020140157850A KR20140157850A KR20160057096A KR 20160057096 A KR20160057096 A KR 20160057096A KR 1020140157850 A KR1020140157850 A KR 1020140157850A KR 20140157850 A KR20140157850 A KR 20140157850A KR 20160057096 A KR20160057096 A KR 2016005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ort
charging
connection
charging dev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훈
김철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7096A/ko
Publication of KR2016005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충전기의 충전 전류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충전 장치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접속 단자와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충전용 컨넥트 포트와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용 컨넥트 포트와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과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의 연결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 또는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출력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기 및 그 동작 방법{CHANG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충전기의 충전 전류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해 타블렛,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외부 전원에 연결된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는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AC: alternation current) 전원을 직류(DC: direct current)로 변환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충전기는 전자 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류가 정해져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가 충전기의 최대 전류 이상의 전류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 가능한 경우에도 충전기의 한정된 출력 전류로 인해 전자 장치의 배터리 충전 성능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충전기의 충전 전류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충전 장치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접속 단자와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충전용 컨넥트 포트와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용 컨넥트 포트와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과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의 연결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 또는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출력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충전 장치의 동작은, 접속 단자, 충전용 컨넥트 포트 및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충전 장치에서,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동작과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제 2 충전 장치의 연결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 또는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충전기를 결합하여 전자 장치로 공급하는 충전 전류를 높임으로써, 전자 장치의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된 충전기들의 전류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에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에서 충전 전류를 높이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 (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 (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은 충전기를 결합하여 충전 전류를 높이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충전 케이블과 분리되는 분리형 충전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충전 케이블과 연결된 일체형 충전기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충전기(100)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속 단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100)는 다른 충전기가 연결되는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와 외부 장치로 충전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충전용 컨넥트 포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를 들어, 충전기(100)는 도 1b와 같이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102)가 연결됨으로써,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충전 전류를 높일 수 있다.
한 실시 예를 들어,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는 다른 충전기의 접속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를 들어, 충전용 컨넥트 포트(13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USB 소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기(100)는 변환 모듈(200), 결합 모듈(210), 출력 제어 모듈(220) 및 연결 인터페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 모듈(20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AC 전원)을 해당 정격전력에 기반하여 직류 전원(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류 전원은 직류 전압 또는 직류 전류를 나타낼 수 있다.
결합 모듈(210)은 변환 모듈(200)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과 접속 단자(110)를 통해 충전기(100)와 연결된 다른 충전기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100)와 다른 충전기의 출력이 각각 5V(volt)/1A(am pere)인 경우, 결합 모듈(210)은 변환 모듈(200)과 다른 충전기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결합하여 2A의 충전 전류를 출력 제어 모듈(220)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를 들어, 충전기(100)가 접속 단자(110)를 통해 다른 충전기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결합 모듈(210)은 다른 충전기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변환 모듈(200)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출력 제어 모듈(220)로 통과시킬 수 있다.
출력 제어 모듈(220)은 연결 인터페이스(230)를 통한 다른 충전기의 연결 여부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의 전송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를 들어, 연결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다른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출력 제어 모듈(220)은 결합 모듈(210)이 출력 라인과 충전용 컨넥트 포트(130)가 연결되도록 제어하여, 결합 모듈(210)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충전용 컨넥트 포트(130)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모듈(210)이 출력 라인과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의 연결은 단절될 수 있다.
한 실시 예를 들어, 연결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다른 충전기가 연결된 경우, 출력 제어 모듈(220)은 연결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와 결합 모듈(210)의 출력 라인이 연결되도록 제어하여, 결합 모듈(210)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모듈(210)이 출력 라인과 충전용 컨넥트 포트(130)의 연결은 단절될 수 있다.
연결 인터페이스(230)는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를 들어, 연결 인터페이스(230)는 다른 충전기(예: 도 1b의 다른 충전기(102))의 연결 정보를 출력 제어 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인터페이스(230)는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가 연결되는 경우, 다른 충전기의 연결 정보를 출력 제어 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를 들어,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가 연결된 경우, 연결 인터페이스(23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다른 충전기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인터페이스(230)는 충전기(100)의 접속 단자(110)에서 분기되어 연결 인터페이스(230)에 연결된 라인을 통해 제공받은 외부 전원의 교류 전원을 다른 충전기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결합 모듈(210)은 변환 모듈(200)과 출력 제어 모듈(220) 사이에 별도의 모듈로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를 들어, 결합 모듈(210)은 변환 모듈(200) 또는 출력 제어 모듈(22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된 충전기들의 전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기(100)의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102)가 연결된 경우, 충전기(100)의 변환 모듈(20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AC 전원)을 직류 전원(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결합 모듈(210)을 통해 출력 제어 모듈(220)로 제공할 수 있다.
충전기(100)의 출력 제어 모듈(220)은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와 결합 모듈(210)의 출력 라인이 연결되도록 제어하여, 결합 모듈(210)을 통해 변환 모듈(200)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102)로 제공할 수 있다.
충전기(100)의 연결 인터페이스(23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다른 충전기(102)의 접속 단자를 통해 다른 충전기(102)의 변환 모듈(3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충전기(102)의 변환 모듈(300)은 접속 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AC 전원)을 직류 전원(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결합 모듈(2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충전기(102)의 결합 모듈(310)은 변환 모듈(300)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과 충전기(100)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결합하여 출력 제어 모듈(32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충전기(102)의 출력 제어 모듈(320)은 충전용 컨넥트 포트와 결합 모듈(310)의 출력 라인이 연결되도록 제어하여, 결합 모듈(310)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충전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 1 충전 장치(예: 도 1a의 충전기(1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접속 단자와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충전용 컨넥트 포트와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용 컨넥트 포트와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과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의 연결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 또는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출력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는지 확인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접속 단자에서 분기되어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 2 충전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고,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제 3 충전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과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결합하는 결합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의 연결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결합 모듈의 출력 라인과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 또는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결합 모듈에서 결합된 직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고,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합 모듈에서 결합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는, 상기 제 2 충전 장치의 접속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에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충전기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AC 전원)을 충전기의 정격전력에 기반하여 직류 전원(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충전기(100)는 변환 모듈(200)을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AC 전원)을 직류 전원(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충전기는 다른 충전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충전기(100)는 연결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다른 충전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충전기는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가 연결된 경우, 동작 401에서 변환한 직류 전원을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충전기(100)는 출력 제어 모듈(220)을 통해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와 결합 모듈(210)의 출력 라인이 연결되도록 제어하여, 결합 모듈(210)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로 제공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충전기는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동작 401에서 변환한 직류 전원을 충전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충전기(100)는 출력 제어 모듈(220)을 통해 충전용 컨넥트 포트(130)와 결합 모듈(210)의 출력 라인이 연결되도록 제어하여, 결합 모듈(210)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충전용 컨넥트 포트(130)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에서 충전 전류를 높이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충전기는 도 4의 동작 401에서 외부 전원의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경우, 충전기의 접속 단자를 통해 다른 충전기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동작 403에서, 충전기는 다른 충전기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를 통해 다른 충전기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충전기는 다른 충전기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이 존재하는 경우, 동작 401에서 변환한 직류 전원과 다른 충전기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 1b와 같이 충전기(100)에 다른 충전기(102)가 연결된 경우, 충전기(100)의 출력 제어 모듈(220)은 연결용 컨넥트 포트(120)와 결합 모듈(210)의 출력 라인이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를 들어, 다른 충전기(102)의 충전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외부 장치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외부 장치의 배터리 충전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충전기(100)의 출력 제어 모듈(220)은 충전용 컨넥트 포트(130)와 결합 모듈(210)의 출력 라인이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충전 장치(예: 도 1a의 충전기(100))의 동작은, 접속 단자, 충전용 컨넥트 포트 및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충전 장치에서,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동작과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제 2 충전 장치의 연결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 또는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접속 단자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 2 충전 장치로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제 3 충전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과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결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결합된 직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합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는, 상기 제 2 충전 장치의 접속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제 1 충전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접속 단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충전용 컨넥트 포트;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용 컨넥트 포트;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의 연결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 또는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출력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소켓을 포함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는지 확인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접속 단자에서 분기되어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 2 충전 장치로 제공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고,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제 3 충전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과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결합하는 결합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의 연결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결합 모듈의 출력 라인과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 또는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연결하는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결합 모듈에서 결합된 직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고,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합 모듈에서 결합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는, 상기 제 2 충전 장치의 접속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 1 충전 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접속 단자, 충전용 컨넥트 포트 및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충전 장치에서,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동작; 및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제 2 충전 장치의 연결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 또는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소켓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접속 단자에서 분기된 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 2 충전 장치로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동작;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제 3 충전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과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결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결합된 직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합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컨넥트 포트로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컨넥트 포트는, 상기 제 2 충전 장치의 접속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40157850A 2014-11-13 2014-11-13 충전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57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850A KR20160057096A (ko) 2014-11-13 2014-11-13 충전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850A KR20160057096A (ko) 2014-11-13 2014-11-13 충전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096A true KR20160057096A (ko) 2016-05-23

Family

ID=5610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850A KR20160057096A (ko) 2014-11-13 2014-11-13 충전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70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56350B (zh) 高电压专用充电端口
US8450979B2 (en) Power adapter with internal battery
CN102640076B (zh) 当在设备充电期间在睡眠模式与正常模式之间切换时电力消耗被降低的电力转换器
KR102107768B1 (ko) 보조 전원을 내장한 무선 충전 장치와 보조 전원 장치
US105740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CN104917016B (zh) 充电式集线器
US8519564B2 (en) Multi-output power supply
EP2402864A3 (en) Portable charging apparatus, charging method thereof, and charging system
US10148101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battery charging protection control method
CN102882246B (zh) 使用可拆卸装置对主装置进行充电的系统和方法
CN102929821B (zh) 电子设备及电子设备系统
CN209963767U (zh) 一种放电控制电路、移动电源以及电源适配器
MX2021011283A (es) Cargador ev con protocolo de carga adaptable.
EP2722940A1 (en) Audio signal adapter device
CN109474046A (zh) 一种放电控制电路、移动电源以及电源适配器
US20100084917A1 (en) Power adaptor
US10177420B2 (en) Charger circuit and power conversion circuit thereof
KR101451341B1 (ko)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094058A1 (en) External batter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06884U (ko) 보조 배터리가 내장된 충전 겸용 데이터 케이블
US20150137602A1 (en) Power management unit and its application i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supplying unit
US20150340861A1 (en) Power supply device
KR20160057096A (ko) 충전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372521A1 (en) Portable Power Bank
US10063160B2 (en) Power adapter, cable, and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