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076A -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 Google Patents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076A
KR20160056076A KR1020140156014A KR20140156014A KR20160056076A KR 20160056076 A KR20160056076 A KR 20160056076A KR 1020140156014 A KR1020140156014 A KR 1020140156014A KR 20140156014 A KR20140156014 A KR 20140156014A KR 20160056076 A KR20160056076 A KR 20160056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ypass
pipe
valve assembly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076A/ko
Publication of KR2016005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2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oil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visco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는 변속기 측에 연결된 제 1 변속기 파이프(110) 및 제 2 변속기 파이프(120), 오일쿨러 측에 연결된 제 1 쿨러 파이프(130) 및 제 2 쿨러파이프(140), 내부에 상기 제 1 변속기 파이프(110), 제 2 변속기 파이프(120), 제 1 쿨러 파이프(130) 및 제 2 쿨러파이프(14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15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150)를 개폐하는 밸브 조립체(200);를 구비한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복수 개의 바이패스 홀(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부품의 사이즈 증대를 방지하여 원가 및 중량을 최적화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적절한 유량 확보를 통해 변속기의 과냉각을 방지하여 변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AN ATF OIL BY-PASS VALVE}
본 발명은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패스 홀을 구비함으로써 바이패스되는 ATF 오일의 유량을 증대시켜 변속기의 과냉각을 방지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변속기 오일(ATF: Automatic Transmission Fluid)은 토크 컨버터 내에서의 동력 전달, 기어 또는 베어링 등 회전요소의 윤활뿐만 아니라, 밸브, 클러치, 브레이크 등의 작동과 마찰부위의 냉각작용 등을 수행한다.
상기 자동변속기 오일은 온도 상승에 따라 점도가 반비례하여 떨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즉, 상기 자동변속기 오일은 고온 시 점도가 너무 낮으므로 컨트롤 밸브, 클러치, 피스톤 등으로 오일의 누유량이 많아져 유압저하 등의 원인이 되고, 저온 시 점도가 너무 높으므로 밸브 등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동변속기 오일의 점도 변화는 토크 컨버터의 성능에도 영향을 주게 되므로, 일정한 온도로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자동변속기 오일의 온도관리는 매우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오일(ATF)의 정상작동을 위하여 다양한 냉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차량의 초기 시동시 ATF의 온도를 신속히 상승시키기 위한 워머(warmer) 및/또는 과열된 ATF을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oil cooler)가 차종에 따라 추가적으로 탑재된다.
이중, ATF를 냉각하기 위한 쿨러는 ATF만을 냉각하는 전용 쿨링팬이 탑재되는 방식도 있으나,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해 차량의 전면에 배치된 라디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된 오일쿨러가 사용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ATF 오일의 쿨링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ATF 오일의 쿨링시스템은 ATF 오일이 저온인 경우에는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여, ATF 오일이 오일 쿨러를 통과하지 않고 변속기로 다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ATF 오일이 고온인 경우에는 바이패스 밸브를 폐쇄하여, ATF 오일이 오일 쿨러에 의해 냉각된 후 변속기로 다시 유입되도록 한다.
도 2는 ATF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바이패스 밸브의 개념도로서, 도 2(a)을 참조하면 종래의 바이패스 밸브는 ATF가 저온인 경우에도 바이패스 유로의 폭이 좁으므로, 바이패스 유로로 흐르지 못하고 오일 쿨러로 흐르는 다량의 유량에 의해 변속기의 과냉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변속기의 내구력 및 변속감이 불량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c)의 "a" 부분의 직경을 증가시켜 바이패스 유로의 폭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b" 및 "c"의 사이즈 증대로 인해 중량 및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998-0003052호(1998.03.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기의 과냉각을 방지하면서, 바이패스 밸브의 사이즈 증대로 인한 중량 및 원가상승을 방지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는 변속기 측에 연결된 제 1 변속기 파이프(110) 및 제 2 변속기 파이프(120), 오일쿨러 측에 연결된 제 1 쿨러 파이프(130) 및 제 2 쿨러파이프(140), 내부에 상기 제 1 변속기 파이프(110), 제 2 변속기 파이프(120), 제 1 쿨러 파이프(130) 및 제 2 쿨러파이프(14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15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150)를 개폐하는 밸브 조립체(200);를 구비한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복수 개의 바이패스 홀(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150)는 상부의 제 1 바이패스 유로(151); 및 상기 제 1 바이패스 유로(151)의 하부에 동심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바이패스 유로(151)보다 지름이 작은 제 2 바이패스 유로(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바이패스 홀(160)은 상기 제 1 바이패스 유로(151)의 하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바이패스 홀(160)은 상부가 하부보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에 가깝도록 기울어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밸브 스풀(220)의 관통부(22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 및 상기 바이패스 홀(160)을 개폐하는 고리형 원판형태의 밸브 플레이트(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하단이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의 하단의 제 1 돌출부(153)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접촉하는 리턴스프링(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를 관통하는 상기 관통부(221), 메인스프링(250)에 둘러싸인 지지부(222) 및 상기 메인스프링(250)의 상단과 접촉하는 제 2 돌출부(223)를 구비하는 상기 밸브 스풀(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스풀(220)의 상기 관통부(2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가 상기 밸브 스풀(220)의 상기 관통부(2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 너트(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하단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밸브 스풀(220)의 제 2 돌출부(223)의 하단에 접촉하는 상기 메인 스프링(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스풀(2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상부를 폐쇄하는 밸브 캡(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캡(260)과 상기 밸브 스풀(220)을 결합시키는 피스톤 핀(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캡(260)의 원주 방향에 결합되어 ATF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는 오 링(2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캡(26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 캡(260)이 상기 하우징(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 링(2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부품의 사이즈 증대를 방지하여 원가 및 중량을 최적화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적절한 유량 확보를 통해 변속기의 과냉각을 방지하여 변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ATF 오일의 쿨링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의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는 하우징(100) 및 밸브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변속기 측에 연결된 제 1 변속기 파이프(110) 및 제 2 변속기 파이프(120), 오일쿨러 측에 연결된 제 1 쿨러 파이프(130) 및 제 2 쿨러파이프(140), 내부에 상기 제 1 변속기 파이프(110), 제 2 변속기 파이프(120), 제 1 쿨러 파이프(130) 및 제 2 쿨러파이프(14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150)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150)는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막혀있는 구조로서, 상부의 제 1 바이패스 유로(151) 및 상기 제 1 바이패스 유로(151)보다 지름이 작은 제 2 바이패스 유로(152)를 포함한다. 즉, 지름이 서로 다른 2개의 유로가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하로 연결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복수 개의 바이패스 홀(160)을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홀(160)은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홀(160)은 상기 제 1 바이패스 유로(151)의 하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홀(160)은 종래 기술에서 문제된 바와 같이 좁은 제 2 바이패스 유로(152)를 실질적으로 확장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바이패스 홀(160)의 갯수 및 사이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된 것은 아니고, 바이패스 시키고자하는 ATF 오일의 유량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바이패스 홀(160)은 상부가 하부보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에 가깝도록 기울어진 형태이다. 이는 드릴 가공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이는 상기 바이패스 홀(160)의 배치의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밸브 플레이트(210), 밸브 스풀(220), 리턴스프링(230), 캡 너트(240), 메인 스프링(250), 밸브 캡(260), 피스톤 핀(270), 오 링(280) 및 스냅 링(29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는 밸브 스풀(220)의 관통부(22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 및 상기 바이패스 홀(160)을 개폐하는 고리형 원판형태이다. 즉, 상기 제 1 바이패스 유로(151)의 저면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 및 상기 바이패스 홀(160)을 페쇄하거나, 상기 밸브 스풀(220)의 상기 관통부(221)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 및 상기 바이패스 홀(160)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스풀(220)은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를 관통하는 상기 관통부(221), 메인스프링(250)에 둘러싸인 지지부(222) 및 상기 메인스프링(250)의 상단과 접촉하는 제 2 돌출부(223)를 구비한다. 즉, 상기 밸브 스풀(220) 자체는 고정되고, 리턴스프링(230) 및 상기 메인스프링(25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리턴스프링(230)은 하단이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의 하단의 제 1 돌출부(153)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접촉한다. 캡 너트(240)는 상기 밸브 스풀(2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가 상기 밸브 스풀(2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메인 스프링(250)은 하단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밸브 스풀(220)의 제 2 돌출부(223)의 하단에 접촉한다. 즉, 상기 리턴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가 상기 관통부(221)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는 상기 밸브 스풀(220)의 지지부(222)의 하단에 접촉할 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가 상기 관통부(221)를 따라 하강하게 되어,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가 폐쇄된다. 이때,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는 상기 캡 너트(240)의 상단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할 수 있다. 즉, 상기 캡 너트(240)는 상기 밸브 스풀(220)의 상기 관통부(2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가 상기 밸브 스풀(220)의 상기 관통부(2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 캡(260)은 상기 밸브 스풀(2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상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피스톤 핀(270)은 상기 밸브 캡(260)과 상기 밸브 스풀(22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피스톤 핀(270)은 바(bar)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 링(280)은 상기 밸브 캡(260)의 원주 방향에 결합되어 ATF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오 링(280)은 고리형태로서, 상기 밸브 캡(260)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상부를 폐쇄할 때 간극을 막아주며, 탄성재료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냅 링(290)은 상기 밸브 캡(26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 캡(260)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냅 링(290)은 일측이 벌어진 고리형태로서, 벌어진 부분을 압축하여 상기 밸브 캡(260)의 상면에 배치하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된 스냅 링 홈에 끼워맞춰진다. 이로써, 상기 밸브 캡(260)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ATF 오일이 저온인 경우에는 리턴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가 상기 관통부(221)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홀(160)이 개방된다. 따라서 변속기 측에서 배출된 ATF 오일 중 다량이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 및 상기 바이패스 홀(160)로 유입되고, 소량만이 오일 쿨러 측으로 유입된다. 이로써, 불필요한 부품의 사이즈 증대를 방지하여 원가 및 중량을 최적화하면서도, 종래 기술에서 문제되었던 변속기의 과냉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ATF 오일이 고인인 경우에는 메인스프링(25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가 상기 관통부(221)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홀(160)이 폐쇄된다. 따라서 변속기 측에서 배출된 ATF 오일이 오일 쿨러측으로 유입되고, 효율적으로 ATF 오일을 냉각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하우징
110 제 1 변속기 파이프
120 제 2 변속기 파이프
130 제 1 쿨러 파이프
140 제 2 쿨러 파이프
150 바이패스 유로
151 제 1 바이패스 유로
152 제 2 바이패스 유로
153 제 1 돌출부
160 바이패스 홀
200 밸브 조립체
210 밸브 플레이트
220 밸브 스풀
221 관통부
222 지지부
223 돌출부
230 리턴 스프링
240 캡 너트
250 메인 스프링
260 밸브 캡
270 피스톤 핀
280 오 링
290 스냅 링

Claims (13)

  1. 변속기 측에 연결된 제 1 변속기 파이프(110) 및 제 2 변속기 파이프(120), 오일쿨러 측에 연결된 제 1 쿨러 파이프(130) 및 제 2 쿨러파이프(140), 내부에 상기 제 1 변속기 파이프(110), 제 2 변속기 파이프(120), 제 1 쿨러 파이프(130) 및 제 2 쿨러파이프(14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15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150)를 개폐하는 밸브 조립체(200);를 구비한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복수 개의 바이패스 홀(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150)는 상부의 제 1 바이패스 유로(151); 및
    상기 제 1 바이패스 유로(151)의 하부에 동심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바이패스 유로(151)보다 지름이 작은 제 2 바이패스 유로(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바이패스 홀(160)은 상기 제 1 바이패스 유로(151)의 하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바이패스 홀(160)은 상부가 하부보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에 가깝도록 기울어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밸브 스풀(220)의 관통부(22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 및 상기 바이패스 홀(160)을 개폐하는 고리형 원판형태의 밸브 플레이트(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하단이 상기 제 2 바이패스 유로(152)의 하단의 제 1 돌출부(153)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접촉하는 리턴스프링(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를 관통하는 상기 관통부(221), 메인스프링(250)에 둘러싸인 지지부(222) 및 상기 메인스프링(250)의 상단과 접촉하는 제 2 돌출부(223)를 구비하는 상기 밸브 스풀(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스풀(220)의 상기 관통부(2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가 상기 밸브 스풀(220)의 상기 관통부(2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 너트(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하단이 상기 밸브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밸브 스풀(220)의 제 2 돌출부(223)의 하단에 접촉하는 상기 메인 스프링(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스풀(2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상부를 폐쇄하는 밸브 캡(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캡(260)과 상기 밸브 스풀(220)을 결합시키는 피스톤 핀(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캡(260)의 원주 방향에 결합되어 ATF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는 오 링(2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200)는 상기 밸브 캡(26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 캡(260)이 상기 하우징(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 링(2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KR1020140156014A 2014-11-11 2014-11-11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KR20160056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14A KR20160056076A (ko) 2014-11-11 2014-11-11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14A KR20160056076A (ko) 2014-11-11 2014-11-11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76A true KR20160056076A (ko) 2016-05-19

Family

ID=5610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014A KR20160056076A (ko) 2014-11-11 2014-11-11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60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446B1 (ko) * 2019-04-30 2019-12-10 신윤재 오일 바이패스 밸브
KR20200126883A (ko) * 2019-04-30 2020-11-09 신윤재 오일 바이패스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446B1 (ko) * 2019-04-30 2019-12-10 신윤재 오일 바이패스 밸브
KR20200126883A (ko) * 2019-04-30 2020-11-09 신윤재 오일 바이패스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4367B (zh) 具有泄压能力的热旁通阀
KR101322440B1 (ko) 오일 냉각기와 자동 기어를 연결하는 서모스탯 밸브
CN104806739B (zh) 变速器系统及调温旁通阀
KR20150038523A (ko) 온도조절장치
JP2015212574A (ja) 車両用バルブ
KR101744812B1 (ko) 차량용 밸브
KR102380176B1 (ko) 밸브 조립체, 열교환 조립체, 및 기어박스용 오일온도조절 시스템
US11408327B2 (en) Thermostat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KR20180120236A (ko) 온도 조절 밸브
JP2015532481A (ja) 流体レギュレータのためのバランスバルブポート
US20100218642A1 (en) Cooling oil circulation of a motor-vehicle transmission with a control valve
US20230332849A1 (en) Devices and method for regulating cooler flow through automotive transmissions
US9298195B2 (en) Thermally actuated power element with integral valve member
KR20160056076A (ko)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US10302208B2 (en) Control valve with external relief bias member
US8813609B1 (en) System for de-aerating fluid in a transmission
CN108087530B (zh) 热交换组件
KR20190047018A (ko) 변속기 오일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열 교환 조립체 및 밸브 조립체
KR102108808B1 (ko) 온도 감응성이 향상된 atf 오일의 바이패스 밸브
US10054963B2 (en) Four way valve with oil filled actuator
JP7105998B2 (ja) 温度調節弁
US20190195375A1 (en) Cartridge assembly for a thermally responsive by-pass valve
CN108087532B (zh) 热交换组件
CN108087531B (zh) 热交换组件
KR102374605B1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