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000A -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 Google Patents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000A
KR20160056000A KR1020140155810A KR20140155810A KR20160056000A KR 20160056000 A KR20160056000 A KR 20160056000A KR 1020140155810 A KR1020140155810 A KR 1020140155810A KR 20140155810 A KR20140155810 A KR 20140155810A KR 20160056000 A KR20160056000 A KR 20160056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secret key
uni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8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채호
Original Assignee
윤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호 filed Critical 윤채호
Priority to KR102014015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000A/en
Publication of KR2016005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0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 smart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reless control unit for storing secret key information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secret key information to control the unlocking of a door lock device; and the door lock device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ecret key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ntrol unit, an authentication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secret key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previously registered secret key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 unlock signal of a door when the secret key authentication of the authentication unit is passed, and a door lock release unit for performing the unlock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unlock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and interlocked with an operation of pushing or pulling a handle unit of the door to open or close the door. The smart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n remove the need for a user to operate the door with a separate key and to remember a password by unlocking the door when the user with a smart key approaches a designated effective sensing distanc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lso, the smart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n open the door by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of the doo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Also, the smart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n perform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a first locking device by interlocking with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a second locking device, thereby securing rapid operability and security through double locking.

Description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본 발명은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열쇠키나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없이 열쇠키나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비밀 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무선 송수신하고,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며, 도어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 receiving secret ke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key or a password vi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out inputting a key or a passwo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that can easily open and close a door by pushing or pulling a handle of a door.

일반적으로 출입구 개폐장치는 열쇠키를 이용하거나, 키패드를 통한 비밀번호 입력하거나, 생체인증을 사용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였다. 또한, 도어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회전식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Generally,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unlocks the door by using a key key, inputting a password through a keypad, or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In addition, when the rotary kno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oor is held and rotated, the latch is pulled to the inside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pushed or pulled in this state, the door is opened.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정된 행위는 사용자 입장에서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gnated action for user authentication is considerably troublesome for the user.

또한, 열쇠키를 분실하였을 경우 정당한 권리자라도 원천적으로 출입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비밀번호 입력방식의 경우 비밀번호를 잃어버리거나 타인에 의해 부정한 방법으로 유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생체인증 방식은 정확한 생체인식 및 인식처리 기술을 요하는 만큼 도어록 장치에 적용시 제조단가가 높아져 실제 시장에서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key is lost, even a legitimate right holder can not access the key. In case of the password input metho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assword may be lost or leaked out by an unauthorized method by others. As biometric and recognition processing technology is required,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in a real market because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when it is applied to a door lock device.

또한,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2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여야 도어가 개방된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개방동작이 어려웠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to be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unlocked, the door is opened when the door is first opened by rotating the handle in one direction and then pushing or pulling the door continuously. In other words, the door must be opened by pushing or pulling the door while the user holds the door handle by the hand and rotates,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open the door.

특히, 도어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연속적인 동작은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들이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방문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은 다음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얻어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Particularly, the continuous operation in which the door is pushed or pull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of the door is rotated by one hand while being held by the hand is difficult for the child,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rotate the door handle, When a user holding a goods wants to access,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carrying object should be lowered on the floor, then the door should be opened, and then the object should be carried in or out again.

최근에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사용되어 조립이 어려우며, 제품의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이 부드럽지 못하고 개폐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simply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has been proposed without rotating the door handle, but most of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many parts are used and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 operation is not smooth and the accuracy of opening and closing is reduced.

또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조는 래치볼트만으로 도어를 잠그기 때문에 보안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하여 외부인이 출입하는 현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has a problem that the door is locked by only the latch bolt, so that the security is poor and the door is not suitable for the entrance for the outsider.

한국등록특허: 10-1055269 (공고일 2011.08.09)Korea Registered patent: 10-1055269 (Notice date 2011.08.09) 한국등록특허: 10-0596690 (공고일 2006.07.07)Korea registered patent: 10-0596690 (public announcement 2006.07.0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RF신호를 통해 비밀 키 정보를 송출하는 스마트 키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비밀 키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고,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secret key information when a user having a smart key for transmitting secret key information through an RF signal approaches a designated effective sensing distance, And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밀키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제공된 비밀키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도어록장치의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secret key provider serve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storing a secret key application provided according to user authent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ing a secret key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oor lock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o unlock the door through the secret key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홈네트워크에 기 저장된 비밀키 정보를 상기 도어록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ecret ke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home network to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 user's remote control command through a terminal connected to a home network server, And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for unlocking the do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손잡이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부품을 크게 감소시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guide device for easily opening and closing a door by only pushing or pulling operation of a door without rotating the door and for converting power in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nd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that can greatly simplify the structure by sliding portions that move along the portion and can reduce the cost of the product by greatly reducing par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에 연동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져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한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capable of securing safety through quick operation and double locking by interlocking with a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of a second locking device,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으로부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키 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키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의 비밀키 인증이 통과되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including a wireless control unit for storing secret key information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secret key information to control unlocking of a door lock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ecret key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ntrol unit; an authentication unit for verifying that the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pre-registered secret key information; And a door lock detachable unit that unlocks the door by receiving an unlock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interlocks with the operation of pressing or pulling the handle of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door, And a door lock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이에 더하여 상기 도어록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잠금 신호를 입력하는 잠금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도어의 잠금이 수행되도록 상기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lock device further includes a lock button unit for inputting a lock signal of the door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oor lock unit to lock the door.

여기서,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무선인식 태그가 송출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wireless control unit may include a smart key having a wireless recognition tag for storing secret key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lock device may include an RFID reader for receiving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recognition tag .

그리고, 상기 RFID 리더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스마트 키의 무선인식 태그를 판독하는 유효 감지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FID rea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ffective sensing distance for reading the RFID tag of the smart ke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또한, 상기 무선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제공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비밀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less control unit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ecuting the secret key applic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ret key provider server to transmit the secret key information to the door lock device through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무선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키 정보를 상기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는 홈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less control unit may include a home network server that stores secret key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cret key information to the door lock device in accordance with a user's remote control comman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of a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lock device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me network server.

이에 더하여 상기 도어에는 벨을 누르는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도어록장치의 제 2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제 2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방문자를 확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further includes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visitor pressing the bell, and the camera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lock apparatus to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o the home network serv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he home network server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home network server, thereby confirming the visitor to the user.

또한, 상기 인증부는 비밀키 인증이 통과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hentic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output unit that outputs a sound source or light when the secret key authentication is passed.

또한, 상기 도어록장치는 상기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lock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peration power of the configurations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an emergency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a second output unit.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1 잠금장치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연동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2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locking and unlocking unit includes a first locking device that receives power at the time of moving the knob portion and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knob portion and a second locking device that is provided inside the knob portion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portion And a second locking device interlocking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part and mov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rip part.

여기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 결합형 활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includes a first shaft for receiving a power when the knob is moved in a section, and performing a sectional movement, a second shaft for receiving a power when the first shaft is moved, And a latch-engaging slide section that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tion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section while moving along the sliding guide section of the slider section, wherein the slider section includes: .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lider includes a movable block that receives power when the first shaft is moved and moves in a section, a cam block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and having the slide guid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cushion pad for absorbing an impact applied to the cam block.

상기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comprises a first shaft for receiving a power when the grip portion is moved in a section and moving in the sectional direction, a second shaft for receiving the power at the time of moving the first shaft, And a slide guide portion for converting a pow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lide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portion by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lide portion And a latch that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atch is moved.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부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lider includes a movable block that receives power when the first shaft is moved and moves in a section, a cam block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and having the slide portion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cushion pad for absorbing an impact applied to the cam block.

이하의 구성은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 모두 적용된다.The following configuration applies to bo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상기 활주안내부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부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e guide may comprise a free-form curved surface or a first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slide is a roller that rolls along the slide guide, or a circular rod that slidably contacts the slide guid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그리고, 상기 활주부는 상기 래치 또는 슬라이더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e por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latch or the slider, or is detachably coupled.

또한, 상기 래치는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tch includes a latch bolt which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door so as to protrude and retract, a guide member coupled to the latch bolt to guide movement of the latch bolt, And a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guide member to a state before the segment movement when the force of the segment movement is removed.

그리고, 상기 제 2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locking device includes a second shaft that is moved in a section when the grip portion is moved and receives rotation power from the driving portion, and rotates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a rotary member that receives rotation force from the second shaft, An operating member linearly moved by a force transmitted when the rotating member rotates and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shaft; And a dead bolt to which the bolt is attached.

여기서,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econd shaft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the rotary member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hole into which the second shaft is inserted at a center so that the second shaft can be moved in a section and receives a rotational force And a lever which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outer side surface and linearly moves the operation member.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ncludes a guide hole through which a support pin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oor is inserted into the center surface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and an engaging groove for engaging the lever of the rotary member is formed on one upper surface, And a retaining groove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lever is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 walls of the groove. The support pin elastically supports the lever of the rotary member so that the tension spring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is wound .

이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ip portion is moved in the interlocking rel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and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portion. The force of the first shaft dur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is transmitted to the slider portion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이 상기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having one side opened and an insertion groove through which the second shaft passes, and a slo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opened side, The slid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shaft. The slot is positioned or positioned to be offset from the slider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간 이동시 슬라이더부가 슬롯을 통해 내부에 수용될 때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is transmitted to the slider part through the slot. When the slider part is accommodated in the slider part during the move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Thereby restoring the portion to the pre-movement state.

한편,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haft and the rotary member are further provided with a pair of locking portions that are mutually engaged and disengaged to block or allow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king part is constituted by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first shaft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inserted or removed in the locking groove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열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having the smart key approaches the specified effective sensing distance, the door is unlocked,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operate the door using a separate key ke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스마트 키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도어를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by unlocking the door by executing the secret key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oor can be safely opened even if the smart key is lost or not possessed.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command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the secret ke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home network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device to unlock the door, thereby allowing the visitor whose identity is confirmed at the time of going ou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door is opened by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of the doo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e convenience of use and practicality are improved.

또한, 샤프트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도어록 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structure of the door lock device can be greatly simplified by the sliding guide portion for converting the pow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haft, and the sliding portion moving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And it is easy to assemble, so that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 cost can be lowered.

또한, 정확한 동작으로 인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활주부가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 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fear of failure due to the correct operation, and the user can sens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rolling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on the slide guide,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특히,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은 활주부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free curved surface of the slide guide portion is formed by a curved portion that rides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there is no feeling that the latch bolt is quick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oor to open the door, It is possible to feel the softness by moving on the curved surfac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erchantability.

또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에 연동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져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한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the first locking device ar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thereby achieving quick operation and securing security through double lock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 컨트롤 유닛인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로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 컨트롤 유닛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 컨트롤 유닛인 홈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손잡이부와 도어록 해정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손잡이부와 도어록 해정부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에서 도어록 해정부의 주요 구성요소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에서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와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에서 제어부로부터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의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동작 및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의 (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 동작 및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서 이탈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unlocking of a door lock device by a smart key including a wireless recognition tag as a wireless control unit in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unlocking of a door lock device us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 wireless control unit, in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unlocking of a door lock apparatus using a home network server as a wireless control unit in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handle of a door and a door lock unit in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n exploded view of a door handle and a door lock assembly in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main components of a door lock unit in a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8 to 10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slide portion and the slide gui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in the door lock release portion. Fig.
Figs. 11 to 13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slide portion and the slide gui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in the door lock section; Fig.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5, when a lock releasing signal is applied from a control unit to a driving unit of a door lock release unit, the dead bolt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is drawn into the door,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bol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is pulled inward of the door to open the door when the knob is pressed or pulled in the state of FIG. 15;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of a door lock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 and 18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locking operation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when the locking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in the door lock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no power is transmitted to the lock device;
19 (a) and 19 (b) are views for explaining a lock releasing operation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when the unlocking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part in the door lock release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mitting portion transmits power to the first locking device; Fig.
FIG. 2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cking protrusion of a rotating member is inserted into a locking groove of a first shaft to block the movement of a first shaft when the locking device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in the door lock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locked A drawing.
FIG.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rotary member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of the first shaft when the second locking device is unlocked in the door lock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hen the knob is pushed or pulled in the state of Fig. 21, the force at the time of moving the first shaft is transmitted to the slider portion to unlock the first locking device.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purposes of this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otherwise indic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로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unlocking of a door lock apparatus by a smart key incorporating a wireless recognition tag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unlocking of a door lock device us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unlocking of a door lock device using a home network server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비밀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100), 및 무선컨트롤유닛(100)으로부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210)와,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키 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키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220)와, 인증부(220)의 비밀키 인증이 통과되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230)와, 제어부(23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록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smart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ntrol unit 100 that stores secret key information and wirelessly transmits secret key information to control unlocking of a door lock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for receiving secret key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100, an authentication unit 220 for verifying that the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s previously registered secret key information, A control unit 230 for transmitting an unlocking signal to the door when the secret key authentication of the door 220 is passed; and a controller 230 for unlocking the door by receiving an unlock signal from the controller 230 and depressing the handle 300 of the door And a door lock device (4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cooperation with the operation of pulling or pulling the door lock device (400).

이에 더하여, 도어록장치(200)는 상기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0)와, 전원공급부(250)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260)와, 전원공급부의 전원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1 출력부(2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250)는 배터리이고, 배터리의 방전시 비상전원공급단자(260)에 비상 건전지를 접촉시켜 배터리를 충전한다. In addition, the door lock apparatus 2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50 for supplying operation power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 emergency power supply terminal 260 for supplying an emergency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unit 250, And a first output unit 270 for outputting a time source or a message. Here, the power supply unit 250 is a battery, and charges the battery by contacting an emergency battery to the emergency power supply terminal 260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무선 컨트롤 유닛(100)은 스마트 키(110), 이동통신단말기(130), 홈네트워크 서버(150)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ntrol unit 100 includes a smart key 11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and a home network server 15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키(110)에는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가 내장된다. 무선인식 태그는 비밀키 정보가 저장된 태그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더로부터 RF로 태그 정보 제공 요청을 받으면 태그가 보유한 정보를 리더에 제공한다.As shown in FIG. 2, the smart key 110 includes a wireless recognition tag for storing secret key information. A wireless recognition tag is composed of a tag chip and an antenna, in which secret key information is stored. When a reader receives a request for providing tag information through RF, the reader provides the information held by the tag to the reader.

도어록장치(200)의 무선통신부(210)는 스마트 키(110)의 태그로부터 제공된 비밀 키 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인증부(220)에 비밀 키 정보를 송신하는 RFID 리더(211)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door lock device 200 includes an RFID reader 211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secret ke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ag of the smart key 110 and transmitting the secret key information to the authentication unit 220.

RFID 리더(211)는 접촉식과 비접촉식이 있으며, 접촉식의 경우, 스마트 키(110)를 접촉하여 비밀 키 정보를 읽어들이고, 비접촉식의 경우, 광신호나 무선 주파수신호 등 무선통신 접속방식을 이용하여 스마트 키(110)에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때, RFID 리더(211)의 유효감지거리는 저주파수 대역의 경우 1M 이하이며, 유효감지거리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ontact type, the RFID reader 211 reads the secret key information by contacting the smart key 110. In the case of non-contact type, the RFID reader 211 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such as an optical signal or a radio frequency signal The secret key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key 110 is read. At this time, the effective sensing distance of the RFID reader 211 is 1M or less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effective sensing distan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인증부(220)는 RFID 리더(211)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한다. 이때, 인증부(220)는 비밀키 인증이 통과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2 출력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unit 220 compares the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FID interrogator 211 with predetermined secret key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or not. If they match, the authentication unit 220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30. [ At this time, the authentication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output unit 221 that outputs a sound source or light when the secret key authentication is passed.

그리고, 제어부(230)는 인증부(220)로부터 인증신호를 전달받으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Whe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unit 220, the control unit 230 transmits a door unlock signal.

도어록 해정부(400)는 제어부(230)로부터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The door lock detachment unit 400 locks or unlocks the door by receiving a locking or unlock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30 and opens or closes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pressing or pulling the handle 300 of the door.

즉, RF신호를 통해 비밀 키 정보를 송출하는 스마트 키(110)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RFID 리더(211)가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고, 비밀 키 인증 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That is, when the user having the smart key 110 transmitting the secret key information through the RF signal approaches the designated effective sensing distance, the RFID reader 211 receives the secret key information, Lt; / RTI >

이때, RFID 리더(211)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록장치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다.At this time, if the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FID reader 211 does not match the predetermined secret key information, the door lock device maintains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여기서, 스마트 키(110)는 분실시 제조사 또는 판매자로부터 재구매할 수 있고, 재구매한 스마트 키(110)는 도어록장치(200)의 인증부(220)에 등록시켜 RFID 리더가 읽어들인 스마트 키의 비밀키 정보가 인증부(220)에 등록된 비밀키 정보와 일치하도록 등록절차를 수행한 다음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smart key 110 may be repurchased from the manufacturer or the seller when the smart key 110 is lost, and the smart key 110 may be registered in the authentication unit 220 of the door lock device 200 so that the secret key of the smart key It is possible to use the key information after performing the registration procedure so that the key information matches the secret key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authentication unit 220.

또한,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스마트 키(110)를 분실하였거나, 스마트 키(110)를 몸에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Also, the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can unlock the door by executing the secret key application 13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if the user has lost the smart key 110 or is not possessing the smart key 110 hav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이동통신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모듈(131)과,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132)과,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210)와 근거리통신을 통해 비밀 키를 전달하는 근거리통신모듈(134)을 포함한다.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31 for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to / from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132 for storing user information,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4 for transmitting a secret key through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부터 근거리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212)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door lock apparatus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2 for receiving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via short-range communication.

즉,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비밀키 제공자 서버(140)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제공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전송받아 저장한다.That is, the user accesses the web site of the secret key provider server 14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and receives and stores the secret key application 133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 authentication.

여기서, 도어록장치(200)는 제조과정에서 제품일련번호가 부여됨과 아울러 제어부(2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밀 키가 설정된다. Here, the product serial number is assigned to the door lock device 200 during manufacture, and at least one secret key is set in the controller 230.

그리고,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제조된 도어록장치(200)의 제품일련번호 및 비밀 키를 제조사 측으로부터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 Then, the secret key provider server 140 receives the product serial number and the secret key of the manufactured door lock device 200 from the manufacturer side, and makes the database.

그리고, 사용자는 도어록장치(200)를 구입한 후 도어록장치(200)에 부여된 제품일련번호 또는 비밀 키를 이용하여 등록과정을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30)를 이용하여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제품일련번호 또는 비밀 키를 웹사이트로 전달하여 도어록장치(200)의 등록 요청을 수행한다.After purchasing the door lock device 200, the user performs the registration process using the product serial number or the secret key assigned to the door lock device 200. That is, the user accesses the web sit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transmits the product serial number or the secret key to the web site, and performs the registration request of the door lock device 200.

이때,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요청하고, 이에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사용자 정보를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에 전달한다. At this time, the secret key provider server 140 reques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secret key provider server 140.

이어,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제품일련번호, 비밀 키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Then, the secret key provider server 140 matches the product serial number and the secret key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stores the product serial number and the secret key in the database.

그리고,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전달한다. The secret key provider server 140 transmits the secret key application 133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at the request of the user who has performed the user authentication.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실행하여 로그인하면 암호화된 비밀 키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비밀키 정보가 근거리통신모듈(134)을 통해 도어록장치(220)에 전송된다. When the user executes the secret key application 133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and logs in, the encrypted secret key window is displayed and the secret ke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device 220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34. [

이어, 도어록장치의 제 1 통신부(212)는 전송된 비밀 키 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인증부(220)에 비밀 키 정보를 전달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2 of the door lock device receives and stores the transmitted secret key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cret key information to the authentication unit 220.

인증부(220)는 제 1 통신부(212)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하며, 제어부(230)는 도어록 해정부(400)에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한다.The authentication unit 220 compares the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2 with the predetermined secret key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or not. If they match, the authentication unit 220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30, The unlocking signal of the door to the door lock unit 400 is transmitted.

이어, 제어부(230)로부터 신호를 받은 도어록 해정부(400)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The door lock release unit 4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30 to unlock the door and opens and closes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pressing or pulling the handle 300 of the door.

또한,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Also, the smart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can unlock the door by using the home network system if the smart door exit opening / closing apparatus intends to allow entrance of the visitor whose identity is confirmed at the time of user's departur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51)와,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기(160)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원격제어 명령에 따라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키 정보를 전송하는 컨트롤러부(152)와, 컨트롤러부(152)에서 전송된 비밀키 정보를 도어록장치(200)에 송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포함한다.4, the home network server 150 includes a memory 151 for storing secret key information, a user authentication unit 160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160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A controller 152 for transmitting secret ke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51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153 for transmitting the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52 to the door lock device 200. [

그리고, 도어록장치(200)의 무선통신부(210)는 홈네트워크 서버(150)로부터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전송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213)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door lock device 20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3 that receives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me network server 150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53.

여기서, 단말기(16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일 수도 있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PC일 수도 있다.Here, the terminal 16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PC connec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즉,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160)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접속하여 홈네트워크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도어의 잠금 해제에 해당되는 신호를 전송한다. That is, if the user wants to allow the visitor whose identity is confirmed at the time of going out, the user accesses the home network server 150 through the terminal 160 and performs the user authentication requested by the home network server 150 And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nlocking of the rear door.

이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기(160)로부터 전송된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한다. The home network server 150 receives the unlock signal of the door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60 and transmits the secret ke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51 to the door lock device 200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153 do.

이어, 도어록장치(200)의 제 2 통신부(213)는 전송된 비밀 키 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인증부(220)에 비밀 키 정보를 전달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3 of the door lock device 200 receives and stores the transmitted secret key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cret key information to the authentication unit 220.

인증부(220)는 제 2 통신부(213)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하며, 제어부(230)는 도어록 해정부(400)에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한다.The authentication unit 220 compares the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3 with the predetermined secret key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y coincide with each other. If they match, the authentication unit 220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30, The unlocking signal of the door to the door lock unit 400 is transmitted.

이어, 제어부(230)로부터 신호를 받은 도어록 해정부(400)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The door lock release unit 4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30 to unlock the door and to open and close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pressing or pulling the handle of the door.

이에 더하여 도어에는 방문자가 벨을 누르면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28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카메라(280)는 도어록장치(200)의 제 2 통신부(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280 for photographing a visitor when the visitor presses a bell, and the camera 28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3 of the door lock device 200.

즉, 사용자의 외출시 방문자가 벨을 누르면 카메라(280)는 방문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213)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전송하며,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제 2 통신부(213)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160)에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홈네트워크 서버(15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보고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bell when the user goes out, the camera 280 photographs the visitor,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o the home network server 15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3, The home network server 150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3 to the user terminal 160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home network server 150. Then, the user can see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home network server 150 and confirm the identity of the visitor.

이어,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160)를 통해 도어의 잠금 해제에 해당되는 신호를 전송하고,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한다. Then, if the user wants to allow access to the identified visitor, the user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nlocking of the door through the terminal 160, and the home network server 150 receives the unlock signal, 151 to the door lock device 20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53.

이어, 도어록장치(200)는 비밀 키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하며, 제어부(230)는 도어록 해정부(400)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이어, 도어록 해정부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After the secret key authentication, the door lock device 200 transmits an authentic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230, and the controller 230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door lock detacher 400. Next, the door lock release unit unlocks the door and opens and closes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pressing or pulling the handle of the door.

이와 같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160)를 통한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하고, 도어록장치(200)는 비밀키 인증을 수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The home network server 150 transmits the pre-stored secret key information to the door loc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user's remote control command through the connected user terminal 160. The door lock device 200 transmits the secret key authentication The door is unlocked so that the visitor who is identified at the time of going out can be permitted to enter and leave the door.

이에 더하여, 도어록장치(200)는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는 잠금버튼부(2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oor lock device 200 includes a lock button portion 240 for controlling the locking of the door.

잠금버튼부(240)는 제어부(230)에 잠금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230)는 잠금버튼부(240)의 잠금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도어록 해정부(4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lock button unit 240 inputs a lock signal to the control unit 230 and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unit 400 to lock the door by receiving the lock signal of the lock button unit 240 do.

이하에서는 제어부(230)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400)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oor lock / unlock unit 400, which locks or unlocks the door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ler 230 and opens / closes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pressing or pulling the door handle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손잡이부와 도어록 해정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어의 손잡이부와 도어록 해정부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어록 해정부의 주요 구성요소를 요부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oor handle and a door handle of a door in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view of a door handle and a door lock, Fig. 1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jor components of the sea portion; Fig.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손잡이부(30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구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5 to 7, the handle 300 of the door is coupled to one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door such that the door can be pressed and pulled. That is, it is combin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the section by pushing and pulling operation.

손잡이부(30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10)과, 고정브라켓(310)에 끼움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320)로 구성된다.The handle 300 includes a fixing bracket 310 coupled to one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a grip 320 fitted to the fixing bracket 310 and configured to be pushed and pulled.

고정브라켓(310)은 중앙에 중공의 수용부(311)가 형성되고, 수용부(311)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도어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과 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은 도어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핀(3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The fixing bracket 310 has a hollow receiving portion 3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receiving portion 311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door through a hole formed in on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door. The fixing bracket 310 fixed to one surface of the door and the fixing bracket 310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xing pin 312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door.

파지부(320)는 사용자의 손으로 잡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지부(320)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목부가 고정브라켓의 수용부(311)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면서 수용부(3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된다.The grip portion 320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s hand. A neck portion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grip portion 3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311 of the fixing bracket, As shown in FIG.

이러한 손잡이부(300)에는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400)가 결합된다. The handle 300 is coupled with a door lock / unlock part 4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conjunction with the pushing and pulling operation.

도어록 해정부(400)의 일 실시 예는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1 잠금장치(410)와, 손잡이부(3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450)와, 구동부(450)의 구동에 연동되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2 잠금장치(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ne embodiment of the door lock detachment part 400 includes a first locking device 410 which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ndle by receiving the power when the handle is moved, A second locking device 460 that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rip 300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50, .

이에 더하여, 제 1, 제 2 잠금장치(410,460)의 외측에는 제 1, 제 2 잠금장치(410,46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 부품에 대응되는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제 1, 제 2 잠금장치(410,460)의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각각 출입되도록 일측면에 제 1, 제 2 출입공(510,520)이 형성되어 제 1, 제 2 잠금장치(410,460)를 보호하는 커버(500)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arts are formed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devices 410 and 46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devices 410 and 460, The first and second access holes 510 and 52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500 to protec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devices 410 and 460 so that the latch bolts and the dead bolts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devices 410 and 460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removed.

먼저, 제 1 잠금장치(410)는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로 구분된다. First, the first locking device 410 is divided in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1 실시 예는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411)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420)와,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440) 결합형 활주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410 includes a first shaft 411 for receiving the power when the grip portion is moved in the sectional direction and receiving the power, and a second shaft 411 for receiving the power when the first shaft 411 is moved, A slider part 420 having a slide guide part 423 for converting a pow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part 420 and a slider part 420 for moving the slider part 420 while moving along the sliding guide part 423 of the slider part, And a latch 440 coupled to the latch 430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여기서, 제 1 샤프트(411)는 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절개되어 개방되고, 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가이드홀(412)이 형성되며, 그 양단이 손잡이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겨서 수평 이동시키면 누름 및 당김 동작에 따른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손잡이부(300)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된다.Here, the first shaft 411 has a guide hole 41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haft 411, and a guide hole 412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haft 411, Lt; / RTI > Accordingly, when the grip portion 300 is pressed or pulled and horizontally moved, the grip portion 300 receives the power when the grip portion 300 moves due to the pressing and pulling movements, and moves in the interlocking manner with the grip portion 300.

슬라이더부(420)는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421)와, 이동대(421)에 결합되고 일면에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는 캠블록(422)과, 캠블록(422)의 후면에 구비되어 캠블록(42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424)로 구성된다. The slider portion 420 includes a movable base 421 that receives the power when the first shaft 411 is moved in the section and moves in the sectional direction and a cam 421 that is coupled to the moving base 421 and has a slide guide portion 423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block 422 and a cushion pad 424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m block 422 for absorbing an impact applied to the cam block 422. [

이동대(421)는 후술되는 제 2 잠금장치(460)의 제 2 샤프트(4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The movable base 421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second shaft 461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46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411 through the guide hole 412 of the first shaft 411. [ Respectively.

그리고, 캠블록(422)은 이동대(421)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동대(421)의 구간 이동에 의해 이동되고 일면에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된다. The cam block 422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table 421 and is moved by the section movement of the moving table 421 and is provided with a slide guide part 422 for converting the pow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tion moving direction 423 are formed.

그리고, 쿠션패드(424)는 캠블록(422)의 후면에 부착되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캠블록(422)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충격시의 소음발생을 방지한다.The cushion pad 424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m block 422 to protect the cam block 422 from impact that may be applied to the cam block 422 when the cam block 422 is moved over the range and to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during impact.

그리고,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에는 활주부(430)가 접촉된다. 여기서 활주부(430)는 래치(4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래치(44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slide portion 430 is in contact with the slide guide portion 423 formed on the cam block 422. Where the slider 43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atch 440 o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atch 440. [

활주부(430)는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The sliding portion 430 moves the latch 4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411 while moving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423.

도 8 내지 도 10은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430) 및 활주안내부(423)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FIGS. 8 to 10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ain portion 430 and the slide guide portions 42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의 활주안내부(423)는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롤러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8, the slide guide portion 423 of the cam block 422 is formed as a straight inclined surface, and the latch integral type slide portion 430 is formed of a roller, and when the cam block 422 is moved in its section, the slide portion 430 Moves in a rolling motion along the slide guide portion 423 made of an inclined plane to move the latch 4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rst shaft 411.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423)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부(4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롤러가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이동시킨다. 이때, 자유곡면은 롤러의 구간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롤러의 구름 동작이 힘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손에 느껴져 도어의 개방동작이 감지되게 된다. 또한, 자유곡면에서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의 인출입을 빠르게 동작시킨다.9, the slide guide portion 423 of the cam block is formed of a free-form curved surface that is inclined, and the slide portion 430 is formed of a roller so that the slide portion 430 of the cam block 422, The roller is moved in a rolling motion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423 made of a free curved surface to move the latch 4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411. At this time, the free curved surface smoothes the movement of the rollers, and the roll motion of the rollers is felt in the user's hand which provides the force, so that the opening motion of the door is detected. 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free-form surface riding on the sloped surface is curved so that the latch 440,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ider portion 430, is quickly operated.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423)는 직선의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부(430)는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제 2 경사면이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이동시킨다.10, the slide guide portion 423 of the cam block includes a first sloped surface of a straight line, and the slide portion 430 is formed of a second slop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oped surfac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s the active portion 430 slides along the slide guide portion 423 compose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is moved in the section while being mov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411 440).

그리고, 래치(440)는 활주부(430)가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1)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부재(442)와,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되어 커버(5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출입공(510)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441)와, 가이드부재(442)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커버(500)의 내벽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가이드부재(44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귀스프링(443)으로 구성된다. The latch 440 includes a guide member 442 to which the slide portion 430 is coupled and which traverses the first shaft 411 and a second member A latch bolt 441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out to and from the access hole 510 and a latch bolt 441 which is one end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44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ver 500, And a return spring 443.

여기서 복귀스프링(443)은 평상시 가이드부재(442)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고, 이로 인하여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된 래치볼트(441)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가이드부재(442)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으로 가이드부재(442)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킨다.Here, the return spring 443 normally applies a force to push the guide member 442, thereby holding the latch bolt 441 coupled to the guide member 442 in a state of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oor. When the force at the time of moving the guide member 442 is applied, the guide member 442 is compressed. When the force at the time of moving the section is removed, the guide member 442 is restored to the state before the section movement.

이처럼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1 실시 예는 슬라이더부의 캠블록(422) 일면에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430)가 형성되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410 has the slide guide portion 423 for converting the pow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portion 420 on one side of the cam block 422 of the slider portion And a slider 430 is formed in the latch 440 so as to move along the slide guide portion 423 so that the slider 430 moves along the slide guide portion 423 during the movement of the cam block 422, The latch 440 is mov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411 while moving.

도 11 내지 도 13은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430) 및 활주안내부(423)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11 to 13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ain portion 430 and the slide guide portions 42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2 실시 예는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411)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된 슬라이더부(420)와,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어 활주부(430)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410 includes a first shaft 411 for receiving the power when the grip portion 300 is moved in a section and moving the first and second shafts 411 and 411, A slider part 420 formed with a slide part 430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force during the section movement and a slide guide part 423 for converting pow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 part 430 And a latch 440 that move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420 by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liding part 430. [

여기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는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캠블록(422)에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 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활주부(430)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The cam block 422 is formed with a sliding portion 430 for transmitting a force when the first shaft is moved in the section and a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44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ortion 430 A slide guide 423 for converting the slide guide 423 is formed.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components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will be omitt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경사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The slide portion 430 formed in the cam block 422 is formed of a circular rod and the slide guide portion 423 formed in the latch 440 is formed as a straight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lide guide portion 42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ircular rod as the slide portion 430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tion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 portion 430 so that the latch 440 is rotated by the first shaft 411 )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자유곡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12, the sliding portion 430 formed in the cam block 422 is formed of a circular rod, and the sliding guide portion 423 formed on the latch 440 is formed as a free-form surface having an inclined shape, The free curved surface of the slide guide portion 42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ircular rod serving as the slide portion 430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of the slide portion 430 to move the latch 440 And move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411.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제 1 경사면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제 2 경사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13, the slide portion 430 formed on the cam block 422 is formed as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lide guide portion 423 formed on the latch 440 is formed as a second inclined surfac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slide guide portion 42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which is the sliding portion 430 move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ortion 430,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tion movement of the first shaft 411.

이처럼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2 실시 예는 슬라이더부의 캠블록(422) 일면에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일체로 활주부(43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어 캠블록(420)의 구간 이동시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410, the sliding block 430 for transmitting the force when the first shaft 411 is moved in the sec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m block 422 of the slider, A slide guide portion 423 for converting the pow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ortion 43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haft 411 )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50)는 손잡이부의 파지부(320) 내에 구비되고 제어부(230)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한다. 여기서, 구동부(450)는 제어부(23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회전모터일 수 있다.6 and 7, the driving unit 450 is provided in the grip unit 320 of the handle unit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30 to drive the driving unit 450. [ Here, the driving unit 450 may be a forward / reverse rotation motor that rotate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230.

또한, 제 2 잠금장치(460)는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구동부(4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461)와,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제 2 샤프트(46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462)와, 회전부재(462)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제 2 샤프트(46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470)와, 작동부재(470)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4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locking device 460 includes a second shaft 461 that receives the power when the grip portion 300 is moved in the sectional direction and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portion 450 and rotates, The second shaft 461 is moved linearly by a force transmitted during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462 to move the second shaft 461 i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shaft 461 and the second shaft 461, And a dead bolt 476 which is coupled to the operation member 470 and is installed to protrude and retract to one side of the door.

여기서, 제 2 샤프트(461)는 구동부(450)에 결합되어 구동부(450)의 좌,우 회전시 구동부(450)와 연동하여 좌,우 회전되고, 손잡이부(30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연동하여 구간 이동되도록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haft 461 is coupled to the driving unit 450 and rotates left and right in association with the driving unit 450 when the driving unit 450 rotates left and right. Sectional shape so as to be moved in an interlocking manner.

그리고, 회전부재(462)는 제 2 샤프트(461)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작동부재(470)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463)가 구비된다. 이때, 레버(463)의 끝단부에는 돌출부(464)가 형성되고, 돌출부(464)의 외주면을 따라 안내홈(465)이 형성된다.The rotary member 462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shaft 461 is inserted in the center so that the second shaft 461 can be mov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ceives a rotational force, And a lever 463 for moving the lever 463 linearly. A protrusion 464 is formed at an end of the lever 463 and a guide groove 465 i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464.

그리고, 작동부재(470)는 중앙면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472)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회전부재의 레버(463)가 걸림되는 요입홈(473)이 형성되며, 요입홈(473)의 상단 양 측벽에 레버(463)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474)이 형성된다.The operation member 470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472 through which a support pin 471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500 is inserted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470, And a locking groove 474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lever 463 is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walls of the recessed groove 473.

그리고, 지지핀(471)에는 회전부재의 레버(46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레버(46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텐션스프링(475))이 감김된다. 텐션스프링(475)은 지지핀(471)에 감김되는 일단이 커버(50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레버(463)의 돌출부에 형성된 안내홈(465)을 경유하여 커버의(500) 내측벽에 고정된다.The support pin 471 is wound with a tension spring 475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ever 463 of the rotary member and guides the rotation of the lever 463).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475 which is wound around the support pin 471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50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500 via the guide groove 465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lever 463. [ And is fixed to the side wall.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해정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unit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4는 제어부로부터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어록장치에서 제어부로부터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ad bolt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by driving the driving part when a locking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part of the door locking and unlocking part from the control part, When the unlocking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of the door lock unit from the control unit in the door lock apparatus, the dead bolt of the second locking apparatus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door by driving the driving unit and the door is unlocked,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bolt of the first locking device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door and the door is opened when the knob is pressed or pulled in the state of FIG.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는 제 2 잠금장치(460)의 데드볼트(476)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In order to lock the door so that the door is not opened, the dead bolt 476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460 must be kept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사용자가 외출을 할 때 도어록장치에 구비된 잠금버튼부(240)를 누르면, 잠금 신호가 제어부(230)에 인가되고, 제어부(230)는 잠금버튼부(240)의 신호를 받아 도어록 해정부(400)의 구동부(450)를 구동시킨다.When the user presses the lock button part 240 provided on the door lock device when the user goes out, the lock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part 230. The control part 230 receives the signal of the lock button part 240, 400 driven by the driving unit 450.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로부터 잠금 신호를 전달받은 도어록 해정부(400)의 구동부(450)는 일 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부(450)에 연결된 제 2 잠금장치의 제 2 샤프트(46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driving unit 450 of the door lock unit 400 receiving the lock signal from the controller 230 as shown in FIG. 14 is driven in one direction to rotate the second shaft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461 ) In one direction.

그리고, 제 2 샤프트(461)의 회전은 제 2 샤프트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462)를 회전시키고, 회전부재(462)의 회전은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커버의 제 2 출입공(52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461 rotates the rotating member 462 provided outside the second shaft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462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473 of the operating member 470 The lever 463 is rotated and the operation member 470 is moved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lever 463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463. [ At this time, the support pin 471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5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72 of the operation member 47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470, The dead bolt 476 coupled to the operation member 470 is projected outside the second access hole 520 of the cover to lock the door.

이때, 스마트 키(110)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잠금버튼부(240)를 누른 경우는, 사용자가 스마트 키(110)의 지정된 유효감지거리를 벗어났을 때 구동부(450)에 잠금 신호가 인가되어 도어의 잠금이 수행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holding the smart key 110 presses the lock button unit 240, when the user is out of the designated effective sensing distance of the smart key 110, a lock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er 450, Is performed.

그리고,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476)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겼을 때 제 1 잠금장치(410)가 동작하더라도 도어는 개방되지 않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dead bolt 476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and the door is locked, even if the first locking device 410 is operated when the knob 300 is pushed or pulled, .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로부터 도어의 잠금 해제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타방향으로 구동되어 구동부(450)와 연결된 제 2 잠금장치(460)의 제 2 샤프트(4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15, the driving unit 450 receiving the door unlocking signal from the controller 230 drives the second shaft 460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460 driven in the othe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50 ) In the other direction.

그리고, 제 2 샤프트(461)의 회전은 제 2 샤프트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462)를 타방향을 회전시키고, 회전부재(462)의 회전은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버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작동부재(470)는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461 rotates the rotary member 462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haft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462 rotates on the concave groove 473 of the operation member 470, And the operating member 470, which receives the rotating force of the lever, is moved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lever 463. The lever 463 rotate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lever 463.

이때, 작동부재(470)에는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가이드홀(472)에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가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회전되는 레버(463)는 요입홈(473)의 일측벽 걸림홈(474)에 걸림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pin 471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5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72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470, the operation member 470 And the lever 463 to be rotated is caught by the one side wall engaging groove 474 of the concave groove 473 and is no longer rotated.

또한, 회전부재(462)의 레버(463)는 지지하고 있는 텐션스프링(475)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역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작동부재(470)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작동부재(470)의 이동에 의해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아울러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The lever 463 of the rotary member 462 is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475 supporting the rotary member 462 so that the rotary member 462 is not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 The dead bolt 476 coupled to the operation member 470 is retra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access hole 520 of the cover 500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470 and the door is unlocked .

도 15의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파지부(320)가 구간 이동되고, 파지부(32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샤프트(411)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16, when the handle 300 is pushed or pulled, the grip 320 of the handle 300 is moved in a section as shown in FIG. 16, and when the grip 320 moves in the section, An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haft 411 of the locking device to perform the sectional movement of the first shaft 411.

이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은 제 2 샤프트(4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를 가압하여 이동대(421)를 구간 이동시키며, 이동대(421)의 이동은 이동대(421)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캠블록(422)을 구간 이동시킨다.The first shaft 411 is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461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411 through a guide hole 412 of the first shaft 411. [ The movable block 421 is moved by moving the movable block 421 by pressing the movable block 421.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421 moves the cam block 422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lock 421.

이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으로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울러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의 가이드부재(442)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며, 아울러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된 래치볼트(441)가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부재(442)를 지지시키고 있던 복귀스프링(443)은 가이드부재(442)의 구간 이동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The sliding portion 43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lide guide portion 423 due to the sectional movement of the cam block 422 moves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423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411 The guide member 442 of the latch 440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iding portion 430 is mov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411, The latch bolt 441 coupled to the member 442 is drawn into the first inlet / outlet hole 510 of the cover 500 to open the door. At this time, the return spring 443 supporting the guide member 442 is com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442.

여기서, 활주안내부(423)의 자유곡면은 활주부(430)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441)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430)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Since the free curved surface of the slide guide portion 423 is formed by a curved portion that rises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430, the latch bolt 441 is quick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oor, There is no feeling at all, and in such a state, the sliding portion 430 can move smoothly on the free-form surface.

그리고, 도 16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제 1 샤프트(411) 및 슬라이더부(420)를 구간 이동시키던 힘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슬라이더부(420)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이동한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는 역으로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제 1 샤프트(411)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가이드부재(442)는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443)의 복원력으로 이동 전 상태로 복귀되면서 커버(500)의 내측에 인입되어있는 래치볼트(441)를 밀어내고, 래치볼트(441)는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는 도 15의 상태가 된다.16, when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grip portion 300 that has been pressed or pulled, the force for moving the first shaft 411 and the slider portion 420 is removed, The latch integral movable portion 430 moved along the slider portion 423 is mov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shaft 411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423 of the slider portion, The member 442 is returned to the pre-movement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return spring 443 and pushes out the latch bolt 441 which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cover 500. The latch bolt 441 pushes the latch bolt 441, And the door is closed by protruding to the first entrance / exit hole 510 of FIG.

도 17은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1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for explaining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oor lock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400)의 다른 실시 예는 도어록 해정부(400)의 일 실시 예의 구성에서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슬라이더부(4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00)가 더 부가된 것이다.17, another embodiment of the door lock detachment par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wer at the time of moving the grip part 300 in the section of the slider part 420 in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door lock detachment part 400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600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00 is additionally provided.

여기서, 동력전달부(600)는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구동부(4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슬라이더부(4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Here,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00 is moved in the interlocking rel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411, and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portion 450. When the first shaft 411 is mov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selectively transmits the force of the slider 420 to the slider 420.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동력전달부(600)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 중앙에 제 2 잠금장치의 제 2 샤프트(461)가 관통되는 삽입홈(610)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620)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제 1 샤프트(411)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More specifically,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0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610 having one side opened and a second shaft 461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through at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shaft 411. [

또한, 동력전달부(600)의 개방된 일측면 전방에는 슬라이더부(420)가 위치되고, 동력전달부(60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630)이 장착된다. A slider part 42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opened one side of the power transmitting part 600 and an elastic spring 630 engaged with the moving rod 421 of the slider part is mounted inside the power transmitting part 600 do.

이때, 동력전달부(600)는 제 1 샤프트(411)에 형성된 가이드홀(412)의 일측 단부보다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동력전달부(600)를 통해 슬라이더부(420)에 전달되게 구비된다.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oving base 421 of the slider portion from one end of the guide hole 412 formed in the first shaft 411 so that the power when the first shaft 411 moves And is transmitted to the slider portion 420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600.

그리고, 제 2 샤프트(461)는 동력전달부(600)의 개방된 일측면 중앙을 통해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홈(610)으로 삽입되어 관통되고, 삽입홈(610)을 관통한 제 2 샤프트(461)의 끝단부에 구동부(450)가 결합된다.The second shaft 46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610 formed at the other side through the center of the opened one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600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haft The driving unit 45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electrode 461.

또한, 동력전달부(600)는 구동부(4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에 의해 좌,우 회전되고, 좌, 우 회전방향에 따라 원통체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420)의 이동대(421)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또는 대응되게 위치된다.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00 is rotated left and right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shaft 461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450 and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lider portion 420 are positioned or positioned so as to be shifted from the moving base 421 of the slider portion 420.

도 18의 (a),(b)는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의 다른 실시 예로서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동작 및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9의 (a), (b)는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 동작 및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8 (a) and 18 (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door lock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and the locking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when the locking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portion, Figs. 19 (a) and 19 (b)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transmitted to the apparatus, Figs. 19 (a) and 19 (b) Fig.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releases the power to the first locking device upon termination thereof.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로부터 잠금 신호를 전달받은 도어록 해정부(400)의 구동부(450)는 일 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부(450)에 연결된 제 2 잠금장치의 제 2 샤프트(46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driving unit 450 of the door lock unit 400 receiving the locking signal from the controller 230 as shown in FIG. 18A is driven by the first locking unit 2 shaft 461 in one direction.

그리고, 제 2 샤프트(461)의 회전은 제 2 샤프트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462)를 회전시키고, 회전부재(462)의 회전은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커버의 제 2 출입공(52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1차 잠금시킨다.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461 rotates the rotating member 462 provided outside the second shaft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462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473 of the operating member 470 The lever 463 is rotated and the operation member 470 is moved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lever 463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463. [ At this time, the support pin 471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5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72 of the operation member 47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470, And the dead bolt 476 coupled to the operating member 470 is projected outside the second access hole 520 of the cover to lock the door first.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461)로부터 구동부(45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600)는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600)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00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450 from the second shaft 461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haft 461, and the slot 620 formed i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00,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able stage 421 of the slider section.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411)를 통해 동력전달부(6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동력전달부(6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가 동력전달부(600)에 형성된 슬롯(620)으로 삽입되어 동력전달부(60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부(420)는 움직이지 않게 되며 래치볼트(441)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When the handle 300 is pushed or pulled in this state, the power at the time of moving the handle 300 is transmit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unit 600 through the first shaft 411 as shown in FIG. 18 (b)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60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movable base 421 of the slid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00 is inserted into the slot 620 formed i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00 and is not in contact with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00, The slider 420 is not moved and the latch bolt 441 is maintained in a protruded state.

또한, 슬라이더부(420)가 움직이지 않아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타고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래치볼트(441)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볼트(441)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441)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lider portion 420 does not move and the latch integral-type slide portion 430 can not move along the slide guide portion 423, the latch bolt 441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door is pushed using any tool The latch bolt 441 does not move even if the latch bolt 441 is inserted. As a result, the latch bolt 441 locks the door secondarily.

아울러, 동력전달부(600)는 슬라이더부(420)의 이동대(421)가 동력전달부(60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부(600) 내부에 구비된 탄성스프링(630)이 압축되고,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를 놓게 되면 탄성스프링(630)의 복원력에 의해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00 includes an elastic spring 630 provided insid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00 by the movement of the movable table 421 of the slider unit 420 to the in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00 When the grip portion 300 which has been compressed and pushed or pulled is placed, it is restored to the state before the segment movement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630.

한편,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로부터 도어의 잠금 해제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타방향으로 구동되어 구동부와 연결된 제 2 잠금장치(460)의 제 2 샤프트(4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19 (a), the driving unit 450 receiving the door unlocking signal from the controller 230 drives the second shaft 460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460 driven in the othe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61 in the other direction.

그리고, 제 2 샤프트(461)의 회전은 제 2 샤프트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462)를 타방향을 회전시키고, 회전부재(462)의 회전은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작동부재(470)는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는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461 rotates the rotary member 462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haft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462 rotates on the concave groove 473 of the operation member 470, And the actuating member 470 which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463 is mo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ever 463. In this case, The support pin 471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cover is inserted in the guide hole 472 of the operation member 47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470, And the dead bolt 476 coupled to the operation member 470 is pulled inward of the second access hole 520 of the cover 500 to unlock the door.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461)로부터 구동부(45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600)는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600)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어긋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00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450 from the second shaft 461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haft 461, and the slot 620 formed i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600, (421) of the slider portion.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411)를 통해 동력전달부(6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When the handle 300 is pushed or pulled in this state, the power at the time of moving the handle 300 is transmit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00 through the first shaft 411 as shown in FIG. 19 (b)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60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은 동력전달부(6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를 가압하여 슬라이더부(420)를 구간 이동시키고,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으로 슬라이더부(420)의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아울러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가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어 래치볼트(441)가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The s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00 moves the slider unit 420 by pressing the movable base 421 of the slider unit located in front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00, The sliding portion 430 in contact with the sliding guide portion 423 of the slider portion 420 moves in the direction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423 and move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portion 420 And the latch 440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iding portion 430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portion 420 so that the latch bolt 4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 510 to open the door.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진다.In this state, when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grip portion 300 that has been pressed or pulled, the door is closed by the same operation as the embodiment.

이와 같이 도어록 해정부의 다른 실시 예는 구동부가 제어부로부터 잠금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부의 일 방향 회전으로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동력전달부의 슬롯 위치가 제 1 잠금장치의 슬라이더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동력전달부에 전달되더라도 슬라이더부가 동력전달부의 슬롯 내부로 인입되어 동력을 전달받지 못함으로써 래치볼트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driver receives a lock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e door uni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dead bolt of the second lock uni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oor in one direction rotation of the drive unit, And at the same time, the slot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so that even whe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grip portion, The latch bolt is maintained in a protruded state by the second latching of the latch bolt. Thus, the double locking of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is performed.

또한,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가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부의 타 방향 회전으로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동력전달부의 슬롯 위치가 슬라이더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됨으로써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 일체형 활주부가 이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수행된다.When the driving part of the door locking and unlocking part receives the unlocking signal from the control part, it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rt and the dead bolt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door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part in the other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slot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it deviates from the slider portion, so that the power at the time of moving the grip portion is transmitted to the slider portion, thereby moving the latch- An operation of opening is performed.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4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어록 해정부(400)의 일 실시 예의 구성에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록킹부(700)가 더 부가된 것이다.20 to 22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door lock release section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door lock release section 400, the first shaft 411 And a locking unit 700 for blocking or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section is further added.

록킹부(700)는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샤프트(411)에 록킹홈(710)이 형성되고, 제 2 잠금장치의 회전부재(462)의 외측면에 록킹돌기(720)가 구비되어 회전부재(462)의 회전방향에 따라 록킹돌기(720)가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지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것이다.The locking part 700 has a locking groove 710 formed in the first shaft 411 of the first locking device and a locking protrusion 72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462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The locking projection 720 is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710 of the first shaft 41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ember 462 to block or allow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411 .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로부터 잠금 신호를 전달받은 도어록 해정부(400)의 구동부(450)는 일 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부(450)에 연결된 제 2 잠금장치의 제 2 샤프트(46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2 샤프트(461)의 회전은 제 2 샤프트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462)를 회전시키며, 회전부재(462)의 회전은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476)가 커버의 제 2 출입공(5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1차 잠금시킨다. The driving unit 450 of the door lock unit 400 receiving the lock signal from the controller 230 as shown in FIG. 20 is driven in one direction to rotate the second shaft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461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461 rotates the rotating member 462 provided outside the second shaft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462 rotates the concave por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70 The deadbolt 476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lever 463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463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463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 And protrudes outside the hole 520 to lock the door first.

이때, 회전부재(462)에 구비된 록킹돌기(720)는 회전부재(462)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에 삽입된다.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720 provided on the rotary member 462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462 and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710 of the first shaft 411.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300)와 같이 구간 이동되는 제 1 샤프트(411)가 록킹돌기(720)에 걸림되어 구간 이동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300)는 물론 제 1 샤프트(411)가 이동되지 않게 된다. 즉 손잡이부(300)는 눌러지지도 않고 당겨지지도 않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handle 300 is pushed or pulled in this state, the first shaft 411, which is moved in the same manner as the handle 300,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720, Of course, the first shaft 411 is not moved. That is, the handle 300 is not pressed or pulled.

따라서,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은 제 1 잠금장치(410)는 래치볼트(441)의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슬라이더부(420)가 움직이지 않아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타고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래치볼트(441)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볼트(441)가 움직이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441)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locking device 410, which has not received the power at the time of the movement of the grip 300, can maintain the protruded state of the latch bolt 441, and the slider part 420 does not move, The latch bolt 441 does not move even if the latch bolt 441 projected to one side of the door is pushed by any means because the main portion 430 can not move along the slide guide portion 423, As a result, the latch bolt 441 locks the door secondarily.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받은 도어록 해정부(400)의 구동부(450)는 타 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부(450)에 연결된 제 2 잠금장치의 제 2 샤프트(4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21, the driving unit 450 of the door lock unit 400, which has received the unlock signal from the controller 230, is driven in the other direction, The shaft 461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그리고, 제 2 샤프트(461)의 회전은 제 2 샤프트(461)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462)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부재(462)의 회전은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476)가 커버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461 rotates the rotary member 462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haft 461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462 causes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462, The deadbolt 476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lever 463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463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463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 The door 520 is pulled inward to unlock the door.

이때, 회전부재(462)에 구비된 록킹돌기(720)는 회전부재(462)를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으로부터 빠져나와 록킹홈(710)과 분리된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720 provided on the rotary member 462 is moved along the rotary member 462 and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710 by coming out of the locking groove 710 of the first shaft 411 do.

이러한 상태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 1 샤프트(411)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지고,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은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420)를 가압하여 구간 이동시킨다. 22, when the grip 300 is pushed or pulled, the force at the time of moving the grip 3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haft 411 so that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411 is performed And the first shaft 411 is moved in the sectional direction by pressing the slider portion 420 protruding outward of the first shaft 411 through the guide hole 412 of the first shaft 411.

이어 슬라이더부(420)의 구간이동으로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고,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어 래치볼트(441)가 커버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다. The sliding portion 430 of the sliding contact portion 423 is moved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423 by the sectional movement of the slider portion 420 so that the latch 440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iding portion 430,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rst shaft 411 so that the latch bolt 441 is drawn into the first inlet / outlet hole 510 of the cover to open the door.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져 도 21과 같은 상태가 된다. And. When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grip part 300 which has been pushed or pulled in the above state, the door is closed by the same operation as that of the embodiment, and the state is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도어록 해정부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구동부가 제어부로부터 잠금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부의 일 방향 회전으로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에 구비된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에 형성된 록킹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며, 이로 인하여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잠금장치에 전달되지 못함으로써 래치볼트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래치볼트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manner, when the driving unit receives the lock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e door lock uni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dead bolt of the second locking unit protrudes outwardly of the door by one- The first locking of the dead bolt is effecte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rotary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shaft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thereby block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The latch bolt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irst locking device, so that the latch bolt is maintained in the protruded state, so that the secondary lock of the latch bolt is performed, thereby double locking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또한,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가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부의 타 방향 회전으로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에 구비된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에 형성된 록킹홈으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허용되며, 이로 인하여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고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일체형 활주부가 이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수행된다.When the driving part of the door locking and unlocking part receives the unlocking signal from the control part, it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rt and the dead bolt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door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part in the other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rotary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shaft to allow the first shaft to move in the section, so that the power at the time of moving the knob portion is transmitted to the slider portion And the latch integral-type sliding portion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tion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portion, thereby opening the doo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열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door is unlocked when the user having the smart key approaches the designated effective sensing distance,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operate the door using the separate key key, There is no need to memorize it, and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스마트 키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도어를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Also, by unlocking the door by executing the secret key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oor can be safely opened even if the smart key is lost or not possessed.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사용자가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Also,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command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the secret ke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home network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device to unlock the door so that the user can allow the visitor do.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된다.Further, since the door is opened by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of the doo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e convenience of use and practicality are improved.

또한, 도어록 해정부는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Further, the door lock mechanism can greatly simplify the structure and greatly reduce the parts by sliding guide portions for converting the pow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tion moving direction and sliding portions moving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 It is easy to assemble,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cost of the product can be lowered.

또한, 정확한 동작으로 인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활주부가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 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 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re is no fear of failure due to the correct operation, and the user can sens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rolling movement of the slide portion on the slide guide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특히,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은 활주부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since the free curved surface of the slide guide portion is formed by a curved portion that rides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there is no feeling that the latch bolt is quick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oor to open the door, By moving on the curved surface, you can feel the softness.

또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에 연동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져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한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i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of the second locking device, thereby ensuring quick operation and securing security through double lock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무선 컨트롤 유닛 110: 스마트 키
130: 이동통신단말기 131: 이동통신모듈
132: USIM 133: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
134: 근거리통신모듈 140: 비밀키 제공자 서버
150: 홈네트워크 서버 151: 메모리부
152: 컨트롤러부 153: 근거리통신모듈
160: 단말기 200: 도어록장치
210: 무선통신부 211: RFID 리더
212: 제 1 통신부 213: 제 2 통신부
220: 인증부 221: 제 2 출력부
230: 제어부 240: 잠금버튼부
250: 전원공급부 260: 비상전원공급단자
270: 제 1 출력부 280: 카메라
300: 손잡이부 310: 고정브라켓
311: 수용부 312: 고정핀
320: 파지부
400: 도어록 해정부 410: 제 1 잠금장치
411: 제 1 샤프트 412: 가이드홀
420: 슬라이더부 421: 이동대
422: 캠블록 423: 활주안내부
424: 쿠션패드 430: 활주부
440: 래치 441: 래치볼트
442: 가이드부재 443: 복귀스프링
450: 구동부 460: 제 2 잠금장치
461: 제 2 샤프트 462: 회전부재
463: 레버 464: 돌출부
465: 안내홈 470: 작동부재
471: 지지핀 472: 가이드홀
473: 요입홈 474: 걸림홈
475: 텐션스프링 476: 데드볼트
500: 커버 510,520: 제 1, 제 2 출입공
600: 동력전달부 610: 삽입홈
620: 슬롯 630: 탄성스프링
700: 록킹부 710: 록킹홈
720: 록킹돌기
100: wireless control unit 110: smart key
1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1: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32: USIM 133: secret key application
134: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40: secret key provider server
150: Home network server 151: Memory part
152: controller unit 153: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60: Terminal 200: Door lock device
2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1: RFID reader
212: first communication unit 213: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authentication unit 221: second output unit
230: control unit 240: lock button unit
250: Power supply unit 260: Emergency power supply terminal
270: first output unit 280: camera
300: Handle 310: Fixing bracket
311: accommodating portion 312: fixing pin
320:
400: Door lock detachment part 410: First locking device
411: first shaft 412: guide hole
420: Slider part 421:
422: cam block 423: slide guide
424: cushion pad 430:
440: Latch 441: Latch Bolt
442: guide member 443: return spring
450: driving part 460: second locking device
461: second shaft 462: rotating member
463: Lever 464:
465: guide groove 470: actuating member
471: Support pin 472: Guide hole
473: Needle groove 474: Retaining groove
475: tension spring 476: dead bolt
500: cover 510, 520: first and second access holes
600: power transmission portion 610: insertion groove
620: Slot 630: Elastic spring
700: Locking portion 710: Locking groove
720: locking protrusion

Claims (24)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으로부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키 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키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의 비밀키 인증을 통과하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록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A wireless control unit that stores secret key information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secret key information to control unlocking of the door lock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ecret key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ntrol unit; an authentication unit for verifying that the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pre-registered secret key information; And a door lock detachment unit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in response to an unlock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interlocking with an operation of depressing or pulling the handle of the door, And a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잠금 신호를 입력하는 잠금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도어의 잠금이 수행되도록 상기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lock device further comprises a lock button part for inputting a lock signal of the door to the control part, and the control par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oor lock part to lock the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무선인식 태그가 송출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ntrol unit includes a smart key having a wireless recognition tag for storing secret key information,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lock device comprises an RFID reader for receiving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wireless recognition ta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스마트 키의 무선인식 태그를 판독하는 유효 감지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FID reader controls the effective sensing distance for reading the RFID tag of the smart key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제공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비밀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ntrol unit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ecuting the secret key applic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ret key provider server and transmitting the secret key information to the door lock device through short-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lock device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키 정보를 상기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는 홈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ontrol unit includes a home network server that stores secret key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cret key information to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 user's remote control comman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of a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lock device compris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ecret ke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me network serv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벨을 누르는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도어록장치의 제 2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제 2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방문자를 확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oor unit further includes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visitor pressing the bell. The camera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f the door lock unit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the home network serv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network server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home network server to confirm the visitor to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비밀키 인증이 통과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hentication unit includes a fir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or light when the secret key authentication is pas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장치는 상기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lock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peration power of the configurations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an emergency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unit,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mart door opening / closing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1 잠금장치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연동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2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locking and unlocking unit includes a first locking device that receives power at the time of moving the knob portion and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knob portion and a second locking device that is provided inside the knob portion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portion And a second locking device interlocked with driving of the driving part and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rip part.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 결합형 활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locking device includes a first shaft that receives power when the knob is moved in the section, and that performs a sectional movement, and a second shaft that receives power when the first shaft is moved, converts the power in a direction that is vertical to the section movement, And a slidable portion formed on the sliding guide portion for slidably moving the slider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portion while moving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of the slider portion. Opening and closing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lider includes a movable block that receives power when the first shaft is moved and moves in a section, a cam block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and having the slide guid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cushion pad for absorbing an impact applied to the block.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locking device includes a first shaft that receives power when the knob is moved in a section, and that performs a sectional movement, and a sliding portion that transmits the power when the first shaft is moved during a section movement, A slider portion and a slide guide portion for converting power in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portion are formed and the slider portion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er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portion by a force transmitted from the slider portion Wherein the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comprise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부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lider includes a movable block that receives power when the first shaft is moved and moves in a section, a cam block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and having the slide portion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cushion pad for absorbing an impact applied to the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안내부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부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3,
The slide guide may comprise a free-form curved surface or a first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slide is a roller that rolls along the slide guide, or a circular rod that slidably contacts the slide guid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부는 상기 래치 또는 슬라이더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3,
Wherein the slid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atch or the slider and is detachably coupled.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3,
The latch includes a latch bolt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so as to protrude and retract, a guide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latch bolt and guides movement of the latch bolt, and a guide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inner wall of the door, And a return spring for restoring the guide member to a state before the segment movement when the force during the segment movement is removed.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3,
The second locking device includes a second shaft that is moved in a section when the grip portion is moved and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portion and rotates, a rotary member that rotates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second shaft, An operating member which is linearly moved by a force transmitted when the member is rotated and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tional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shaft, and a dead portion coupled to th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comprises a bol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econd shaft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rotary member has a rectangular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shaft is inserted at a center so that the second shaft can be moved in a section and receives a rotational force,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ncludes a guide hole through which a support pin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door is inserted into the center surface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And an engaging groove for engaging with the lever of the rotary member is form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lever, and a latching groove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lever is formed on both upper and side walls of the engag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spring is retract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lever of the member and guide the rotation of the lever Smart entranc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grip portion is moved in the interlocking rel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and is transmitted to the slider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shaft. Wherein the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smart door.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이 상기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having one side opened and an insertion groove through which the second shaft passes, and a slo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opened side, The slid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shaft. The slot is positioned or positioned to be offset from the slider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The smart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that it does not.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간 이동시 슬라이더부가 슬롯을 통해 내부에 수용될 때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is transmitted to the slider part through the slot. When the slider part is accommodated in the slider part during the move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part, To the pre-movement state of the smart doo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irst shaft and the rotary member are provided with a pair of locking portions that are mutually engaged and disengaged to block or allow the movement of the first shaft.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locking portion comprises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first shaft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inserted or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according to a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Device.
KR1020140155810A 2014-11-11 2014-11-11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KR201600560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10A KR20160056000A (en) 2014-11-11 2014-11-11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10A KR20160056000A (en) 2014-11-11 2014-11-11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00A true KR20160056000A (en) 2016-05-19

Family

ID=5610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10A KR20160056000A (en) 2014-11-11 2014-11-11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600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0534A (en) * 2021-05-26 2021-08-13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fety door lock of automatic production line
KR102611113B1 (en) * 2023-08-03 2023-12-07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System and method for interlocking doors in a double doo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0534A (en) * 2021-05-26 2021-08-13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fety door lock of automatic production line
KR102611113B1 (en) * 2023-08-03 2023-12-07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System and method for interlocking doors in a double doo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6655B2 (en) Controlling lockable devices using electronic key
KR101363148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US20180363327A1 (en) Electronic key and electronic locking device based on dual authentication
US9641510B2 (en) Control system operable by mobile devices
JP6020748B1 (en) Iris authentication device for door and iris authentication system
KR101363098B1 (en)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KR20160056000A (en)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TWM506183U (en) Entrance security system
KR101604660B1 (en)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TWI737660B (en) Method for operating a control system for entrances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trances
KR101810483B1 (en)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WO2017209030A1 (en) Electric lock system and electric lock device
KR101810486B1 (en)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KR102220133B1 (en) Locker lock system
KR100800050B1 (en) The protection system which uses door-lock
KR20160056001A (en) 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KR101810489B1 (en)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JP2019002269A (en) Control system of opening/closing body for entry and exit
KR100943822B1 (en) Bicycle keeping apparatus
JP4932541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lock device
KR20200080893A (en) Smart doorlock
KR200393181Y1 (en) Electron lock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KR101232814B1 (en) The door-lock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multiple smart-key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multiple smart-keys using the same
KR101593329B1 (en)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KR101528224B1 (en) Smart door-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