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686A -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686A
KR20160055686A KR1020150142586A KR20150142586A KR20160055686A KR 20160055686 A KR20160055686 A KR 20160055686A KR 1020150142586 A KR1020150142586 A KR 1020150142586A KR 20150142586 A KR20150142586 A KR 20150142586A KR 20160055686 A KR20160055686 A KR 20160055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terleaver
symbol
receiving devi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5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27/26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송신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송신 디바이스는 동일한 심볼로 전송할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심볼을 하나의 대역으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방법{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ATA RECEIVING METHOD}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앞으로 "무선랜"이라 함)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은 IEEE 파트 11에서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의 이름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1999년 원 표준이 공개된 후에, 보정안을 통해 새로운 버전의 표준이 계속 공개되고 있다. 1999년에 5 GHz 대역을 지원하는 IEEE 802.11a 표준(IEEE Std 802.11a-1999) 및 2.4 GHz 대역을 지원하는 IEEE 802.11b 표준(IEEE Std 802.11b-1999)이 공개되고, 2003년에 2.4 GHz 밴드를 지원하는 IEEE 802.11g 표준(IEEE Std 802.11g-2003)이 공개되었으며, 이들 표준을 레거시(legacy)라 한다. 이어서, 높은 수율(higher throughput, HT) 향상을 위한 IEEE 802.11n 표준(IEEE Std 802.11n-2009)이 2009년에 공개되었고, 매우 높은 수율(very high throughput, VHT) 향상을 위한 IEEE 802.11ac 표준(IEEE 802.11ac-2013)이 2013년에 공개되었다. 현재 IEEE 802.11ax 태스크 그룹에서는 고밀도 환경에서의 시스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효율 무선랜(high efficiency WLAN, HE WLAN)을 개발하고 있다.
HE 무선랜 등의 무선랜에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등의 방식을 통해 대역 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면, 전체 대역을 두 개의 부대역으로 분할하고, 부대역 1을 통해 사용자 1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부대역 2를 통해 사용자 2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1의 데이터의 길이가 사용자 2의 데이터의 길이보다 짧다면, 사용자 2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사용자 1에 할당된 부대역 1이 낭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OFDMA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동일한 심볼로 전송할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심볼을 하나의 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인터리버 메모리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 중에서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에서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심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에서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터를 다음 심볼로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음 심볼을 상기 하나의 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행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심볼은 복수의 데이터 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톤에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터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심볼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가지는 하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의 복수의 영역 중에서 대응하는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심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은 행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K개이고, i번째 수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영역은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의 (K*n-(K-i))번째 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볼은 복수의 데이터 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톤에 상기 복수의 영역의 데이터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심볼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 중에서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만 남아 있는 경우, 상기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하나의 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신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수신 방법은, 하나의 대역에서 상기 제1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 각 심볼의 복수의 데이터 톤 중에서 상기 제1 수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데이터 톤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K개인 경우, K개의 심볼에서 상기 할당된 데이터 톤의 데이터를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심볼은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인터리버 메모리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심볼 중 제1 심볼은,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 중에서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된 후에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심볼 중 제2 심볼은,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심볼은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가지는 하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각 심볼은,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의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대응하는 영역에 입력된 후에 상기 복수의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신 방법은, 하나의 대역에서 상기 제1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만 포함하는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프로세서와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동일한 심볼로 전송할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선택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심볼을 하나의 대역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는 프로세서와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시버는 하나의 대역에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심볼을 수신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각 심볼의 복수의 데이터 톤 중에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데이터 톤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고,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디바이스가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효율적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랜 디바이스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무선랜에서의 송신 신호 처리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무선랜에서의 수신 신호 처리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프레임간 간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채널에서 프레임들 간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CSMA/CA 방식에 따른 프레임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예를 나타내는 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전송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프리앰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통 전송 구간에 사용되는 인터리버 행렬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독 전송 구간에 사용되는 인터리버 행렬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전송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통 전송 구간에 사용되는 인터리버 행렬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통 전송 구간에 사용되는 인터리버 행렬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통 전송 구간에 사용되는 인터리버 행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앞으로 "무선랜"이라 함)에서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는 복수의 무선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랜 디바이스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에 따른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과 물리(physical, PHY) 계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랜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랜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이고, 나머지 무선랜 디바이스는 non-AP 스테이션(non-AP station, non-AP STA)일 수 있다. 혹은 에드 혹 (Ad-hoc) 네트워킹에서, 복수의 무선랜 디바이스는 모두 non-AP 스테이션일 수 있다. 통상, 스테이션(STA)은 액세스 포인트(AP) 및 non-AP 스테이션을 통칭하는 경우로도 사용되나, 편의상 non-AP 스테이션을 스테이션(station, STA) 이라고 약칭하기도 한다.
도 1은 무선랜 디바이스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무선랜 디바이스(1)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0), 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트랜시버(20), 안테나부(30), 메모리(40),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50), 출력 인터페이스 유닛(60) 및 버스(70)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0)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MAC 프로세서(11), PHY 프로세서(1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MAC 프로세서(11)는 MAC 소프트웨어 처리부(12)와 MAC 하드웨어 처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40)는 MAC 계층의 일부 기능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앞으로 "MAC 소프트웨어"라 한다)를 포함하고, MAC 소프트웨어 처리부(12)는 이 MAC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MAC의 일부 기능을 구현하고, MAC 하드웨어 처리부(13)는 MAC 계층의 나머지 기능을 하드웨어(앞으로 "MAC 하드웨어"라 한다)로서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PHY 프로세서(15)는 송신 신호 처리부(100)와 수신 신호 처리부(200)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0), 메모리(40),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50) 및 출력 인터페이스 유닛(60)은 버스(70)를 통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RF 트랜시버(20)는 RF 송신기(21)와 RF 수신기(22)를 포함한다.
메모리(40)는 MAC 소프트웨어 이외에도 운영 체제 (operating system),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50)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고, 출력 인터페이스 유닛(60)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한다.
안테나부(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또는 다중 사용자 MIMO(multi-user MIMO, MU-MIMO)를 사용하는 경우, 안테나부(30)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랜에서의 송신 신호 처리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송신 신호 처리부(100)는 인코더(110), 인터리버(120), 매퍼(130), 역 푸리에 변환기(140), 보호 구간(guard interval, GI) 삽입기(150)를 포함한다.
인코더(110)는 입력 데이터를 부호화하며, 예를 들면 순방향 오류 수정(forward error correction, FEC) 인코더일 수 있다. FEC 인코더는 이진 컨볼루션 코드(binary convolutional code, BCC)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천공(puncturing) 장치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FEC 인코더는 저밀도 패리티 검사(low-density parity-check, LDPC)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신호 처리부(100)는 0 또는 1의 긴 동일 시퀀스가 발생되는 확률을 줄이기 위해서 입력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앞서 스크램블하는 스크램블러(scramb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코더(110)로서 복수의 BCC 인코더가 사용되면, 송신 신호 처리부(100)는 스크램블된 비트를 복수의 BCC 인코더로 역다중화하기 위한 인코더 파서(encoder pars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코더(110)로서 LDPC 인코더가 사용되는 경우, 송신 신호 처리부(100)는 인코더 파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인터리버(120)는 인코더(11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의 비트들을 인터리빙하여 순서를 변경한다. 인터리빙은 인코더(110)로서 BCC 인코더가 사용될 때만 적용될 수도 있다. 매퍼(130)는 인터리버(120)에서 출력되는 비트열을 성상점(constellation points)에 매핑한다. 인코더(110)로서 LDPC 인코더가 사용되는 경우, 매퍼(130)는 성상점 매핑 외에 LDPC 톤 매핑(LDPC tone mapping)을 더 수행할 수 있다.
MIMO 또는 MU-MIMO를 사용하는 경우, 송신 신호 처리부(100)는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의 개수(NSS)에 해당하는 복수의 인터리버(120)와 복수의 매퍼(13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송신 신호 처리부(100)는 복수의 BCC 인코더 또는 LDPC 인코더의 출력을 서로 다른 인터리버(120) 또는 매퍼(130)로 제공될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스트림 파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신호 처리부(100)는 성상점을 NSS개의 공간 스트림으로부터 NSTS개의 시공간(space-time) 스트림으로 확산하는 시공간 블록 코드(space-time block code, STBC) 인코더와 시공간 스트림을 전송 체인(transmit chains)으로 매핑하는 공간 매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간 매퍼는 직접 매핑(direct mapping), 공간 확산(spatial expansion), 빔포밍(beamforming)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역 푸리에 변환기(140)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또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을 사용하여 매퍼(130) 또는 공간 매퍼에서 출력되는 성상점 블록을 시간 영역 블록, 즉 심볼로 변환한다. STBC 인코더와 공간 매퍼를 사용하는 경우, 역 푸리에 변환기(140)는 전송 체인별로 제공될 수 있다.
MIMO 또는 MU-MIMO를 사용하는 경우, 송신 신호 처리부는 의도하지 않은 빔포밍을 방지하기 위해서 역 푸리에 변환 전 또는 후에 사이클릭 시프트 다이버시티(cyclic shift diversity, CSD)를 삽입할 수 있다. CSD는 전송 체인마다 특정되거나 시공간 스트림마다 특정될 수 있다. 또는 CSD는 공간 매퍼의 일부로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MU-MIMO를 사용하는 경우, 공간 매퍼 전의 일부 블록은 사용자별로 제공될 수도 있다.
GI 삽입기(150)는 심볼의 앞에 GI를 삽입한다. 송신 신호 처리부(100)는 GI를 삽입한 후에 심볼의 에지를 부드럽게 윈도우잉(windowing)할 수 있다. RF 송신기(21)는 심볼을 RF 신호로 변환해서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MIMO 또는 MU-MIMO를 사용하는 경우, GI 삽입기(150)와 RF 송신기(21)는 전송 체인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무선랜에서의 수신 신호 처리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수신 신호 처리부(200)는 GI 제거기(220), 푸리에 변환기(230), 디매퍼(240), 디인터리버(250) 및 디코더(260)를 포함한다.
RF 수신기(22)는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를 수신하여서 심볼로 변환하고, GI 제거기(220)는 심볼에서 GI를 제거한다. MIMO 또는 MU-MIMO를 사용하는 경우, RF 수신기(22)와 GI 제거기(220)는 수신 체인별로 제공될 수 있다.
푸리에 변환기(230)는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또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사용하여 심볼, 즉 시간 영역 블록을 주파수 영역의 성상점으로 변환한다. 푸리에 변환기(230)는 수신 체인별로 제공될 수 있다.
MIMO 또는 MU-MIMO를 사용하는 경우, 푸리에 변환된 수신 체인을 시공간 스트림의 성상점으로 변환하는 공간 디매퍼(spatial demapper)와 성상점을 시공간 스트림으로부터 공간 스트림으로 역확산하는 STBC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디매퍼(240)는 푸리에 변환기(230) 또는 STBC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성상점 블록을 비트 스트림으로 디매핑한다. 수신 신호가 LDPC 인코딩된 경우, 디매퍼(240)는 성상점 디매핑 전에 LDPC 톤 디매핑(LDPC tone demapping)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디인터리버(250)는 디매퍼(24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의 비트들을 디인터리빙한다. 디인터리빙은 수신 신호가 BCC 인코딩된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다.
MIMO 또는 MU-MIMO를 사용하는 경우, 수신 신호 처리부(200)는 공간 스트림의 개수에 해당하는 복수의 디매퍼(240)와 복수의 디인터리버(25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신 신호 처리부(200)는 복수의 디인터리버(25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을 결합하는 스트림 디파서(stream depars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260)는 디인터리버(250) 또는 스트림 디파서에서 출력되는 스트림을 복호화하며, 예를 들면 FEC 디코더일 수 있다. FEC 디코더는 BCC 디코더 또는 LDPC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신호 처리부(200)는 디코더(260)에서 복호된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는 디스크램블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260)로서 복수의 BCC 디코더가 사용되는 경우, 수신 신호 처리부(200)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위한 인코더 디파서(encoder depars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260)로서 LDPC 디코더가 사용되는 경우, 수신 신호 처리부(200)는 인코더 디파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프레임간 간격(interframe space, IFS)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무선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 제어 프레임(control frame),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이 교환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은 상위 레이어에 포워드되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이며, 매체가 idle이 된 때로부터 DIFS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IFS) 경과 후 백오프 수행 후 전송된다. 관리 프레임은 상위 레이어에 포워드되지 않는 관리 정보의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으로서, DIFS 또는 PIFS (point coordination function IFS)와 같은 IFS 경과 후 백오프 수행 후 전송된다. 관리 프레임의 서브타입 프레임으로 Beacon, Association request/response, probe request/response, authentication request/response 등이 있다. 제어 프레임은 매체에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레임이다. 제어 프레임의 서브 타입 프레임으로 RTS, CTS, ACK 등이 있다. 제어 프레임은 다른 프레임의 응답 프레임이 아닌 경우 DIFS 경과 후 백오프 수행 후 전송되고, 다른 프레임의 응답 프레임인 경우 SIFS (short IFS) 경과 후 백오프 없이 전송된다. 프레임의 타입과 서브 타입은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type 필드와 subtype 필드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한편, QoS (Quality of Service) STA은 프레임이 속하는 access category (AC)를 위한 AIFS(arbitration IFS), 즉 AIFS[AC] 경과 후 백오프 수행 후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IFS[AC]가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 관리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이 아닌 제어 프레임이 될 수 있다.
도 5는 채널에서 프레임들 간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A(collision avoidance) 방식에 따른 프레임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디바이스(STA1)는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송신 디바이스를 의미하고, 제2 디바이스(STA2)는 제1 디바이스(STA1)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제3 디바이스(STA3)는 제1 디바이스(STA1)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 및/또는 제2 디바이스(STA2)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STA1)는 캐리어 센싱(carrier sensing)을 통해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STA1)는 채널에 존재하는 에너지의 크기 또는 신호의 상관성(correlation)을 기반으로 채널의 점유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또는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타이머(timer)를 사용하여 채널의 점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STA1)는 DIFS 동안 채널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즉, 채널이 아이들(idle) 상태인 경우) 백오프 수행 후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제2 디바이스(STA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STA2)는 RTS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SIFS 후에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제1 디바이스(STA1)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3 디바이스(STA3)는 RTS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RTS 프레임에 포함된 기간(duration) 정보를 사용하여 이후에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프레임 전송 기간(예를 들어, SIFS + CTS 프레임 + SIFS + 데이터 프레임 + SIFS + ACK 프레임)에 대한 NAV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3 디바이스(STA3)는 CTS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CTS 프레임에 포함된 기간 정보를 사용하여 이후에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프레임 전송 기간(예를 들어, SIFS + 데이터 프레임 + SIFS + ACK 프레임)에 대한 NAV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STA3)는 NAV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새로운 프레임에 포함된 기간 정보를 사용하여 NAV 타이머를 갱신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STA3)는 NAV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채널 접속을 시도하지 않는다.
제1 디바이스(STA1)는 제2 디바이스(STA2)로부터 CTS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CTS 프레임의 수신이 완료된 시점부터 SIFS 후에 데이터 프레임을 제2 디바이스(STA2)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STA2)는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SIFS 후에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ACK 프레임을 제1 디바이스(STA1)에 전송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STA3)는 NAV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캐리어 센싱을 통해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STA3)는 NAV 타이머의 만료 후부터 DIFS 동안 채널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랜덤 백오프에 따른 경쟁 윈도우(CW)가 지난 후에 채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인터리빙 및 디인터리빙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예를 나타내는 도다.
도 6을 참고하면,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600)는 복수의 무선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복수의 무선랜 디바이스 중 디바이스(610)는 송신 디바이스일 수 있고, 나머지 디바이스(621, 622)는 수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AP이고, 수신 디바이스는 STA일 수 있다. 도 6 및 아래에서 설명할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신 디바이스의 개수를 2개로 가정하지만, 수신 디바이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신 디바이스(610)와 수신 디바이스(621, 62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IEEE 802.11ax 태스크 그룹에서 개발되고 있는 고효율(high efficiency, HE) 무선랜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HE 무선랜으로 가정하여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송신 디바이스(610)에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621, 622)로의 전송을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BSS(600)는 이전 버전의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전 버전의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IEEE 802.11a 표준(IEEE Std 802.11a-1999), IEEE 802.11b 표준(IEEE Std 802.11b-1999) 또는 IEEE 802.11g 표준(IEEE Std 802.11g-2003)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앞으로 "레거시 디바이스"라 함), 높은 수율(higher throughput, HT) 향상을 위한 IEEE 802.11n 표준(IEEE Std 802.11n-2009)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앞으로 "HT 디바이스 "라 함) 및/또는 매우 높은 수율(very high throughput, VHT) 향상을 위한 IEEE 802.11ac 표준(IEEE std 802.11ac-2013)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앞으로 "VHT 디바이스"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전송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프리앰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한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프리앰블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다. 프리앰블은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되거나 시그널링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필드는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때, 데이터 필드는 공통 전송 구간을 포함하며, 단독 전송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송 구간에서는 전체 대역이 연속적인 복수의 부대역으로 분할되고, 복수의 부대역이 각각 복수의 사용자, 즉 수신 디바이스에게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부대역 1이 수신 디바이스(STA1)에 할당되고, 부대역 2가 수신 디바이스(STA2)에 할당될 수 있다. 단독 전송 구간은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 예를 들면 수신 디바이스(STA2)에게 할당되어 있다.
데이터 필드의 공통 전송 구간은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별로 인코딩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각 부대역은 해당 부대역에 할당된 수신 디바이스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필드의 단독 전송 구간은 전체 대역 단위에 단일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인코딩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어떤 실시예에서 프리앰블은 레거시 프리앰블과 HE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
레거시 프리앰블은 레거시 무선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와의 역호환성을 위해 제공되며, 레거시 쇼트 트레이닝 필드(legacy short training field, L-STF), 레거시 롱 트레이닝 필드(legacy long training field, L-LTF) 및 레거시 시그널 필드(legacy signal field, L-SIG)를 포함한다.
레거시 쇼트 트레이닝 필드(L-STF)는 초기 동기, 프레임 검파 및 자동 이득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롱 트레이닝 필드(L-LTF)는 정교한 주파수 동기 및 채널 추정에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시그널 필드(L-SIG)는 전체 프레임의 길이를 지시하는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 프리앰블은 HE 시그널 필드(HE-SIG-A), HE 쇼트 트레이닝 필드(HE-STF) 및 HE 롱 트레이닝 필드(HE-LTF)를 포함한다. 또한 HE 프리앰블 파트는 추가적인 HE 시그널 필드(HE-SIG-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E 프리앰블 파트는 HE 롱 트레이닝 필드(HE-LTF) 다음에 추가적인 HE 시그널 필드(HE-SIG-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 시그널 필드(HE-SIG-A)는 레거시 시그널 필드(L-SIG)에 이어지며, HE 디바이스를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전달한다. 레거시 롱 트레이닝 필드(L-LTF)로 추정한 채널 정보에 기초해서 레거시 시그널 필드(L-SIG)의 길이 정보와 HE 시그널 필드(HE-SIG-A)의 시그널링 정보가 복호될 수 있다. HE 쇼트 트레이닝 필드(HE-STF)는 HE 시그널 필드(HE-SIG-A)에 이어지고, 자동 이득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HE 롱 트레이닝 필드(HE-LTF)는 HE 쇼트 트레이닝 필드(HE-STF)에 이어지며, 다중 안테나 전송(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HE 롱 트레이닝 필드(HE-LTF)의 심볼 개수는 MIMO 전송에 사용되는 안테나 수, 즉 시공간 스트림의 개수에 대응해서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HE 시그널 필드(HE-SIG-B)는 HE 시그널 필드(HE-SIG-A)와 HE 쇼트 트레이닝 필드(HE-STF) 사이에 위치하며, 추가적인 시그널링 정보를 전달한다.
다시 도 7을 참고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데이터 필드의 공통 전송 구간에서 부대역 1로 수신 디바이스(STA1)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부대역 2로 수신 디바이스(STA2)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송신 디바이스는 각 수신 디바이스에게 상대적으로 좋은 채널의 부대역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송신 디바이스는 공통 전송 구간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별로 인코딩하며, 수신 디바이스(STA1)의 데이터에는 부대역 1에 해당하는 인터리빙(interleaving)과 톤 매핑(tone mapping)을 적용하고, 수신 디바이스(STA2)의 데이터에는 부대역 2에 해당하는 인터리빙과 톤 매핑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디바이스(STA1)로 전송할 데이터의 길이가 수신 디바이스(STA2)로 전송할 데이터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송신 디바이스는 데이터 필드의 단독 전송 구간에서 수신 디바이스(STA2)의 나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디바이스(STA1)에 할당된 부대역을 수신 디바이스(STA2)가 사용할 수 있으므로, 채널이 낭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송신 디바이스는 단독 전송 구간에서 전체 대역에 수신 디바이스(STA2)의 데이터를 인코딩하며, 수신 디바이스(STA2)의 데이터에는 전체 대역에 해당하는 인터리빙과 톤 매핑을 적용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STA1)의 데이터는 부대역 1로만 전송되므로, 수신 디바이스(STA1)는 자신에게 할당된 부대역, 즉 부대역 1에서만 데이터 필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디바이스(STA1)는 수신한 데이터에 부대역 1에 해당하는 톤 디매핑(tone demapping)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을 적용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STA2)의 데이터는 부대역 2뿐만 아니라 전체 대역으로 전송되므로, 수신 디바이스(STA2)는 전체 대역을 모두 수신한다. 또한 수신 디바이스(STA2)는 공통 전송 구간에서는 자신에게 할당된 부대역, 즉 부대역 2에 해당하는 톤 디매핑과 디인터리빙을 적용하고, 단독 전송 구간에서는 전체 대역에 해당하는 톤 디매핑과 디인터리빙을 적용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프리앰블, 예를 들면 HE 시그널 필드(HE-SIG-A, HE-SIG-B 또는 HE-SIG-C)는 공통 전송 구간이 끝나는 지점 또는 단독 전송 구간이 시작하는 지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리앰블, 예를 들면 HE 시그널 필드(HE-SIG-A, HE-SIG-B 또는 HE-SIG-C)는 단독 전송 구간에 할당되는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한 프레임에서 데이터 필드의 인터리빙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통 전송 구간에 사용되는 인터리버 행렬의 한 예를 나타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독 전송 구간에 사용되는 인터리버 행렬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 숫자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서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공통 전송 구간의 각 부대역에서는 108개의 톤이 사용되고, 단독 전송 구간의 전체 대역에는 234개의 톤이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를 위해 전체 대역으로 80 MHz 대역을 사용하고 20 MHz 대역폭 기준으로 64 FFT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면 80 MHz 대역이 256개의 톤을 포함하고 이 중 234개의 톤이 데이터 톤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8개의 톤이 파일럿 톤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부대역으로 40 MHz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40 MHz 대역은 128개의 톤을 포함하고, 이 중 108개의 톤이 데이터 톤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6개의 톤이 파일럿 톤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전체 대역으로 20 MHz 대역을 사용하고 20 MHz 대역폭 기준으로 256 FFT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면 20 MHz 대역이 256개의 톤을 포함하고 이 중 234개의 톤이 데이터 톤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8개의 톤이 파일럿 톤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부대역으로 10 MHz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10 MHz 대역은 128개의 톤을 포함하고, 이 중 108개의 톤이 데이터 톤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6개의 톤이 파일럿 톤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데이터 필드의 공통 전송 구간에서 각 수신 디바이스에 대해서 한 심볼로 전송될 데이터를 해당하는 부대역의 인터리버 메모리(910, 920)에 차례로 입력하고, 심볼마다 인터리버 메모리(910, 920)의 데이터를 차례로 출력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인터리버 메모리(910, 920)는 인터리버 행렬에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각 부대역의 108개 톤을 위한 인터리버로 6×18 인터리버 행렬(910, 920)을 예로 들었다. 따라서 송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STA1)에 대해서 한 심볼로 전송할 데이터를 부대역 1의 인터리버 행렬(910)에 행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하고, 수신 디바이스(STA2)에 대해서 한 심볼로 전송할 데이터를 부대역 2의 인터리버 행렬(920)에 행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한다. 이때, 인터리버 행렬에 따라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은 인터리버 행렬에 따라 인터리버 메모리에 데이터를 쓰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터리버 행렬의 각 요소는 인터리버 메모리의 각 번지에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 송신 디바이스는 심볼 단위로 각 인터리버 행렬(즉, 인터리버 메모리)(910, 920)에서 열 방향으로 차례로 데이터를 읽어서 데이터를 인터리빙한다. 이때, 인터리버 행렬에서 데이터를 차례로 읽는 것은 인터리버 행렬의 순서에 따라 인터리버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데이터 필드의 단독 전송 구간에서 수신 디바이스(STA2)에 대해서 한 심볼로 전송될 데이터를 전체 대역의 인터리버 메모리(1000)에 차례로 입력하고, 심볼 단위로 인터리버 메모리(1000)의 데이터를 차례로 출력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인터리버 메모리는 인터리버 행렬(1000)에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전체 대역의 234개 톤을 위한 인터리버로 9×26 인터리버 행렬(1000)을 예로 들었다. 따라서 송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STA2)에 대해서 한 심볼로 전송할 데이터를 9×26 인터리버 행렬(1000)에 행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하고, 심볼 단위로 인터리버 행렬(즉, 인터리버 메모리) (1000)에서 열 방향으로 차례로 데이터를 읽어서 데이터를 인터리빙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전송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프리앰블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다. 프리앰블은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되거나 시그널링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필드는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때, 데이터 필드는 공통 전송 구간을 포함하며, 단독 전송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송 구간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즉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섞여서 전송되고, 단독 전송 구간에서는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공통 전송 구간에서는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별로 인코딩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단독 전송 구간은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인코딩되어 전송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섞여서 전송될 때, 연속적인 데이터 톤이 각 수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 톤이 각 수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공통 전송 구간에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리버를 사용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심볼로 나누어 전송될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한다. 톤 매핑 시에, 송신 디바이스는 각 심볼에서 소정의 인터리빙 규칙에 따라 각 수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 중 일부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송신 디바이스는 톤 매핑 시에 복수의 인터리버로부터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하나의 심볼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수신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송신 디바이스는 두 심볼로 나누어 전송될 수신 디바이스 1의 데이터를 수신 디바이스 1에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고, 두 심볼로 나누어 전송될 수신 디바이스 2의 데이터를 수신 디바이스 2에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한다. 그리고 송신 디바이스는 홀수 번째 심볼에서는 각 수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 중 일부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짝수 번째 심볼에서는 각 수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 중 나머지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공통 전송 구간에서 하나의 인터리버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인터리버를 공유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는 한 심볼로 전송할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소정의 인터리빙 규칙에 따라 인터리버 메모리의 일부 영역에 입력한다. 톤 매핑 시에, 송신 디바이스는 각 심볼에서 인터리버 메모리의 데이터, 즉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2개의 수신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송신 디바이스는 인터리버 메모리 중 일부 영역에 수신 디바이스 1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인터리버 메모리 중 나머지 영역에 수신 디바이스 2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단독 전송 구간에서 하나의 인터리버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송신 디바이스는 단독 전송 구간에서 전송할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고, 심볼마다 인터리버 메모리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프리앰블은 도 8에 도시한 프리앰블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를 위해 심볼마다 데이터 톤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톤 매핑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 도 11에 도시한 데이터 필드의 인터리빙에 대해서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통 전송 구간에 사용되는 인터리버 행렬의 한 예를 나타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통 전송 구간에 사용되는 인터리버 행렬의 다른 예를 나타내며,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통 전송 구간에 사용되는 인터리버 행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2, 도 13 및 도 14에서 숫자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서를 나타낸다.
도 12, 도 13 및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체 대역에는 234개의 톤이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를 위해 전체 대역으로 80 MHz 대역을 사용하고 20 MHz 대역폭 기준으로 64 FFT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면 80 MHz 대역이 256개의 톤을 포함하고 이 중 234개의 톤이 데이터 톤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전체 대역으로 20 MHz 대역을 사용하고 20 MHz 대역폭 기준으로 256 FFT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면 20 MHz 대역이 256개의 톤을 포함하고 이 중 234개의 톤이 데이터 톤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데이터 필드의 공통 전송 구간에서 수신 디바이스(STA1)에 대해서 한 심볼로 전송될 데이터를 수신 디바이스(STA1)에 해당하는 인터리버 메모리(1210)에 차례로 입력하고, 수신 디바이스(STA2)에 대해서 한 심볼로 전송될 데이터를 수신 디바이스(STA2)에 해당하는 인터리버 메모리(1220)에 차례로 입력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인터리버 메모리는 인터리버 행렬에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234개의 톤을 위한 인터리버로 9×26 인터리버 행렬을 예로 들었다. 즉, 송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STA1)에 대해서 한 심볼로 전송할 데이터를 수신 디바이스(STA1)의 인터리버 행렬(1210)에 행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하고, 수신 디바이스(STA2)에 대해서 한 심볼로 전송할 데이터를 수신 디바이스(STA2)의 인터리버 행렬(1220)에 행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한다. 이때, 인터리버 행렬에 따라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은 인터리버 행렬에 따라 인터리버 메모리에 데이터를 쓰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터리버 행렬의 각 요소는 인터리버 메모리의 각 번지에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 송신 디바이스는 홀수 번째 심볼에서는 인터리버 메모리(1210, 1220)의 일부 영역의 데이터를 차례로 출력하고, 짝수 번째 심볼에서는 인터리버 메모리(1210, 1220)의 나머지 일부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12에서는 인터리버 메모리(1210, 1220)가 각각 행 방향으로 두 영역[(1211, 1212), (1221, 1222)]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므로 송신 디바이스는 홀수 번째 심볼에서는 인터리버 메모리(1210, 1220)의 첫 번째 열부터 열세 번째 열까지의 데이터를 차례로 출력하고, 짝수 번째 심볼에서는 인터리버 메모리(1210, 1220)의 열네 번째 열부터 스물여섯 번째 열까지의 데이터(1212, 1222)를 차례로 출력한다. 이때, 송신 디바이스는 각 인터리버 행렬(즉, 인터리버 메모리)에서 열 방향으로 차례로 데이터를 읽어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필드의 각 심볼에서 두 수신 디바이스(STA1, STA2)의 데이터가 섞여서 전송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톤 매핑 시에 수신 디바이스(STA1)로 전송될 데이터를 DC(direct current) 톤을 기준으로 양의 톤에 매핑하고, 수신 디바이스(STA2)로 전송될 데이터를 DC 톤을 기준으로 음의 톤에 매핑할 수 있다.
한편, 각 수신 디바이스(STA1, STA2)는 전체 대역을 수신하고, 전체 대역에 해당하는 톤 디매핑 및 디인터리빙을 적용한다. 예를 들면, 수신 디바이스(STA1)는 수신한 심볼 중에서 홀수 번째 심볼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톤의 데이터와 짝수 번째 심볼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톤의 데이터를 하나의 디인터리버 행렬에 열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하고, 디인터리버 행렬에서 행 방향으로 차례로 데이터를 읽어서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 디바이스(STA2)는 수신한 심볼 중에서 홀수 번째 심볼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톤의 데이터와 짝수 번째 심볼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톤의 데이터를 하나의 디인터리버 행렬에 열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하고, 디인터리버 행렬에서 행 방향으로 차례로 데이터를 읽어서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할 수 있다. 이때, 디인터리버 행렬에 데이터를 차례로 정렬하는 것은 디인터리버 행렬의 순서에 따라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데이터를 차례로 쓰는 것을 의미하고, 디인터리버 행렬에 데이터를 차례로 읽는 것은 디인터리버 행렬의 순서에 따라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데이터를 차례로 읽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인터리버 행렬의 각 요소는 디인터리버 메모리의 각 번지에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디인터리버 행렬은 인터리버 행렬에 대응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K개이고, 각 수신 디바이스에 N×M 인터리버 행렬이 할당되는 경우, 송신 디바이스는 K개의 심볼 단위로 인터리버 메모리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송신 디바이스는 각 인터리버 메모리(인터리버 행렬)를 K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K개의 심볼 단위로 각 심볼에서 K개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인터리버 메모리(1300)를 두 개의 영역(1310, 1320)으로 나누고(즉, 인터리버 행렬을 두 개의 행렬로 나누고), 데이터 필드의 공통 전송 구간에서 수신 디바이스(STA1)로 전송될 데이터를 인터리버 메모리(1300)의 한 영역(1310)에 차례로 입력하고, 수신 디바이스(STA2)로 전송될 데이터를 인터리버 메모리(1300)의 다른 영역(1320)에 차례로 입력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인터리버 메모리는 인터리버 행렬에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234개의 톤을 위한 인터리버로 9×26 인터리버 행렬(1300)을 예로 들었다. 따라서 9×26 인터리버 행렬(1300)은 행 방향으로 두 개의 영역, 즉 두 개의 9×13 행렬(1310, 1320)로 나누어질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STA1)로 전송될 데이터를 첫 번째 9×13 행렬(1310)에 행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하고, 수신 디바이스(STA2)로 전송될 데이터를 두 번째 9×13 행렬(1320)에 행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한다.
다음 송신 디바이스는 각 심볼에서 인터리버 메모리(1300)의 데이터를 차례로 출력한다. 이때, 송신 디바이스는 각 인터리버 행렬(즉, 인터리버 메모리)에서 열 방향으로 차례로 데이터를 읽어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필드의 각 심볼에서 두 수신 디바이스(STA1, STA2)의 데이터가 섞여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심볼 단위로 각 수신 디바이스(STA1, STA2)의 한 심볼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톤 매핑 시에 수신 디바이스(STA1)로 전송될 데이터를 DC 톤을 기준으로 양의 톤에 매핑하고, 수신 디바이스(STA2)로 전송될 데이터를 DC 톤을 기준으로 음의 톤에 매핑할 수 있다.
한편, 각 수신 디바이스(STA1, STA2)는 전체 대역을 수신하고, 전체 대역에 해당하는 톤 디매핑 및 디인터리빙을 적용한다. 예를 들면, 수신 디바이스(STA1)는 두 심볼 단위로 자신에게 할당된 톤의 데이터를 하나의 디인터리버 행렬에 정렬한 후에 디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 디바이스(STA2)도 두 심볼 단위로 자신에게 할당된 톤의 데이터를 하나의 디인터리버 행렬에 정렬한 후에 디인터리빙을 수행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K개이고, 각 수신 디바이스에 N×M 인터리버 행렬이 할당되는 경우, 송신 디바이스는 인터리버 메모리(즉, 인터리버 행렬)를 K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 대응하는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M 인터리버 행렬을 K개의 N×(M/K) 행렬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 K개의 심볼 단위로 각 수신 디바이스의 한 심볼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도 13과 달리 인터리버 메모리를 행 방향으로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한 것처럼 인터리버 메모리에서 분할된 두 영역이 연속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인터리버 메모리(1400)에서 홀수 번째 행의 영역에는 수신 디바이스(STA1)로 전송될 데이터를 차례로 입력하고, 짝수 번째 행의 영역에는 수신 디바이스(STA2)로 전송될 데이터를 차례로 입력한다. 홀수 번째 행의 개수가 짝수 번째 행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송신 디바이스는 하나의 홀수 번째 행(예를 들면 마지막 홀수 번째 행)의 영역에 수신 디바이스(STA1)로 전송될 데이터와 수신 디바이스(STA2)로 전송될 데이터를 함께 입력한다. 즉, 송신 디바이스는 마지막 홀수 번째 행의 영역 중 절반에 수신 디바이스(STA1)로 전송될 데이터를 입력하고, 나머지 절반에 수신 디바이스(STA2)로 전송될 데이터를 함께 입력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인터리버 메모리는 인터리버 행렬에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234개의 톤을 위한 인터리버로 9×26 인터리버 행렬(1400)을 예로 들었다.
즉, 송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STA1)로 전송될 데이터를 9×26 인터리버 행렬(1400)의 홀수 번째 행에 행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하고, 수신 디바이스(STA2)로 전송될 데이터를 짝수 번째 행에 행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한다. 또한 송신 디바이스는 9×26 인터리버 행렬(1400)의 마지막 행에서는 첫 번째 열부터 열세 번째 열까지는 수신 디바이스(STA1)로 전송될 데이터를 차례로 정렬한 후에, 열네 번째 열부터 열여섯 번째 열까지는 수신 디바이스(STA2)로 전송될 데이터를 차례로 정렬할 수 있다.
다음 송신 디바이스는 각 심볼에서 인터리버 메모리(1400)의 데이터를 차례로 출력한다. 이때, 송신 디바이스는 각 인터리버 행렬(즉, 인터리버 메모리)에서 열 방향으로 차례로 데이터를 읽어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필드의 각 심볼에서 두 수신 디바이스(STA1, STA2)의 데이터가 섞여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심볼 단위로 각 수신 디바이스(STA1, STA2)의 한 심볼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톤 매핑 시에 수신 디바이스(STA1)로 전송될 데이터와 수신 디바이스(STA2)로 전송될 데이터를 한 심볼의 데이터 톤에 산개된 형태로 할당할 수 있다.
한편, 각 수신 디바이스(STA1, STA2)는 전체 대역을 수신하고, 전체 대역에 해당하는 톤 디매핑 및 디인터리빙을 적용한다. 예를 들면, 수신 디바이스(STA1)는 두 심볼 단위로 자신에게 할당된 톤의 데이터를 하나의 디인터리버 행렬에 열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하고, 디인터리버 행렬에서 행 방향으로 차례로 데이터를 읽어서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 디바이스(STA2)도 두 심볼 단위로 자신에게 할당된 톤의 데이터를 하나의 디인터리버 행렬에 열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하고, 디인터리버 행렬에서 행 방향으로 차례로 데이터를 읽어서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K개이고, 각 수신 디바이스에 N×M 인터리버 행렬이 할당되는 경우, 송신 디바이스는 인터리버 메모리의 (K*n-(K-i))번째 행의 영역에 수신 디바이스 i로 전송될 데이터를 차례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i는 0부터 (K-1)까지의 정수이다. 이 경우, K개의 심볼 단위로 각 수신 디바이스의 한 심볼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행의 개수(N)이 수신 디바이스의 개수(K)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일부 행에는 서로 다른 수신 디바이스로 전송될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다음, 단독 전송 구간에서는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송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STA2)에 대해서 한 심볼로 전송될 데이터를 인터리버 메모리(인터리버 행렬)에 차례로 입력하고, 심볼 단위로 인터리버 메모리의 데이터를 차례로 출력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전송 구간에서는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는 대응하는 부대역으로 전송되므로, 각 부대역에 제공되는 복수의 톤 중에서 중앙에 DC(direct current) 톤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보호(guard) 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부대역별로 DC 톤과 보호 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전송 구간에서 하나의 대역을 통해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전체 대역으로 기준으로 DC 톤과 보호 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 대역에 256톤이 형성되는 경우에, 234개의 톤을 데이터 톤으로, 8개의 톤을 파일럿 톤으로 사용하고, 256개의 톤 중에서 가운데 3개의 톤을 DC 톤으로, 음의 영역의 가장자리 6개의 톤과 양의 영역의 가장자리 5개의 톤을 보호 톤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DC 톤과 보호 톤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DC 톤과 보호 톤에 사용되는 톤의 개수를 줄여서 전송률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좁은 대역을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경우에는 전체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톤의 개수가 적다. 예를 들면, 5 MHz 대역에서 20 MHz 대역폭 기준으로 64 FFT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2.5 MHz 대역에서 20 MHz 대역폭 기준으로 128 FFT를 사용하는 경우, 16개의 톤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5 MHz 대역 또는 2.5 MHz 대역을 복수의 부대역으로 분할해서 전송하면, 각 부대역에서의 DC 톤과 보호 톤으로 인해 실제 데이터 톤에 사용할 수 있는 톤이 거의 없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처럼 좁은 대역에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DC 톤과 보호 톤을 공유함으로써 데이터 톤의 비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5 MHz 대역 또는 2.5 MHz 대역을 복수의 부대역으로 분할해서 전송하는 경우에는 인터리버 블록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서 성능이 저하될 수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전체 대역에 해당하는 인터리버가 사용되므로 인터리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공통 전송 구간에서 심볼 인터리빙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인터리버 행렬을 통해 복수의 심볼에 걸쳐 인터리빙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심볼 인터리빙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심볼 인터리빙에 사용되는 심볼의 수는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심볼 인터리빙을 사용하는 경우 송신 디바이스의 인터리버와 수신 디바이스의 디인터리버가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공통 전송 구간에서 전송되는 심볼의 수가 심볼 인터리빙에 사용되는 심볼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나머지 심볼에 널(null)을 채운 후에 전송할 수 있다. 나머지 심볼에 널을 채우는 경우 나머지 심볼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아서 전송 낭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나머지 심볼에 다른 크기의 인터리버 행렬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나머지 심볼에 적용되는 인터리버 행렬의 행의 개수 및/또는 열의 개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송신 디바이스에서 해당 수신 디바이스에 할당할 톤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전체 대역에 대해서 채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심볼별로 톤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정해진 톤을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 수신 디바이스는 할당된 톤에 대해서만 채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채널 피드백량이 줄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시그널 필드를 통해 공통 전송 구간과 단독 전송 구간의 길이와 단독 전송 구간을 사용하는 수신 디바이스를 지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레거시 시그널 필드(L-SIG)가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 중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의 전송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를 포함하고, HE 시그널 필드(HE-SIG-A)가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 각각의 전송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레거시 시그널 필드(L-SIG)가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 중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의 전송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를 포함하고, 각 수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HE 시그널 필드(HE-SIG-B 또는 HE-SIG-C)가 할당된 수신 디바이스의 전송 구간에 대한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수신 디바이스는 다른 수신 디바이스의 전송 구간에 대한 길이와 자신의 전송 구간에 대한 길이에 기초해서, 자신의 데이터가 공통 전송 구간에만 존재하는지, 단독 전송 구간에도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공통 전송 구간에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는 파일럿을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디바이스가 빔포밍을 사용하여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 수신 디바이스가 파일럿을 정상적으로 추적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한 실시예에서는 파일럿에는 빔포밍을 적용하지 않고 파일럿의 송신 전력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홀수 번째 심볼의 파일럿에는 수신 디바이스(STA1)의 빔을 적용하고 짝수 번째 심볼의 파일럿에는 수신 디바이스(STA2)의 빔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홀수 번째 심볼의 파일럿에는 수신 디바이스(STA1)의 빔을 적용하고 짝수 번째 심볼의 파일럿에는 수신 디바이스(STA2)의 빔을 적용하는 동시에 파일럿의 송신 전력을 높일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동일한 심볼로 전송할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선택하고(S1510), 선택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심볼을 하나의 대역으로 전송한다(S1520).
한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동일한 심볼로 전송할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인터리버 메모리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러면, 송신 디바이스는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고, 심볼마다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 중 대응하는 영역에서 데이터를 출력하여서 심볼에 싣는다. 이에 따라 하나의 심볼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디바이스는 동일한 심볼로 전송할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하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인터리버 메모리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러면, 송신 디바이스는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인터리버 메모리의 대응하는 영역에 입력하고, 인터리버 메모리의 복수의 영역에서 데이터를 출력하여서 심볼에 싣는다. 이에 따라 하나의 심볼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수신 디바이스는 하나의 대역에서 복수의 심볼을 수신하며(S1610), 각 심볼에는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수신 디바이스는 각 심볼의 복수의 데이터 톤 중에서 자신에 할당된 데이터 톤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한다(S1620).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K개인 경우, 각 수신 디바이스는 K개의 심볼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데이터 톤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한다. 다음 수신 디바이스는 디인터리버 메모리의 데이터를 출력한다(S1630).
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심볼은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인터리버 메모리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심볼은,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 중에서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된 후에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의 대응하는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심볼은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가지는 하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심볼은,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인터리버 메모리의 복수의 영역 중에서 대응하는 영역에 입력된 후에 복수의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또는 데이터 수신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또는 데이터 수신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 등이 메모리(40)와 같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이러한 명령어의 적어도 일부는 MAC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명령어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 서버의 기록 매체로부터 전송되어 메모리(4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들 다양한 실시예는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고, 둘 이상의 실시예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송신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동일한 심볼로 전송할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한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심볼을 하나의 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항에서,
    각 인터리버 메모리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 중에서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에서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심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에서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터를 다음 심볼로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음 심볼을 상기 하나의 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행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3항에서,
    상기 심볼은 복수의 데이터 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톤에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터가 할당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3항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심볼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가지는 하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의 복수의 영역 중에서 대응하는 영역에 입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영역의 데이터를 상기 심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8항에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행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8항에서,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K개이고,
    i번째 수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영역은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의 (K*n-(K-i))번째 행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8항에서,
    상기 심볼은 복수의 데이터 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톤에 상기 복수의 영역의 데이터가 할당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8항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심볼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 중에서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만 남아 있는 경우, 상기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하나의 대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1 수신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하나의 대역에서 상기 제1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
    각 심볼의 복수의 데이터 톤 중에서 상기 제1 수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데이터 톤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가 K개인 경우, K개의 심볼에서 상기 할당된 데이터 톤의 데이터를 상기 디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7. 제15항에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하여 생성되며,
    각 인터리버 메모리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심볼 중 제1 심볼은,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 중에서 대응하는 인터리버 메모리에 입력된 후에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복수의 심볼 중 제2 심볼은, 상기 복수의 인터리버 메모리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9. 제15항에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가지는 하나의 인터리버 메모리를 사용하여 생성되며,
    각 심볼은, 각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상기 인터리버 메모리의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대응하는 영역에 입력된 후에 상기 복수의 영역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0. 제15항에서,
    하나의 대역에서 상기 제1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만 포함하는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KR1020150142586A 2014-11-10 2015-10-13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방법 KR201600556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7768P 2014-11-10 2014-11-10
US201462077853P 2014-11-10 2014-11-10
US62/077,853 2014-11-10
US62/077,768 2014-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86A true KR20160055686A (ko) 2016-05-18

Family

ID=5611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586A KR20160055686A (ko) 2014-11-10 2015-10-13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56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9647B2 (en) Beamformed transmission in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CN108370298B (zh) 用于无线传输的保护方法
US10320537B2 (en) Downlink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format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US10091771B2 (en) Sounding procedure including uplink multiple-user transmission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US10098151B2 (en) Transmission method for multi user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344221B2 (en)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method
US9763259B2 (en) Sounding method
US20160204960A1 (en) Sounding method
US9774425B2 (en) Frame transmitting method and frame receiving method
KR20160026749A (ko) 프레임 전송 방법 및 프레임 수신 방법
KR20160073319A (ko) 무선랜에서 다중 사용자를 위한 송수신 방법
KR20160010339A (ko) 무선랜에서 스테이션의 동작 방법
KR20160087743A (ko) 사운딩 방법
KR20160084301A (ko)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
KR20160028974A (ko) 무선랜에서 스테이션의 동작 방법
KR20160035542A (ko) 사운딩 방법
KR20160055686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방법
US20240314746A1 (en) Resource unit selective transmission scheme for low latency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KR20160040432A (ko) 무선랜에서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
KR20160063282A (ko) 무선랜에서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
KR20160069466A (ko) 프레임 전송 방법 및 프레임 수신 방법
KR20160057325A (ko) 무선랜에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40093876A (ko) 다중 ap 협력을 위한 프레임 교환 시퀀스
KR20160008453A (ko) 무선랜에서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20160032679A (ko) 프레임 전송 방법 및 프레임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