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579A - 바닥재 설치모듈 - Google Patents

바닥재 설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579A
KR20160055579A KR1020140155567A KR20140155567A KR20160055579A KR 20160055579 A KR20160055579 A KR 20160055579A KR 1020140155567 A KR1020140155567 A KR 1020140155567A KR 20140155567 A KR20140155567 A KR 20140155567A KR 20160055579 A KR20160055579 A KR 2016005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ounting
coupled
mounting unit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746B1 (ko
Inventor
김종필
권영훈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7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재와 설치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바닥재에 탄성을 부여하고 배수성을 증가시키는 바닥재 설치모듈로서, 상기 설치면상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면에 상기 바닥재가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복수 개의 몸체 및 복수 개의 상기 몸체 각각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방사형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가지는 장착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설치면을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장착유닛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설치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바닥재 설치모듈{Flooring Material Installed Modules}
본 발명은 바닥재 설치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재와 설치면 사이에 개재되어 충격력을 감쇠시키면서 안정적으로 바닥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면의 굴곡에 대응하여 바닥재를 설치할 수 있는 바닥재 설치모듈에 관한 것이다.
바닥재는 특별하게 사용하는 조경재료의 하나로서, 특히 인조잔디의 경우 잔디의 형태를 갖추어 인공적으로 만든 잔디의 대용품이다. 미국에서 처음 제작된 이래 주로 스포츠 구장에 사용되었고 잔디의 생육이 불가능한 옥내 정원이나 일조시간이 극히 제한된 고층건물의 북쪽에 접한 옥외지역과 같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항상 푸르름을 유지하고 환경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아 시공 후 관리가 용이하다.
인조잔디가 시공된 인조잔디 구장은 일반 천연잔디에 비해 초기 시공비가 많이 들지만,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관리의 편의성, 운동하기에 적합하도록 표면이 고른 점 등으로 인해 선호도가 높다.
스포츠용 인조잔디에 있어서는 선수의 충격을 흡수하고, 구름성, 튀김성, 공이 지면에 바운드된 이후의 공의 속도 변화 등 일련의 적정 경기성으로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조잔디가 활용되었다.
종래의 인조잔디 제품은 파일의 길이가 약 6~70 mm의 파일류 타입이며 이러한 파일들과 상기 파일을 고정시키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와 지면 사이에 인조잔디용 파일이 형성되어 부직포의 파손을 방지하고 배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모듈이 구비된다.
설치모듈의 종래기술로써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21678호에는 '설치모듈이 사각으로 형성한 몸체의 상부에 사각돌기를 전, 후, 좌, 우로 배열한 상태로 돌출 형성하고, 좌, 우 양측에는 블록과 블록이 서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마주하는 단턱을 형성하여 전, 후 또는 좌, 우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럭 설치 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바닥재 설치모듈은 단순히 바닥재의 설치를 용이하기 위해 구비할 뿐, 복수 개의 블록이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결합과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설치모듈은 평탄한 바닥에서만 설치 가능할 뿐, 모서리 부분이나 굴곡을 가지는 부분에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재와 설치면 사이에 개재되어 충격력을 감쇠시키면서 안정적으로 바닥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단위체가 연속하여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설치면의 형상이나 크기 및 굴곡에 대응하여 바닥재를 설치할 수 있는 바닥재 설치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바닥재와 설치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바닥재에 탄성을 부여하고 배수성을 증가시키는 바닥재 설치모듈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상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면에 상기 바닥재가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복수 개의 몸체 및 복수 개의 상기 몸체 각각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방사형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가지는 장착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설치면을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장착유닛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된 상태에서 연통구를 통해 인접한 다른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된 상기 결합부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횡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인접한 다른 상기 장착유닛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와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별도의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복수 개 중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의 하면 방향으로 상기 자성체가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착유닛의 상호 결합 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장착유닛 각각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에 연속하여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돌출된 방향과 교차되며, 상기 몸체의 하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각각의 상기 장착유닛에 구비되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결합부에 연속하여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선택적으로 인접한 상기 몸체의 상호 배치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장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복수 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돌출된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에는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장착유닛이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고정돌기를 가지며,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홈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몸체의 측면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면에 바닥재가 설치되는 몸체 및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결합부를 가지는 장착유닛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몸체 각각에 구비된 장착유닛이 결합부에 구비된 별도의 자성체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의 몸체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쉽게 결합하여 설치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바닥재 설치모듈을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복수 개의 몸체 각각에 구비된 장착유닛이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면의 굴곡에 대응하여 몸체를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바닥재 설치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바닥재 설치모듈이 횡 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바닥재 설치모듈이 연속하여 복수 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바닥재 설치모듈에서 장착유닛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바닥재 설치모듈에서 복수 개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바닥재 설치모듈이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바닥재 설치모듈에서 복수 개의 상호 결합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도 10의 바닥재 설치모듈이 횡 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바닥재 설치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바닥재 설치모듈이 횡 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바닥재 설치모듈이 연속하여 복수 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은, 바닥재와 설치면 사이에 개재되어 바닥재에 탄성을 부여하고 배수성을 증가시키며, 바닥재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은 상기 바닥재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설치면상에 별도의 작업 없이 상기 바닥재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바닥재는 장판, 카펫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상기 바닥재의 일 예로 인조잔디를 설치하는 형태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은 크게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 내에 결합되는 장착유닛(200)을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몸체(100)와 상기 장착유닛(200)이 단위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단위체가 상호 인접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조잔디(G)가 설치될 수 있는 장착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체는 상호 결합되는 개수에 의해 상기 인조잔디(G)가 설치되는 상기 장착면의 크기 및 형상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면에 상기 인조잔디(G)가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설치면상에 횡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인접하게 결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상면은 상기 인조잔디(G)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면에 다공이 형성되어 배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유닛(200)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구(110)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장착유닛(2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구(110)를 통해 상기 몸체(100)는 인접한 다른 상기 몸체(100) 내에 수용된 상기 장착유닛(200)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몸체(100)는 횡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장착유닛(200)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상술한 인조잔디(G)를 설치하는 상기 장착면이 형성되며, 별도의 고정수단(120)에 의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120) 상기 장착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상기 몸체(100)상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인조잔디(G)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면상에서 상기 인조잔디(G)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120)은 볼트나, 못과 같은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상기 몸체(100)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인조잔디(G)를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고정수단(12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0)상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인조잔디(G)를 상기 장착면상에 고정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든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착유닛(200)은 복수 개의 상기 몸체(100) 각각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인접한 다른 부재와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0) 각각의 수용공간 내에 상기 장착유닛(200)이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장착유닛(200)이 상호 결합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몸체(100)가 횡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착유닛(200)은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 내부에서 횡 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부(210)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연통구(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각의 상기 몸체(100) 내에 수용된 각각의 상기 장착유닛(200)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결합부(210)의 상호 결합을 통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유닛(200)은 사각형태의 상기 몸체(100) 형상에 대응하여 측면방향으로 하나씩 돌출 형성된 네 개의 상기 결합부(210)를 가지며, 중앙이 상기 몸체(100) 내부에서 결합상대를 유지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장착유닛(200)은 상기 몸체(100)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미도시)를 가지며, 상기 장착유닛(200)은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고정홈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연통구(11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연통구(110)에 의해 외부와 노출되어 연통할 수 있도록 구성될 뿐, 상기 몸체(100) 외부로 돌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0)는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유닛(200)은 상기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상호 결합되어 상기 몸체(100)와 상기 장착유닛(200)이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장착유닛(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결합부(210)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210)는 적어도 일부가 횡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100)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별도의 상기 자성체(22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체(220)는 상기 몸체(100) 내부에서 횡 방향을 따라 상기 연통구(110)를 통해 외부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되어 인접한 다른 상기 장착유닛(200)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210)와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220)는 상기 장착유닛(2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210) 중에서 적어도 일부만 상기 연통구(11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각각의 상기 결합부(210) 모두에 상기 연통구(11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 내에 수용된 상기 장착유닛(200)은 인접한 상기 몸체(100) 내에 수용된 상기 장착유닛(200)과 상기 자성체(220)를 통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은 상기 몸체(100) 및 상기 장착유닛(200)을 포함한 복수 개의 단위체가 상호 인접하게 연속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조잔디(G)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각의 상기 장착유닛(200)이 상기 결합부(210)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설치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바닥재 설치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에서 상기 설치면과 접촉하는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슬립방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부재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와 상기 설치면이 외력에 의해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면상에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이 설치된 상태에서 횡 방향에 따른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몸체(100)가 슬립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설치면상에 별도의 상기 슬립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몸체(100)의 하면 자체가 상기 설치면과의 접촉 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에서 상기 몸체(100)와 상기 장착유닛(200)은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장착면에 상기 인조잔디(G)가 설치되며, 상기 인조잔디(G)가 설치된 장소에서 사용자가 올라서거나 무거운 물건이 놓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며,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조잔디(G)가 설치되는 스포츠 구장 등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서 걷거나 달리는 경우 이에 대한 충격을 충분이 버틸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에서 상기 몸체(100)는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 장소에 따라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에서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바닥재 설치모듈에서 상기 장착유닛(2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바닥재 설치모듈에서 복수 개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장착유닛(200)은 사각형태의 상기 몸체(100) 측면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네 개의 상기 결합부(210)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210)의 길이방향 끝단부에 상기 자성체(220)가 구비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달리 복수 개의 상기 자성체(220) 중 일부만 상기 연통구(110)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몸체(100)의 하면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210)는 복수 개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100)의 하면 방향으로 상기 자성체(220)가 향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장착유닛(200)의 상호 결합 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면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면이 평면이 아니라 굴곡을 가지거나, 특정 구조물의 모서리에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을 설치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상기 몸체(100)의 배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유닛(200)에 구비되는 상기 자성체(220)의 일부가 상기 연통구(110) 방향이 아니라 상기 몸체(100)의 하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몸체(100)가 횡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결합됨과 동시에 일부는 상기 몸체(100)의 상면이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 각각에 구비된 상기 장착유닛(200)은 상기 자성체(2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장착유닛(200)이 별도의 상기 자성체(220)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상기 몸체(100)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자성체(220)의 배치 방향에 의해 상기 몸체(100)가 횡 방향이 아니라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100)는 상기 장착유닛(200)에 의해 복수 개가 상기 설치면상에 상호 인접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다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편의에 따라 상기 몸체(100)를 상기 설치면상에서 제거하거나 설치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바닥재 설치모듈이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바닥재 설치모듈에서 복수 개의 상호 결합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일부 유사하게 상기 몸체(100) 및 상기 장착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유닛(200)의 상호 결합을 통해 상기 몸체(1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자성체(220)가 구비되지 않고 별도의 결합수단(300)에 의해서 상기 장착유닛(200)이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300)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장착유닛(200)상에서 각각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210)에 연속하여 결합됨으로써,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장착유닛(200)을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착유닛(200)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210)가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연통구(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210)는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돌출된 방향과 교차되며 상기 몸체(100)의 하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장착홈(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장착유닛(200)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서 상기 결합수단(300)이 상기 장착홈(230) 내에 삽입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장착유닛(200)이 상기 결합수단(300)을 통해 결합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장착유닛(200) 각각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210)는 모두 상기 장착홈(230)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300)이 한 쌍의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결합부(210)에 연속하여 상기 장착홈(23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장착유닛(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21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에 각각 `T`형태의 상기 장착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300)은 `H`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230) 내부로 삽입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자성체(220)가 아니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장착홈(230)에 연속하여 결합되는 상기 결합수단(300)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몸체(100)가 연속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300)이 상기 장착홈(230)에 삽입된 후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몸체(100)가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홈(230)은 도시된 바와 같아 상기 결합부(210)가 돌출된 방향과 교차되며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수단(300)의 일측이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서부터 상기 장착홈(230)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300)이 상기 장착홈(23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수단(300)과 상기 장착유닛(200)이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수단(300)은 선택적으로 인접한 상기 몸체(100)의 상호 배치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장착홈(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홈(230)이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장착유닛(200)은 상기 결합수단(3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상호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설치면이 평면이 아니거나 구조물의 모서리부분인 경우 연속하여 횡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몸체(100)의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틸팅시켜 상기 설치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장착홈(230)에 결합 시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홈(230)과의 마찰로 인해 상기 몸체(100)의 상호 틸팅각도를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3실시얘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닥재 설치모듈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바닥재 설치모듈이 횡 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은 상기 몸체(100)의 구성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상기 장착유닛(200)의 구성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유닛(200)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결합부(210)가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통구(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상기 결합부(210)에 별도의 결합돌기(240) 또는 결합홈(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장착유닛(200)은 상기 결합돌기(240)와 상기 결합홈(250)의 상호 결합을 통해 인접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몸체(100)가 횡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210)는 복수 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돌출된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240)가 형성되고, 나머지에는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상기 결합돌기(240)가 삽입 결합되는 상기 결합홈(2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210)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상기 결합돌기(240) 또는 상기 결합홈(25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장착유닛(200)은 횡 방향이 아닌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250)에 상기 결합돌기(24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유닛(200)은 한 쌍의 상기 결합부(210)를 구비하며,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240)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25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일부가 상기 연통구(1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상기 장착유닛(200)은 상기 결합부(210)의 끝단부에 각각 상기 결합돌기(240)와 상기 결합홈(250)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에 배치되며,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몸체(100)상에 구비된 상기 장착유닛(200)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250)과 상기 결합돌기(240)의 결합을 통해 복수 개의 상기 장착유닛(200)이 횡 방향으로 상기 설치면을 따라 연속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0)가 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몸체(100)가 상기 장착유닛(200)에 의해 연속하여 횡 방향으로 배치되며 결합됨으로써 상면에 상기 인조잔디(G)가 설치될 수 있는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설치모듈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면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상호 결합되는 상기 몸체(10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몸체
110: 연통구
120: 고정수단
200: 장착유닛
210: 결합부
220: 자성체
230: 장착홈
240: 결합돌기
250: 결합홈
300: 결합수단

Claims (10)

  1. 바닥재와 설치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바닥재에 탄성을 부여하고 배수성을 증가시키는 바닥재 설치모듈로서,
    상기 설치면상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면에 상기 바닥재가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복수 개의 몸체; 및
    복수 개의 상기 몸체 각각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방사형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가지는 장착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설치면을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장착유닛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설치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된 상태에서 연통구를 통해 인접한 다른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된 상기 결합부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설치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횡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인접한 다른 상기 장착유닛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와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별도의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설치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복수 개 중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의 하면 방향으로 상기 자성체가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착유닛의 상호 결합 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설치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장착유닛 각각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에 연속하여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설치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돌출된 방향과 교차되며, 상기 몸체의 하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각각의 상기 장착유닛에 구비되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결합부에 연속하여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설치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선택적으로 인접한 상기 몸체의 상호 배치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장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설치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복수 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돌출된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에는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장착유닛이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설치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고정돌기를 가지며,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홈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설치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몸체의 측면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설치모듈.
KR1020140155567A 2014-11-10 2014-11-10 바닥재 설치모듈 KR101961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67A KR101961746B1 (ko) 2014-11-10 2014-11-10 바닥재 설치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67A KR101961746B1 (ko) 2014-11-10 2014-11-10 바닥재 설치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79A true KR20160055579A (ko) 2016-05-18
KR101961746B1 KR101961746B1 (ko) 2019-03-26

Family

ID=5611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567A KR101961746B1 (ko) 2014-11-10 2014-11-10 바닥재 설치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7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653A (ko) * 2006-02-08 2008-11-11 리 쿠퍼 모듈화된 바닥체
KR100901434B1 (ko) * 2009-02-23 2009-06-05 (주)필드테크 조립식 스포츠코트
KR20130000650U (ko) * 2011-07-19 2013-01-29 신동현 자석 매트블럭
KR200472466Y1 (ko) * 2013-10-30 2014-04-29 (주) 에스지아이스 스포츠용 바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653A (ko) * 2006-02-08 2008-11-11 리 쿠퍼 모듈화된 바닥체
KR100901434B1 (ko) * 2009-02-23 2009-06-05 (주)필드테크 조립식 스포츠코트
KR20130000650U (ko) * 2011-07-19 2013-01-29 신동현 자석 매트블럭
KR200472466Y1 (ko) * 2013-10-30 2014-04-29 (주) 에스지아이스 스포츠용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746B1 (ko)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9323B2 (en) Multi-stage shock absorbing modular floor tile apparatus
US8011156B1 (en) Construction set
US8341896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resilient support members
CN108617363B (zh) 软地层用草坪保护垫及其施工方法
US20110289839A1 (en) Modular living roof system
CA3028381A1 (en) Shock absorbing interlocking floor system
US20140173978A1 (en) Grass protection mat
CA3005122A1 (en) Surface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0416783Y1 (ko) 잔디보호매트
KR101961746B1 (ko) 바닥재 설치모듈
WO2012158037A1 (en) Assembly of tiles for forming a floor
KR101452408B1 (ko)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블록고정 지지판
KR101993519B1 (ko) 인접구역간의 경계가이드 구조체
KR101444728B1 (ko) 인조잔디용 배수블럭
KR20130058456A (ko) 테이블 조립체
WO2015141906A1 (ko)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EP3197800B1 (en) Combination of elements to construct a threshold ramp construction, ramp construction, and method to construct a threshold ramp construction
KR101210447B1 (ko)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용 배수판
KR101969973B1 (ko) 조립식 스포츠 코트 블럭
EP1880067A1 (en) Floor and floor panels
KR100874245B1 (ko) 다목적 조립식 함틀 구조
KR20170006989A (ko) 벙커 매트
KR20200072812A (ko) 조립식 포트
US20170020102A1 (en) Support For A Vertical Panel
CN212129782U (zh) 拼装式运动地板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