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381A -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조절식 및 접이식 어깨 받침 - Google Patents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조절식 및 접이식 어깨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381A
KR20160054381A KR1020150030630A KR20150030630A KR20160054381A KR 20160054381 A KR20160054381 A KR 20160054381A KR 1020150030630 A KR1020150030630 A KR 1020150030630A KR 20150030630 A KR20150030630 A KR 20150030630A KR 20160054381 A KR20160054381 A KR 2016005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member
fork
shoulder
slot
slid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도 발라티
마리나 쿤
Original Assignee
더 쿤 쇼율더 레스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A2869862A external-priority patent/CA2869862C/en
Application filed by 더 쿤 쇼율더 레스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 쿤 쇼율더 레스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5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2Bowed or rubbed string instruments, e.g. violins or hurdy-gurd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8Chin-rests, hand-rests, shoulder rests or guards being removable from, or integral with the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조절식 및 접이식 어깨 받침은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에 부착하기 위한 바디의 제1 및 제2 단부에 제1 및 제2 접이식 포크를 갖는 어깨-맞물리는 바디, 및 제1 및 제2 포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여기서 제1 및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각각 슬롯에 배치된 제1 복수의 애퍼처 중 하나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돌출부를 재위치시키기 위한 풀-탭 조절 기구를 포함한다. 어깨 받침은 어깨 받침의 어깨-맞물리는 면에 부착된, 개구부를 갖는 발포 쿠션을 가질 수 있다. 단부 부재는 포크의 나사식 스템을 수용하는 각각의 회전가능한 드럼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식 하우징을 정의할 수 있고, 그로써 포크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하고 더욱 포크가 접힐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조절식 및 접이식 어깨 받침{ADJUSTABLE AND FOLDABLE SHOULDER REST FOR VIOLIN OR VIOLA}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 발명에 대하여 출원된 제1 출원이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어깨 받침에 관한 것이다.
어깨 받침은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에 부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 디바이스이다. 전형적으로, 어깨 받침은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의 이면에 어깨 받침을 탈착식 장착하기 위한 포크-형상의 클램핑 부재 또는 "피트"를 갖는다. 어깨 받침은 연주자에 편안한 높이로 악기를 이격시킨다. 어깨 받침은 인간의 어깨 및 쇄골의 자연스러운 곡선에 일반적으로 순응하는 바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여러 다른 크기의 악기도 그리고 연주자의 신체 구조 및 자세 선호도도 수용하기 위하여, 일부 어깨 받침은 포크-형상의 클램핑 부재 간 거리 및 높이가 조절가능하다.
조절식 어깨 받침의 일부 예는 미국 특허 제5,270,474호(Kun)(발명의 명칭: "Violin or the Like Shoulder Rest"), 미국 특허 제5,419,226호(Kun)(발명의 명칭: "Violin Shoulder Rest"), 미국 특허 제5,567,893호(Kun)(발명의 명칭: "Shoulder Rest for Violin or Like Instrument"), 미국 특허 제6,031,163호(Cullum 등)(발명의 명칭: "Adjustable Shoulder Rest for Violins or the Like"), 미국 특허 제7,265,284호(Muir 등)(발명의 명칭: "Violin or the Like Instrument")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모두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되는 것이다.
더 간편한 보관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일부 어깨 받침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731,531호(Kun)(발명의 명칭: "Shoulder Rest for Violin or Like Instrument")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접기 가능(foldable)할(또는 "접이식"(collapsible)일) 수 있다.
어깨 받침의 바디 또는 브리지는 중합체, 복합 재료, 금속 또는 목재와 같은 여러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6,291,750호(Farha)(발명의 명칭: "Bridge for a Violin or Viola Shoulder Rest")는 복수의 목재 베니어를 포함하는 합판으로 만들어진 바디 또는 브리지를 개시하고 있다.
어깨 받침 인체공학에서의 다른 개선점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7,385,124호(Clemente)(발명의 명칭: "Clamping Member for a Violin Shoulder Rest")에 개시되어 있다.
조절식 및 접이식 어깨 받침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조절기능 및 인체공학에서의 추가적 개선이 여전히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조절식 및 접이식 신규 어깨 받침을 제공한다. 어깨 받침은 접이식 포크를 독립적으로 조절하기, 즉, 내밀거나 집어넣기 위한 2개의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풀-탭 조절 기구(pull-tab adjustment mechanism)를 포함한다. 그 어깨-맞물리는 면 상에, 어깨 받침은 개구부를 갖는 발포 쿠션을 갖는다. 어깨 받침의 포크는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로 캡슐화된 드럼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태양이 상세한 설명에서 아래에 설명되고 수반 도면에서 예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진보적 태양은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조절식 및 접이식 어깨 받침이다. 어깨 받침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어깨-맞물리는 바디(shoulder-engaging body)를 포함하고, 바디는 또한 어깨-맞물리는 면(shoulder-engaging side) 및 악기-대향하는 면(instrument-facing side)을 갖는다. 어깨 받침은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를 클램핑하기 위해 제1 단부에 배치된 제1 접이식 포크-형상의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되, 클램핑 부재는 맞물리는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다. 어깨 받침은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를 클램핑하기 위해 제2 단부에 배치된 제2 접이식 포크-형상의 클램핑 부재를 포함하되, 클램핑 부재는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다. 어깨 받침은 제1 클램핑 부재를 지지하는 나사식 스템(threaded stem)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클램핑 부재가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1 클램핑 부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바디의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1 슬롯(slot)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어깨 받침은 제2 클램핑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포함하고,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클램핑 부재가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2 클램핑 부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바디의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2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1 슬롯에 배치된 제1 복수의 애퍼처(aperture) 중 하나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2 슬롯에 배치된 제2 복수의 애퍼처 중 하나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진보적 태양은 찰현악기용 어깨 받침이고, 어깨 받침은 어깨-맞물리는 면 및 악기-대향하는 면을 갖는 어깨-맞물리는 바디, 악기에 부착하기 위한 제1 접이식 포크로서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포크, 및 악기에 부착하기 위한 제2 접이식 포크로서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포크를 포함한다. 어깨 받침은 제1 포크를 지지하는 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캔틸레버링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포크가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1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바디의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1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어깨 받침은 제2 포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포함하고,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캔틸레버링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포크가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2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바디의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2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1 슬롯에 배치된 제1 복수의 애퍼처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적응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2 슬롯에 배치된 제2 복수의 애퍼처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적응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진보적 태양은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어깨 받침이고, 어깨 받침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또한 어깨-맞물리는 면 및 악기-대향하는 면을 갖는 어깨-맞물리는 바디,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에 부착가능하고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제1 접이식 포크, 및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에 부착가능하고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제2 접이식 포크를 포함한다. 어깨 받침은 제1 포크를 지지하는 나사식 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제1 포크가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1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바디의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1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어깨 받침은 제2 포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제2 포크가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바디의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2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어깨 받침은 어깨-맞물리는 면에 배치된 발포 쿠션을 더 포함한다. 발포 쿠션은 옵션으로서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진보적 태양은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어깨 받침이고, 어깨 받침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또한 어깨-맞물리는 면 및 악기-대향하는 면을 갖는 어깨-맞물리는 바디,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에 부착가능하고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제1 접이식 포크, 및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에 부착가능하고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제2 접이식 포크를 포함한다. 어깨 받침은 제1 포크를 지지하는 나사식 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제1 포크가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1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바디의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1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어깨 받침은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의 회전식 하우징 내에 캡슐화된 제1 회전가능한 드럼을 포함한다. 어깨 받침은 제2 포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포함하고,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제2 포크가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바디의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2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어깨 받침은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의 회전식 하우징 내에 캡슐화된 제2 회전가능한 드럼을 포함한다.
이 개요는 특정 유의미한 진보적 태양을 강조하기 위해 제공되지만 본 개시의 모든 진보적 태양을 총망라하거나 제한하는 정의를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진보적 태양이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개시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추가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조합하여 취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집어넣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일 실시예의 등각도(isometric view);
도 2는 내밀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등각도;
도 3은 집어넣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또 다른 등각도;
도 4는 내밀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또 다른 등각도;
도 5는 집어넣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평면도;
도 6은 내밀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평면도;
도 7은 집어넣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측면도;
도 8은 내밀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측면도;
도 9는 집어넣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단부도;
도 10은 내밀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또 다른 단부도;
도 11은 집어넣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밑면도;
도 12는 내밀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밑면도;
도 13은, 어깨-맞물리는 쿠션이 위쪽으로 대향하여 도시된, 집어넣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등각도;
도 14는 내밀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또 다른 등각도;
도 15는 접힌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또 다른 등각도;
도 16은, 악기-대향하는 면이 위쪽으로 대향하여 도시된, 접힌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등각도;
도 17은 접힌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또 다른 등각도;
도 18은 어깨 받침의 분해(조립)도;
도 19는 베이스 부재의 등각도;
도 20은 베이스 부재의 밑면의 또 다른 등각도;
도 21은 그 다이-컷 홀을 갖는 발포 쿠션 또는 패드의 등각도;
도 22는 어깨 단부의 측면 단면도;
도 23은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 및 그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기 위한 풀-탭 조절 기구의 측면 단면도;
도 24는 쇄골 단부의 측면 단면도;
도 25는 슬라이드식 쇄골 단부 부재 및 그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기 위한 풀-탭 조절 기구의 측면 단면도;
도 26은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의 측면 단면도;
도 27은 회전가능한 캡슐화된 드럼에 장착된 스템을 도시하는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28은 슬라이드식 쇄골 단부 부재의 측면 단면도;
도 29는 회전가능한 캡슐화된 드럼에 장착된 스템을 도시하는 슬라이드식 쇄골 단부 부재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30은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의 등각도;
도 31은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의 밑면의 등각도;
도 32는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어깨 단부 부재 보유 플레이트의 등각도;
도 33은 외부면을 도시하는 어깨 단부 부재 보유 플레이트의 등각도;
도 34는 슬라이드식 쇄골 단부 부재의 등각도;
도 35는 슬라이드식 쇄골 단부 부재의 밑면의 등각도;
도 36은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쇄골 단부 부재 보유 플레이트의 등각도;
도 37은 외부면을 도시하는 쇄골 단부 부재 보유 플레이트의 등각도;
도 38은 나사식 포크 드럼의 등각도;
도 39는 나사식 포크 드럼의 또 다른 등각도;
도 40은 나사식 포크 드럼의 단면도;
도 41은 나비나사(thumbscrew)를 갖는 어깨 받침의 다른 일 실시예의 등각도;
도 42는 도 41의 어깨 받침의 평면도;
도 43은 도 41의 어깨 받침의 측면도;
도 44는 도 41의 어깨 받침의 분해(조립)도;
도 45는 나비나사 조절 기구를 갖는 어깨 단부의 측면 단면도; 및
도 46은 나비나사 조절 기구를 갖는 쇄골 단부의 측면 단면도.
첨부 도면의 곳곳에서 유사한 특징은 유사한 참조 숫자로 식별됨이 주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조절식 및 접이식 어깨 받침을 묘사하고 있다. 참조 숫자(10)로 표시되는 어깨 받침은 어깨-맞물리는 바디(또는 "브리지")(20) 및 발포 쿠션 또는 패드(30)를 포함한다. 바디(브리지)(20)는 제1 단부(40) 및 제2 단부(50)를 갖는다. 바디(20)는 악기-대향하는 면(60) 및 어깨-맞물리는 면(70)을 갖는다. 한 쌍의 가지, 갈래 또는 가락(82)을 갖는 제1 접이식 포크-형상의 클램핑 부재(또는 "포크")(80)는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를 클램핑하기 위해 바디의 제1 단부에 배치된다. 포크는 나사식 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홀(84)을 갖는다. 클램핑 부재(또는 포크)는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다. 한 쌍의 가지, 가락 또는 갈래(92)를 갖는 제2 접이식 포크-형상의 클램핑 부재(또는 "포크")(90)는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를 클램핑하기 위해 바디/브리지의 제2 단부에 배치된다. 제2 포크(90)는 나사식 스템(96)을 수용하기 위한 홀(94)을 갖는다. 제2 클램핑 부재(제2 포크)는 또한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다.
도 1에 묘사된 어깨 받침(10)은 포크(80, 90) 간 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조절가능하다. 어깨 받침(10)은 포크 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조절 기구를 포함한다. 도 1의 어깨 받침에서 각각의 조절 기구는 풀 탭(104, 114)을 들어올림으로써 작동되는 각각의 풀-탭 조절식 슬라이더(102, 112)를 갖는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100, 110)를 포함한다. 조절 기구는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어깨 단부 부재(100) 및 쇄골 단부 부재(110))가 베이스(20)에 상대적으로 슬롯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부 부재(100, 110)는 내밀어지거나 집어넣어질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단부 부재(100, 110)는 완전히 집어넣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부분적으로 내밀어진 단부 부재(100, 110)를 도시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내밀어질 때, 단부 부재(100, 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버링된다고도 불린다.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100, 110)는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포크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캡슐화된 드럼(106, 116)을 갖는다.
도 2는 또한 각각의 슬롯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묘사하고 있다. 혀-형상의 슬라이더(102)는 슬롯(28)에 형성되는 제1 복수의 애퍼처(24), 예를 들어, 횡 그루브(groove)들 중 하나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돌출부를 그 밑면 상에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집어넣어진 자세 및 내밀어진 자세에서 어깨 받침(10)을 (또 다른 관점으로부터) 묘사하고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으로, 제1 단부(40)는 "어깨 단부"라고도 지칭되고 제2 단부(50)는 "쇄골 단부"라고도 지칭된다. 어깨 단부는 어깨-맞물리는 면(70)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어깨-맞물리는 면은 연주자의 어깨에 접촉한다, 즉, 연주자는 어깨에 맞물려 어깨 받침을 제공할 면에 기댄다. 대신에 어깨 단부 및 쇄골 단부는 ("슬라이드식 지지 부재"라고도 알려져 있는)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100, 110)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묘사된 바와 같이, 바디(브리지)(20)는 비대칭형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위로부터 볼 때, 바디는 측방으로 곡선을 이루고(즉, 일측으로 굽어지고), 한편 폭은 일반적으로는, 어깨 단부에서 둥글게 끝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쇄골 단부로부터 어깨 단부로 향하여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도 6에서 위로부터 볼 때, 슬롯(28) 또는 슬라이드 경로는 서로 상대적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고 있음(즉, 그것들이 서로 평행하거나 정렬되어 있지 않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혀-형상의 슬라이더(102, 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거나 정렬되어 있지 않다.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어깨 단부 부재(100)는 쇄골 단부 부재(110)보다 높이가 더 짧다. 도 7 및 도 8에서 측면으로부터 볼 때, 바디(20)는 쇄골 단부로부터 어깨 단부로 위쪽으로 곡선을 이룬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단부는 볼록하고 쇄골 단부는 오목하다. 어깨 단부 부재는 볼록한 어깨 단부의 곡률과 매칭하도록 볼록하다. 쇄골 단부 부재는 오목한 쇄골 단부의 곡률과 매칭하도록 오목하다. 더 구체적으로, 어깨 단부에서의 제1 슬롯은 볼록한 반면 쇄골 단부에서의 제2 슬롯은 오목하다. 어깨 단부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은 아치형의 일반적으로 볼록한 경로를 따른다. 쇄골 단부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은 아치형의 일반적으로 오목한 경로를 따른다. 도 7 및 도 8에서 측면으로부터 볼 때, 이들 경로는 서로 상대적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고 있음(즉, 그들이 평행하거나 정렬되어 있지 않음)이 명백하다.
도 7 및 도 8에서 더 예시된 바와 같이, 포크(80, 90)는 그것들이 목적으로 하는 그리핑 또는 클램핑 힘(gripping or clamping force)으로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를 클램핑 또는 그리핑하도록 프리로딩된다(preloaded). 포크의 피치의 각도는 프리로드의 양을 결정한다. 포크가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에 장착될 때 포크의 각도가 변한다(즉, 열린다). 환언하면, 악기에 부착될 때, 포크의 각도는 그들의 부착되지 않은 자세에 비해 더 크다(더 "열린다"). 피치의 이러한 각도는 포크를 바디에 상대적으로 내밀어지거나 집어넣어짐에 따라 달라진다.
혀-형상의 슬라이더가 오목형 슬롯에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는 바디(20)와 동일 평면이다. 환언하면, 단부 부재(100, 110)의 각각의 슬라이더의 상부 곡선형 표면은 장식 외관을 위해 베이스 부재(20)와 동일 평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또한 바디(20)가 쇄골 단부로부터 어깨 단부로 좌측으로 그리고 위쪽으로 어떻게 곡선을 이루는지 도시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5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어깨 받침(10)은 쿠션이 있거나 패드가 있는 어깨 받침을 제공하기 위해 바디(브리지)의 악기-대향하는 면에 부착되는 발포 쿠션 또는 패드(30)를 더 포함한다.
도 11 내지 도 15, 도 18 및 도 21에 묘사된 바와 같이, 발포 쿠션(30)은 옵션으로서 복수의 애퍼처, 개구부 또는 홀(32)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32)는 다이-컷 되거나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개구부를 갖는 발포 쿠션은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개구부는 발포 쿠션을 더 가볍게 한다. 개구부는 어깨 상에 더 많은 정지마찰력을 제공하여 어깨 받침이 어깨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방지한다. 환언하면, 개구부는 강화된 그립(grip)을 제공한다. 쿠션 내 개구부는 또한 어깨 받침의 외관을 장식한다. 쿠션은 NBS, 네오프렌(폴리클로로프렌) 또는 다른 균등 합성 고무, 스펀지 또는 발포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개구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쭉한 개구부일 수 있다. 개구부는, 단부로부터 중앙으로 향하여 곡률이 증가하는, 길쭉한 곡선형일 수 있다. 개구부의 다른 형상 및 크기로 대체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어깨 받침은 조절도 가능하고 접을 수도 있다. 도 11은 그 포크(80, 90)가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에 장착 또는 클램핑하기 위해 맞물리는(펴진) 자세에서 펴진 그리고 집어넣어진 어깨 받침을 묘사하는 반면, 도 12는 내밀어진 또는 캔틸레버링된 포크(80, 90)를 묘사하고 있다. 포크는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고 독립적으로 접기 가능할(또는 "접이식"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에서 어깨 받침의 등각도이다. 포크는 보관 또는 수송을 위해 접힐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접힌 포크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포크-형상의 클램핑 부재(또는 "포크")(80, 90)는 비대칭형이다.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포크는 또한 회전가능하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포크는 포크가 올려지거나 내려질 수 있게 하는 그리고 또한 포크가 베이스에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나사식 스템(86, 96)(도 18에 도시됨) 상으로 나사결합된다. 포크는 또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즉,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요컨대, 어깨 받침(10)은 제1 클램핑 부재를 지지하는 나사식 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클램핑 부재가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 또는 슬롯을 갖는다.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1 클램핑 부재를 브리지에 상대적으로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브리지의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1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어깨 받침(10)은 제2 클램핑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클램핑 부재가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2 클램핑 부재를 브리지에 상대적으로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브리지의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2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포크를 접힌 자세 또는 펴진 자세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 기구가 없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포크를 접힌 자세 또는 펴진 자세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 기구가 있을 수 있다. 대안으로, 포크-접기 기구를 위한 인덱싱(indexing) 또는 마찰 핏(friction fit)이 있을 수 있다.
그리하여 어깨 받침은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음으로써 조절가능하다. 포크는 또한 추가적 조절기능을 제공하도록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다. 내밀어질 때,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그들 각각의 포크는 캔틸레버링된다. 완전히 내밀어질 때(캔틸레버링될 때) 추가적 정도의 조절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 측방 및/또는 토션 플레이 또는 톨러런스가 있다. 환언하면, 내밀어질 때(캔틸레버링될 때),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악기와 맞도록 비틀어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부착된 어깨 받침에 토크가 가해질 때 비틀어질 수 있다.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1 슬롯에 배치된 제1 복수의 애퍼처 중 하나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제2 슬롯에 배치된 제2 복수의 애퍼처 중 하나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복수의 애퍼처는 제1 슬롯 내에서 제1 지지 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의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배치된 횡 그루브들을 포함하고, 제2 복수의 애퍼처는 제2 슬롯 내에서 제2 지지 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의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배치된 횡 그루브들을 포함하되, 돌출부는 횡 그루브들 중 하나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횡 리브(transverse rib)이다. 횡 그루브들은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슬롯의 안쪽으로 반쪽에만 배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의 각각은 애퍼처로부터 돌출부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슬롯으로부터 떨어져 당겨질 때 휘는 풀-탭 로킹해제 부재를 포함하고, 풀-탭 로킹해제 부재는 슬롯에 맞대어 휘지 않은 자세로 복귀하도록 탄성 바이어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풀-탭 로킹해제 부재는 슬롯으로부터 떨어져 곡선을 이루는 곡선형 둥근 선단에서 종단하는 길쭉한 탭을 포함한다. 탭은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두께보다 더 작은 탭 두께를 갖고 탭은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폭보다 더 작은 탭 폭을 갖는다.
도 18은 어깨 받침(10)의 주 부품, 즉 바디(브리지)(20), 쿠션(30), 포크(80, 90),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100, 110), 드럼(106, 116) 및 리테이너 커버 플레이트(120, 130)의 분해 또는 조립도이다. 도 19는 바디(브리지)(20)의 등각도이다. 어깨 받침을 조립하기 위하여, 패드(30)는 바디(20)에 부착된다. 포크의 스템은 단부 부재(100, 110)의 보어 내에 회전식으로 하우징되는 드럼(106, 116)에 체결된다. 리테이너 커버 플레이트(120, 130)는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의 보어 내측에 드럼을 유지하도록 제자리에 스냅된다.
바디(또는 브리지)(20)는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디의 측면을 따라 챔퍼(21)를 가질 수 있다. 챔퍼형 바디는 바디를 유지 및 조작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고 또한 바디의 외관을 장식한다. 바디(20)는 복수의 애퍼처, 예를 들어, 가로 그루브(24)를 갖는 제1 및 제2 슬롯(28)을 갖는다. 이들은 슬롯의 앞쪽(최내측) 반쪽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립 또는 그루브(26)는 혀-형상의 슬라이더를 보유하도록 슬롯의 측면을 따라 뻗어있다.
도 20은 어깨 받침의 바디(20)의 밑면 등각도이다. 밑면은 쿠션이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을 수 있는 바디의 주변 주위에 뻗어있는 립 또는 림(22)을 가질 수 있다.
도 21은 발포 쿠션(30) 또는 발포 패드의 등각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은 복수의 개구부, 홀 또는 애퍼처(32)를 갖는다. 도 2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발포 쿠션 또는 패드는 바디와 매칭하는 윤곽 또는 형상을 갖는다. 더 예시되는 바와 같이, 쿠션 또는 패드는 균일한 두께를 갖기는 하지만, 이것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쿠션은 도 21에서는 단일 일체형 조각의 발포고무이기는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그것은 2개 이상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40은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 및 슬라이드식 쇄골 단부 부재의 구조적 상세를 묘사하고 있다.
도 22는 어깨 단부(40)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은 포크(80)가 그 나사식 스템(86) 상에 장착됨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포크(80)가 베이스(20)에 상대적으로 올려지거나 내려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포크가 베이스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스템은 회전가능한 드럼 내 대응하는 나사식 칼라 또는 보어 내에 나사결합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어깨 단부 부재)(100)는 원통형 드럼-같은 부품을 포함한다. 도 23은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에 대한 풀-탭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딩 경로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단부(40)에서 볼록함을 유념하라. 도 22 및 도 23은 가로 그루브(24)가 유사한 형상의 돌출부(105) 또는 톱니를 수용하도록 테이퍼링 또는 플레어링될(tapered or flared)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6개의 그루브(24)가 묘사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는 6개의 여러 다른 정도의 선형 내밀기를 제공하도록 6개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착석될 수 있다. 도 23은 풀 탭(104)이 어떻게 아치 또는 곡선을 이룰 수 있는지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형상 또는 프로파일이 채용될 수 있다. 이 도면은 또한 풀 탭(104)을 들어올리기에 충분한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만큼의 유격(clearance)을 제공하도록 어떻게 앞쪽 공간(107)이 있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는 혀-형상의 슬라이더(112)에 대해 오목한 슬라이딩 경로를 제공하는 쇄골 단부(5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는 슬라이드식 쇄골 단부 부재(110)에 대한 풀-탭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풀 탭(114)은 하나의 그루브(24)로부터 다른 하나로 돌출부를 변위시키도록 들어올려지거나 당겨진다. 전방 공간(117)은 풀 탭(114)으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 접근을 위해 제공된다. 도 24에 도시된 쇄골 단부 부재(110)를 슬라이딩하는 것은 포크(90) 및 그 가락 또는 가지(92)가 움직이게 야기한다.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포크(90)는 나사식 스템(96)에 의해 지지되고 드럼과 회전가능하다.
도 26은 드럼을 수용하고 캡슐화하기 위한 보어(B)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100)를 도시하고 있다. 갭(G)은 국소적 휨을 증강시키도록 돌출부 바로 전의 존에서 혀-형상의 슬라이더를 좁게 하거나 얇게 함으로써 제공된다. 캐비티(C)는 리테이너 커버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보어(B) 아래에 제공된다. 도 27은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100)의 확대 측면도로서 회전가능한 캡슐화된 드럼(106)에 체결된 스템(86)을 도시하고 있다. 리테이너 커버 플레이트(120)는 드럼(106)을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단부 부재(100)의 저부에서 캐비티의 자리에 스냅된다.
도 28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유사한 보어(B), 캐비티(C) 및 갭(C)을 갖는 슬라이드식 쇄골 단부 부재(110)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슬라이드식 쇄골 단부 부재(110)의 확대 측면도로서 회전가능한 캡슐화된 드럼(116)에 체결된 스템(96)을 도시하고 있다. 리테이너 커버 플레이트(130)는 슬라이드식 쇄골 부재(110)의 보어(B) 내측에 드럼을 보유하도록 캐비티(C) 내에 제자리에 스냅된다.
도 30은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100)를 예시하고 있다.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100)는 풀 탭(104) 및 풀 탭(104)에 접근하기 위한 손가락 접근 공간(107)을 정의하는 둥근 또는 반원형 앞쪽 단부(148)를 갖는다. 풀 탭은 혀-형상의 슬라이더(10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2개의 좁은 그루브 또는 채널(144, 146)에 의해 슬라이더로부터 일부 측방으로 떨어져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에서 슬롯(28)의 그루브(26) 내에서 슬라이딩하기 위한 립(142)이 단부 부재의 에지를 따라 이어져 있다. 각각의 립(142)의 둥근 전방(140)은 그루브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 30에 묘사된 바와 같이, 단부 부재(100)는 드럼(106)을 수용하고 캡슐화하기 위한 보어(B)를 정의하는 회전식 하우징(149)을 갖는다. 회전식 하우징(149)은 포크가 접힐 때 스템이 회전할 수 있게 하도록 제1 아치형 슬롯(150)을 갖는다. 하우징(149)은 또한 포크가 내려질 때 스템의 저부 부분의 회전을 위한 유격을 제공하도록 제2 아치형 슬롯(152)을 갖는다. 환언하면, 스템의 저부 부분은 포크가 내려질 때 드럼 너머로 내밀어지고, 그로써 스템의 저부 내밀어진 부분이 드럼과 회전하도록 후방 유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31은 슬라이드식 어깨 단부 부재(100)의 밑면을 묘사하고 있다. 밑면은 캐비티(C)를 갖는다. 도 32에 도시된 소켓(122)으로의 스냅 연결을 위해 2개의 돌기(154)가 제공된다. 도 31의 밑면도는 또한 돌출부(105)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는 어깨 단부 부재 보유 플레이트(리테이너 커버 플레이트)(120)를 예시하고 있다. 드럼을 제자리에 보유도 하고 또한 그것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을 가이드도 하도록 리테이너 가이드 핀(124)이 제공된다. 도 33은 어깨 단부 부재 보유 플레이트의 매끄러운 외부면을 도시하고 있다.
쇄골 단부 부재의 구조는 도 3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깨 단부 부재의 그것과 유사하고 비슷하다. 쇄골 단부 부재(110)는 풀 탭(114), 채널(144, 146), 둥근 전방(140)을 갖는 측면 에지 립(142), 보어(B)를 정의하는 회전식 하우징(149) 및 제1 및 제2 아치형 슬롯(150, 152)을 갖는다. 도 35의 밑면도에서는, 도 36에 도시된 커버 플레이트(130)의 소켓(134)으로의 스냅 연결을 위한 돌기(154) 및 캐비티(C)가 있다. 리테이너 가이드 핀(134)은 드럼을 보유하고 가이드한다. 핀(134)은 핀(124)보다 키가 더 크다. 쇄골 단부 부재 보유 플레이트의 외부면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끄럽다.
도 38 내지 도 40에 묘사된 바와 같이, 원통형 드럼-같은 부품("드럼")(116)은 손가락과 엄지손가락 사이에 드럼을 유지하게 할 오목형 측면(116b)을 갖는다. 도 38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은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형 측면 표면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형 드럼(116)은 동일 또는 유사한 운동학을 달성하는 또 다른 적합한 회전 엘리먼트로 대체될 수 있다. 드럼은 각각의 단부 부재(슬라이드식 지지 부재) 내에 캡슐화된다. 드럼(116)은 스템을 위한 보어(116a) 및 아치형 슬롯(116c)을 갖는다.
도 41 내지 도 4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비나사 조절 기구를 갖는 어깨 받침을 묘사하고 있다.
도 41 내지 도 43에 묘사된 바와 같이, 어깨 받침(10)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바디(20) 및 발포 쿠션(30)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어깨 받침은 어깨 단부에 하나의 포크(80)(가지, 갈래 또는 가락(82)을 가짐) 및 쇄골 단부에 또 다른 포크(90)(가지, 갈래 또는 가락(92)을 가짐)를 갖는다. 어깨 단부 부재(100)는 혀-형상의 슬라이더(102)를 갖는다. 쇄골 단부 부재(110)는 혀-형상의 슬라이더(112)를 갖는다. 제1 나비나사(160)는 어깨 단부 상에서 제자리에 제1 혀-형상의 슬라이더(102)를 체결한다. 유사하게, 제2 나비나사(162)는 어깨 단부 상에서 제자리에 제2 혀-형상의 슬라이더(112)를 체결한다. 이들 나비나사 조절 기구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풀-탭 조절 기구에 대한 대안이다.
도 44는 바디(20)를 쿠션/패드(30)에 연결함으로써 그리고 단부 부재(100, 110) 내에 드럼(106, 116)을 캡슐화함으로써 어깨 받침이 어떻게 조립되는지 도시하고 있다. 리테이너 커버 플레이트(120, 13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부 부재(100, 110)의 보어 내측에 드럼(106, 116)을 유지한다. 도 4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어깨 단부 부재(100)는 나비나사(160)가 나사결합되어 들어가는 나사식 보어(164)를 갖는다. 쇄골 단부 부재(110)는 나비나사(162)가 나사결합되어 들어가는 나사식 보어(166)를 갖는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나사(160)의 선단(161)은 슬라이더(102)를 제자리에 로킹하도록 복수의 애퍼처, 예를 들어, 가로 그루브 중 하나 내로 돌출한다. 유사하게,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나사(162)의 선단(163)은 슬라이더(112)를 제자리에 로킹하도록 가로 그루브(24) 중 하나 내로 뻗는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으로만 의도된다. 본 명세서를 검토하는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많은 자명한 변형, 수정 및 개량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진보적 개념(들)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대해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출원인(들)이 추구하는 배타적 권리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4)

  1.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조절식 및 접이식 어깨 받침으로서, 상기 어깨 받침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또한 어깨-맞물리는 면(shoulder-engaging side) 및 악기-대향하는 면(instrument-facing side)을 갖는 어깨-맞물리는 바디(shoulder-engaging body);
    상기 바이올린 또는 상기 비올라를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부에 배치되되,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제1 접이식 포크-형상의 클램핑 부재;
    상기 바이올린 또는 상기 비올라를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되되,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제2 접이식 포크-형상의 클램핑 부재;
    상기 제1 클램핑 부재를 지지하는 나사식 스템(threaded stem)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로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상기 클램핑 부재가 상기 펴진 위치와 상기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상기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상기 제1 클램핑 부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1 슬롯(slot)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클램핑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로서,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상기 클램핑 부재가 상기 펴진 위치와 상기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상기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상기 제2 클램핑 부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2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상기 제1 슬롯에 배치된 제1 복수의 애퍼처(aperture) 중 하나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상기 제2 슬롯에 배치된 제2 복수의 애퍼처 중 하나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애퍼처는 상기 제1 슬롯 내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의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배치된 횡 그루브(traverse groove)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수의 애퍼처는 상기 제2 슬롯 내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의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배치된 횡 그루브들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횡 그루브들 중 하나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횡 리브(transverse rib)인 것인 어깨 받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의 각각은 상기 애퍼처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상기 슬롯으로부터 떨어져 당겨질 때 휘는 풀-탭 로킹해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풀-탭 로킹해제 부재는 상기 슬롯에 맞대어 휘지 않은 자세로 복귀하도록 탄성 바이어싱되는 것인 어깨 받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풀-탭 로킹해제 부재는 상기 슬롯으로부터 떨어져 곡선을 이루는 곡선형 둥근 선단에서 종단하는 길쭉한 탭을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5. 제1항에 있어서, 쿠션 있는 어깨 받침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상기 악기-대향하는 면에 부착된 발포 쿠션을 더 포함하는 어깨 받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쿠션은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손가락과 엄지손가락 사이에 원통형 드럼-같은 부품을 유지하게 할 오목형 측면을 갖는 상기 원통형 드럼-같은 부품을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형상의 클램핑 부재는 비대칭형인 것인 어깨 받침.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 그루브는 각각의 슬롯의 안쪽 반쪽에만 배치되는 것인 어깨 받침.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두께보다 더 작은 탭 두께를 갖고 상기 탭은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폭보다 더 작은 탭 폭을 갖는 것인 어깨 받침.
  11. 찰현악기용 어깨 받침으로서, 상기 어깨 받침은,
    어깨-맞물리는 면 및 악기-대향하는 면을 갖는 어깨-맞물리는 바디;
    상기 악기에 부착하기 위한 제1 접이식 포크로서,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상기 포크;
    상기 악기에 부착하기 위한 제2 접이식 포크로서,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상기 포크;
    상기 제1 포크를 지지하는 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로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캔틸레버링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상기 포크가 상기 펴진 위치와 상기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상기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상기 제1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1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포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로서,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캔틸레버링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상기 포크가 상기 펴진 위치와 상기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상기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상기 제2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2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상기 제1 슬롯에 배치된 제1 복수의 애퍼처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적응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상기 제2 슬롯에 배치된 제2 복수의 애퍼처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적응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맞물리는 면에 배치된 발포 쿠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포 쿠션은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은 볼록하고 상기 제2 슬롯은 오목한 것인 어깨 받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각각 각각의 포크의 상기 스템을 지지하는 드럼을 회전식으로 하우징하는 것인 어깨 받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각각 풀 탭을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16.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어깨 받침으로서, 상기 어깨 받침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또한 어깨-맞물리는 면 및 악기-대향하는 면을 갖는 어깨-맞물리는 바디;
    상기 바이올린 또는 상기 비올라에 부착가능하고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제1 접이식 포크;
    상기 바이올린 또는 상기 비올라에 부착가능하고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제2 접이식 포크;
    상기 제1 포크를 지지하는 나사식 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로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상기 제1 포크가 상기 펴진 위치와 상기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상기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상기 제1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1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상기 제2 포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로서,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상기 제2 포크가 상기 펴진 위치와 상기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상기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상기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2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상기 어깨-맞물리는 면에 배치된 발포 쿠션을 포함하되,
    상기 발포 쿠션은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슬롯에 배치된 복수의 애퍼처 중 하나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애퍼처는 가로 그루브인 것인 어깨 받침.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은 볼록하고 상기 제2 슬롯은 오목한 것인 어깨 받침.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각각 각각의 포크의 상기 스템을 지지하는 드럼을 회전식으로 하우징하고, 상기 드럼은 제1 아치형 슬롯 및 제2 아치형 슬롯을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각각 풀 탭을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21.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어깨 받침으로서, 상기 어깨 받침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또한 어깨-맞물리는 면 및 악기-대향하는 면을 갖는 어깨-맞물리는 바디;
    상기 바이올린 또는 상기 비올라에 부착가능하고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제1 접이식 포크;
    상기 바이올린 또는 상기 비올라에 부착가능하고 펴진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접을 수 있는 제2 접이식 포크;
    상기 제1 포크를 지지하는 나사식 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로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상기 제1 포크가 상기 펴진 위치와 상기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상기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상기 제1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1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의 회전식 하우징 내에 캡슐화된 제1 회전가능한 드럼;
    상기 제2 포크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로서,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집어넣어진 위치와 내밀어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고,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는 또한 상기 제2 포크가 상기 펴진 위치와 상기 접힌 위치 사이에서 피벗팅됨에 따라 상기 스템이 통하여 회전하는 아치형 채널을 갖되, 상기 포크를 내밀거나 집어넣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악기-대향하는 면 내 제2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가능한,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의 회전식 하우징 내에 캡슐화된 제2 회전가능한 드럼을 포함하는, 어깨 받침.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맞물리는 면에 배치된 발포 쿠션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발포 쿠션은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슬롯에서 상기 제1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식 단부 부재를 조절하기 위한 풀-탭 조절 기구(pull-tab adjustment mechanism)를 더 포함하는 어깨 받침.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재는 상기 포크를 접을 때 상기 스템을 위한 유격(clearance)을 제공하도록 제1 및 제2 아치형 슬롯을 포함하는 것인 어깨 받침.
KR1020150030630A 2014-11-06 2015-03-04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조절식 및 접이식 어깨 받침 KR201600543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869,862 2014-11-06
CA2869862A CA2869862C (en) 2014-11-06 2014-11-06 Adjustable and foldable shoulder rest for violin or viol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381A true KR20160054381A (ko) 2016-05-16

Family

ID=5712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630A KR20160054381A (ko) 2014-11-06 2015-03-04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조절식 및 접이식 어깨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3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0893B2 (en) Adjustable and foldable shoulder rest for violin or viola
CA2869862C (en) Adjustable and foldable shoulder rest for violin or viola
US8128172B2 (en) Chair armrest assembly having adjustable height
US7448687B2 (en) Internally pulling type lift device for chair armrest
US7766020B2 (en) Hair retaining clip with resilient gripping member
US7151213B2 (en) Musical instrument stand with a neck lock assembly
CA2419912C (en) Violin or the like shoulder rest
US7368647B2 (en) Support for a musical keyboard instrument
US9990910B2 (en) Locking strap mechanism
US7459620B1 (en) Guitar pick
JP2007532836A (ja) スライド・スナップ式クランプ
US20050173609A1 (en) Adjustable device with a musical keyboard stand
US7367628B1 (en) Armrest that will not produce noise during adjustment
CA2794313A1 (en) Shoulder rest
KR20160054381A (ko) 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용 조절식 및 접이식 어깨 받침
CN206584723U (zh) 乐器
US20180137841A1 (en) Stand for a stringed instrument
JP2019101347A (ja) スタンド及びハイハットスタンド
CA2510743A1 (en) String instrument with protective string cap assemblies
US20040083874A1 (en) Thumb rest for stringed instrument
US20140090542A1 (en) Pedal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
JP7489131B2 (ja) 可動パッドを有するヴァイオリンショルダレスト
GB2443851A (en) Musical instrument holder with a neck lock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