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011A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011A
KR20160052011A KR1020140149810A KR20140149810A KR20160052011A KR 20160052011 A KR20160052011 A KR 20160052011A KR 1020140149810 A KR1020140149810 A KR 1020140149810A KR 20140149810 A KR20140149810 A KR 20140149810A KR 20160052011 A KR20160052011 A KR 20160052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application
nfc tag
tag
n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8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영찬
김만희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2011A/en
Priority to CN201410804481.1A priority patent/CN105760797A/en
Publication of KR2016005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0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terminal by using a cloth having a near-field communication (NFC) tag attached there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ystem comprises: the cloth having the NFC tag attached thereto; and the user terminal reading the NFC tag attached to the cloth in a specific range to recognize tag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reader reading the NFC tag attached to the cloth to read the tag information;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unit execut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NFC tag, if the NFC tag is preregistered, based on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executing a predefined operation by the control of the execute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 convenience is substantially increased, as a pre-configured operation is able to be swiftly and simply executed by allowing a user terminal to only recognize the NFC tag without an additional user operation.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000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user terminal, and relates to a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user terminal based on information recognized from an NFC tag attached to a garment.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폭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 명의 사용자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두 개 이상의 스마트 기기를 보유하는 경우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 상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스마트 기기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게 한다.In recent years, the spread of smart devices has been explosive, and one user has more than two smart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The user can install or delete a desired application on the smart device, and execute the application to allow the smart device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하지만, 사용자는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수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선택하여야만 스마트 기기가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user has to select and execute the application manually to execute the desired application and select the specific function of the application, so that the smart device can provide the corresponding function, which lowers the user's usability.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8-0106998호는 의류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을 사용하는 환경이나 의류를 착용한 상황 등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동작 제어를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의류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활용한 기술 또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컨텐츠 정보의 조회에 그치고 있어, 기술의 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106998 discloses a technique for providing various contents using an RFID tag attached to clothes. However, in a case where a user u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mobile communi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terminal can not be considered. Also, the technology utilizing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garment is limited to the inquiry of the content informa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106998호(2008.12.10.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106998 (Dec. 10, 2008)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의류의 일 영역에 부착된 NFC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동작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user terminal that allows an application to be activated by recognizing an NFC tag attached to one area of a garment in a user terminal and automatically performs an operation defined by the user automatically by the driven application For that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은, NFC 태그가 부착된 의류, 및 소정 거리 내에서 상기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를 읽어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rol syste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rment having an NFC tag and a user terminal for reading tag information by reading an NFC tag attached to the garm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를 읽어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리더기, 상기 인식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NFC 태그가 미리 등록된 NFC 태그인 경우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및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의해 미리 정의된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reader for recognizing tag information by reading an NFC tag attached to the garment, an application execut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NFC tag in which the NFC tag is registered based on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predefined operation by control of the driven application.

또한, 상기 의류는, 외측 표면 또는 내측 표면의 일부 영역에 일측이 개방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의 수납 공간 내부에 상기 NFC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rment includes a pocket portion that forms a storage space with one side opened in an outer surface or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NFC tag may be attached inside the storage space of the pocket portion.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포켓부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NFC 태그를 인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에티켓 모드 및 화면 잠금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application executing unit recognizes the NFC tag when the user terminal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unit and drives the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etiquette mode and the screen lock mode of the user terminal hav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에티켓 모드 및 화면 잠금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sensor unit for sensing ambient illumination, and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an etiquette mode and a screen lock mode of the user terminal if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sensor unit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can do.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포켓부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경우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조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모드의 설정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may control to release the setting of the mode se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sensor unit when the user terminal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pocket unit.

또한, 상기 NFC 태그는 상기 의류의 일 영역에 부착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NFC 태그를 터치하는 경우 인식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미리 정의된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Further, the NFC tag is attached to one area of the garment, and the application execution unit drives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when the user terminal touches the NFC tag, An operation can be executed.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미리 정의된 동작 실행 중 상기 NFC 태그를 재터치하는 경우 상기 실행 중인 동작의 실행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can control execution of the operation being executed when the NFC tag is re-touched during execution of an operation defined in advance by the application.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의 백드라운드 상에서 실행되고, 상기 운영체제의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 중 상기 NFC 태그의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미리 정의된 동작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n a back-round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terminal, and if the information of the NFC tag is recognized during execu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operating system, the application can immediately execute the predefined operation.

또한, 상기 미리 정의된 동작은, 에티켓 모드의 설정, 화면 잠금 설정, 명함 전송, 카탈로그 실행, 지정된 블로그 접속,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실행 및 내비게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defined oper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etting an etiquette mode, setting a screen lock, transmitting a business card, executing a catalog, designating a blog access, executing a multimedia content service, and executing navigation.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소정 거리 내에서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를 읽어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NFC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NFC 태그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의해 미리 정의된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ognizing tag information by reading an NFC tag attached to a garm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Determining whether the NFC tag is an NFC tag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driv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based on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executing th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의류의 포켓에 수납하거나,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를 터치하는 동작만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하고, 이때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가 정의한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사용자 단말의 조작 없이 사용자 단말이 NFC 태그를 인식하는 것만으로 소정의 동작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operated only by storing the user terminal in a pocket of a garment or by touching an NFC tag attached to the garment, and automatically executing a user-defined operation by the driven applicatio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ply and quickly by only recognizing the NFC tag by the user terminal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separate user terminal,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사용자 단말을 포켓부로부터 인출하거나 NFC 태그가 부착된 위치를 재터치하는 것만으로도 미리 정의된 동작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d the execution of the predefined operation by simply pulling out the user terminal from the pocket portion or re-touching the position to which the NFC tag is attach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user convenience is increased.

또한, 회의 참석 상황, 장거리 이동 상황 등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반영하여 사용자 단말의 동작이나 모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용 형태를 능동적이고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and mode setting of the user terminal can be changed by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such as a meeting attendance situation and a long distance moving situation, and an advantage that the usage form of the user terminal can be changed actively and variously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of the user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NFC 태그가 부착된 의류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실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해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실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shown in FIG.
FIGS. 3A and 3D are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NFC tag-attached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4B are exemplary diagrams that are referenced to illustrate the performance of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5B are exemplary diagrams that are referenced to illustrate the deactiv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6D are exemplary diagrams that are referenced to illustrate the performance of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for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ver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meaning or overly reduced.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be properly understoo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이하에서는 '제어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NFC 태그(tag)(15)가 부착된 의류(10) 및 의류(10)에 부착된 NFC 태그(15)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50)을 포함할 수 있다.1, a control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rol syste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rment 10 and an apparel 10 to which an NFC tag 15 is attached And may include a user terminal 50 that recognizes the attached NFC tag 15 and automatically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의류(10)는 외측 표면 또는 내측 표면의 일부 영역에 일측이 개방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11)를 포함한다. 여기서, NFC 태그(15)는 포켓부(11)의 수납 공간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NFC 태그(15)는 의류(10)의 포켓부(11) 외에 다른 일 영역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NFC 태그(15)는 소매나 포켓 커버 등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터치 가능한 위치라면 어디든 부착 가능하다.The garment 10 includes a pocket portion 11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which is open at one side in an outer surface or a part of the inner surface. Here, the NFC tag 15 can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pocket portion 11. On the other hand, the NFC tag 15 may be attached to a region other than the pocket portion 11 of the garment 10. [ As an example, the NFC tag 15 may be attached to a sleeve, a pocket cover, or the like, or may be attached to any location that can be touched by the user.

여기서, NFC 태그(15)가 부착되는 의류(10)는 재킷(jacket), 코트(coat), 점퍼(jumper), 셔츠(shirt), 블라우스(blouse), 스웨터(sweater), 가디건(cardigan) 및 망토(cape) 등의 상의 및 바지(pants), 치마(skirt) 등의 하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의류(10)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Here, the garment 10 to which the NFC tag 15 is attached may be a jacket, a coat, a jumper, a shirt, a blouse, a sweater, a cardigan, Capes, and the like, and bottoms such as pants, skirts, and the like. Of course,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it is natural that any person-wearable garment 10 can be applied.

한편, NFC 태그(15)는 사용자 단말(50)과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이 가능한 초소형의 IC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50)의 리더기와 교신하여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형태, 재질, 크기, 정보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된다. The NFC tag 15 includes an IC chip and an antenna which are capable of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th the user terminal 50. The NFC tag 15 communicates with the reader of the user terminal 50, And it is manufactur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shape, material, size, information capacity, and the like.

상기 IC 칩 내에는 소정의 정보가 저장되고, 일 예로서 NFC 태그(15)에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50)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50) 상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NFC 태그(15)는 고정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IC 칩 내에 저장된 정보를 송신하고, NFC 태그(15)로부터 송신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50)의 리더기(reader)에 의해 판독되어 인식된다.In the IC chip,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stored. For exampl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or a user terminal 50 of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NFC tag 15, and a specific application may be stored on the user terminal 50 Information for driving can be stored. The NFC tag 15 transmits information stored in the IC chip using the fixed frequency and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NFC tag 15 is read and recognized by the reader of the user terminal 50. [

여기서, 의류(10)의 세탁, 다림질 또는 드라이 시 NFC 태그(1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NFC 태그(15)는 내열성이 강하고 방수성이 강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보호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로 의류(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NFC 태그(15)는 실시 형태에 따라 의류(10)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Here, in order to prevent the NFC tag 15 from being damaged when washing, ironing or drying the clothes 10, the NFC tag 1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resistance and high water resistance, And may be attached to the garment 10 in a housed state. Further, the NFC tag 15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garment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사용자 단말(5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장치로서, NFC 태그(15)와의 통신을 위한 NFC 리더기를 포함하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50)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 다양한 무선 단말이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전술한 의류(10)의 포켓부(11)에 수납될 수 있는 크기의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The user terminal 50 is an apparatus that can be carried by a user and includes an NFC reader for communication with the NFC tag 15 and may be a smart phone capable of installing a specific application. However, the user terminal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variety of devices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camera, a navigation device, a tablet computer, The wireless terminal may correspond to the wireless terminal and may be any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pocket portion 11 of the garment 10 described above.

사용자 단말(50)은 내부에 NFC 리더기가 내장되며, NFC 리더기는 의류(10)에 부착된 NFC 태그(15)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되면, NFC 태그(15)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읽어 인식하게 된다. 일 예로서, 사용자 단말(50)은 의류(10)의 일 영역에 부착된 NFC 태그(15)를 터치하는 것으로서 태그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NFC 태그(15)가 부착된 포켓부(11)에 사용자 단말(50)을 수납하는 것으로서 태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NFC reader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NFC tag 15 attached to the garment 10, the user terminal 50 reads and recognizes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NFC tag 15 do. 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50 can recognize the tag information by touching the NFC tag 15 attached to one area of the garment 10, and the pocket section 11 with the NFC tag 15 attached thereto The tag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by storing the user terminal 50 in the tag information.

한편, 사용자 단말(50)에는 사용자 단말(50)의 운영체제 환경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사용자 단말(50)은 등록된 태그 정보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서로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50)은 NFC 리더기로부터 태그 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된 NFC 태그(15)가 사용자 단말(50)에 미리 등록된 NFC 태그(15)인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하도록 한다.At least one application operating in the operating system environment of the user terminal 50 i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50. [ The user terminal 50 can store registered tag information and application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from the NFC reader, the user terminal 50 confirms whether the recognized NFC tag 15 is the NFC tag 15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50, So that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driven.

사용자 단말(50)에서 태그 정보에 대응하여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은 NFC 태그(15) 인식에 연동하여 미리 정의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50)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도, 의류(10)에 부착된 NFC 태그(15)의 정보를 인식하는 것만으로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미리 정의된 동작까지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다.An application driven in response to the tag information in the user terminal 50 can execute a predefined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FC tag 15. [ In this case, even when there is no operation from the user, the user terminal 50 can opera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only by recognizing the information of the NFC tag 15 attached to the garment 10, The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물론, 사용자 단말(50)은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것에 의해 이미 실행 중인 동작을 종료하거나 모드 설정을 해제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user terminal 50 may terminate the operation already being executed or cancel the mode setting by recognizing the tag information.

이때, 미리 정의된 동작은 에티켓 모드의 설정, 화면 잠금 설정, 명함 전송, 내비게이션 실행, 카탈로그 실행, 지정된 블로그 접속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실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 설정 가능하며, 상술한 동작 외에도 지정된 전화번호로의 통화 시도, 메모 기능 실행, 기본 인터넷 브라우저 실행 등 사용자 단말(50)에서 지원하는 기능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At this time, the predefined oper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etting of etiquette mode, setting of screen lock, transmission of business card, execution of navigation, catalog execution, designated blog connection and execution of multimedia contents service. The predefined operation can be manually set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operations, any function supported by the user terminal 50 such as a call attempt to a designated telephone number, a memo function execution, a basic Internet browser execution, It is natural.

한편, 사용자 단말(5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pplied to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은 제어부(51), 통신부(52), NFC 리더기(53), 입력부(54), 출력부(55), 센서부(56), 저장부(57)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1)는 사용자 단말(50)의 각 구성요소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2, the user terminal 50 includes a control unit 51, a communication unit 52, an NFC reader 53, an input unit 54, an output unit 55, a sensor unit 56, a storage unit 57,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unit 58. [ Here, the control unit 51 may process a signal transmitted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50.

먼저, 통신부(52)는 사용자 단말(50)에 무선 방식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은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소정 거리 내의 NFC 태그(15)로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한 신호에 대응하여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15)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irst, the communication unit 5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50.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Here,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luetooth, ZigBee, Ultra Wideband (UWB), Infrared Data Association have.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NFC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s a signal to an NFC tag 15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ransmits a tag information Lt; / RTI >

또한, 통신부(52)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 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52 may include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es a wireless LAN (WLAN),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i-Fi,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And the like.

NFC 리더기(53)는 NFC 태그(15)의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NFC 태그(15)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태그 정보를 판독한다. 이때, NFC 리더기(53)는 사용자 단말(50)에 미리 등록된 NFC 태그(15)의 정보만을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NFC 리더기(53)는 사용자의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15)에 대해서만 태그 정보를 수집하여 판독할 수 있다. 이때, NFC 리더기(53)는 태그 정보의 판독 결과를 제어부(51)로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51)는 NFC 리더기(53)에 의해 판독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해, 태그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실행부(58)로 제공할 수 있다.The NFC reader 53 collects the information of the NFC tag 15 to utilize the information of the NFC tag 15 and reads the collected tag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NFC reader 53 may collect information of the NFC tag 15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50 only. As an example, the NFC reader 53 may collect and read the tag information only for the NFC tag 15 attached to the user's garment. At this time, the NFC reader 53 provides the readout result of the ta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51. Here, the control unit 51 can provide the tag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unit 58 for driving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read by the NFC reader 53. [

입력부(54)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 받는 장치이다. 이때, 입력부(54)는 복수의 키 버튼이 구비된 키패드일 수 있으며, 화면 상에 소프트 키의 구현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일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54)는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 셔틀,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형태의 입력 수단일 수도 있으며, 그 외에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50)로 신호 입력이 가능한 수단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The input unit 54 is a device that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from a user. In this case, the input unit 54 may be a keypad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or a touch screen capable of implementing a soft key on the screen. The input unit 54 may be an input means such as a mouse, a joystick, a jog shuttle, a stylus pen, or any other means capable of inputting a signal to the user terminal 50 by a user's operation Do.

출력부(55)는 사용자 단말(50)의 동작에 따른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 설정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구현 가능한 형태의 화면, 예를 들어, 메뉴 선택 화면, 내비게이션 화면, 음악 및/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화면, 인터넷 접속 화면, 카탈로그 실행 화면, 통화 연결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단말(50)의 주변에서 인식된 태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55 may include a display for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 As an example, the display may display a screen for configuring the application. Also, the display may be a multimedia content playback screen such as a menu selection screen, a navigation screen, music and / or a video, an internet connection screen, a catalog execution screen, a call connection screen, etc.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display may display tag information recognized at the periphery of the user terminal 50.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도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며, 입력부(54)와 출력부(55)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when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is provided. That is, when a touch sensor such as a touch film, a touch sheet, or a touch pad is provided on the display, the display may operate as a touch screen, and the input unit 54 and the output unit 55 may be integrated. In this case, the display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3D display (3D display).

센서부(56)는 사용자 단말(5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 예를 들어,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56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the illuminance around the user terminal 50, for example, an illuminance sensor.

일 예로서, 조도 센서는 사용자 단말(50)이 의류의 포켓부에 수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5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조도 센서는 사용자 단말(50) 주변의 조도가 제1 기준치(p) 미만이 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ight intensity sensor may sense the illuminance around the user terminal 50 when the user terminal 50 is housed in the pocket portion of the garment. At this time, the illuminance sensor can detect whether the illuminance around the user terminal 50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p.

한편, 조도 센서는 의류의 포켓부에 수납된 사용자 단말(50)이 포켓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5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조도 센서는 사용자 단말(50) 주변의 조도가 제2 기준치(q)를 초과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erminal 50 stored in the pocket portion of the garment is drawn out from the pocket portion, the illuminance sensor can sense the illuminance around the user terminal 50. [ At this time, the illuminance sensor can detect whether the illuminance around the user terminal 50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q.

이때, 조도 센서는 사용자 단말(50)이 의류의 포켓부에 수납 시 또는 포켓부로부터 인출 시 주변에서 감지된 조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51)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lluminance sensor can provide the control unit 51 with information about the illuminance sensed in the surroundings when the user terminal 50 is stored in the pocket portion of the garment or drawn out from the pocket portion.

저장부(57)는 사용자 단말(50)의 동작을 위한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50)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57)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환경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저장부(57)는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 조건, 자동 실행종료 조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 정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 조건 및 자동 실행종료 조건은, 태그 인식 정보, 조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조도값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7)는 사용자 단말(50)에 등록된 NFC 태그(15)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57 may store a setting value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and may store a program, an application, and the like for implement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57 may store environment setting values for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As an example, the storage unit 57 may store the automatic execution condition of the application, the automatic execution termination condi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executed by the application, the ta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and the like. Here, the automatic execution condition and the automatic execution termination condition of the application may be set by the tag recognition information, the illuminance valu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57 may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tag 15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50.

여기서, 저장부(57)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등 공지의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Here, the storage unit 57 may be any one of known storage media such a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

어플리케이션 실행부(58)는 NFC 리더기(53)에 의해 NFC 태그(15)가 인식되면, 인식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일 예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58)는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15)가 인식되면, 비즈니스 기능, 콘텐츠 실행 기능, 패션 정보 제공 기능 및 매장정보 제공 기능 등을 지원하는 스마트 수트 앱(Smart Suit Application)을 구동할 수 있다.When the NFC tag 15 is recognized by the NFC reader 53, the application executing unit 58 drives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As an example, when the NFC tag 15 attached to the garment is recognized, the application executing section 58 executes a Smart Suit application (Smart Suit) that supports a business function, a content executing function, a fashion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Application).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58)는 사용자 단말(50)이 NFC 태그(15)가 부착된 포켓부에 삽입되는 경우, 포켓부 내의 NFC 태그(15)로부터 인식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미리 정의된 기능은 에티켓 모드 설정 기능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50)이 의류의 포켓부에 수납되면 NFC 태그 인식에 의해 전술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은 별도의 지시가 없어도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50)의 에티켓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Here, when the user terminal 50 is inserted in the pocket portion to which the NFC tag 15 is attached, the application executing section 58 drives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NFC tag 15 in the pocket portion . As an example, the predefined function may be an etiquette mode setting function. At this time, if the user terminal 50 is stored in the pocket of the clothes,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is driven by the NFC tag recognition, and the driven application can automatically set the etiquette mode of the user terminal 50 without any other instruction .

여기서, 에티켓 모드란, 회의 참석 등 전화 통화를 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50)의 기능을 일부 잠그는(lock) 것으로서, 가령 사용자 단말(50)의 전화 수신을 차단하거나, 벨소리를 무음으로 전환하는 등의 모드를 의미한다.Here, the etiquette mode is a mode in which the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50 is partially lock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make telephone conversation, such as attending a meeting, so that the user terminal 50 is prevented from receiving telephone calls, And the like.

의류의 포켓부에 수납된 사용자 단말(50)이 포켓부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 변화에 근거하여 에티켓 모드의 설정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50 housed in the pocket portion of the garment is pulled out of the pocket portion, the application may automatically release the setting of the etiquette mode based on the illumination change sensed by the brightness sensor.

한편, 어플리케이션 실행부(58)는 사용자 단말(50)이 의류의 일 영역에 부착된 NFC 태그(15)를 터치하는 경우, 태그 터치에 의해 인식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다. 이때, 태그 터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의된 기능, 예를 들어, 에티켓 모드의 설정, 화면 잠금 설정, 명함 전송, 내비게이션 실행, 카탈로그 실행, 지정된 블로그 접속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실행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erminal 50 touches the NFC tag 15 attached to one area of the garment, the application executing section 58 may drive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tag touch. At this time, if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by the tag touch, the driven application can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for example, setting an etiquette mode, setting a screen lock, transmitting a business card, executing navigation, executing a catalog, Or the like.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미리 정의된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50)이 의류의 일 영역에 부착된 NFC 태그(15)를 재터치하는 경우, 태그 터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실행중인 기능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50 re-touches the NFC tag 15 attached to one area of the garment in a state where a predefined function is executed by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can perform the execution of the currently executed function Can be terminated.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1)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58)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1 and / or the application executing unit 5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processor or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or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1 can be driven in a form included in another hardware device such as a microprocessor.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의 포켓부에 NFC 태그가 부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3A and 3B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an NFC tag is attached to a pocket portion of a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a는 포켓부(11)가 의류(10)의 외측 하부 표면에 형성된 경우로, NFC 태그(15)는 포켓부(11)의 내부 수납 공간 내부에 부착된 것이다. 물론, NFC 태그(15)가 부착된 포켓부(11)는 도 1에서와 같이 의류(10)의 외측 상부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3A shows a case where the pocket portion 11 is formed on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garment 10 and the NFC tag 15 is attached inside the inner storage space of the pocket portion 11. [ Of course, the pocket portion 11 to which the NFC tag 15 is attach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garment 10 as shown in Fig.

한편, 도 3b는 포켓부(11)가 의류(10)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경우로, 마찬가지로 NFC 태그(15)는 포켓부(11)의 내부 수납 공간에 부착된 것이다.3B shows a case in which the pocket portion 1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arment 10 and likewise the NFC tag 15 is attached to the inner storage space of the pocket portion 11. [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NFC 태그(15)가 의류(10)에 형성된 포켓부(11)의 내부 공간에 부착된 경우, 사용자 단말(50)이 포켓부(11)에 수납될 때 사용자 단말(50)은 NFC 태그(15)의 정보를 인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에티켓 모드 및/또는 화면 잠금 모드 등이 설정될 수 있다.3A and 3B, when the NFC tag 15 is attached to the inner space of the pocket portion 11 formed in the garment 10, when the user terminal 50 is housed in the pocket portion 11, The terminal 50 recognizes the information of the NFC tag 15 and drives the application, and the etiquette mode and / or the screen lock mode can be set by the driven application.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50)이 포켓부(11)에 수납되기 전과, 수납된 후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조도 변화를 근거로 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에티켓 모드 및/또는 화면 잠금 모드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4a 내지 도 4b의 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senses a change in illuminance before and after the user terminal 50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portion 11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user uses the etiquette mode and / And / or a screen lock mode can be set. A specific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Figs. 4A to 4B.

한편, 사용자 단말(50)이 포켓부(11)로부터 인출될 때에는, 사용자 단말(50)은 기 설정된 에티켓 모드 및/또는 화면 잠금 모드 등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50)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50)이 포켓부(11)에 수납되기 전과, 수납된 후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조도 변화를 근거로 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에티켓 모드 및/또는 화면 잠금 모드의 설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5a 내지 도 5b의 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erminal 50 is pulled out of the pocket section 11, the user terminal 50 can cancel the preset etiquette mode and / or the screen lock mode.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50 senses a change in illuminance before and after the user terminal 50 is housed in the pocket portion 11 by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and, based on the detected illuminance change, The setting of the etiquette mode and / or the screen lock mode may be canceled. A specific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Figs. 5A to 5B.

한편, 도 3c 및 도 3d는 포켓부 외의 영역에 NFC 태그(15)가 부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3C and 3D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NFC tag 15 is attached to an area other than the pocket part.

먼저, 도 3c는 포켓부가 형성되지 않은 의류(10)에서 사용자의 가슴 위치에 NFC 태그(15)를 부착한 것이고, 도 3d는 소매 부위에 NFC 태그(15)를 부착한 것이다. 물론, NFC 태그(15)는 가슴 위치나 소매 부위 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터치 가능한 위치라면 어느 곳이든 부착될 수 있다. FIG. 3C shows an NFC tag 15 attached to a user's chest in a garment 10 having no pocket formed therein, and FIG. 3D shows an NFC tag 15 attached to a sleeve. Of course, the NFC tag 15 may be attached at any location that is touchable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breast or sleeve.

이 경우, NFC 태그(15)는 포켓부에 부착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은 NFC 태그(15)를 터치하는 것으로써 NFC 태그(15)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NFC 태그(15) 터치 시 NFC 태그(15)의 정보를 인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미리 정의된 동작, 예를 들어, 에티켓 모드의 설정, 화면 잠금 설정, 명함 전송, 내비게이션 실행, 카탈로그 실행, 지정된 블로그 접속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실행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6a 내지 도 6d의 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NFC tag 15 is not attached to the pocket portion, the user terminal can recognize the information of the NFC tag 15 by touching the NFC tag 15.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e information of the NFC tag 15 when the NFC tag 15 is touched, drives the application, and displays a predefined operation such as setting the etiquette mode, setting the screen lock, Executing at least one of business card transmission, navigation execution, catalog execution, designated blog access, and multimedia content service execution.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Figs. 6A to 6D.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을 포켓부에 수납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storing a user terminal in a pocket unit in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의류(10)에 사용자 단말(50)의 수납이 가능한 공간을 갖는 포켓부(11)가 형성되고, 사용자 단말(50)이 포켓부(11)에 삽입되는 경우 인식 가능한 NFC 태그(15)가 부착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50)은 포켓부(11)에 부착된 NFC 태그(15)로부터 인식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단말(50)이 에티켓 모드 또는 화면 잠금 모드로 설정된다.4A shows a pocket portion 11 having a space in which the user terminal 50 can be stored in the garment 10 and a recognizable NFC tag 15 Is attached.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50 drive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NFC tag 15 attached to the pocket portion 11, and the application causes the user terminal 50 to perform an etiquette mode or a screen lock mode .

한편, 도 4b는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설정함에 있어서, 조도의 변화를 반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도 4a와 마찬가지로, 동작 410과 같이 의류(10)의 포켓부(11)에 수납되면, 동작 420과 같이 포켓부(11)에 부착된 NFC 태그(15)를 인식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동작 430과 같이 포켓부(11)에 부착된 NFC 태그(15)로부터 인식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동작 440과 같이 사용자 단말이 포켓부(11)에 수납됨을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로부터 조도 변화를 인식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동작 450 및/또는 동작 460과 같이 에티켓 모드 및/또는 화면 잠금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 4B shows an embodiment that reflects a change in illuminance in setting a mode of a user terminal. 4A,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e NFC tag 15 attached to the pocket portion 11, as shown in operation 420,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in the pocket portion 11 of the garment 10,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drive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NFC tag 15 attached to the pocket portion 11 as in operation 430. [ The application may recognize the illumination change from the illumination sensed by the illumination sensor such that the user terminal is housed in the pocket portion 11 as in operation 440 and may determine an etiquette mode and / Alternatively, you can set the screen lock mode.

여기서, 사용자 단말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부(11)에 수납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은 제한될 수 있다.
Here, since the user terminal can not operate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housed in the pocket portion 11 as shown in FIG. 4A, the operation supported by the application in this case can be restricted.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을 포켓부에서 인출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when a user terminal is extracted from a pocket unit in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50)이 도 5a와 같이 의류(10)의 포켓부(11)에 삽입된 경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에티켓 모드 및/또는 화면 잠금 모드가 설정된다.When the user terminal 50 is inserted into the pocket portion 11 of the garment 10 as shown in Fig. 5A, the etiquette mode and / or the screen lock mode are set by the driven application.

이때, 사용자 단말(5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부(11)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50)의 주변 조도 또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50)은 도 5b의 동작 510과 같이 의류(10)의 포켓부(11)로부터 인출되면, 동작 520과 같이 사용자 단말이 포켓부(11)로부터 인출된을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로부터 조도 변화를 인식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동작 530 및/또는 동작 540과 같이 기 설정된 에티켓 모드 및/또는 화면 잠금 모드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A, when the user terminal 50 is pulled out from the pocket portion 11, the peripheral illuminance of the user terminal 50 also changes. Accordingly, when the user terminal 50 is pulled out of the pocket portion 11 of the garment 10 as shown in operation 510 of Fig. 5B, the user terminal 50 is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drawn from the pocket portion 11,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change in illuminance from the illuminance and release the setting of the preset etiquette mode and / or the screen lock mode, such as operation 530 and / or operation 540, based on the result.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15)를 터치하는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6A to 6D show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NFC tag 15 attached to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태그(15)는 의류(10)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가능한 위치에 부착되므로, 사용자 단말(50)에 의해 태그(15)를 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NFC 태그(15)를 터치하는 동작은 사용자 단말(50)이 NFC 태그(15)를 직접 터치하는 것뿐 아니라, NFC 태그(15)가 부착된 위치를 간접적으로 터치하는 것도 포함된다. 따라서, 도 6a와 같이, 사용자 단말(50)이 의류(10)에 부착된 NFC 태그(15)를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50)은 태그 터치에 의해 인식된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6A, since the tag 15 is attached to the garment 10 at a position at which the user can touch the tag 15, it is possible to touch the tag 15 by the user terminal 50. [ Here,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NFC tag 15 includes not only directly touching the NFC tag 15 by the user terminal 50, but also indirectly touching the position to which the NFC tag 15 is attached. 6A, when the user terminal 50 touches the NFC tag 15 attached to the garment 10, the user terminal 50 uses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tag touch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can execute a predetermined operation at this time.

다만,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50)의 운영체제의 백그라운드 상에서 이미 실행 중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6b 내지 도 6d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태그 터치에 의해 태그 정보가 인식되면, 이미 운영체제의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바로 미리 정의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However, the application may be already running in the background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terminal 5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6B to 6D,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touch, the user terminal can perform the predefined operation by the application already running in the background of the operating system.

일 예로서, 사용자 단말은 도 6b의 610 동작과 같이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도 운영체제의 백그라운드 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태그 터치에 의해 태그 정보가 인식되면,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운영체제의 백그사운드 상에서 이미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615 동작에서와 같이 미리 설정된 에티켓 모드를 바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에티켓 모드 설정 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may execute the applica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operating system even when displaying the idle screen as in operation 610 of FIG. 6B. At this time, if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touch, sinc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is already executed on the background sound of the operating system, the application can directly set the preset etiquette mode as in the 615 operation. At this time, the etiquette mode setting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한편, 미리 설정된 동작이 명함 전송 동작인 경우, 운영체제의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도 6c에서와 같이 태그 정보가 인식되면, 625 동작에서와 같이 명함 전송 동작을 실행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If the preset operation is the business card transfer operation, if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as shown in FIG. 6C, the application executing on the background of the operating system executes a business card transfer operation as in the operation 625, Display through the display.

한편, 미리 설정된 동작이 내비게이션 실행 동작인 경우, 운영체제의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도 6d에서와 같이 태그 정보가 인식되면, 635 동작에서와 같이 내비게이션을 실행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If the preset operation is a navigation execution operation, if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as shown in FIG. 6D,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background of the operating system executes navigation as in the operation 635, and the corresponding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NFC 태그 부착 의류를 이용한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flow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NFC tagged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for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태그가 부착된 의류의 포켓부에 사용자 단말이 수납되면(S110), 사용자 단말은 의류에 부착된, 구체적으로는 포켓부에 부착된 NFC 태그를 인식하고(S120),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S130).As shown in FIG. 7,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in the pocket portion of the garment to which the NFC tag is attached (S110),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e NFC tag attached to the garment, specifically, the pocket portion (S120 , And acquires tag information (S130).

이때, S130 과정에서 획득한 태그 정보로부터 해당 NFC 태그가 사용자 단말에 미리 등록된 NFC 태그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인식된 NFC 태그가 사용자 단말에 미리 등록된 NFC 태그인 경우(S140), 사용자 단말은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150).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NFC tag is an NFC tag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from the tag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S130. If the recognized NFC tag is an NFC tag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S140), the user terminal drives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S150).

이때, S150 과정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의된 동작, 예를 들어, 에티켓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한다(S160).At this time, the application driven in step S150 automatically sets a predefined operation, for example, the etiquette mode (S160).

이후, 사용자 단말이 포켓부로부터 인출되면(S170), 어플리케이션은 앞서 S160 과정에서 설정된 에티켓 모드의 설정을 해제하도록 한다(S180). S170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주변의 조도가 변화된 것을 감지하면, 예를 들어, 주변의 조도가 q 이하인 값에서 q를 초과하는 것으로 변경되면 사용자 단말이 포켓부로부터 인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user terminal is fetched from the pocket portion (S170), the application releases the setting of the etiquette mode set in the step S160 (S180). In step S170, when the user terminal detects that the illuminance around the user terminal is changed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for example, when the ambient illuminance is changed from exceeding q to a value exceeding q, .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를 터치하면 (S210), 사용자 단말은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를 인식하고(S220),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S230).As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terminal touches the NFC tag attached to the garment (S210),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e NFC tag attached to the garment (S220) and acquires the tag information (S230).

이때, S230 과정에서 획득한 태그 정보로부터 해당 NFC 태그가 사용자 단말에 미리 등록된 NFC 태그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인식된 NFC 태그가 사용자 단말에 미리 등록된 태그인 경우(S240), 사용자 단말은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250).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NFC tag is an NFC tag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from the tag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S230. If the recognized NFC tag is a tag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S240), the user terminal drives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S250).

이때, S250 과정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정의된 동작, 예를 들어, 에티켓 모드의 설정, 화면 잠금 설정, 명함 전송, 내비게이션 실행, 카탈로그 실행, 지정된 블로그 접속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실행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한다(S260).At this time, the application driven in step S250 automatically performs at least one of a predefined operation such as setting of etiquette mode, setting of screen lock, transmission of a business card, execution of navigation, execution of catalog, execution of designated blog access and execution of multimedia contents service (S260).

이후,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 및 미리 정의된 동작이 실행되는 중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를 재터치하면(S270), 어플리케이션은 앞서 S260 과정에 의한 동작의 실행을 종료하도록 한다(S280).
Thereafter, when the user terminal re-touches the NFC tag attached to the garment while the application and the predefined operation are being executed (S270), the application terminates the execution of the operation in S260 (S28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의류 11: 포켓부
15: NFC 태그 50: 사용자 단말
51: 제어부 52: 통신부
53: NFC 리더기 54: 입력부
55: 출력부 56: 센서부
57: 저장부 58: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10: Clothes 11: Pocket part
15: NFC tag 50: user terminal
51: control unit 52:
53: NFC reader 54: input
55: output unit 56: sensor unit
57: storage unit 58: application execution unit

Claims (16)

NFC 태그가 부착된 의류; 및
소정 거리 내에서 상기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를 읽어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를 읽어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리더기;
상기 인식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NFC 태그가 미리 등록된 NFC 태그인 경우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및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의해 미리 정의된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NFC tagged clothing; And
And a user terminal for reading tag information by reading an NFC tag attached to the garm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 reader that reads NFC tags attached to the garment and recognizes tag information;
An application execution unit for driv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the NFC tag is an NFC tag registered in advance based on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predefined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en appli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류는,
외측 표면 또는 내측 표면의 일부 영역에 일측이 개방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의 수납 공간 내부에 상기 NFC 태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rment includes:
And a pocket portion forming a storage space with one side opened in an outer surface or a part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NFC tag is attached inside the storage space of the pocket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포켓부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NFC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에티켓 모드 및 화면 잠금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pplication executing unit recognizes the NFC tag when the user terminal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unit to drive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pplication controls to set at least one of an etiquette mode and a screen lock mode of the user termin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에티켓 모드 및 화면 잠금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Wherein the application controls at least one of an etiquette mode and a screen lock mode of the user terminal if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sensor unit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포켓부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경우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조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모드의 설정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application comprises:
And controls to release setting of the mode se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sensor unit when the user terminal is drawn out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pocket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는, 상기 의류의 일 영역에 부착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NFC 태그를 터치하는 경우 인식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미리 정의된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FC tag is attached to one area of the garment,
Wherein the application execution unit drives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when the user terminal touches the NFC tag, and an operation defined in advance by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미리 정의된 동작 실행 중 상기 NFC 태그를 재터치하는 경우 상기 실행 중인 동작의 실행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application comprises:
When the NFC tag is re-touched during execution of an operation defined by the application, execution of the operation being executed is termin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의 백드라운드 상에서 실행되고, 상기 운영체제의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 중 상기 NFC 태그의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미리 정의된 동작을 바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unit executes the predefined operation when it is executed in a back-round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of the NFC tag is recognized during execu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operat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동작은,
에티켓 모드의 설정, 화면 잠금 설정, 명함 전송, 카탈로그 실행, 지정된 블로그 접속,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실행 및 내비게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fined operation comprises:
Setting at least one of an etiquette mode setting, a screen lock setting, a business card transmission, a catalog execution, a designated blog access, a multimedia contents service execution, and navigation execution.
사용자 단말이 소정 거리 내에서 의류에 부착된 NFC 태그를 읽어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NFC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NFC 태그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의해 미리 정의된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The user terminal recognizing the tag information by reading the NFC tag attached to the garm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Checking whether the NFC tag is an NFC tag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Driv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based on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And
And automatically executing a predefined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en applica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의류에 형성된 포켓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납되는 때 수행되며,
상기 포켓부는, 상기 의류의 외측 표면 또는 내측 표면의 일부 영역에 일측이 개방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상기 NFC 태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recognizing the tag information comprises:
When the user terminal is housed in a pocket formed in the garment,
Wherein the pocket portion forms a storage space with one side opened in an outer surface or a part of an inner surface of the garment and the NFC tag is attached inside the storage spa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포켓부에 수납 시 인식된 상기 태그 정보에 근거하여 구동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에티켓 모드 및 화면 잠금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erforming comprises: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etiquette mode and the screen lock mode of the user terminal is set by the application driven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when stored in the pocket por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포켓으로부터 인출 시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조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모드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Sensing ambient illuminance when the user terminal is pulled out of the pocket; And
And canceling the setting of the mode set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detected illuminan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의류의 일 영역에 부착된 NFC 태그를 터치하는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recognizing the tag information comprises:
And when the user terminal touches an NFC tag attached to one area of the garment.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미리 정의된 동작 실행 중 상기 NFC 태그가 재터치되면, 상기 실행 중인 동작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erminating the execution of the operation when the NFC tag is re-touched during execution of an operation defined in advance by the applica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의 백드라운드 상에서 실행되고, 상기 운영체제의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 중 상기 태그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실행하는 단계가 바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application comprises:
Wherein the step of executing is performed immediately when the tag information is executed while being executed in a back-round of an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terminal and in the background of the operating system.
KR1020140149810A 2014-10-31 2014-10-3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KR2016005201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10A KR20160052011A (en) 2014-10-31 2014-10-3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CN201410804481.1A CN105760797A (en) 2014-10-31 2014-12-19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810A KR20160052011A (en) 2014-10-31 2014-10-3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011A true KR20160052011A (en) 2016-05-12

Family

ID=5602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810A KR20160052011A (en) 2014-10-31 2014-10-3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52011A (en)
CN (1) CN10576079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3003A (en) * 2016-08-19 2018-02-21 Jook Ltd A tag for an item of appar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8799A (en) * 2016-11-25 2018-06-01 泰姆茵克株式会社 Near-field communication bag, garment accessories, rotation print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939B1 (en) * 2010-07-23 2011-03-28 임성규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t of item and qucikly searching item
KR101950998B1 (en) * 2012-01-03 2019-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US9363010B2 (en) * 2012-12-03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2032247B1 (en) * 2013-01-15 2019-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KR102072144B1 (en) * 2013-03-26 2020-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dentifying for accessory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3003A (en) * 2016-08-19 2018-02-21 Jook Ltd A tag for an item of appar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60797A (en)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276B2 (en)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terminal
CN107688370B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117407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EP4024183B1 (en) Method for split-screen display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903543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contents using a plurality of displays
KR102264808B1 (en) Method for processing fingerpri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192929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eterogeneous display screens
KR102311221B1 (en)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bject
KR201500992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n electronic devices
EP3436919B1 (en) Method of switch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4238918B (en) List View component slippage display methods and device
KR102213190B1 (en) Method for arranging hom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5282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N107493389A (en) Singlehanded mode implementatio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60011915A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9814972A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US985186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program for invoking an application by dragging objects to a screen edge
US905276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displaying a symbol indicating execution of a function
KR20160023163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by an electronic pen
US2017019958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8885525A (en) Menu display method and terminal
KR20160046099A (en) Displaying of method and apparatus in a electronic device
US1146201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6027694B2 (en) Slide operation response method, slide operation response device, terminal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8021299A (en) One kind searches figure calibration method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